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432B1 - 자동 인출 계단 - Google Patents

자동 인출 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432B1
KR102417432B1 KR1020210162978A KR20210162978A KR102417432B1 KR 102417432 B1 KR102417432 B1 KR 102417432B1 KR 1020210162978 A KR1020210162978 A KR 1020210162978A KR 20210162978 A KR20210162978 A KR 20210162978A KR 102417432 B1 KR102417432 B1 KR 102417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 member
plate
drawer
body portion
stair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철
Original Assignee
정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철 filed Critical 정태철
Priority to KR1020210162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04F11/06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E04F11/062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fo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01Space-saving stairways, e.g. having half ste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 계단은, 지면상에 위치되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된 제1 서랍부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계단부재; 상기 제1 계단부재의 하부에 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제1 계단부재를 구동력에 의해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 구동부; 및 상기 제1 계단부재의 상측에 위치된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된 제2 서랍부가 상기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서랍부의 상하 대향면에 구비된 제2 레일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계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계단부재는 상기 제1 계단부재의 상측에 적어도 하나가 적층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계단부재가 전후 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되면서 제2 계단부재를 연동시키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공간 활용을 위한 복층가구의 제작시 계단이 내부에서 외부로 1회에서 2회까지 또는 2회 이상 인출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면서 서랍부의 인출시 레일이 노출되지만, 계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내부에 서랍부가 위치된 몸체부를 인출하면 레일이 노출되지 않으면서 바퀴 역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인출 계단 {AUTOMATIC STAIRS STORAGE}
본 발명은 자동 인출 계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층에서 상층으로 이동하도록 인출시킬 때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계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으로 이루어진 주택의 내부에는 하층과 상층을 이동할 수 있도록 계단이 설치된다. 이러한 계단은 하층과 상층을 연결하는 이동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계단에 공간 활용을 위해 내부에 인출 서랍을 구비하여 수납이 가능하도록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이렇게, 계단 등으로 사용되는 시스템과 관련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2017-0028695호에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서랍의 인출시 서랍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당겨야 하므로 서랍 내부에 물건이 많이 수납되는 경우 당기는 동작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7-0028695호(2017.03.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계단이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한 자동 인출 계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 계단은, 지면상에 위치되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된 제1 서랍부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계단부재; 상기 제1 계단부재의 하부에 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제1 계단부재를 구동력에 의해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 구동부; 및 상기 제1 계단부재의 상측에 위치된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된 제2 서랍부가 상기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서랍부의 상하 대향면에 구비된 제2 레일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계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계단부재는 상기 제1 계단부재의 상측에 적어도 하나가 적층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계단부재는 복수 적층되어, 상기 제1 계단부재가 상기 전후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전진하면 상기 제2 계단부재 중 하측 제2 계단부재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면과, 상기 제2 몸체부의 상,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인출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 구동부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으로 구비된 콘트롤러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상에 위치되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된 제1 서랍부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계단부재; 상기 제1 계단부재의 하부에 몸체에서 전후 이동되는 로드 선단이 고정되어 상기 제1 계단부재를 구동력에 의해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 구동부; 및 상기 제1 계단부재의 상측에 적어도 하나가 적층 배치되되,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된 제2 서랍부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계단부재; 상기 제2 계단부재의 상측에 위치되며, 제3 몸체부와, 상기 제3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된 제3 서랍부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계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계단부재 또는 상기 제1, 2 계단부재가 상기 제3 계단부재 하부에서 인출거리가 다르도록 인출되고, 상기 제1 몸체부는 상하 배치된 제1 상판 및 제1 하부 연결판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 측판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 내에 바퀴가 고정되며, 상기 제1 측판의 외측에 제1 측면 마감판으로 마감되면서 상기 바퀴가 가려진 상태로 전후 이동되고, 상기 제1 측면 마감판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상부 바퀴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부 연결판의 하면에 구름 접촉하고, 상기 제2, 3 몸체부 각각의 양측에 상기 제1 측면 마감판의 하부와 동일 높이로 연장되는 제2, 3 측면 마감판으로 마감되어 상기 제1, 2 계단부재의 인출시 상기 제1, 2 측면 마감판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계단부재가 전후 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되면서 제2 계단부재를 연동시키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공간 활용을 위한 복층가구의 제작시 계단이 내부에서 외부로 1회에서 2회까지 또는 2회 이상 인출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면서 서랍부의 인출시 레일이 노출되지만, 계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내부에 서랍부가 위치된 몸체부를 인출하면 레일이 노출되지 않으면서 바퀴 역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 계단에서 제1 계단부재 그리고 제1, 2 계단부재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 계단에서 제1, 2 계단부재의 인출 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 계단에서 제1, 2 계단부재의 인출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 계단에서 제1, 2 계단부재의 인출 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 계단에서 제1 계단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 계단에서 스토퍼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출 계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 계단에서 제1 계단부재 그리고 제1, 2 계단부재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 계단에서 제1, 2 계단부재의 인출 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 계단에서 제1, 2 계단부재의 인출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 계단에서 제1, 2 계단부재의 인출 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 계단에서 제1 계단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 계단에서 스토퍼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 계단(100)은 제1 계단부재(110), 제2 계단부재(120), 제3 계단부재(130), 전후 구동부(140) 및 콘트롤러(150)를 포함하며, 제1 계단부재(110)는 자동 인출 계단(100)의 최하측에 위치되고, 제3 계단부재(130)는 자동 인출 계단(100)의 최하측에 위치되며, 제2 계단부재(120)는 제1 계단부재(110)와 제3 계단부재(130)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2 계단부재(120)는 1층으로 구비됨을 예시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 계단(100)은 제1 계단부재(110)를 통한 1회 인출 또는 제1 계단부재(110) 및 제2 계단부재(120)를 통한 2회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더욱이, 최상측에 위치된 제3 계단부재(130)의 내부 하측에서 제2 계단부재(120)가 인출되고, 제2 계단부재(120)의 내부 하측에서 제1 계단부재(110)가 인출된다. 이때, 제1 계단부재(110)의 후단과 제3 계단부재(130)의 선단이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어 제2 계단부재(120)가 제1, 3 계단부재(110, 130)의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된다.
제1 계단부재(1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부(112)와, 제1 서랍부(114)를 포함하며, 지면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제1 몸체부(112)는 내부에 제1 서랍부(114)가 수용되도록 전면에 개구된 공간이 형성되며, 제1 상판(1121), 제1 하부 연결판(1122), 제1 측판(1123), 제1 배면판(1124), 제1 상부 마감판(1125), 제1 측면 마감판(1126), 제1 발판(1127) 및 제1 스토퍼(1129)를 포함한다.
한편, 제1 스토퍼(1129)는 도 6과 같이 "
Figure 112021135476643-pat00001
"자와 "
Figure 112021135476643-pat00002
"자 형태로 금속판재 등을 절곡시킨 상태에서 제1 상부 마감판(1125)과 제2 하부 연결판(1222)의 대향면에 고정 가능하다.
제1 상판(1121)은 제1 몸체부(112)의 상부에 결합되는 판으로, 제1 서랍부(11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부 연결판(1122)은 제1 몸체부(112)의 하부에 이격 상태로 결합되는 판으로, 제1 서랍부(11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하부 연결판(1122)은 바퀴(W)가 구비된 제1 측판(1123)의 하단을 연결하게 되므로 바퀴(W)의 간섭을 차단하도록 제1 측판(1123)의 전후에 이격되게 연결된다.
제1 측판(1123)은 제1 상판(1121)과 제1 하부 연결판(1122)의 대향된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제1 측판(1123)은 바퀴(W)가 결합되도록 저면에 복수의 홈(1123a)이 각각 형성되어, 제1 측면 마감판(1126)을 마감하게 되면 바퀴(W)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더욱이, 제1 측판(1123)은 전방 상면 모서리에 "┘" 형상으로 절개 형성된 부위에 "┘" 형상의 마감부를 고정시키며, 마감부의 수평부가 제1 서랍부(114)의 제1 전면판(1142)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제1 서랍부(114)의 인출시 제1 전면판(1142)을 쉽게 당길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다.
제1 배면판(1124)은 이격된 제1 측판(1123)의 후방에 고정된다.
제1 상부 마감판(1125)은 제1 상판(1121)의 후방 상면에 고정된다.
제1 측면 마감판(1126)은 제1 측판(1123)을 감싸도록 구비하며, 제1 몸체부(112)의 전체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1 측면 마감판(1126)은 상면 후방에 바퀴(1126a)가 복수 구비되어 제2 계단부재(120)의 제2 하부 연결판(1222)에 구름 접촉하면서 제1 계단부재(110)가 인출된다.
제1 발판(1127)은 제1 상판(1121)의 전방 상면에 고정되며, 제1 상부 마감판(1125)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더욱이, 제1 발판(1127)은 제1 몸체부(112)의 최대 인출거리에 대응되는 전후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1 상판(1121)의 절반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제1 발판(1127)은 후단에 제1 상부 스토퍼(1129b)와 동일 높이의 스토퍼(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되어 전후 구동부(140)의 작동에 의한 제1 계단부재(110)의 후진시 제2 계단부재(120)도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계단부재(110)의 전진시 제1 상부 스토퍼(1129b)가 제1 하부 스토퍼(1129a)의 후면을 밀어 제2 계단부재(120)를 전진시키지만, 제1 계단부재(110)의 후진시 제1 발판(1127)의 후단에 구비된 제1 상부 스토퍼(1129b)가 제1 하부 스토퍼(1129a)의 전면을 밀어 제2 계단부재(120)를 후진시키게 된다.
제1 스토퍼(1129)는 제1 하부 스토퍼(1129a)와 제1 상부 스토퍼(1129b)로 구성되어, 제1 하부 스토퍼(1129a)가 제2 계단부재(120)의 제2 하부 연결판(1222)의 저면 중심부에 구비되고, 제1 상부 스토퍼(1129b)가 제1 상부 마감판(1125)의 상면 후단부에 구비된다.
이렇게, 제1 상부 스토퍼(1129b)는 제2 몸체부(122)의 이동시 제2 몸체부(122)의 제2 하부 연결판(1222) 중간부에 고정된 제1 하부 스토퍼(1129a)에 걸려 제2 몸체부(122)의 인출 위치를 제한하게 된다.
제1 서랍부(114)는 제1 몸체부(112)의 내부에서 인출되며, 수납 가능하도록 구비된 공간의 전방에 위치된 제1 전면판(1142)과 수납공간의 양측면에 구비된 제1 서랍 레일(1144)에 의해 인출된다.
제1 서랍 레일(1144)은 수납공간의 양측면과 이와 대향된 제1 측판(1123)의 내벽면에 고정되어 제1 서랍부(114)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한편, 제1 서랍부(114)는 바닥판이 전후 구동부(140)가 설치되므로 제2 계단부재(120) 및 제3 계단부재(130)의 바닥판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길이 역시 짧도록 구비 가능하다.
제2 계단부재(1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부(122)와, 제2 서랍부(124)를 포함하되, 제1 계단부재(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며, 제2 서랍부(124)는 앞선 제1 서랍부(114)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몸체부(122)는 내부에 제2 서랍부(124)가 수용되도록 전면에 개구된 공간이 형성되며, 제2 상판(1221), 제2 하부 연결판(1222), 제2 측판(1223), 제2 배면판(1224), 제2 상부 마감판(1225), 제2 측면 마감판(1226), 제2 발판(1227), 제2 레일(1228) 및 제2 스토퍼(1229)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상판(1221), 제2 배면판(1224), 제2 상부 마감판(1225), 제2 발판(1227) 및 제2 레일(1228)은 제1 몸체부(112)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하부 연결판(1222)은 제2 몸체부(122)의 하부에 전체 결합되는 판이다.
제2 측판(1223)은 하부에 바퀴(W)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앞선 실시예와 다르게 홈이 형성되지 않는다.
제2 측면 마감판(1226)은 상단이 제2 측판(1223)에 고정되며, 제1 몸체부(112) 및 제2 몸체부(122)의 전체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제2 스토퍼(1229)는 제2 하부 스토퍼(1229a)와 제2 상부 스토퍼(1229b)로 구성되어, 제2 하부 스토퍼(1229a)가 제3 하부 연결판(1322)의 저면 중심부에 구비되고, 제2 상부 스토퍼(1229b)가 제2 상부 마감판(1225)의 상면 후단부에 구비된다.
즉, 제2 하부 스토퍼(1229a)는 제3 하부 연결판(1322)의 저면 중심부에 돌출되어 제2 몸체부(122)의 이동시 제2 몸체부(122)의 제2 상부 마감판(1225)의 후단에 고정된 제2 상부 스토퍼(1229b)에 걸려 제2 몸체부(122)의 인출 위치를 제한하게 된다.
제2 상부 스토퍼(1229b)는 제3 몸체부(132)에서 제2 몸체부(122)의 최대 인출거리를 제한한다.
한편, 제2 스토퍼(1229)는 도 6과 같이 "
Figure 112021135476643-pat00003
"자와 "
Figure 112021135476643-pat00004
"자 형태로 금속판재 등을 절곡시킨 상태에서 제2 상부 마감판(1225)과 제3 하부 연결판(1322)의 대향면에 고정 가능하다.
제3 계단부재(1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몸체부(132)와, 제3 서랍부(134)를 포함하되, 이동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며, 제3 서랍부(134)는 앞선 제2 서랍부(124)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몸체부(132)는 내부에 제3 서랍부(134)가 수용되도록 전면에 개구된 공간이 형성되며, 제3 상판(1321), 제3 하부 연결판(1322), 제3 측판(1323), 제3 배면판(1324), 제3 측면 마감판(1326) 및 제3 발판(1327)을 포함한다.
이때, 제3 상판(1321), 제3 하부 연결판(1322), 제3 측판(1323) 및 제3 배면판(1324)은 제2 계단부재(120)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측면 마감판(1326)은 상단이 제3 측판(1323)에 고정되며, 제1 몸체부(112) 내지 제3 몸체부(132)의 전체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제3 발판(1327)은 제3 상판(1321)의 전체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고정된다.
전후 구동부(14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계단부재(110)의 하부에 단부가 고정되어 제1 계단부재(110)를 구동력에 의해 전후 이동시키며, 일예로 실린더 등이 이에 적용된다.
이때, 전후 구동부(140)는 실린더 외에 전후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면 어떠한 것이면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전후 구동부(140)는 로드(1462) 및 몸체(1464)로 구성되며, 로드(1462)의 끝단부를 제1 몸체부(112)의 내부 전방에 고정하는 전방 브래킷(142)과, 몸체(1464)의 끝단부를 제3 측면 마감판(1326)의 대향면 하측 후방에 고정하는 후방 브래킷(144)을 포함한다.
전방 브래킷(142)은 정면이 "
Figure 112021135476643-pat00005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곡된 양측단에 구비된 제1 고정편(1422)은 제1 측판(1123)의 대향면에 각각 나사 등으로 고정되고, 전면에 제1 고정편(1422)과 직교 방향으로 구비된 제2 고정편(1424)은 전후 구동부(140)의 로드(1462)가 나사 등으로 고정된다.
후방 브래킷(144)은 평면에서 봤을 때 "
Figure 112021135476643-pat00006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곡된 양측단에 구비된 제3 고정편(1442)은 제3 측면 마감판(1326)의 대향면에 각각 나사 등으로 고정되고, 제3 고정편(1442)의 안쪽에 제3 고정편(1442)과 평행한 상태로 구비된 제4 고정편(1444)은 전후 구동부(140)의 몸체(1464)가 나사 등으로 고정된다.
콘트롤러(15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발판(1327)의 전방에 구비되어 전후 구동부(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고정식이나 이동식으로 구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 계단(100)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상시에 제1 계단부재(110), 제2 계단부재(120) 및 제3 계단부재(130)를 일반 서랍장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제1, 2, 3 서랍부(114, 124, 134)를 제1, 2, 3 몸체부(112, 122, 132)의 내부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제1, 2, 3 서랍부(114, 124, 134) 내부에 각종 물건 등을 수납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인출 계단(100)을 계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콘트롤러(150)를 조작하게 되면 콘트롤러(150)의 신호에 의해 전후 구동부(140)가 작동하면서 로드(1462)가 몸체(1464)에서 전진하게 되고, 전진한 로드(1462)가 제1 몸체부(112)에 고정된 전방 브래킷(142)을 밀면서 제2 계단부재(120)에서 인출되게 한다.
이렇게, 전후 구동부(140)가 작동되면서 제1 몸체부(112)를 전진시키게 되면 제1 스토퍼(1129) 및 제2 스토퍼(1229)에 의해 제2 몸체부(122)가 연동되면서 딸려오게 된다.
즉, 제1 몸체부(112)를 전진시 제1 몸체부(112)가 바퀴(W)를 통해 전방으로 인출되기 시작하여 제1 측면 마감판(1126)의 상부에 구비된 바퀴(1126a)를 통해 제2 계단부재(120)의 하부 연결판(1222)에 구름 접촉하면서 제1 계단부재(110)가 제2 계단부재(120)의 제2 몸체부(122)에서 이동 방향이 안내 받는다.
이때, 바퀴(1126a)는 제1 몸체부(112)의 인출시 제1 측면 마감판(1126)에 의해 가려지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미려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1 몸체부(112)가 최대로 인출되면 제1 상부 마감판(1125)의 상면 후방에 돌출된 제1 상부 스토퍼(1129b)가 제2 하부 연결판(1222)의 저면 중심부에 구비된 제2 하부 스토퍼(1229a)에 접촉하며 그 후에 제2 몸체부(122)가 따라 연동되면서 인출된다.
그 후에 인출되는 제2 몸체부(122)는 제2 상부 마감판(1225)의 상면 후단부에 구비된 제2 상부 스토퍼(1229b)가 제3 몸체부(132)의 제3 하부 연결판(1322)의 저면 중심부에 돌출된 제2 하부 스토퍼(1229a)에 접촉하면 더는 제1, 2 몸체부(112, 122)가 인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자동 인출 계단(100)을 계단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콘트롤러(150)를 조작하게 되면 콘트롤러(150)의 신호에 의해 전후 구동부(140)가 작동하면서 로드(1462)가 몸체(1464)에서 후진하게 되고, 후진한 로드(1462)가 제1 몸체부(112)에 고정된 전방 브래킷(142)을 당기면서 제2 계단부재(120) 방향으로 인입된다.
그 후, 제2 계단부재(120)를 제1 계단부재(110) 방향을 향하도록 수동으로 밀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자동 인출 계단 110: 제1 계단부재
112: 제1 몸체부 114: 제1 서랍부
120: 제2 계단부재 122: 제2 몸체부
124: 제2 서랍부 130: 제3 계단부재
132: 제3 몸체부 134: 제3 서랍부
140: 전후 구동부 150: 콘트롤러

Claims (4)

  1. 지면상에 위치되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된 제1 서랍부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계단부재;
    상기 제1 계단부재의 하부에 몸체에서 전후 이동되는 로드 선단이 고정되어 상기 제1 계단부재를 구동력에 의해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 구동부; 및
    상기 제1 계단부재의 상측에 적어도 하나가 적층 배치되되,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된 제2 서랍부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계단부재;
    상기 제2 계단부재의 상측에 위치되며, 제3 몸체부와, 상기 제3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된 제3 서랍부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계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계단부재 또는 상기 제1, 2 계단부재가 상기 제3 계단부재 하부에서 인출거리가 다르도록 인출되고,
    상기 제1 몸체부는 상하 배치된 제1 상판 및 제1 하부 연결판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 측판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 내에 바퀴가 고정되며, 상기 제1 측판의 외측에 제1 측면 마감판으로 마감되면서 상기 바퀴가 가려진 상태로 전후 이동되고, 상기 제1 측면 마감판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상부 바퀴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부 연결판의 하면에 구름 접촉하고,
    상기 제2, 3 몸체부 각각의 양측에 상기 제1 측면 마감판의 하부와 동일 높이로 연장되는 제2, 3 측면 마감판으로 마감되어 상기 제1, 2 계단부재의 인출시 상기 제1, 2 측면 마감판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출 계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단부재는 복수 적층되어, 상기 제1 계단부재가 상기 전후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전진하면 상기 제2 계단부재 중 하측 제2 계단부재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출 계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면 후단과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면 그리고 상기 제2 몸체부의 상면 후단과 상기 제3 몸체부의 하면에 인출거리를 제한하도록 대향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출 계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구동부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으로 구비된 콘트롤러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출 계단.
KR1020210162978A 2021-11-24 2021-11-24 자동 인출 계단 KR102417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978A KR102417432B1 (ko) 2021-11-24 2021-11-24 자동 인출 계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978A KR102417432B1 (ko) 2021-11-24 2021-11-24 자동 인출 계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432B1 true KR102417432B1 (ko) 2022-07-05

Family

ID=8240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978A KR102417432B1 (ko) 2021-11-24 2021-11-24 자동 인출 계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4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7912A (ja) * 1982-10-06 1984-04-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階段兼用引出し
JP2014145187A (ja) * 2013-01-29 2014-08-14 Kotobuki Seating Co Ltd 移動観覧席
KR20170028695A (ko) 2015-09-04 2017-03-14 정영민 가변식 가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7912A (ja) * 1982-10-06 1984-04-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階段兼用引出し
JP2014145187A (ja) * 2013-01-29 2014-08-14 Kotobuki Seating Co Ltd 移動観覧席
KR20170028695A (ko) 2015-09-04 2017-03-14 정영민 가변식 가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7432B1 (ko) 자동 인출 계단
JP4739458B1 (ja) 物品収納用装置
JP2006305350A (ja) 両側で引出すことのできる自立型ボックスのための引出し
KR102404505B1 (ko) 인출식 계단
JP4623855B2 (ja) 収容棚兼用階段
KR100949400B1 (ko) 다용도 조립식 보관함
CN207296111U (zh) 装配式楼承板固定件
JP4276282B1 (ja) 住宅構造
JP5705620B2 (ja) 建物
JPH0325626Y2 (ko)
CN211408212U (zh) 一种自动梯柜
JPH0420809Y2 (ko)
JP4174067B1 (ja) 階段下の引き出し式収納
KR102414991B1 (ko) 복층모빌랙의 인출발판 조립체
WO2017077659A1 (ja) 間仕切り収納家具
KR102431298B1 (ko) 인출식 칸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
KR102136282B1 (ko) 슬라이드형 3단 레일
JP7193086B2 (ja) 収納構造
KR102247209B1 (ko) 수납장
JP3169712U (ja) 建物の収納ユニット階段
JPH04101449U (ja) 収納具付階段
JPS61202245U (ko)
JP2703645B2 (ja) 部屋の間仕切り構造
JP2022090255A (ja) 引戸構造及び引戸構造の使用方法
JP2000154640A (ja) 階段下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