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793B1 -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라벨 - Google Patents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793B1
KR102413793B1 KR1020210137252A KR20210137252A KR102413793B1 KR 102413793 B1 KR102413793 B1 KR 102413793B1 KR 1020210137252 A KR1020210137252 A KR 1020210137252A KR 20210137252 A KR20210137252 A KR 20210137252A KR 102413793 B1 KR102413793 B1 KR 102413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label body
disposed
metal band
incis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일
Original Assignee
이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일 filed Critical 이경일
Priority to KR1020210137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42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 B65D23/0878Shrunk on the bott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07Coatings
    • B65D23/081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
    • B65D23/0821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 consisting mainly of polymer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4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5/36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formed by applying shee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입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15)이 형성된 본체(10); 상기 입구(11)에 조립되는 마개(12)와,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라벨(100);을 포함하고, 상기 라벨(100)은, 상기 몸통부(17)를 감싸도록 상기 몸통부(17)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 1 라벨바디(110); 상기 제 1 라벨바디(110)의 일단(111) 및 타단(111)을 연결하여 상기 몸통부(17)를 감싸는 제 2 라벨바디(120);를 포함하며,상기 제 1 라벨바디(110)의 일단(111) 및 타단(11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라벨바디(120)의 일단(121) 및 타단(12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라벨바디(120)의 일단(121) 및 타단(122)을 따라 절개선이 형성되고,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제 2 라벨바디 좌측 및 우측에 제 1 상측절개홈 및 제 2 상측절개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라벨의 찢어짐을 용이하게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라벨{Label for recycling of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라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라벨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용기의 재활용을 촉진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PET)를 원료로 제조되는 PET 병은 오늘날 인류의 삶에서 매우 중요한 각종 용기로 사용되고 있다.
PET 병은 대부분 1회용으로 사용되고 버려지기 때문에 사용된 병을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것은 환경보호는 물론 자원의 절약 차원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전세계적으로 PET 병의 재활용률은 약 60%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40%에 해당하는 PET 자원이 버려지고 있다.
버려진 PET 병은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주범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PET 병으로 인한 해양 오염은 심각한 수준이며, 장기간 썩지 않기 때문에 생태계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 해양으로 유입되는 잔류물은 PET 병 재활용 과정에서 분류되지 않은 PET 혼합 슬러지가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진다.
PET 병의 재활용률을 높이는 것은 바로 환경오염을 줄이는 길이다.
PET 병의 재활용률을 높이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있어 왔지만, 여러 가지 문제 때문에 뚜렷한 효과를 가져올 만한 방법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PET 병의 재활용률을 높이지 못하는 원인 중의 하나가 바로 PET 병에 부착된 접착식 라벨의 분리기술 때문이다.
PET 병은 본체가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되고, 뚜껑(마개)은 폴리에틸렌(PE)으로 제조되며, 라벨은 통상 폴리스티렌(PS)과 PET와의 혼합물, 또는 폴리프로필렌(PP)으로 제조된다.
이처럼 라벨은 본체와 다른 수지로 제조되고, 또한 라벨은 재질에 관계없이 다양한 색상으로 인쇄된 일종의 부품에 해당하기 때문에, 라벨을 사전에 제거해야 본체인 PET 병을 재활용할 수 있다.
PET 병으로부터 라벨을 사전에 제거하여 분리배출한다면, PET 병의 재활용은 80% 이상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된다.
PET 병에 라벨을 부착하는 방식은 PS나 PET를 원료로 한 열수축성 필름을 사용하여 열수축에 의하여 라벨을 부착하는 방식과, PP를 원료로 한 필름 라벨을 접착제로 부착시키는 방식이 있다.
열수축에 의하여 라벨을 부착하는 방식은 라벨 제거에 큰 문제가 없다. 그 이유는 열수축에 의하여 라벨을 부착하는 방식에서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라벨 필름을 열수축시켜 부착하기 때문에, PET 병을 절단하여 분쇄하면 PET 병과 라벨이 자연스럽게 분리된다.
그러나 PP를 원료로 한 필름 라벨을 접착제로 부착시키는 방식에서는, 접착제(‘hot melt’)를 열로써 용융시키거나 용제에 녹인 본드형 접착제로 라벨을 PET 병 본체를 접착시키기 때문에, 이 방식에서의 라벨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생수병과 같은 대부분의 PET 용기는 PP를 원료로 한 필름 라벨을 접착제로 부착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이 방식이 열수축에 의하여 라벨을 부착하는 방식보다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원가가 싸기 때문이다.
접착제로써 접착된 라벨을 PET 병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부착된 라벨을 사람이 제거해야 한다. 이 제거작업은 수작업만으로 할 수 없고, 예리한 칼과 같은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PET 병을 분리수거할 때, 사람이 칼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모든 용기의 라벨을 제거한다면, 라벨로 인한 문제는 간단하게 해결되어 재활용률이 상승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러한 번거로움 때문에 라벨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버리게 된다.
PET 병의 라벨을 제거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여러 가지 기술들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등록특허 제0180891호는 PET 병을 재활용하기 위해서 PET 병의 표면에 부착된 라벨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라벨 스트리퍼와 상기 라벨 스트리퍼를 사용하는 라벨 제거방법에 관해 개시한다.
특허공개 제1999-0083998호는 작업원통 내주면에 형성된 탈피고정핀과 회전샤프트아암 각 끝단에 부착된 초경합금원뿔팁과 초경합금사각팁 간의 간격틈으로 페트병이 지나면서 라벨이 분리되도록 한 페트병 라벨 제거장치를 개시한다.
등록특허 제0875241호는 PET 병이 수용되는 호퍼,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PET 병을 일정량씩 분할 탑재하는 탑재부가 마련된 PET 병 이송유닛, 탑재부 내의 PET 병을 향해 세척수를 고압 분사하여 병 외면의 라벨을 제거해 주는 라벨제거유닛, PET 병 이송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병에 묻어있는 잔류 세척수 및 잔류 라벨을 탈락시킨 후 차기 유닛으로 PET 병을 이송시켜주는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페트병 라벨 제거장치를 개시한다.
등록특허 제1611928호는 외부 원통 부내의 중심축에 설치된 내부 회전 날부의 회전에 의한 회전 날과 외부 원통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 사이에 재활용 용기를 이동시키면서 라벨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의 라벨 제거장치는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의 장치이기 때문에 PET 병의 라벨을 제거하는데 효율적이지 못하여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PET 병의 재활용률을 높이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PET 병을 배출할 때 라벨을 제거하여 PET 병만을 배출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180891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9-00839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7524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119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으로 분리가 용이한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라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입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15)이 형성된 본체(10); 상기 입구(11)에 조립되는 마개(12)와,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라벨(100);을 포함하고, 상기 라벨(100)은, 상기 몸통부(17)를 감싸도록 상기 몸통부(17)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 1 라벨바디(110); 상기 제 1 라벨바디(110)의 일단(111) 및 타단(111)을 연결하여 상기 몸통부(17)를 감싸는 제 2 라벨바디(120);를 포함하며,상기 제 1 라벨바디(110)의 일단(111) 및 타단(11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라벨바디(120)의 일단(121) 및 타단(12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라벨바디(120)의 일단(121) 및 타단(122)을 따라 절개선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라벨바디(120)의 상하 높이의 중간을 지나는 가상의 선을 가로중심선(H)이라 할 때, 상기 제 1 라벨바디(110)의 상단(113) 및 제 2 라벨바디(120)이 상단(12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로중심선(H) 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제 1 상측절개홈(131) 및 제 2 상측절개홈(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라벨바디(110)의 하단(114) 및 제 2 라벨바디(120)이 하단(12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로중심선(H) 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제 1 하측절개홈(133) 및 제 2 하측절개홈(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라벨바디(120)의 상단(123)은 제 1 라벨바디(110)의 상단(113)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라벨바디(110)의 일단(111) 및 제 2 라벨바디(120)의 일단(121)과 오버랩되어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제 1 금속밴드(210); 및 상기 제 1 라벨바디(110)의 타단(112) 및 제 2 라벨바디(120)의 타단(122)과 오버랩되어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제 2 금속밴드(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라벨바디(120)의 상단(123) 및 하단(124)을 연결하고, 좌우 폭의 중간을 직교하는 가상의 선을 세로중심선(C)이라 할 때, 상기 제 1 금속밴드(210) 및 제 2 금속밴드(220)가 상기 세로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제 2 라벨바디 좌측 및 우측에 제 1 상측절개홈 및 제 2 상측절개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라벨의 찢어짐을 용이하게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제 1 상측절개홈 및 제 2 상측절개홈이 제 2 라벨바디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와 무관하에 라벨의 찢어짐을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라벨보다 연성이 낮고 경도가 높은 금속밴드가 절개선과 오버랩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라벨의 찢어짐을 효과적으로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금속밴드가 제 2 라벨바디의 배면에 부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금속밴드의 양측 가장자리를 통해 절개선을 용이하게 찢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사용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입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15)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입구(11)에 조립되는 마개(12)와,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라벨(10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하부를 형성하고, 지면과 접촉되는 받침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상기 입구(11) 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목부(16)가 형성되고, 상기 목부(16)에 상기 마개(12)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상기 마개(12)의 조립 시, 상기 마개(12)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단(14)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나사산의 하측에 상기 지지단(14)이 배치된다.
지지단(14)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라벨(100)은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된다. 상기 라벨(100)은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접착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라벨(100)이 부착되는 부분을 몸통부(17)라 정의한다.
몸통부(17)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17)를 감싸는 상기 라벨(100)도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라벨(100)은, 사용자가 쉽게 식별해서 잡고 뜯을 수 있도록, 붉은색 또는 형광색 또는 그밖에 주변부와 명확히 구별되는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라벨(100)은 상기 몸통부(17)를 감싸도록 상기 몸통부(17)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 1 라벨바디(110)와, 상기 제 1 라벨바디(110)의 일단(111) 및 타단(111)을 연결하여 상기 몸통부(17)를 감싸는 제 2 라벨바디(120)를 포함한다.
제 1 라벨바디(110)는 몸통부(17)를 수평방향으로 감싸게 형성된다.
제 1 라벨바디(110)의 상단(113) 및 하단(114)은 일직선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수평하게 배치된다.
제 1 라벨바디(110)의 일단(111) 및 타단(112)은 일직선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수직하게 배치된다.
제 1 라벨바디(110) 일단(111)이 제 2 라벨바디(120)의 일단(121)과 연결되어 형성되고, 제 1 라벨바디(110) 타단(112)이 상기 제 2 라벨바디(120)의 타단(122)과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 1 라벨바디(110) 일단(111) 및 제 2 라벨바디(120)의 일단(121)을 제 1 절개선으로 정의하고, 제 1 라벨바디(110) 타단(112) 및 제 2 라벨바디(120)의 타단(122)을 제 2 절개선으로 정의한다.
사용자가 제 2 라벨바디(120)를 잡아당길 경우, 제 1 절개선 또는 제 2 절개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찢어짐이 발생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라벨(100)을 본체(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제 2 라벨바디(120)의 상하 길이는 제 1 라벨바디(110)의 상하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라벨바디(120)의 상하 길이는 제 1 라벨바디(110) 상하길이의 110% 내지 120%일 수 있다.
제 2 라벨바디(120)의 일단(121) 및 타단(12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직선으로 형성된다.
제 2 라벨바디(120)의 일단(121)이 제 1 라벨바디(111)의 일단(111)과 일체로 형성되고, 제 2 라벨바디(120)의 타단(122)이 제 1 라벨바디(110)의 타단(1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 2 라벨바디(120)의 상측은 상측으로 뾰족한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제 2 라벨바디(120)의 하측은 하측으로 뾰족한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제 2 라벨바디(120)의 상단(123)은 제 1 라벨바디(110)의 상단(113)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제 2 라벨바디(120)의 하단(124)은 제 1 라벨바디(110)의 하단(114) 보다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제 2 라벨바디(120)의 상단(123) 및 하단(124)을 연결하고, 좌우 폭의 중간을 직교하는 가상의 선을 세로중심선(C)이라 정의한다.
제 2 라벨바디(120)의 상하 높이의 중간을 지나는 가상의 선을 가로중심선(H)이라 정의한다.
상기 일단(111)(121)은 세로중심선(C)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타단(112)(122)도 세로중심선(C)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단(111)(121)을 따라 스티치 형태의 절개선이 형성될 수 있고, 타단(112)(122)을 따라 스티치 형태의 절개선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라벨바디(110)의 상단(113) 및 제 2 라벨바디(120)이 상단(12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로중심선(H) 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제 1 상측절개홈(131) 및 제 2 상측절개홈(132)이 형성된다.
제 1 상측절개홈(131) 및 제 2 상측절개홈(132)은 상기 세로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상측절개홈(131) 및 제 2 상측절개홈(132)은 하측으로 뾰족한 삼각형 형상일 수 있고, 제 1 상측절개홈(131) 및 제 2 상측절개홈(132)의 각 하단(131c)(132c)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상측절개홈(131)은, 상기 제 1 라벨바디(110)의 상단(113)과 경사지게 연결된 제 1 상측경사부(131a)와, 상기 제 2 라벨바디(120)의 상단(123)과 경사지게 연결된 제 2 상측경사부(131b)를 포함한다.
제 1 상측경사부(131a) 및 제 2 상측경사부(131b)는 상기 제 1 상측절개홈(131)의 하단(131c)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 2 상측절개홈(132)은, 상기 제 1 라벨바디(110)의 상단(113)과 경사지게 연결된 제 3 상측경사부(132a)와, 상기 제 2 라벨바디(120)의 상단(123)과 경사지게 연결된 제 4 상측경사부(132b)를 포함한다.
제 3 상측경사부(132a) 및 제 4 상측경사부(132b)도 상기 제 2 상측절개홈(132)의 하단(132c)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 1 라벨바디(110)의 하단(114) 및 제 2 라벨바디(120)이 하단(12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로중심선(H) 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제 1 하측절개홈(133) 및 제 2 하측절개홈(133)이 형성된다.
제 1 하측절개홈(133) 및 제 1 상측절개홈(131)은 상기 가로중심선(H)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고, 제 2 하측절개홈(133) 및 제 2 상측절개홈(132)도 상기 가로중심선(H)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 2 라벨바디(120)의 상단(123)을 잡아 하측으로 당기는 동작을 통해 제 1 절개선 또는 제 2 절개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찢어짐이 발생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1 라벨바디(110) 및 제 2 라벨바디(120)를 본체(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상측절개홈(131) 및 제 2 상측절개홈(132)이 세로중심선(C)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절개선 또는 제 2 절개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찢어짐을 효과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제 2 라벨바디(120)의 상단(123)을 하측으로 잡아당기지 않고, 사선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제 1 상측절개홈(131) 및 제 2 상측절개홈(132)이 세로중심선(C)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왼손잡이와 오른잡이를 구분하지 않고 찢어짐을 유발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사용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벨(100)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제 2 라벨바디(120)의 상단(123') 및 하단(124')이 수평하게 형성된다.
제 2 라벨바디(120)의 상단(123')은 제 1 라벨바디(110)의 상단(113)과 일직선 상에 위치되고, 제 2 레발바디(120)의 하단(124')은 제 1 라벨바디(110)의 하단(114)과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제 2 라벨바디(120)의 상단(123') 및 제 1 라벨바디(110)의 상단(113)이 동일 높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품의 이송 또는 판매과정에서 제 1 상측절개홈(131) 및 제 2 상측절개홈(132)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사용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벨은, 제 1 절개선에 오버랩되는 제 1 금속밴드(210)와, 제 2 절개선에 오버랩되는 제 2 금속밴드(220)를 더 포함한다.
제 1 금속밴드(210) 및 제 2 금속밴드(220)은 라벨(100) 보다 연성이 낮고 경도가 높은 재질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력을 통해 찢어짐을 쉽게 유발할 수 있다.
제 1 금속밴드(210) 및 제 2 금속밴드(22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제 1 금속밴드(210) 및 제 2 금속밴드(220)는 세로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금속밴드(210)는 일단(111)(12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제 1 금속밴드(210) 및 제 2 금속밴드(220)는 라벨(100) 및 본체(10)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은닉될 수 있다.
제 1 금속밴드(210)는 제 1 상측절개홈(131)을 포함하는 폭으로 형성되고, 구체적으로 제 1 상측경사부(131a) 및 제 2 상측경사부(131b)를 포함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금속밴드(2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 1 스치티홈(215)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스티침홈(215)들은 세로중심선(C)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2 금속밴드(220)는 일단(112)(12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제 2 금속밴드(220)는 제 2 상측절개홈(132)을 포함하는 폭으로 형성되고, 구체적으로 제 3 상측경사부(132a) 및 제 4 상측경사부(132b)를 포함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금속밴드(22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 2 스치티홈(225)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티침홈(225)들은 세로중심선(C)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벨(100)은, 제 1 절개선에 제 1 금속밴드(210)가 배치되고, 제 2 절개선에 제 2 금속밴드(220)가 배치되기 때문에, 재질의 연성 또는 경도 차를 이용하여 찢어짐을 쉽게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사용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벨은, 제 1 절개선 및 제 2 절개선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밴드(2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금속밴드(250)는 라벨(100) 보다 연성이 낮고 경도가 높은 재질일 수 있다. 금속밴드(25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금속밴드(250)는 제 2 라벨바디(120) 및 본체(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라벨바디(120)의 배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제작될 수 있다.
금속밴드(250)의 좌측 가장자리(251)는 일단(111)(121)의 절개선 상에 배치되고, 금속밴드(250)의 우측 가장자리(252)는 타단(112)(122)의 절개선 상에 배치된다.
그래서 제 2 라벨바디(120)가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당겨질 경우, 라벨(100)과의 연성차 및 경도차를 통해 일단(111)(121)의 절개선 또는 타단(112)(122)의 절개선에서 찢어짐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금속밴드(250)의 좌측 가장자리(251) 및 우측 가장자리(252)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예리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 2 라벨바디(120)가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당겨질 경우, 제 2 라벨바디(120)의 일단(121) 또는 타단(122)을 용이하게 찢을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벨(100)은, 상기 몸통부(17)를 감싸도록 상기 몸통부(17)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 1 라벨바디(110)와, 상기 제 1 라벨바디(110)와 이격되고, 상기 몸통부(17)를 감싸도록 상기 몸통부(17)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 3 라벨바디(150)와, 상기 제 1 라벨바디(110)의 일단(111) 및 제 3 라벨바디(150)의 일단(15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라벨바디(110) 및 제 3 라벨바디(150)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라벨바디(110)의 타단(112) 및 제 3 라벨바디(150)이 타단(15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라벨바디(110) 및 제 3 라벨바디(150)를 연결하는 제 2 라벨바디(1200)를 포함한다.
제 2 라벨바디(1200)는 마개(12)를 경유하게 배치된다.
제 2 라벨바디(1200)는, 상기 제 1 라벨바디(110)의 일단(111) 및 제 3 라벨바디(150)의 일단(15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라벨바디(110) 및 제 3 라벨바디(150)를 연결하는 제 2-1 라벨바디(1210)와, 상기 제 1 라벨바디(110)의 타단(112) 및 제 3 라벨바디(150)이 타단(15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라벨바디(110) 및 제 3 라벨바디(150)를 연결하는 제 2-2 라벨바디(1220)와, 상기 제 2-1 라벨바디(1210) 및 제 2-2 라벨바디(1220)를 연결하는 제 2-3 라벨바디(1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1 라벨바디(1210) 및 제 2-2 라벨바디(1220)를 제 1 라벨바디(110)의 상단(113)까지라 정의하고, 상기 상단(113) 이상부터 마개(12)를 경유하는 부분을 제 2-3 라벨바디(1230)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4 실시예와 유사하게 2-1 라벨바디(1210) 및 제 2-2 라벨바디(1220)의 배면에 각각 금속밴드(250)가 배치될 수 있다.
2-1 라벨바디(1210)의 배면에 배치된 것을 제 1 금속밴드(250a)라 하고, 제 2-2 라벨바디(1220)의 배면에 배치된 것을 제 2 금속밴드(250b)라 한다.
제 2-3 라벨바디(1230)는 상기 마개(12)를 경유하게 배치되고, 상기 마개(12)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3 라벨바디(1230)가 상기 마개(12)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마개(12)의 개봉과정에서 제 2-1 라벨바디(1210) 및 제 2-2 라벨바디(1220)가 회전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 절개선 또는 제 2 절개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찢어짐이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금속밴드(250a) 및 제 2 금속밴드(250b)가 라벨(100)의 찢어짐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개(12)의 개봉과정에서 라벨(100)이 찢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라벨 분리과정이 요구되지 않고도 용기를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 1 금속밴드(250a) 및 제 2 금속밴드(25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오버랩되는 RFID 태그(3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RFID 태그(300)는 용기의 진품을 인증하기 위한 용도일 수 있고, 별도의 RFID 리더기(미도시)를 통해 RFID 태그(300)를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RFID 태그(300)는 제 1 금속밴드(250a)와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RFID 태그(300)의 좌측단(301) 또는 우측단(3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금속밴드(250)의 가장자리보다 더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금속밴드(250)의 좌측 가장자리(251) 보다 RFID 태그(300)의 좌측단(301)이 좌측으로 더 돌출되고, 금속밴드(250)의 우측 가장자리(252) 보다 RFID 태그(300)의 우측단(302)이 우측으로 더 돌출된다.
RFID 태그(300)는 제 1 절개선 및 제 2 절개선과 교차되고, 절개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RFID 리더기를 통한 RFID 태그(300)의 인식이 용이하도록, RFID 태그(300)는 금속밴드(250) 및 라벨(100) 사이에 배치된다. 즉 RFID 태그(300)는 금속밴드(250) 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라벨(100)에 의해 은닉된다.
상기 마개(12)의 개봉과정에서 제 2-1 라벨바디(1210) 및 제 2-2 라벨바디(1220)가 회전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 절개선 또는 제 2 절개선에 배치된 RFID 태그(300)는 금속밴드(250)에 의해 라벨(100)이 찢어지는 과정에서 손상될 수 있다.
즉, 상기 마개(12)의 개봉과정에서 상기 RFID 태그(300)가 손상되고, 용기의 개봉 후에는 RFID 태그(300)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RFID 리더기를 통해 용기의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로 설명하진 않았으나, 제 2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라벨 110 : 제 1 라벨바디
111 : 일단 112 : 타단
113 : 상단 114 : 하단
120 : 제 2 라벨바디 131 : 제 1 상측절개홈
132 : 제 2 상측절개홈 133 : 제 1 하측절개홈
134 : 제 2 하측절개홈 150 : 제 3 라벨바디
210 : 제 1 금속밴드 220 : 제 2 금속밴드

Claims (5)

  1. 입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15)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10);
    상기 입구(11)에 조립되는 마개(12); 및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몸통부(17)에 부착되는 라벨(100);을 포함하고,
    상기 라벨(100)은,
    상기 본체(10)를 감싸도록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 1 라벨바디(110);
    상기 제 1 라벨바디(110)와 이격되어 상기 몸통부(17)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 3 라벨바디(150); 및
    상기 제 1 라벨바디(110)와 상기 제 3 라벨바디(150)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마개(12)를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제 2 라벨바디(1200);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라벨바디(1200)는,
    상기 제 1 라벨바디(110)의 일단(111)과 상기 제 3 라벨바디(150)의 일단(151)을 연결하는 제 2-1 라벨바디(1210);
    상기 제 1 라벨바디(110)의 타단(112)과 상기 제 3 라벨바디(150)의 타단(152)을 연결하는 제 2-2 라벨바디(1220); 및
    상기 마개(12)를 경유하면서 상기 제 2-1 라벨바디(1210)과 상기 제 2-2 라벨바디(1220)를 서로 연결하는 제 2-3 라벨바디(1230);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1 라벨바디(1210)과 상기 제 2-2 라벨바디(1220) 각각에는 제 1 절개선 및 제 2 절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 2-1 라벨바디(1210)의 배면에 배치된 제 1 금속밴드(250a);
    상기 제 2-2 라벨바디(1220)의 배면에 배치된 제 2 금속밴드(250b); 및
    상기 제 1 금속밴드(250a)와 중첩되면서 상기 제 1 금속밴드(250a)와 상기 라벨(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라벨(100)에 의해 은닉되는 RFID 태그(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RFID 태그(300)는, 상기 제 1 절개선 및 상기 제 2 절개선과 교차되면서, 상기 RFID 태그(300)의 좌측단(301)과 우측단(302)이 상기 제 1 금속밴드(250a)와 상기 제 2 금속밴드(250b) 중 적어도 하나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돌출되게 배치되는,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라벨바디(1200)의 상하 높이의 중간을 지나는 가상의 선을 가로중심선(H)이라 할 때,
    상기 제 2-1 라벨바디(1210) 및 상기 제 2-2 라벨바디(122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가로중심선(H) 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제 1 상측절개홈(131) 및 제 2 상측절개홈(132)을 더 포함하는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1 라벨바디(1210) 및 상기 제 2-2 라벨바디(122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상측절개홈(131) 및 상기 제 2 상측절개홈(132)과 대향하여 상기 가로중심선(H) 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제 1 하측절개홈(133) 및 제 2 하측절개홈(134)을 더 포함하는 용기.
  4. 삭제
  5. 삭제
KR1020210137252A 2021-10-15 2021-10-15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라벨 KR102413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252A KR102413793B1 (ko) 2021-10-15 2021-10-15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라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252A KR102413793B1 (ko) 2021-10-15 2021-10-15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라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793B1 true KR102413793B1 (ko) 2022-06-28

Family

ID=82268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252A KR102413793B1 (ko) 2021-10-15 2021-10-15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라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79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0891B1 (ko) 1997-01-31 1999-05-15 김상응 Pet병의 라벨 스트리퍼 및 라벨 스트리퍼를 사용한 라벨 제거방법
KR200157058Y1 (ko) * 1997-06-13 1999-09-15 신영수 라벨
KR19990083998A (ko) 1999-09-06 1999-12-06 김준연 페트병라벨제거장치
KR100875241B1 (ko) 2007-06-27 2008-12-19 이상웅 패트병용 라벨제거장치
US20090045959A1 (en) * 2007-08-16 2009-02-19 Lottabase, Llc. Beverage container authenticity and provenance devices and methods
JP2009249002A (ja) * 2008-04-07 2009-10-2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シュリンクラベル用原反およびシュリンクラベル付き容器
JP2015104315A (ja) * 2013-11-28 2015-06-08 株式会社スズパック おにぎり包装材及び該包装材に包装されたおにぎり包装体
KR101611928B1 (ko) 2014-02-12 2016-05-09 주식회사삼동이엔티 재활용 용기의 라벨 제거 장치
KR102089261B1 (ko) * 2019-07-23 2020-03-16 김동영 분리 배출이 용이한 페트병의 라벨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0891B1 (ko) 1997-01-31 1999-05-15 김상응 Pet병의 라벨 스트리퍼 및 라벨 스트리퍼를 사용한 라벨 제거방법
KR200157058Y1 (ko) * 1997-06-13 1999-09-15 신영수 라벨
KR19990083998A (ko) 1999-09-06 1999-12-06 김준연 페트병라벨제거장치
KR100875241B1 (ko) 2007-06-27 2008-12-19 이상웅 패트병용 라벨제거장치
US20090045959A1 (en) * 2007-08-16 2009-02-19 Lottabase, Llc. Beverage container authenticity and provenance devices and methods
JP2009249002A (ja) * 2008-04-07 2009-10-2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シュリンクラベル用原反およびシュリンクラベル付き容器
JP2015104315A (ja) * 2013-11-28 2015-06-08 株式会社スズパック おにぎり包装材及び該包装材に包装されたおにぎり包装体
KR101611928B1 (ko) 2014-02-12 2016-05-09 주식회사삼동이엔티 재활용 용기의 라벨 제거 장치
KR102089261B1 (ko) * 2019-07-23 2020-03-16 김동영 분리 배출이 용이한 페트병의 라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814B1 (ko) Pet 병으로부터 제거가 용이한 라벨 및 그 제조방법
US20210163187A1 (en) Tamper evidence bridges
KR20200002518U (ko) 라벨 제거가 용이한 페트병
KR102089261B1 (ko) 분리 배출이 용이한 페트병의 라벨
PL180383B1 (pl) Zakretka, zwlaszcza do butelek PL PL PL PL PL PL PL
US20060283828A1 (en) Cap means
KR200488369Y1 (ko) 개선된 분리구조를 갖는 라벨지
JP5110585B2 (ja) 紙容器溶着用上蓋付き注出栓
US20070108153A1 (en) Drinking and pouring closure with a piercing cutter device for composite packagings or container and bottle spouts sealed with a film material
KR102413793B1 (ko)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라벨
KR20210112996A (ko) 병뚜껑을 열 때 자동으로 분리되는 pet 병용 라벨
CA3111594A1 (en) Tethered plastic screw stopper
KR102248418B1 (ko) 페트용기 뚜껑
KR102536051B1 (ko) 수축 라벨필름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방법
US20080179353A1 (en) Drip-catching apparatus for a bottle
US20140183078A1 (en) Removable label and method
WO2007045894A1 (en) Closure caps and bottles or containers to receive same
EP0703155A1 (en) Plastic closure with tamper evident ring
US20230144854A1 (en) Labe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label manufactured by same label manufacturing apparatus
KR102290551B1 (ko) 플라스틱 용기
KR20200115398A (ko) 재활용이 용이한 플라스틱 용기
JP5076643B2 (ja) シュリンクラベル付き容器
CN216103695U (zh) 一种酒瓶外接防伪装置
KR20230001089U (ko) 분리가 용이한 액체용기 마개
KR20230140057A (ko) 분리가 용이한 음용수 용기용 라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