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992B1 - 사이즈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사이즈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992B1
KR102411992B1 KR1020220029121A KR20220029121A KR102411992B1 KR 102411992 B1 KR102411992 B1 KR 102411992B1 KR 1020220029121 A KR1020220029121 A KR 1020220029121A KR 20220029121 A KR20220029121 A KR 20220029121A KR 102411992 B1 KR102411992 B1 KR 102411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mmel
screw
module
fixing pin
mixe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국
Original Assignee
무진환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진환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무진환경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09Magnetic retaining means
    • B65G21/2018Magnetic retaining means f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 호퍼에 투입된 혼합 폐기물이 트롬멜 모듈로 공급하는 투입 컨베이어, 투입 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된 혼합 폐기물을 선별하는 트롬멜 모듈, 트롬멜 모듈의 각각의 트롬멜 선별기공에 설치되어 선별기공 크기 조절이 가능한 기공 조절 모듈, 트롬멜 모듈의 회전축에 일체로 설치되어 공기를 분사하여 혼합 폐기물을 떨어뜨리는 공기 분사 모듈이 구비된 사이즈 선별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사이즈 선별장치{Size sorting device}
본 발명은 사이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혼합 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 호퍼에 투입된 혼합 폐기물이 트롬멜 모듈로 공급하는 투입 컨베이어, 투입 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된 혼합 폐기물을 선별하는 트롬멜 모듈, 트롬멜 모듈의 각각의 트롬멜 선별기공에 설치되어 선별기공 크기 조절이 가능한 기공 조절 모듈, 트롬멜 모듈의 회전축에 일체로 설치되어 공기를 분사하여 혼합 폐기물을 떨어뜨리는 공기 분사 모듈이 구비된 사이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 발전에 따라 합성수지는 생활 및 산업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은 매년 급증하고 있다. 즉,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PET),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에서 발생된 폐합성수지의 대부분을 중국 등 해외로 수출하거나 매립 또는 소각하여 왔다. 한편, 2018년 이후 중국 정부의 폐합성수지 등 24종 폐기물 수입 중단조치에 따라 대중 수출이 금지되었다. 또한 2018년 1월 자원순환기본법이 시행됨에 따라 '폐기물처분(소각·매립) 부담금'이 부과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인으로 폐합성수지 등의 재활용 폐기물 처리 대란이 발생된 바 있다.
또한, 폐합성수지는 상당부분 고형연료제품(SRF, Solid Refuse Fuel)으로 재활용되고 있으나, 최근 국내 신재생 에너지 정책이 폐기물 SRF 에너지를 지양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 바, 앞으로 재활용 수요처의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폐합성수지의 경우, 성형 공정을 거쳐 성형품으로 재탄생하는 물질 재활용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국내 합성수지 발생량을 살펴보면, 약 40%가 생활계 복합 폐합성수지로서 이물질 및 다른 재질이 혼합되어 있는 바, 재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혼합된 재질을 분리 선별하기 위한 선별 공정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는 호퍼가 구비된 사이즈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퍼에 투입된 혼합 폐기물을 트롬멜 모듈로 공급할 수 있는 투입 컨베이어가 구비된 사이즈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입 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된 혼합 폐기물을 선별하는 트롬멜 모듈이 구비된 사이즈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롬멜 모듈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혼합 폐기물을 떨어뜨리는 공기 분사 모듈이 구비된 사이즈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롬멜 모듈의 각각의 선별기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공 조절 모듈이 구비된 사이즈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는 혼합 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호퍼에 의해 투입된 상기 혼합 폐기물의 공급 속도를 조절하여 정량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투입 컨베이어, 상기 투입 컨베이어의 말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투입 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된 상기 혼합 폐기물을 선별하는, 트롬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롬멜 모듈은 전후방이 개구되고, 상기 투입 컨베이어와 일체로 연통되어 상기 혼합 폐기물을 공급받아 직경이 10~30cm의 혼합 폐기물을 회전하여 선별하는, 제 1 트롬멜, 전후방이 개구되고, 상기 제 1 트롬멜에서 선별되지 않은 혼합 폐기물 중 직경이 1~9cm의 혼합폐기물을 선별하기 위해 회전하며, 상기 제 1 트롬멜보다 직경이 30~50cm 큰, 제 2 트롬멜, 전후방이 개구되고, 상기 제 2 트롬멜에서 선별되지 않은 혼합 폐기물이 수용되는 트롬멜 하우징, 상기 제 1 트롬멜의 양 측단 외주에 적어도 둘 이상의 회전축 프레임이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 프레임의 중심에서 상기 제 1 트롬멜 모듈의 중심을 가로지르고, 상기 제 1 트롬멜의 상기 혼합 폐기물을 선별하기 위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선별되는 동안 상기 혼합 폐기물이 상기 제 1 트롬멜이나 상기 회전축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의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한 쌍 이상이 설치되는 공기 분사 모듈, 상기 제 1 트롬멜 및 상기 제 2 트롬멜에는 혼합 폐기물을 선별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제 1 트롬멜 및 상기 제 2 트롬멜의 외주면에서 내부로 관통되고, 복수 개가 일렬로 형성되는 제 1 선별기공 및 제 2 선별기공, 복수의 상기 제 1 선별기공 및 복수의 상기 제 2 선별기공의 각각의 외면에 설치되어 각각의 선별기공 크기를 조절 가능한 기공 조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롬멜 모듈은 상기 제 1 트롬멜 및 상기 제 2 트롬멜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이중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제 2 트롬멜의 외부에 동심으로 상기 트롬멜 하우징이 결합되어, 외관은 상기 트롬멜 하우징의 원통형 외관이나 내부는 상기 제 1 트롬멜, 상기 제 2 트롬멜 및 상기 트롬멜 하우징 순으로 결합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 분사 모듈은,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회전축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관, 상기 메인관의 말단부에 일체로 양 갈래로 각각 연통되고, 상기 메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공기관, 상기 공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는 분사공, 상기 메인관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집, 상기 나사집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삽입되거나 풀리는 나사, 상기 나사집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나사가 상기 나사집을 따라 완전히 회전 삽입될 때 상기 나사에 의해 밀려나는 제 1 탄성체, 상기 제 1 탄성체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나사에 의해 밀려나는 힘을 탄성력으로 전환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탄성력을 인가받아 상기 메인관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압축시켜 양 갈래로 갈라진 상기 공기관에 압축 공기를 유동하는 제 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나사집은 상기 나사보다 0.5 cm 짧은 길이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 분사 모듈은 나사를 회전삽입하여 제 1 탄성체를 밀고, 제 1 탄성체가 스프링을 밀어, 제 2 탄성체가 메인관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밀어 압축시키고, 나사가 나사집의 나사산을 따라 감기면서 제 1 탄성체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뒤로 밀리지 않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공 조절 모듈은, 복수의 상기 제 1 선별기공 및 복수의 상기 제 2 선별기공의 각각의 외면에 설치하기 위해 지름이 각각의 선별기공보다 큰 복수의 고정핀 플랜지, 상기 고정핀 플랜지의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 플랜지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핀, 상기 고정핀에 말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핀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가능하여 각각의 선별기공의 크기를 조절 가능한 복수의 조절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핀은, 각각의 상기 고정핀 플랜지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자성을 띠는 자성체, 상기 자성체의 길이 방향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 자성을 띠는 자성코일, 상기 자성체가 상기 고정핀 플랜지에 삽입되는 부분에 상기 자성체와 일체로 자성 결합을 하여 상기 고정핀 플랜지에서 상기 자성체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복수의 자성체 지지부, 각각의 상기 자성체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측 말단부에 상기 제 1 트롬멜 및 상기 제 2 트롬멜 외면과 0.5~1cm의 이격거리를 두고 삽입되는 고정핀 하우징, 상기 고정핀 하우징과 상기 제 1 트롬멜 및 상기 제 2 트롬멜 외면 사이의 상기 이격공간에 삽입되는 고정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든 트롬멜의 선별기공에 설치된 고정핀 플랜지의 외부에서 내부로 자성체가 삽입되고, 삽입된 자성체에 자성코일이 외주면을 따라 감겨 자성을 띠고, 자성을 띠는 자성체의 삽입 부분의 양측면에 일체로 자성체 지지부가 자성 결합하고, 자성체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 말단부에 고정핀 하우징이 삽입되나 트롬멜과 0.5~1cm 이격공간을 두고, 그 사이에 고정 플랜지가 삽입되는 특징을 포함하고, 기공 조절 모듈은 고정핀에 고정된 조절날개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 1 선별기공 및 제 2 선별기공의 크기를 조절하여 혼합 폐기물을 선별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 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 호퍼에 투입된 혼합 폐기물이 트롬멜 모듈로 공급하는 투입 컨베이어, 투입 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된 혼합 폐기물을 선별하는 트롬멜 모듈, 트롬멜 모듈의 각각의 트롬멜 선별기공에 설치되어 선별기공 크기 조절이 가능한 기공 조절 모듈, 트롬멜 모듈의 회전축에 일체로 설치되어 공기를 분사하여 혼합 폐기물을 떨어뜨리는 공기 분사 모듈이 구비된 사이즈 선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호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호퍼와 투입 컨베이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트롬멜 모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트롬멜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호퍼 내지 트롬멜 모듈의 실시예를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제 1 트롬멜의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트롬멜 모듈의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회전축과 공기 분사 모듈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트롬멜 모듈과 회전축 및 공기 분사 모듈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공기 분사 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기공 조절 모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기공 조절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기공 조절 모듈의 고정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호퍼(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호퍼(10)는 혼합 폐기물(P)이 투입되며, 실시예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 폐기물(P)을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기도 하고, 크레인을 이용하여 혼합 폐기물(P)을 공급하기도 하는 바, 작업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도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호퍼(10)와 투입 컨베이어(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호퍼(10)의 하부에 투입 컨베이어(20)가 설치되어 투입된 혼합 폐기물(P)이 이를 따라 트롬멜 모듈(100)로 공급 속도를 조절하면서 정량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호퍼(10)에 투입된 혼합 폐기물(P)이 투입 컨베이어(20)로 바로 공급되기 위해서는 호퍼(10)의 하부와 투입 컨베이어(20)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트롬멜 모듈(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롬멜 모듈(100)은 투입 컨베이어(20)의 말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투입 컨베이어(20)에 의해 공급된 혼합 폐기물(P)을 선별할 수 있다.
투입 컨베이어(20)의 일단부에 트롬멜 모듈(100)의 통공된 입구가 걸쳐져 있는 결합예가 가장 바람직하게 혼합 폐기물(P)을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트롬멜 모듈(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롬멜 모듈(100)의 통공된 출구의 실시예를 이해할 수 있다.
후술할 트롬멜 모듈(100)의 실시예에서 상세히 기술하겠지만, 간략하게는 선별된 혼합 폐기물(P)의 사이즈가 작은 순서대로 트롬멜 모듈(100)의 출구와 이어진 컨베이어 벨트에 공급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와 트롬멜 모듈(100)의 출구 부분의 결합 관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호퍼(10) 내지 트롬멜 모듈(100)의 실시예를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호퍼(10), 투입 컨베이어(20) 및 트롬멜 모듈(100)의 결합 실시예를 간략하게 나타내었다.
혼합 폐기물(P)은 호퍼(10)에 투입되어, 다시 투입 컨베이어(20)를 타고 트롬멜 모듈(100)로 공급될 수 있다.
트롬멜 모듈(100)은 제 1 트롬멜(110), 제 2 트롬멜(120), 트롬멜 하우징(125), 회전축(140), 공기 분사 모듈(200), 제 1 선별기공(110a) 및 제 2 선별기공(120a), 기공 조절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제 1 트롬멜의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트롬멜(110)은 전후방이 개구되고, 투입 컨베이어(20)와 일체로 연통되어 혼합 폐기물(P)을 공급받아 직경이 10~30cm의 혼합 폐기물(P)을 회전하여 선별할 수 있다.
제 2 트롬멜(120)은 전후방이 개구되고, 제 1 트롬멜(110)에서 선별되지 않은 혼합 폐기물(P) 중 직경이 1~9cm의 혼합폐기물(P)을 선별하기 위해 회전하며, 제 1 트롬멜(110)보다 직경이 30~50cm 정도 크다.
트롬멜 하우징(125)은 전후방이 개구되고, 제 2 트롬멜(120)에서 선별되지 않은 혼합 폐기물(P)이 하방면으로 모여 수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축(140)은 제 1 트롬멜(110)의 양 측단 외주에 프레임 고정부(131)에 의해 적어도 둘 이상의 회전축 프레임(130)이 고정되며, 회전축(140) 프레임(130)의 중심에서 제 1 트롬멜(110) 모듈(100)의 중심을 가로지르고, 제 1 트롬멜(110)의 혼합 폐기물(P)을 선별하기 위해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140)은 제 1 트롬멜(110)의 내부에서 회전하며 원심력에 의해 제 1 트롬멜(110) 내부에서 뭉쳐져 있는 혼합 폐기물(P)을 분리시켜 선별에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트롬멜 모듈의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트롬멜 모듈(100)은 제 1 트롬멜(110) 및 제 2 트롬멜(120)이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이중 구조로 설치되고, 제 2 트롬멜(120)의 외부에 동심으로 트롬멜 하우징(125)이 결합되어, 외관은 트롬멜 하우징(125)의 원통형 외관이나 내부는 제 1 트롬멜(110), 제 2 트롬멜(120) 및 트롬멜 하우징(125) 순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제 1 트롬멜(110), 제 2 트롬멜(120) 및 회전축(140)의 회전을 각기 달리 조절할 수 있다.
제 1 트롬멜(110)과 제 2 트롬멜(120)은 각기 다른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혼합 폐기물(P)를 효율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로 회전축(140)이 회전하여 후술할 공기 분사 모듈(200)의 동작에 의해 원심력에 의해 제 1 트롬멜(110)의 내면에 달라붙은 혼합 폐기물(P) 또는 회전축(140)에 달라붙은 혼합 폐기물(P)을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 1 트롬멜(110), 제 2 트롬멜(120) 및 회전축(14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각기 다른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각 트롬멜 및 회전축이 효율적으로 혼합 폐기물을 선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회전축과 공기 분사 모듈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공기 분사 모듈(200)은 회전축(140)의 회전에 의해 혼합 폐기물(P)이 선별되는 동안 제 1 트롬멜(110)이나 회전축(140)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 회전축(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의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한 쌍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트롬멜 모듈과 회전축 및 공기 분사 모듈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공기 분사 모듈(200)의 상세한 결합 관계나 실시예는 후술되지만, 간략하게는 회전축(140)이 회전하는 동안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혼합 폐기물(P)을 회전축(140)이나 제 1 트롬멜(110)에서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혼합 폐기물(P)이 제 1 트롬멜(110)의 제 1 선별기공(110a)으로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공기 분사 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기 분사 모듈(200)은 하우징(205), 메인관(210), 공기관(270), 분사공(271), 나사집(230), 나사(220), 제 1 탄성체(240), 스프링(250) 제 2 탄성체(2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5)은 도 8를 참조하면, 회전축(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공기 분사 모듈(2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회전축(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축(140)과 일체로,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관(210)은 회전축(140)의 내부와 연통되고 하우징(205)의 내부에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동할 수 있다.
공기관(270)은 메인관(210)의 말단부에 일체로 양 갈래로 각각 연통되고, 메인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축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분사공(271)은 공기관(2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집(230)은 메인관(210)의 내부에서 메인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231)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220)는 나사집(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삽입되거나 풀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탄성체(240)는 나사집(230)의 말단부에 나사(220)가 나사집(230)을 따라 완전히 회전 삽입될 때 나사(220)에 의해 밀려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프링(250)은 제 1 탄성체(240)와 일체로 결합되어 나사(220)에 의해 밀려나는 힘을 탄성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 2 탄성체(260)는 스프링(250)과 일체로 결합되어 탄성력을 인가받아 메인관(210)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압축시켜 양 갈래로 갈라진 공기관(270)에 압축 공기를 유동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나사(220)가 나사집(230)의 나사산(231)을 따라 회전 삽입되어 제 1 탄성체(240)를 밀어내려면 나사집(230)의 길이가 나사보다 짧아야 하므로 바람직하게는 0.5cm 짧은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의 결합 관계와 동작 원리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기 분사 모듈(200)은 나사(220)를 나사집(230)에 회전 삽입하여 제 1 탄성체(240)를 밀고, 제 1 탄성체(240)가 스프링(250)을 밀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탄성력은 제 2 탄성체(260)를 밀어 메인관(210)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밀어내면서 압축시킬 수 있다.
또한, 나사(220)가 나사집(230)의 나사산(231)을 따라 감기면서 제 1 탄성체(240)가 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해 뒤로 밀리지 않아 공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압축시킬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나사(220)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나사집에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제어부를 제어하여 나사(220)를 감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나사(220)가 감기는 속도는 일반적인 전동 드라이버 공구를 이용하여 나사를 조이고 푸는 분당 회전수와 같다.
따라서, 상기 분당 회전수에 의해 나사(220)가 조여져 제 1 탄성체(240)를 비롯한 제 2 탄성체(260)를 밀어내는 속도 또한 변환되어 동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최종적으로 압축 공기를 형성하기 충분함 힘을 제 2 탄성체(260)가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공기 분사 모듈(200)은 회전축(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복수 개의 하우징(205)이 대응하는 위치에 쌍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회전축(140)의 내부와 연통된 메인관(210)과, 메인관(210)과 연통된 공기관(270)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관(210)은 나사(220)가 삽입되어 있으며 나사(220)가 감겨 삽입될 수 있도록 나사산(231)이 형성된 나사집(230)이 구비되고, 나사집(230)의 말단부에는 제 1 탄성체(240), 스프링(250), 및 제 2 탄성체(260)가 차례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기공 조절 모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선별기공(110a) 및 제 2 선별기공(120a)은 제 1 트롬멜(110) 및 제 2 트롬멜(120) 각각에 혼합 폐기물(P)을 선별하기 위해 그 각각의 외주면에서 내부로 관통되고, 복수 개가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기공 조절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공 조절 모듈(300)은 복수의 제 1 선별기공(110a) 및 복수의 제 2 선별기공(120a)의 각각의 외면에 설치되어 각각의 선별기공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기공 조절 모듈(300)의 선별기공 크기 조절 동작으로 인해 제 1 트롬멜(110)과 제 2 트롬멜(120)이 선별 가능한 혼합 폐기물(P)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기공 조절 모듈(300)은 복수의 고정핀 플랜지(330), 복수의 고정핀(320), 복수의 조절날개(31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 플랜지(330)는 복수의 제 1 선별기공(110a) 및 복수의 제 2 선별기공(120a)의 각각의 외면에 설치하기 위해 지름이 각각의 선별기공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핀(320)은 고정핀 플랜지(330)의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고정핀 플랜지(330)를 고정할 수 있다.
조절날개(310)는 고정핀(320)에 말단이 고정되고 고정핀(320)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가능하여 각각의 선별기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선별장치의 기공 조절 모듈의 고정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핀(320)은 자성체(321), 자성코일(322), 자성체 지지부(324), 고정핀 하우징(323), 고정 플랜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321)는 각각의 고정핀 플랜지(330)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자성을 띠는 원기둥 형상을 할 수 있으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자성코일(322)은 자성체(321)의 길이 방향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 자성을 띠고 있을 수 있다.
자성체 지지부(324)는 자성체(321)가 고정핀 플랜지(330)에 삽입되는 부분에 자성체(321)와 일체로 자성 결합을 하도록 형성되어 고정핀 플랜지(330)에서 자성체(321)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고정핀 하우징(323)은 각각의 자성체 지지부(324)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측 말단부에 제 1 트롬멜(110) 및 제 2 트롬멜(120) 외면과 0.5~1cm의 이격거리를 두고 삽입될 수 있다.
고정핀 하우징(323)이 삽입됨으로써 자성체(321) 및 자성체 지지부(324)를 더욱 강하게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고정 플랜지(325)는 고정핀 하우징(323)과 제 1 트롬멜(110) 및 제 2 트롬멜(120) 외면 사이의 이격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 플랜지(325)가 고정핀 하우징(323)과 각각의 트롬멜 외면 사이의 이격공간에 삽입됨으로써 고정핀(320) 전체 구성이 공고히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고정 플랜지(325)는 자성체(3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의 결합 관계와 동작 원리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트롬멜의 선별기공에 설치된 고정핀 플랜지(330)의 외부에서 내부로 자성체(321)가 삽입되고, 삽입된 자성체에 자성코일(322)이 외주면을 따라 감겨 자성을 띠고, 자성을 띠는 자성체(321)의 삽입 부분의 양측면에 일체로 자성체 지지부(324)가 자성 결합하고, 자성체 지지부(324)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 말단부에 고정핀 하우징(323)이 삽입되나 트롬멜과 0.5~1cm 이격공간을 두고, 그 사이에 고정 플랜지(325)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기공 조절 모듈(300)은 고정핀에 고정된 조절날개(310)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 1 선별기공(110a) 및 제 2 선별기공(120a)의 크기를 조절하여 혼합 폐기물(P)을 선별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제 1 선별기공(110a)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직경이 10~30cm의 혼합 폐기물(P)을 선별하기 위한 크기로, 제 2 선별기공(120a)은 직경이 1~9cm의 혼합 폐기물(P)을 선별하기 위한 크기로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혼합 폐기물(P)
호퍼(10)
투입 컨베이어(20)
트롬멜 모듈(100)
제 1 트롬멜(110)
제 1 선별기공(110a)
제 2 트롬멜(120)
제 2 선별기공(120a)
트롬멜 하우징(125)
회전축 프레임(130)
프레임 고정부(131)
회전축(140)
공기 분사 모듈(200)
하우징(205)
메인관(210)
나사(220)
나사집(230)
나사산(231)
제 1 탄성체(240)
스프링(250)
제 2 탄성체(260)
공기관(270)
분사공(271)
기공 조절 모듈(300)
조절 날개(310)
고정핀(320)
자성체(321)
자성코일(322)
고정핀 하우징(323)
자성체 지지부(324)
고정 플랜지(325)
고정핀 플랜지(330)

Claims (2)

  1. 사이즈 선별장치에 있어서,
    혼합 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호퍼에 의해 투입된 상기 혼합 폐기물의 공급 속도를 조절하여 정량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투입 컨베이어;
    상기 투입 컨베이어의 말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투입 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된 상기 혼합 폐기물을 선별하는, 트롬멜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트롬멜 모듈은,
    전후방이 개구되고, 상기 투입 컨베이어와 일체로 연통되어 상기 혼합 폐기물을 공급받아 직경이 10~30cm의 혼합 폐기물을 회전하여 선별하는, 제 1 트롬멜;
    전후방이 개구되고, 상기 제 1 트롬멜에서 선별되지 않은 혼합 폐기물 중 직경이 1~9cm의 혼합폐기물을 선별하기 위해 회전하며, 상기 제 1 트롬멜보다 직경이 30~50cm 큰, 제 2 트롬멜;
    전후방이 개구되고, 상기 제 2 트롬멜에서 선별되지 않은 혼합 폐기물이 수용되는 트롬멜 하우징;
    상기 제 1 트롬멜의 양 측단 외주에 적어도 둘 이상의 회전축 프레임이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 프레임의 중심에서 상기 제 1 트롬멜 모듈의 중심을 가로지르고, 상기 제 1 트롬멜의 상기 혼합 폐기물을 선별하기 위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선별되는 동안 상기 혼합 폐기물이 상기 제 1 트롬멜이나 상기 회전축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의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한 쌍 이상이 설치되는 공기 분사 모듈;
    상기 제 1 트롬멜 및 상기 제 2 트롬멜에는 혼합 폐기물을 선별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제 1 트롬멜 및 상기 제 2 트롬멜의 외주면에서 내부로 관통되고, 복수 개가 일렬로 형성되는 제 1 선별기공 및 제 2 선별기공;
    복수의 상기 제 1 선별기공 및 복수의 상기 제 2 선별기공의 각각의 외면에 설치되어 각각의 선별기공 크기를 조절 가능한 기공 조절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트롬멜 모듈은 상기 제 1 트롬멜 및 상기 제 2 트롬멜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이중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제 2 트롬멜의 외부에 동심으로 상기 트롬멜 하우징이 결합되어, 외관은 상기 트롬멜 하우징의 원통형 외관이나 내부는 상기 제 1 트롬멜, 상기 제 2 트롬멜 및 상기 트롬멜 하우징 순으로 결합되는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분사 모듈은,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회전축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관;
    상기 메인관의 말단부에 일체로 양 갈래로 각각 연통되고, 상기 메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공기관;
    상기 공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는 분사공;
    상기 메인관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집;
    상기 나사집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삽입되거나 풀리는 나사;
    상기 나사집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나사가 상기 나사집을 따라 완전히 회전 삽입될 때 상기 나사에 의해 밀려나는 제 1 탄성체;
    상기 제 1 탄성체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나사에 의해 밀려나는 힘을 탄성력으로 전환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탄성력을 인가받아 상기 메인관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압축시켜 양 갈래로 갈라진 상기 공기관에 압축 공기를 유동하는 제 2 탄성체;
    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집은 상기 나사보다 0.5 cm 짧은 길이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 분사 모듈은 나사를 회전삽입하여 제 1 탄성체를 밀고, 제 1 탄성체가 스프링을 밀어, 제 2 탄성체가 메인관 내부에 잔류하는 공기를 밀어 압축시키고,
    나사가 나사집의 나사산을 따라 감기면서 제 1 탄성체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뒤로 밀리지 않는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기공 조절 모듈은,
    복수의 상기 제 1 선별기공 및 복수의 상기 제 2 선별기공의 각각의 외면에 설치하기 위해 지름이 각각의 선별기공보다 큰 복수의 고정핀 플랜지;
    상기 고정핀 플랜지의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 플랜지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핀;
    상기 고정핀에 말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핀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가능하여 각각의 선별기공의 크기를 조절 가능한 복수의 조절날개;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은,
    각각의 상기 고정핀 플랜지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자성을 띠는 자성체;
    상기 자성체의 길이 방향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 자성을 띠는 자성코일;
    상기 자성체가 상기 고정핀 플랜지에 삽입되는 부분에 상기 자성체와 일체로 자성 결합을 하여 상기 고정핀 플랜지에서 상기 자성체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복수의 자성체 지지부;
    각각의 상기 자성체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측 말단부에 상기 제 1 트롬멜 및 상기 제 2 트롬멜 외면과 0.5~1cm의 이격거리를 두고 삽입되는 고정핀 하우징;
    상기 고정핀 하우징과 상기 제 1 트롬멜 및 상기 제 2 트롬멜 외면 사이의 이격공간에 삽입되는 고정 플랜지;
    를 포함하고,
    모든 트롬멜의 선별기공에 설치된 고정핀 플랜지의 외부에서 내부로 자성체가 삽입되고, 삽입된 자성체에 자성코일이 외주면을 따라 감겨 자성을 띠고, 자성을 띠는 자성체의 삽입 부분의 양측면에 일체로 자성체 지지부가 자성 결합하고, 자성체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 말단부에 고정핀 하우징이 삽입되나 트롬멜과 0.5~1cm 이격공간을 두고, 그 사이에 고정 플랜지가 삽입되는 특징을 포함하고,
    기공 조절 모듈은 고정핀에 고정된 조절날개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 1 선별기공 및 제 2 선별기공의 크기를 조절하여 혼합 폐기물을 선별하는 특징을
    포함하는, 사이즈 선별장치.
  2. 삭제
KR1020220029121A 2021-09-01 2022-03-08 사이즈 선별장치 KR102411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557 2021-09-01
KR20210116557 2021-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992B1 true KR102411992B1 (ko) 2022-06-22

Family

ID=82217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121A KR102411992B1 (ko) 2021-09-01 2022-03-08 사이즈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9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730B1 (ko) * 2009-10-28 2011-01-18 (주)조은이엔티 강제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롬멜
KR101907579B1 (ko) * 2017-12-27 2018-10-12 문정식 3단트롬멜을 갖는 수조식 골재 선별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골재 선별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730B1 (ko) * 2009-10-28 2011-01-18 (주)조은이엔티 강제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롬멜
KR101907579B1 (ko) * 2017-12-27 2018-10-12 문정식 3단트롬멜을 갖는 수조식 골재 선별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골재 선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266B1 (ko) 타격 파쇄 및 풍력건조에 의한 가연성 쓰레기 선별장치
CN103567209B (zh) 一种装潢建筑垃圾资源化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US5746320A (en) Friction electrifying-type electrostatic sorting apparatus
CZ292618B6 (cs) Způsob a zařízení pro suché oddělení houževnatě pružných materiálů
MXPA04008288A (es) Granuladora.
KR102411992B1 (ko) 사이즈 선별장치
KR10132097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US9056403B2 (en) Simultaneous preconcentration and preselection of at least one group of upgradable polymer materials originating from grinding waste of durable goods at end of life
SI1628813T1 (sl) Naprava za predelavo sintetičnega materiala za potrebe recikliranja
CN100374217C (zh) 主动式脉动气流分选设备
KR101591343B1 (ko) 가연성쓰레기의 고순도 선별 연료화 시스템
KR101907579B1 (ko) 3단트롬멜을 갖는 수조식 골재 선별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골재 선별방법
KR102267692B1 (ko) 유기물과 무기물의 혼합 가공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CN112676006A (zh) 生活垃圾破碎装置
CN109629288B (zh) 解纤装置以及薄片制造装置
EP0339490A3 (en) Device for sorting rubbish
JP2014136714A (ja) 固体燃料製造システム及び固体燃料製造方法
CN214637035U (zh) 生活垃圾破碎装置
KR200184640Y1 (ko) 폐기물 2단 역회전 선별시스템
KR102451577B1 (ko) 재생플라스틱 펠렛의 분진 제거장치
KR20120139025A (ko) 알피에프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101438134B1 (ko)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
KR101407093B1 (ko) 알피에프 제조 시스템의 스크린 장치
CN106040399B (zh) 一种果蔬废弃物回收利用装置及方法
CN113136252B (zh) 燃料棒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