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542B1 - 온수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온수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542B1
KR102412542B1 KR1020200030147A KR20200030147A KR102412542B1 KR 102412542 B1 KR102412542 B1 KR 102412542B1 KR 1020200030147 A KR1020200030147 A KR 1020200030147A KR 20200030147 A KR20200030147 A KR 20200030147A KR 102412542 B1 KR102412542 B1 KR 102412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hot water
indicator
circumferential surface
distribu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102A (ko
Inventor
양경삼
김아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샘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샘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30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542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02Means for connecting central heating radiators to circulation pipes
    • F24D19/0017Connections between supply and inlet or outlet of central heatin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의 체결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온수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온수분배 장치는 다수개의 호스가 체결되어 온수가 분배 또는 회수되는 온수분배 장치로서, 온수가 분배 또는 회수되는 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공간에 연통되는 다수개의 커넥터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부의 벽면에는 벽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찰구가 형성되는 분배기 헤더와; 호스가 삽입되어 상기 분배기 헤더의 커넥터부에 체결되되, 상기 호스의 체결 상태에 따라 상기 관찰구에 노출되는 위치가 변경되는 인디케이터가 구비되는 피팅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수분배 장치{Hot water distribution device}
본 발명은 온수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스의 체결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온수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실내 난방은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가 이용되며, 이러한 보일러는 온수공급배관과 온수회수배관을 통해 온수분배 장치에 연결된다.
그리고, 온수분배 장치는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온수공급배관을 통해 제공받아 실내에 설치된 온수순환배관으로 공급하며 상기 온수순환배관에서 배출된 온수를 온수회수배관을 통해 상기 보일러로 회수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온수분배 장치는 온수를 공급 또는 회수하는 다수개의 호스가 연결되는데, 온수분배 장치에 각각의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품이 적용된다.
이러한 연결부품은 호스를 정확하게 연결하여 온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연결부품은 호스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호스 너트와, 상기 호스 너트의 내주면으로 삽입되면서 호스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호스 체결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래서, 호스 너트를 체결 대상물에 체결함으로서 호스를 체결 대상물에 체결시키고, 이때 체결링에 의해 호스와 체결 대상물이 밀착되면서 그 사이에서 온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하지만, 일반적인 연결부품은 호스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호스를 체결한 상태에서 온수를 직접 유동시킨 다음, 온수가 누설되는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호스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이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온수분배 장치에 호스의 체결시 호스의 체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에 관하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28676호 (2006.10.09)
본 발명은 호스의 체결시 및 사용시 호스의 체결 상태를 실시간에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온수분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온수분배 장치는 다수개의 호스가 체결되어 온수가 분배 또는 회수되는 온수분배 장치로서, 온수가 분배 또는 회수되는 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공간에 연통되는 다수개의 커넥터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부의 벽면에는 벽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찰구가 형성되는 분배기 헤더와; 호스가 삽입되어 상기 분배기 헤더의 커넥터부에 체결되되, 상기 호스의 체결 상태에 따라 상기 관찰구에 노출되는 위치가 변경되는 인디케이터가 구비되는 피팅기를 포함한다.
상기 피팅기는, 호스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관체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된 호스 너트와; 상기 호스 너트의 내주면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호스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호스 체결링과; 상기 호스 너트의 선단 위치에 배치되어 후단영역에는 상기 호스의 내주면으로 인입되는 인입부가 형성되고, 선단영역은 상기 인입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체결되는 호스의 진입 경로를 한정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호스 니플과; 상기 호스 니플에 형성되는 인입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배치되어 체결되는 호스의 선단에 밀착되어 이동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분배기 헤더에 일체로 이루어지는 관체로 형성되고, 선단영역에는 다른 영역보다 내경을 작게 하여 상기 호스 니플의 진입 경로를 한정하는 안착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호스 너트의 제1나사산이 체결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단이 형성된 위치와 제2나사산이 형성된 위치의 사이 영역에 상기 관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찰구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호스 니플의 안착부에 밀착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찰구는 상기 커넥터부의 둘레면에서 동심의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두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스 니플에 형성된 인입부의 외주면에는 호스 니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실링링이 구비되고, 상기 호스 니플에 형성된 안착부의 단부 외주면에는 제2실링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호스 니플의 안착부 사이에는 인디케이터의 위치 변경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개재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호스 니플의 안착부와 상기 제1실링링 중 최선단에 배치된 제1실링링 사이에서 호스 니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디케이터의 내주면에는 상기 호스의 내경과 같거나 작은 내경을 갖는 가압링부가 중심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호스의 체결시 상기 호스의 선단이 밀착되면서 가압하여 인디케이터를 상기 호스 니플의 안착부에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인디케이터가 관찰구를 통하여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스 너트의 내주면에는 상기 호스 체결링을 가압하기 위하여 내경이 상기 호스 체결링의 외경보다 작은 가압단이 형성되고, 상기 인디케이터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압링부를 기준으로 후단영역이 단부로 갈수록 점점 내경이 커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호스 체결링은 내경이 가변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고, 호스 체결시 상기 호스 너트의 가압단이 상기 호스 체결링을 가압함에 의해 상기 호스 체결링의 선단영역이 상기 인디케이터의 경사면에 밀착되면서 내경이 줄어들어 호스의 내주면을 호스 니플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배기 헤더에 연결되는 피팅기에는 호스의 체결 상태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분배기 헤더에는 인디케이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관찰구를 형성함으로써 호스의 체결 상태를 실시간에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호스의 체결시 호스의 체결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유체의 공급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호스의 체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먼저, 본 발명의 설명에서 "선단"은 호스가 분배기 헤더 및 피팅기에 체결되는 방향, 즉 호스의 체결시 전진되는 방향의 전방을 의미하고, "후단"은 호스가 체결 대상물에 체결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선단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 길이방향은 호스의 체결시 호스가 전진되면서 이동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 장치는 크게 분배기 헤더(100)와 피팅기(200)로 구분된다.
분배기 헤더(100)는 온수가 분배 또는 회수되는 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유동공간에 연통되는 다수개의 커넥터부(110)가 형성되는 수단이다. 분배기 헤더(100)의 전체적인 형상 및 구조는 일반적인 온수분배 장치에 적용되는 분배기 헤더(100)의 형상 및 구조와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부(110)의 벽면에 벽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찰구(120)가 형성되면서, 커넥터부(110)의 내주면 구조를 변경하였다.
그리고, 피팅기(200)는 호스(10)가 삽입되어 분배기 헤더(100)의 커넥터부(110)에 체결되는 수단으로서, 호스(10)의 체결 상태에 따라 관찰구(120)에 노출되는 위치가 변경되는 인디케이터(240)가 구비된다. 이때 피팅기(200)는 인디케이터(240)와 더불어 호스 너트(210), 호스 체결링(220), 호스 니플(230) 및 스프링(250)이 포함된다.
피팅기(2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호스 너트(210)는 호스(1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관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호스 너트(210)의 외주면에는 분배기 헤더(100)에 형성된 커넥터부(110)와의 체결을 위한 제1나사산(211)이 형성되고, 후단 영역의 외주면은 스패너와 같은 체결공구를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육각 단면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호스 너트(210)의 내주면에는 호스 체결링(220)을 가압하기 위하여 내경이 상기 호스 체결링(220)의 외경보다 작은 가압단(212)이 형성된다.
호스 체결링(220)은 호스(10)의 내주면을 호스 니플(230)의 외주면에 밀착시켜서 실링시키는 수단으로서, 호스 너트(210)의 내주면으로 삽입되면서 호스(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때 호스 체결링(220)은 내경이 가변되도록 절개부(221)가 형성된다. 이때 절개부(221)는 호스 체결링(220)의 벽면 중 일부 영역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때 절개부(221)는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호스(10)와의 밀착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길이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호스 니플(230)은 호스 너트(210)의 선단 위치에 배치되어 호스(10)의 선단을 분배기 헤더의 커넥터부(110)에 견고하게 밀착시키면서 호스(10)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240)가 구비되는 수단으로서, 전체적으로는 관체로 형성된다.
이때 호스 니플(230)은 후단영역이 호스의 내주면으로 인입되는 인입부(231)가 형성되고, 선단영역은 인입부(23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체결되는 호스(10)의 진입 경로를 한정시키는 안착부(232)가 형성된다.
그리고, 호스 니플(230)에 형성된 인입부(231)의 외주면에는 호스 니플(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실링링(233)이 구비되고, 호스 니플(230)에 형성된 안착부의 단부 외주면에는 제2실링링(234)이 구비된다.
이때 제1실링링(233)은 호스 니플(230)의 외주면과 호스(10)의 내주면 사이의 실링을 보장하고, 제2실링링(234)은 호스 니플(230)의 선단과 커넥터부(110) 사이의 실링을 보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링링(233)은 호스 니플(23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3개를 배치하였고, 제2실링링(234)은 1개를 배치하였다. 물론 제1실링링(233) 및 제2실링링(234)의 개수는 호스 니플(230)의 길이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실링링(233) 중 적어도 최선단에 배치되는 제1실링링(233)은 그 외경이 인디케이터(24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최선단에 배치되는 제1실링링(233)에 의해 호스 니플(230)이 외주면에 배치되는 인디케이터(240)가 호스 니플(2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인디케이터(240)는 호스의 체결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단으로서, 전체적으로 관체 형태로 형성되어 호스 니플(230)에 형성되는 인입부(23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배치되어 체결되는 호스(10)의 선단에 밀착되어 이동된다.
이때 인디케이터(240)와 호스 니플(230)의 안착부 사이에는 인디케이터(240)의 위치 변경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50)이 개재된다.
스프링(250)은 호스(10)의 체결시 호스(10)가 호스 니플(23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호스(10)가 인디케이터(240)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가압되면서 압축된다. 그래서, 호스(10)가 인디케이터(240)를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250)의 복원력에 의해 인디케이터(240)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인디케이터(240)의 내주면에는 호스(10)의 내경과 같거나 작은 내경을 갖는 가압링부(241)가 중심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인디케이터(240)의 내주면은 가압링부(241)를 기준으로 후단영역이 단부로 갈수록 점점 내경이 커지는 경사면(242)이 형성된다. 그래서, 호스(10)의 체결시 호스(10)가 전진 방향으로 이동되면 호스(10)의 선단이 인디케이터(240)의 가압링부(241)를 가압하면서 일체로 인디케이터(240)도 전진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호스(10) 체결시 호스 너트(210)의 가압에 의해 호스 체결링(220)의 선단영역이 인디케이터(240)의 경사면(242)에 밀착되면서 절개부(221)의 폭이 점점 줄어들도록 오므려지면서 내경이 줄어들어 호스(10)의 내주면을 호스 니플(230)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분배기 헤더(100)에 형성되는 커넥터부(110)는 호스(10)가 연결된 피팅기(200)를 체결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수단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인디케이터(240)를 직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구조인 관찰구(120)가 분배기 헤더(100)의 벽면, 바람직하게는 커넥터부(110)의 벽면에 형성된다.
부연하자면, 커넥터부(110)는 분배기 헤더(100)에 일체로 이루어지는 관체로 형성되어 후단영역의 내주면에는 호스 너트(210)의 제1나사산(211)에 체결되는 제2나사산(112)이 형성되고, 선단영역에는 다른 영역보다 내경을 작게 하여 호스 니플(230)의 진입 경로를 한정하는 안착단(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단(111)이 형성된 위치와 제2나사산(112)이 형성된 위치의 사이 영역에 벽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찰구(120)가 형성된다. 그래서 관찰구(120)를 통하여 인디케이터(24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40)의 위치에 따라 호스(10)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관찰구(120)는 인디케이터(240)가 호스 니플(230)의 안착부(232)에 밀착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관찰구(120)의 길이도 인디케이터(240)의 길이와 대응되는 수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찰구(120)를 통하여 인디케이터(240)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관찰구(120)는 커넥터부(110)의 둘레면에서 동심의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두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관찰구(120)는 분배기 헤더(100)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호스(10)의 체결시 호스(10)의 선단이 인디케이터(240)에 밀착되면서 가압하여 인디케이터(240)를 호스 니플(230)의 안착부(320)에 밀착시키게 되고, 이렇게 인디케이터(240)가 호스 니플(230)의 안착부(232)에 밀착되면 인디케이터(240)가 관찰구(120)를 통하여 노출되어 확인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분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때 도 4의 왼쪽 피팅구 및 도 5a는 온수분배 장치에 호스가 연결되지 않았거나 호스가 올바르게 체결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의 오른쪽 피팅구 및 도 5b는 온수분배 장치에 호스가 올바르게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호스(1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호스 니플(230)의 외주면에 배치된 인디케이터(240)가 스프링(250)의 복원력에 의해 호스 니플(230)의 후단방향으로 밀려 있는 상태가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는 인디케이터(240)가 분배기 헤더(100)의 커넥터부(110)에 형성된 관찰구(120)를 통하여 노출되지 않는다. 그래서 작업자는 인디케이터(240)가 관찰구(120)를 통하여 확인되지 않은 것을 확인함으로써 호스(10)가 연결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온수분배 장치에 호스(10)가 연결되었더라도 체결 상태가 올바르지 않다면, 호스(10)가 인디케이터(240)를 가압하는 힘이 부족하여 인디케이터(240)는 호스 니플(230)의 안착부(232)에 밀착되는 위치까지 이동되지 않고, 이에 따라 인디케이터(240)가 관찰구(120)를 통하여 노출되지 않거나 일부만 노출되게 된다. 그래서 작업자는 인디케이터(240)가 관찰구(120)를 통하여 확인되지 않거나 일부만 확인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호스(10)가 올바르게 체결되지 않은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온수분배 장치에 호스(10)가 올바르게 연결되면, 호스(10)가 인디케이터(240)를 가압하는 힘이 충분하여 인디케이터(240)는 호스 니플(230)의 안착부(232)에 밀착되는 위치까지 이동되고, 이에 따라 인디케이터(240)가 관찰구(120)를 통하여 전체가 노출되게 된다. 그래서 작업자는 인디케이터(240)가 관찰구(120)를 통하여 전체가 확인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호스(10)가 올바르게 체결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온수분배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a와 도 5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온수분배 장치는 난방시스템에 적용되는 분배기로서, 분배기 헤더(100)에 호스(10)를 연결하는 경우에 분배기 헤더(100)에 물을 순환시켜보는 시험을 하지 않아도 커넥터부(110)에 형성된 관찰구(120)를 통하여 피팅기(200)의 인디케이터(240)가 확인되는 상태를 파악하여 호스(10)의 체결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분배기 헤더(100)에 피팅기(200)를 이용하여 호스(10)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디케이터(240)가 구비된 호스 니플(230)을 커넥터부(110)의 내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호스 너트(210)를 사용하여 호스(10)를 체결한다.
이때 호스 너트(210)에 형성된 제1나사산(211)과 커넥터부(110)에 형성된 제2나사산(112)을 체결함으로써 호스(10)가 호스 니플(230)의 안착부(232) 방향으로 전진되면서 인디케이터(240)가 호스 니플(230)의 안착부(232)에 밀착된다.
그래서 호스 너트(210)가 완전히 체결되어 호스(10)가 올바르게 체결되었다면, 인디케이터(240)가 호스 니플(230)의 안착부(232)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고, 이에 따라 인디케이터(240)가 커넥터부(110)의 관찰구(120)를 통하여 전체가 노출되게 되고, 작업자는 이를 확인하여 호스(10)가 올바르게 체결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호스 100: 분배기 헤더
110: 커넥터부 111: 안착단
112: 제2나사산 120: 관찰구
200: 피팅기 210: 호스 너트
211: 제1나나산 212: 가압단
220: 호스 체결링 221: 절개부
230: 호스 니플 231: 인입부
232: 안착부 233: 제1실링링
234: 제2실링링 240: 인디케이터
241: 가압링부 242: 경사면
250: 스프링

Claims (10)

  1. 다수개의 호스가 체결되어 온수가 분배 또는 회수되는 온수분배 장치로서,
    온수가 분배 또는 회수되는 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공간에 연통되는 다수개의 커넥터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부의 벽면에는 벽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찰구가 형성되는 분배기 헤더와;
    호스가 삽입되어 상기 분배기 헤더의 커넥터부에 체결되되, 상기 호스의 체결 상태에 따라 상기 관찰구에 노출되는 위치가 변경되는 인디케이터가 구비되는 피팅기를 포함하고,
    상기 피팅기는,
    호스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관체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된 호스 너트와;
    상기 호스 너트의 내주면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호스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호스 체결링과;
    상기 호스 너트의 선단 위치에 배치되어 후단영역에는 상기 호스의 내주면으로 인입되는 인입부가 형성되고, 선단영역은 상기 인입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체결되는 호스의 진입 경로를 한정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호스 니플과;
    상기 호스 니플에 형성되는 인입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배치되어 체결되는 호스의 선단에 밀착되어 이동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온수분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분배기 헤더에 일체로 이루어지는 관체로 형성되고, 선단영역에는 다른 영역보다 내경을 작게 하여 상기 호스 니플의 진입 경로를 한정하는 안착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호스 너트의 제1나사산이 체결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단이 형성된 위치와 제2나사산이 형성된 위치의 사이 영역에 상기 관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찰구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호스 니플의 안착부에 밀착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찰구는 상기 커넥터부의 둘레면에서 동심의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두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 니플에 형성된 인입부의 외주면에는 호스 니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실링링이 구비되고,
    상기 호스 니플에 형성된 안착부의 단부 외주면에는 제2실링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와 상기 호스 니플의 안착부 사이에는 인디케이터의 위치 변경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개재되고,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호스 니플의 안착부와 상기 제1실링링 중 최선단에 배치된 제1실링링 사이에서 호스 니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의 내주면에는 상기 호스의 내경과 같거나 작은 내경을 갖는 가압링부가 중심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호스의 체결시 상기 호스의 선단이 밀착되면서 가압하여 인디케이터를 상기 호스 니플의 안착부에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인디케이터가 관찰구를 통하여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호스 너트의 내주면에는 상기 호스 체결링을 가압하기 위하여 내경이 상기 호스 체결링의 외경보다 작은 가압단이 형성되고,
    상기 인디케이터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압링부를 기준으로 후단영역이 단부로 갈수록 점점 내경이 커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호스 체결링은 내경이 가변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고,
    호스 체결시 상기 호스 너트의 가압단이 상기 호스 체결링을 가압함에 의해 상기 호스 체결링의 선단영역이 상기 인디케이터의 경사면에 밀착되면서 내경이 줄어들어 호스의 내주면을 호스 니플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분배 장치.
KR1020200030147A 2020-03-11 2020-03-11 온수분배 장치 KR102412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147A KR102412542B1 (ko) 2020-03-11 2020-03-11 온수분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147A KR102412542B1 (ko) 2020-03-11 2020-03-11 온수분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102A KR20210115102A (ko) 2021-09-27
KR102412542B1 true KR102412542B1 (ko) 2022-06-27

Family

ID=77925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147A KR102412542B1 (ko) 2020-03-11 2020-03-11 온수분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5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797A (ja) 2001-06-04 2002-12-18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JP2005163974A (ja) 2003-12-04 2005-06-23 Sekisui House Ltd 管継手
JP2008190648A (ja) 2007-02-06 2008-08-21 Hitachi Metals Ltd 管継手
JP2011001969A (ja) 2009-06-16 2011-01-06 Onda Seisakusho:Kk ヘッダー用保温材
KR200463683Y1 (ko) 2011-12-20 2012-11-21 대영이앤디(주) 냉온수 분배기
JP2017145868A (ja) 2016-02-16 2017-08-24 ダイセン株式会社 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676Y1 (ko) 2006-06-05 2006-10-16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온수분배장치
KR200491003Y1 (ko) * 2019-02-01 2020-02-07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냉온수 분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797A (ja) 2001-06-04 2002-12-18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JP2005163974A (ja) 2003-12-04 2005-06-23 Sekisui House Ltd 管継手
JP2008190648A (ja) 2007-02-06 2008-08-21 Hitachi Metals Ltd 管継手
JP2011001969A (ja) 2009-06-16 2011-01-06 Onda Seisakusho:Kk ヘッダー用保温材
KR200463683Y1 (ko) 2011-12-20 2012-11-21 대영이앤디(주) 냉온수 분배기
JP2017145868A (ja) 2016-02-16 2017-08-24 ダイセン株式会社 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102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60842A (en) Pressure manifold having plurality of quick connect-disconnect plugs for selectively receiving pressure meter, drain cock, etc.
US9732893B2 (en) Rapid-connect coupler
US7156425B2 (en) Quick connect and quick disconnect plumbing apparatus
US6609732B1 (en) Quick connect multi-hose connector
US20060202475A1 (en) Anti-rotation quick connector
US20100171302A1 (en) Push-twist connector
KR102094045B1 (ko) 관 접속 장치
BRPI0901739B1 (pt) Montagem de acoplamento a fluido, método de formar acoplamento a fluido, e submontagem pré-montada para acoplamento a fluido de conector rápido
JP2006084027A (ja) 管及びホース接続用の継手アセンブリ
KR20180001632U (ko)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
KR102412542B1 (ko) 온수분배 장치
EP0592559B1 (en) Connection and control device for fluid machines
US3592231A (en) Quick connect couplings with selective connection means
US4679825A (en) Pipe connector
JP2019015407A (ja) 外クランプ式高圧シール治具
KR102265724B1 (ko)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US20080143105A1 (en) Fluid coupling
US20030079697A1 (en) Hot water heating system and connector for use therewith
US1178999A (en) Lubricating system.
KR20170067988A (ko) 나사 커플러
JPH02286993A (ja) ホース継手
US20120001418A1 (en) Connector
CN206458952U (zh) 一种适用于光滑圆柱孔的耐高压快速连接器
CN204495158U (zh) 电动汽车换热器用快插管接件
CN214577692U (zh) 一种消防泵出水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