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730B1 - 강제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롬멜 - Google Patents

강제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롬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730B1
KR101008730B1 KR1020090102949A KR20090102949A KR101008730B1 KR 101008730 B1 KR101008730 B1 KR 101008730B1 KR 1020090102949 A KR1020090102949 A KR 1020090102949A KR 20090102949 A KR20090102949 A KR 20090102949A KR 101008730 B1 KR101008730 B1 KR 101008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ember
rotation roller
eccentric
forward rotation
eccentric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식
Original Assignee
(주)조은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은이엔티 filed Critical (주)조은이엔티
Priority to KR1020090102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07B1/26Revolving drums with additional axial or radial movement of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제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롬멜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에 원 궤적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정회전롤러부재, 이 프레임에 편심 회전되게 형성된 편심회전롤러부재, 이 프레임에 형성되며 편심회전롤러부재를 정회전롤러부재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정회전롤러부재와 편심회전롤러부재의 외접을 단속하는 단속부재, 및 이 정회전롤러부재와 편심회전롤러부재를 반대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킴으로써 반복적으로 외접되도록 하여 이물질을 강제 배출 유도하도록 정회전롤러부재와 편심회전롤러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트롬멜의 드럼에 걸려있는 길이가 긴 이물질을 강제 배출시킴으로써 드럼의 배출공을 통해 폐기물의 선별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트롬멜, 드럼, 배출공, 편심롤러

Description

강제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롬멜{PULLING DEVICE AND TROMMEL THEREWITH}
본 발명은 강제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롬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롬멜의 드럼에 걸려있는 길이가 긴 이물질을 강제 배출시킴으로써 드럼의 배출공을 통해 폐기물의 선별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강제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롬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롬멜(trommel)이란 '회전식 원통의 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폐기물 선별장치의 일종으로 흔히 트롬멜장치 또는 트롬멜 스크린장치 및 트롬멜 선별장치(이하 '트롬멜장치'라고 함)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된다.
상기 트롬멜장치는 프레임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게 설치되고, 원둘레를 따라 통공이 다수 형성된 원통형 망체와, 상기 원통형 망체의 최 선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고 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기 원통형 망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트롬멜장치는 기울기를 가지고 프레임에 설치된 원통형의 망체가 회전수단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원통형의 망체 상방에서 폐기물이 투입되면, 기울기에 의한 자유낙하 및 원통형의 회전으로 서서히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원통형의 망체에 형성된 통공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폐기물은 통과되고, 통과되지 못한 폐기물은 하방으로 배출됨에 따라 폐기물의 크기별로 선별하는 장치이다.
기존의 트롬멜장치는 폐기물들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비닐 등 비교적 길이가 긴 폐기물들이 망체의 홀에 걸림으로써 선별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트롬멜의 드럼에 걸려있는 길이가 긴 이물질을 정회전하는 롤러와 편심회전하는 롤러의 반복적 외접 회전을 통해 강제 배출시킴으로써 드럼의 배출공을 통해 폐기물을 선별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고자 하는 강제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롬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 쌍의 롤러를 일정 간격 유격시킴으로써 드럼으로 폐기물의 선별 배출시 간섭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 강제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롬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제배출장치는: 고정체에 원 궤적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정회전롤러부재, 상기 고정체에 편심 회전되게 형성된 편심회전롤러부재, 상기 고정체에 형성되며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를 상기 정회전롤러부재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정회전롤러부재와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의 외접을 단속하는 단속부재, 및 상기 정회전롤러부재와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를 반대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킴으로써 반복적으로 외접되도록 하여 이물질을 강제 배출 유도하도록 상기 정회전롤러부재와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구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정회전롤러부재는 실린더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단속부재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는 상기 단속부재에 연결되는 제 1가이드블록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이송은 안내 지지하기 위해 가이드레일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회전롤러부재는 상기 실린더부재에 연결되는 제 1가이드블록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이송은 안내 지지하기 위해 가이드레일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롬멜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축방향에 대해 일정 구획을 따라 크기를 달리하는 다수의 배출공을 원둘레에 형성하여 외부력에 의해 강제 회전되며 크기에 따라 이물질을 선별 배출하는 드럼, 및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일부 배출된 이물질을 강제로 완전히 배출하는 강제배출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강제배출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원 궤적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정회전롤러부재, 상기 프레임에 편심 회전되게 형성된 편심회전롤러부재,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를 상기 정회전롤러부재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정회전롤러부재와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의 외접을 단속하는 단속부재, 및 상기 정회전롤러부재와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를 반대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킴으로써 반복적으로 외접되도록 하여 이물질을 강제 배출 유도하도록 상기 정회전롤러부재와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구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는 축방향에 대해 일정한 구획 간격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제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롬멜은 종래 기술과 달리 트롬멜의 드럼에 걸려있는 길이가 긴 이물질을 정회전하는 롤러와 편심회전하는 롤러의 반복적 외접 회전을 통해 강제 배출시킴으로써 드럼의 배출공을 통해 폐기물의 선별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 쌍의 롤러를 일정 간격 유격시킴으로써 드럼으로 폐기물의 선별 배출시 간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제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롬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배출장치를 구비한 트롬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배출장치를 구비한 트롬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배출장치 중 롤러의 배열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배출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배출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롬멜은 프레임(10), 드럼(20) 및 강제배출장치(1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드럼(20)과 강제배출장치(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프레임(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드럼(20)은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축방향에 대해 일정 구획을 따라 크기를 달리하는 다수의 배출공(22)을 원둘레에 형성하여 외부력에 의해 강제 회전되며 크기에 따라 이물질을 선별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즉, 드럼(20)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프레임(10) 상측에 소정 기울어지게 구비된다. 아울러, 드럼(20)은 프레임(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프레임(10)은 적어도 나란한 한 쌍의 안내롤러(12)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드럼(20)은 이 안내롤러(12)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어느 하나의 안내롤러(12)는 구동모터(14)와 연결되어 구동모터(14)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물론, 구동모터(14)와 어느 하나의 안내롤러(12)는 체인 등 다양한 동력전달요소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4)가 구동하게 되면, 어느 하나의 안내롤러(12)는 강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드럼(20)은 어느 하나의 안내롤러(12)와 외접한 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다른 안내롤러(12)는 드럼(20)과 외접한 채 자연적으로 회전하며 드럼(20)을 지지하게 된다.
특히, 드럼(20)은 프레임(10)의 상측에 대해 소정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둘레면에 다수 개의 배출공(22)을 통공한다.
아울러, 드럼(20)은 축방향에 대해 일정 구획을 따라 크기를 달리하는 다수의 배출공(22)을 원둘레에 형성한다.
그래서, 폐기물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드럼(20)의 상대적으로 높은 일측으로 유입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크기에 따라 자연 선별되어 배 출된다.
이때, 배출공(22)은 드럼(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을 점차적으로 증가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드럼(2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고, 배출공(22)의 굵기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강제배출장치(100)는 고정체에 형성되어 배출공(22)을 통해 일부 배출된 이물질을 강제로 완전히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강제배출장치(100)는 드럼(20)에 근접되도록 드럼(20)의 하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체는 프레임(10)과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나, 프레임(10) 자체로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강제배출장치(100)는 정회전롤러부재(110), 편심회전롤러부재(120), 단속부재(130) 및 구동부재(140)를 포함한다.
정회전롤러부재(110)는 고정체 특히, 드럼(2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0)에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프레임(10)은 정회전축(112)을 회전 가능하게 형성하고, 이 정회전축(112)은 둘레면에 정회전롤러부재(110)를 구비한다.
정회전축(112)은 양측 가장자리를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이 바람직하고, 드럼(20)의 축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회전축(112)은 외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정회전롤러부재(110)는 정회전축(112)에 형성되어 정회전축(112)과 동일속도 및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정회전롤러부재(110)는 정회전축(112)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정회전축(112)에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정회전롤러부재(110)는 중심에서 가장자리까지 모두 동일한 원 형상이다.
또한, 편심회전롤러부재(120)는 고정체 특히, 드럼(2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0)에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프레임(10)은 편심회전축(122)을 회전 가능하게 형성하고, 이 편심회전축(122)은 둘레면에 편심회전롤러부재(120)를 구비한다.
여기서, 편심회전축(122)은 정회전축(112)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편심회전축(122)은 양측 가장자리를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이 바람직하고, 드럼(20)의 축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편심회전축(122)은 외력에 의해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편심회전축(122)과 정회전축(112)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편심회전롤러부재(120)는 편심회전축(122)에 형성되어 편심회전축(122)과 동일속도 및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편심회전롤러부재(120)는 편심회전축(122)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편심회전축(122)에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편심회전롤러부재(120)는 편심회전축(122)의 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정회전롤러부재(110)와 편심회전롤러부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동부재(140)에 연결된다.
특히, 정회전축(112)과 편심회전축(122) 각각이 구동부재(140)에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외부 구동력을 받아 서로 반대방향으로 강제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동부재(140)는 모터로 함이 바람직하다.
즉, 정회전축(112)과 편심회전축(122)이 각각 구동부재(1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독립적으로 회전되면, 각각 대응되는 정회전롤러부재(110)와 편심회전롤러부재(120)는 일정 간격만큼 반복적으로 외접하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구동부재(140)가 외부 조작에 의해 동시에 구동하게 되면, 정회전롤러부재(110)를 포함한 정회전축(112)과 편심회전롤러부재(120)를 포함한 편심회전축(122)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일정간격으로 정회전롤러부재(110)와 편심회전롤러부재(120)가 외접하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정회전롤러부재(110)와 편심회전롤러부재(120) 사이에 위치한 이물질은 정회전롤러부재(110)와 편심회전롤러부재(120)의 잡아당기는 작용에 의해 드럼(20)의 배출공(22)으로부터 빠지게 된다.
여기서, 이물질은 드럼(20)의 배출공(22) 외측으로 일부 걸리고, 나머지 부분을 드럼(20) 내측에 위치한 비교적 긴 비닐 등을 말한다.
이때, 정회전롤러부재(110)와 편심회전롤러부재(120)는 드럼(20)의 축방향 길이와 유사한 길이를 갖게 된다.
특히, 편심회전롤러부재(120)가 전체적으로 드럼(20)의 축방향 길이와 유사하게끔 길게 형성되면, 이 편심회전롤러부재(120)는 비틀림력을 많이 받게 되어 변형이 쉽게 발생될 수 있다.
그래서, 편심회전롤러부재(120)는 축방향에 대해 일정한 구획 간격으로 나뉘어진 단위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편심회전롤러부재(120)는 동일하게 한 방향으로 편심될 경우, 편심회전롤러부재(120)와 정회전롤러부재(110)가 접하게 되면, 이물질이 한꺼번에 끼이게 되고, 이로 인해, 편심회전축(122)은 휘어질 수 있게 된다.
그래서, 편심회전롤러부재(120)는 편심회전축(122)에 대해 번갈아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정회전롤러부재(110)와 편심회전롤러부재(120)가 항상 드럼(2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 드럼(20)의 배출공(22)으로 배출되는 폐기물이 이 정회전롤러부재(110)와 편심회전롤러부재(120)에 걸려 낙하시 간섭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편심회전롤러부재(120)는 단속부재(130)에 의해 드럼(20)의 축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단속부재(130)는 고정체 특히, 프레임(10)에 형성되며, 편심회전롤러부재(120)를 정회전롤러부재(110)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정회전롤러부재(110)와 편심회전롤러부재(120)의 외접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단속부재(13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전후진되는 실린더로 함이 바 람직하다.
그리고, 이 단속부재(130)는 외부 조작에 의해 전후진하게 된다.
특히, 단속부재(130)는 편심회전축(122)에 연결되어 이 편심회전축(122)을 드럼(20)의 축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편심회전축(122)은 드럼(20)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전후진 작동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속부재(130)는 핀 결합 등의 방식에 의해 편심회전축(122)에 연결된다.
따라서, 단속부재(130)가 전진 작동하게 되고, 편심회전축(122)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140)가 작동하게 되면, 편심회전롤러부재(120)는 회전하면서 비연속적으로 반복해서 정회전롤러부재(110)와 외접하게 된다.
그러면, 편심회전롤러부재(120)와 정회전롤러부재(110)는 사이에 위치한 이물질을 드럼(20)으로부터 낙하시킨다.
아울러, 정회전롤러부재(110)도, 편심회전롤러부재(120)와 마찬가지로, 드럼(20)의 축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드럼(20)의 배출공(22)을 통해 낙하하는 폐기물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정회전롤러부재(110)는 실린더부재(150)에 연결되고, 이 실린더부재(150)는 프레임(10)에 고정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부재(150)는 단속부재(130)와 동일한 축 선상을 따라 전후진 작동하게 되고, 단속부재(130)와 반대방향으로 전후진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실린더부재(15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전후진 작동하는 실린더로 함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단속부재(130)와 실린더부재(15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하며 각각 전진하게 되고, 정회전축(112)과 편심회전축(122) 각각에 연결된 구동부재(140)가 작동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정회전롤러부재(110)와 편심회전롤러부재(120)는 인접되는 위치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비연속적으로 반복해서 외접하게 된다.
그러면, 편심회전롤러부재(120)와 정회전롤러부재(110)는 사이에 위치한 이물질을 드럼(20)으로부터 낙하시킨다.
도 5 내지 도 8은 편심회전롤러부재(120)와 정회전롤러부재(110) 사이에 위치한 이물질을 드럼(20)으로부터 낙하시키는 상태를 도시한다.
물론, 단속부재(130)와 실린더부재(15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하며 각각 후진하게 되고, 정회전축(112)과 편심회전축(122) 각각에 연결된 구동부재(140)가 정지하게 되면, 정회전롤러부재(110)와 편심회전롤러부재(120)는 충분히 유격된 채 회전 정지된다.
한편, 편심회전롤러부재(120)와 정회전롤러부재(110)는 전후진시 안정적으로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즉, 편심회전롤러부재(120)는 단속부재(130)에 연결되는 제 1가이드블 록(162)을 형성하고, 정회전롤러부재(110)는 실린더부재(150)에 연결되는 제 2가이드블록(164)을 형성하며, 고정체 특히 프레임(10)은 제 1가이드블록(162)과 제 2가이드블록(164)을 이송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레일(166)을 형성한다.
물론, 제 1가이드블록(162)은 편심회전축(122)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 2가이드블록(164)은 정회전축(112)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가이드블록(162)이 편심회전롤러부재(120)에 연결되는 방식과 제 2가이드블록(164)이 정회전롤러부재(110)에 연결되는 방식은 삽입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제 1가이드블록(162)과 제 2가이드블록(164)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배출장치를 구비한 트롬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배출장치를 구비한 트롬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배출장치 중 롤러의 배열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배출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배출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12: 안내롤러
20: 드럼 22: 배출공
100: 강제배출장치 110: 정회전롤러부재
112: 정회전축 120: 편심회전롤러부재
122: 편심회전축 130: 단속부재
140: 구동부재 150: 실린더부재
162,164: 제 1,2가이드블록 166: 가이드레일

Claims (7)

  1. 원 궤적을 따라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정회전롤러부재;
    상기 정회전롤러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독립적으로 편심 회전되게 형성되는 편심회전롤러부재;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를 상기 정회전롤러부재 측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상기 정회전롤러부재와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가 반복적으로 외접하도록 단속하는 단속부재; 및
    상기 정회전롤러부재와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를 나란한 상태로 근접되게 배치한 상태로 각각 독립되게 반대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정회전롤러부재와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가 반복적으로 외접되도록 하여 이물질을 잡아당겨 강제 배출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정회전롤러부재와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 각각에 형성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회전롤러부재는 실린더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단속부재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배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는 상기 단속부재에 연결되는 제 1가이드블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배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회전롤러부재는 상기 실린더부재에 연결되는 제 2가이드블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배출장치.
  5.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축방향에 대해 일정 구획을 따라 크기를 달리하는 다수의 배출공을 원둘레에 형성하여 외부력에 의해 강제 회전되며 크기에 따라 이물질을 선별 배출하는 드럼; 및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해 일부 배출된 이물질을 강제로 완전히 배출하는 강제배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강제배출장치는, 원 궤적을 따라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정회전롤러부재;
    상기 정회전롤러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독립적으로 편심 회전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편심회전롤러부재;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를 상기 정회전롤러부재 측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상기 정회전롤러부재와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가 반복적으로 외접하도록 단속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단속부재; 및
    상기 정회전롤러부재와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를 나란한 상태로 근접되게 배치한 상태로 각각 독립되게 반대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정회전롤러부재와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가 반복적으로 외접되도록 하여 이물질을 잡아당겨 강제 배출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정회전롤러부재와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 각각에 형성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롬멜.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회전롤러부재는 축방향에 대해 일정한 구획 간격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롬멜.
KR1020090102949A 2009-10-28 2009-10-28 강제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롬멜 KR101008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949A KR101008730B1 (ko) 2009-10-28 2009-10-28 강제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롬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949A KR101008730B1 (ko) 2009-10-28 2009-10-28 강제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롬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730B1 true KR101008730B1 (ko) 2011-01-18

Family

ID=43616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949A KR101008730B1 (ko) 2009-10-28 2009-10-28 강제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롬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7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242B1 (ko) * 2012-08-01 2013-02-14 전종호 과실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블루베리 선별기
KR101846233B1 (ko) 2017-09-08 2018-04-09 주식회사 중부에너텍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방법
KR102411992B1 (ko) * 2021-09-01 2022-06-22 무진환경 주식회사 사이즈 선별장치
KR102485423B1 (ko) 2022-01-19 2023-01-06 주식회사 현경플랜트 폐합성수지용 트롬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579U (ko) * 1989-07-05 1991-02-26
KR19980702960A (ko) * 1995-05-05 1998-09-05 드빌데르제 고형물 분류기
JP2000189894A (ja) 1998-12-28 2000-07-11 Sugiue Kenki Kk 篩分装置と篩分システム
KR100508303B1 (ko) 2003-09-04 2005-08-17 김탑수 건식선별기의 선별망통 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579U (ko) * 1989-07-05 1991-02-26
KR19980702960A (ko) * 1995-05-05 1998-09-05 드빌데르제 고형물 분류기
JP2000189894A (ja) 1998-12-28 2000-07-11 Sugiue Kenki Kk 篩分装置と篩分システム
KR100508303B1 (ko) 2003-09-04 2005-08-17 김탑수 건식선별기의 선별망통 청소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242B1 (ko) * 2012-08-01 2013-02-14 전종호 과실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블루베리 선별기
KR101846233B1 (ko) 2017-09-08 2018-04-09 주식회사 중부에너텍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방법
KR102411992B1 (ko) * 2021-09-01 2022-06-22 무진환경 주식회사 사이즈 선별장치
KR102485423B1 (ko) 2022-01-19 2023-01-06 주식회사 현경플랜트 폐합성수지용 트롬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8730B1 (ko) 강제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롬멜
JP3168587U (ja) 袋詰めゴミ処理装置
KR20090084572A (ko) 자동 선별기
CN106799278A (zh) 破碎筛分装置
CN202933848U (zh) 一种滚筒式物料筛选装置
JP2006188262A (ja) 廃棄物を容れたゴミ袋を処理する装置
JP5004060B2 (ja) ペットボトル用ラベル分離装置
CN102700786B (zh) 破袋机
CN103480638B (zh) 垃圾分选系统和方法
KR20130003489A (ko) 트로멜 및 이 트로멜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
KR101240083B1 (ko) 트로멜 및 이 트로멜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
CN102717942B (zh) 动刀机构和破袋机
CN203359000U (zh) 用于破袋设备的破袋装置和破袋设备
CN202657341U (zh) 破袋机
CN202609169U (zh) 破袋机
CN202621244U (zh) 破袋机
CN106070699A (zh) 豆筋机
CN202621245U (zh) 破袋机
CN207091583U (zh) 一种带有限位装置的边角料开松机
CN202621243U (zh) 破袋机
CN206139632U (zh) 鼓式垃圾分拣机鼓体
KR200484596Y1 (ko)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
CN202609168U (zh) 动刀机构和破袋机
JP2005246276A (ja) 破袋装置
CN202624761U (zh) 破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