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213B1 - 전자 팽창 밸브 - Google Patents

전자 팽창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213B1
KR102418213B1 KR1020227002807A KR20227002807A KR102418213B1 KR 102418213 B1 KR102418213 B1 KR 102418213B1 KR 1020227002807 A KR1020227002807 A KR 1020227002807A KR 20227002807 A KR20227002807 A KR 20227002807A KR 102418213 B1 KR102418213 B1 KR 102418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guide sleeve
housing
pipe memb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913A (ko
Inventor
사오쥔 짠
쯔치앙 디
구이강 펑
Original Assignee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1636034.4U external-priority patent/CN21092026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0927066.8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576769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1637697.8U external-priority patent/CN210920141U/zh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14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25B41/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by rotary motors, e.g. by stepp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7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전자 팽창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전자 팽창 밸브는 하우징(10); 하우징(10) 내에 설치된 가이드 슬리브(20)와 스크류 로드(50); 하우징(10)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자(40) - 회전자(40)는 스크류 로드(50)와 구동 연결됨 - ; 및 하우징(10)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밸브 니들 어셈블리(60) - 스크류 로드(50)의 일단은 밸브 니들 어셈블리(60)와 연결되어 스크류 로드(50)를 통해 밸브 니들 어셈블리(6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함 - 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의 내벽과 가이드 슬리브(20)의 외벽 사이에는 서로 연통되는 가이드 구간 및 가압 조립 구간이 설치되고, 가이드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 사이의 거리는 가압 조립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하우징(10)의 내벽과 가이드 슬리브(20)의 외벽 사이에는 용접 링홈(213)이 더 설치되고, 용접 링홈(213)은 가이드 구간과 연통된다. 상기 전자 팽창 밸브는 종래 기술의 낮은 동축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팽창 밸브
본 출원은 전자 팽창 밸브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팽창 밸브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 팽창 밸브는 하우징 및 가이드 슬리브를 포함하며, 가이드 슬리브는 하우징 내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전자 팽창 밸브는 각각 제1 파이프 부재 및 제2 파이프 부재와 연결되며, 전자 팽창 밸브를 이용하여 제1 파이프 부재 및 제2 파이프 부재의 연통 상황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 팽창 밸브와 제1 파이프 부재 및 제2 파이프 부재를 조립할 때, 먼저 제1 파이프 부재 및 제2 파이프 부재를 노내납땜(furnace brazing) 방식으로 하우징 상에 용접한 후, 가이드 슬리브를 하우징 내에 가압 조립한다. 가이드 슬리브와 하우징의 기존 구조는 노내납땜의 용접 공정 요건을 충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레이저 용접 방식을 통해서만 가이드 슬리브를 하우징 상에 고정하여 조립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 제1 파이프 부재 및 제2 파이프 부재를 하우징 상에 용접한 후, 다시 가이드 슬리브를 하우징 내에 가압 조립할 때, 제1 파이프 부재 및 제2 파이프 부재는 가이드 슬리브의 가압 조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슬리브와 밸브 시트는 레이저 용접을 수행할 때, 한 변이 뒤틀리는 상황이 발생하기 쉬워 가이드 슬리브와 하우징의 동축도를 보장하기 어렵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동축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은 종래 기술에서 동축도가 낮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 팽창 밸브를 제공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전자 팽창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팽창 밸브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설치된 가이드 슬리브;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자; 하우징 내에 설치된 스크류 로드 - 회전자는 스크류 로드와 구동 연결됨 - ; 및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밸브 니들 어셈블리 - 스크류 로드의 일단은 밸브 니들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스크류 로드를 통해 밸브 니들 어셈블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함 - 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하우징의 내벽과 가이드 슬리브의 외벽 사이에는 서로 연통되는 가이드 구간 및 가압 조립 구간이 설치되고, 가이드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와 하우징 사이의 거리는 가압 조립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와 하우징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하우징의 내벽과 가이드 슬리브의 외벽 사이에는 용접 링홈이 더 설치되고, 용접 링홈은 가이드 구간과 연통된다.
또한 하우징은 슬리브 및 밸브 시트를 포함한다. 가이드 슬리브는 밸브 시트 내에 설치되고, 가이드 구간과 가압 조립 구간은 가이드 슬리브와 밸브 시트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밸브 시트는 장착 홀을 구비한다. 가이드 슬리브는 장착 홀 내에 설치된다. 장착 홀은 서로 연결된 제1구간 및 제2구간을 구비한다. 제1구간의 내벽은 가이드 슬리브와 매칭되어 가이드 구간을 형성한다. 제2구간의 내벽은 가이드 슬리브와 매칭되어 가압 조립 구간을 형성한다.
또한 가이드 슬리브 상에는 장착 보스가 설치된다. 장착 보스는 가이드 슬리브의 측벽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다. 장착 보스의 측벽과 장착 홀의 내벽 사이에는 가이드 구간 및 가압 조립 구간이 형성된다.
또한 장착 보스는 제3구간 및 제4구간을 포함한다. 제3구간은 제1구간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제4구간은 제2구간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장착 보스 상에는 용접 링홈이 설치되고, 용접 링홈은 제3구간과 제4구간 사이에 위치한다. 용접 링홈은 장착 보스의 측벽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장착 홀 내에는 위치제한 보스가 설치된다. 위치제한 보스는 제2구간의 제1구간에서 먼 일측에 위치한다. 위치제한 보스는 장착 보스와 매칭되어, 가이드 슬리브의 밸브 시트에 대한 변위를 제한한다.
또한 전자 팽창 밸브는 너트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 슬리브 상에는 너트 가이드 구간이 설치되고, 너트 어셈블리는 너트 가이드 구간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은 서로 연통된 유입홀과 유출홀을 구비한다. 밸브 니들 어셈블리는 가이드 슬리브 내에 관통 설치되고, 밸브 니들 어셈블리는 유출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데 사용된다. 전자 팽창 밸브는 유입홀 내에 설치되고 부분적으로 하우징 내에 연장 진입되는 제1 파이프 부재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 슬리브와 제1 파이프 부재 사이에는 위치제한 구조가 설치되고, 위치제한 구조는 제1 파이프 부재가 하우징으로 연장 진입되는 길이 치수를 제한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가이드 슬리브 상에는 위치제한 보스가 설치되고, 위치제한 보스는 제1 파이프 부재의 단면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위치제한 보스는 가이드 슬리브의 원주 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 슬리브는 직선 구간을 구비한다. 위치제한 보스는 직선 구간의 상방에 위치하며, 직선 구간의 횡단면 치수는 위치제한 보스의 횡단면 치수보다 작다. 직선 구간과 제1 파이프 부재의 단면 사이에는 간격이 있다.
또한 제1 파이프 부재와 가이드 슬리브 사이에는 유동 안내 구조가 설치되고, 유동 안내 구조는 용접재료를 유통시키는 데 사용된다.
또한 제1 파이프 부재의 하우징으로 연장 진입되는 단면 상에는 유동 안내홈이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은 서로 연결된 슬리브 및 밸브 시트를 포함한다. 밸브 시트는 본체 및 장착 보스를 포함한다. 장착 보스는 본체의 슬리브에서 먼 일단에 설치되고, 장착 보스 상에는 밸브 포트가 설치된다. 전자 팽창 밸브는 장착 보스를 씌우도록 설치된 제2 파이프 부재를 더 포함한다. 제2 파이프 부재의 내벽과 장착 보스의 외측벽 사이에는 용접 링 수용부가 설치된다. 용접 링 수용부는 용접 링을 거치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용접 링 수용부는 장착 보스 상에 설치된다.
또한 장착 보스의 외측벽 상에는 수용홈이 설치된다. 수용홈은 장착 보스의 원주 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설치된다. 수용홈은 용접 링 수용부를 형성한다.
또한 수용홈은 장착 보스의 본체에서 먼 일단에 위치한다.
또한 제2 파이프 부재와 장착 보스 사이에는 유동 안내 구조가 설치되고, 유동 안내 구조는 용접재료를 유통시키는 데 사용된다.
또한 제2 파이프 부재의 내벽 상에는 유동 안내홈이 설치된다.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을 적용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 팽창 밸브는 하우징, 가이드 슬리브, 회전자, 스크류 로드 및 밸브 니들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가이드 슬리브는 하우징 내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하우징의 내벽과 가이드 슬리브의 외벽 사이에는 서로 연통되는 가이드 구간 및 가압 조립 구간이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와 하우징 사이의 거리는 가압 조립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와 하우징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가이드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와 하우징 사이에 갭이 존재하고, 하우징의 내벽과 가이드 슬리브의 외벽 사이에 용접 링홈이 더 설치되며, 용접 링홈은 가이드 구간과 연통되어 노내납땜의 용접 공정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노내납땜의 방식을 통해 가이드 슬리브, 제1 파이프 부재 및 제2 파이프 부재를 일체 노내납땜 방식으로 하우징 상에 용접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채택하면 가이드 슬리브가 일체 노내납땜 방식에 의해 하우징 상에 용접되고, 제1 파이프 부재와 제2 파이프 부재가 가이드 슬리브의 가압 조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가이드 슬리브와 하우징의 동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명세서 첨부 도면은 본 출원의 추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 및 그에 대한 설명은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본 출원을 제한하지 않는다. 첨부 도면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밸브 시트와 가이드 슬리브를 가압 조립한 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가이드 슬리브를 밸브 시트에 넣을 때 가이드 구간이 가이드 슬리브를 안내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A지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가이드 슬리브를 가압 조립 구간에 가압 조립한 후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B지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가이드 슬리브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1에서 밸브 시트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제1 파이프 부재와 밸브 시트의 조립도이다.
도 11은 도 9에서 가이드 슬리브의 구조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구조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제2 파이프 부재와 밸브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서 가이드 슬리브와 밸브 시트의 조립도이다.
도 15는 도 12에서 가이드 슬리브와 밸브 시트의 또 다른 조립도이다.
도 16은 도 12에서 제2 파이프 부재와 밸브 시트의 조립도이다.
도 17은 도 12에서 제1 파이프 부재와 밸브 시트의 조립도이다.
여기에서 상기 첨부 도면에는 하기의 참조 번호가 포함된다.
10은 하우징, 11은 슬리브, 12는 밸브 시트, 121은 장착 홀, 121a는 제1구간, 121b는 제2구간, 121c는 위치제한 보스, 122는 본체, 123은 장착 보스, 123a은 수용홈, 20은 가이드 슬리브, 21은 장착 보스, 211은 제3구간, 212는 제4구간, 213은 용접 링홈, 22는 너트 가이드 구간, 23은 위치제한 보스, 24는 직선 구간, 30은 너트 어셈블리, 40은 회전자, 50은 스크류 로드, 60은 밸브 니들 어셈블리, 70은 제1 파이프 부재, 80은 위치제한 구조, 90은 제2 파이프 부재, 100은 용접 링 수용부, 110은 용접 링이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 실시예의 도면을 참고하여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물론,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 실시예일 뿐이다. 이하에서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출원 및 그 응용 또는 사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작업 없이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 1은 전자 팽창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팽창 밸브는 하우징(10), 가이드 슬리브(20), 회전자(40), 스크류 로드(50) 및 밸브 니들 어셈블리(6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가이드 슬리브(20)와 스크류 로드(50)는 모두 하우징(10) 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회전자(40)는 하우징(10)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전자(40)는 스크류 로드(50)와 구동 연결된다. 여기에서 밸브 니들 어셈블리(60)는 하우징(10)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스크류 로드(50)의 일단과 밸브 니들 어셈블리(60)를 연결함으로써, 스크류 로드(50)를 통해 밸브 니들 어셈블리(6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밸브 니들 어셈블리(60)를 이용하여 밸브 포트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우징(10)의 내벽과 가이드 슬리브(20)의 외벽 사이에는 서로 연통되는 가이드 구간 및 가압 조립 구간이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 사이의 거리는 가압 조립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하우징(10)의 내벽과 가이드 슬리브(20)의 외벽 사이에는 용접 링홈(213)이 더 설치되고, 용접 링홈(213)은 가이드 구간과 연통된다. 여기에서 용접 링홈(213)을 전부 가이드 구간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용접 링홈(213)을 일부는 가이드 구간 내에 설치하고, 일부는 가압 조립 구간 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용접 링홈(213)을 일부는 가이드 구간 내에 설치하고, 일부는 가압 조립 구간 내에 설치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용접재료가 충분히 틈을 채우도록 하여 용접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 사이의 거리가 가압 조립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은 하기의 세 가지 구조를 포함한다.
제1 구조의 경우, 하우징(10)의 일부 내벽의 내경을 확장함으로써, 하우징(10)의 내벽과 가이드 슬리브(20)의 외벽 사이에 가이드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다른 일부 내벽을 가이드 슬리브(20)의 외벽과 억지 끼워맞춤하여, 하우징(10)의 내벽과 가이드 슬리브(20)의 외벽 사이에 가압 조립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구조의 경우, 가이드 슬리브(20)의 일부 외벽의 일부의 외경을 축소함으로써, 가이드 슬리브(20)의 외벽과 하우징(10)의 내벽 사이에 가이드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슬리브(20)의 다른 일부 외벽을 하우징(10)의 내벽과 억지 끼워맞춤하여, 가이드 슬리브(20)의 외벽과 하우징(10)의 내벽 사이에 가압 조립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구조의 경우, 동시에 하우징(10)의 일부 내벽의 내경을 확장하고 가이드 슬리브(20)의 일부 외벽의 외경을 축소함으로써, 하우징(10)의 내벽과 가이드 슬리브(20)의 외벽 사이에 가이드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다른 일부 내벽을 가이드 슬리브(20)의 다른 일부 외벽과 억지 끼워맞춤하여, 하우징(10)의 내벽과 가이드 슬리브(20)의 외벽 사이에 가압 조립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구조를 채택하여 가이드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 사이의 거리가 가압 조립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 사이의 거리보다 크도록 만든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팽창 밸브를 적용하여 장치를 조립할 때 먼저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을 조립할 수 있다. 가이드 슬리브(20)를 하우징(10)에 가압 조립할 때, 가이드 구간은 가이드 슬리브(20)를 하우징(10)에 조립하여 넣기가 용이하도록 가이드 슬리브(20)의 위치를 결정하고 안내할 수 있다. 가압 조립 구간은 가이드 슬리브와 하우징의 가압 조립을 구현할 수 있다. 가압 조립을 완료한 후, 다시 제1 파이프 부재와 제2 파이프 부재를 각각 하우징(10)과 연결한다. 가이드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 사이에 갭이 존재하고, 하우징(10)의 내벽과 가이드 슬리브(20)의 외벽 사이에 용접 링홈(213)이 설치되며, 용접 링홈(213)은 가이드 구간과 연통되어 노내납땜의 용접 가공 요건을 충족시킨다. 따라서 노내납땜의 방식으로 통해 가이드 슬리브(20), 제1 파이프 부재 및 제2 파이프 부재를 일체 노내납땜 방식으로 하우징(10) 상에 용접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채택하면 가이드 슬리브(20)가 노내납땜 방식에 의해 하우징(10) 상에 용접되고, 제1 파이프 부재와 제2 파이프 부재가 가이드 슬리브(20)의 가압 조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의 동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용접은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비교적 높다. 따라서 일체 노내납땜의 방식으로 제1 파이프 부재, 제2 파이프 부재 및 가이드 슬리브(20)를 하우징(10) 상에 용접하면 가공 공정을 간소화하고 가공 비용을 낮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에서 레이저 용접의 방식을 채택하여 가이드 슬리브(20)를 하우징(10) 상에 용접할 때,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에 복수의 용접 이음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용접 공정 자체는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의 동축도를 보장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내납땜의 방식을 채택하여 가이드 슬리브(20)를 하우징(10) 상에 용접하며, 용접 공정은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의 동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장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전자 팽창 밸브의 밀봉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은 슬리브(11) 및 밸브 시트(12)를 포함한다. 가이드 슬리브(20)는 밸브 시트(12) 내에 설치된다. 가이드 구간과 가압 조립 구간은 가이드 슬리브(20)와 밸브 시트(12)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에서 제1 파이프 부재와 제2 파이프 부재는 모두 밸브 시트(12)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밸브 시트(12)는 장착 홀(121)을 구비한다. 가이드 슬리브(20)는 장착 홀(121) 내에 설치되며, 장착 홀(121)은 서로 연결된 제1구간(121a)과 제2구간(121b)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구간(121a)의 내벽은 가이드 슬리브(20)와 매칭되어 가이드 구간을 형성한다. 제2구간(121b)의 내벽은 가이드 슬리브(20)과 매칭되어 가압 조립 구간을 형성한다. 또한 제1구간(121a)은 제2구간(121b)의 상방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구간(121a)은 제2구간(121b)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구간(121a)의 공경은 제2구간(121b)의 공경보다 크다. 이를 통해 가이드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 사이의 거리가 가압 조립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 사이의 거리보다 크도록 만든다. 구체적으로 제1구간(121a)의 공경은 제2구간(121b)의 공경보다 0.02mm 내지 0.08mm 크다. 상술한 구조를 채택하면, 가이드 슬리브(20)와 제1구간(121a)의 거리는 0.01mm 내지 0.04mm이다. 가이드 슬리브(20)와 제2구간(121b)은 억지 끼워맞춤된다.
여기에서 가이드 슬리브(20) 상에는 장착 보스(21)가 설치되고, 장착 보스(21)는 가이드 슬리브(20)의 측벽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다. 장착 보스(21)의 측벽과 장착 홀(121)의 내벽 사이는 가이드 구간과 가압 조립 구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장착 보스(21)의 측벽과 장착 홀(121)의 제1구간(121a) 및 제2구간(121b)의 내벽 사이는 가이드 구간과 가압 조립 구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장착 보스(21)는 제3구간(211) 및 제4구간(212)을 포함한다. 제3구간(211)은 제1구간(121a)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며, 제4구간(212)은 제2구간(121b)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에서 제3구간(211)은 제4구간(212) 상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구간(211)의 횡단면 치수는 제4구간(212)의 횡단면 치수와 같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장착 보스(21) 상에는 용접 링홈(213)이 설치된다. 용접 링홈(213)은 제3구간(211)과 제4구간(212) 사이에 위치하며, 용접 링홈(213)은 장착 보스(21)의 측벽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용접 링홈(213)의 일단은 제3구간(211)과 연결되고, 용접 링홈(213)의 타단은 제4구간(212)과 연결된다. 상술한 구조를 채택하면, 노내납땜 방식을 이용하여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의 연결을 완료하기 용이하도록 용접 링홈(213)을 이용하여 용접 링을 거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장착 홀(121) 내에는 위치제한 보스(121c)가 설치되고, 위치제한 보스(121c)는 제2구간(121b)의 제1구간(121a)에서 먼 일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위치제한 보스(121c)의 일단은 제2구간(121b)과 연결된다. 위치제한 보스(121c)를 장착 보스(21)와 매칭시켜, 가이드 슬리브(20)의 밸브 시트(12)에 대한 변위를 제한함으로써, 가이드 슬리브(20)가 장착 홀(121) 내에 너무 깊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팽창 밸브는 너트 어셈블리(3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 슬리브(20) 상에는 너트 가이드 구간(22)이 설치되며, 너트 어셈블리(30)는 너트 가이드 구간(22)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너트 가이드 구간(22)은 장착 보스(21)와 연결되며, 장착 보스(21)의 상방에 위치한다.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의 용접을 완료한 후, 너트 어셈블리(30)를 가이드 슬리브(20)의 너트 가이드 구간(22) 상에 가압 조립할 수 있다. 가압 조립 과정에서 너트 가이드 구간(22)은 너트 어셈블리(30)에 대해 위치결정 및 안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장치의 조립 단계는 하기와 같다.
(1) 가이드 슬리브(20)를 밸브 시트(12) 내에 넣고, 가이드 슬리브(20)의 제4구간(212)과 밸브 시트(12)의 제1구간(121a)을 틈새 끼워맞춤함으로써, 가이드 슬리브(20)에 대해 위치결정 및 안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2) 가이드 슬리브(20)를 가압 조립하고, 장착 보스(21)의 하표면을 위치제한 보스(121c)의 단차면과 접촉시킨다. 가이드 슬리브(20)의 제4구간(212)과 밸브 시트(12)의 제2구간(121b)이 긴밀하게 조립된다. 이때, 가이드 슬리브(20)의 제3구간(211)과 밸브 시트(12)의 제1구간(121a) 사이에는 용접 링으로 한 변이 0.01mm 내지 0.04mm인 틈이 존재하며, 용접 링홈(213) 내에는 용접 링이 거치된다.
(3) 제1 파이프 부재와 제2 파이프 부재를 밸브 시트(12) 상에 조립하며, 일체 노내납땜 방식을 채택하여 제1 파이프 부재, 제2 파이프 부재 및 가이드 슬리브(20)를 밸브 시트(12)와 함께 용접한다.
본 출원 실시예 2는 전자 팽창 밸브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팽창 밸브는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3구간(211)의 횡단면 치수가 제4구간(212)의 횡단면 치수보다 작거나 크다는 차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제3구간(211)의 횡단면 치수는 제4구간(212)의 횡단면 치수보다 작다. 제3구간(211)과 장착 홀(121)의 내벽 사이에는 가이드 구간이 형성되고, 제4구간(212)과 장착 홀(121)의 내벽 사이에는 가압 조립 구간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가이드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 사이의 거리가 가압 조립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 사이의 거리보다 크도록 만든다. 본 실시예에서 제3구간(211)은 제4구간(212) 상방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3구간(211)이 제4구간(212)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구간(211)의 횡단면 치수가 제4구간(212)의 횡단면 치수보다 0.02mm 내지 0.08mm 작다. 상술한 구조를 채택하면, 장착 홀(121)의 내벽과 제3구간(211)의 거리는 0.01mm 내지 0.04mm이며, 장착 홀(121)의 내벽과 제4구간(212)은 억지 끼워맞춤된다. 여기에서 장착 홀(121)의 제1구간(121a)과 제2구간(121b)의 공경은 동일하다.
본 출원 실시예 3은 전자 팽창 밸브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팽창 밸브는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다음의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구간(121a)의 공경이 제2구간(121b)의 공경보다 크고, 제3구간(211)의 횡단면 치수가 제4구간(212)의 횡단면 치수보다 작다. 또한 제1구간(121a)의 내벽과 제3구간(211)의 외벽 사이는 가이드 구간을 형성하고, 제2구간(121b)의 내벽과 제4구간(212)의 외벽 사이는 가압 조립 구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가이드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 사이의 거리는 가압 조립 구간에 위치한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구간(121a)은 제2구간(121b)의 상방에 위치하고, 제3구간(211)은 제4구간(212) 상방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구간(121a)을 제2구간(121b)의 하방에 설치하고, 제3구간(211)을 제4구간(212)의 하방에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치를 통해 하기의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1) 가이드 슬리브(20)와 하우징(10)을 가압 조립할 때 가이드 구간을 통해 가이드 슬리브(20)의 위치를 결정하고 신속하게 용이하게 가압 조립을 수행할 수 있다.
(2) 가이드 슬리브(20)를 하우징(10) 내에 가압 조립한 후, 제1 파이프 부재와 제2 파이프 부재를 하우징(10) 상에 조립한다. 그 다음 일체 노내납땜 방식을 통해 제1 파이프 부재, 제2 파이프 부재 및 가이드 슬리브(20)가 조립된 하우징(10)을 용접한다. 이는 공정이 간단하고 안정적이며 가이드 슬리브와 밸브체 동축도를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일체 노내납땜 후, 가이드 구간을 통해 용접 품질을 관찰할 수 있다. 용접재료가 흘러내리는 경우 이는 용접 이음이 채워졌음을 의미하므로 용접 방법이 신뢰할 만하고 고효율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4) 노내납땜 방식을 채택하며 밸브 시트(12)와 가이드 슬리브(20)의 재질은 모두 sus303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둘의 시험 제작 난이도 및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밸브 시트(12)와 가이드 슬리브(20)는 레이저 용접 방식을 채택하여 용접을 수행한다. 따라서 강도가 더욱 높은 스테인리스강 재질을 사용해야 하므로 비용이 비교적 높다.
종래 기술의 전자 팽창 밸브는 하우징, 제1 파이프 부재 및 제2 파이프 부재를 포함한다. 하우징 상에는 서로 연통되는 유입홀과 유출홀이 설치된다. 제1 파이프 부재는 유입홀 내에 설치되며 부분적으로 하우징 내에 연장 진입된다. 냉매는 제1 파이프 부재를 통해 유입홀로부터 하우징 내로 진입하며, 제2 파이프 부재는 유출홀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제1 파이프 부재가 하우징에 연장 진입되는 길이 치수를 제한하기 위해, 제1 파이프 부재의 유입홀에 가까운 일단에 네킹(necking) 구간이 설치되며, 네킹 구간의 길이 치수를 제어함으로써, 제1 파이프 부재가 하우징에 연장 진입되는 길이 치수를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네킹 구간의 길이 치수를 보장하기 어렵고, 제1 파이프 부재의 하우징에 연장 진입되는 길이 치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다. 또한 제1 파이프 부재에 대한 네킹은 제1 파이프 부재의 유동 저항을 증가시켜 전자 팽창 밸브의 사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사용 요건을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즉, 하우징(10)은 서로 연통된 유입홀 및 유출홀을 구비한다. 밸브 니들 어셈블리(60)는 가이드 슬리브(20) 내에 관통 설치되고, 밸브 니들 어셈블리(60)는 유출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데 사용된다. 전자 팽창 밸브는 유입홀 내에 설치되며 하우징(10) 내로 연장 진입되는 제1 파이프 부재(7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 슬리브(20)와 제1 파이프 부재(70) 사이에는 위치제한 구조(80)가 설치된다. 위치제한 구조(80)는 제1 파이프 부재(70)가 하우징(10)으로 연장 진입되는 길이 치수를 제한하여 제1 파이프 부재(70)가 하우징(10) 내에 과도하게 연장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에서 위치제한 구조(80)는 가이드 슬리브(20) 상에 설치하거나, 제1 파이프 부재(70) 상에 설치하거나, 가이드 슬리브(20)와 제1 파이프 부재(70) 상에 동시에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팽창 밸브를 적용하면, 가이드 슬리브(20)와 제1 파이프 부재(70) 사이에 위치제한 구조(80)를 설치함으로써, 위치제한 구조(80)를 이용하여 제1 파이프 부재(70)가 하우징(10)으로 연장 진입되는 길이 치수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이프 부재(70)에 대해 네킹을 수행할 필요 없이, 위치제한 구조(80)를 이용하여 제1 파이프 부재(70)가 하우징(10)으로 연장 진입되는 길이 치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파이프 부재(70)의 유동 저항을 증가시키지 않고 나아가 사용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파이프 부재(70)는 네킹이 필요 없기 때문에 가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 슬리브(20) 상에는 위치제한 보스(23)가 설치된다. 위치제한 보스(23)는 제1 파이프 부재(70)의 단면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며, 위치제한 보스(23)는 위치제한 구조(80)를 형성한다. 제1 파이프 부재(70)가 하우징(10)으로 연장 진입되는 길이가 소정의 치수에 도달하면, 제1 파이프 부재(70)의 단면은 위치제한 보스(23)와 맞닿기 때문에, 위치제한 보스(23)를 이용해 제1 파이프 부재(70)가 하우징(10)에 대해 계속해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파이프 부재(70)의 단면에 위치제한 보스를 설치하여, 위치제한 보스가 제1 파이프 부재(70)의 단면보다 높게 만들어 동일하게 위치제한 작용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제한 보스(23)는 가이드 슬리브(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설치된다. 상술한 구조를 채택하면 가이드 슬리브(20)의 절삭(turning)량을 줄이고 가공 효율 및 절삭 공구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위치제한 보스(23)가 냉매 유동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제한 보스(23)는 제1 파이프 부재(70)의 축선 상방에 위치시킨다. 구체적으로 위치제한 보스(23)의 하단면은 제1 파이프 부재(70)의 축선 상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제한 보스(23)의 하단면은 제1 파이프 부재(70)의 내벽과 서로 가지런하다. 따라서 위치제한 보스(23)를 이용해 제1 파이프 부재(70)의 위치를 제한하는 동시에 냉매의 유통 능력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 슬리브(20)는 직선 구간(24)을 구비한다. 위치제한 보스(23)는 직선 구간(24)의 상방에 위치하며, 직선 구간(24)의 횡단면 치수는 위치제한 보스(23)의 횡단면 치수보다 작다. 구체적으로 직선 구간(24)과 제1 파이프 부재(70)의 단면 사이에는 간격이 있다. 따라서 가이드 슬리브(20)의 제1 파이프 부재(70)에 유입되는 냉매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키고 유통 능력을 더욱 강하게 만들 수 있다.
제1 파이프 부재(70)와 가이드 슬리브(20) 사이에서 용접재료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제1 파이프 부재(70)와 가이드 슬리브(20) 사이에는 유동 안내 구조가 설치된다. 유동 안내 구조는 용접재료를 유통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용접 효과를 향상시키고 용접 품질에 대한 검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파이프 부재(70)의 하우징(10)에 연장 진입되는 단면 상에는 유동 안내홈이 설치되며, 유동 안내홈은 유동 안내 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제1 파이프 부재(70)의 단면 상에는 엠보싱(embossing)이 설치되며, 엠보싱을 이용하여 용접재료의 유동을 안내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제1 파이프 부재에는 네킹 구조가 설치된다. 제1 파이프 부재와 하우징(10)을 용접할 때, 제1 파이프 부재의 외부에서만 용접재료의 유동 상황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용접 효과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파이프 부재(70)가 직선관이기 때문에 제1 파이프 부재(70)의 외부와 제1 파이프 부재(70)의 관 입구에서 동시에 용접재료의 유동 상황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용접 효과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은 슬리브(11) 및 밸브 시트(12)를 포함한다. 가이드 슬리브(20)는 밸브 시트(12) 내에 설치되며, 유입홀은 밸브 시트(12)의 측벽 상에 설치되고, 제1 파이프 부재(70)는 밸브 시트(12) 상에 관통 설치된다. 여기에서 유출홀도 밸브 시트(12) 상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출홀은 밸브 포트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일체 노내납땜 방식을 통해 제1 파이프 부재(70)와 하우징(10)을 용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치를 통해 하기의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1) 가이드 슬리브(20) 상에 위치제한 보스(23)를 설치함으로써, 위치제한 보스(23)를 이용하여 제1 파이프 부재(70)의 하우징(10)으로 연장 진입되는 길이 치수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이프 부재(70)에 대해 네킹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제1 파이프 부재는 네킹이 필요 없기 때문에 유동 저항을 낮추고 유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가이드 슬리브(20)의 절삭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가공 효율을 향상시키고 절삭 공구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4) 가이드 슬리브(20)의 위치제한 보스(23)와 직선 구간(24)은 직경 차이가 존재하므로, 가이드 슬리브(20)의 제1 파이프 부재(70)에 유입되는 냉매에 대한 저항을 낮추고 나아가 유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동시에 제1 파이프 부재(70)의 외부와 제1 파이프 부재(70)의 관 입구에서 용접재료의 유동 상황을 관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용접 효과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제2 파이프 부재와 하우징을 연결하기 위해, 먼저 제2 파이프 부재를 장착 보스에 씌워 설치한 후, 제2 파이프 부재의 외측에 용접 링을 씌워 설치하고, 용접 방식으로 연결을 완료한다. 용접 수행 시 제2 파이프 부재의 용접단에서 먼 관 입구를 통해 용접 품질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작업자가 용접단에서 먼 관 입구로 용접단의 용접 품질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웠다. 또한 제2 파이프 부재가 곡관일 경우 작업자는 용접 품질을 검출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용접 품질을 검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다음의 차이점이 있다. 즉, 하우징(10)은 서로 연결된 슬리브(11) 및 밸브 시트(12)를 포함한다. 밸브 시트(12)는 본체(122) 및 장착 보스(123)를 포함한다. 장착 보스(123)는 본체(122)의 슬리브(11)에서 먼 일단에 설치되며, 장착 보스(123) 상에는 밸브 포트가 설치된다. 전자 팽창 밸브는 장착 보스(123)를 씌우도록 설치된 제2 파이프 부재(90)를 더 포함한다. 제2 파이프 부재(90)의 내벽과 장착 보스(123)의 외측벽 사이에는 용접 링 수용부(100)가 설치된다. 용접 링 수용부(100)는 용접 링(110)을 거치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에서 용접 링 수용부(100)는 제2 파이프 부재(90)의 내벽 상에 설치되거나, 장착 보스(123)의 외측벽 상에 설치되거나, 동시에 제2 파이프 부재(90)의 내벽과 장착 보스(123)의 외측벽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팽창 밸브를 적용하면, 용접 링(110)이 제2 파이프 부재(90)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제2 파이프 부재(90)를 용접할 때 제2 파이프 부재(90) 외부에서 용접재료가 제2 파이프 부재(90)와 밸브 시트(12) 사이에서 누설되는지 여부를 관찰할 수 있다. 즉, 용접 품질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작업자가 검출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용접 품질의 판단은 제2 파이프 부재(90)의 관 형상에 제한 받지 않으므로 곡관에 대한 판단에 사용할 수 있다. 용접 후 제2 파이프 부재(90)의 외부에 축적되는 용접재료가 비교적 적어 후속 장치의 위치결정 및 가압 조립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용접 링 수용부(100)는 장착 보스(123) 상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용접 링 수용부(100)는 장착 보스(123)의 중간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장착 보스(123)의 양단에 설치될 수도 있다. 용접 링 수용부(100)를 장착 보스(123) 상에 설치함으로써, 용접 링 수용부(100)를 용이하게 가공하고 가공 비용을 낮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 보스(123)의 외측벽 상에 수용홈(123a)이 설치된다. 수용홈(123a)은 장착 보스(123)의 원주 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설치된다. 수용홈(123a) 용접 링 수용부(100)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수용홈(123a)은 장착 보스(123)의 중간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장착 보스(123)의 양단에 설치될 수도 있고, 수용홈(123a) 설치는 가공을 용이하게 만드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용홈(123a)은 장착 보스(123)의 본체(122)에서 먼 일단에 위치한다. 상술한 구조를 채택하면, 장착 보스(123)의 본체(122)에서 먼 일단을 절삭하기만 하면 수용홈(123a)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 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고 용접 링(110)을 거치하기가 용이하다.
제2 파이프 부재(90)와 장착 보스(123) 사이에서 용접재료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제2 파이프 부재(90)와 장착 보스(123) 사이에는 유동 안내 구조가 설치된다. 유동 안내 구조는 용접재료를 유통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용접 효과를 향상시키고 용접 품질에 대한 검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파이프 부재(90)의 내벽 상에는 유동 안내홈이 설치되며, 유동 안내홈은 유동 안내 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제2 파이프 부재(90)의 단면 상에는 엠보싱이 설치되며, 엠보싱을 이용하여 용접재료의 유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치를 통해 하기의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1) 제2 파이프 부재(90)와 하우징(10)의 용접이 완료된 후, 제2 파이프 부재(90) 외부에서 제2 파이프 부재(90)와 밸브 시트(12)의 연결 지점을 관찰할 수 있다. 해당 부분에 용접재료가 있는 경우 용접재료가 제2 파이프 부재(90)와 밸브 시트(12)를 통과하여 용접이 완료되었음을 의미한다.
(2) 용접 품질의 판단은 제2 파이프 부재(90) 형상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곡관의 판단에 사용할 수 있다.
(3) 제2 파이프 부재(90)와 하우징(10)의 용접이 완료된 후, 제2 파이프 부재(90)와 밸브 시트(12)가 연결된 외벽 지점에 축적되는 용접재료가 비교적 적다. 따라서 후속 장치의 위치결정 및 가압 조립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4) 축적된 용접재료가 감소하므로 용접재료의 용량을 줄일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출원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정신과 원칙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팽창 밸브에 있어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에 설치된 가이드 슬리브(20);
    상기 하우징(10)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자(40);
    상기 하우징(10) 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자(40)와 구동 연결되는 스크류 로드(50); 및
    상기 하우징(10)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밸브 니들 어셈블리(6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로드(50)의 일단은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60)와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 로드(50)를 통해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6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벽과 상기 가이드 슬리브(20)의 외벽 사이에는 서로 연통되는 가이드 구간 및 가압 조립 구간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구간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 슬리브(20)와 상기 하우징(10)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가압 조립 구간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 슬리브(20)와 상기 하우징(10) 사이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벽과 상기 가이드 슬리브(20)의 외벽 사이에는 용접 링홈(213)이 더 설치되고, 상기 용접 링홈(213)은 상기 가이드 구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슬리브(11) 및 밸브 시트(12)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20)는 상기 밸브 시트(12) 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구간과 상기 가압 조립 구간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20)와 상기 밸브 시트(12)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12)는 장착 홀(121)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20)는 상기 장착 홀(121) 내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 홀(121)은 서로 연결된 제1구간(121a) 및 제2구간(121b)을 구비하고, 상기 제1구간(121a)의 내벽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20)와 매칭되어 상기 가이드 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구간(121b)의 내벽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20)와 매칭되어 상기 가압 조립 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20) 상에는 장착 보스(21)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 보스(21)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20)의 측벽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장착 보스(21)의 측벽과 상기 장착 홀(121)의 내벽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 구간 및 상기 가압 조립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보스(21)는 제3구간(211) 및 제4구간(212)을 포함하고, 상기 제3구간(211)은 상기 제1구간(121a)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4구간(212)은 상기 제2구간(121b)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보스(21) 상에는 용접 링홈(213)이 설치되고, 상기 용접 링홈(213)은 상기 제3구간(211)과 상기 제4구간(21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용접 링홈(213)은 상기 장착 보스(21)의 측벽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홀(121) 내에는 위치제한 보스(121c)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 보스(121c)는 상기 제2구간(121b)의 상기 제1구간(121a)에서 먼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위치제한 보스(121c)는 상기 장착 보스(21)와 매칭되어, 상기 가이드 슬리브(20)의 상기 밸브 시트(12)에 대한 변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팽창 밸브는 너트 어셈블리(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20) 상에는 너트 가이드 구간(22)이 설치되고, 상기 너트 어셈블리(30)는 상기 너트 가이드 구간(22)을 씌우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서로 연통된 유입홀과 유출홀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60)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20) 내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60)는 상기 유출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전자 팽창 밸브는,
    상기 유입홀 내에 설치되고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10) 내에 연장 진입되는 제1 파이프 부재(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20)와 상기 제1 파이프 부재(70) 사이에는 위치제한 구조(80)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 구조(80)는 상기 제1 파이프 부재(70)가 상기 하우징(10)으로 연장 진입되는 길이 치수를 제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20) 상에는 위치제한 보스(23)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 보스(23)는 상기 제1 파이프 부재(70)의 단면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 보스(23)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20)는 직선 구간(24)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제한 보스(23)는 상기 직선 구간(24)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직선 구간(24)의 횡단면 치수는 상기 위치제한 보스(23)의 횡단면 치수보다 작고, 상기 직선 구간(24)과 상기 제1 파이프 부재(70)의 단면 사이에 간격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부재(70)와 상기 가이드 슬리브(20) 사이에는 유동 안내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유동 안내 구조는 용접재료를 유통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부재(70)의 상기 하우징(10)으로 연장 진입되는 단면 상에는 유동 안내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서로 연결된 슬리브(11) 및 밸브 시트(12)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시트(12)는 본체(122) 및 장착 보스(123)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보스(123)는 상기 본체(122)의 상기 슬리브(11)에서 먼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 보스(123) 상에는 밸브 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는,
    상기 장착 보스(123)를 씌우도록 설치된 제2 파이프 부재(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 부재(90)의 내벽과 상기 장착 보스(123)의 외측벽 사이에는 용접 링 수용부(100)가 설치되고, 상기 용접 링 수용부(100)는 용접 링(110)을 거치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링 수용부(100)는 상기 장착 보스(123)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보스(123)의 외측벽 상에는 수용홈(123a)이 설치되고, 상기 수용홈(123a)은 상기 장착 보스(123)의 원주 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용홈(123a)은 상기 용접 링 수용부(10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123a)은 상기 장착 보스(123)의 상기 본체(122)에서 먼 일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이프 부재(90)와 상기 장착 보스(123) 사이에는 유동 안내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유동 안내 구조는 용접재료를 유통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이프 부재(90)의 내벽 상에는 유동 안내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2807A 2019-09-27 2020-04-23 전자 팽창 밸브 KR102418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1636034.4U CN210920266U (zh) 2019-09-27 2019-09-27 电子膨胀阀
CN201921636034.4 2019-09-27
CN201910927066.8A CN112576769B (zh) 2019-09-27 2019-09-27 电子膨胀阀
CN201921637697.8U CN210920141U (zh) 2019-09-27 2019-09-27 电子膨胀阀
CN201921637697.8 2019-09-27
CN201910927066.8 2019-09-27
PCT/CN2020/086494 WO2021057019A1 (zh) 2019-09-27 2020-04-23 电子膨胀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913A KR20220014913A (ko) 2022-02-07
KR102418213B1 true KR102418213B1 (ko) 2022-07-07

Family

ID=7516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807A KR102418213B1 (ko) 2019-09-27 2020-04-23 전자 팽창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41638A1 (ko)
EP (1) EP4036443A4 (ko)
JP (1) JP7349514B2 (ko)
KR (1) KR102418213B1 (ko)
WO (1) WO20210570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8175S1 (en) * 2019-06-28 2024-05-21 Danfoss A/S Expansion valve
CN215983356U (zh) * 2021-08-31 2022-03-08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4476A (zh) 2011-04-02 2012-10-17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CN208281509U (zh) 2018-06-13 2018-12-25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电磁阀
CN209196130U (zh) 2018-08-02 2019-08-02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空调及其电子膨胀阀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1562A (ja) * 2000-03-01 2001-09-07 Pacific Ind Co Ltd 制御弁
JP4541366B2 (ja) * 2004-12-15 2010-09-08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式コントロールバルブ
US9435451B2 (en) * 2012-02-28 2016-09-0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Suzhou) Co., Ltd. Electronic expansion valve
CN103388939B (zh) * 2012-05-11 2016-06-01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KR101427137B1 (ko) * 2012-10-29 2014-08-07 그린산업 주식회사 전자식 팽창밸브
CN107975629A (zh) * 2016-10-25 2018-05-01 盾安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车用空调系统电子膨胀阀
JP6726116B2 (ja) * 2017-01-31 2020-07-22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及び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CN208431390U (zh) * 2018-05-08 2019-01-25 艾默生环境优化技术(苏州)有限公司 阀针组件以及具有该阀针组件的电子膨胀阀
KR20210000190U (ko) * 2018-08-17 2021-01-25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 팽창 밸브
CN209012510U (zh) * 2018-08-17 2019-06-21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电子膨胀阀
CN209180369U (zh) * 2018-08-21 2019-07-30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电子膨胀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4476A (zh) 2011-04-02 2012-10-17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CN208281509U (zh) 2018-06-13 2018-12-25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电磁阀
CN209196130U (zh) 2018-08-02 2019-08-02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空调及其电子膨胀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41638A1 (en) 2022-10-27
KR20220014913A (ko) 2022-02-07
JP7349514B2 (ja) 2023-09-22
JP2022549987A (ja) 2022-11-30
WO2021057019A1 (zh) 2021-04-01
EP4036443A1 (en) 2022-08-03
EP4036443A4 (en)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213B1 (ko) 전자 팽창 밸브
CA2215710C (en) Electrode for welding
US8881363B2 (en) Fuel injection valve and method for coupling two components together
KR102342755B1 (ko) 밸브 장치
JP2013500444A (ja) 圧力調整弁
CN112855953A (zh) 电子膨胀阀
JPH0613230A (ja) ソレノイド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MX2010008306A (es) Ensamblaje de valvula y metodo de ensamble.
CN213420014U (zh) 单向阀
CN112576769B (zh) 电子膨胀阀
CN211501648U (zh) 截止阀及其阀体
JP7171509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US20050062285A1 (en) Hydraulic port weld stud
CN210920141U (zh) 电子膨胀阀
KR102181682B1 (ko) 수전장치용 곡관 어댑터
CN216692371U (zh) 一种电磁阀
WO2022083623A1 (zh) 单向阀
CN111913505B (zh) 压力驱动装置及其制作方法、使用该压力驱动装置的压力控制器
JP6829702B2 (ja) 冷却装置
KR20220103797A (ko) 전자 팽창 밸브
CN105940254B (zh) 阀,尤其是卫生间用排水阀
CN207879764U (zh) 油缸的油路块焊接结构
KR102159603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체크포트 누유방지장치
CN214743648U (zh) 一种换向阀
CN220980429U (zh) 一种阀座与接管的焊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