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511Y1 - 개선된 활선분기고리 - Google Patents

개선된 활선분기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511Y1
KR200218511Y1 KR2020000029837U KR20000029837U KR200218511Y1 KR 200218511 Y1 KR200218511 Y1 KR 200218511Y1 KR 2020000029837 U KR2020000029837 U KR 2020000029837U KR 20000029837 U KR20000029837 U KR 20000029837U KR 200218511 Y1 KR200218511 Y1 KR 2002185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
connector
wire
lead wire
branch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완성
김영성
김동범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00029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5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5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511Y1/ko

Link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상변압기와 2차리드선으로 연결된 컷아웃스위치에 1차리드선을 연결하고자 할때 사용하는 개선된 활선분기고리에 관한 것으로, 전압선에 결합하는 분기고리몸체 하측에 'ㄴ'형 콘넥터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콘넥터 연결부에 주상변압기와 연결되는 인하선을 결합한 활선콘넥터를 분리가능하도록 볼트체결한다음 외연을 절연커버로 씌워서 충전부를 보호토록 함으로써, 기존의 활선콘낵터와 비교하여 크기가 소형이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며, 외관이 미려하다.
또한, 충전부위에 대한 방호가 기존의 방식에 비교하여 매우 간단하면서도 크기가 작아 안전사고 및 선로고장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배전설비의 변동시 재사용이 가능하여 예산절감도 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활선분기고리{Branch a link of improvment}
본 고안은 주상변압기와 2차리드선으로 연결된 컷아웃스위치에 1차리드선을 연결하고자 할때 사용하는 개선된 활선분기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부분이 최소화 되도록 축소구성하며, 배전설비 변동시 철거 또는 신설에 따른 설비의 효용성을 확보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활선분기고리는 일단 시설하면 떼어내어 재사용할 수 가 없으며, 또한 배전 설비의 충전부가 많이 노출되어 평상시는 물론 특히 운휴중이더라도 그대로 방치된 활선분기고리에 이삿짐센타용 사다리차나 건설용현장의 펌프카 그리고 은박지 및 연 등이 걸려 안전사고 및 선로고장이 유발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활성분기고리의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전압선에 결합하는 분기고리몸체 저면에 'ㄴ'형 콘넥터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콘넥터 연결부에 주상변압기와 연결되는 인하선을 결합한 활선콘넥터를 볼트체결한다음 외연을 절연커버로 씌워서 충전부를 보호토록 함으로써, 평상시는 물론 특히 배전설비의 변동으로 인한 운휴중에 'ㄴ'형 콘넥터연결부에서 활선콘넥터를 분리하면 충전부분이 최소화되도록 축소구성하여 안전사고나 선로고장의 위험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외관미를 좋게 하며,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배전설비 변동시 철거 또는 신설에 따른 설비의 효용성을 확보토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도1a,도1b는 본 고안의 전제구성도로서,
도1a는 활선콘넥터를 볼트체결한 상태도.
도1b는 활선콘넥터를 분리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분기고리몸체 11:'ㄴ'형 콘넥터연결부
20:활선콘넥터 21:1차리드선
30:볼트 40:절연커버
100:전력공급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1 내지 도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상변압기와 2차리드선으로 연결된 컷아웃스위치에 1차리드선을 연결하고자 할때 사용하는 활선분기고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력공급선(100)에 결합하는 분기고리몸체(10) 하측에 'ㄴ'형 콘넥터연결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콘넥터연결부(11)에 주상변압기와 연결되는 1차리드선(인하선)(21)을 결합한 활선콘넥터(20)를 분리가능하도록 볼트(30)체결한다음 외연을 절연커버(40)로 씌워서 충전부를 보호토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상변압기와 2차리드선으로 연결된 컷아웃스위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소의 전력공급선(100)에 분기고리몸체(10)를 결합한다.
그런다음 상기 분기고리몸체(10) 하단에 형성된 'ㄴ'형 콘넥터연결부(11)에 활선콘넥터(20)를 볼트(30)체결한다음 상기 활선콘넥터(20)에 주상변압기와 2차리드선으로 연결된 컷아웃스위치와 연결되는 1차리드선(인하선)(21)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1차리드선의 결합까지 끝나면 외연을 절연커버(40)로 씌워서 충전부를 보호함으로써 분기접속작업이 완료된다.
이와같이 사용하다가 배전설비의 변동으로 주상변압기를 철거하여야 할 경우에는 볼트(30)를 풀러서 'ㄴ'형 콘넥터연결부(11)에서 활선콘넥터(20)를 분리하면 충전부분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적게 되는데 특히 활선콘넥터(20)가 분리된 분기고리전체에 절연커버(40)를 씌우면 충전부가 최소이어서 방호가 손쉽고 외관미도 미려하게 된다.
또한, 철거했던 주상변압기를 재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분기고리를 재설치할 필요없이 볼트(30)를 이용하여 활선분기고리몸체(10)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ㄴ'형 콘넥터연결부(11)에 활선콘넥터(20)를 체결하고, 상기 활선콘넥터(20)에 1차리드선(21)을 연결하여 주상변압기와 2차리드선으로 연결된 컷아웃스위치에 1차리드선(21)을 결합하면 기존에 설치된 활선분기고리를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전압선에 결합하는 분기고리몸체 하측에 'ㄴ'형 콘넥터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콘넥터 연결부에 주상변압기와 연결되는 인하선을 결합한 활선콘넥터를 분리가능하도록 볼트체결한다음 외연을 절연커버로 씌워서 충전부를 보호토록 함으로써, 기존의 활선콘낵터와 비교하여 크기가 소형이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다.
그리고 외관이 미려하다.
또한, 충전부위에 대한 방호가 기존의 방식에 비교하여 매우 간단하면서도 크기가 작아 안전사고 및 선로고장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배전설비의 변동시 재사용이 가능하여 예산절감도 꾀할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가 있는 매우 획기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주상변압기와 2차리드선으로 연결된 컷아웃스위치에 1차리드선을 연결하고자 할때 사용하는 활선분기고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력공급선에 결합하는 분기고리몸체 저면에 'ㄴ'형 콘넥터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콘넥터연결부에 주상변압기와 연결되는 인하선을 결합한 활선콘넥터를 분리가능하도록 볼트체결한다음 외연을 절연커버로 씌워서 충전부를 보호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활선분기고리.
KR2020000029837U 2000-10-25 2000-10-25 개선된 활선분기고리 KR2002185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837U KR200218511Y1 (ko) 2000-10-25 2000-10-25 개선된 활선분기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837U KR200218511Y1 (ko) 2000-10-25 2000-10-25 개선된 활선분기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511Y1 true KR200218511Y1 (ko) 2001-04-02

Family

ID=73090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837U KR200218511Y1 (ko) 2000-10-25 2000-10-25 개선된 활선분기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5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90B1 (ko) 2007-03-13 2007-05-28 육지영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20210043139A (ko) 2019-10-11 2021-04-21 한국전력공사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90B1 (ko) 2007-03-13 2007-05-28 육지영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20210043139A (ko) 2019-10-11 2021-04-21 한국전력공사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 설치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74398B (zh) 城轨车辆车顶跨接电缆安装结构
KR100986678B1 (ko) 플러그 인 부스 덕트
KR200218511Y1 (ko) 개선된 활선분기고리
CN214204889U (zh) 一种接地箱内孔封堵装置
JP2002544660A (ja) 変圧器
CN206461176U (zh) 新型cpa装置及具有新型cpa装置的连接器组件
CN206619523U (zh) 一种高端酒店别墅专用的两孔开关连体架
CN210201393U (zh) 一种高压接地箱预埋件
CN211830070U (zh) 一种低压电缆分支箱
CN210273188U (zh) 一种变压器拆卸型电缆箱装置
CN209859983U (zh) 一种电池包密封结构和电池包
CN208668993U (zh) 一种多功能通用预埋装置
CN201340944Y (zh) 电缆插拔接头
CN216508339U (zh) 一种用于地铁贯通道的一片式侧护板安装座
CN2091498U (zh) 多功能保安接地棒
KR200218513Y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CN214544087U (zh) 一种交直流两用隔离船用直流电源的壳体结构
CN215578029U (zh) 助航灯隔离变压器箱破损修复密封盖
CN217399732U (zh) 一种可拆分式井盖结构
CN217009787U (zh) 一种带有漏电保护器的插排
CN219794892U (zh) 一种固定式球接栏杆
CN217934611U (zh) 一种箱逆变一体机低压转接盒
CN212113501U (zh) 一种墙壁开关的强化型底盒
CN214786523U (zh) 一种室外电气设备防护围栏固定装置
CN216699455U (zh) 一种电缆引上线保护套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