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239B1 -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239B1
KR102415239B1 KR1020200125438A KR20200125438A KR102415239B1 KR 102415239 B1 KR102415239 B1 KR 102415239B1 KR 1020200125438 A KR1020200125438 A KR 1020200125438A KR 20200125438 A KR20200125438 A KR 20200125438A KR 102415239 B1 KR102415239 B1 KR 102415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riven
shaft
permanent magnets
horizontal a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2530A (ko
Inventor
나택윤
Original Assignee
나택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택윤 filed Critical 나택윤
Priority to KR1020200125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2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2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9/0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 H02K49/1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of the permanent-magnet type
    • H02K49/104Magnetic couplings consisting of only two coaxial rotary elements, i.e. the driving element and the driven element
    • H02K49/108Magnetic couplings consisting of only two coaxial rotary elements, i.e. the driving element and the driven element with an axial air g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2Magnetic drives, magne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52PM hol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동모터의 초기 기동시 기동토크 부하전류량을 절감시킬 수 있어 구동모터의 소형화 및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Power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reducing starting torque}
본 발명은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동모터의 초기 기동시 기동토크 부하전류량을 절감시킬 수 있어 구동모터의 소형화 및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력전달장치는 엔진, 모터 등의 구동원으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작업부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이다.
동력전달장치에는 크게 마찰 전동장치, 기어전동장치, 벨트(체인)전동장치 등이 있다.
마찰전동장치는 평마찰차, 원추 마찰차, V홈 마찰차 등의 2개의 바퀴를 접촉시켜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나 확실한 회전 운동이나 큰 전동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기어전동장치는 평기어, 헬리컬기어, 래크 및 피니언, 베벨기어, 윔 및 윔거어, 스크루 기어 등의 한 쌍의 이가 서로 물려서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한 동력을 전달하며 물리는 기어 잇수에 따라 회전속도가 달라지고 내구성이 큰 장점이 있다.
체인전동장치는 체인을 스프로킷의 이에 하나씩 물려서 동력을 전달하여 효율적인 확실한 전동이 되나, 소음과 진동 등으로 고속회전에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특히, 전동 모터에 부하가 연결된 상태에서 기동시 정격전류의 약 5~7배의 기동전류가 필요로 함에 따라, 정격전류보다 용량이 큰 보호 계전기, 차단기 및 케이블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KR10-2018-0094168A (2018.08.23)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초기 기동시 기동토크 부하전류량을 절감시킬 수 있어 구동모터의 소형화 및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회전체와, 상기 구동회전체의 단부에 등각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구동수평암과, 상기 복수의 구동수평암에 각각 배치되는 제 1영구자석들을 포함하는 구동 전달부와;
상기 구동축의 축선과 동일한 축선 상에 상기 구동축의 타측에 배치되는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종동회전체와, 상기 구동 전달부의 복수의 구동수평암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종동회전체의 단부에 등각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종동수평암과, 상기 복수의 종동수평암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 1영구자석들과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 2영구자석들을 포함하는 종동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축의 타단부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구동연장축이 구비되고,
상기 종동축의 일단부에는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연장축과 베어링에 의해 회전결합되는 종동연장축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구동회전체 및 상기 종동회전체는 원반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상기 구동수평암의 후면에 N극성의 제 1영구자석이 각각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구동수평암의 전면에 S극성의 제 1영구자석이 각각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종동수평암의 후면에 S극성의 제 2영구자석이 각각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종동수평암의 전면에 N극성의 제 2영구자석이 각각 배치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구동수평암의 후면과 N극성의 제 1영구자석의 간극 및 상기 구동수평암의 전면과 S극성의 제 1영구자석의 간극을 조절하는 제 1간극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동수평암의 후면과 S극성의 제 2영구자석의 간극 및 상기 종동수평암의 전면과 N극성의 제 2영구자석의 간극을 조절하는 제 2간극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구동축과 연결된 전동모터의 기동시 상기 구동전달부의 제 1영구자석들과, 상기 종동전달부의 제 2영구자석들의 간격이 가까워지며 척력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상기 종동전달부에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게 됨으로서, 기동토크 및 기동전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구동 전달부와 종동 전달부의 회전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일부절개평면도이고,
도 6은 원반형태의 구동회전체 및 원반형태의 종동회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구동수평암의 양면 및 종동수평암의 양면에 각각 영구자석이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일예의 제 1간극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일부확대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B - B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일예의 제 1간극조절부에 의해 제 1영구자석과 제 2영구자석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고,
도 13은 다른예의 제 1간극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일부확대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구동축(10), 구동전달부(20), 종동축(30) 및 종동 전달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구동축(10)의 일단부는 전동모터 등 다양한 종류의 구동모터의 축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상기 구동축(10)의 일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상기 구동축(10)의 일단부를 연결 및 상기 구동모터의 축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10)으로 전달하는 기어박스 등 다양한 종류의 연결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전달부(20)는 일예로, 구동회전체(210), 복수의 구동수평암(220) 및 제 1영구자석(230)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회전체(210)는 일예로, 상기 구동축(10)의 타단부에 상기 구동축(10)과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구동축(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축(10)의 타단부에 방사형으로 등각으로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는 바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구동축(1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는, 바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구동회전체(210)는 상기 구동축(1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10)을 따라 회전하는 구동회전몸체(101)의 가장자리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등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회전몸체(101)는 환형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구동회전몸체(101)의 중심부에 상기 구동축(10)의 타단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구동축(10)의 타단부에 상기 구동회전몸체(101)가 나사결합, 용접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수평암(220)은 상기 구동회전체(210)의 상단부마다 형성되어 등각을 이룰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구동수평암(220)은 상기 구동회전체(2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어 상기 구동축(10)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영구자석(230)들은 적어도 복수의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면의 반대측인 후측마다 볼트고정, 접착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동수평암(220)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종동축(30)은 상기 구동축(10)과 동일한 축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축(10)의 타측방향에 수평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종동축(30)의 타단부는 펌프, 팬, 블로워, 컴프레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부하가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종동 전달부(40)는 일예로, 종동회전체(410), 복수의 종동수평암(420) 및 제 2영구자석들(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종동회전체(410)는 일예로, 상기 종동축(30)의 일단부에 상기 종동축(30)과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종동축(3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종동축(30)의 일단부에 방사형으로 등각으로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는 바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바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종동회전체(410)는 상기 종동축(3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종동회전몸체(401)의 가장자리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등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종동회전몸체(401)는 환형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종동회전몸체(401)의 중심부에 상기 종동축(30)의 일단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종동축(30)의 일단부에 상기 종동회전몸체(401)가 나사결합, 용접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종동수평암(420)은 상기 구동 전달부(20)의 복수의 구동수평암(22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종동회전체(410)의 상단부마다 형성되어 등각을 이룰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종동수평암(420)은 상기 종동회전체(4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영구자석(430)들은 상기 제 1영구자석(230)들과 마주보도록 적어도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전면마다에 볼트고정, 접착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 1영구자석(230)의 전측과 상기 제 2영구자석(43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은 같은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구동 전달부와 종동 전달부의 회전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일예로, 상기 구동 전달부(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전달부(20)의 제 1영구자석(230)들과 상기 종동 전달부(40)의 제 2영구자석(430)들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혀지게 되면서 증가하는 척력에 의해 상기 제 1영구자석(230)들이 상기 제 2영구자석(430)들을 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구동 전달부(20)와 함께 상기 종동 전달부(40) 및 상기 종동축(30)이 상기 구동축(10)을 따라 서서히 회전할 수 있게 되어 기동토크 및 기동전류를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구동모터의 소형화가 가능 및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1의 일부절개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전달부(20)와 함께 상기 종동 전달부(40)가 회전되는 과정 중에 상기 구동 전달부(20) 및 상기 종동 전달부(40)에 진동 발생을 방지하여 상기 구동 전달부(20)와 상기 종동 전달부(40)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10)에 구동연장축(11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종동축에는 상기 구동연장축(110)과 베어링(50)에 의해 회전결합되는 종동연장축(3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연장축(110)은 상기 구동축(10)의 타단부에서 상기 구동축(10)의 타단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종동연장축(310)은 상기 종동축(30)의 일단부에서 상기 종동축(30)의 일단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종동연장축(310)의 일측에는 연결관(3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311)의 타측 내부에 상기 종동연장축(310)의 일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연결관(311)의 타측이 상기 종동연장축(310)의 일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50)은 상기 연결관(311)의 일측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베어링(50)의 내측에 상기 구동연장축(1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이 수용될 수 있다.
도 6은 원반형태의 구동회전체 및 원반형태의 종동회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회전체(210)와 상기 종동회전체(410)가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구동회전체(210)와 상기 종동회전체(41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원반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회전체(210)를 이룰 수 있는 원반의 타측면 가장자리에 복수의 구동수평암(220)이 방사형으로 등각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종동회전체(410)를 이룰 수 있는 원반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상기 종동수평암(420)이 상기 구동수평암(220)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방사형으로 등각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구동수평암의 양면 및 종동수평암의 양면에 각각 영구자석이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축(10)의 회전속도가 서서히 감속되면서 상기 구동축(10)의 회전이 중지될 경우, 상기 종동축(30)의 회전속도 또한 서서히 감속되면서 상기 종동축(30)의 회전이 중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영구자석(230)들의 전측 방향과 후측 방향 모두에 척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후면마다 N극성의 제 1영구자석(230)이 각각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면마다 S극성의 제 1영구자석(23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후면마다 S극성의 제 2영구자석(430)이 각각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전면마다 N극성의 제 2영구자석(43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후면마다 배치된 제 1영구자석(230)의 S극성은 복수의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후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면바다 배치된 제 1영구자석(30)이 N극성은 복수의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후면마다 배치된 제 2영구자석(430)의 N극성은 복수의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후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후면마다 배치된 제 2영구자석(430)의 S극성은 복수의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전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일예의 제 1간극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일부확대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B - B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후면에 구비되는 N극성의 제 1영구자석(230)과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후면 사이의 간극(g1)과,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면에 구비되는 S극성의 제 1영구자석(230)과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면 사이의 간극(g2)을 조절하는 제 1간극조절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간극조절부(60)는 일예로,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와 가이드봉(6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가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중심선상의 부위를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중심부는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중심선상의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전측은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 1영구자석(230)의 중심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후측은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 1영구자석(230)의 중심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삽입홈(611)이 형성 또는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전면과 후면 모두에 상기 삽입홈(6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611)은 일자형태 또는 십자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삽입홈(611)에 일자드라이버 또는 십자드라이버 등 다양한 종류의 공구류의 단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공구류를 이용하여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제 1영구자석(230)을 각각 전후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620)은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를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620)이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중심선상의 부위를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봉(620)의 중심부는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중심선상의 부위에 접착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봉(620)이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중심선상의 부위를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봉(620)의 중심부는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중심선상의 부위에 접착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중심선상의 부위 및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중심선상의 부위 모두에 상기 가이드봉(620)이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봉(620)의 전측과 후측은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 1영구자석(230)의 전측을 각각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봉(620)의 전측과 후측은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 1영구자석(230)의 후측을 각각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620)은 상기 제 1영구자석(230)의 전후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일예의 제 1간극조절부에 의해 제 1영구자석과 제 2영구자석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 1영구자석(230)이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측외부방향과 후측외부방향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후면에 구비되는 N극성의 제 1영구자석(230)과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후면 사이의 간극(g1)과,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면에 구비되는 S극성의 제 1영구자석(230)과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면 사이의 간극(g2)이 점차 넓어지게 됨과 더불어 상기 제 1영구자석(230)들과 상기 제 2영구자석(430)들 사이의 간격(D)이 점차 좁아지게 되면서 상기 제 1영구자석(230)들과 상기 제 2영구자석(430)들 사이의 척력세기가 점차 증가할 수 있게 되어 기동토크 및 기동전류를 더욱 높은 효율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 1영구자석(230)이 각각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면 및 후면방향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후면에 구비되는 N극성의 제 1영구자석(230)과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후면 사이의 간극(g1)과,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면에 구비되는 S극성의 제 1영구자석(230)과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면 사이의 간극(g2)이 점차 좁혀지게 됨과 더불어 상기 제 1영구자석(230)들과 상기 제 2영구자석(430)들 사이의 간격(D)이 점차 넓어지게 되면서 상기 제 1영구자석(230)들과 상기 제 2영구자석(430)들 사이의 척력세기가 점차 저하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다른예의 제 1간극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일부확대분리사시도이다.
상기 제 1영구자석(230)을 관통하는 상기 양방향 리스스크류(610)와 가이드봉(620)에 의해 상기 제 1영구자석(23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간극조절부(60)는 다른예로,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600),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 및 상기 가이드봉(6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600)은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600)의 하부는 상기 구동수평암(22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60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이동프레임(60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영구자석(230)은 상기 이동프레임(60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상기 이동프레임(60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접착접합되거나 억지끼움고정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중간부는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이동프레임(600)의 하부 중간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620)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구동수평암(22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이동프레임(600)의 일측과 타측을 수평관통하여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정역회전에 의해전후이동하는 상기 이동프레임(600)의 전후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후면에 구비되는 S극성의 제 2영구자석(430)과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후면 사이의 간극 및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전면에 구비되는 N극성의 제 2영구자석(430)과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전면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제 2간극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간극조절부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 1간극조절부(60)와 동일하게 일예로,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와 가이드봉(620)으로 구성되거나 다른예로, 상기 이동프레임(600),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 및 가이드봉(6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의 상기 제 2간극조절부의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중심부는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중심선상의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예의 상기 제 2간극조절부의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전측과 후측은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 2영구자석(430)의 중심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일예의 상기 제 2간극조절부의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정역회전에 의해상기 제 2영구자석(430)이 각각 전후이동될 수 있다.
일예의 상기 제 2간극조절부의 가이드봉(620)의 중심부는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중심선상의 부위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중심선상의 부위에 접착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일예의 상기 제 2간극조절부의 가이드봉(620)의 중심부는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중심선상의 부위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중심선상의 부위에 접착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예의 상기 제 2간극조절부의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중심선상의 부위 및 일예의 상기 제 2간극조절부의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중심선상의 부위 모두에 상기 가이드봉(620)이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의 상기 제 2간극조절부의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봉(620)의 전측과 후측은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 2영구자석(430)의 전측을 각각 수평관통할 수 있다.
일예의 상기 제 2간극조절부의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봉(620)의 전측과 후측은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 2영구자석(430)의 후측을 각각 수평관통할 수 있다.
일예의 상기 제 2간극조절부의 가이드봉(620)은 상기 제 2영구자석(430)의 전후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다른예의 상기 제 2간극조절부의 이동프레임(600)은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른예의 상기 제 2간극조절부의 이동프레임(600)의 하부는 상기 종동수평암(42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다른예의 상기 제 2간극조절부의 이동프레임(60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이동프레임(60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영구자석(430)은 다른예의 상기 제 2간극조절부의 이동프레임(60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상기 이동프레임(60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접착접합되거나 억지끼움고정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고정될 수 있다.
다른예의 상기 제 2간극조절부의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중간부는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결합될 수 있다.
다른예의 상기 제 2간극조절부의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이동프레임(600)의 하부 중간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다른예의 상기 제 2간극조절부의 가이드봉(620)의 전측과 후측은 상기 종동수평암(42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이동프레임(600)의 일측과 타측을 수평관통하여 상기 양방향 리드스크류(610)의 정역회전에 의해 전후이동하는 상기 이동프레임(600)의 전후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10; 구동축, 20; 구동 전달부,
30; 종동축, 40; 종동 전달부.

Claims (6)

  1.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회전체와, 상기 구동회전체의 단부에 등각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구동수평암과, 상기 복수의 구동수평암에 각각 배치되는 제 1영구자석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구동수평암의 후면에 N극성의 제 1영구자석이 각각 배치 및 복수의 상기 구동수평암의 전면에 S극성의 제 1영구자석이 각각 배치되는 구동 전달부와;
    상기 구동축의 축선과 동일한 축선 상에 상기 구동축의 타측에 배치되는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종동회전체와, 상기 구동 전달부의 복수의 구동수평암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종동회전체의 단부에 등각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종동수평암과, 상기 복수의 종동수평암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 1영구자석들과 같은 극성을 가지는 제 2영구자석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종동수평암의 후면에 S극성의 제 2영구자석이 각각 배치 및 복수의 상기 종동수평암의 전면에 N극성의 제 2영구자석이 각각 배치되는 종동 전달부와;
    상기 구동수평암의 후면과 N극성의 제 1영구자석의 간극 및 상기 구동수평암의 전면과 S극성의 제 1영구자석의 간극을 조절하는 제 1간극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
  2.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회전체와, 상기 구동회전체의 단부에 등각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구동수평암과, 상기 복수의 구동수평암에 각각 배치되는 제 1영구자석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구동수평암의 후면에 N극성의 제 1영구자석이 각각 배치 및 복수의 상기 구동수평암의 전면에 S극성의 제 1영구자석이 각각 배치되는 구동 전달부와;
    상기 구동축의 축선과 동일한 축선 상에 상기 구동축의 타측에 배치되는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종동회전체와, 상기 구동 전달부의 복수의 구동수평암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종동회전체의 단부에 등각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종동수평암과, 상기 복수의 종동수평암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 1영구자석들과 같은 극성을 가지는 제 2영구자석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종동수평암의 후면에 S극성의 제 2영구자석이 각각 배치 및 복수의 상기 종동수평암의 전면에 N극성의 제 2영구자석이 각각 배치되는 종동 전달부와;
    상기 종동수평암의 후면과 S극성의 제 2영구자석의 간극 및 상기 종동수평암의 전면과 N극성의 제 2영구자석의 간극을 조절하는 제 2간극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타단부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구동연장축이 구비되고,
    상기 종동축의 일단부에는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연장축과 베어링에 의해 회전결합되는 종동연장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전체 및 상기 종동회전체는 원반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00125438A 2020-09-28 2020-09-28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 KR102415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38A KR102415239B1 (ko) 2020-09-28 2020-09-28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38A KR102415239B1 (ko) 2020-09-28 2020-09-28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530A KR20220042530A (ko) 2022-04-05
KR102415239B1 true KR102415239B1 (ko) 2022-06-29

Family

ID=8118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438A KR102415239B1 (ko) 2020-09-28 2020-09-28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2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7373A1 (en) * 2007-03-05 2008-09-11 Piercarlo Boffelli Magnetic Repulsion Coupling for Transmission of a Rotational Movement from a Driving Member to a Driven Member
JP2009177863A (ja) * 2008-01-21 2009-08-06 Tsubakimoto Chain Co 円盤型磁気カップリングおよびその組立方法ならびに円盤型磁気カップリングの組立用冶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6693B2 (ja) * 2013-10-23 2017-11-08 株式会社 エマージー 非接触式動力伝達装置
KR20180094168A (ko) 2017-02-13 2018-08-23 장석환 자석의 척력에 의한 반동력을 이용한 동력전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7373A1 (en) * 2007-03-05 2008-09-11 Piercarlo Boffelli Magnetic Repulsion Coupling for Transmission of a Rotational Movement from a Driving Member to a Driven Member
JP2009177863A (ja) * 2008-01-21 2009-08-06 Tsubakimoto Chain Co 円盤型磁気カップリングおよびその組立方法ならびに円盤型磁気カップリングの組立用冶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530A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5239B1 (ko) 기동토크 저감 동력전달장치
JP2002528025A (ja) 駆動装置
CN112728021B (zh) 一种变速箱
KR100699951B1 (ko) 다수의 모터를 이용한 구동장치의 토크증대 방법
CN206889630U (zh) 一种三轮车自动变速箱
CN210025293U (zh) 一种轻量级模块化凿击机器人
CN208473463U (zh) 一种智能锁离合机构
CN113415597A (zh) 一种辐照储运系统中的传动装置
CN220416129U (zh) 一种具有减噪功能的差速器
CN217108096U (zh) 驱动变速齿轮
CN213575411U (zh) 一种交替传动型二级减速器
EP1295052B1 (en) Geared drive ring coupler
CN214274371U (zh) 一种变速机构
CN2519867Y (zh) 电动车换档变速装置
CN118157390A (zh) 一种外转子电机高转矩输出装置、系统及其方法
CN213228847U (zh) 齿轮、电驱动总成以及车辆
CN218598733U (zh) 一种用于涡轮蜗杆减速器的减速齿轮组件
CN214698870U (zh) 一种离合器、驱动装置、窗帘控制装置和窗帘
CN213649469U (zh) 一种调节机构和车辆
CN2678234Y (zh) 磁感动力装置
CN2332096Y (zh) 一种电缆输送用电动滑车
CN113452226B (zh) 一种具有双转子结构的异步感应电动机
CN219287354U (zh) 一种章动磁齿轮电机结构
CN220079320U (zh) 双伺服往复驱动结构及具有该结构的电子提花机
CN218777407U (zh) 一种高尔夫球车驱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