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914B1 - 천공기 - Google Patents

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914B1
KR102564914B1 KR1020220005268A KR20220005268A KR102564914B1 KR 102564914 B1 KR102564914 B1 KR 102564914B1 KR 1020220005268 A KR1020220005268 A KR 1020220005268A KR 20220005268 A KR20220005268 A KR 20220005268A KR 102564914 B1 KR102564914 B1 KR 102564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oving
unit
driv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9381A (ko
Inventor
강한식
Original Assignee
강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한식 filed Critical 강한식
Priority to KR1020220005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914B1/ko
Publication of KR2023010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06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with punching tools moving with the work
    • B26F1/08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with punching tools moving with the work wherein the tools are carried by, and in operation move relative to, a rotative drum or similar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26D5/06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by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46Perfo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2210/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of specific products
    • B26F2210/02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of specific products of stacked she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기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에 대응하도록 베이스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이동부;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에 위치되어 베이스부와 이동부를 연결하고, 이동부를 베이스부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구동부; 각각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구동부를 통해 이동부의 하면에 위치되고, 문서를 천공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천공부;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에 위치되고,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의 최대 거리를 변경가능하도록 설정하고, 설정된 최대 거리에 대응되는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때 이동부를 정지시키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상부 감지부; 및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에 위치되고,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의 최소 거리를 설정하고, 설정된 최소 거리에 대응되는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때 이동부를 베이스부로부터 이격시키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하부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공기{Perforator}
본 발명은 천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공하고자 하는 문서의 두께 두께를 제어할 수 있는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천공기는 거래 사회에서 증명 서류, 수표, 어음 등과 같은 종이 문서의 위조 및 도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이 문서의 일측에 소정 패턴으로 구멍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천공기는 종이 문서의 일측에 발행사의 상호, 증명의 명칭, 정해진 기호 문자 등을 천공핀을 이용하여 천공함으로써 천공핀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을 제3자가 인식하여 종이 문서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천공기는 종이 문서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구멍을 형성하고 구멍에 철끈을 삽입하여 제본하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천공기는 작업자의 힘에 의해 작동되는 구성으로써, 종이 문서의 천공을 위하여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고, 이용에 있어서도 다소 번거로운 실정이다. 이로 인해, 천공기는 모터 등과 같은 동력 장치를 포함하기도 하고, 동력 장치에 의해 작동되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천공기에는 일반적으로 천공가능한 두께 범위가 설정되어 있고, 이러한 두께 범위는 설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종이 문서는 상기와 같은 두께 범위보다 현저하게 작은 두께를 갖도록 천공기에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천공기를 작동시키는 데에 동일한 힘 또는 동력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천공기의 작동에 따른 힘 또는 동력이 불필요하게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천공기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천공하고자 하는 종이 문서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천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천공기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천공기의 작동을 위한 동력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천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천공기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기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에 대응하도록 베이스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이동부;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에 위치되어 베이스부와 이동부를 연결하고, 이동부를 베이스부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구동부; 각각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구동부를 통해 이동부의 하면에 위치되고, 문서를 천공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천공부;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에 위치되고,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의 최대 거리를 변경가능하도록 설정하고, 설정된 최대 거리에 대응되는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때 이동부를 정지시키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상부 감지부; 및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에 위치되고,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의 최소 거리를 설정하고, 설정된 최소 거리에 대응되는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때 이동부를 베이스부로부터 이격시키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하부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베이스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이동부를 관통하도록 위치되고, 상단 부분이 하단 부분에 대하여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구동 가이드; 구동 가이드의 상단 부분에 관통되어 결합되고, 이동부의 하면에 접촉되는 이동 결합체; 구동 가이드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부의 하면에 고정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몸체; 평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구동 가이드의 상단에 고정되어 이동부의 상측에 위치되고, 구동 가이드의 상단 부분을 회전시키는 이동 회전체; 평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이동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구동 몸체에 연결되고 구동 몸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회전체;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이동부를 관통하면서 이동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고, 하면에 천공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천공 결합체; 평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이동부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천공 결합체의 상면에 위치되어, 천공 결합체와 함께 회전되는 천공 회전체; 및 톱니를 갖는 벨트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이동 회전체, 구동 회전체 및 천공 회전체를 연결하면서 이동 회전체, 구동 회전체 및 천공 회전체와 맞물리는 구동 전달체를 포함하되, 구동 몸체가 구동 회전체를 회전시킬 때, 구동 회전체는 구동 전달체를 이동시키면서 이동 회전체를 이동 가이드의 상단 부분 및 이동 결합체와 함께 회전시켜 이동부를 베이스부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가이드는, 이동 결합체에 대응하도록 베이스부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어 고정되고, 이동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가이드 몸체; 및 외주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가이드 몸체의 상면에 삽입되어 가이드 몸체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되고 이동 결합체를 관통하여 이동 결합체에 고정되는 가이드 회전체를 포함하되, 이동 회전체는 가이드 회전체의 상단에 고정되고, 이동 회전체가 회전될 때, 가이드 회전체 및 이동 결합체는 회전되면서 가이드 몸체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와 이동부가 최대 거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구동 몸체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구동 회전체를 회전시킬 때, 구동 회전체는 회전되고, 구동 전달체는 이동되면서 이동 회전체 및 천공 회전체를 회전시켜, 이동 회전체는 베이스부를 향하도록 이동 결합체와 함께 이동하여 이동부를 베이스부를 향하도록 이동시키며, 천공 회전체는 천공부를 천공 결합체와 함께 회전시키며, 베이스부와 이동부가 최소 거리에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구동 몸체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구동 회전체를 회전시킬 때, 구동 회전체는 회전되고, 구동 전달체는 이동되면서 이동 회전체 및 천공 회전체를 회전시키고, 이동 회전체는 베이스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 결합체와 함께 이동하여 이동부를 베이스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며, 천공 회전체는 천공부를 천공 결합체와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천공 회전체는 이동 회전체 및 구동 회전체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감지부는, 막대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의 상면 및 베이스부의 일측 부분에서 베이스부의 상면과 직교하면서 베이스부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위치되고, 상부 일측단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돌출되는 상부 돌기가 형성된 상부 베이스; 상부 베이스와 베이스부의 상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부 베이스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실린더 형태의 제어 구동체; 막대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 베이스 근처의 이동부의 하면에서 상부 베이스에 엇갈리면서 베이스부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상부 이동체; 및 상부 이동체의 하단 근처에서 상부 베이스의 일측단과 마주하도록 위치되고, 일면에는 상부 베이스를 향하도록 상부 스위치가 설치되는 상부 감지체를 포함하되, 베이스와 이동부가 최대 거리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상부 스위치는 상부 돌기에 접촉되고, 상부 감지체는 정지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감지부는, 막대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의 상면 및 베이스부의 타측 부분에서 베이스부의 상면과 직교하면서 베이스부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위치되고, 일측단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돌출되는 하부 돌기가 형성된 하부 베이스; 막대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 베이스 근처의 이동부의 하면에서 하부 베이스에 엇갈리면서 베이스부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하부 이동체; 및 하부 이동체의 하단 근처에서 하부 베이스의 일측단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일면에는 하부 베이스를 향하도록 하부 스위치가 설치되는 하부 감지체를 포함하되, 베이스와 이동부가 최대 거리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하부 이동체는 하부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되고, 이동부가 베이스부를 향하도록 이동되어 베이스와 이동부가 최소 거리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하부 스위치가 하부 돌기에 접촉되고, 하부 감지체는 전환 신호를 생성하고 구동부는 베이스부로부터 이동부를 이격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베이스의 상부 돌기는 하부 베이스의 하부 돌기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에는 천공부의 하면에 대응하도록 천공 개구가 형성되고, 천공부의 하면에는 천공부에 대응되도록 가이드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천공부의 내부에는 가이드 공간 주위를 따라 물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가이드 공간의 내주면에는 각각 저장 공간의 바닥면에 인접하면서 저장 공간에 연결되고 가이드 공간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된 복수 개의 배출홀이 형성되며, 천공부는, 천공부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되고, 종이 문서를 절단할 수 있는 천공날; 천공날에서 상호 간에 이격되면서 마주하도록 위치되고, 종이 문서를 감지할 수 있는 한 쌍의 가이드 센서; 천공부의 내부에서 저장 공간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호 간에 이격되면서 마주하도록 위치되고, 각각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단 부분이 저장 공간에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 실린더; 저장 공간의 내부에서 가이드 공간의 둘레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저장 공간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실린더에 연결되어 가이드 실린더에 의해 저장 공간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 부재; 및 각각 자성을 갖고, 배출홀에 대응하도록 가이드 공간의 내주면에 힌지 연결되어 배출홀을 개폐하도록 회동가능하고, 내측면에 배출홀에 대응되는 결합 돌기가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개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의 상면에 종이 문서가 위치된 상태에서, 천공부는 베이스부로부터 이격되어 베이스부의 상측에 위치되고, 가이드 부재는 가이드 실린더에 의해 저장 공간의 상부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저장 공간은 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설정치 이하의 내부 압력을 가지며, 개폐 부재는 가이드 공간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부착되고 결합 돌기는 배출홀에 삽입되며, 천공부가 이동부와 함께 베이스부를 향하도록 이동하여, 천공날이 베이스부의 상면에 위치된 종이 문서에 접촉될 때, 가이드 센서는 종이 문서를 감지하여 가이드 신호를 생성하고, 가이드 실린더는 설정 시간 동안 가이드 부재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저장 공간의 내부 압력을 설정치보다 높도록 증가시켜, 물은 배출홀을 통과하면서 개폐 부재를 가이드 공간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가이드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천공기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천공기가 천공하고자 하는 종이 문서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2) 천공기의 작동을 위한 동력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기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기의 작동에 따른 상부 감지부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기의 작동에 따른 하부 감지부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기에서 변형된 형태의 천공부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기(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기(1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기(100)의 작동에 따른 상부 감지부(105)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기(100)의 작동에 따른 하부 감지부(106)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기 (100)는 베이스부(101), 이동부(102), 구동부(103), 천공부(104), 상부 감지부(105) 및 하부 감지부(106)를 포함하고, 종이 문서에 구멍을 형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102)에는 베이스부(101)의 일부까지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미도시 됨)가 설치될 수도 있다.
베이스부(101)는 책상, 테이블, 지면 등과 같이 평평한 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01)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평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어 평평한 면과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1)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베이스부(101)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지지 몸체(111)가 형성될 수 있고, 지지 몸체(111)는 베이스부(101)를 평평한 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동부(102)는 베이스부(101)에 대응하도록 베이스부(10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02)는 베이스부(101)에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평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어 베이스부(101)와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02)는 베이스부(101)와 같이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동부(103)는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에 위치되어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를 연결할 수 있고, 이동부(102)를 베이스부(101)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이동부(102)는 구동부(103)에 의해 베이스부(101)를 향하도록 이동되거나 베이스부(101)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03)는 구동 가이드(131), 이동 결합체(132), 구동 몸체(133), 이동 회전체(134), 구동 회전체(135), 천공 결합체(136), 천공 회전체(137) 및 구동 전달체(138)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가이드(131)는 베이스부(101)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동부(102)를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 가이드(131)의 상단 부분은 이동부(102)를 관통한 상태에서 구동 가이드(131)의 하단 부분에서 회전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구동 가이드(131)는 가이드 몸체(131a) 및 가이드 회전체(131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몸체(131a)는 베이스부(101)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몸체(131a)는 이동부(102)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 회전체(131b)는 원형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 상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회전체(131b)는 가이드 몸체(131a)의 상면에 삽입되어 가이드 몸체(131a)에 나사결합될 수 있고, 가이드 몸체(131a)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회전체(131b)는 구동 가이드(131)의 중앙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동 결합체(132)는 구동 가이드(131)에 대응하도록 이동부(102)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결합체(132)는 이동부(102)의 하면에 접촉되고, 구동 가이드(131)의 상단 부분은 이동 결합체(132)를 관통하여 이동 결합체(13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구동 가이드(131)의 가이드 회전체(131b)는 이동 결합체(132)를 관통하여 이동 결합체(132)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회전체(131b)가 회전될 때, 이동 결합체(132)는 가이드 회전체(131b)와 함께 회전되면서 가이드 몸체(131a)를 따라 이동하여 이동부(102)를 베이스부(10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 몸체(133)는 구동 가이드(131)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부(102)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몸체(133)는 이동부(102)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고,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몸체(133)는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모터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 회전체(134)는 구동 가이드(131)의 가이드 회전체(131b)의 상단에 고정되어 이동부(10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회전체(134)는 회전되어 가이드 회전체(131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동 회전체(134)는 평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회전체(131a)를 축으로 하여 가이드 회전체(131a)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구동 회전체(135)는 이동부(102)의 상측에 위치되어 구동 몸체(133)에 연결될 수 있고, 구동 몸체(133)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회전체(135)는 평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구동 회전체(135)의 중앙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즉, 구동 회전체(135)의 중앙에는 구동 몸체(133)가 연결될 수 있고, 구동 회전체(135)는 구동 몸체(133)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천공 결합체(136)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구동 가이드(131)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부(102)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천공 결합체(136)는 이동부(102)를 관통하여 이동부(102)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천공 결합체(136)는 구체적으로 후술될 천공부(104)와 결합될 수 있다. 천공부(104)는 천공 결합체(136)의 하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천공 결합체(13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천공 결합체(136)는 구동 가이드(131) 및 구동 몸체(133)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부(102)의 제 1 종단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천공 회전체(137)는 천공 결합체(136)에 결합되어 이동부(10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천공 회전체(137)는 이동부(10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천공 결합체(136)의 상면에 위치되어, 천공 결합체(13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천공 회전체(137)는 평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천공 결합체(136)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천공 회전체(137)는 이동 회전체(134) 및 구동 회전체(135)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구동 전달체(138)는 톱니를 갖는 벨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동 회전체(134), 구동 회전체(135) 및 천공 회전체(137)를 연결하면서 이동 회전체(134), 구동 회전체(135) 및 천공 회전체(137)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구동 몸체(133)가 구동 회전체(135)를 회전시킬 때, 구동 회전체(135)는 구동 몸체(133)에 의해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구동 전달체(138)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 전달체(138)는 이동되어 이동 회전체(134) 및 천공 회전체(137)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동 회전체(134)는 구동 가이드(131)의 가이드 회전체(131a)를 회전시켜 이동 결합체(132)를 이동시켜 이동부(102)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천공 회전체(137)는 천공 결합체(136)를 회전시켜 천공부(10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부(103)는 다음과 같이 작동되어 이동부(102)를 베이스부(101)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102)가 베이스부(101)로부터 가장 이격된 상태에서, 구동 몸체(133)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구동 회전체(135)를 회전시킬 때, 구동 회전체(135)는 구동 몸체(133)에 의해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구동 전달체(138)는 이동되어 이동 회전체(134) 및 천공 회전체(137)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동 회전체(134)는 구동 가이드(131)의 가이드 회전체(131a)를 회전시켜 베이스부(101)를 향하도록 이동 결합체(132)와 함께 이동하여 이동부(102)를 베이스부(101)를 향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천공 회전체(137)는 천공 결합체(136)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이동부(102)가 베이스부(101)에 가장 근접한 상태에서, 구동 몸체(133)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구동 회전체(135)를 회전시킬 때, 구동 회전체(135)는 구동 몸체(133)에 의해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구동 전달체(138)는 이동되면서 이동 회전체(134) 및 천공 회전체(137)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동 회전체(134)는 구동 가이드(131)의 가이드 회전체(131a)를 회전시켜, 베이스부(101)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 결합체(132)와 함께 이동하여 이동부(102)를 베이스부(101)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천공 회전체(137)는 천공 결합체(13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천공부(104)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원형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구동부(103)를 통해 이동부(102)의 하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천공부(104)는 종이 문서에 천공부(104)의 하면에 대응되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이동부(102)가 베이스부(101)를 향하도록 이동될 때, 천공부(104)도 이동부(102)와 함께 베이스부(101)를 향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종이 문서가 베이스부(101)의 상면에 위치된 경우, 천공부(104)는 이동부(102)의 이동에 의해 종이 문서에 접촉되고 종이 문서를 가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이 문서에는 천공부(104)의 하면에 대응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감지부(105)는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에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의 일측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감지부(105)는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최대 거리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최대 거리에 대응되는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최대 거리는 이동부(102)가 베이스부(101)로부터 가장 이격될 수 있는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수직 방향에 따른 거리를 의미하고, 이동부(102)가 더 이상 베이스부(101)로부터 이격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동부(102)가 베이스부(101)로부터 가장 이격된 상태로 위치될 때, 천공부(104)도 베이스부(101)로부터 가장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상부 감지부(105)가 설정된 최대 거리에 대응되는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때, 상부 감지부(105)는 구동부(103)를 제어하여 이동부(102)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감지부(105)는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최대 거리를 변경하여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부 감지부(105)는 상부 베이스(151), 상부 이동체(153) 및 상부 감지체(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베이스(151)는 막대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101)의 상면 및 베이스부(101)의 일측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베이스(151)는 베이스부(101)의 상면과 직교하면서 베이스부(101)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베이스(151)는 이동부(102)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베이스(151)의 상부 일측단에는 상부 돌기(151a)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부 돌기(151a)는 상부 베이스(151)의 상단에 근접할수록 상부 일측단으로부터 점점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베이스(151)와 베이스부(101)의 상면 사이에는 제어 구동체(150)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 구동체(150)는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베이스(151)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돌기(151a)의 수직 방향에 따른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
상부 이동체(153)는 막대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이동부(102)의 하면에서 상부 베이스(151)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이동체(153)는 상부 베이스(151)에 엇갈리면서 베이스부(101)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가 최대 거리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때, 상부 이동체(153)의 하단은 상부 베이스(151)의 상부 돌기(151a)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부 감지체(155)는 상부 이동체(153)의 하단 근처에서 상부 베이스(151)의 일측단과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감지체(155)는 상부 돌기(151a)와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감지체(155)의 일면에는 상부 베이스(151)를 향하도록 상부 스위치(155a)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스위치(155a)는 상부 돌기(151a)에 접촉될 수 있다.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가 최대 거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이동부(102)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부 스위치(155a)는 상부 돌기(151a)에 접촉될 수 있다(도 3(a) 참조). 여기서, 구동부(103)가 이동부(102)를 베이스부(101)를 향하도록 이동시켜, 상부 스위치(155a)는 상부 돌기(151a)로부터 점점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부 돌기(151a)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도 3(b) 참조).
한편, 구동부(103)는 이동부(102)를 베이스부(101)를 향하도록 이동시켜 상부 스위치(155a)가 상부 돌기(151a)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다시 이동부(102)를 베이스부(101)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상부 스위치(155a)는 상부 돌기(151a)에 점점 근접하도록 위치되고, 상부 돌기(151a)에 접촉될 수 있다(도 3(a) 참조). 여기서, 상부 스위치(155a)는 상부 감지체(155)에 삽입되며, 상부 감지체(155)는 정지 신호를 생성하고 구동부(103)의 구동 몸체(133)에 전송할 수 있다. 구동 몸체(133)는 정지되어 이동부(102)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동부(102)는 더 이상 베이스부(101)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되지 않고 정지될 수 있고,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거리가 최대로 유지될 수 있다.
하부 감지부(106)는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에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의 일측 부분의 반대편인 타측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감지부(106)는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최소 거리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최소 거리에 대응되는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최소 거리는 이동부(102)가 베이스부(101)에 가장 근접할 수 있는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수직 방향에 따른 거리를 의미하고, 이동부(102)가 더 이상 베이스부(101)에 근접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동부(102)가 베이스부(101)에 가장 근접한 상태로 위치될 때, 천공부(104)는 베이스부(101)의 상면에 접촉되거나 베이스부(101)의 상면을 통과한 상태일 수 있다.
하부 감지부(106)가 설정된 최소 거리에 대응되는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때, 하부 감지부(106)는 구동부(103)를 제어하여 이동부(102)를 베이스부(101)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하부 감지부(106)는 하부 베이스(161), 하부 이동체(163) 및 하부 감지체(16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베이스(161)는 막대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101)의 상면 및 베이스부(101)의 타측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베이스(161)는 베이스부(101)의 상면과 직교하면서 베이스부(101)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베이스(161)는 이동부(102)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베이스(161)의 상부 일측단에는 하부 돌기(161a)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부 돌기(161a)는 하부 베이스(161)의 하측에 근접할수록 상부 일측단으로부터 점점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돌기(161a)는 상부 감지부(105)의 상부 베이스(151)의 상부 돌기(151a)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하부 이동체(163)는 막대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이동부(102)의 하면에서 하부 베이스(161)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이동체(163)는 하부 베이스(161)에 엇갈리면서 베이스부(101)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가 최대 거리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때, 하부 이동체(163)의 하단은 하부 베이스(161)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하부 감지체(165)는 하부 이동체(163)의 하단 근처에서 하부 베이스(161)의 일측단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감지체(165)의 일면에는 하부 베이스(161)를 향하도록 하부 스위치(165a)가 설치될 수 있다. 하부 스위치(165a)는 하부 돌기(161a)에 접촉될 수 있다.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가 최대 거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이동부(102)가 정지된 상태에서, 하부 이동체(163)는 하부 베이스(16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도 4(a) 참조). 여기서, 구동부(103)가 이동부(102)를 베이스부(101)를 향하도록 이동시켜, 하부 스위치(165a)는 하부 돌기(161a)로부터 점점 근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03)가 이동부(102)를 베이스부(101)를 향하도록 계속하여 이동시켜, 하부 스위치(165a)는 하부 돌기(161a)에 접촉될 수 있다(도 4(b) 참조). 여기서, 하부 스위치(165a)는 하부 감지체(165)에 삽입되고, 하부 감지체(165)는 전환 신호를 생성하고 구동부(103)의 구동 몸체(133)에 전송할 수 있다. 구동 몸체(133)는 이동부(102)를 베이스부(101)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부 스위치(155a)가 상부 돌기(151a)에 접촉될 때까지, 구동 몸체(133)는 이동부(102)를 베이스부(101)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상부 스위치(155a)가 상부 돌기(151a)에 접촉될 때, 구동 몸체(133)는 정지되어 이동부(102)를 더 이상 베이스부(101)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도 3(a) 및 도 4(a) 참조).
상기와 같이 구동부(103)가 이동부(102)를 베이스부(101)에 대하여 이동시킬 때, 상부 베이스(151)의 상부 돌기(151a)와 상부 감지체(155)의 상부 스위치(155a)의 접촉 지점과 하부 베이스(161)의 하부 돌기(161a)와 하부 감지체(165)의 하부 스위치(165a)의 접촉 지점 사이의 수직 방향에 따른 거리는 이동부(102)의 이동 범위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102)의 이동 범위는 천공부(104)의 하면과 베이스부(101)의 상면 사이의 수직 방향에 따른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부 베이스(151)는 제어 구동체(150)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부 돌기(151a)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감지체(155)의 상부 스위치(155a)가 상부 베이스(151)의 상부 돌기(151a)에 접촉되는 지점은 변경될 수 있고, 이동부(102)의 이동 범위도 변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천공하고자 하는 종이 문서의 두께를 고려하여, 상부 베이스(151)의 상부 돌기(151a)가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공하고자 하는 종이 문서의 두께가 50㎜일 때, 상부 돌기(151a)와 상부 스위치(155a)의 접촉 지점과 하부 돌기(161a)와 하부 스위치(165a)의 접촉 지점 사이의 수직 방향에 따른 거리는 55㎜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천공하고자 하는 종이 문서의 두께가 50㎜에서 35㎜로 감소될 때, 상부 베이스(151)는 제어 구동체(150)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부 돌기(151a)를 베이스부(101)를 향하도록 15㎜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돌기(151a)와 상부 스위치(155a)의 접촉 지점과 하부 돌기(161a)와 하부 스위치(165a)의 접촉 지점 사이의 수직 방향에 따른 거리는 40㎜일 수 있다. 한편, 천공하고자 하는 종이 문서의 두께가 50㎜에서 60㎜로 증가될 때, 상부 베이스(151)는 제어 구동체(15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부 돌기(151a)를 베이스부(101)로부터 이격되도록 10㎜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돌기(151a)와 상부 스위치(155a)의 접촉 지점과 하부 돌기(161a)와 하부 스위치(165a)의 접촉 지점 사이의 수직 방향에 따른 거리는 65㎜일 수 있다.
상부 베이스(151)의 이동에 의해, 천공하고자 하는 종이 문서의 두께를 고려하여 베이스부(101)에 대한 이동부(102)의 이동 범위는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공기(100)는 상하 방향으로 위치되는 베이스부(101) 및 이동부(102)를 구동부(103)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하고 이동부(102)를 베이스부(101)에 대하여 이동시켜 이동부(102)에 위치된 천공부(104)에 의해 베이스부(101)에 위치된 종이 문서를 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천공기(100)에서 상부 감지부(105)는 설정된 최대 거리에 대응되는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고, 하부 감지부(106)는 설정된 최대 거리에 대응되는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감지부(105)가 최대 거리에 대응되는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때, 구동부(103)는 이동부(102)를 정지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부(103)가 이동부(102)를 베이스부(101)를 향하도록 이동시켜, 하부 감지부(106)가 최소 거리에 대응되는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때, 구동부(103)는 이동부(102)를 베이스부(101)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감지부(105)가 최대 거리에 대응되는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때까지 구동부(103)는 이동부(102)를 베이스부(101)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킨 후에 정지시킬 수 있다. 즉, 이동부(102)는 베이스부(101)와의 최소 거리인 상태와 베이스부(101)와의 최대 거리인 상태 사이의 이동 범위에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상부 감지부(105)에서 상부 베이스(151)는 제어 구동체(150)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부 베이스(151)에 형성된 상부 돌기(151a)도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감지부(105)가 최대 거리에 대응되는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때, 상부 베이스(151)의 상부 돌기(151a)와 상부 감지체(155)의 상부 스위치(155a)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 돌기(151a)의 수직 방향 이동은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최대 거리를 변경할 수 있고, 상부 감지부(105)는 베이스부(101)와 이동부(102) 사이의 변경된 최대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이동부(102)의 이동 범위는 변경될 수 있되, 천공하고자 하는 두께를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천공기(100)는 천공하고자 하는 두께에 대응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 베이스부(101)에 대한 이동부(102)의 이동에 따른 불필요한 동력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공기(100)에서 변형된 천공부(104)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천공기(100)에서 천공부(104)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1)에는 천공부(104)의 하면에 대응되는 천공 개구(101a)가 형성될 수 있고, 천공부(104)는 천공 개구(101a)를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종이 문서에서 천공되어 종이 문서로부터 분리되는 부분은 천공 개구(101a)를 통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천공부(104)에는 가이드 공간(104a), 저장 공간(104b) 및 배출홀(104c)들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공간(104a)은 천공부(104)에 대응되는 형상(즉, 원형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천공부(104)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저장 공간(104b)은 천공부(104)의 내부 하단 부분에서 가이드 공간(104a) 주위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공간(104b)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다.
배출홀(104c)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가이드 공간(104a)의 내주면에서 가이드 공간(104a)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배출홀(104c)은 저장 공간(104b)에 연결되도록 저장 공간(104b)의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있다.
또한, 천공부(104)는 천공날(141), 가이드 센서(142), 가이드 실린더(143), 가이드 부재(144) 및 개폐 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천공날(141)은 천공부(104)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될 수 있고, 종이 문서에 접촉되어 종이 문서를 절단할 수 있다.
가이드 센서(142)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천공날(141)에서 상호 간에 이격되면서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종이 문서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천공날(141)이 종이 문서에 접촉될 때, 가이드 센서(142)는 감지된 종이 문서에 따른 가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실린더(14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천공부(104)의 내부에서 저장 공간(104b)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실린더(143)는 상호 간에 이격되면서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 실린더(143)의 각각은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단 부분이 저장 공간(104b)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신호는 가이드 센서(142)로부터 생성되어 가이드 실린더(143)에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실린더(143)는 설정 시간 동안 작동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4)는 가이드 공간(104a)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저장 공간(104b)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가이드 실린더(143)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144)는 저장 공간(104b)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실린더(143)는 가이드 부재(144)를 저장 공간(104b)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44)의 하측에는 저장 공간(104b)에 저장된 물이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4)가 가이드 실린더(143)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될 때, 가이드 부재(144)는 물을 가압하면서 저장 공간(104b)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개폐 부재(145)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배출홀(104c)에 대응하도록 가이드 공간(104a)의 내주면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부재(145)가 가이드 공간(104a)의 내주면에 접촉될 때 배출홀(104c)은 폐쇄될 수 있다. 또한, 개폐 부재(145)가 가이드 공간(104a)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이드 공간(104a)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될 때, 배출홀(104c)은 개방될 수 있고, 물은 저장 공간(104b)으로부터 배출홀(104c)을 통해 가이드 공간(104a)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천공부(104)는 자성에 작용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개폐 부재(145)는 자성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개폐 부재(145)는 자성의 작용을 통해 가이드 공간(104a)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개폐 부재(145)의 내측면에는 배출홀(104c)에 대응하도록 결합 돌기(145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부재(145)의 내측면은 개폐 부재(145)에서 가이드 공간(104a)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면을 의미하고, 결합 돌기(145a)는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개폐 부재(145)가 가이드 공간(104a)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배출홀(104c)을 폐쇄할 때, 결합 돌기(145a)는 배출홀(104c)에 삽입되어 배출홀(104c)을 밀폐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개폐 부재(145)가 배출홀(104c)을 폐쇄한 상태에서, 물은 결합 돌기(145a)에 의해 저장 공간(104b)으로부터 배출홀(104c)을 통해 누설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변형된 천공부(104)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베이스부(101)의 상면에 종이 문서가 위치된 상태에서, 천공부(104)는 베이스부(101)로부터 이격되어 베이스부(10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144)는 가이드 실린더(143)에 의해 저장 공간(104b)의 상부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저장 공간(104b)은 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설정치 이하의 내부 압력을 가질 수 있다. 개폐 부재(145)는 가이드 공간(104a)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결합 돌기(145a)는 배출홀(104c)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물은 저장 공간(104b)에 저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도 5(a) 참조).
천공부(104)가 이동부(102)와 함께 베이스부(101)를 향하도록 이동하여, 천공날(141)이 베이스부(101)의 상면에 위치된 종이 문서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센서(142)는 종이를 감지하여 가이드 신호를 생성하고, 가이드 실린더(143)는 설정 시간 동안 가이드 부재(144)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물이 가이드 부재(144)에 가압되어, 저장 공간(104b)의 내부 압력은 증가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4)가 설정 시간 동안 이동됨으로써, 저장 공간(104b)의 내부 압력은 설정치보다 높을 수 있다. 여기서, 물은 저장 공간(104b)으로부터 배출홀(104c)을 통과하면서 결합 돌기(145a)를 배출홀(104c)로부터 분리하고 개폐 부재(145)를 가이드 공간(104a)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물은 가이드 공간(104a)으로 배출되고 천공부(104)와 접촉된 종이 문서, 특히 가이드 공간(104a)에 대응되는 종이 문서의 부분에 유도될 수 있다. 즉, 물은 종이 문서가 천공되면서 제거될 부분에 유도되어, 천공부(104)에 대응되는 종이 문서의 부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변형된 천공부(104)는 부드럽게 종이를 천공할 수 있고, 종이의 천공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종이 분진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실린더(143)가 설정 시간 동안 가이드 부재(144)를 하측으로 이동시킨 이후에 가이드 부재(144)는 정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 공간(104b)의 내부 압력은 설정치 이하에 도달할 수 있고, 개폐 부재(145)는 가이드 공간(104a)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또한, 개폐 부재(145)는 자성을 갖기에 가이드 공간(104a)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부착되고, 결합 돌기(145a)는 배출홀(104c)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물은 저장 공간(104b)에 저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천공기
101: 베이스부
102: 이동부
103: 구동부
104: 천공부
105: 상부 감지부
106: 하부 감지부

Claims (10)

  1.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에 대응하도록 베이스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이동부;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에 위치되어 베이스부와 이동부를 연결하고, 이동부를 베이스부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구동부;
    각각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구동부를 통해 이동부의 하면에 위치되고, 문서를 천공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천공부;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에 위치되고,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의 최대 거리를 변경가능하도록 설정하고, 설정된 최대 거리에 대응되는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때 이동부를 정지시키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상부 감지부; 및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에 위치되고,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의 최소 거리를 설정하고, 설정된 최소 거리에 대응되는 베이스부와 이동부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때 이동부를 베이스부로부터 이격시키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하부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부 감지부는,
    막대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의 상면 및 베이스부의 일측 부분에서 베이스부의 상면과 직교하면서 베이스부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위치되고, 상부 일측단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돌출되는 상부 돌기가 형성된 상부 베이스;
    상부 베이스와 베이스부의 상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부 베이스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실린더 형태의 제어 구동체;
    막대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 베이스 근처의 이동부의 하면에서 상부 베이스에 엇갈리면서 베이스부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상부 이동체; 및
    상부 이동체의 하단 근처에서 상부 베이스의 일측단과 마주하도록 위치되고, 일면에는 상부 베이스를 향하도록 상부 스위치가 설치되는 상부 감지체를 포함하며,
    베이스와 이동부가 최대 거리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상부 스위치는 상부 돌기에 접촉되고, 상부 감지체는 정지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
  2. 제1항에 있어서, 구동부는,
    베이스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이동부를 관통하도록 위치되고, 상단 부분이 하단 부분에 대하여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구동 가이드;
    구동 가이드의 상단 부분에 관통되어 결합되고, 이동부의 하면에 접촉되는 이동 결합체;
    구동 가이드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부의 하면에 고정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몸체;
    평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구동 가이드의 상단에 고정되어 이동부의 상측에 위치되고, 구동 가이드의 상단 부분을 회전시키는 이동 회전체;
    평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이동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구동 몸체에 연결되고 구동 몸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회전체;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이동부를 관통하면서 이동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고, 하면에 천공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천공 결합체;
    평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이동부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천공 결합체의 상면에 위치되어, 천공 결합체와 함께 회전되는 천공 회전체; 및
    톱니를 갖는 벨트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이동 회전체, 구동 회전체 및 천공 회전체를 연결하면서 이동 회전체, 구동 회전체 및 천공 회전체와 맞물리는 구동 전달체를 포함하되,
    구동 몸체가 구동 회전체를 회전시킬 때, 구동 회전체는 구동 전달체를 이동시키면서 이동 회전체를 이동 가이드의 상단 부분 및 이동 결합체와 함께 회전시켜 이동부를 베이스부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
  3. 제2항에 있어서, 구동 가이드는,
    이동 결합체에 대응하도록 베이스부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어 고정되고, 이동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가이드 몸체; 및
    외주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가이드 몸체의 상면에 삽입되어 가이드 몸체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되고 이동 결합체를 관통하여 이동 결합체에 고정되는 가이드 회전체를 포함하되,
    이동 회전체는 가이드 회전체의 상단에 고정되고,
    이동 회전체가 회전될 때, 가이드 회전체 및 이동 결합체는 회전되면서 가이드 몸체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
  4. 제3항에 있어서,
    베이스와 이동부가 최대 거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구동 몸체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구동 회전체를 회전시킬 때, 구동 회전체는 회전되고, 구동 전달체는 이동되면서 이동 회전체 및 천공 회전체를 회전시켜, 이동 회전체는 베이스부를 향하도록 이동 결합체와 함께 이동하여 이동부를 베이스부를 향하도록 이동시키며, 천공 회전체는 천공부를 천공 결합체와 함께 회전시키며,
    베이스부와 이동부가 최소 거리에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구동 몸체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구동 회전체를 회전시킬 때, 구동 회전체는 회전되고, 구동 전달체는 이동되면서 이동 회전체 및 천공 회전체를 회전시키고, 이동 회전체는 베이스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 결합체와 함께 이동하여 이동부를 베이스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며, 천공 회전체는 천공부를 천공 결합체와 함께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
  5. 제2항에 있어서,
    천공 회전체는 이동 회전체 및 구동 회전체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하부 감지부는,
    막대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베이스부의 상면 및 베이스부의 타측 부분에서 베이스부의 상면과 직교하면서 베이스부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위치되고, 일측단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돌출되는 하부 돌기가 형성된 하부 베이스;
    막대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 베이스 근처의 이동부의 하면에서 하부 베이스에 엇갈리면서 베이스부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하부 이동체; 및
    하부 이동체의 하단 근처에서 하부 베이스의 일측단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일면에는 하부 베이스를 향하도록 하부 스위치가 설치되는 하부 감지체를 포함하되,
    베이스와 이동부가 최대 거리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하부 이동체는 하부 베이스의 상측에 위치되고,
    이동부가 베이스부를 향하도록 이동되어 베이스와 이동부가 최소 거리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하부 스위치가 하부 돌기에 접촉되고, 하부 감지체는 전환 신호를 생성하고 구동부는 베이스부로부터 이동부를 이격시키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부 베이스의 상부 돌기는 하부 베이스의 하부 돌기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
  9. 삭제
  10. 삭제
KR1020220005268A 2022-01-13 2022-01-13 천공기 KR102564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268A KR102564914B1 (ko) 2022-01-13 2022-01-13 천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268A KR102564914B1 (ko) 2022-01-13 2022-01-13 천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381A KR20230109381A (ko) 2023-07-20
KR102564914B1 true KR102564914B1 (ko) 2023-08-07

Family

ID=8742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268A KR102564914B1 (ko) 2022-01-13 2022-01-13 천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9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796Y1 (ko) * 2004-03-30 2004-07-01 (주) 에스케이피씨엔씨 펀칭기의 펀치위치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935B1 (ko) * 2002-05-03 2005-04-07 주식회사 메리트 감속장치를 갖는 천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796Y1 (ko) * 2004-03-30 2004-07-01 (주) 에스케이피씨엔씨 펀칭기의 펀치위치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381A (ko)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237B1 (ko) 테두리 장식을 위한 펀칭장치
WO2006119896A3 (de) Sicherheitspapi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102564914B1 (ko) 천공기
KR100627663B1 (ko)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와 천공제본기
KR20230109380A (ko) 천공기
KR102656877B1 (ko) 자동 급지가 가능한 인증 천공기
NO145749B (no) Maskin til makulering av en stabel banknoter.
KR102214187B1 (ko) 펀칭유닛을 구비한 종이컷팅장치
KR102204266B1 (ko) 복합천공기
KR102394144B1 (ko) 상이한 직경의 구멍을 형성하는 인증 천공기
KR102418812B1 (ko) 천공할 기호를 변경할 수 있는 인증 천공기
KR101966192B1 (ko) 사무용 펀치
KR100627660B1 (ko) 동시 2공 천공기의 종이 자동압축 고정장치
KR100446802B1 (ko) 천공장치
KR101404483B1 (ko) 천공용 펀치
KR200250274Y1 (ko) 사무용 펀치
KR20100118089A (ko) 문서 천공 구조를 가지는 바인더
JPH0639459A (ja) パンチツール
KR200391288Y1 (ko) 펀치를 갖는 전동식 스테이플러
KR890000879Y1 (ko) 자동 인증기의 천공장치
KR200176358Y1 (ko) 인쇄물의 자동천공장치
KR200389767Y1 (ko) 사무용 펀치
KR950006181Y1 (ko) 천공식 투표기의 회전날 투표용구
KR200389773Y1 (ko) 사무용 펀치
KR100787491B1 (ko) 바인더용 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