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812B1 - 천공할 기호를 변경할 수 있는 인증 천공기 - Google Patents

천공할 기호를 변경할 수 있는 인증 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812B1
KR102418812B1 KR1020210006539A KR20210006539A KR102418812B1 KR 102418812 B1 KR102418812 B1 KR 102418812B1 KR 1020210006539 A KR1020210006539 A KR 1020210006539A KR 20210006539 A KR20210006539 A KR 20210006539A KR 102418812 B1 KR102418812 B1 KR 102418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se
perforation
holes
correspo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한식
Original Assignee
강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한식 filed Critical 강한식
Priority to KR102021000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4Punching tools; Punch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24Perforating by needles or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26F2001/4472Cutting edge sec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26F2001/4481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having special lateral or edge outlines or special surface shapes, e.g. aper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천공기는, 평평한 상면을 갖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상면 일부에 위치되어, 하면의 일부와 베이스부의 상면 사이에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되, 적어도 한 장으로 이루어진 종이 문서가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부는 복수 개의 상이한 기호들 중 선택된 하나의 기호를 복수 개의 구멍으로 종이 문서에 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공할 기호를 변경할 수 있는 인증 천공기{Perforator for certification to change the symbol to be drilled}
본 발명은 천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장의 종이 문서에 인증 표시를 제공하는 부호, 문자, 숫자 등과 같은 기호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법률, 금융 등의 분야에서 계약서 등과 같은 종이 문서에 대하여 인증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증은 종이 문서가 적절한 절차에 따른 것임을 입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이 문서에서 각각의 장이 상호 간에 관련된 것임을 입증하기 위하여, 간인이 표기될 수 있다. 이러한 간인은 도장을 종이 문서의 양면에 겹쳐지게 찍는 방식, 종이 문서 전체에 일정한 패턴으로 부호, 문자, 숫자 등과 같은 기호를 천공하는 방식 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천공 방식의 간인은 천공기를 이용하여 종이 문서에 일정한 패턴으로 기호를 형성한다. 여기서, 천공기는 작업자의 힘에 의해 작동되는 구성으로써, 종이 문서의 천공을 위하여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고, 사용에 있어서도 다소 번거로운 실정이다. 특히, 천공기에서 종이 문서에 천공하고자 하는 기호를 선택한 상태에서 변경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인증 천공기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 장의 종이 문서에 인증을 위한 기호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복수 개의 구멍으로 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 천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인증 천공기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 장의 종이 문서에 천공할 기호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 천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인증 천공기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천공기는, 평평한 상면을 갖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상면 일부에 위치되어, 하면의 일부와 베이스부의 상면 사이에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되, 적어도 한 장으로 이루어진 종이 문서가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부는 복수 개의 상이한 기호들 중 선택된 하나의 기호를 복수 개의 구멍으로 종이 문서에 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는, 개방된 상면을 갖고, 베이스부의 일면에 삽입되거나 베이스부의 일면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수집 몸체; 및 삽입 공간에 대응하도록 베이스부의 상면에 위치되고, 수집 몸체의 상면에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상이한 기호들로 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베이스홀들이 형성된 베이스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의 상면에서 베이스 가이드로부터 이격되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몸체 베이스; 몸체 베이스의 일면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고, 베이스 가이드와 몸체 베이스 사이에 위치되는 전달부; 몸체 베이스의 타면 상부에 전달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몸체 베이스를 통해 전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전달부에 연결되고, 베이스 가이드와 몸체 베이스 사이에 위치되고 전달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이동부와 베이스 가이드 사이에 위치되고 몸체 베이스에 고정되어 베이스 가이드에 대응하도록 연장되며, 베이스홀들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삽입홀들이 형성되는 몸체 가이드; 몸체 가이드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고, 이동부를 관통한 이동 가이드; 삽입홀들에 대응하도록 몸체 가이드에 위치되고, 몸 체 가이드를 향하도록 이동하여 삽입홀들을 통과하고 베이스홀들에 삽입될 수 있는 천공부; 및 이동부에 연결되고 천공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이한 복수 개의 기호들의 각각에 대한 가이드홀들을 갖고, 삽입홀들에 대응되는 기호에 대한 가이드홀들을 변경할 수 있는 천공 가이드를 포함하되, 하나의 기호에 대한 가이드홀들이 삽입홀들에 대응되도록 천공 가이드가 천공부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천공 가이드는 이동부에 의해 천공부를 향하도록 이동되어, 가이드홀에 대응되지 않는 천공부의 일부는 삽입홀을 통과하여 베이스홀에 삽입되어 종이 문서에 기호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천공부는, 각각 삽입홀을 통과할 수 있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삽입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천공 몸체들; 천공 몸체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천공 몸체의 외주면에서 천공 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천공 스토퍼; 및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천공 몸체부의 하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되고 천공 스토퍼의 하면 및 몸체 가이드에 접촉되는 천공 탄성체를 포함하되, 천공 탄성체는 천공 스토퍼를 지지하여 천공 몸체를 몸체 가이드에 위치시키고, 이동부가 천공 가이드를 천공부를 향하도록 이동시킬 때, 가이드홀들에 대응되지 않는 천공 몸체들은 천공 가이드에 접촉되고 삽입홀들을 통과하여 베이스홀들에 삽입되고, 천공 스토퍼에 의해 천공 탄성체를 압축시키며, 가이드홀들에 대응되는 천공 몸체들은 가이드홀들에 삽입되어 몸체 가이드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 가이드의 상면에는 삽입홀에 대응하도록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삽입홀은 삽입홈의 중앙에 위치되며, 천공 탄성체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삽입홈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천공 스토퍼를 지지하여 천공 몸체를 몸체 가이드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천공 가이드는,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기호에 대하여 복수 개의 가이드홀들이 형성되며, 상호 간에 연결되어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이동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천공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몸체들; 및 이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고, 가이드 몸체들 사이에 가이드 몸체들을 연결하는 회전 몸체를 포함하되, 회전 몸체는 가이드 몸체들을 회전시켜 하나의 가이드 몸체를 천공부에 인접하면서 몸체 가이드와 평행하도록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천공 가이드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기호에 대한 가이드홀들을 갖고, 각각 이동부에 분리가능하도록 천공부의 상측에 몸체 가이드와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전달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 베이스의 일면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는 전달 몸체; 및 전달 몸체의 중앙으로부터 이격되고 전달 몸체에 삽입되어 구동부에 연결되는 연결 몸체를 포함하며, 연결 몸체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때, 전달 몸체는 연결 몸체를 축으로 하여 편심 회전되고, 이동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평 방향으로 전달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전달 몸체에 접촉되고, 일면에는 천공 가이드가 위치되는 제 1 이동 부재;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평 방향으로 전달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전달 몸체에 접촉되고, 제 1 이동 부재와 평행하게 위치된 제 2 이동 부재; 및 제 1 이동 부재와 제 2 이동 부재를 연결하고, 그 사이에 전달부가 위치되는 한 쌍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이동 가이드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이동 부재와 제 2 이동 부재를 관통하면서 연결 부재와 평행하도록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되고, 전달 몸체가 연결 몸체를 축으로 하여 편심 회전될 때, 제 1 이동 부재는 천공 가이드를 천공부를 향하도록 이동시키고 천공부의 일부를 삽입홀들에 통과되도록 하여 베이스홀들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는, 베이스부의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위치된 제 1 가이드, 및 제 1 가이드의 일종단에서 제 1 가이드와 직교하면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 2 가이드를 포함하는 보조 가이드; 및 베이스부의 일면에 위치되어, 제 1 가이드의 측면에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는, 가이드 몸체들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 몸체에 연결되고, 이동부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가이드홀에 삽입된 천공부에 접촉되고, 이동부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 천공부에 힘을 가하여 천공부를 가이드홀로부터 분리시키는 천공 보조부를 더 포함하되, 천공 보조부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회전 몸체의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가이드 몸체들 사이에 위치되는 보조 베이스;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가이드 몸체에 대응하면서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 몸체들; 및 각각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보조 베이스와 보조 몸체의 각각 사이에 위치되고 보조 베이스와 보조 몸체의 각각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보조 탄성체들을 포함하며, 이동부가 천공 가이드를 천공부를 향하도록 이동시킬 때, 가이드홀들에 삽입된 천공부는 보조 몸체에 접촉되고, 보조 탄성체는 압축되며, 천공부가 가이드홀들에 삽입되고 보조 탄성체가 압축된 상태에서, 이동부가 천공 가이드를 천공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때, 압축된 보조 탄성체는 복원력을 보조 몸체 및 천공부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증 천공기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복수 장의 종이 문서에 인증을 위한 기호가 선택적으로 변경되어 복수 개의 구멍으로 천공될 수 있도록 한다.
(2) 천공할 기호가 용이하게 변경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천공기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천공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천공기에서 몸체부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천공기가 종이 문서를 천공하기 이전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천공기가 종이 문서를 천공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천공기가 일 형태로 변형되어 종이 문서를 천공하기 이전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천공기가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종이 문서를 천공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천공기(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천공기(100)에서 몸체부(102)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천공기(100)가 종이 문서를 천공하기 이전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천공기(100)가 종이 문서를 천공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천공기(100)는 베이스부(101) 및 몸체부(102)를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부(101)와 몸체부(102) 사이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삽입 공간(10)에 종이 문서(미도시 됨)를 삽입하여, 삽입된 종이 문서에 기호를 형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기호는 알파벳(예를 들어, A 내지 Z) 등과 같은 문자, 숫자(예를 들어, 0 내지 9) 등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구멍들로 이루어지고, 종이 문서에 대한 간인으로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인증 천공기(100)는 종이 문서에 천공할 기호를 변경할 수 있고, 작업자에 의해 복수 개의 상이한 기호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기호를 종이 문서에 천공할 수 있다.
베이스부(10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되, 평평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1)는 수집 몸체(111), 베이스 가이드(113), 보조 가이드(115) 및 고정 부재(117)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 몸체(111)는 베이스부(101)에 대응되는 형상(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수집 몸체(111)는 베이스부(101)의 일면에 통해 베이스부(101)에 삽입되기도 하고, 베이스부(10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면은 인증 천공기(100)의 정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베이스 가이드(113)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101)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가이드(113)는 베이스부(101)의 일면에 삽입된 수집 몸체(111)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특히, 베이스 가이드(113)는 구체적으로 후술될 삽입 공간(10)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가이드(113)에는 복수 개의 베이스홀(113')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홀(113')들은 다양한 기호를 형성하도록 부분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홀(113')들은 각각 상이한 내경을 가질 수 있되, 예를 들어, 각각 1.2㎜ 내지 1.5㎜의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홀(113')들은 각각 수집 몸체(111)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 가이드(115)는 부분적으로 베이스부(101)의 측면에 삽입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01)의 측면에 점점 삽입되기도 하고 베이스부(101)의 측면으로부터 점점 돌출되기도 한다. 여기서, 보조 가이드(115)는 베이스부(101)의 일면 근처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가이드(115)는 제 1 가이드(115a) 및 제 2 가이드(1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115a)는 직사각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101)의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베이스부(101)의 측면에 점점 삽입될 수 있거나 베이스부(101)의 측면으로부터 점점 돌출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115b)는 제 1 가이드(115a)의 일종단에서 제 1 가이드(115a)와 직교하면서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종이 문서가 베이스부(101)의 상면에 위치될 때, 종이 문서는 제 1 가이드(115a) 상에 위치되고, 종이 문서의 측면은 제 2 가이드(115b)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종이 문서는 복수 장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보조 가이드(115)에 의해 정렬된 상태로 베이스부(101)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117)는 베이스부(101)의 일면에 위치되어, 제 1 가이드(115a)의 측면에 접촉되거나, 제 1 가이드(115a)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117)가 제 1 가이드(115a)의 측면에 접촉될 때, 보조 가이드(115)는 베이스부(101)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예르 들어, 고정 부재(117)는 베이스부(101)의 일면에 나사결합되어, 제 1 가이드(115a)의 측면에 접촉되거나, 제 1 가이드(115a)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몸체부(102)는 베이스부(101)의 상면의 일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02)의 하면은 베이스부(101)의 상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앞서 언급된 삽입 공간(10)은 몸체부(102)의 하면 일부와 베이스부(101)의 상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 공간(10)은 개방된 일면 및 양측면을 가질 수 있고, 베이스부(101)의 베이스 가이드(113)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종이 문서는 삽입 공간(10)에 삽입되어 베이스부(101)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몸체부(102)는 삽입 공간(10)에 삽입된 종이 문서에 복수 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진 기호를 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호에 따른 복수 개의 구멍은 앞서 언급된 베이스홀(113')들의 일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몸체부(102)는 복수 개의 기호들 중에서 하나의 기호를 선택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 선택된 하나의 기호를 종이 문서에 천공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2)는 몸체 베이스(121), 전달부(122), 구동부(123), 이동부(124), 몸체 가이드(125), 이동 가이드(126), 천공부(127) 및 천공 가이드(128)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 베이스(121)는 기둥 형상, 특히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 가이드(113)로부터 이격되어 베이스부(101)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 베이스(121)는 베이스부(101)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고, 감속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부(122)는 몸체 베이스(121)의 일면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달부(122)는 베이스 가이드(113)와 몸체 베이스(121) 사이에서 베이스부(10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전달부(122)는 전달 몸체(122a) 및 연결 몸체(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몸체(122a)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 베이스(121)의 일면 상부에 직교하면서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연결 몸체(122b)는 전달 몸체(122a)의 중앙으로부터 이격되고 전달 몸체(122a)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전달 몸체(122a)는 연결 몸체(122b)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몸체(122b)가 연결 몸체(122b)의 중앙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때, 전달 몸체(122a)는 연결 몸체(122b)를 축으로 하여 편심 회전될 수 있다.
구동부(123)는 몸체 베이스(121)의 타면 상부에서 전달부(122)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23)는 몸체 베이스(121)를 통해 전달부(122)에 연결되어 전달부(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구동부(123)는 전달부(122)의 연결 몸체(122b)에 연결되어 연결 몸체(122b)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전달 몸체(122a)는 연결 몸체(122b)를 축으로 하여 편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동부(123)는 모터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전원을 공급받은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다.
이동부(124)는 전달부(122)에 연결되어, 베이스 가이드(113)와 몸체 베이스(121) 사이의 베이스부(10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전달부(122)가 구동부(123)에 의해 회전될 때, 이동부(124)는 전달부(12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24)는 제 1 이동 부재(124a), 제 2 이동 부재(124b) 및 연결 부재(12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이동 부재(124a)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어 전달부(122), 특히 전달 몸체(122a)에 접촉된 상태에서 전달부(122)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이동 부재(124b)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어 전달부(122), 특히 전달 몸체(122a)에 접촉된 상태에서 전달부(12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이동 부재(124b)는 제 1 이동 부재(124a)와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연결 부재(124c)는 제 1 이동 부재(124a)와 제 2 이동 부재(124b) 사이에 위치되어 제 1 이동 부재(124a)와 제 2 이동 부재(124b)를 연결할 수 있다. 특히, 연결 부재(124c)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이동 부재(124a)의 상면과 제 2 이동 부재(124b)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달부(122)는 제 1 이동 부재(124a)와 제 2 이동 부재(124b) 사이 뿐 아니라, 연결 부재(124c)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전달 몸체(122a)가 연결 몸체(122b)를 축으로 하여 편심 회전될 때, 제 1 이동 부재(124a), 제 2 이동 부재(124b) 및 연결 부재(124c)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몸체 가이드(125)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이동부(124)와 베이스 가이드(113) 사이에 위치되고 몸체 베이스(121)의 일면 하부에 고정되어 베이스 가이드(113)에 대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몸체 가이드(125)와 베이스 가이드(113) 사이에는 삽입 공간(10)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가이드(113)에 대응되는 몸체 가이드(125)의 일부에는 복수 개의 베이스홀(113')들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삽입홀(125')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홀(125')들은 베이스홀(113')들과 동일한 개수 및 내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몸체 가이드(125)의 상면에는 삽입홀(125')에 대응하도록 삽입홈(125")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홈(125")은 삽입홀(125')보다 큰 내경을 가질 수 있고, 삽입홀(125')은 삽입홈(125")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이동 가이드(126)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 가이드(125)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어 이동부(124)를 관통한다. 여기서, 이동 가이드(126)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그 사이에 전달부(122)가 위치되고, 제 1 이동 부재(124a)와 제 2 이동 부재(124b)를 관통한다. 전달 몸체(122a)가 연결 몸체(122b)를 축으로 하여 편심 회전될 때, 이동부(124)는 이동 가이드(126)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천공부(127)는 삽입홀(125')들에 대응하도록 몸체 가이드(125)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천공부(127)는 삽입홈(125")에 삽입되어 몸체 가이드(125)에 위치될 수 있고, 베이스 가이드(113)를 향하도록 이동하여 삽입홀(125')을 통과하여 베이스홀(113')에 삽입되어, 몸체 가이드(125)와 베이스 가이드(113) 사이에 형성된 삽입 공간(10)에 삽입된 종이 문서를 천공할 수 있다. 또한, 천공부(127)는 천공 몸체(127a)들, 천공 스토퍼(127b) 및 천공 탄성체(127c)를 포함할 수 있다.
천공 몸체(127a)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삽입홀(125')을 통과할 수 있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천공 몸체(127a)들은 각각 삽입홀(125')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천공 몸체(127a)들 각각의 하면에는 칼날(미도시 됨)이 형성되되, 칼날은 천공 몸체(127a)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종이를 절단할 수 있다. 즉, 천공 몸체(127a)들의 일부가 삽입홀(125')들의 일부를 통과하여 베이스홀(113')들의 일부를 통과함으로써, 천공 몸체(127a)들의 일부의 배열에 따른 기호가 종이 문서에 형성될 수 있다.
천공 스토퍼(127b)는 천공 몸체(127a)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천공 몸체(127a)의 외주면에서 천공 몸체(127a)의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천공 스토퍼(127b)는 천공 몸체(127a)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천공 몸체(127a)의 길이보다 현저하게 적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천공 탄성체(127c)는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천공 몸체부(127a)의 하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되고 천공 스토퍼(127b)의 하면 및 몸체 가이드(125)에 접촉될 수 있다. 천공 탄성체(127c)가 삽입홈(125")에 삽입될 때, 천공 탄성체(127c)는 삽입홈(125")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몸체 가이드(125)에 직교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천공 탄성체(127c)는 삽입홀(125')을 통과하지 않고 천공 스토퍼(127b)를 지지하면서 천공 몸체(127c)를 삽입홀(125')에 대응하도록 몸체 가이드(125)에 위치시킬 수 있다.
천공 몸체(127a)가 베이스 가이드(113)를 향하여 베이스홀(113')에 삽입되도록 이동될 때, 천공 스토퍼(127b)는 몸체 가이드(125)를 향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천공 스토퍼(127b)와 몸체 가이드(125)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면서, 천공 탄성체(127c)는 원래의 형상(즉, 신장된 상태의 형상)으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축적하면서 압축될 수 있다.
천공 가이드(128)는 이동부(124)에 연결되고 천공부(127)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천공 가이드(128)는 이동부(124)의 제 1 이동 부재(124a)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부(124)에 의해 천공부(127)를 향하도록 이동될 수 있고, 천공부(127)에 부분적으로 접촉되어 천공부(127)를 삽입홀(125')의 적어도 일부에 통과시켜 베이스홀(113')들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천공 가이드(128)에는 복수 개의 기호에 대한 복수 개의 가이드홀(128')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128')에는 천공부(127)의 천공 몸체(127a), 특히 천공 몸체(127a)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천공 가이드(128)가 하나의 기호에 대응하도록 천공부(127)의 상측에 위치될 때, 천공부(127)에 인접하면서 몸체 가이드(125)와 평행한 천공 가이드(128)에 형성된 가이드홀(128')들은 삽입홀(125')들 및 베이스홀(113')들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홀(128')들은 삽입홀(125')들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를 갖고 베이스홀(113')들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를 가질 수 있고, 기호에 대응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홀(128')들은 종이 문서에 기호를 형성하는 데에 이용되지 않는 천공부(127)의 천공 몸체(127a)들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124)가 천공 가이드(128)를 천공부(127)를 향하도록 이동시킬 때, 종이 문서에 형성하고자 기호에 대응되는 천공 몸체(127a)들의 상면은 천공 가이드(128)에 접촉되고 상기 천공 몸체(127a)의 하단부는 삽입홀(125')들을 통과하여 베이스홀(113')들에 삽입될 수 있고, 천공 스토퍼(127b)는 몸체 가이드(125)를 향하도록 이동하여 천공 탄성체(127c)를 압축시킬 수 있다. 반면에, 종이 문서에 형성하고자 기호에 대응되지 않는 천공 몸체(127a)들의 상단부는 가이드홀(128')에 삽입되어, 천공 탄성체(127c)는 변형없이 원래의 상태로 천공 스토퍼(127b)를 지지하고 천공 몸체(127a)들의 하단부는 삽입홀(125')을 통과하지 않고 몸체 가이드(125)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천공 몸체(127a)들은 기호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부분만이 이동하여 종이 문서를 천공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천공 가이드(128)는 가이드 몸체(128a)들 및 회전 몸체(128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몸체(128a)들은 복수 개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호 간에 연결되어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몸체(128a)들은 이동부(124)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면서 천공부(127)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몸체(128a)들의 각각에는 상이한 기호에 대하여 복수 개의 가이드홀(128')들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몸체(128a)들은 천공부(127)의 상측에 위치되되, 하나의 가이드 몸체(128a)는 천공부(127)에 인접하면서 몸체 가이드(125)와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몸체(128a)의 가이드홀(128')은 삽입홀(125')들의 일부 및 베이스홀(113')들의 일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회전 몸체(128b)는 이동부(124)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고, 가이드 몸체(128a)들 사이에 위치되어 가이드 몸체(128a)들을 연결할 수 있다. 회전 몸체(128b)가 회전될 때, 가이드 몸체(128a)들은 회전 몸체(128b)의 중앙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이드 몸체(128a)들 중에서 천공부(127)에 인접하면서 몸체 가이드(125)와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가이드 몸체(128a)의 하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3과 4를 참조하여, 천공 가이드(128)가 이동부(124)에 의해 몸체 가이드(125)를 향하도록 이동될 때, 천공 몸체(127a)들의 일부는 천공 가이드(128)의 가이드 몸체(128a)에 접촉되어 몸체 가이드(125)를 향하도록 이동하여 삽입홀(125a)들을 통과하여 베이스홀(113')들에 삽입될 수 있고, 천공 스토퍼(127b)는 몸체 가이드(125)를 향하도록 이동하여 천공 탄성체(127c)를 압축시킬 수 있다. 한편, 천공 몸체(127a)들의 나머지 일부는 상단부가 가이드홀(128')들에 삽입되어 베이스 가이드(113)를 향하도록 이동하지 않아 삽입홀(125')을 통과하지 않을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천공 가이드(128)의 회전 몸체(128b)는 조작 부재(102a)에 연결될 수 있다. 조작 부재(102a)는 몸체부(102)의 외부에 위치되어, 몸체부(102)를 관통하여 회전 몸체(128b)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천공 가이드(128)는 조작 부재(102a)에 의해 몸체부(102)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102a)에는 천공 가이드(128)의 가이드 몸체(128a)들의 각각에 형성된 가이드홀(128')들에 대한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조작 부재(102a)에 표시된 기호는 몸체 가이드(125)에 인접하게 위치된 천공 가이드(128)의 가이드 몸체(128a)를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종이 문서에 형성될 기호를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천공부(127) 및 천공 가이드(128)는 4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삽입 공간(10)의 폭을 고려하여 1개, 2개, 3개, 5개 등 다양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천공 가이드(128)는 10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천공부(127)의 상측에 위치되고 이동부(124)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숫자, 문자, 도형 등과 같은 다양한 기호에 대하여 삽입홀(125') 및 베이스홀(113')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는 가이드홀(128')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몸체부(102)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전달부(122)에서 연결 몸체(122b)가 전달 몸체(122a)의 중앙의 하측에 위치될 때, 이동부(124)의 제 1 이동 부재(124a)는 몸체 가이드(125)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여기서, 천공 가이드(128)는 천공부(127)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이동부(124)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천공부(127)의 천공 몸체(127a)들의 전체는 삽입홀(125')들 및 베이스홀(113')들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천공 몸체(127a)들의 일부는 가이드홀(128')이 형성되지 않는 천공 가이드(128)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천공 몸체(127a)들의 나머지 일부는 가이드홀(128')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전달부(122)가 구동부(123)에 의해 회전되어, 연결 몸체(122b)는 전달 몸체(122a)의 중앙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여기서, 이동부(124)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몸체 가이드(125)를 향하도록 이동되고, 천공 가이드(128)도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천공 몸체(127a)들의 일부는 상면이 천공 가이드(128)의 가이드 몸체(128a)에 접촉되고 하단부가 삽입홀(125')들을 통과하고 베이스홀(113')들에 삽입될 수 있고, 천공 몸체(127a)에 대응되는 천공 스토퍼(127b)는 몸체 가이드(125)를 향하도록 이동하여 천공 탄성체(127c)를 압축시킬 수 있다. 반면에, 천공 몸체(127a)들의 나머지 일부는 상단부가 가이드홀(128')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삽입홀(125')들을 통과하지 않아 몸체 가이드(125)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천공 몸체(127a)들은 가이드홀(128')에 대응되지 않고 가이드 몸체(128a)에 접촉되는 경우, 삽입 공간(10)을 가로질러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천공 가이드(128)가 천공부(127)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천공부(127)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종이 문서는 몸체부(102)의 몸체 가이드(125)와 베이스부(101)의 베이스 가이드(113) 사이에 형성된 삽입 공간(10)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천공 몸체(127a)들의 일부가 상면이 천공 가이드(128)의 가이드 몸체(128a)에 접촉되고 하단부가 삽입홀(125')들을 통과하고 베이스홀(113')들에 삽입됨으로써, 종이 문서에는 천공 몸체(127a)들의 일부의 배열에 따른 기호가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멍에 대응되는 종이 문서의 조각은 종이 문서로부터 분리되어 베이스홀(113')을 통과하여 수집 몸체(111)에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천공 몸체(127a)들의 일부가 삽입홀(125')들을 통과하여 베이스홀(113')들에 삽입되고, 천공 몸체(127a)들의 나머지 일부가 가이드홀(128')에 삽입되어 몸체 가이드(125)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달부(122)가 구동부(123)에 의해 회전되어, 연결 몸체(122b)는 전달 몸체(122a)의 중앙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이동부(124)는 상측으로 이동되고 몸체 가이드(125)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천공 가이드(128)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천공 몸체(127a)들의 일부에 위치되는 천공 탄성체(127c)는 압축된 상태로부터 점점 신장되면서 복원되어 천공 스토퍼(127b) 및 천공 몸체(127a)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천공 몸체(127a)들의 일부는 베이스홀(113')들 및 삽입 공간(10)으로부터 분리되어 몸체 가이드(125)에 위치될 수 있고, 구멍이 형성된 종이 문서는 삽입 공간(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천공 가이드(128)는 천공부(127)로부터 이격되어 천공부(127)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천공 탄성체(127c)는 완전히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천공 몸체(127a)를 용이하게 베이스홀(113') 및 삽입홀(125')로부터 분리시켜 원래의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복수 개의 천공 가이드(128)는 상호 간에 이격되고 상이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이동부(124)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천공 가이드(128)는 상호 간에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상호 간에 접촉되어 이동부(124)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천공 가이드(128)들은 이동부(124)와 평행하도록 위치되고 회전 몸체 (미도시됨)를 따라 위치되어, 각각 회전 몸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몸체부(102)의 몸체 베이스(121), 전달부(122), 구동부(123), 이동부(124), 몸체 가이드(125), 이동 가이드(126), 천공부(127) 및 천공 가이드(128)는 몸체 커버(120)에 수용되어 폐쇄될 수 있다. 몸체 커버(120)는 몸체부(102)의 구성요소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 부재(102a)는 몸체 커버(120)를 통해 천공 가이드(128)에 연결될 수 있고, 몸체 커버(12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조작 부재(102a)를 이용하여 천공 가이드(128)를 회전시켜, 종이 문서에 천공할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2)는 발광부(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29)는 구동부(123)에 연결될 수 있고, 구동부(123)가 작동될 때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부(129)는 몸체 커버(120)에 수용되고 몸체 커버(120)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23)에 의해 전달부(122)가 회전되거나 이동부(12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발광부(129)는 광을 발생시켜, 몸체부(102)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 천공기(100)는 베이스부(101)와 몸체부(102) 사이의 삽입 공간(10)에 종이 문서를 삽입하여 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 공간(10)은 베이스부(101)의 베이스 가이드(113)와 몸체부(102)의 몸체 가이드(12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2)에서 천공부(127)는 몸체 가이드(125)에 위치되고, 천공 가이드(128)는 이동부(124)에 연결되어 천공부(127)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천공 가이드(128)의 가이드 몸체(128a)들 중 하나는 천공부(127)에 인접하면서 몸체 가이드(125)와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몸체(128a)에는 기호에 대한 복수 개의 가이드홀(128')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천공부(127)는 천공 몸체(127a)들, 천공 스토퍼(127b) 및 천공 탄성체(127c)를 포함하되, 천공 몸체(127a)들은 각각 삽입홀(125')들 및 베이스(113')들에 대응하면서 몸체 가이드(125)에 위치될 수 있고, 부분적으로 가이드홀(128')들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홀(128')들에 대응되는 천공 몸체(127a)들은 천공할 기호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부(123)는 전달부(122)를 회전시켜, 이동부(124)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천공 가이드(128)는 이동부(124)에 의해 이동하여 가이드홀(128')에 대응되지 않는 천공 몸체(127a)들 중 일부를 몸체 가이드(125)를 통과시켜 베이스 가이드(113)에 삽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홀(128')들에 대응되는 천공 몸체(127a)들 중 나머지 일부는 상단부가 천공 가이드(128)의 가이드홀(128')들에 삽입되어, 베이스 가이드(113)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종이 문서가 삽입 공간(10)에 삽입된 경우, 천공 몸체(127a)들의 일부는 종이 문서에 기호에 따른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천공부(127)는 종이 문서에 천공 가이드(128)의 가이드홀(128')들에 대하여 기호를 천공할 수 있다.
천공부(127)의 천공 몸체(127a)들은 삽입홀(125')들에 대응하도록 몸체 가이드(125)에 위치되고, 천공 가이드(128)의 가이드 몸체(128a)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몸체(128a)들의 각각에는 상이하게 종이 문서에 형성할 기호에 대하여 가이드홀(128')들이 형성되기에, 가이드홀(128')에 대응되지 않는 천공 몸체(127a)들만이 몸체 가이드(125)를 통과하고 베이스 가이드(113)에 삽입되어 변경된 기호에 대한 구멍을 종이 문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인증 천공기(100)는 종이 문서에 천공하고자 하는 기호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인증 천공기(100)는 기호에 대한 가이드홀(128')들을 갖는 천공 가이드(128)를 회전시킬 수 있어, 천공부(127)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몸체 가이드(125)와 평행한 천공 가이드(128)의 가이드 몸체(128a)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에의 인증 천공기(100)는 종이 문서에 형성하고자 하는 기호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천공기(100)가 일 형태로 변형되어 종이 문서를 천공하기 이전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천공기(100)가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02)의 천공 가이드(128)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면서,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천공 가이드(128)는 이동부(124)에 분리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천공 가이드(128)의 각각은 기호에 대한 가이드홀(128')들을 갖고, 기호를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천공부(127)의 상측에서 몸체 가이드(125)와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천공 가이드(128)가 이동부(124)에 의해 이동할 때, 가이드홀(128')들에 대응되지 않는 천공 몸체(127a)들의 일부는 천공 가이드(128)에 접촉되어 몸체 가이드(125)를 통과하고 베이스 가이드(113)에 삽입되어 종이 문서를 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홀(128')들에 대응되는 천공 몸체(127a)들의 나머지 일부는 천공 가이드(128)의 가이드홀(128')들에 삽입되어, 몸체 가이드(125)를 통과하지 않아 베이스 가이드(113)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천공 가이드(128)는 몸체 커버(120)를 통해 이동부(124)에 분리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천공 가이드(128)의 종단면에는 천공 가이드(128)의 각각에 형성된 가이드홀(128')들에 대한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천공 가이드(128)에 표시된 기호는 종이 문서에 형성될 기호를 확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변형된 인증 천공기(100)의 천공 가이드(128)는 이동부(124)에 분리가능하도록 위치되기에, 작업자에 의해 원하는 기호에 대하여 이동부(124)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변형된 인증 천공기(100)는 원하는 기호를 용이하게 종이 문서에 천공할 수 있다.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천공기(100)가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종이 문서를 천공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 천공기(100)는 변형될 수 있되, 천공 보조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천공 보조부(130)는 천공 가이드(128)의 가이드 몸체(128a)들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 몸체(128b)에 연결되고, 이동부(124)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가이드홀(128')에 삽입된 천공 몸체(127a)에 접촉되고, 이동부(124)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 천공 몸체(127a)에 힘을 가하여 천공 몸체(127a)를 가이드홀(128')로부터 분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천공 보조부(130)는 보조 베이스(130a), 보조 몸체(130b)들 및 보조 탄성체(130c)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베이스(130a)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회전 몸체(128b)의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가이드 몸체(128a)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몸체(128a)들의 각각과 보조 베이스(130a)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고 일정하다.
보조 베이스(130a)는 회전 몸체(128b)와 함께 회전되어 가이드 몸체(128a)들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베이스(130a)는 조작 부재(102a)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 몸체(130b)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가이드 몸체(128a)에 대응하면서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몸체(130b)들은 상호 간에 이격되어 보조 베이스(130a)의 둘레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각각 가이드 몸체(128a)와 보조 베이스(130a)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보조 탄성체(130c)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보조 베이스(130a)와 보조 몸체(130b)의 각각 사이에 위치되고 보조 베이스(130a)와 보조 몸체(130b)의 각각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탄성체(130c)들은 보조 베이스(130a)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탄성체(130c)의 각각은 보조 몸체(130b)들의 각각을 가이드 몸체(128a)들의 각각에 대응되면서 인접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도 6(a) 참조).
이동부(124)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몸체 가이드(125)를 향하도록 이동되고, 천공 가이드(128)도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홀(128')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천공 몸체(127a)는 상단부가 가이드홀(128')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삽입홀(125')들을 통과하지 않아 몸체 가이드(125)에 위치될 수 있다.
천공 가이드(128)가 점점 더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가이드홀(128')에 삽입된 천공 몸체(127a)는 보조 몸체(130b)에 접촉되고, 보조 탄성체(130c)는 압축될 수 있다(도 6(b) 참조).
한편, 천공 몸체(127a)가 가이드홀(128')에 삽입되고 보조 탄성체(130c)가 압축된 상태에서, 이동부(124)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몸체 가이드(125)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고, 천공 가이드(128)도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압축된 보조 탄성체(130c)는 복원되어 신장되고 복원력을 하측을 향하도록 보조 몸체(130b) 및 천공 몸체(127a)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천공 몸체(127a)는 보조 탄성체(130c)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홀(128')에 걸리지 않고 천공 가이드(128)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지 않아 원활하게 가이드홀(128')로부터 분리되어 몸체 가이드(125)에 위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인증 천공기 10: 삽입 공간
101: 베이스부 111: 수집 몸체
113: 베이스 가이드 115: 보조 가이드
117: 고정 부재 102: 몸체부
121: 몸체 베이스 122: 전달부
123: 구동부 124: 이동부
125: 몸체 가이드 126: 이동 가이드
127: 천공부 128: 천공 가이드
129: 발광부 130: 천공 보조부

Claims (10)

  1. 평평한 상면을 갖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상면 일부에 위치되어, 하면의 일부와 베이스부의 상면 사이에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되,
    적어도 한 장으로 이루어진 종이 문서가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부는 복수 개의 상이한 기호들 중 선택된 하나의 기호를 복수 개의 구멍으로 종이 문서에 천공하고,
    베이스부는,
    개방된 상면을 갖고, 베이스부의 일면에 삽입되거나 베이스부의 일면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수집 몸체; 및
    삽입 공간에 대응하도록 베이스부의 상면에 위치되고, 수집 몸체의 상면에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상이한 기호들로 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베이스홀들이 형성된 베이스 가이드를 포함하며,
    몸체부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의 상면에서 베이스 가이드로부터 이격되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몸체 베이스;
    몸체 베이스의 일면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고, 베이스 가이드와 몸체 베이스 사이에 위치되는 전달부;
    몸체 베이스의 타면 상부에 전달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몸체 베이스를 통해 전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전달부에 연결되고, 베이스 가이드와 몸체 베이스 사이에 위치되고 전달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이동부와 베이스 가이드 사이에 위치되고 몸체 베이스에 고정되어 베이스 가이드에 대응하도록 연장되며, 베이스홀들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삽입홀들이 형성되는 몸체 가이드;
    몸체 가이드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고, 이동부를 관통한 이동 가이드;
    삽입홀들에 대응하도록 몸체 가이드에 위치되고, 몸체 가이드를 향하도록 이동하여 삽입홀들을 통과하고 베이스홀들에 삽입될 수 있는 천공부; 및
    이동부에 연결되고 천공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이한 복수 개의 기호들의 각각에 대한 가이드홀들을 갖고, 삽입홀들에 대응되는 기호에 대한 가이드홀들을 변경할 수 있는 천공 가이드를 포함하며,
    하나의 기호에 대한 가이드홀들이 삽입홀들에 대응되도록 천공 가이드가 천공부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천공 가이드는 이동부에 의해 천공부를 향하도록 이동되어, 가이드홀에 대응되지 않는 천공부의 일부는 삽입홀을 통과하여 베이스홀에 삽입되어 종이 문서에 기호를 형성하고,
    천공부는,
    각각 삽입홀을 통과할 수 있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삽입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천공 몸체들;
    천공 몸체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천공 몸체의 외주면에서 천공 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천공 스토퍼; 및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천공 몸체부의 하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되고 천공 스토퍼의 하면 및 몸체 가이드에 접촉되는 천공 탄성체를 포함하되,
    천공 탄성체는 천공 스토퍼를 지지하여 천공 몸체를 몸체 가이드에 위치시키고,
    이동부가 천공 가이드를 천공부를 향하도록 이동시킬 때, 가이드홀들에 대응되지 않는 천공 몸체들은 천공 가이드에 접촉되고 삽입홀들을 통과하여 베이스홀들에 삽입되고, 천공 스토퍼에 의해 천공 탄성체를 압축시키며, 가이드홀들에 대응되는 천공 몸체들은 가이드홀들에 삽입되어 몸체 가이드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천공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몸체 가이드의 상면에는 삽입홀에 대응하도록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삽입홀은 삽입홈의 중앙에 위치되며,
    천공 탄성체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삽입홈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천공 스토퍼를 지지하여 천공 몸체를 몸체 가이드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천공기.
  6. 평평한 상면을 갖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상면 일부에 위치되어, 하면의 일부와 베이스부의 상면 사이에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한 장으로 이루어진 종이 문서가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부는 복수 개의 상이한 기호들 중 선택된 하나의 기호를 복수 개의 구멍으로 종이 문서에 천공하고,
    베이스부는,
    개방된 상면을 갖고, 베이스부의 일면에 삽입되거나 베이스부의 일면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수집 몸체; 및
    삽입 공간에 대응하도록 베이스부의 상면에 위치되고, 수집 몸체의 상면에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상이한 기호들로 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베이스홀들이 형성된 베이스 가이드를 포함하며,
    몸체부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의 상면에서 베이스 가이드로부터 이격되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몸체 베이스;
    몸체 베이스의 일면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고, 베이스 가이드와 몸체 베이스 사이에 위치되는 전달부;
    몸체 베이스의 타면 상부에 전달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몸체 베이스를 통해 전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전달부에 연결되고, 베이스 가이드와 몸체 베이스 사이에 위치되고 전달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이동부와 베이스 가이드 사이에 위치되고 몸체 베이스에 고정되어 베이스 가이드에 대응하도록 연장되며, 베이스홀들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삽입홀들이 형성되는 몸체 가이드;
    몸체 가이드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고, 이동부를 관통한 이동 가이드;
    삽입홀들에 대응하도록 몸체 가이드에 위치되고, 몸체 가이드를 향하도록 이동하여 삽입홀들을 통과하고 베이스홀들에 삽입될 수 있는 천공부; 및
    이동부에 연결되고 천공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이한 복수 개의 기호들의 각각에 대한 가이드홀들을 갖고, 삽입홀들에 대응되는 기호에 대한 가이드홀들을 변경할 수 있는 천공 가이드를 포함하며,
    하나의 기호에 대한 가이드홀들이 삽입홀들에 대응되도록 천공 가이드가 천공부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천공 가이드는 이동부에 의해 천공부를 향하도록 이동되어, 가이드홀에 대응되지 않는 천공부의 일부는 삽입홀을 통과하여 베이스홀에 삽입되어 종이 문서에 기호를 형성하고,
    천공 가이드는,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기호에 대하여 복수 개의 가이드홀들이 형성되며, 상호 간에 연결되어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이동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천공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몸체들; 및
    이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고, 가이드 몸체들 사이에 가이드 몸체들을 연결하는 회전 몸체를 포함하되,
    회전 몸체는 가이드 몸체들을 회전시켜 하나의 가이드 몸체를 천공부에 인접하면서 몸체 가이드와 평행하도록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천공기.
  7. 평평한 상면을 갖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상면 일부에 위치되어, 하면의 일부와 베이스부의 상면 사이에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한 장으로 이루어진 종이 문서가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부는 복수 개의 상이한 기호들 중 선택된 하나의 기호를 복수 개의 구멍으로 종이 문서에 천공하고,
    베이스부는,
    개방된 상면을 갖고, 베이스부의 일면에 삽입되거나 베이스부의 일면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수집 몸체; 및
    삽입 공간에 대응하도록 베이스부의 상면에 위치되고, 수집 몸체의 상면에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상이한 기호들로 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베이스홀들이 형성된 베이스 가이드를 포함하며,
    몸체부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의 상면에서 베이스 가이드로부터 이격되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몸체 베이스;
    몸체 베이스의 일면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고, 베이스 가이드와 몸체 베이스 사이에 위치되는 전달부;
    몸체 베이스의 타면 상부에 전달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몸체 베이스를 통해 전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전달부에 연결되고, 베이스 가이드와 몸체 베이스 사이에 위치되고 전달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이동부와 베이스 가이드 사이에 위치되고 몸체 베이스에 고정되어 베이스 가이드에 대응하도록 연장되며, 베이스홀들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삽입홀들이 형성되는 몸체 가이드;
    몸체 가이드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고, 이동부를 관통한 이동 가이드;
    삽입홀들에 대응하도록 몸체 가이드에 위치되고, 몸체 가이드를 향하도록 이동하여 삽입홀들을 통과하고 베이스홀들에 삽입될 수 있는 천공부; 및
    이동부에 연결되고 천공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이한 복수 개의 기호들의 각각에 대한 가이드홀들을 갖고, 삽입홀들에 대응되는 기호에 대한 가이드홀들을 변경할 수 있는 천공 가이드를 포함하며,
    하나의 기호에 대한 가이드홀들이 삽입홀들에 대응되도록 천공 가이드가 천공부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천공 가이드는 이동부에 의해 천공부를 향하도록 이동되어, 가이드홀에 대응되지 않는 천공부의 일부는 삽입홀을 통과하여 베이스홀에 삽입되어 종이 문서에 기호를 형성하고,
    천공 가이드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기호에 대한 가이드홀들을 갖고, 각각 이동부에 분리가능하도록 천공부의 상측에 몸체 가이드와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천공기.
  8. 평평한 상면을 갖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상면 일부에 위치되어, 하면의 일부와 베이스부의 상면 사이에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한 장으로 이루어진 종이 문서가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부는 복수 개의 상이한 기호들 중 선택된 하나의 기호를 복수 개의 구멍으로 종이 문서에 천공하고,
    베이스부는,
    개방된 상면을 갖고, 베이스부의 일면에 삽입되거나 베이스부의 일면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수집 몸체; 및
    삽입 공간에 대응하도록 베이스부의 상면에 위치되고, 수집 몸체의 상면에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상이한 기호들로 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베이스홀들이 형성된 베이스 가이드를 포함하며,
    몸체부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의 상면에서 베이스 가이드로부터 이격되고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몸체 베이스;
    몸체 베이스의 일면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고, 베이스 가이드와 몸체 베이스 사이에 위치되는 전달부;
    몸체 베이스의 타면 상부에 전달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몸체 베이스를 통해 전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전달부에 연결되고, 베이스 가이드와 몸체 베이스 사이에 위치되고 전달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이동부와 베이스 가이드 사이에 위치되고 몸체 베이스에 고정되어 베이스 가이드에 대응하도록 연장되며, 베이스홀들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삽입홀들이 형성되는 몸체 가이드;
    몸체 가이드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고, 이동부를 관통한 이동 가이드;
    삽입홀들에 대응하도록 몸체 가이드에 위치되고, 몸체 가이드를 향하도록 이동하여 삽입홀들을 통과하고 베이스홀들에 삽입될 수 있는 천공부; 및
    이동부에 연결되고 천공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이한 복수 개의 기호들의 각각에 대한 가이드홀들을 갖고, 삽입홀들에 대응되는 기호에 대한 가이드홀들을 변경할 수 있는 천공 가이드를 포함하며,
    하나의 기호에 대한 가이드홀들이 삽입홀들에 대응되도록 천공 가이드가 천공부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천공 가이드는 이동부에 의해 천공부를 향하도록 이동되어, 가이드홀에 대응되지 않는 천공부의 일부는 삽입홀을 통과하여 베이스홀에 삽입되어 종이 문서에 기호를 형성하고,
    전달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 베이스의 일면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는 전달 몸체; 및
    전달 몸체의 중앙으로부터 이격되고 전달 몸체에 삽입되어 구동부에 연결되는 연결 몸체를 포함하며,
    연결 몸체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때, 전달 몸체는 연결 몸체를 축으로 하여 편심 회전되고,
    이동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평 방향으로 전달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전달 몸체에 접촉되고, 일면에는 천공 가이드가 위치되는 제 1 이동 부재;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평 방향으로 전달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전달 몸체에 접촉되고, 제 1 이동 부재와 평행하게 위치된 제 2 이동 부재; 및
    제 1 이동 부재와 제 2 이동 부재를 연결하고, 그 사이에 전달부가 위치되는 한 쌍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이동 가이드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이동 부재와 제 2 이동 부재를 관통하면서 연결 부재와 평행하도록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되고,
    전달 몸체가 연결 몸체를 축으로 하여 편심 회전될 때, 제 1 이동 부재는 천공 가이드를 천공부를 향하도록 이동시키고 천공부의 일부를 삽입홀들에 통과되도록 하여 베이스홀들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천공기.
  9. 제1항, 제6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부는,
    베이스부의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위치된 제 1 가이드, 및 제 1 가이드의 일종단에서 제 1 가이드와 직교하면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 2 가이드를 포함하는 보조 가이드; 및
    베이스부의 일면에 위치되어, 제 1 가이드의 측면에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천공기.
  10. 제6항에 있어서, 몸체부는,
    가이드 몸체들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 몸체에 연결되고, 이동부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가이드홀에 삽입된 천공부에 접촉되고, 이동부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 천공부에 힘을 가하여 천공부를 가이드홀로부터 분리시키는 천공 보조부를 더 포함하되,
    천공 보조부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회전 몸체의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가이드 몸체들 사이에 위치되는 보조 베이스;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가이드 몸체에 대응하면서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 몸체들; 및
    각각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보조 베이스와 보조 몸체의 각각 사이에 위치되고 보조 베이스와 보조 몸체의 각각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보조 탄성체들을 포함하며,
    이동부가 천공 가이드를 천공부를 향하도록 이동시킬 때, 가이드홀들에 삽입된 천공부는 보조 몸체에 접촉되고, 보조 탄성체는 압축되며,
    천공부가 가이드홀들에 삽입되고 보조 탄성체가 압축된 상태에서, 이동부가 천공 가이드를 천공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때, 압축된 보조 탄성체는 복원력을 보조 몸체 및 천공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천공기.
KR1020210006539A 2021-01-18 2021-01-18 천공할 기호를 변경할 수 있는 인증 천공기 KR102418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39A KR102418812B1 (ko) 2021-01-18 2021-01-18 천공할 기호를 변경할 수 있는 인증 천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39A KR102418812B1 (ko) 2021-01-18 2021-01-18 천공할 기호를 변경할 수 있는 인증 천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812B1 true KR102418812B1 (ko) 2022-07-07

Family

ID=8239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539A KR102418812B1 (ko) 2021-01-18 2021-01-18 천공할 기호를 변경할 수 있는 인증 천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8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4098A (ja) * 1996-03-26 1997-09-30 Ekushingu:Kk パターン穿孔装置
KR100879377B1 (ko) * 2008-03-13 2009-01-16 미래테크(주)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웨지핀 삽입공 형성장치
KR20090125483A (ko) * 2008-06-02 2009-12-07 주식회사 프러스상사 간인 천공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4098A (ja) * 1996-03-26 1997-09-30 Ekushingu:Kk パターン穿孔装置
KR100879377B1 (ko) * 2008-03-13 2009-01-16 미래테크(주)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유지구의 웨지핀 삽입공 형성장치
KR20090125483A (ko) * 2008-06-02 2009-12-07 주식회사 프러스상사 간인 천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2058B2 (en) Punching device for edge decoration
US5463922A (en) Punch for making a multiplicity of holes
JPS58160099A (ja) シ−ト穴開け装置
US6742431B1 (en) Punching device for edge decoration having rotation unit
KR102418812B1 (ko) 천공할 기호를 변경할 수 있는 인증 천공기
KR200418709Y1 (ko) 타원형 테두리 장식을 위한 펀칭장치
KR101742246B1 (ko) 복합천공기
KR102426114B1 (ko) 등록된 사람에 의해 사용가능한 인증 천공기
KR102394144B1 (ko) 상이한 직경의 구멍을 형성하는 인증 천공기
KR200283757Y1 (ko) 펀칭장치
KR102656877B1 (ko) 자동 급지가 가능한 인증 천공기
US20080295666A1 (en) Sheet punch devices having cutting blade formed with slant surface
KR102214187B1 (ko) 펀칭유닛을 구비한 종이컷팅장치
KR200256939Y1 (ko) 개량형 펀치
GB2209133A (en) Hinged hole punch
KR102564914B1 (ko) 천공기
KR100750866B1 (ko) 펀칭장치
JP3205965U (ja) パンチ
KR20230109380A (ko) 천공기
KR200389767Y1 (ko) 사무용 펀치
KR200361859Y1 (ko) 투명 펀치 장치
KR200293603Y1 (ko) 문방구용 천공장치
KR200389773Y1 (ko) 사무용 펀치
US1650019A (en) Paper-perforating device
JP3943733B2 (ja) 1穴2穴3穴4穴穿孔用の1穴パン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