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494B1 -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494B1
KR102414494B1 KR1020190125938A KR20190125938A KR102414494B1 KR 102414494 B1 KR102414494 B1 KR 102414494B1 KR 1020190125938 A KR1020190125938 A KR 1020190125938A KR 20190125938 A KR20190125938 A KR 20190125938A KR 102414494 B1 KR102414494 B1 KR 102414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wire
primary
voltage wire
primary d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3139A (ko
Inventor
이경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2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49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3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상변압기의 고압전선에서 저압전선을 향해 연결되는 1차 인하선의 설치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고, 1차 인하선의 설치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핫스틱을 이용한 간접활선작업이 가능한 장치의 개발을 통해 보다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여 제공하며, 1차 인하선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고정 구조의 제공에 있어 인하선의 인입후 외부로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정적인 결합 성능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견고하면서도 지속적인 내구 성능을 보장하는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1차 인하선의 설치를 위한 장치는 고압전선과 1차 인하선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고압전선에 결합되는 일체형 슬리브, 상기 일체형 슬리브에 장착되고 1차 인하선과 결합되는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 및 상기 고정캡에 내장되고 1차 인하선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전선지지용 조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Device for installation of primary drop wire of pole transformer}
본 발명은 주상변압기에서 고압전선으로부터 저압전선을 향해 연결되는 1차 인하선의 설치작업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차 인하선의 설치작업이 간접활선공법에 의한 보다 안전하면서도 간편한 작업으로 대체될 수 있게 하며 인하선의 인입후 외부로의 탈락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결합 성능을 보장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상변압기에 배설되는 1차 인하선은 고압전선으로부터 분기되어 저압전선에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데, 이러한 일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종래 주상변압기(1)는 전주(2)에 대해 행거밴드(3)와 같은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된다. 또한, 고압전선(4)과 저압전선(5) 사이에는 1차 인하선(6)이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1차 인하선(6)은 고압전선(4)으로부터 연결용 자재(A)와 같은 별도의 연장장치를 매개로 분지되게 설치된 다음, 특고압 컷아웃 스위치(7)를 경유하여 주상변압기(1)와 연결되는 구조로 배설된다.
또한, 특고압 컷아웃 스위치(7)는 전주(2)에 대해 브래킷(2a)과 내오손용 결합애자(2b)를 매개로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주상변압기(1)와 특고압 컷아웃 스위치(7) 사이에는 부싱단자커버(1a)가 설치된다.
한편, 고압전선(4)으로부터 1차 인하선(6)을 분기되게 설치하는 연결용 자재(A)는 도 2에 도시된 분기고리(8)와 도 3에 도시된 활선클램프(9)로 구분될 수 있다.
종래, 분기고리(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전선(4)과의 결합을 위해 상부에 위치하고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압착용 고리부재(8a), 및 압착용 고리부재(8a)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로서 활선클램프(9)와의 결합을 위해 사각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용 고리부재(8b)로 구성된다.
또한, 활선클램프(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용 고리부재(8b)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몸체(9a), 및 체결몸체(9a)에 대해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어 1차 인하선(6)을 고정하는 볼트부재(9b)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 주상변압기(1)에서 고압전선(4)으로부터 1차 인하선(6)을 분기하여 저압전선(5)측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분기고리(8)와 활선클램프(9)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전적으로 작업자에 의존하는 직접활선공법만 적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연결용 자재의 과다 소요에 따른 시공 작업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감전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종래 전주(2) 상에서 주상변압기(1)를 향해 1차 인하선(6)을 설치하는 작업에는 세분화된 자재의 시공이 필요하게 되므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비될 뿐만 아니라 세분화된 자재의 소요로 인해 자재관리가 비효율적이고 여러 종류의 자재를 시공함에 따른 작업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1851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상변압기의 고압전선에서 저압전선을 향해 연결되는 1차 인하선의 설치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1차 인하선의 설치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핫스틱을 이용한 간접활선작업이 가능한 장치의 개발을 통해 보다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여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1차 인하선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고정 구조의 제공에 있어 인하선의 인입후 외부로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정적인 결합 성능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견고하면서도 지속적인 내구 성능을 보장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압전선과 1차 인하선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고압전선에 결합되는 일체형 슬리브, 상기 일체형 슬리브에 장착되고 1차 인하선과 결합되는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 및 상기 고정캡에 내장되고 1차 인하선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전선지지용 조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일체형 슬리브는 고압전선과의 결합을 위한 고압선 장착부, 및 1차 인하선과의 결합을 위한 인하선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압선 장착부와 상기 인하선 연결부는 단일의 개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고압선 장착부는 트임부를 매개로 상기 고압전선의 외주면을 감싸는 개구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고압선 장착부는 내주면에 고압전선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슬립방지용 주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슬립방지용 주름부는 상기 고압선 장착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고압전선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인하선 연결부는 상기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을 분리 가능한 구조로 결합하고 내부에 1차 인하선의 수용을 위해 중공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은 상기 인하선 연결부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 체결부, 및 상기 전선지지용 조우를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테이퍼형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전선지지용 조우는 상기 고정캡을 통해 인하선 연결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납형 몸체부, 및 상기 테이퍼형 수용부의 내부에서 접촉 가능하게 수용되는 테이퍼형 인입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전선지지용 조우는 1차 인하선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분할용 슬릿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수납형 몸체부와 상기 테이퍼형 인입부 사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의 내부에서 상기 전선지지용 조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전선지지용 조우로부터 1차 인하선의 이탈을 구속하는 리턴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리턴스프링은 일단부가 상기 수납형 몸체부와 상기 테이퍼형 인입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부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인하선 연결부의 내부에 대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는 주상변압기에서 고압전선과 저압전선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1차 인하선의 설치작업이 일체형 슬리브와 이 슬리브에 대해 탄력적으로 출몰하여 인하선을 파지하도록 조립되는 전선지지용 조우로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작업자에 의존하던 직접활선작업에서 핫스틱을 이용한 간접활선작업으로 대체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이 보다 완벽하게 확보될 수 있는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는 1차 인하선의 설치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일체형 슬리브와 전선지지용 조우를 활용함에 따라 인하선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작업성을 크게 개선하여 설치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경제성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는 고압전선과 저압전선 사이를 연결하는 작업에 있어 인하선의 인입후 외부로의 탈락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안정적인 결합성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다 견고하면서도 지속적인 내구 성능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고압전선과 저압전선 사이를 분기되게 연결하는 1차 인하선이 전주에 설치된 주상변압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용 금구의 구성요소 중 분기고리만을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결용 금구의 구성요소 중 활선클램프만을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도 4에 도시된 1차 인하선 설치용 장치에 해당하는 연결용 자재를 각각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5는 일체형 슬리브와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을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전선지지용 조우와 리턴스프링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도 8은 도 5와 도 6에 각각 도시된 연결용 자재를 이용한 1차 인하선 설치작업을 공정에 따라 분리하여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에 해당하는 연결용 자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로 하면, 1차 인하선의 설치를 위한 연결용 자재는 크게 일체형 슬리브(10),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20), 전선지지용 조우(30), 및 리턴스프링(40)으로 구성된다.
도 5와 도 6은 도 4에 도시된 1차 인하선 설치용 장치에 해당하는 연결용 자재를 각각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5는 일체형 슬리브와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을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전선지지용 조우와 리턴스프링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기 일체형 슬리브(10)는 고압전선(50)과 1차 인하선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고압전선(50)의 외주면에 대해 외력에 의한 압착방식에 의해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고압전선(50)과의 결합을 위한 고압선 장착부(12), 및 1차 인하선과의 결합을 위한 인하선 연결부(1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고압선 장착부(12)와 인하선 연결부(14)는 단일의 개체로서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고압선 장착부(12)는 상기 고압전선(50)의 외주면과의 압착방식에 의한 결합을 위해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구되는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고압선 장착부(12)는 고압전선(50)의 외주면과의 원활한 조립을 위해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형태의 트임부(12a)를 구비한다. 즉, 상기 고압선 장착부(12)는 고압전선(50)의 외주면을 감싸기 위해 상기 트임부(12a)를 매개로 일측이 개구된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고압선 장착부(12)는 고압전선(50)의 외주면과의 원활한 조립을 위해 상기 트임부(12a)를 중심으로 부재의 전체가 만곡진 형태로 절곡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고압선 장착부(12)는 내주면에 슬립방지용 주름부(12b)를 구비하는 데, 상기 슬립방지용 주름부(12b)는 고압전선(50)과의 결합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고압선 장착부(12)로부터 고압전선(50)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고압전선(50)에 대한 고압선 장착부(12)의 원치않는 변위를 구속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립방지용 주름부(12b)는 고압선 장착부(12)의 내주면을 따라 고압전선(50)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철진 형상의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슬립방지용 주름부(12b)는 고압선 장착부(12)의 내주면에 대해 고압전선(50)의 배치방향과 소정의 경사각도를 설정하는 상태의 요철진 형태의 구조물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인하선 연결부(14)는 내부에 1차 인하선의 수용을 위해 중공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고압선 장착부(12)의 일측 단부에 대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하선 연결부(14)는 내부에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20)을 분리 가능한 구조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인하선 연결부(14)는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20)과의 나사 결합을 위해 선단측 내주면에 나사부위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기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20)은 일체형 슬리브(10)에 장착되고 1차 인하선과 결합되는 것으로, 인하선 연결부(14)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 체결부(22), 및 상기 전선지지용 조우(30)를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테이퍼형 수용부(24)를 일체로 갖춘 중공 형상의 구조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나사 체결부(22)는 일체형 슬리브(10)의 인하선 연결부(14)에 대해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20)을 나사 체결로서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테이퍼형 수용부(24)는 외부를 향해 외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형태의 외주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내부에서 수용공간을 설정하는 내주면도 동일한 방향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6을 참조로 하면, 상기 전선지지용 조우(30)는 1차 인하선과의 선택적인 구속을 수행하는 것으로, 고정캡(2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선지지용 조우(30)는 고정캡(20)을 통해 인하선 연결부(14)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납형 몸체부(32), 및 상기 테이퍼형 수용부(24)의 내부에서 접촉 가능하게 수용되는 테이퍼형 인입부(34)를 일체로 갖춘 중공 형상의 구조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선지지용 조우(30)는 1차 인하선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수납형 몸체부(32)와 테이퍼형 인입부(34)의 전 부위가 분할용 슬릿부(36)를 매개로 길이방향을 따라 양분되는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분할용 슬릿부(36)는 전선지지용 조우(30)의 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부재의 전 부위를 양분하거나 축방향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분할체로 구획짓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분할용 슬릿부(36)는 내부에 1차 인하선을 수용하여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부재의 반경방향에 대해 변위를 수반할 수 있을 정도라면 그 길이에는 제한이 없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전선지지용 조우(30)는 수납형 몸체부(32)와 테이퍼형 인입부(34) 사이에 후술되는 리턴스프링(40)의 일단부에 대한 지지를 위한 단차부(38)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테이퍼형 인입부(34)는 수납형 몸체부(32)와의 사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단차진 형태의 단차부(38)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리턴스프링(40)의 일단부와의 접촉할 수 있는 안착좌면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이퍼형 인입부(34)는 외부를 향해 외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형태의 외주면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테이퍼형 수용부(24)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변위시 분할용 슬릿부(36)가 설정하는 틈새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로 하면, 상기 리턴스프링(40)은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20)의 내부에서 전선지지용 조우(30)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전선지지용 조우(30)로부터 1차 인하선의 이탈을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리턴스프링(40)은 일단부가 수납형 몸체부(32)와 테이퍼형 인입부(34)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부(38)에 대해 접촉되어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인하선 연결부(14)의 내부에 대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도 7과 도 8은 도 5와 도 6에 각각 도시된 연결용 자재를 이용한 1차 인하선 설치작업을 공정에 따라 분리하여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로 하면, 상기 일체형 슬리브(10)가 고압전선(50)에 대해 압착되어 고정되는 작업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고압전선(50)의 외주면에 대해 일체형 슬리브(10)의 고압선 장착부(12)를 끼운 다음, 별도의 압착장비를 이용하여 고압선 장착부(12)의 외부에 대해 가압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고압선 장착부(12)는 압착되어 고압전선(50)과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는 상기 인하선 연결부(14)의 내부에 전선지지용 조우(30)와 리턴스프링(40)이 각각 먼저 수용되어 조립되고, 상기 인하선 연결부(14)의 하단측 부위에는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20)이 나사 결합으로서 장착되는 조립과정이 선행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을 참조로 하면, 핫스틱(50)을 이용하여 전선지지용 조우(30)의 하단부에 대해 소정의 가압력을 전달하게 되면, 상기 전선지지용 조우(30)는 리턴스프링(40)을 수축시키면서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2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 전선지지용 조우(30)는 분할용 슬릿부(36)를 매개로 내부공간을 확장시키는 상태로 변형하게 된다.
이어, 작업자는 내부공간이 확장된 상태의 전선지지용 조우(30)의 내부에 1차 인하선(60)을 밀어 삽입시켜 전선지지용 조우(30)와 1차 인하선(60) 사이의 조립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어, 작업자는 핫스틱(50)을 제거하여 전선지지용 조우(30)에 가하졌던 외력을 제거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리턴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전선지지용 조우(30)가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20)의 외부로 다시 이동하게 됨으로써 전선지지용 조우(30)에 의한 1차 인하선(60)과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20)의 테이퍼형 수용부(24)의 내주면이 가지는 경사각과 전선지지용 조우(30)의 단차부(38)의 외주면이 가지는 경사각에 의한 길이방향 접촉위치의 전이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할용 슬릿부(36)를 매개로 전선지지용 조우(30)가 반경방향으로 수축 변위됨에 따라 수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상변압기에서 고압전선과 저압전선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1차 인하선의 설치작업이 일체형 슬리브(10)와 이 슬리브에 대해 탄력적으로 출몰하여 1차 인하선(60)의 외주면을 파지하도록 조립되는 전선지지용 조우(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기존의 1차 인하선(60)의 설치작업에 수작업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직접활선작업을 간접활선작업으로 대체시킬 수 있는 것이고, 이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보다 완벽하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므로 안전한 작업환경의 제공에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일체형 슬리브(10)와 전선지지용 조우(30)를 활용함에 따라 인하선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작업성을 개선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하는 경제성의 확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압전선과 저압전선 사이를 연결하는 작업의 수행에 있어 1차 인하선의 인입후 외부로의 탈락을 리턴스프링(40)의 가압에 의한 전선지지용 조우(30)와 1차 인하선(60) 사이의 견고한 결합력을 통해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결합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보다 견고하면서도 지속적인 내구 성능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10-일체형 슬리브 12-고압선 장착부
12a-트임부 12b-슬립방지용 주름부
14-인하선 연결부 20-고정캡
22-나사 체결부 24-테이퍼형 수용부
30-조우 32-수납형 몸체부
34-테이퍼형 인입부 36-분할용 슬릿부
38-단차부 40-리턴스프링
50-핫스틱 60-1차 인하선

Claims (12)

  1. 고압전선과 1차 인하선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고압전선의 외주면에 압착방식으로 결합되는 일체형 슬리브, 상기 일체형 슬리브에 장착되고 1차 인하선과 결합되는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 및 상기 고정캡에 내장되고 1차 인하선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전선지지용 조우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 슬리브는 상기 고압전선의 외주면과 압착방식의 결합을 위해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된 트임부를 갖추고서 상기 고압전선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압선 장착부, 및 상기 고압선 장착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1차 인하선과의 결합을 위한 인하선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압선 장착부와 상기 인하선 연결부는 단일의 개체로 구성되고,
    상기 고압선 장착부는 상기 트임부를 매개로 상기 고압전선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만곡진 형태로 절곡되는 개구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상기 고압전선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슬립방지용 주름부를 구비하되, 상기 슬립방지용 주름부는 상기 고압선 장착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고압전선의 배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하선 연결부는 상기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을 분리 가능한 구조로 결합하고 내부에 1차 인하선의 수용을 위해 중공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은 상기 인하선 연결부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 체결부, 및 상기 전선지지용 조우를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테이퍼형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선지지용 조우는 상기 고정캡을 통해 인하선 연결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납형 몸체부, 및 상기 테이퍼형 수용부의 내부에서 접촉 가능하게 수용되는 테이퍼형 인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선지지용 조우는 1차 인하선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분할용 슬릿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납형 몸체부와 상기 테이퍼형 인입부 사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하선 연결용 고정캡의 내부에서 상기 전선지지용 조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전선지지용 조우로부터 1차 인하선의 이탈을 구속하는 리턴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리턴스프링은 일단부가 상기 수납형 몸체부와 상기 테이퍼형 인입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부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인하선 연결부의 내부에 대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
KR1020190125938A 2019-10-11 2019-10-11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 KR102414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938A KR102414494B1 (ko) 2019-10-11 2019-10-11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938A KR102414494B1 (ko) 2019-10-11 2019-10-11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139A KR20210043139A (ko) 2021-04-21
KR102414494B1 true KR102414494B1 (ko) 2022-06-30

Family

ID=75743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938A KR102414494B1 (ko) 2019-10-11 2019-10-11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4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788B1 (ko) * 2004-07-26 2006-10-19 배병준 전선 접속모듈
KR101046400B1 (ko) * 2011-05-20 2011-07-05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1768822B1 (ko) * 2016-12-14 2017-08-30 주식회사 동신 전선 고정용 커플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511Y1 (ko) 2000-10-25 2001-04-02 한국전력공사 개선된 활선분기고리
KR20040025000A (ko) * 2002-09-18 2004-03-24 한국전력공사 전선 접속연결용 슬리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788B1 (ko) * 2004-07-26 2006-10-19 배병준 전선 접속모듈
KR101046400B1 (ko) * 2011-05-20 2011-07-05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1768822B1 (ko) * 2016-12-14 2017-08-30 주식회사 동신 전선 고정용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139A (ko)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537B1 (ko) 활선 작업용 수동 유압식 다기능 특고압 절연 기어 그립퍼 플라이어 스틱 및 그 플라이어 스틱을 이용한 간접활선공법
CN106300195B (zh) 一种固线装置
US8517768B2 (en) Breakaway fuse holder
CN104253342B (zh) 具有冷收缩部件的电连接器
WO2003085795A1 (fr) Tube chemise en polymere, et connecteur de raccordement de cable utilisant ce tube
KR101604787B1 (ko) 전신주용 지선 보호커버
US816766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llapsible coupler
KR102414494B1 (ko)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
JP2007053835A (ja) 棒状工具の落下防止具
KR20210042674A (ko)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1815683B1 (ko) 저압인류애자 인류 바인드레스 체결장치
US6027082A (en) Convertible electric utility cross arm insulator unit
JP5946892B2 (ja) 架空配電線用絶縁カバー、及びアダプター
JP5349509B2 (ja) 縁線接続方法
JP2007312574A (ja) 高圧クランプカバー
JP5094185B2 (ja) スライド式防護管及びその装着方法
CN102715716B (zh) 一种手动直骨伞伞架
JP6507752B2 (ja) 電線用端末キャップ
KR101706788B1 (ko) 애자와 연결되는 장치
JP2014045612A (ja) 養生カバー付きアースフック
JP5964342B2 (ja) 電線防護管
CN210143348U (zh) 一种具有裁剪功能的绝缘杆
CN219739812U (zh) 用于延长电缆套管的转接器和延长的电缆套管
CN213278534U (zh) 一种防潮电气接线端子
KR200371597Y1 (ko) 전주용 완금 고정장치의 완금지지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