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093B1 -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인쇄방법 및 그에 의해 인쇄된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 Google Patents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인쇄방법 및 그에 의해 인쇄된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093B1
KR102412093B1 KR1020220057183A KR20220057183A KR102412093B1 KR 102412093 B1 KR102412093 B1 KR 102412093B1 KR 1020220057183 A KR1020220057183 A KR 1020220057183A KR 20220057183 A KR20220057183 A KR 20220057183A KR 102412093 B1 KR102412093 B1 KR 102412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adhesive
diagnostic test
release pape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수
Original Assignee
(주) 아이프린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프린팅 filed Critical (주) 아이프린팅
Priority to KR1020220057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3Adhes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인쇄방법 및 그에 의해 인쇄된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인쇄방법은 표면지의 일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이형지를 결합시켜 구성된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단계와, 상기 공급된 원단에서 표면지와 이형지를 분리시키는 이형지 분리단계와, 상기 이형지가 분리된 표면지의 점착면 일부에 코팅액을 전사시켜 비점착면을 형성하는 비점착면 형성단계와, 상기 비점착면이 형성된 표면지에 상기 이형지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이형지를 다시 결합시키는 이형지 결합단계와, 상기 이형지가 결합된 원단의 표면지 타면을 인쇄하는 인쇄단계 및 상기 인쇄된 원단을 롤 형상으로 권취하는 권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진단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검사 디바이스를 생략하고, 검사용 라벨지에 검사용 패드를 간편히 부착하여 면봉에 의해 채취된 검체로부터 추출 버퍼가 수용된 추출튜브에 직접 담지하여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에 감염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비점착면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사용되는 코팅액은 실리콘 수지, 폴리올, 박리방지제, 경화제, 촉매, 분산제, 소포제 및 점도조절제를 혼합하여 제조됨으로써, 코팅역할을 통해 비점착면을 형성하여 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쉽게 박리되지 않아 검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인쇄방법 및 그에 의해 인쇄된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For diagnostic test paper Printing method and For diagnostic test paper Printed ther for}
본 발명은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인쇄방법 및 그에 의해 인쇄된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코로나 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진단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검사 디바이스를 생략하고, 검사용 라벨지에 검사용 패드를 간편히 부착하여 면봉에 의해 채취된 검체로부터 추출 버퍼가 수용된 추출튜브에 직접 담지하여 진단할 수 있는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인쇄방법 및 그에 의해 인쇄된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은 가장 발병률이 높은 질병으로 모든 감염 질환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respiratory virus infection)은 주로 소아, 노인 면역저하 환자에게 많이 발생하며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대표적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에는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parainfluenza virus, PIV), RS 바이러스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라이노바이러스(rhinovirus), 코로나바이러스 (coronavirus) 등이 있다.
호흡기 바이러스 중 코로나바이러스는 4개의 속(genus)으로 구분이 되며, 알파, 베타 속은 사람과 동물에게 감염이 되며, 감마, 델타 속은 동물에게만 감염이 된다. 사람에게 감염 가능한 코로나바이러스는 총 6종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4종(229E, OC43, NL63, HKU1)은 감기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으며 나머지 2종은 사람에게 중증 폐렴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로 MERS코로나바이러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CoV)와 SARS 코로나바이러스(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SARS-CoV)이다.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Hubei Province) 우한시(Wuhan City)에서 발생한 폐렴 환자에서 최초 확인된 신종호흡기 바이러스는 광범위한 확산성을 가져 의료 시스템에 심각한 영향을 주었다. 2019년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novel coronavirus)는 기존의 메르스(MERS-CoV)와 사스(SARS-CoV) 바이러스와 다른 계열로 확인되었으며, 인간을 감염시키는 7번째 코로나바이러스 종으로 확인되었다(Ref 1). 해당 바이러스는‘SARS-CoV-2’라 명명되었으며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로 질병의 원인이 된다.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의 초기 증상은 바이러스에 상관없이 비슷한 증상과 징후를 나타내기 때문에 임상적 증상만으로는 원인을 감별하기 어렵고, 전염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단기간에 대유행을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호흡기 바이러스의 감염을 조기에 진단하여 원인 바이러스를 확인하고 적절한 감염 관리 대책을 세우는 것은 대규모 감염을 막고 조기 치료를 위해 필요하다.
종래기술로 국내등록특허 제10-2364997호 코로나 바이러스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서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 표면의 스파이크 단백질(Spike protein)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이용하는 감염 진단용 의료기기로서, 채취 대상으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검체 채취 면봉(100)으로서, 굽어진 제1 헤드부(111), 상기 제1 헤드부(111)에 이어진 제2 헤드부(112) 및 상기 제2 헤드부(112)로부터 직경이 감소하는 제3 헤드부(113)를 포함하는 헤드(110), 상기 헤드(110)로부터 소정 길이와 두께를 가지며 연장되는 손잡이(120) 및 상기 손잡이(120)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손잡이(120)보다 얇은 두께인 절단부(130)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면봉(100), 상기 검체 채취 면봉(100)에 의해 채취된 검체로부터 상기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버퍼가 수용되고, 상기 검체 채취 면봉(100)이 상기 추출 버퍼에 담지되어 채취된 검체가 상기 추출 버퍼에 용출되는 추출 튜브(210), 상기 추출 튜브(210)의 개구(211)에 결합되고, 필터가 구비된 노즐 캡(220) 및 상기 필터를 통과한 후 상기 노즐 캡(220)의 배출구(221)를 통해 배출된 용액이 투입되는 검사 디바이스(500)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 디바이스(500)는 상기 용액이 투입되어, 투입된 용액에서의 상기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포함 여부에 따라 발색 여부가 달라지는 검사선(321)과, 투입된 용액 전개에 따라 상시 발색되는 대조선(322)을 포함하는 진단 키트(300) 및 상기 진단 키트(300)의 상기 검사선(321)과 상기 대조선(322)이 형성된 제1 영역과, 샘플 패드(360)의 적어도 일부인 제2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진단 키트(300)를 커버하는 하우징(400);을 포함하고, 상기 진단 키트(300)는 백킹 카드(310), 상기 백킹 카드(310) 상에 놓여지고 상기 검사선(321)과 상기 대조선(322)이 형성된 멤브레인(320), 상기 멤브레인(320)의 제1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검사선(321)에 고정된 물질 및 상기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발색 물질이 포함된 제1 물질과, 상기 대조선(322)에 고정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발색 물질이 포함된 제2 물질이 구비된 컨쥬게이트 패드(350), 상기 컨쥬게이트 패드(350)의 제1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221)를 통해 배출된 용액이 투입되는 샘플 패드(360) 및 상기 제1 부분과 반대되는 상기 멤브레인(320)의 제2 부분에 구비되는 흡습 패드(34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제1 영역이 노출되도록 하는 제1 개구부(411)와, 상기 제1 개구부(411)로부터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진 제1 경사부(412)를 포함하는 결과 확인부(410) 및 상기 제2 영역이 노출되도록 하는 제2 개구부(421), 상기 제2 개구부(421)로부터 외측을 향해 굽어진 제2 경사부(422), 상기 제2 경사부(422)로부터 외측을 향해 지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2 연장부(423) 및 상기 제2 연장부(423)로부터 하측을 향해 연장된 제2 단차부(424)를 포함하는 검체 점적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선(321)에 고정된 물질은 상기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샘플 패드(360)에 투입된 용액에 상기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포함된 경우 상기 검사선(321)에서 발색이 이루어지고, 포함되지 않은 경우 발색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상기 대조선(322)에 고정된 물질은 상기 제2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대조선(322)에서 상시 발색이 이루어지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의료기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1회용으로 진단 이후 폐기해야 하지만, 일정 부피를 갖는 검사 디바이스 등을 갖추고 있어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다수의 검사시에는 폐기과정에서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코로나 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진단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검사 디바이스를 생략하고, 검사용 라벨지에 검사용 패드를 간편히 부착하여 면봉에 의해 채취된 검체로부터 추출 버퍼가 수용된 추출튜브에 직접 담지하여 진단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2364997 B1 (2022. 02. 15.)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코로나 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진단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검사 디바이스를 생략하고, 검사용 라벨지에 검사용 패드를 간편히 부착하여 면봉에 의해 채취된 검체로부터 추출 버퍼가 수용된 추출튜브에 직접 담지하여 진단할 수 있는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인쇄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인쇄방법은 표면지의 일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이형지를 결합시켜 구성된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단계와, 상기 공급된 원단에서 표면지와 이형지를 분리시키는 이형지 분리단계와, 상기 이형지가 분리된 표면지의 점착면 일부에 코팅액을 전사시켜 비점착면을 형성하는 비점착면 형성단계와, 상기 비점착면이 형성된 표면지에 상기 이형지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이형지를 다시 결합시키는 이형지 결합단계와, 상기 이형지가 결합된 원단의 표면지 타면을 인쇄하는 인쇄단계 및 상기 인쇄된 원단을 롤 형상으로 권취하는 권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원단 공급단계의 점착제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및 감압성 아크릴 점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비점착면 형성단계의 코팅액은 실리콘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 5~10중량부, 박리방지제 1~3중량부, 경화제 1~3중량부, 촉매 0.5~2중량부, 분산제 0.5~2중량부, 소포제 0.5~2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0.5~2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진단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검사 디바이스를 생략하고, 검사용 라벨지에 검사용 패드를 간편히 부착하여 면봉에 의해 채취된 검체로부터 추출 버퍼가 수용된 추출튜브에 직접 담지하여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에 감염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비점착면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사용되는 코팅액은 실리콘 수지, 폴리올, 박리방지제, 경화제, 촉매, 분산제, 소포제 및 점도조절제를 혼합하여 제조됨으로써, 코팅역할을 통해 비점착면을 형성하여 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쉽게 박리되지 않아 검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인쇄방법을 나타낸 단계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인쇄방법을 나타낸 단계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1) 인쇄방법은 원단 공급단계(S10), 이형지 분리단계(S20), 비점착면 형성단계(S30), 이형지 결합단계(S40), 인쇄단계(S50) 및 권취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원단 공급단계(S10)
원단 공급단계(S10)는 표면지(10)의 일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이형지를 결합시켜 구성된 원단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원단은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1)에 적합하도록, 추가가공을 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재질에 두께가 30~80㎛인 투명 유포지를 표면지(10)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표면지(10)의 일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이형지(도면 미도시)를 결합시켜 구성된다.
상기 투명 유포지는 필름 재질로 투명하고 습기에 강한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점착제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및 감압성 아크릴 점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점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표면지(10)의 일면에 1~10㎛ 두께로 도포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점착제는 폴리우레탄 수지, 실란 커플링제, 이온포착제, 무기충전제, 산화방지제, 분산제, 가교제, 이형제 및 내후제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더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란 커플링제 2~5중량부, 이온포착제 2~5중량부, 무기충전제 2~5중량부, 산화방지제 2~5중량부, 분산제 2~5중량부, 가교제 1~3중량부, 이형제 1~3중량부 및 내후제 1~3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특히, 상기 점착제는 무용제형(nonsolvent)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어 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표면지(10)에 접착하는 과정에서, 열건조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1)의 인쇄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에 의해 표면지(10)가 휘거나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을 예비중합체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TDI),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 중합체성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Tolidine Diisocyanate, TODI), p-페닐렌 이소시아네이트(p-Phenylene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HMDI), 수소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2 관능성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에스테르폴리올(3-메틸-1,5-펜탄디올(3-methyl-1,5-pentanediol)과 아디핀산(Adipic acid)의 중축합물), 2 관능성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PPG), 2 관능성 폴리부타디엔글리콜(polybutadien glycol, PBG) 및 2 관능성 폴리이소프렌글리콜(Polyisoprene glycol, PIG)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폴리올을 예비중합체(pre-polymer)로 제조하여 사용하되, 상기 예비중합체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하이드록실기의 당량비(NCO/OH)가 0.8~2.6의 범위가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실란 커플링제는 접착성이나 내열성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불포화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 글리시딜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 및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 중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불포화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는 비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및 비닐트리메톡시실란 중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글리시딜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는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및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중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는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및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중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실란 커플링제를 상기의 범위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접착성 및 내열성의 향상에 도움을 주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의 범위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오히려 가수분해에 의해 접착성 및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온포착제는 이온포착 효과와 함께, 고온·고습 환경하에서도 내열성 및 내흡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지르코늄계, 안티몬계, 티탄계, 주석계, 비스무트계, 알루미늄계, 마그네슘계, 희토류계 또는 히드로탈사이트계 화합물 등의 무기계 화합물이나, 트리아졸 화합물, 테트라졸 화합물, 비피리딜 화합물, 퀴놀 화합물, 히드록시안트라퀴논 화합물, 폴리페놀 화합물, 카르복실기 함유 방향족 화합물, 또는 카르복실기 함유 지방족 화합물 등의 유기계 화합물 중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온포착제를 상기의 범위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이온 포착효과를 발현하지 못하고, 고온· 고습 환경하에서 내열성 및 내습성을 향상시키기 어려우며, 상기의 범위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무기충전제는 강도, 결합력, 수분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알루미나, 티타니아, 산화탄탈, 지르코니아, 질화규소, 티탄산바륨, 탄산바륨, 티탄산납, 티탄산지르콘산납, 티탄산지르콘산란탄납, 산화갈륨, 스피넬, 멀라이트, 코디어라이트, 탈크,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티탄산알루미늄, 규산바륨, 질화붕소, 탄산칼슘, 황산칼슘, 산화아연, 붕산아연, 티탄산마그네슘, 붕산마그네슘, 황산바륨, 유기 벤토나이트 및 카본 중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무기충전제를 상기의 범위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강도, 결합력, 수분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어려우며, 상기의 범위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과다한 경도 증가로 인해 오히려 취성이 약화되면서 균열 발생률이 증가하게 된다.
산화방지제는 폐놀계 산화방지제로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methane), 트리스(3,4-디-터트-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Tris(3,4-di-tert-butyl-4-hydroxybenzyl)isocyanurate), 1,3,5-트리메틸 2,4,6-트리스(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1,3,5-trimrthyl 2,4,6-tris(3,5-di-tert-butyl-4-hydroxybenzl) benzene) 및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터트-부틸-페놀)부탄(1,1,3-tris(2-methyl-4-hydroxy-5-tert-butyl-phenol)butane) 중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분산제는 암모늄염, 활성아민, 유기산 및 무기산 중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는 고무 분자 사슬 간의 가교반응을 발생하게 하여 고무 경화물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2,5-디메틸-2,5-비스-(t-부틸퍼옥시), d-t-부틸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비스-(t-부틸퍼옥시)-헥산, t-부틸큐밀퍼옥사이드, 비스-(t-부틸퍼옥시-i-프로필)-벤젠, 디큐밀퍼옥사이드, 4,4-디-t-부틸퍼옥시-n-부틸발레레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1,1-디-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벤조일퍼옥사이드 및 비스-(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중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형제로는 불소 함유 중합체, 실리콘 오일, 스테아린산(stearic acid)의 금속염, 몬탄산(montanic acid)의 금속염, 몬탄산 에스테르 왁스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 중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내후제로는 벤조페논형 또는 아민형 내후제를 사용할 수 있다.
2. 이형지 분리단계(S20)
이형지 분리단계(S20)는 상기 공급된 원단에서 표면지(10)와 이형지를 분리시키는 단계이다.
이는, 상기 공급된 원단에서 표면지의 점착면 일부를 비점착시키기 위함이다.
3. 비점착면 형성단계(S30)
비점착면 형성단계(S30)는 상기 이형지가 분리된 표면지(10)의 점착면 일부에 코팅액을 전사시켜 비점착면(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이형지가 분리된 표면지(10)의 점착면 일부에 UV 블레이드 코팅방법을 통해 코팅액을 전사시켜 약 0.5~2㎛의 두께를 갖는 비점착면(20)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형성된 비점착면(20)을 통해, 코로나 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 감염여부 진단검사시에 양성 및 음성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코팅액은 실리콘 수지, 폴리올, 박리방지제, 경화제, 촉매, 분산제, 소포제 및 점도조절제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더 상세하게는, 실리콘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 5~10중량부, 박리방지제 1~3중량부, 경화제 1~3중량부, 촉매 0.5~2중량부, 분산제 0.5~2중량부, 소포제 0.5~2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0.5~2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의 코팅액은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부분 중 일부에 처리하게 되면, 코팅역할을 통해 비점착면을 형성하여 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쉽게 박리되지 않아 진단검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리콘 수지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과 하이드로젠실록산의 가교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가교반응은 축합 반응계, 부가 반응계 및 자외선 또는 전자성 경화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반응계를 통하여 가교될 수 있다.
여기서, 실리콘 수지의 중합도는 100~5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합도가 100 미만이면 수지의 분자량이 너무 낮아 코팅시 기재의 표면 전체를 덮어주지 못하게 되는 웨팅성 불량이 발생하고, 50,000을 초과하면 수지의 분자량이 너무 높아 분자의 활동성이 떨어져 코팅시 기재의 표면간 코팅 두께 불균일성 불량이 생기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폴리올은 폴리오르가노실록산과 가교제인 하이드로젠실록산간의 응집력을 향상시켜 가혹한 상태에서도 접착력을 유지시키며 기재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1분자 중에 수산기를 2개 이상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및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중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폴리올은 중량평균분자량(Mw)은 200~4,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미만이면 강성이 커서 딱딱하고 물성이 약해질 수 있으며, 4,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성이 작아 고정재로서의 강도 등의 물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만약, 폴리올을 상기의 범위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기재와의 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의 범위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과량의 OH기가 잔류하게 되어 경시 안정성이 저하되어 박리력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박리방지제는 접착성을 증진시켜 수분에 의한 파손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시키고, 내유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박리방지제로 식물유지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코코넛유, 팜유, 목화씨유, 올리브유, 포도씨유, 면실유, 대두유 및 옥배유를 동일 비율로 혼합하여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후, 오존발생기를 사용하여 오존산화 처리하여 제조된다.
만약, 박리방지제를 상기의 범위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조성물들의 수분저항성이 감소하게 되며, 상기의 범위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함유량으로 인하여 오히려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경화제는 경화반응을 촉진하는 개시제 역할을 하여 조성물들이 혼합되면서 경화반응이 신속히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과산화물계 경화제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드,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쿠멘히드로퍼옥사이드 및 2,5-디메틸헥실-2,5-디퍼옥시벤조에이트 중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만약, 경화제를 상기의 범위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조성물들의 수분저항성이 감소하게 되며, 상기의 범위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함유량으로 인하여 오히려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촉매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과 하이드로젠실록산의 가교반응을 가속화하는 가교촉진제로서 백금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립자 형상의 백금, 탄소분말 담체 위에 흡착된 미립자 형상의 백금, 염화백금산, 알코올 변성 염화백금산, 염화백금산의 올레핀 착체, 팔라듐 및 로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촉매를 상기의 범위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상기의 범위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반응 후 잔존하는 촉매에 의하여 박리력 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분산제는 물리적 특성을 개질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나트륨염, 방향족술폰산 포르말린 축합물 나트륨염,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중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만약, 분산제를 상기의 범위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물리적 특성을 개질하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상기의 범위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함유량으로 인하여 오히려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소포제는 거품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공기량을 조절하고 기포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비 실리콘 계 소포제가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소포제를 상기의 범위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거품발생 억제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상기의 범위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함유량으로 인하여 오히려 결합력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점도조절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즈, 소디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sodiumcarboxymethylcellulose), 키토산(chitosan),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폴리락틱 글리콜아미드(polylactic glycolamide, PLGA),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 덱스트란(dextran), 히알루론산(hyaluranic acid) 및 가교된 히알루론산 중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점도조절제를 상기의 범위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점도조절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상기의 범위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점도가 높아지게 되어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4. 이형지 결합단계(S40)
이형지 결합단계(S40)는 상기 비점착면(20)이 형성된 표면지(10)에 상기 이형지 분리단계(S20)에서 분리된 이형지를 다시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이는 상기 비점착면(20)이 형성된 표면지(10)에서 비점착면(20) 및 접착면을 모두 보호하여 보관 및 유통을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5. 인쇄단계(S50)
인쇄단계(S50)는 상기 이형지가 결합된 원단의 표면지(10) 타면을 인쇄하는 단계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이형지가 결합된 원단의 표면지(10) 타면에 정해진 색상, 문자, 이미지, 도형 등을 인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인쇄방법으로는 레이저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등 다양한 출력장비를 통해 인쇄될 수 있다.
6. 권취단계(S60)
권취단계(S60)는 상기 인쇄된 원단을 롤 형상으로 권취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진단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검사 디바이스를 생략하고, 검사용 라벨지에 검사용 패드를 간편히 부착하여 면봉에 의해 채취된 검체로부터 추출 버퍼가 수용된 추출튜브에 직접 담지하여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에 감염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비점착면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사용되는 코팅액은 실리콘 수지, 폴리올, 박리방지제, 경화제, 촉매, 분산제, 소포제 및 점도조절제를 혼합하여 제조됨으로써, 코팅역할을 통해 비점착면을 형성하여 강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쉽게 박리되지 않아 검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 :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10 : 표면지 20 : 비점착면

Claims (4)

  1. 표면지(10)의 일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이형지를 결합시켜 구성된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단계(S10);
    상기 공급된 원단에서 표면지(10)와 이형지를 분리시키는 이형지 분리단계(S20);
    상기 이형지가 분리된 표면지(10)의 점착면 일부에 코팅액을 전사시켜 비점착면(20)을 형성하는 비점착면 형성단계(S30);
    상기 비점착면(20)이 형성된 표면지(10)에 상기 이형지 분리단계(S20)에서 분리된 이형지를 다시 결합시키는 이형지 결합단계(S40);
    상기 이형지가 결합된 원단의 표면지(10) 타면을 인쇄하는 인쇄단계(S50); 및
    상기 인쇄된 원단을 롤 형상으로 권취하는 권취단계(S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인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공급단계(S10)의 점착제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및 감압성 아크릴 점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인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점착면 형성단계(S30)의 코팅액은,
    실리콘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 5~10중량부, 박리방지제 1~3중량부, 경화제 1~3중량부, 촉매 0.5~2중량부, 분산제 0.5~2중량부, 소포제 0.5~2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0.5~2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인쇄방법.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의 인쇄방법으로 인쇄된 인쇄된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KR1020220057183A 2022-05-10 2022-05-10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인쇄방법 및 그에 의해 인쇄된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KR102412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183A KR102412093B1 (ko) 2022-05-10 2022-05-10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인쇄방법 및 그에 의해 인쇄된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183A KR102412093B1 (ko) 2022-05-10 2022-05-10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인쇄방법 및 그에 의해 인쇄된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093B1 true KR102412093B1 (ko) 2022-06-23

Family

ID=8222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183A KR102412093B1 (ko) 2022-05-10 2022-05-10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인쇄방법 및 그에 의해 인쇄된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0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4186A (ko) * 2010-11-19 2012-05-30 주식회사 이에프티코리아 종이기재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계 점착시트의 폴리올 간접코팅법
JP2016534357A (ja) * 2013-09-04 2016-11-04 クレド バイオメディカル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アッセイ検査デバイス、キット、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774874B1 (ko) * 2016-02-19 2017-09-05 율촌화학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이형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64997B1 (ko) 2021-06-30 2022-02-21 에스디바이오센서 주식회사 코로나 바이러스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369013B1 (ko) * 2021-06-21 2022-03-03 주식회사 신일디앤피 강압식 종이 전사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4186A (ko) * 2010-11-19 2012-05-30 주식회사 이에프티코리아 종이기재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계 점착시트의 폴리올 간접코팅법
JP2016534357A (ja) * 2013-09-04 2016-11-04 クレド バイオメディカル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アッセイ検査デバイス、キット、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774874B1 (ko) * 2016-02-19 2017-09-05 율촌화학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이형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69013B1 (ko) * 2021-06-21 2022-03-03 주식회사 신일디앤피 강압식 종이 전사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2364997B1 (ko) 2021-06-30 2022-02-21 에스디바이오센서 주식회사 코로나 바이러스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3233B2 (en) Medical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using immiscible material
TWI608070B (zh) 黏著性物件
EP2498988B1 (en) Medical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using miscible composition
JP4803524B2 (ja) 光学部材用粘着剤及び該粘着剤を設けた光学部材
JP5199250B2 (ja) 粘着シート
CN106905912B (zh) 一种聚氨基甲酸酯粘合剂及其用途
JP2007520265A5 (ko)
TW200611955A (en) Silicone rubber 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KR102412093B1 (ko)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인쇄방법 및 그에 의해 인쇄된 진단 검사지용 표시라벨지
ES2665942T3 (es) Método para fabricar placa de impresión flexográfica y placa de impresión flexográfica
KR970001499B1 (ko)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
JP6427777B2 (ja) 両面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画面用の保護部材
JP6209076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付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2007045102A (ja) 自己密着性カバーフィルム、及びその自己密着性カバーフィルムを貼着してなる保護積層体
FI92710C (fi) Kosketusliimakoostumus
TW200536919A (en) Releasing sheet
JP4960173B2 (ja) 剥離シートおよび粘着シート
JP5914692B2 (ja) 再使用可能な複合接着剤
KR20160090819A (ko) 적층체, 기재의 처리 방법, 가고정용 조성물 및 반도체 장치
Hilgert et al. CE 2 Adhesive Procedures in Daily Practice: Essential Aspects
JP6703875B2 (ja) 粘着テープ
JPH05163470A (ja) アルカリ水溶性粘着剤組成物
EP2286216A1 (en) Water detecting label
KR20150094270A (ko) 편광판
JPH10316957A (ja) 硬化型粘接着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