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551B1 - 플라스틱 용기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0551B1 KR102290551B1 KR1020200045136A KR20200045136A KR102290551B1 KR 102290551 B1 KR102290551 B1 KR 102290551B1 KR 1020200045136 A KR1020200045136 A KR 1020200045136A KR 20200045136 A KR20200045136 A KR 20200045136A KR 102290551 B1 KR102290551 B1 KR 1022905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body
- lid
- cutter
- flange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42—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42—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 B65D23/085—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and glued or otherwise sealed to the bott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용기의 개봉유무를 플랜지 외주링의 파손유무로 확인할 수가 있고, 뚜껑을 개봉할 때는 뚜껑의 잔재물로서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로 된 링을 용기 본체에 남기지 않으며, 라벨지 필름을 용기 본체에 부착하기 위해서 점착제나 접착제도 사용하지 않는, 신개념의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뚜껑 단부 원주상에는 두터운 절단날부와 두께가 얇은 꼬리부로 구성된 커터를 1개 이상 개설하고, 용기 본체와 뚜껑 사이에 나사부가 개입되어서 체결하였을 때에는, 뚜껑 단부 원주상에 개설한 1개 이상의 커터는 용기 본체와 일체화로 사출 성형한 플랜지상에 있어서 그 상하는 관통되어 있고 플랜지 내주링에서 외주링 방향에 걸쳐서 슬립면이 구성되어 있는 커터 수납공간을 적어도 커터의 개수만큼 구성되게 하여서 (각각)수납되고,
용기 본체와 뚜껑이 체결된 상태하에서 뚜껑을 열 때에는, 커터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있던 적어도 1개 이상의 (각)커터는 커터 수납공간의 슬립면을 따라가며 플랜지 외주링을 파단하고 나서 뚜껑과 함께 제거되고,
용기 본체에 부착하는 라벨지 필름에는, 단부의 어느 한쪽 이상에 명도차를 선명히 한 스틱형의 뜯음부와 함께 이 뜯음부를 중신으로 해서 그 좌우 양쪽에는 V노치를 구성하고, 이 때 라벨지 필름 재질이 용기 본체의 재질과 동일할 때는 레이저를 사용해서 용기 본체에 직접 용착하고, 라벨지 필름이 용기 본체의 재질과 상이한 열수축 필름일 때는 인쇄된 열수축 필름을 소정의 사이즈로 미리 재단을 하고 그 양 끝단이 겹치도록 레이저를 사용해서 용착한 후에 용기 본체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뚜껑 단부 원주상에는 두터운 절단날부와 두께가 얇은 꼬리부로 구성된 커터를 1개 이상 개설하고, 용기 본체와 뚜껑 사이에 나사부가 개입되어서 체결하였을 때에는, 뚜껑 단부 원주상에 개설한 1개 이상의 커터는 용기 본체와 일체화로 사출 성형한 플랜지상에 있어서 그 상하는 관통되어 있고 플랜지 내주링에서 외주링 방향에 걸쳐서 슬립면이 구성되어 있는 커터 수납공간을 적어도 커터의 개수만큼 구성되게 하여서 (각각)수납되고,
용기 본체와 뚜껑이 체결된 상태하에서 뚜껑을 열 때에는, 커터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있던 적어도 1개 이상의 (각)커터는 커터 수납공간의 슬립면을 따라가며 플랜지 외주링을 파단하고 나서 뚜껑과 함께 제거되고,
용기 본체에 부착하는 라벨지 필름에는, 단부의 어느 한쪽 이상에 명도차를 선명히 한 스틱형의 뜯음부와 함께 이 뜯음부를 중신으로 해서 그 좌우 양쪽에는 V노치를 구성하고, 이 때 라벨지 필름 재질이 용기 본체의 재질과 동일할 때는 레이저를 사용해서 용기 본체에 직접 용착하고, 라벨지 필름이 용기 본체의 재질과 상이한 열수축 필름일 때는 인쇄된 열수축 필름을 소정의 사이즈로 미리 재단을 하고 그 양 끝단이 겹치도록 레이저를 사용해서 용착한 후에 용기 본체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라스틱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용기를 개봉하였을 때 그 개봉유무를 플랜지의 파손유무로 확일할 수가 있고, 사용 후 용기를 처분할 때에는 뚜껑의 잔재물인 링을 용기 본체에 남기지 않으면서 용기 본체에 부착하였던 라벨지 필름도 손쉽게 제거할 수가 있는 것으로, 용기 본체와 뚜껑 및 라벨지 필름의 각각을 용도별로 또는 재질별로 손쉽게 분류하고 회수하여서 재활용률할 수 있는 플라스틱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플라스틱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분야는 주스나 생수 등의 음료수를 포장하는 용기 분야이지만, 플라스틱 용기는 그밖에도 액체상 또는 고체상의 식품류나 의약품류 및 화공약품류 등을 포장하는 분야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플라스틱의 용기는, 일반적으로는 용기 본체(뚜껑을 제외한 병이나 통. 이하 용기 본체라고 함)와 이를 밀봉/밀폐하기 위한 뚜껑 및 용기 본체 내의 내용물 등을 설명해 주는 라벨지로 구성된다.
그리고 주스나 물 등의 음료수를 포장하는 용기에 있어서는, 용기 본체의 재질로서는 주로 페트(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있고, 뚜껑의 재질로서는 폴리에틸렌(PE)나 폴리프로필렌(PP) 등과 함께 금속류(스틸, 알루미늄합금 등)를, 그리고 라벨지로서는 폴리스틸렌(PS) 등을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본 발명에서는, 용기 본체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면 그의 뚜껑 재질이 플라스틱류나 또는 금속류로 구성되어 있어도 이들의 조합은 플라스틱 용기라고 칭한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 용기라고 하더라도 용기 본체와 뚜껑 및 라벨지 등에 사용되고 있는 재질은 서로 다르다 보니, 사용이 끝나서 폐기처분하는 용기 본체에는, 용기 본체의 플라스틱 재질(예, 페트. 도 7의 10)과는 그 재질이 상이한, 예를 들면 제품의 개봉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었던 뚜껑의 잔재물인 링(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금속류 등. 도 7의 21)과 제품을 설명해 놓은 라벨지 필름(예,폴리스틸렌) 및 라벨지 필름을 부착하기 위해서 사용하였던 점착제나 접착제 성분 등이, 소비자에 의해서는 완벽하게 제거되지 못한 채 남겨지고 있다.
때문에, 예를 들면 용기 본체(10)로서 사용하였던 페트병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고 임금의 인력을 동원해서 이들 용기 본체(10)에 남겨져 있는 링(21)과 라벨지 필름을 하나 하나 분리해 내기도 하고, 기계를 도입해서 파쇄와 세척 및 비중차를 이용해서 이들을 걸러내기 위한 분리 공정을 반복해 가며 이루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하여서 얻어진 페트 프레이크(FET Flake)라고 하여도 여기에는 이물질이 여전히 남아 있어서, 국내의 현 기술로서는 이것을 가지고 용기 본체의 페트병 재질의 원료로서는 재사용(Bottle to Bottle, 이하 B to B라고 함)을 못하고 있고, 그 밖의 용도, 예를 들면 재료 단가가 낮은 섬유(예, 부직포 카페트 등) 등으로 전용하고 있을 정도에 지나지 않고 있다. 그리고 페트의 재질은 연소 발열량도 매우 낮다. 그래서 페트병만을 가지고서는 고형 연료로서도 사용할 수가 없다. 때문에, 페트병 회수 업자들은 페트병을 회수해서 페트 프레이크로 가공도 하지만 고형연료 등으로 처분도 하기 위해서, 페트병을 버릴 때는 연소 발열량이 높은 뚜껑과 라벨지를 제거하지 말고 함께 버려줄 것을 요구까지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 플라스틱 용기의 개봉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도 7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뚜껑(31)과 브릿지 구조(20)로 연결되어 있는 링(21)이 뚜껑(31)을 개봉할 때에 탈락 되어서 용기 본체(10)에 남겨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때문에, 예를 들면 용기 내에 포장되어 있는 내용물이 고가인 경우에는 타의 저렴한 것으로 대체하고 나서 링(21)을 제거한 후에 뚜껑(31)만을 새것으로 교환하여도, 소비자는 용기 내에 들어 있는 내용물의 진위를 확인할 방법도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첫째는, 플라스틱 용기의 개방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뚜껑을 열 때는 종래와 같이 용기 본체의 재질과는 그 재질이 상이한 뚜껑의 일부인 링을 용기 본체에 남기도록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용기본체에 용기 본체와 동일한 재질로 사출 성형된 플랜지의 일부가 손상되도록 하여서, 손상된 플랜지의 파손 유무를 확인하는 것으로써 그 개봉유무를 학인 할 수가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둘째는, 용기 본체와 뚜껑이 체결되어 있는 상태하에서 뚜껑을 열 때는, 종래는 도 7에서와 같이, 용기 본체(10)의 재질과는 그 재질이 상이한 뚜껑(31)의 잔재물로서 링(21)을 용기 본체(10)에 남겨서 용기 본체(10)를 재활용하는데 인적 또는 기계적으로 이를 필히 제거해야 할 문제점을 남겼으나, 본 발명에서는 뚜껑에 링을 구성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뚜껑의 그 어떠한 잔재물도 용기 본체에 남기지 않는 구조를 제공하여서, 플라스틱 재질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 용기 본체와 뚜껑이라도 폐기 처분할 때는 이들을 재질별로 또는 용도별로 추가적 비용없이도 완벽하게 분류되어 회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끝난 용기 본체는 재활용 해서 다시 용기 본체의 원료 재료로 재사용할 수가 있는, B to B의 플라스틱의 순환사회를 이루는데 공헌하고자 한다.
세째는, 종래 사용이 끝난 폐플라스틱 용기 본체에는, 라벨지 필름과 함께 라벨지 필름을 용기 본체에 부착하기 위해서 사용하였던 점착제나 접착제 성분이 그대로 남아있는 것도 많다. 용기 본체를 재활용 하고자 할 때는, 이들 라벨지 필름과 점착제나 접착제 성분도 제거하지 아니하면 안 된다. 이 또한 인적이나 기계적인 방법 등을 도입하여서 해결하기도 하지만, 충분한 방법이라고는 볼 수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라벨지 필름을 용기 본체에 부착하기 위해서, 점착제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여서 해결하고 있다. 더하여서, 용기 본체에 부착되어 지는 본 발명의 라벨지 필름은, 사용 후 사용자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수단도 제공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 본체와 라벨지 필름 및 뚜껑으로 구성하는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뚜껑의 단부(端部) 원주상에는 단부보다 돌출된 형상으로서 1개 이상의 커터를 개설하고, 용기 본체에 있어서 뚜껑과 체결되기 위해서 구성하고 있는 체결부의 아래쪽에는 뚜껑의 외경보다 그 직경이 더 큰 플랜지를 구성하고, 용기 본체와 뚜껑을 체결하였을 때에 뚜껑에 개설되어 있는 1개 이상의 커터는, 플랜지상에 있어서 그 상하는 관통되어 있고 플랜지의 내주링에서 플랜지 외주링 방향에 걸쳐서 슬립면이 구성된 커터 수납공간을 커터의 개수만큼 구성하여서 여기에 (각각)수납되도록 하고, 용기 본체와 뚜껑이 체결된 상태하에서 뚜껑을 열 때에는, (각)커터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있던 1개 이상의 (각)커터는 커터 수납공간에 구성되어 있는 슬립면을 따라가면서 플랜지 외주링을 파단하고 나서 뚜껑과 함께 제거되도록 한다.
그리고 뚜껑 단부에 개설하는 커터의 형상은, 그 절단날부의 두께는 두텁고 꼬리부는 얇게 구성한다.
그리고 용기 본체에 부착하는 라벨지 필름은, 상하 단부의 어느 한쪽 이상에 명도차를 선명히 하면서 손끝에 의해서도 간단히 끄집어 낼 수있는 구조로서 스틱형의 뜯음부를 구성하고, 이 뜯음부를 중심으로 해서 그 좌우 양쪽에는 V노치를 구성한다. 그리고 라벨지 필름 재질이 용기 본체의 재질과 동일할 때는, 레이저를 사용해서 인쇄된 라벨지 필름의 양 끝단을 용기 본체에 직접 점이나 선 또는 면의 형태로 용착 부착하고, 라벨지 필름 재질이 용기 본체의 재질과 상이한 열수축 필름일 때는, 인쇄된 열수축 필름을 소정의 사이즈로 미리 재단을 하여 그 양 끝단이 겹치도록 한 후에 레이저를 사용해서 점이나 선 또는 면의 형태로서 용착하고, 용기 본체에는 이것을 도입한 후에 열로서 피팅하여 완성한다.
그리고 커터 수납공간의 외측에 있는 플랜지 외주링에는, 노치나 절취선과 같이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서 파열이나 파단되기가 쉬운 형태의 절개부를 구성하기도 한다. 이 절개부는 용기 본체와 체결부에 의해 체결되어 있던 뚜껑을 열 때에 절단날부에 가해지는 작은 힘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파열이나 파단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1) 플라스틱 용기 본체와 뚜껑을 체결한 상태 하에서 뚜껑을 열 때는,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뚜껑의 일부인 링을 용기 본체에 남기지 않으면서 용기 본체의 일부인 플랜지만을 손상하기 때문에, 용기의 개봉유무는 이와 같은 플랜지의 손상유무로 확인할 수 있는 새로은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2) 본 발명은, 용기 내에 밀봉되어 있던 내용물을 임의로 교환하였을 때에는 용기 본체상의 플랜지를 필히 손상하기 때문에, 용기 내의 내용물을 위조하거나 교환하는 일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가 있다.
3) 재질이 상이한 플라스틱 용기 본체와 뚜껑을 체결한 상태 하에서 뚜껑을 열 때는,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용기 본체에는 뚜껑의 잔재물인 링을 남기지 않기 때문에, 사용 후의 용기 본체는 용기 본체대로 뚜껑은 뚜껑대로 완벽하게 분리 배출과 회수가 가능하다. 때문에, 용기 본체로 사용하였던 것은 다시 용기 본체의 재질로(B to B), 뚜껑으로 사용하였던 것은 다시 뚜껑의 재질로(Cap to Cap) 플라스틱의 순환사회를 실현하는데 공헌할 수가 있다.
4) 본 발명에서의 레이저를 도입하여 용기 본체에 라벨지 필름을 직접 용착하거나 부착되게 하는 일은,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용기 본체와 라벨지 필름 사이에 사용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동질화도 이룰 수가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와 라벨지 필름에는 종래와 같이 점착제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용기 본체는 용기 본체대로 라벨지 필름은 라벨지 필름대로 분류 배출과 회수하는 일이 용이하여서, 라벨지 필름에 대한 재활용률의 극대화도 이룰 수가 있다.
도 1은, 뚜껑 단부(7) 원주상에 커터(2)가, 그리고 용기 본체(6)상 플랜지(5)에는 커터 수납공간이 구성되어 있는 일 예와 함께, 체결구인 나사(9)에 의해서 용기 본체(6)와 뚜껑(1)이 체결되어 있는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뚜껑 단부(7)원주상에 다수의 커터(2)가 구성되어 있는 일 예와 함께, 커터를 확대 묘사한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뚜껑의 안쪽에서 바라본 커터 구성 일 예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용기 본체(6)의 플랜지상에 커터 수납공간(A, 12)을 다수 구성한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4에서 A부분의 커터 수납공간(12)을 확대한 것으로서, b1은 커터(2)가 커터 수납공간(12)에 수납되기 전의 상태(용기 본체와 뚜껑은 미체결 상태), b2는 커터(2)가 커터 수납공간(12)에 수납된 상태(용기 본체와 뚜껑은 체결 상태), 및 b3은 용기 본체(6)와 뚜껑(1)이 체결된 상태하(b2)에서 뚜껑(1)이 열리면서 커터(2)가 플랜지 외주링의 절개부(15)를 파단한 상태(16)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용기 본체(6)로부터 뚜껑이 제거되면서 플랜지 외주링이 절단된 상태(16)를 나타내고 있는 일 예로서, 용기 본체(6)에는 라벨지 필름(28)의 형상 일 예와 함께 이 라벨지 필름(28)이 레이저에 의해 용착(27)된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종래 일반적인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뚜껑(31)을 열었을 때에 용기 본체(10)에 남겨진 뚜껑의 잔재물인 링(21)과 그 연결부인 브릿지(20)의 양상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뚜껑 단부(7)원주상에 다수의 커터(2)가 구성되어 있는 일 예와 함께, 커터를 확대 묘사한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뚜껑의 안쪽에서 바라본 커터 구성 일 예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용기 본체(6)의 플랜지상에 커터 수납공간(A, 12)을 다수 구성한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4에서 A부분의 커터 수납공간(12)을 확대한 것으로서, b1은 커터(2)가 커터 수납공간(12)에 수납되기 전의 상태(용기 본체와 뚜껑은 미체결 상태), b2는 커터(2)가 커터 수납공간(12)에 수납된 상태(용기 본체와 뚜껑은 체결 상태), 및 b3은 용기 본체(6)와 뚜껑(1)이 체결된 상태하(b2)에서 뚜껑(1)이 열리면서 커터(2)가 플랜지 외주링의 절개부(15)를 파단한 상태(16)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용기 본체(6)로부터 뚜껑이 제거되면서 플랜지 외주링이 절단된 상태(16)를 나타내고 있는 일 예로서, 용기 본체(6)에는 라벨지 필름(28)의 형상 일 예와 함께 이 라벨지 필름(28)이 레이저에 의해 용착(27)된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종래 일반적인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뚜껑(31)을 열었을 때에 용기 본체(10)에 남겨진 뚜껑의 잔재물인 링(21)과 그 연결부인 브릿지(20)의 양상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뚜껑>
커터(2)가 구성되어 있는 뚜껑(1)의 일 예를 도 1~3과 도 5에 나타내었다. 뚜껑에 사용되는 재질은, 플라스틱 이외에도 금속류(예, 스틸 알루미늄(합금) 등)도 사용할 수가 있다.
커터(2)는 뚜껑 단부(7)의 원주상에, 적어도 1개(곳)(이하, 커터의 숫자표시를 개라고 함) 이상을 개설한다. 종래는 이곳에 용기의 개봉유무를 확인해줄 수 있는 링(21)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커터(2)의 개수를 다수로 해서 뚜껑(1) 단부(7)의 원주상에 개설할 때에는, 커터와 커터 사이를 등간격이나 등각도로 개설하는 것이, 용기 본체(6)에 개설하는 플랜지(5)상의 커터 수납공간(A, 12)과의 수납 적합성 때문에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할 수가 있다. 그렇다고 등간격이나 등각도에 따르지 않는다고 해서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서는, 커터(2)와 커터(2) 사이의 간격을 일정히 해서 뚜껑 단부의 원주상에 다수의 커터를 개설한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물론 커터(2)는 1개만 개설하여도 좋다.
그리고 커터(2)를 개설함에 있어서는, 도 1~3과 도 5에 나타내고 있는 방법 이외에도, 뚜껑 단부 원주상의 폭을 보다 넓게 구성하면서, 그 내주면에는 커터를 개설하고 그 외주면에는 커터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막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도 생각할 수가 있다(예시 도는 생략).
본 발명에서의 커터(2)의 형상 일 예를 도 2~3과 도 5에 나타내었다.
커터(2)는 용기 본체(6)와 일체화로 사출 성형한 플랜지(5)상에 있어서, 플랜지의 외주링(11)을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커터(2)의 형상은 용기 본체(6)에 뚜껑(1)을 체결할 때의 방향, 즉 오른 나사처럼 뚜껑을 닫는(잠그는)방향의 꼬리부로 갈수록 그 두께를 낮게 구성하고(예, t) 열리는 방향의 절단날부(4)로 갈수록 그 두께를 H와 같이 높이 구성한다.
이와 같이 커터 절단날부(4)의 두께(H)를 두텁게 하면서 꼬리부를 얇게(t) 구성하는 이유는, 용기 본체(6)와 뚜껑(1)을 완전히 체결하는 단계에 있어서 두께가 얇은 커터(2)의 꼬리부가, 커터 수납공간(A, 12)과 인접하는 또다른 커터 수납공간(A, 12) 사이에 구성되어 있는 턱(17)에 걸리지 않고 또는 걸리더라도 미끄러지면서 인접하는 또 다른 커터 수납공간(A,12)에 무난히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고, 두께를 두텁게한 절단날부(4)는 뚜껑(1)을 열 때에 커터(2)가 플랜지 외주링(11)을 절단하거나 파손하기 위해서는 플랜지의 외주링(11)보다는 강성이 필요해야 하는 점과 함께, 커터(2)가 커터 수납공간(A,12)에 수납되어 있을 때는 뚜껑(1)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뚜껑(1)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 역할(록킹 작용)도 기대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커터 수납공간(A, 12)에 수납되어 있는 커터(2)의 절단날부(4)의 방향도, 가능하면 플랜지의 외주링(11) 쪽을 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뚜껑(1)을 열 때에 커터(2)의 진행방향을 플랜지 외주링(11) 쪽으로 안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고, 커터의 절단날부(4)가 플랜지의 외주링(11)을 손쉽게 파단(파손)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의 확대 묘사도에서는, 커터(2)의 형상 일 예를 나타내었다.
커터(2)를,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구성하고 있을 때에는 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절단날부(4)를 플랜지의 내주링 쪽이 절단된 형상으로서 샤프한 유선형처럼 구성하면 좋고, 금속으로 구성할 때는 플라스틱 절단날부(4)처럼 절단된 형상이 어렵다면 단순히 구부러지진 형상으로 도입하여도 된다(예시 도 생략).
커터(2)의 형상을 이와 같이 구성을 하고, 후술하는 용기 본체(6)의 플랜지(5)상에 개설하고 있는 커터 수납공간(A,12)상에도 플랜지 내주링(13)에서 플랜지 외주링(11) 쪽에 걸쳐서 경사진 슬립면(14)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뚜껑(1)을 열 때는 플랜지 외주링(11)으로 향하게 구성한 절단날부(4)와 함께 경사진 슬립면(14)에 의해서 커터(2)는 자연스럽게 플랜지 외주링(11) 쪽으로 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커터(2)의 절단날부(4)와 슬립면(14) 사이에서는 마찰을 줄이고 절단날부(4)의 첨두부에서는 플렌지 외주링(11)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력도 한층 집중시킬 수도 있게 된다.
<용기 본체와 플랜지 및 커터 수납공간 >
용기 본체(6)와 플랜지(5) 및 플랜지상에 구성되어 있는 커터의 수납공간(12)의 일 예를 도 1과 도 4~6에 나타내었다.
용기 본체(6)의 전체적인 형상은 종래의 그것과 대동소이하다. 상이점이라고 하면 용기 본체(6)와 일체화로 사출 성형한 플랜지(5)상에 커터 수납공간(A,12)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서의 플랜지(5)의 위치는 용기 본체(6)와 뚜껑(1)을 체결하였을 때에 뚜껑 단부(7)가 닿을 정도의 곳에 위치한다. 그리고 플랜지(5)의 외경은 뚜껑(1)의 그것과 동일하게 할 수도 있고 작게도 할 수가 있으며 더 크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뚜껑과 플랜지의 형상과 이들 재료 사용량의 비용 등을 고려하면, 뚜껑의 외경보다는 그래도 플랜지의 외경의 크기를 더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가 있다.
그리고 플랜지(5)에는 뚜껑 단부(7)에 개설하고 있는 커터(2)를 수납하기 위한 커터 수납공간(A,12)으로서, 플랜지 외주링(11)과 플랜지 내주링(13) 사이에 상하는 관통하면서 커터(2)가 충분히 수납될 수 있도록 커터(2)의 길이와 폭보다는 여유를 두어서 길고 넓게 구성한다. 그리고 커터 수납공간(A,12)의 개설 수는 뚜껑(1)에 개설한 커터(2)의 개수와 적어도 동일하게 구성하지 아니하면 안 되고, 뚜껑(1)에 개설하는 커터(2)의 개수가 많을 때에는 뚜껑에 개설한 다수 개의 커터(2)들의 일 예 처럼, 플랜지(5)의 원주상에도 등간격이나 일정한 각도로 설정하는 것이 제작상 유리하다고 할 수가 있다.
도 4에서는 도 1에서 개설하고 있는 다수 개의 커터(2)에 맞춰서 용기 본체(6)의 플랜지(5)상에도 다수 개로 개설한 커터 수납공간(A)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때 주의할 점은, 용기 본체(6)의 플랜지(5)상에 개설하는 커터 수납공간(A,12)은, 용기 본체(6)와 뚜껑(1)을 체결하였을 때에 뚜껑(1)에 개설하고 있는 커터(2)의 위치와 일치되어 있지 아니하면 수납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점이다. 즉, 커터(2)가 커터 수납공간(A,12)상에 완전히 수납되어 있지 않고 턱(17)에 걸쳐저 있으면, 커터(2)는 플랜지의 외주링(11)을 절단하는 일이 불완전 하게 되고, 용기 본체(6,10)와 뚜껑(1) 사이에 록킹하는 일도 불완전 하게 된다.
그리고 커터 수납공간(A,12)에 있어서는, 커터(2)의 절단날부(4)가 수납되는 쪽의 플랜지 내주링(13)에서 플랜지 외주링(11) 방향에 걸쳐서 경사진 슬립면(14)을 구성한다. 이 슬립면(14)은, 용기 본체(6)와 뚜껑(1)을 체결한 상태하에서 뚜껑(1)을 열 때, 커터 수납공간(A,12)에 수납되어 있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각)커터(2)는 플랜지 외주링(11)으로 유도되면서 플랜지 외주링(11)을 용이하게 절단하기 위해서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플랜지 외주링(11)에는, 노치나 절취선과 같이 파단이나 절개가 용이한 절개부(15)를 구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 절개부(15)는 뚜껑을 열 때, 커터(12)의 절단날부(4)에 모아진 절단력에 의해서 플랜지 외주링(11)을 용이하게 파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때문에 절개부(15)는 플랜지 외주링(11)의 전면에 걸쳐서 구성하여도 좋고, 도 4~5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절단날부(4)의 첨두부가 닿는 곳의 주위에만 구성하여도 좋다.
<라벨지 필름>
도 6에는 용기 본체(6)와 체결되어 있던 뚜껑은 제거된 상태로서, 뚜껑이 제거되면서 플랜지 외주링이 절단(16)된 상태의 일 예와 함께, 라벨지 필름(28)이 용기 본체(6)에 부착되어 있는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용기 본체(6)에 부착하는 제품 설명용 인쇄 라벨지 필름(28)은, 그 상하 어느 한쪽 단부에는 명도차를 넣어서 선명하게 인쇄를 하고,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사용해서 간단하게 뜯어내기 쉬운 형상으로서, 스틱형의 뜯음부(25)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 뜯음부(25)를 중심으로 해서 그 좌우 양쪽에는 V자형의 노치(26)를 구성한다.
스틱형의 뜯음부(25)는, 내용물을 소비하고 나서 용기 본체(6)를 회수하기 위해서 설치해둔 회수통에 버리기에 앞서서, 소비자 자신 또는 관리자 등에 의해서 이 뜯음부(25)를 잡고 그 아래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라벨지 필름(28)은 두 개의 노치(26)를 따라 파열하면서 쉽게 벗겨낼 수가 있게 된다.
그 결과 뚜껑(1)은 뚜껑(1)대로, 용기 본체(6)는 용기 본체(6)대로, 그리고 라벨지 필름(28)은 라벨지 필름(28)대로, 플라스틱의 용기를 구성하고 있던 구성품을 재질별로 또는 용도별로 분류하는 것이 매우 쉬워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뜯음부(25)가 구성된 제품 설명용 인쇄 라벨지 필름(28)을 용기에 부착할 때는, 점착제나 접착제 성분은 일체 사용하지 않고, 레이저를 도입하여서 직/간접적으로 용기 본체(5)에 부착한다.
레이저를 도입해서 용기 본체(6)에 라벨지 필름(28)을 직접 용착되게 하여 부착하는 것은, 용기 본체(6)와 라벨지 필름(28)의 재질을 동일하게 구성할 경우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6)의 재질이 페트이면 라벨지 필름(28) 재질도 페트를 사용하고, 용기 본체(6) 재질이 폴리에틸렌이면 라벨지 필름(28)의 재질도 폴리에틸렌 등과 같이, 사용하는 재질을 동일시 하는 경우이다. 이렇게 용기 본체(6)와 라벨지 필름(28)을 동일한 재질로 구성을 하면, 첫째 레이저에 의해서 라벨지 필름(28)을 용기 본체(6)에 직접 용착하는 것이 대단히 용이하다는 것, 둘째 용기 본체(6)에 레이저에 의해서 용착된 라벨지 필름(28)을 떼어 냈을 때에도 용착되어 있던 라벨지 필름(28) 잔재물은 미미해서 용기 본체(6)에 남겨진다고 하여도 용기 본체(6)를 회수하여서 동일한 용기 본체의 재료로 다시 재활용하는 데(B to B)는 큰 어려움이 없어서, 플라스틱의 순환사회를 실현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레이저를 사용해서 용기 본체(6)에 라벨지 필름(28)을 용착하기 위해서는, 라벨지 필름(28)의 측면 시작부를 먼저 점이나 선 또는 면의 형태로서 용기 본체에 직접 용착을 하고, 종착부의 단부를 그 후에 또다시 점이나 선 또는 면의 형태로서 용기 본체에 추종해서 직접 용착하면 된다(예, 27).
그리고 용기 본체(6)에 라벨지 필름(28)을 레이저를 사용해서 간접적으로 부착하는 방법은, 라벨지 필름(28) 재질은 용기 본체(6)의 재질과 상이하면서 열수축 필름일 때이다. 이때는 인쇄된 열수축 라벨지 필름(28)을 소정의 사이즈로 미리 재단을 하여 그 양 끝단이 겹치도록 한 후에, 겹친 부위를 레이저를 사용해서 점이나 선 또는 면의 형태로서 라벨지 필름(28) 단부 동시간에 용착을 하는 것이다. 용기 본체(6)에는 레이저를 사용치 않고 열로서 피팅을 한다. 때문에, 용기 본체에 레이저를 간적적으로 사용하는 본 방법도, 용기 본체(6)에 열 수축 라벨지 필름(28)을 부착되도록하는 것이 아니어서, 용기 본체(6)를 회수할 때에 용기 본체(6)로 부터 열 수축 라벨지 필름(28)을 떼어내어도 용기 본체(6)에는 열 수축 라벨지 필름(28)의 잔재물을 일체 남기지 않게 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용기 본체에 라벨지 필름을 부착(장착)하는데 이와 같이 레이저를 직/간접적으로 이용하게 되면, 용기 본체로부터 떼어낸 라벨지 필름에는 인쇄가 되어 있는 등의 이유로 새로운 라벨지 필름의 재질 원료로 재사용함에 있어서는 문제가 있어도, 라벨지 필름 재질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스틸렌 등을 사용하고 있다면 이들 재질의 연소시의 발열량은 대단히 높기 때문에,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고 있는 공개특허 10-2019-0049659(발명의 명칭: 폐바이오매스-폐플라스틱 혼합연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창출도 대단히 용이한 일이다고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용기를 폐기처분할 때에 용기 본체에는 종래와 같이 링과 같은 뚜껑의 잔재물은 물론 점착제나 접착제의 성분도 남기지 아니하고, 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지 필름도 손쉽게 제거할 수가 있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용기를 처분할 때는, 용기 본체는 용기 본체대로 뚜껑은 뚜껑대로 그리고 라벨지 필름은 라벨지 필름대로, 재질별로 또는 용도별로 완벽하게 분류해서 처분할 수가 있으면서 회수할 수도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의 순환사회를 실현하는데 많은 공헌이 기대된다.
1, 31: 뚜껑 2: 커터
3: 커터의 단면 4: 절단날부
5: 플랜지 6, 10: 용기 본체
7: 뚜껑의 단부 8: 뚜껑의 외측
9: (뚜껑 체결부)나사 11: 플랜지 외주링
12, A: 커터 수납공간 13: 플랜지 내주링
14: 슬립면 15: 절개부
16: 절단된 플랜지 외주링 17: 턱
20: 브릿지 21: 링
25: 뜯음부 26: V노치
27: 레이저 용착부 28: 라벨지 필름
b1: 커터 수납공간(A) 확대도
b2: 커터 수납공간에 수납된 커터의 예
b3: 플랜지 외주링이 절단된 상태의 예
H: 절단날부의 두께 t: (절단날)꼬리부 두께 S: 슬립방향
3: 커터의 단면 4: 절단날부
5: 플랜지 6, 10: 용기 본체
7: 뚜껑의 단부 8: 뚜껑의 외측
9: (뚜껑 체결부)나사 11: 플랜지 외주링
12, A: 커터 수납공간 13: 플랜지 내주링
14: 슬립면 15: 절개부
16: 절단된 플랜지 외주링 17: 턱
20: 브릿지 21: 링
25: 뜯음부 26: V노치
27: 레이저 용착부 28: 라벨지 필름
b1: 커터 수납공간(A) 확대도
b2: 커터 수납공간에 수납된 커터의 예
b3: 플랜지 외주링이 절단된 상태의 예
H: 절단날부의 두께 t: (절단날)꼬리부 두께 S: 슬립방향
Claims (3)
- 용기 본체와 라벨지 필름 및 뚜껑으로 구성하는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뚜껑의 단부 원주상에는 단부보다 돌출된 형상으로서 1개 이상의 커터를 개설하고,
용기 본체에 있어서, 뚜껑과 체결하기 위해서 구성하고 있는 체결부의 아래쪽에는 용기 본체와 일체화로 사출 성형한 플랜지를 구성하고,
용기 본체와 뚜껑을 체결하였을 때에 뚜껑에 개설하고 있는 1개 이상의 커터는, 플랜지상에 있어서 그 상하는 관통되어 있고 플랜지의 내주링에서 플랜지 외주링 방향에 걸쳐서 슬립면이 구성되어 있는 커터 수납공간을 적어도 커터의 개수만큼 구성하여서 여기에 (각각)수납되고,
용기 본체와 뚜껑이 체결된 상태하에서 뚜껑을 열 때에는, (각)커터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있던 1개 이상의 (각)커터는 커터 수납공간에 구성되어 있는 슬립면을 따라가면서 플랜지 외주링을 파단하고 나서 뚜껑과 함께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뚜껑 단부에 개설하는 커터의 형상은, 절단날부의 두께는 두텁고 꼬리부는 얇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용기 본체에 부착하는 라벨지 필름은, 그 상하 단부의 어느 한쪽 이상에 명도차를 선명히 한 스틱형의 뜯음부와 함께 이 뜯음부를 중심으로 해서 그 좌우 양쪽에 V노치를 구성하고,
라벨지 필름 재질이 용기 본체의 재질과 동일할 때는, 레이저를 사용해서 인쇄된 라벨지 필름의 양 끝단을 용기 본체에 직접 점이나 선 또는 면의 형태로 용착 부착하고,
라벨지 필름 재질이 용기 본체의 재질과 상이한 열수축 필름일 때는, 인쇄된 열수축 필름을 소정의 사이즈로 미리 재단을 하여 그 양 끝단이 겹치도록 레이저를 사용해서 점이나 선 또는 면의 형태로서 용착한 후에 용기 본체에 도입하여 피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5136A KR102290551B1 (ko) | 2020-04-14 | 2020-04-14 | 플라스틱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5136A KR102290551B1 (ko) | 2020-04-14 | 2020-04-14 | 플라스틱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7464A KR20200047464A (ko) | 2020-05-07 |
KR102290551B1 true KR102290551B1 (ko) | 2021-08-13 |
Family
ID=70733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5136A KR102290551B1 (ko) | 2020-04-14 | 2020-04-14 | 플라스틱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055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2271B1 (ko) * | 2021-03-04 | 2021-09-14 | 장병용 | 재활용 합성수지병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03701A (en) * | 1998-02-04 | 1999-12-21 | Hidding; Walter E. | Tamper resistant bottle cap and neck |
KR20070033052A (ko) * | 2004-08-04 | 2007-03-23 | 아바커스 (씨.아이.) 리미티드 | 파열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용기 마개 |
KR20140003907U (ko) * | 2012-12-17 | 2014-06-25 | 신성이노텍 주식회사 |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 |
KR20160002181U (ko) * | 2014-12-16 | 2016-06-24 | 신성이노텍 주식회사 | 포장용기 뚜껑 |
-
2020
- 2020-04-14 KR KR1020200045136A patent/KR102290551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7464A (ko) | 2020-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851128B1 (en) | Secure sample collection | |
US4607759A (en) | Sealing cap having frangible means | |
DK162710B (da) | Lukke af formstof | |
KR102290551B1 (ko) | 플라스틱 용기 | |
NO124025B (ko) | ||
KR20020061617A (ko) | 용기용 천공 캡 | |
EP0244327A1 (fr) | Embout de récipient assurant l'impossibilité de remplissage après épuisement de la charge initiale | |
US20070108153A1 (en) | Drinking and pouring closure with a piercing cutter device for composite packagings or container and bottle spouts sealed with a film material | |
US20200055652A1 (en) | Perforated case pack top panel | |
JP2009280243A (ja) | 紙容器溶着用上蓋付き注出栓 | |
US6386385B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ving tamper-proof seals from containers | |
EP3088323A1 (en) | Temper-evident device and valve using same | |
KR20200002518U (ko) | 라벨 제거가 용이한 페트병 | |
KR20140124310A (ko) | 플래어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 병마개 | |
KR102177076B1 (ko) | 엔드링 동시분리형 페트용기 뚜껑 | |
JP4224412B2 (ja) | シーリングラベル | |
WO2007045894A1 (en) | Closure caps and bottles or containers to receive same | |
KR20200105756A (ko) | 플라스틱 용기 | |
US3858743A (en) | Tamperproof package | |
JPH0761454A (ja) | 合成樹脂製キャップ | |
US20230286794A1 (en) | Foil Cutter | |
JP2010042817A (ja) | バージンシール | |
CN109071076B (zh) | 用于容器颈部的闭合件的改进或与之相关的改进 | |
KR102413793B1 (ko) | 용기의 재활용을 위한 라벨 | |
JP2009083893A (ja) | 紙容器用注出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