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093B1 -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093B1
KR101043093B1 KR1020090126041A KR20090126041A KR101043093B1 KR 101043093 B1 KR101043093 B1 KR 101043093B1 KR 1020090126041 A KR1020090126041 A KR 1020090126041A KR 20090126041 A KR20090126041 A KR 20090126041A KR 101043093 B1 KR101043093 B1 KR 101043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llection
conveyor
belt conveyor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훈
임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126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65G15/14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the load being conveyed between the belts
    • B65G15/16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the load being conveyed between the belts between an auxiliary belt and a main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65G21/2081Laterial guidance means for bulk material, e.g. ski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65G47/51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 B65G47/510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 B65G47/5109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first In - First Out systems: FIFO
    • B65G47/5145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first In - First Out systems: FIFO with recircul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6Articles and 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밸트 아래로 낙하되어 쌓이는 낙하 원료를 기계적으로 처리하여 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낙하된 원료를 다시 밸트 상부로 이동시켜 밸트를 따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밸트 컨베이어의 선단부에서 리턴밸트 하부에 위치하고 밸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낙하 원료를 받기 위한 수거밸트와, 이 수거밸트의 양단에 배치되어 수거밸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헤드풀리, 상기 수거밸트 선단부를 밸트컨베이어의 밸트풀리를 지나 밸트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밸트에 밀착시켜 밸트에 의해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리턴밸트, 수거밸트, 헤드풀리, 구동실린더, 링크부재

Description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DEVICE FOR TREATING FALLEN COKE ON BELT OF CONVEYOR}
본 발명은 밸트 콘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밸트 콘베이어 이송 중 밸트에서 낙하된 이송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분 코크스 등의 원료 등은 밸트 컨베이어를 통해 필요한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원료 이송 과정에서 밸트로부터 낙하하는 원료가 설비 트러블을 일으키게 된다. 즉, 밸트 컨베이어의 밸트로부터 낙하된 원료는 이송후 하부쪽에서 복귀하는 리턴밸트 쪽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낙하되는 원료는 리턴밸트 위나 설비 바닥에 쌓임에 따라 밸트가 사행하거나 리턴롤러에 원료가 부착하는 등의 설비 트러블이 발생된다.
이에 리턴밸트나 바닥에 쌓이는 낙하 원료는 적절히 제거해 줘야 하나 작업공간이 협소하고 장비 투입이 곤란하여 종래에는 이를 전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작업은 다수의 처리인력이 협소한 공간 내에서 작업해야 하 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힘들 뿐아니라, 작업 중에 회전체에 협착되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았다.
이에 밸트 아래로 낙하되어 쌓이는 낙하 원료를 기계적으로 처리하여 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낙하된 원료를 다시 밸트 상부로 이동시켜 밸트를 따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된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밸트 컨베이어의 선단부에서 리턴밸트 하부에 위치하고 밸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낙하 원료를 받기 위한 수거밸트와, 이 수거밸트의 양단에 배치되어 수거밸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헤드풀리, 상기 수거밸트 선단부를 밸트컨베이어의 밸트풀리를 지나 밸트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밸트에 밀착시켜 밸트에 의해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거밸트는 원료가 양 측단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 측단을 따라 스토퍼부재가 돌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밸트는 폭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가이드바가 밸트 양 측단에서 중앙쪽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수거밸트로 낙하된 원료는 이송 과정에서 가이드바에 의해 중앙쪽으로 모아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부는 수거밸트의 외측 선단을 지지하는 헤드풀리의 회전축에 일단 이 축결합되고 다른쪽 선단은 밸트컨베이어의 선단부쪽으로 연장되어 설비상에 설치되는 축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에 연결되어 링크부재를 밸트컨베이어의 선단부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링크부재 회동시 수거밸트를 폐곡선형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수거밸트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거밸트 이동에 관계없이 수거밸트의 탄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수거밸트의 내측 선단을 지지하는 헤드풀리의 회전축이 설치되는 축부재와, 설비상에 설치되고 상기 축부재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베이스, 상기 축부재의 양 선단에 설치되고 각각 밸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베이스에 관통 설치되는 지지로드, 이 지지로드에 끼워져 이동베이스와 축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밸트 컨베이어의 리턴밸트 위로 낙하된 원료를 리턴밸트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수거밸트로 밀어내기 위한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거부는 리턴밸트 위에 놓여져 원료를 리턴밸트 측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밀대와, 설비상에 설치되고 상기 밀대에 연결되어 밀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대는 리턴밸트에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중앙이 각도를 두고 절곡되어 리턴밸트 중앙에서 측단으로 리턴밸트 폭방향에 대해 경사진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밸트에서 낙하되는 원료를 기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어 낙하 원료 처리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처리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비바닥이나 리턴밸트 위로 낙하되는 원료를 제거하여 쌓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낙하 원료에 의한 설비 트러블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낙하되는 원료를 모아 다시 밸트 상으로 적재시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원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밸트컨베이어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본 장치의 각 구성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밸트 컨베이어(100)는 무한궤도 형태의 밸트(110,120)와, 이 밸트의 양단에 위치하여 밸트를 지지하는 밸트풀리(130)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밸트가 밸트풀리에 감겨져 밸트풀리의 구동에 따라 이동된다.
상기 밸트는 무한궤도 밸트풀리에 걸쳐져 상하로 나뉘어져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의 밸트와 밸트풀리를 지나면서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하부의 밸트로 구분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의 밸트를 밸 트(110)라 하고,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부의 밸트를 리턴밸트(120)라 한다.
여기서 본 장치는 상기 리턴밸트(120) 아래에 배치되어 낙하되는 원료를 처리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상기 밸트 컨베이어(100)의 선단부에서 리턴밸트(120) 하부에 위치하고 밸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낙하 원료를 받기 위한 수거밸트(20)와, 이 수거밸트(20)의 양단에 배치되어 수거밸트(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헤드풀리(22,24), 상기 수거밸트(20) 선단부를 밸트풀리(130)를 지나 밸트(110)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밸트(110)에 밀착시켜 밸트에 의해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에 별도의 동력원 없이 수거밸트(20)는 밸트(110)와 접하여 회전가능하게 되며, 수거밸트(20) 위로 낙하된 원료는 수거밸트(20)를 따라 이동하여 밸트(110) 위로 다시 적재되는 것이다.
상기 수거밸트(20)는 밸트컨베이어의 밸트와 같이 무한궤도 구조이며, 양 선단에 배치되는 헤드풀리(22,24)에 걸쳐져 회전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수거밸트(2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수거밸트(20)는 밸트컨베이어(100)의 선단부쪽에 배치되며, 외측 선단은 밸트풀리(130)를 지나 더 길게 연장된다. 상기 밸트풀리(130)를 지나 연장되는 수거밸트(20)의 길이는 밸트(110)와 수거밸트(20) 사이의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수거밸트(20)가 밸트(110)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다. 또 한, 상기 수거밸트(20)의 폭은 대략 밸트(110)의 폭보다 넓어서 밸트에서 낙하되는 원료를 충분히 받을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밸트(20)는 수거밸트(20) 위로 낙하된 원료가 양 측단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 측단을 따라 스토퍼부재(26)가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부재(26)는 수거밸트(2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거밸트(20)는 전면에 V자 형태를 이루는 가이드바(28)가 돌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바(28)는 수거밸트(2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수거밸트(20)로 낙하된 원료는 이송 과정에서 가이드바(28)에 의해 중앙쪽으로 모아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부재(26)와 가이드바(28)는 같은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는 수거밸트(20)의 외측 선단을 지지하는 헤드풀리(22)의 회전축에 일단이 축결합되고 다른쪽 선단은 밸트컨베이어의 선단부쪽으로 연장되어 설비상에 설치되는 축부재(3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링크부재(30)와, 상기 링크부재(30)에 연결되어 링크부재(30)를 밸트컨베이어의 선단부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32)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부재(30)는 상기 링크부재(30)는 회동시 밸트풀리(130)를 밸트(110)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축부재(31)는 상기 수거밸트(20)의 양 측단쪽에 배치되며 각 링크부재(30)의 선단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이에 구동실린더(32)가 신추작동되면 링크부재(30)가 회동되어 선단에 연결 된 헤드풀리(22)를 밸트(110) 위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헤드풀리(22)에 감겨져 있는 수거밸트(20)가 밸트(110)에 밀착되면서 밸트컨베이어 선단부의 밸트풀리(130)를 지나 밸트(110) 상에 놓여지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실린더(32)는 링크부재(30)에 설치되는 작동바(33)를 매개로 연결된다. 즉, 링크부재(30)에는 작동바(33)가 각도를 두고 설치되고 상기 구동실린더(32)의 피스톤로드는 상기 작동바(33) 선단에 결합된다. 이에 구동실린더(32)가 신축작동되면 작동바(33)가 당겨지면서 작동바(33)에 결합된 링크부재(30)가 회동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풀리(22,24)가 밸트(110) 상으로 이동되어 위치가 변동된 경우에도 양 헤드풀리(22,24) 사이에 걸쳐져 있는 수거밸트(20)는 폐곡선 형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상기 헤드풀리(22,24) 이동시 수거밸트(20)를 받쳐 지지하기 위한 지지풀리(35,36)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풀리는 두 개가 구비되며, 일측 지지풀리(35)는 상기 축부재(31)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링크부재(30) 회동시 수거밸트(20)의 하단쪽을 받쳐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지지풀리(36)는 상기 헤드풀리(22)와 축부재에 설치되는 지지풀리(35) 사이에 위치하여 링크부재(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재(30)는 링크부재(30)에 설치되는 지지풀리(36)가 밸트풀리(130)로부터 충분히 이격될 수 있도록 지지풀리가 설치되는 중간부분이 회동방향 즉, 도면상 위쪽으로 소정 각도로 절곡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링크부재(30)가 완전히 회동되어 수거밸트(20)가 밸트(110)에 밀착되었을 때 링크부 재(30)의 절곡부에 설치된 지지풀리(36)는 밸트(110)에서 이격되어 수거밸트(20)를 폐곡선형태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거밸트(20) 이동에 관계없이 수거밸트(20)의 탄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는 수거밸트(20)의 내측 선단을 지지하는 헤드풀리(24)의 회전축이 설치되는 축부재(40)와, 설비상에 설치되고 상기 축부재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베이스(42), 상기 축부재(40)의 양 선단에 설치되고 각각 밸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베이스(42)에 관통 설치되는 지지로드(44), 이 지지로드(44)에 끼워져 이동베이스(42)와 축부재(40)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탄성스프링(46)을 포함한다.
이에 수거밸트(20)의 일단을 지지하는 헤드풀리(24)는 좌우측으로 탄력적으로 유동하면서 수거밸트(20)의 장력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장치는 밸트 컨베이어의 리턴밸트(120) 위로 낙하된 원료를 리턴밸트(120)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수거밸트(20)로 밀어내기 위한 제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거부는 리턴밸트(120) 위에 놓여져 원료를 리턴밸트(120) 측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밀대(50)와, 설비상에 설치되고 상기 밀대(50)에 연결되어 밀대(5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5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밀대(50)는 리턴밸트(120)에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중앙이 각도를 두고 절곡되어 리턴밸트(120) 중앙에서 측단으로 리턴밸트(120) 폭방향에 대해 경사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밸트 컨베이어 구동에 따라 리턴밸트(120)가 회전이동하게 되면 리턴밸트(120) 상에 쌓인 낙하 원료가 밀대(50)에 걸리게 되고 리턴밸트(120) 이동에 따라 밀대(50)에 의해 밀려 외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와이어(52)는 밀대(50)의 중앙에 연결되어 밀대를 리턴밸트(120)이 중앙에 계속 유지시키게 된다.
이하, 본 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료 이송 과정에서 밸트(110)에서 낙하된 원료는 리턴밸트(120) 하부에 위치한 수거밸트(20) 위로 떨어져 모아지게 된다.
또한, 리턴밸트(120) 위로 낙하된 원료는 리턴밸트(120) 위에 놓여져 있는 밀대(50)에 의해 밀려나 리턴밸트(120)에서 제거된다. 리턴밸트(120)로부터 밀대(50)에 의해 밀려난 낙하 원료는 리턴밸트(120) 하부에 위치한 수거밸트(20)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밸트(110)로부터 낙하된 원료는 모두 수거밸트(20)에 의해 포집처리되는 것이다.
한편, 본 장치가 구동되면 수거밸트(20) 위에 모아진 낙하 원료는 다시 밸트(110) 위로 되돌려지게 된다.
즉, 구동실린더(32)가 수축작동되면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된 작동바(33)가 당겨지면서 작동바(33)에 설치된 링크부재(30)가 회동되어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에 링크부재(30)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헤드풀리(22)가 밸트풀리(130)를 지나 밸트(110) 위쪽으로 이동된다.
헤드풀리(22)가 이동됨에 따라 헤드풀리(22)에 감겨져 있는 수거밸트(20)는 점차적으로 밸트풀리(130)쪽으로 이동된다. 링크부재(30)가 완전히 회동되면 헤드풀리(22)는 밸트(110) 위에 위치하게 되고 밸트풀리(130)에 감겨져 있는 밸트(110)에 밀착되면서 밸트 위에 놓여지게 된다.
이때 축부재(31)에 설치된 지지풀리(35)와 링크부재(30)에 설치된 지지풀리(36)는 헤드풀리(22)를 지난 수거밸트(20)의 하단쪽을 내측에서 받쳐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수거밸트(20)는 내측의 헤드풀리(22)와 축부재에 설치된 지지풀리(35), 링크부재(30)에 설치된 지지풀리(36) 및 밸트 상부에 위치한 헤드풀리(22)에 걸쳐져 폐곡선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수거밸트(20)는 상기와 같이 폐곡선을 유지한 상태에서 밸트풀리(130)에 감겨져 밸트(110)에 밀착된다.
이때, 수거밸트(20)는 밸트풀리(130)에 감겨지면서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는 데, 수거밸트(20)의 내측단을 지지하고 있는 헤드풀리(24)가 이동되어 수거밸트(20)에 걸리는 장력을 적절하게 계속 유지시키게 된다. 즉, 수거밸트(20)가 당겨지게 되면 헤드풀리(24)가 설치된 축부재(40)가 이동베이스(42)에 대해 이동하여 이에 대응하게 된다. 축부재(40)가 이동함에 따라 축부재와 이동베이스(42) 사이에 설치된 탄성스프링(46)에 탄성력이 발생된다. 이에 축부재(40)에 설치된 헤드풀리(24)는 탄성스프링(46)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나면서 수거밸트(20)를 팽팽하게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헤드풀리(24)가 이동하더라도 수거밸트(20)에 걸린 장력은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같이 수거밸트(20)는 밸트(110)에 밀착되어 밸트를 회전시키는 밸트풀 리(130)의 회전력은 밸트에 접해있는 수거밸트(20)로 전달된다. 이에 수거밸트(20)는 밸트와 같이 회전이동하게 된다.
수거밸트(20)가 회전이동함에 따라 수거밸트(20) 위로 낙하된 원료는 수거밸트(20)와 함께 이동되어 밸트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거밸트(20)에는 중앙을 향해 경사진 가이드바(28)가 설치되어 있어서, 수거밸트(20)의 이동과정에서 낙하 원료는 가이드바(28)를 따라 수거밸트(20)의 중앙쪽으로 모아지게 된다.
수거밸트(20)는 밸트(110)에 접한 상태로 밸트풀리(130)를 지나게 밸트 위쪽으로 이동된다. 이에 수거밸트(20)가 밸트풀리(130)는 지나는 중에는 낙하 원료는 수거밸트(20)와 밸트(110) 및 수거밸트(20)에 설치된 가이드바(28)와 스토퍼부재(26) 사이에 놓여져 수거밸트(20)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수거밸트(20)가 밸트풀리(130)를 지나게 되면 밸트 위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수거밸트(20) 상의 낙하원료는 밸트(110) 위로 떨어져 밸트 상에 다시 적재된다. 그리고 수거밸트(20)는 헤드풀리(22,24)를 지나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장치는 수거밸트를 밸트에 밀착시키는 것으로 별도의 동력원없이 수거된 낙하원료를 다시 밸트 위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가 밸트 컨베이어 하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수거밸트 22,24 : 헤드풀리
26 : 스토퍼부재 28 : 가이드바
30 : 링크부재 32 : 구동실린더
33 : 작동바 35,36 : 지지풀리
40 : 축부재 42 : 이동베이스
44 : 지지로드 46 : 탄성스프링
50 : 밀대 52 : 와이어

Claims (7)

  1. 밸트 컨베이어의 선단부에서 리턴밸트 하부에 위치하고 밸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낙하 원료를 받기 위한 수거밸트와,
    상기 수거밸트의 양단에 배치되어 수거밸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헤드풀리,
    상기 수거밸트 선단부를 밸트컨베이어의 밸트풀리를 지나 밸트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밸트에 밀착시켜 밸트에 의해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
    를 포함하는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밸트는 폭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가이드바가 밸트 양 측단에서 중앙쪽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의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밸트 컨베이어의 리턴밸트 위로 낙하된 원료를 리턴밸트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수거밸트로 밀어내기 위한 제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는 리턴밸트 위에 놓여져 원료를 리턴밸트 측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밀대와, 설비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밀대에 연결되어 밀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를 포함하는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는 리턴밸트에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중앙이 각도를 두고 절곡된 구조의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수거밸트의 외측 선단을 지지하는 헤드풀리의 회전축에 일단이 축결합되고 다른쪽 선단은 밸트 컨베이어의 선단부쪽으로 연장되어 설비상에 설치되는 축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에 연결되어 링크부재를 밸트컨베이어의 선단부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축부재와 링크부재에 각각 설치되어 링크부재 회동시 수거밸트를 폐곡선형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수거밸트를 지지하는 지지풀리를 더 포함하는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수거밸트의 내측 선단을 지지하는 헤드풀리의 회전축이 설치되는 축부재와, 설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축부재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베 이스, 상기 축부재의 양 선단에 설치되고 각각 밸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베이스에 관통 설치되는 지지로드, 이 지지로드에 끼워져 이동베이스와 축부재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수거밸트 이동에 따른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
KR1020090126041A 2009-12-17 2009-12-17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 KR101043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041A KR101043093B1 (ko) 2009-12-17 2009-12-17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041A KR101043093B1 (ko) 2009-12-17 2009-12-17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093B1 true KR101043093B1 (ko) 2011-06-21

Family

ID=4440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041A KR101043093B1 (ko) 2009-12-17 2009-12-17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0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5063A (zh) * 2017-12-07 2018-04-17 浙江湖州中盟智能科技有限公司 高度可调的便捷装卸货物输送机
CN110422604A (zh) * 2019-07-17 2019-11-08 浙江申振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皮带传送振动分流机结构
KR20200023902A (ko) * 2018-08-27 2020-03-06 현대제철 주식회사 리크레이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7043A1 (de) * 1998-05-06 1999-11-11 Svedala Industri (Deutschland) Gmbh Reinigungsförderer
KR200267244Y1 (ko) 2001-12-14 2002-03-1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경사진 벨트 콘베이어에 있어서 u자형 회전식낙광처리장치
KR20020067244A (ko) * 2001-02-16 2002-08-22 레이미디어 주식회사 광픽업 스큐 조정장치
KR200399271Y1 (ko) 2005-07-29 2005-10-20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주름혹 컨베이어 벨트의 낙분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7043A1 (de) * 1998-05-06 1999-11-11 Svedala Industri (Deutschland) Gmbh Reinigungsförderer
KR20020067244A (ko) * 2001-02-16 2002-08-22 레이미디어 주식회사 광픽업 스큐 조정장치
KR200267244Y1 (ko) 2001-12-14 2002-03-1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경사진 벨트 콘베이어에 있어서 u자형 회전식낙광처리장치
KR200399271Y1 (ko) 2005-07-29 2005-10-20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주름혹 컨베이어 벨트의 낙분회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5063A (zh) * 2017-12-07 2018-04-17 浙江湖州中盟智能科技有限公司 高度可调的便捷装卸货物输送机
CN107915063B (zh) * 2017-12-07 2024-02-13 浙江湖州中盟智能科技有限公司 高度可调的便捷装卸货物输送机
KR20200023902A (ko) * 2018-08-27 2020-03-06 현대제철 주식회사 리크레이머 장치
KR102166602B1 (ko) 2018-08-27 2020-10-16 현대제철 주식회사 리크레이머 장치
CN110422604A (zh) * 2019-07-17 2019-11-08 浙江申振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皮带传送振动分流机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89907C (en) Stripper device for a conveyor belt
US6997307B2 (en) Device for tensioning and loosening of an endless conveyor belt which is guided over deflection means
EP2537595B1 (en) Device with reverse roller, with doctor blade and with secondary conveyor, for cleaning a conveyor belt soiled with fluid substances dispersed thereon, in particular for machines for spraying paint or other products
US7383944B2 (en) Sanitary conveyor center drive assembly
CN104723395B (zh) 槟榔带式输送切籽机
US3139975A (en) Device for cleaning endless conveyors
KR101043093B1 (ko) 밸트 콘베이어의 낙하 이송물 처리 장치
RU250547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материала с конвейерной ленты ленточного конвейера
DK3326938T3 (en) Conveyor Belt
US5104351A (en) Device for boning a piece of meat
US2009010710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tripping Leaves from a Stalk Cured Tobacco Plant
KR10135755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KR101281762B1 (ko) 그리즐리바 부착광 제거장치
KR101836444B1 (ko) 과일선별기
RU265847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скребания материала с конвейерной ленты ленточного конвейера
JP5593020B2 (ja) 選別装置
CN115301820A (zh) 一种具有自动下料功能的货架栏自动扎孔设备
CN108100578A (zh) 螺旋输送机
JPH04215930A (ja) プラスチックバッグ用開封装置
KR200484596Y1 (ko) 드럼형 농산물 선별기
KR20130046568A (ko) 벨트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KR101424456B1 (ko) 벨트 컨베이어
CN219216421U (zh) 一种防止饲料原料交叉污染的输送装置
AU1498301A (en) Machine for the sorting by size of pear-shaped objects
AU771654B2 (en) Non-continuous system for automatic self cleaning of permanent magnets or electromagn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