KR102418851B1 - 팝 너트 - Google Patents

팝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851B1
KR102418851B1 KR1020210017420A KR20210017420A KR102418851B1 KR 102418851 B1 KR102418851 B1 KR 102418851B1 KR 1020210017420 A KR1020210017420 A KR 1020210017420A KR 20210017420 A KR20210017420 A KR 20210017420A KR 102418851 B1 KR102418851 B1 KR 102418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flange portion
hole
folded
pop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백기
Original Assignee
김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백기 filed Critical 김백기
Priority to KR1020210017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팝 너트는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중간 부분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부면과 플랜지부 사이의 나사부와, 플랜지부와 하부면 사이의 접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나사부의 내부에는 직경이 r1인 홀이 형성되고, 이 홀의 내측면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접힘부의 내부에는 직경이 r2(r2 > r1)인 홀이 형성된다. 또한, 접힘부의 두께는 나사부의 두께보다 얇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나사가 형성되는 부분과 압입 공정에서 접히는 부분의 물리적 경계가 뚜렷하게 구분되어 정확한 압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히는 부분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가능성을 줄여 압입 공정 후 체결력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압입 공정을 보다 적은 힘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팝 너트{ Pop Nut }
본 발명은 팝 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가 형성되는 부분과 압입 공정에서 접히는 부분의 물리적 경계를 뚜렷하게 하여, 안정적인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팝 너트에 관한 것이다.
팝 너트(Pop Nut)는 자동차나 디스플레이 등 각종 산업 분야에서 판형 부재의 체결을 위해 이용된다.
도 1을 참조하자면, 팝 너트(10)는 판형 부재(21)의 구멍(23)에 결합되면서 걸림이 되도록 상부에 플랜지부(14)가 형성된다. 플랜지부(14)의 하측으로 내부에 홀이 형성되며, 압입되어 판형 부재(21)에 체결되도록 하는 접힘부(13)와, 볼트와의 체결을 위하여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15)로 이루어진다.
도 2a는 압입 공정을 거친 후의 모습을 보인 것으로서, 압입 과정을 거치면 팝너트(10)의 취약 부분인 접힘부(13)가 외측으로 접히고, 플랜지부(14)와 같이 판형 부재(21)의 하부 표면에 밀착된다. 즉, 팝 너트(10)가 판형 부재(21)에 체결되어 유동되지 않는 고정 상태가 된다.
도 2b는 이 판형 부재(21)에 타 판형 부재(31)를 체결한 예를 보인 것으로서, 판형 부재(21)의 상부에 다른 판형 부재(31)를 위치시키고, 상부에서 볼트(41)를 팝 너트(10)에 조이면, 두 판형 부재(21, 31)가 서로 체결된다.
한편, 도 1에서 보인 예와 같이 종래에는 플랜지부(14)가 팝 너트(10)의 말단에 형성되고, 접힘부(13)가 플랜지부(14)와 인접 배치되며, 나사부(15)는 접힘부(13)의 하부에 배치되었다. 또한, 팝 너트(10)의 내부 홀은 전체적으로 직경이 동일하다.
이 때문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공정이 복잡해질 수 있고, 팝 너트(10)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공정을 진행할 때 접힘부(13)에 손상을 입혀 이후 체결 과정에서 체결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또한, 나사가 형성되는 부분과 압입 공정에서 접히는 부분의 물리적 경계가 뚜렷하지 않아 정확한 압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압입 과정에서 나사가 형성된 부분에 손상을 줄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나사산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욱 쉽고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나사가 형성되는 부분과 압입 공정에서 접히는 부분의 물리적 경계를 뚜렷하게 하여 정확한 압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팝 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팝 너트는 판형 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결합되면서 걸림이 되도록 상부면과 하부면의 사이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과 플랜지부 사이의 나사부와, 상기 플랜지부와 하부면 사이의 접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나사부의 내부에는 직경이 r1인 홀이 형성되고, 이 홀의 내측면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접힘부의 내부에는 직경이 r2(r2 > r1)인 홀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의 나사산은 상기 플랜지부가 시작되는 지점까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가 위치한 부분에서 내부 홀의 직경은 상기 플랜지부가 시작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플랜지부가 종료되는 지점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두께를 d1, 상기 접힘부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두께를 d2라 할 때, 'd1 > d2'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면은 막힌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팝 너트는 플랜지부가 팝 너트의 말단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중간 정도 위치에 형성되고, 플랜지부를 경계로 나사부와 접힘부가 구분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나사가 형성되는 부분과 압입 공정에서 접히는 부분의 물리적 경계가 뚜렷하게 구분되어, 정확한 압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압입 공정에서 접히는 접힘부의 홀 직경이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의 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나사산을 형성하는 공정을 진행할 때 접히는 부분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압입 공정 후 체결력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나사부의 두께와 접힘부의 두께에 차이를 두어 압입 공정을 보다 적은 힘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팝 너트 구조를 설명하는 예,
도 2는 종래의 팝 너트를 압입한 상태와, 판형 부재들을 팝 너트를 통해 체결한 상태를 설명하는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팝 너트의 구조를 설명하는 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팝 너트를 압입한 상태를 보인 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3을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팝 너트(70)는 상부면(70-1)과 하부면(70-2) 사이에 플랜지부(74)가 형성되며, 플랜지부(74)는 판형 부재(21)의 구멍에 결합될 때 걸림이 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부면(70-1)과 하부면(70-2)은 그 용어에 관계없이 팝 너트(70)의 길이 방향 양 말단에 위치하는 면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드시 위와 아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부면(70-1)은 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곳이므로 당연히 개구 상태이며, 하부면(70-2)은 막혀있는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74)는 필요에 따라 상부면(70-1)과 하부면(70-2) 사이의 임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플랜지부(74)는 상부면(70-1)과 하부면(70-2) 사이의 중간 정도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나사부(75)와 접힘부(73)의 길이는 같거나 유사해진다.
플랜지부(74)가 상부면(70-1)과 하부면(70-2) 사이의 중간 정도 위치에 형성되고, 플랜지부(74)를 경계로 나사부(75)와 접힘부(73)가 구분되어 형성되므로, 압입 공정과 관련하여 나사부(75)와 접힘부(73)의 물리적 경계가 뚜렷하게 구분되어 정확한 압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면(70-1)과 플랜지부(74)의 사이가 나사부(75)로 구성되고, 플랜지부(74)와 하부면(70-2)의 사이가 접힘부(73)로 구성된다.
팝 너트(70)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홀이 형성되어 있다. 즉, 나사부(75)와 접힘부(73)의 내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75)의 내부에는 직경이 r1인 홀이 형성되는데, 이 홀의 내측면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산이 형성되는 길이는 임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나사부(75)의 나사산은 플랜지부(74)가 시작되는 지점까지 형성될 수 있다.
나사부(75)에는 이후 팝 너트(70)가 결합된 판형 부재(21)와 타 판형 부재를 결합하기 위해 볼트가 체결된다.
접힘부(73)의 내부에는 직경이 r2인 홀이 형성되는데, 이 홀의 내측면에는 나사부(75)와 달리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특히 접힘부(73)의 내부 홀 직경 r2는 나사부(75)의 내부 홀 직경 r1보다 크다. 즉, 'r1 < r2' 이다.
한편, 나사부(75)의 내부 홀과 접힘부(73)의 내부 홀은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만날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팝 너트(70)의 홀은 플랜지부(74)가 시작되는 지점으로부터 플랜지부(74)가 종료되는 지점까지 그 직경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플래지부(74)가 시작되는 지점부터 접힘부(73)의 직경 r2를 갖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플랜지부(74)가 종료되는 지점까지는 나사부(75)의 직경 r1을 그대로 유지하고, 플랜지부(74)가 종료되는 지점부터 접힘부(73)의 직경 r2를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접힘부(73)의 홀 직경이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75)의 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면, 나사산을 형성하는 공정을 진행할 때 접히는 부분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압입 공정시 체결력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나사부(75)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두께 d1은 접힘부(73)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두께 d2 보다 두껍게 구성될 수 있다. 즉, 'd2 < d1'의 관계에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힘부(73)의 두께를 나사부(75)의 두께보다 얇게 구성하면, 압입 공정을 보다 적은 힘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3의 팝 너트(70)를 프레스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압입 처리한 형태를 보인 예로서, 판형 부재(21)의 일 면에는 팝 너트(70)의 플랜지부(74)가 지지하고, 타 면에는 접힘부(73)가 압입되어 지지하므로, 판형 부재(21)에 팝 너트(70)가 고정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팝 너트(70)의 구체적인 적용예를 설명하자면, 팝 너트(70)는 TV나 모니터 등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에 걸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프레임에 너트를 부착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판형 부재(21)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프레임일 수 있다.
이때 접힘부(73)가 압입된 쪽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보는 방향이고, 나사부(75)가 향하는 쪽이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가 걸릴 벽 쪽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프레임에 본 발명에 따른 팝 너트(70)를 결합하여 사용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에 있게 되는 부분(압입된 부분)의 두께가 매우 얇으므로, 두께가 얇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너트 처리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0, 70: 팝 너트
13, 73: 접힘부
14, 74: 플랜지부
15, 75: 나사부
21, 31: 판형 부재
23: 판형 부재에 형성된 구멍
41: 볼트

Claims (6)

  1. 판형 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결합되면서 걸림이 되도록, 상부면과 하부면의 사이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과 플랜지부 사이의 나사부와, 상기 플랜지부와 하부면 사이의 접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면에서부터 접힘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통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의 내부에는 직경이 r1인 홀이 형성되고, 이 홀의 내측면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접힘부의 내부에는 직경이 r2(r2 > r1)인 홀이 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나사부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두께를 d1, 상기 접힘부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두께를 d2라 할 때, 'd1 > d2'이며,
    상기 하부면은 막힌 상태로 구성되는, 팝 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의 나사산은 상기 플랜지부가 시작되는 지점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가 위치한 부분에서 내부 홀의 직경은 상기 플랜지부가 시작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플랜지부가 종료되는 지점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 너트.
  5. 삭제
  6. 삭제
KR1020210017420A 2021-02-08 2021-02-08 팝 너트 KR102418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420A KR102418851B1 (ko) 2021-02-08 2021-02-08 팝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420A KR102418851B1 (ko) 2021-02-08 2021-02-08 팝 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851B1 true KR102418851B1 (ko) 2022-07-07

Family

ID=8239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420A KR102418851B1 (ko) 2021-02-08 2021-02-08 팝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8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753B1 (ko) * 2011-06-21 2014-06-17 뉴프리 엘엘씨 금속 칼라 및 금속 칼라의 장착 방법
JP2016148451A (ja) * 2015-02-13 2016-08-18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締結部材、これを対象物に固定する方法、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753B1 (ko) * 2011-06-21 2014-06-17 뉴프리 엘엘씨 금속 칼라 및 금속 칼라의 장착 방법
JP2016148451A (ja) * 2015-02-13 2016-08-18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締結部材、これを対象物に固定する方法、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8260B2 (en) Blind rivet-nut and method for securing a component to a carrier
EP1610004A1 (en) Element for fastening accessories to metal windows and doors
US6874984B2 (en) Expansion bolt having internal spherical member and rear driving bolt
US10690167B2 (en) Attachment fitted on a single side
JP2012177473A (ja) 張力クランプ
ATE451559T1 (de) Abreissschraube, zugehöriges system und verfahren zum eindrehen der abreissschraube
US9217452B1 (en) Blind fastener assembly and release pin apparatus
TW201337117A (zh) 盲螺帽及其安裝方法
JP2010043678A (ja) 緩み止めボルト
US20040239110A1 (en) Support sleeve for use in a tube coupling and a coupling housing for use together with said sleeve
KR102418851B1 (ko) 팝 너트
CA2444933A1 (en) Tolerance compensating mounting device
EP0418262A1 (en) Clamp assembly
US6551008B1 (en) Cable harness assembly for bicycle
US20160040704A1 (en) Fastening device
US20030219326A1 (en) Front mounted retaining mechanism
JPH0729309U (ja) 拡張体を備えた拡張栓
KR20050033804A (ko) 베어링 볼트 조인트
JP2002130075A (ja) コモンレールと噴射管の接続構造
US20210199143A1 (en) Expansion Bolt, And Connection Assembly Comprising Such An Expansion Bolt
RU2674267C2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провода заземления к алюминиевому элементу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точки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заземления на алюминиевом элементе
WO2003086694A3 (en) Blind nut
KR102040104B1 (ko) 너트 이탈 방지 볼트
EP1467109A1 (en) Threaded fastener
US6625859B2 (en) Jack bolt jacking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