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252B1 -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252B1
KR102417252B1 KR1020200067917A KR20200067917A KR102417252B1 KR 102417252 B1 KR102417252 B1 KR 102417252B1 KR 1020200067917 A KR1020200067917 A KR 1020200067917A KR 20200067917 A KR20200067917 A KR 20200067917A KR 102417252 B1 KR102417252 B1 KR 102417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color
charging de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0909A (ko
Inventor
최현종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67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25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0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 및 방법은 전기차 충전기 테두리에 충전상태를 다양하게 나타내는 LED램프등을 설치함으로써, 현재 해당 전기차 충전인프라가 사용 가능한지, 충전 중인지, 충전을 마쳤는지 알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Notification of Electric Vehicle}
다양한 실시 예는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 연료의 고갈 및 환경오염의 문제로 인하여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 때, 전기자동차의 운행을 위해서는 전기자동차의 동력원인 배터리를 충전해 줄 수 있는 충전기가 필요하며, 충전기는 충전시간에 따라 완속 충전기 및 급속 충전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완속 충전기는 가정용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때문에 용량에 제한이 있고, 작은 크기를 갖는다. 반면 급속 충전기는 차량의 배터리를 빠른 속도로 충전하기 위해 큰 용량으로 제작되고 주유소와 같은 충전소에 설치된다.
종래 전기자동차는 전용 충전기(급속 혹은 완속)는 고정형 형태로 벽체에 고정이 되거나 스탠드 형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동형 완속 충전기 형태로 구분이 되어 있다. 이 모든 충전기는 주차공간이 확보된 상태에서 설치되거나 사용되어야 한다.
전기자동차는 전용 충전기(급속 혹은 완속)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 그 공간을 점유하여 충전기를 연결하여 충전하고 충전된 금액만큼 과금 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이에 따라 새롭게 건설되는 아파트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주차 설비의 일부분을 의무적으로 전기차 충전설비를 갖출 수 있지만 기존에 건설된 대부분의 아파트는 이러한 점이 고려되지 않아서, 전기차 충전 설비를 추가로 구축하기 곤란한 상황이다. 특히 전기차는 충전하는 동안 그 공간을 점유해야 하는 제약 사항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기존 주차 공간을 별도로 점유하여 전기차 만의 공간으로 만들기는 더더욱 어려운 상황이며, 이로 인한 다양한 분쟁과 민원이 발생하고 있는 현실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전기차 충전을 위하여 일정 공간을 지속적으로 점유하는 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기차 충전기의 현 충전 상태 및 예약 상태를 알릴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에 있어서, 전기자동차 연결 여부, 충전 완료 여부 등 충전장치의 상태 및 충전 예약여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신호에 따라 메시지 송신 여부 및 LED 점등 색상을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메시지 송신 명령 또는 LED 점등 명령을 송신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가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있지 않고, 충전 예약이 있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1 색상으로 결정하고, 상기 입력부가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있지 않고, 충전 예약이 없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에 점등 색상을 제2 색상으로 결정하고, 상기 입력부가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고, 충전 미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3 색상으로 결정하고, 상기 입력부가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고, 충전 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4 색상으로 결정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가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고, 충전 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에게 충전 완료 메시지 송신을 결정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가 전기자동차 충전장치가 고장이라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5 색상으로 결정하고, 에러 메시지 송신을 결정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 전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된 전기자동차에 공급하는 충전장치, 사용자로부터 충전 예약여부를 수신하고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장치, 상기 충전장치의 상태 및 상기 충전 예약여부에 따라 메시지 송신여부 및 LED 점등 색상을 결정하는 명령을 결정하는 충전 알림장치 및 상기 충전 알림장치의 명령에 따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LED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전용 충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알림장치는 상기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있지 않고, 통신장치가 충전 예약이 있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1 색상으로 결정하고, 상기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있지 않고, 통신장치가 충전 예약이 없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에 점등 색상을 제2 색상으로 결정하고, 상기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고, 충전 미완료인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3 색상으로 결정하고, 상기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고, 충전 완료인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4 색상으로 결정하는 전기자동차 전용 충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알림장치는 상기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고, 충전이 완료된 경우, 통신장치가 사용자에게 충전 완료 메시지 송신하도록 하는 명령을 결정하는 전기자동차 전용 충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알림장치는 상기 충전장치가 고장인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5 색상으로 결정하고, 통신장치가 에러 메시지 송신하도록 하는 명령을 결정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가 수행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 방법에 있어서, 전기자동차 연결 여부 및 충전장치의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충전 예약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예약여부 및 충전장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LED 점등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장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있지 않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충전 예약 신호 수신 시 LED 점등 색상을 제1 색상으로 결정하고, 충전 예약 신호 미수신시 LED에 점등 색상을 제2 색상으로 결정하고,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있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충전 미완료 시 LED 점등 색상을 제3 색상으로 결정하고, 충전 완료 시 LED 점등 색상을 제4 색상으로 결정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고, 충전 완료 시 사용자에게 충전 완료 메시지 송신을 결정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장치의 상태가 고장인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5 색상으로 결정하고, 에러 메시지 송신을 결정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LED 점등 색상에 따라 누구나 멀리서도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상태를 알 수 있다.
또한, 전기 충전기가 사용 중이 아니더라도 LED 점등 색상에 따라 예약여부를 파악하여 당장 사용 가능한 전기 충전기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충전기가 사용 중이더라도 LED 점등 색상에 따라 충전 완료 여부를 파악하여 곧 전기 충전기 사용이 가능할 것인지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충전기가 고장인 경우 LED 점등 색상에 따라 신속하게 수리 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충전기로부터 전기자동차가 충전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는 충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여 신속하게 충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알림장치의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 방법의 알고리즘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측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또는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요소,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기록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록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은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기자동차 충전장치는 통신장치(100), 충전 알림장치(200), LED(300) 및 충전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장치는 추가적으로 화면(410), 커넥터(430), 전원(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충전 예약여부를 수신하고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장치(100)는 사용자가 해당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사용을 예약하였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장치(100)는 충전 알림장치(200)의 명령에 따라 사용자에게 충전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장치(100)는 충전 알림장치(200)의 명령에 따라 관리부 등 전기자동차 충전장치를 관리하는 부에 에러 메시지를 송신하라고 결정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장치(100)는 충전 알림장치(200)의 명령에 따라 사용자에게 전기자동차 충전장치가 고장이라는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라고 결정할 수 있다.
LED(300)는 충전 알림장치(200)의 명령에 따른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충전장치(400)는 전원(420)으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커넥터(430)를 이용하여 연결된 전기자동차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화면(410)을 작동하여 충전장치(400)를 조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장치(400)는 전기자동차 연결 여부, 충전 완료 여부 및 충전장치의 에러 발생 여부를 충전 알림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충전 알림장치(200)는 충전장치의 상태 및 충전 예약여부에 따라 메시지 송신여부 및 LED 점등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LED 점등 색상에 따라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상태를 알 수 있다.
충전 알림장치(200)는 충전장치(400)로부터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 연결 여부, 연결된 전기자동차의 충전 완료 여부 등 충전장치의 상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고장 상태라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알림장치(200)는 통신장치(100)로부터 충전 예약 여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알림장치(200)는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 되어있지 않다는 신호와, 충전 예약이 있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1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색상은 보라색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알림장치(200)는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있지 않고, 충전 예약이 없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에 점등 색상을 제2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색상은 노란색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알림장치(200)는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고, 충전 미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3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색상은 주황색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알림장치(200)는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고, 충전 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4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색상은 파란색이 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충전 알림장치(200)는 통신장치(100)가 사용자에게 충전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알림장치(200)는 전기자동차 충전장치가 고장 상태라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5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색상은 빨간색이 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충전 알림장치(200)는 통신장치(100)가 관리부 등 전기자동차 충전장치를 관리하는 부에 에러 메시지를 송신하라고 결정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충전 알림장치(200)는 통신장치(100)가 사용자에게 전기자동차 충전장치가 고장이라는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라고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는 입력부(210), 프로세서(220), 출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전기자동차 전용 충전장치 내의 충전장치(400)로부터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 연결 여부, 연결된 전기자동차의 충전 완료 여부 등 충전장치의 상태 및 충전 예약여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10)는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고장 상태라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입력부(210)가 수신한 신호에 따라 메시지 송신 여부 및 LED 점등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LED 점등 색상에 따라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상태를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210)가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 되어있지 않다는 신호와, 충전 예약이 있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1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색상은 보라색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210)가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있지 않고, 충전 예약이 없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에 점등 색상을 제2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색상은 노란색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210)가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고, 충전 미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3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색상은 주황색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210)가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고, 충전 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4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색상은 파란색이 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충전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210)가 전기자동차 충전장치가 고장 상태라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5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색상은 빨간색이 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부 등 전기자동차 충전장치를 관리하는 부에 에러 메시지를 송신하라고 결정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전기자동차 충전장치가 고장이라는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라고 결정할 수 있다.
출력부(230)는 메시지 송신 명령 또는 LED 점등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가 결정한 명령에 따라 출력부(230)는 LED 점등 명령을 전기자동차 전용 충전장치 내 LED(300)에 송신하거나 메시지 전송 명령을 통신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알림장치의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충전 알림장치(200)는 충전장치(400)로부터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 연결 여부, 연결된 전기자동차의 충전 완료 여부 등 충전장치의 상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00).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알림장치(200)는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충전장치(400)로부터 고장 상태라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알림장치(200)는 통신장치(100)로부터 충전 예약여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00).
또한, 충전 알림장치(200)는 충전 예약여부 및 충전장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LED 점등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S300). 이에 따라, LED 점등 색상에 따라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상태를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알림장치(200)는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 되어있지 않고, 충전 예약이 있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1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색상은 보라색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알림장치(200)는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있지 않고, 충전 예약이 없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에 점등 색상을 제2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색상은 노란색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알림장치(200)는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고, 충전 미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3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색상은 주황색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알림장치(200)는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고, 충전 완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4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색상은 파란색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알림장치(200)는 전기자동차 충전장치가 고장 상태라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5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색상은 빨간색이 될 수 있다.
또한, 충전 알림장치(200)는 충전장치(400)의 상태에 기초하여 통신장치(100)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S400).
일 실시예에 따라, 충전장치(400)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고, 충전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에게 충전 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충전장치(400)가 고장난 경우 장치 관리부 등 전기자동차 충전장치를 관리하는 부에 에러 메시지를 송신하라고 결정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전기자동차 충전장치가 고장이라는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라고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 방법의 알고리즘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기자동차 충전장치는 충전장치(400)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전기자동차 충전장치는 충전장치(400)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있지 않은 경우, 충전예약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210). 충전예약이 있는 경우, 제1 색상으로 LED를 점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색상은 보라색이 될 수 있다. 충전예약이 없는 경우, 제2 색상으로 LED를 점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색상은 노란색이 될 수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장치는 충전장치(400)에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충전이 완료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20).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제3 색상으로 LED를 점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색상은 주황색이 될 수 있다. 충전이 완료된 경우, 제4 색상으로 LED를 점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색상은 파란색이 될 수 있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측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ED(300)는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캐노피의 테두리에 설치될 수 있다.
100: 통신장치
200: 충전 알림장치
210: 입력부
220: 프로세서
230: 출력부
300: LED
400: 충전장치
410: 화면
420: 전원
430: 커넥터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전기자동차 전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된 전기자동차에 공급하는 충전장치;
    사용자로부터 충전 예약여부를 수신하고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장치;
    상기 충전장치의 상태 및 상기 충전 예약여부에 따라 메시지 송신여부 및 LED 점등 색상을 결정하는 충전 알림장치; 및
    상기 충전 알림장치의 명령에 따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LED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알림장치는,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전기자동차 연결 여부, 충전 완료 여부를 포함하는 상기 충전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충전 예약여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수신한 신호에 따라 메시지 송신 여부 및 LED 점등 색상을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메시지 송신 명령 또는 LED 점등 명령을 송신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연결 여부, 상기 충전 완료 여부, 상기 충전 예약 여부, 및 상기 충전장치의 에러 발생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LED 점등 색상을 결정하되,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있지 않다는 신호 및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충전 예약이 있다는 신호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1 색상으로 결정하고,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있지 않다는 신호 및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충전 예약이 없다는 신호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2 색상으로 결정하고,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다는 신호 및 충전이 미완료라는 신호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3 색상으로 결정하고,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다는 신호 및 충전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4 색상으로 결정하고,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에러 발생 신호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5 색상으로 결정하는,
    전기자동차 전용 충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다는 신호 및 충전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로 사용자에게 충전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고장이라는 신호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로 사용자에게 에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명령을 송신하는,
    전기자동차 전용 충전장치.
  7.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가 수행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 방법에 있어서,
    충전장치로부터 전기자동차 연결 여부 및 충전 완료 여부를 포함하는 상기 충전장치의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충전 예약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 예약여부 및 상기 충전장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LED 점등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장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LED 점등 색상은, 상기 전기자동차의 연결 여부, 상기 충전 완료 여부, 상기 충전 예약 여부, 및 상기 충전장치의 에러 발생 여부를 기반으로 결정하되,
    상기 LED 점등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있지 않다는 신호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충전 예약이 있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1 색상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있지 않다는 신호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충전 예약이 없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2 색상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다는 신호 및 충전이 미완료라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3 색상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다는 신호 및 충전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4 색상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에러 발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LED 점등 색상을 제5 색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전기자동차가 연결되어 있다는 신호 및 충전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충전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장치로부터 고장이라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에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067917A 2020-06-04 2020-06-04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 및 방법 KR102417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917A KR102417252B1 (ko) 2020-06-04 2020-06-04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917A KR102417252B1 (ko) 2020-06-04 2020-06-04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909A KR20210150909A (ko) 2021-12-13
KR102417252B1 true KR102417252B1 (ko) 2022-07-06

Family

ID=7883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917A KR102417252B1 (ko) 2020-06-04 2020-06-04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662B1 (ko) * 2022-08-24 2023-07-26 (주)아이토브 전기차 충전소 불법주차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082A (ko) * 2012-06-29 2014-01-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WO2018169132A1 (ko) * 2017-03-13 2018-09-20 한찬희 주차장에 대한 충전시설 설치 시스템과 그 시스템을 통해 설치된 충전시설에 의해 수행된 충전에 따라 요금을 정산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909A (ko) 202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3576B2 (en) Smart lead acid battery charging/discharging management system
AU2009202248B2 (en) Charging system and vehicle and charge controller for the charging system
TWI479772B (zh) 電動車充電系統及其適用之充電方法
CN101767519B (zh) 车胎压力监测系统及其胎压车载装置
US20170099594A1 (en) Method for operating audio, video, and navigation (avn) system, avn system,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2417252B1 (ko) 전기자동차 충전 알림장치 및 방법
CN103650290A (zh) 用于向电池组的多个从分配标识符的方法和系统
US9121073B2 (en) Plug-in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with indicators
CN103513997A (zh) 用于总线网络的程序烧录方法及系统
CN103532177A (zh) 便携式充电器及其操作方法
KR20180029462A (ko) 전기자동차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104788A (ko) 전기차 충전시스템
WO2017149638A1 (ja) 充放電装置
US11207999B2 (en) Charger and charging method for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motorcycle by using charging stations for cars
US11505082B2 (en)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and automatic trobleshooting method thereof
KR101216970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가로등 관리 시스템
CN114125769B (zh) 一种充电桩信息交互方法、系统、充电桩、设备和介质
CN216718575U (zh) 一种铁路信号微机电缆检测仪
CN206870941U (zh) 一种车顶状态灯
CN112285535B (zh) 一种刀闸遥控回路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KR101561941B1 (ko) 충전 장치
CN103633685A (zh) 充电器
CN208386559U (zh) 基于电视机对遥控装置进行充电的系统
CN113968149B (zh) 车辆充电指示灯的控制方法及装置
KR20160106311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