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104B1 - 너트 이탈 방지 볼트 - Google Patents
너트 이탈 방지 볼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0104B1 KR102040104B1 KR1020190005778A KR20190005778A KR102040104B1 KR 102040104 B1 KR102040104 B1 KR 102040104B1 KR 1020190005778 A KR1020190005778 A KR 1020190005778A KR 20190005778 A KR20190005778 A KR 20190005778A KR 102040104 B1 KR102040104 B1 KR 1020401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ut
- bolt
- screw
- preventing
- preven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573 anti-seizur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9 spontane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너트 이탈 방지 볼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너트 이탈 방지 볼트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일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 상에 상기 나사부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상기 나사부의 외경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매끈한 외주면을 갖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너트 이탈 방지 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 등에 의해 너트가 풀리는 경우 너트가 볼트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너트 이탈 방지 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부재에 형성된 나사홀 또는 민자홀에 볼트를 삽입하면 헤드부가 홀 주변부에 의해 지지되어 볼트가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헤드의 반대방향으로부터 너트를 삽입하여 부재를 중심으로 헤드부의 반대측에 너트가 위치하도록 너트를 조인다.
이와 같이 체결된 볼트와 너트는 장비의 진동 등에 의해 조금씩 회전하여 저절로 풀릴 수 있다. 이 때, 일반적인 볼트의 경우에는 너트가 나사부의 끝까지 완전히 풀리면 나사부로부터 너트가 이탈하여 분실될 가능성이 높으며, 너트가 이탈한 장태에서 진동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면 볼트 또한 이탈할 가능성이 있다.
너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9449호(특허문헌 1)에는 볼트에 이탈방지 핀이 나사산부 끝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너트와 결합한 후 상기 이탈방지 핀을 구부려 상기 너트와 체결되는 너트 이탈 방지 구조를 가지는 볼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나사산부 끝에 별도의 이탈방지핀을 형성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진동 등에 의해 너트가 풀리는 경우 너트가 볼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너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볼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너트의 이탈을 방지함에 따라 볼트의 이탈도 방지할 수 있는 너트 이탈 방지 볼트를 제공하고다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일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 상에 상기 나사부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상기 나사부의 외경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매끈한 외주면을 갖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너트 이탈 방지 볼트를 제공한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헤드부의 반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탈방지부와 상기 나사부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나사부 상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는 제 1 나사부 및 제 2 나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부, 상기 제 1 나사부, 상기 이탈방지부, 상기 제 2 나사부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너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볼트에 의하면, 나사부 상에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으며 나사부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이탈방지부가 마련됨으로써 너트가 진동 등에 의해 원치 않게 풀리더라도 이탈방지부에 위치하여 볼트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너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볼트에 의하면 볼트로부터 너트의 이탈이 방지됨으로써 볼트 또한 부재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이탈 방지 볼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이탈 방지 볼트와 너트가 부재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이탈 방지 볼트에서 너트가 풀린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너트 이탈 방지 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이탈 방지 볼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이탈 방지 볼트와 너트가 부재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이탈 방지 볼트에서 너트가 풀린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너트 이탈 방지 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이탈 방지 볼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이탈 방지 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이탈 방지 볼트(100)는 헤드부(110), 나사부(120) 및 이탈방지부(130)를 포함한다.
헤드부(110)는 볼트(100)가 부재(10)에 체결될 때 부재(10)에 의해 지지되어 볼트(1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나사부(120)는 헤드부(110)로부터 일측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길게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다.
이탈방지부(130)는 나사부(120) 상에 형성된다. 이탈방지부(130)는 나사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나사부(120)의 외경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매끈한 외주면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나사부(120)는 제 1 나사부(122)와 제 2 나사부(1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나사부(122)는 헤드부(110)와 이탈방지부(130) 사이에 위치하고, 제 2 나사부(124)는 이탈방지부(130)로부터 헤드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나사부(122)와 제 2 나사부(124) 사이에 이탈방지부(130)가 위치할 수 있다.
너트(200)는 내주면에 나사부(120)와 대응되는 나사선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이탈 방지 볼트와 너트가 부재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볼트(100)와 너트(200)를 체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부재(10)에 형성된 나사홀 또는 민자홀에 볼트(100)를 삽입하면 헤드부가 홀 주변부에 의해 지지되어 볼트(100)가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헤드의 반대방향, 즉 제 2 나사부(124)로부터 너트(200)를 삽입하여 부재(10)를 중심으로 헤드부(110)의 반대측에 너트(200)가 위치하도록 너트(200)를 조인다.
이와 같이 체결된 볼트(100)와 너트(200)는 장비의 진동 등에 의해 조금씩 회전하여 저절로 풀릴 수 있다. 이 때, 일반적인 볼트의 경우에는 너트가 나사부의 끝까지 완전히 풀리면 나사부로부터 너트가 이탈하여 분실될 가능성이 높으며, 너트가 이탈한 장태에서 진동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면 볼트 또한 이탈할 가능성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이탈 방지 볼트에서 너트가 풀린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100)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너트(200)가 저절로 풀리는 경우, 너트(200)가 이탈방지부(130)에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00)와 너트(200)가 체결된 상태에서 너트(200)는 제 1 나사부(122)에 위치하지만, 진동 등에 의해 너트(200)가 풀리면 너트(200)는 제 1 나사부(122)를 이탈하여 이탈방지부(130)로 이동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130)는 제 1 나사부(122) 및 제 2 나사부(124)보다 직경이 작으며 외주면이 매끈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너트(200)가 이탈방지부(130)에 위치한 상태에서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너트(200)가 자동으로 제 2 나사부(124)와 체결될 가능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너트(200)가 볼트(100)로부터 이탈할 가능성 또한 매우 낮아진다.
본 실시예에서 너트(200)가 이탈방지부(130)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너트(200)가 제 1 나사부(122)에서 이탈하긴 했지만 볼트(100)에서 완전히 분리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볼트(100)가 장비로부터 이탈할 가능성 또한 매우 낮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너트 이탈 방지 볼트(100)는 너트(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도 있지만, 이와 동시에 볼트(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 또한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본 실시예의 이탈 방지 볼트(100)가 적용된 장비 등을 점검 시 이탈방지부(130)에 위치하는 너트(200)를 다시 제 1 나사부(122)에 체결하여 조임으로써 용이하게 보수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이탈방지부(130)는 헤드부(110)의 반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탈방지부(130)는 제 1 나사부(122) 측보다 제 2 나사부(124) 측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이탈방지부(130)와 제 2 나사부(124)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너트(200)가 단차에 걸림으로써 너트(200)가 우연히라도 제 2 나사부(124)와 체결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이탈 방지 볼트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너트 이탈 방지 볼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너트 이탈 방지 볼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너트 이탈 방지 볼트(100)는 헤드부(110), 나사부(120) 및 이탈방지부(132, 134)를 포함한다.
여기서, 헤드부(110) 및 나사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며,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이탈방지부(132, 134)는 나사부(120) 상에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32, 1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나사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나사부(120)의 외경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매끈한 외주면을 갖는다. 그리고, 이탈방지부(132, 134)는 헤드부(110)의 반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탈방지부(132, 134)가 복수 개 형성됨으로써 너트(200)의 이탈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두 개의 이탈방지부(132, 134)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며, 이를 각각 제 1 이탈방지부(132) 및 제 2 이탈방지부(134)라 부르기로 한다. 제 1 이탈방지부(132)의 직경이 헤드부(110)의 반대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므로 제 1 이탈방지부(132)와 제 2 이탈방지부(134)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상술한 단차가 형성된 부분, 즉 제 1 이탈방지부(132)와 제 2 이탈방지부(134) 사이에는 단차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36)는 나사부(120)의 외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되, 제 1 이탈방지부(132) 및 제 2 이탈방지부(134) 보다는 큰 직경을 갖도록 제 1 이탈방지부(132)와 제 2 이탈방지부(134) 사이에 플랜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단차부가 형성됨으로써 제 1 이탈방지부에 위치하는 너트(200)는 단차부에 걸려 제 2 이탈방지부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 2 이탈방지부(134) 또한 헤드부(110)의 반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져 제 2 이탈방지부(134)와 제 2 나사부(124)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이탈방지부(132)에 위치하는 너트(200)가 단차에 걸려 제 2 이탈방지부(134)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며, 낮은 가능성으로 제 2 이탈방지부(134)로 이동한 너트(200)는 다시 단차에 걸려 제 2 나사부(124)와 체결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너트 이탈 방지 볼트(100)는 너트의 이탈 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10: 헤드부
120: 나사부
130: 이탈방지부
200: 너트
120: 나사부
130: 이탈방지부
200: 너트
Claims (5)
-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일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제 1 나사부 및 제 2 나사부를 포함하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 상에 상기 나사부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상기 나사부의 외경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매끈한 외주면을 갖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나사부 상에 복수 개가 연속으로 형성되되, 단차부에 의해 나뉘어진 제 1 이탈방지부 및 제 2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호 인접한 제 1 이탈방지부 및 제 2 이탈방지부 사이에서 나사부의 외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되 상기 이탈방지부 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어, 너트가 제 1 이탈방지부로부터 제 2 이탈방지부로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단차부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으며,
헤드부, 제 1 나사부, 제 1 이탈방지부, 단차부, 제 2 이탈방지부, 제 2 나사부 순으로 배치되는 너트 이탈 방지 볼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헤드부의 반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너트 이탈 방지 볼트.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와 상기 나사부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는 너트 이탈 방지 볼트.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5778A KR102040104B1 (ko) | 2019-01-16 | 2019-01-16 | 너트 이탈 방지 볼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5778A KR102040104B1 (ko) | 2019-01-16 | 2019-01-16 | 너트 이탈 방지 볼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0104B1 true KR102040104B1 (ko) | 2019-11-05 |
Family
ID=68577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5778A KR102040104B1 (ko) | 2019-01-16 | 2019-01-16 | 너트 이탈 방지 볼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010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84792A1 (ja) * | 2021-11-15 | 2023-05-19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Uボルト、検知装置及び検知方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88215U (ja) * | 1984-05-23 | 1985-12-13 | 近藤鉄工株式会社 | みぞ付き全ねじ吊りボルト |
JP2000027839A (ja) * | 1998-07-14 | 2000-01-25 | Masao Yagi | 脱落防止機構付きボルト |
JP2002130241A (ja) * | 2000-10-18 | 2002-05-09 | East Japan Railway Co | ボルトとナットから成る締結具におけるナットの脱落防止機構 |
JP2006144975A (ja) * | 2004-11-22 | 2006-06-08 | Toshiba Plant Systems & Services Corp | 締結具 |
JP2007177968A (ja) * | 2005-12-28 | 2007-07-12 | Nippon Steel & Sumikin Coated Sheet Corp | ドリルビス |
KR20080019449A (ko) | 2006-08-28 | 2008-03-04 | 위아 주식회사 | 너트 이탈 방지 구조를 가지는 볼트 |
JP2011208743A (ja) * | 2010-03-30 | 2011-10-20 | Kawasaki Heavy Ind Ltd | 舶用推進軸のリーマボルト結合構造 |
-
2019
- 2019-01-16 KR KR1020190005778A patent/KR1020401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88215U (ja) * | 1984-05-23 | 1985-12-13 | 近藤鉄工株式会社 | みぞ付き全ねじ吊りボルト |
JP2000027839A (ja) * | 1998-07-14 | 2000-01-25 | Masao Yagi | 脱落防止機構付きボルト |
JP2002130241A (ja) * | 2000-10-18 | 2002-05-09 | East Japan Railway Co | ボルトとナットから成る締結具におけるナットの脱落防止機構 |
JP2006144975A (ja) * | 2004-11-22 | 2006-06-08 | Toshiba Plant Systems & Services Corp | 締結具 |
JP2007177968A (ja) * | 2005-12-28 | 2007-07-12 | Nippon Steel & Sumikin Coated Sheet Corp | ドリルビス |
KR20080019449A (ko) | 2006-08-28 | 2008-03-04 | 위아 주식회사 | 너트 이탈 방지 구조를 가지는 볼트 |
JP2011208743A (ja) * | 2010-03-30 | 2011-10-20 | Kawasaki Heavy Ind Ltd | 舶用推進軸のリーマボルト結合構造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84792A1 (ja) * | 2021-11-15 | 2023-05-19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Uボルト、検知装置及び検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38242B2 (en) | Quick-connect fastener assembly | |
JP2010043678A (ja) | 緩み止めボルト | |
US2830635A (en) | Self-locking set screw having frangible intermediate portion | |
KR102040104B1 (ko) | 너트 이탈 방지 볼트 | |
US11319981B2 (en) | Bolt provided with an anti-rotation device | |
JP4901983B2 (ja) | 締結装置 | |
NO802382L (no) | Bolt/mutter-enhet. | |
JP2006118676A (ja) | アイボルト | |
US5983450A (en) | Through-wall bushing | |
US7699357B2 (en) | Coupling for tubes | |
US3413022A (en) | Self-locking threaded ring assembly | |
US9764455B2 (en) | Pull-off device for conical pin bushing and locking device for screw | |
KR20200083281A (ko) | 나사산 조임 핀을 갖는 자가-잠금식 나사산 형성 체결 조립체 및 그 사용 | |
JP2022176300A (ja) | 脱落防止具 | |
US20050180813A1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reinforcing steel | |
KR100237318B1 (ko) | 풀림방지용 너트 | |
KR20180045523A (ko) | 풀림방지용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 |
KR102194640B1 (ko) | 풀림 방지 기능을 강화한 볼트 어셈블리 | |
JP2017106603A (ja) | 締結構造 | |
US20210396268A1 (en) | Arrangement for securing a nut | |
US20190107142A1 (en) | Nut | |
US9818381B1 (en) | Self-release and self-locking string locking mechanism | |
KR102271410B1 (ko) | 토크컨버터 이탈방지장치 | |
KR102283353B1 (ko) | 풀림방지너트 | |
JPWO2018155466A1 (ja) | 脱落防止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