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596Y1 -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 - Google Patents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596Y1
KR200484596Y1 KR2020160000041U KR20160000041U KR200484596Y1 KR 200484596 Y1 KR200484596 Y1 KR 200484596Y1 KR 2020160000041 U KR2020160000041 U KR 2020160000041U KR 20160000041 U KR20160000041 U KR 20160000041U KR 200484596 Y1 KR200484596 Y1 KR 200484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roller
frame
circumferential surface
driv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550U (ko
Inventor
장대선
Original Assignee
(주)지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엠아이 filed Critical (주)지엠아이
Priority to KR2020160000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596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5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5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5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틀프레임에 등 간격으로 복수개의 드럼통을 설치하고, 이 드럼통 내주면에 드럼통 내주면에 밀착되어 드럼톰을 회전시키는 구동롤러를 설치하며, 틀프레임 하부에 드럼통 외주면을 떠받쳐 지지하는 받침롤러와 구동롤러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설치하고, 받침롤러와 받대되는 방향에 드럼통 내주면에 밀착되어 드럼통을 구동롤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누르는 텐션부를 설치하여, 텐션부로 드럼통을 구동롤러 반대방향으로 눌러 구동롤러에 드럼통 내주면이 접지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롤러와 드럼통 내주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구동롤러에 의해 드럼통이 항상 동일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회전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드럼통이 텐션부에 의해 구동롤러 반대방향으로 눌림되어 드럼통의 내주면이 구동롤러에 항상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접지력 향상으로 드럼통의 회전력이 상승되며, 드럼통의 선별구멍에 끼임된 농산물이 튕김롤러에 의해 선별구멍에서 손쉽게 이탈되고, 이 농산물의 이탈로 드럼통의 회전이 정지될 우려가 없으며, 특히, 드럼통과 마찰되는 구동롤러의 과부하가 방지되어 구동모터 손상이 발생되지 않고, 드럼통이 동일한 속도로 유지되면서 회전되어 농산물 선별작업 능률이 향상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Drum-type sorter agricultural}
본 고안은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텐션부로 드럼의 내주면을 구동롤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눌러 드럼의 내주면이 구동롤러에 접지되도록 하는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선별기는 일손이 부족하거나 혹은 바쁜 농가에서 수확한 농산물을 크기별 또는 형상별로 나누어, 유사한 크기를 갖거나 혹은 유사한 형상을 갖는 농산물을 한데 모으는 장치이다.
여기서, 농산물 선별기는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있고, 농산물의 크기를 나누거나 혹은 형상을 나누는 방식에 따라 그 작동구조가 서로 다른 농산물 선별기가 사용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농산물 선별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 상에 등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농산물을 선별하는 선별드럼과, 상기 선별드럼의 내, 외주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밀착되어 상기 선별드럼을 회전구동시키는 동력전달장치 및 상기 고정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드럼의 외주면을 떠받쳐 지지하는 롤러로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선별드럼 사이에는 전달판이 설치되어 있고, 전단의 선별드럼을 통과한 농산물은 전달판에 떠 받쳐진 상태로 후단의 선별드럼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모터와, 이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되, 그 외면이 상기 선별드럼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선별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롤러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은 회전롤러는 회전작동되면서 상기 선별드럼의 선별봉과 마찰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롤러에 의해 상기 선별봉이 밀리면서 상기 선별드럼이 회전작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선별봉의 간격은 농산물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간격으로 형성되고, 선단부에 형성된 상기 선별드럼의 선별봉 간격은 후단부에 형성된 상기 선별드럼의 선별봉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봉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선별드럼 내로 낙하되는 농산물은 상기 배출가이드에 안내되어 상기 선별드럼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하중에 의해 선별드럼이 하방으로 내려앉아 선별드럼 외주면에서 동력전달장치의 회전롤러가 이격되고, 선별드럼 외주면에 회전롤러가 마찰되지 못해 선별드럼의 회전력 감소 또는 회전이 정지되며, 선별봉 사이에 농산물이 끼임될 우려가 있고, 선별봉 사이에 끼임된 농산물이 전달판에 걸려 선별드럼의 회전이 정지되며, 이 선별드럼의 정지로 인해 동력전달장치와 선별봉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함과 동시에 동력전달장치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동력전달장치가 손상되고, 이에따라, 농산물 선별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5-0078718 A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틀프레임에 등 간격으로 복수개의 드럼통을 설치하고, 이 드럼통 내주면에 드럼통 내주면에 밀착되어 드럼톰을 회전시키는 구동롤러를 설치하며, 틀프레임 하부에 드럼통 외주면을 떠받쳐 지지하는 받침롤러와 구동롤러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설치하고, 받침롤러와 받대되는 방향에 드럼통 내주면에 밀착되어 드럼통을 구동롤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누르는 텐션부를 설치하여, 텐션부로 드럼통을 구동롤러 반대방향으로 눌러 구동롤러에 드럼통 내주면이 접지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롤러와 드럼통 내주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구동롤러에 의해 드럼통이 항상 동일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회전되는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동롤러와 마주보는 드럼통 외주면에 튕김롤러를 설치하여, 드럼통의 선별구멍에 박혀있는 농산물을 선별구멍에서 이탈시키는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는, 틀프레임과; 양 측면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틀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등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고, 그 외면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선별구멍을 형성한 드럼통; 상기 틀프레임 상부에 그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드럼통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드럼통을 회전시키는 구동롤러; 상기 틀프레임 하부에 그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드럼통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드럼통을 떠받쳐 지지하는 받침롤러; 상기 틀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상기 틀프레임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롤러와 반대되는 방향의 상기 드럼통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드럼통을 상기 구동롤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눌러 상기 드럼통을 상기 구동롤러에 접지시키는 텐션부; 및 상기 구동롤러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복수의 상기 구동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밸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틀프레임 상부에 그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롤러와 서로 마주보는 상기 드럼통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드럼통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드럼통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드럼통의 선별구멍에 박혀있는 농산물을 튕겨내는 튕김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상기 드럼통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그 일단이 상기 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바와; 한 쌍의 상기 회전바의 타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그 외면이 상기 드럼통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드럼통을 상기 구동롤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눌러 가압하는 텐션롤러; 및 일단이 상기 틀프레임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바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바를 상기 구동롤러의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드럼통이 텐션부에 의해 구동롤러 반대방향으로 눌림되어 드럼통의 내주면이 구동롤러에 항상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접지력 향상으로 드럼통의 회전력이 상승되며, 드럼통의 선별구멍에 끼임된 농산물이 튕김롤러에 의해 선별구멍에서 손쉽게 이탈되고, 이 농산물의 이탈로 드럼통의 회전이 정지될 우려가 없으며, 특히, 드럼통과 마찰되는 구동롤러의 과부하가 방지되어 구동모터 손상이 발생되지 않고, 드럼통이 동일한 속도로 유지되면서 회전되어 농산물 선별작업 능률이 향상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틀프레임(100)은 사각 틀 형상이다.
상기 틀프레임(100)은 상기 드럼통(200)을 지면에서 정해진 높이에 위치시킨다.
상기 틀프레임(100)은 상기 드럼통(200)의 하중을 지탱한다.
상기 틀프레임(100)은 상기 드럼통(200)이 설치된 그 중앙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드럼통(200) 내로 낙하되는 농산물을 상기 드럼통(200)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안내부(101)를 더 형성한다.
상기 배출안내부(101)는 상기 드럼통(200) 내에서 상기 드럼통(200) 외측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농산물이 상기 드럼통(200)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드럼통(200)은 양 측면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틀프레임(100) 상에 회전가능하게 등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고, 그 외면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선별구멍(201)을 형성한다.
상기 드럼통(200)은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통(200) 중 상기 틀프레임(100)의 전단에 설치된 드럼통(200)과, 상기 틀프레임(100)의 후단에 설치된 드럼통(200)의 선별구멍(201) 직경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선별구멍(201) 중 상기 틀프레임(100)의 전단에 설치된 상기 드럼통(200)의 선별구멍(201) 직경은 상기 틀프레임(100)의 후단에 설치된 상기 드럼통(200)의 선별구멍(201)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된다.
상기 드럼통(200)은 그 내주면이 상기 구동롤러(300)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회전작동되는 상기 구동롤러(300)와 마찰되어 상기 구동롤러(3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드럼통(200)은 상기 받침롤러(400)에 의해 그 하중이 지탱된다.
상기 드럼통(200)은 상기 텐션부(600)의 텐션롤러(602)에 의해 그 내주면이 상기 구동롤러(300)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구동롤러(300) 외주면에 접지된다.
구동롤러(300)는 상기 틀프레임(100) 상부에 그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드럼통(20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드럼통(200)을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롤러(300)는 일단에 제1밸트홈(301)을 형성하고, 이 제1밸트홈(301)에 상기 구동모터(500)의 밸트(501)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50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구동롤러(300)는 그 외주면이 상기 드럼통(200)의 내주면에 접지되어, 상기 드럼통(200)의 내주면과 마찰되면서 상기 드럼통(200)을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롤러(300)는 상기 드럼통(200)의 내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장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드럼통(200) 내주면에 접지되거나 혹은 상기 드럼통(200)의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내주면 또는 상기 드럼통(200)의 양단 내주면에 접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동롤러(300)는 상기 제1밸트홈(301)이 형성된 말단에 상기 동력전달밸트(700)와 연결되는 제2밸트홈(302)을 형성한다.
받침롤러(400)는 상기 틀프레임(100) 하부에 그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드럼통(2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드럼통(200)을 떠받쳐 지지한다.
상기 받침롤러(400)는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드럼통(200) 양단 외주면을 떠받쳐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드럼통(200)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럼통(200) 외주면을 떠받쳐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받침롤러(400)는 상기 드럼통(20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드럼통(20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드럼통(200)을 떠받쳐 지지한다.
구동모터(500)는 상기 틀프레임(10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300)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구동모터(500)는 복수의 상기 구동롤러(300) 중 어느 하나의 구동롤러(300)와 밸트(501)로 연결되고, 상기 밸트(501)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구동롤러(300)를 회전시킨다.
텐션부(600)는 상기 틀프레임(100)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롤러(400)와 반대되는 방향의 상기 드럼통(200)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드럼통(200)을 상기 구동롤러(3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눌러 상기 드럼통(200)을 상기 구동롤러(300)에 접지시킨다.
상기 텐션부(600)는 상기 드럼통(200)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그 일단이 상기 틀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바(601)와, 한 쌍의 상기 회전바(601)의 타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그 외면이 상기 드럼통(20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드럼통(200)을 상기 구동롤러(3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눌러 가압하는 텐션롤러(602) 및 일단이 상기 틀프레임(100)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바(601)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바(601)를 상기 구동롤러(300)의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탄성스프링(603)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바(601)는 상기 탄성스프링(603)에 의해 당겨지면서, 상기 텐션롤러(602)를 상기 구동롤러(300)의 반대방향으로 당겨, 상기 드럼통(200) 내주면을 누르도록 한다.
상기 텐션롤러(602)는 상기 드럼통(200) 내주면을 누름과 동시에, 회전작동되는 상기 드럼통(200)과 마찰되면서 상기 드럼통(2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텐션롤러(60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 쌍의 상기 회전바(601)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통(200) 양단 내주면에 접지되거나 혹은 상기 드럼통(200) 일단 내주면에 접지된다.
동력전달밸트(700)는 상기 구동롤러(30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복수의 상기 구동롤러(30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동력전달밸트(700)는 복수의 상기 구동롤러(300) 중 상기 구동모터(5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작동되는 상기 구동롤러(30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작동되어 복수의 상기 구동롤러(300)를 동시에 회전작동시킨다.
상기 동력전달밸트(700)는 상기 구동롤러(300)의 제2밸트홈(302)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동력전달밸트(700)는 띠형상의 밸트이거나 혹은 체인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튕김롤러(800)는 상기 틀프레임 상부에 그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롤러(300)와 서로 마주보는 상기 드럼통(200)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드럼통(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드럼통(20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드럼통(200)의 선별구멍(201)에 박혀있는 농산물을 튕겨낸다.
상기 튕김롤러(800)는 상기 드럼통(200)의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장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튕김롤러(800)는 상기 드럼통(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드럼통(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선별구멍(201)에 박혀있는 농산물과 마찰되어 농산물을 밀어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상기 틀프레임(100)의 외면에 형성된 작동제어부(미부호)를 조작하여, 상기 구동모터(500)를 작동시키고, 회전작동되는 상기 드럼통(200) 상에 선별하고자 하는 농산물을 쏟아붓는다.
이때, 상기 드럼통(200) 상에 쏟아부어지는 농산물은 동일한 종의 농산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500)의 밸트(501)는 상기 구동롤러(300)의 제1밸트홈(301)에 삽입결합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밸트(501)가 상기 구동모터(500)의 회전동력을 상기 구동롤러(300)로 전달하여, 상기 구동롤러(300)가 정방향으로 회전작동되고, 이에따라, 상기 구동롤러(300)의 외주면과 마찰되는 상기 드럼통(200)이 상기 구동롤러(300)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3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작동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300)에 의해 회전작동되는 구동롤러(300)와 다른 복수의 상기 구동롤러(300)는 동력전달밸트(700)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500)에 의해 회전작동되는 상기 구동롤러(300)가 상기 동력전달밸트(700)를 순환작동시킴으로써, 이 동력전달밸트(700)에 의해 복수의 상기 구동롤러(300)가 동시에 회전된다.
이때, 상기 구동롤러(300)의 제2밸트홈(302)에 상기 동력전달밸트(700)를 삽입결합 함으로써, 복수의 상기 구동롤러(300)가 상기 동력전달밸트(700)에 의해 동시에 회전작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드럼통(200)은 상기 받침롤러(400)에 의해 떠 받쳐져 있되, 상기 텐션부(600)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3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겨져, 그 내주면이 상기 구동롤러(300) 외주면에 접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상기 텐션부(600)의 탄성스프링(603)이 상기 회전바(601)를 상기 구동롤러(3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이 회전바(601) 사이에 설치된 텐션롤러(602)가 상기 드럼통(200)의 내주면을 상기 구동롤러(3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눌러 상기 드럼통(200)의 내주면이 상기 구동롤러(300)의 외주면에 접지된다.
또한, 상기 받침롤러(400)는 상기 드럼통(200)의 하중을 떠받쳐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드럼통(200)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드럼통(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드럼통(200)의 회전을 안내한다.
그러면, 상기 드럼통(200)이 회전작동되는 동안 상기 드럼통(200)에 형성된 선별구멍(201)을 통해 농산물이 상기 드럼통(200) 내측으로 낙하되어 농산물이 크기별 또는 형상별로 선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드럼통(200) 중 상기 틀프레임(100) 전단에 설치된 상기 드럼통(200)의 선별구멍(201) 직경은 상기 틀프레임(100)의 후단에 설치된 상기 드럼통(200)의 선별구멍(201)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틀프레임(100) 전단에 설치된 상기 드럼통(200)에서 상대적으로 그 크기가 작은 농산물이 선별되고, 상기 틀프레임(100) 후단에 설치된 상기 드럼통(200)에서 상대적으로 그 크기가 큰 농산물이 선별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통(200)의 선별구멍(201)을 통해 상기 드럼통(200) 내로 낙하된 농산물은 상기 배출안내부(101)에 안내되어 상기 드럼통(200)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드럼통(200)의 선별구멍(201)에 끼인 농산물은, 상기 드럼통(20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다가 상기 튕김롤러(800)에 도달하는 순간, 상기 튕김롤러(800)와 마찰되면서 상기 튕김롤러(800)에 의해 밀려 상기 선별구멍(201)에서 이탈된다.
즉, 상기 튕김롤러(800)는 상기 드럼통(200) 외주면과 마찰되어 상기 드럼통(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농산물과 마찰되고, 이때, 상기 드럼통(20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농산물을 상향 경사진 대각선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선별구멍(201)에 끼인 농산물을 이탈시킨다.
반면, 상기 드럼통(200)의 선별구멍(201)으로 삽입되지 못한 농산물은 상기 튕김롤러(800) 타고 넘어가 또 다른 상기 드럼통(200)으로 이동된다.
이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복수의 상기 드럼통(200)으로 농산물이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선별되는 것이다.
상기의 고안에서는 상기 드럼통(200) 사이 간격에 대한 설명이 생략되었지만, 이 간격은 사용자에 의해 농산물이 하방으로 낙하되지 않는 간격으로 조절되거나, 또는, 상기 드럼통(200) 사이에 농산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판(미부호)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텐션부(600)로 드럼통(200)을 구동롤러(300) 반대방향을 당겨, 드럼통(200)의 내주면이 구동롤러(300)에 접지되도록 하는 구조는, 드럼통(200)이 텐션부(600)에 의해 구동롤러(300) 반대방향으로 눌림되어 드럼통(200)의 내주면이 구동롤러(300)에 항상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접지력 향상으로 드럼통(200)의 회전력이 상승되며, 드럼통(200)의 선별구멍(201)에 끼임된 농산물이 튕김롤러(800)에 의해 선별구멍(201)에서 손쉽게 이탈되고, 이 농산물의 이탈로 드럼통(200)의 회전이 정지될 우려가 없으며, 특히, 드럼통(200)과 마찰되는 구동롤러(300)의 과부하가 방지되어 구동모터(500) 손상이 발생되지 않고, 드럼통(200)이 동일한 속도로 유지되면서 회전되어 농산물 선별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틀프레임 101 : 배출안내부
200 : 드럼통 201 : 선별구멍
300 : 구동롤러 301 : 제1밸트홈
302 : 제2밸트홈 400 : 받침롤러
500 : 구동모터 501 : 밸트
600 : 텐션부 601 : 회전바
602 : 텐션롤러 603 : 탄성스프링
700 : 동력전달밸트 800 : 튕김롤러

Claims (3)

  1. 틀프레임(100)과;
    양 측면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틀프레임(100) 상에 회전가능하게 등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고, 그 외면에 환형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선별구멍(201)을 형성한 드럼통(200);
    상기 틀프레임(100)의 상부 양 측면에 양단이 회전되게 결합되고, 상기 드럼통(20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드럼통(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롤러(300);
    상기 틀프레임(100) 하부에 그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드럼통(2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드럼통(200)을 떠받쳐 지지하는 받침롤러(400);
    상기 틀프레임(10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30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500);
    상기 드럼통(200)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그 일단이 상기 틀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바(601)와, 한 쌍의 상기 회전바(601)의 타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그 외면이 상기 드럼통(20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드럼통(200)을 상기 구동롤러(3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눌러 가압하는 텐션롤러(602)와, 일단이 상기 틀프레임(100)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바(601)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바(601)를 상기 구동롤러(300)의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탄성스프링(603)을 구성하여, 상기 틀프레임(100)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롤러(400)와 반대되는 방향의 상기 드럼통(200)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드럼통(200)을 상기 구동롤러(3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눌러 상기 드럼통(200)을 상기 구동롤러(300)에 접지시키는 텐션부(600); 및
    상기 구동롤러(30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복수의 상기 구동롤러(3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밸트(7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틀프레임 상부 양 측면에 그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롤러(300)와 서로 마주보는 상기 드럼통(200)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드럼통(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드럼통(20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드럼통(200)의 선별구멍(201)에 박혀있는 농산물을 튕겨내는 튕김롤러(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
  3. 삭제
KR2020160000041U 2016-01-05 2016-01-05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 KR200484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041U KR200484596Y1 (ko) 2016-01-05 2016-01-05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041U KR200484596Y1 (ko) 2016-01-05 2016-01-05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50U KR20170002550U (ko) 2017-07-14
KR200484596Y1 true KR200484596Y1 (ko) 2017-09-29

Family

ID=59366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041U KR200484596Y1 (ko) 2016-01-05 2016-01-05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5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4065A (zh) * 2019-12-03 2020-04-17 孙小芳 一种基于螃蟹销售用的分拣输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51Y1 (ko) * 2013-04-23 2013-07-26 최동훈 우수한 회전력을 갖는 블루베리 선별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8843U (ko) * 1976-09-30 1978-04-25
KR100926191B1 (ko) * 2007-09-13 2009-11-11 최병훈 과일선별장치
KR20150078718A (ko) 2013-12-31 2015-07-08 유철근 농산물 선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51Y1 (ko) * 2013-04-23 2013-07-26 최동훈 우수한 회전력을 갖는 블루베리 선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50U (ko) 2017-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6793B2 (en) Waste sort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rotary screen
KR101403562B1 (ko) 과일 선별장치
FR2920277A1 (fr) Egrappoir lineaire a mouvements oscillants alternatifs
US11102934B2 (en) Systems for unbaling, separating and decortifying fibrous crops
KR20150078718A (ko) 농산물 선별기
KR200484596Y1 (ko)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
KR101993808B1 (ko) 과일 선별 장치
JP2006188262A (ja) 廃棄物を容れたゴミ袋を処理する装置
US2699253A (en) Fruit sizer
KR101836444B1 (ko) 과일선별기
CN211160574U (zh) 滚筒式筛分机
KR101430146B1 (ko) 과일 선별기
KR101043093B1 (ko)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
US2245650A (en) Grain separating machine
KR101008730B1 (ko) 강제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트롬멜
US3018510A (en) Shrimp peeling machine
JP6539489B2 (ja) 静電選別装置
JP2011139984A (ja) 洗浄選別装置
CN112844610B (zh) 一种具有筛选功能的旋压研磨设备
US3087499A (en) Method of hulling peas
KR101346302B1 (ko) 과일 선별기
KR20120140507A (ko) 피잣 선별장치
KR101239696B1 (ko) 매실 과육 분리장치
KR101159886B1 (ko) 트로멜 및 이것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
KR20000058529A (ko) 통마늘의 분리 및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