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636B1 -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636B1
KR102411636B1 KR1020220014771A KR20220014771A KR102411636B1 KR 102411636 B1 KR102411636 B1 KR 102411636B1 KR 1020220014771 A KR1020220014771 A KR 1020220014771A KR 20220014771 A KR20220014771 A KR 20220014771A KR 102411636 B1 KR102411636 B1 KR 102411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inishing plate
section steel
earthquake
stee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호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4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Abstract

본 발명은, 일 방향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반대측 일 면의 양측으로 일정한 폭의 연장편이 형성된 'H'형 형강부재; 상기 형강부재 일 면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의 개방을 차단하는 마감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형강부재는 상기 일 면 및 상기 연장편 각각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체결에 의해 보강 대상 기존 구조물의 기둥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마감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결속부재 체결에 의해 양측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이어지는 일측 및 타측 절곡편이 상기 개구부 양쪽 측면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에 맞대어져 결합되고, 상기 마감플레이트에 의해 개방 차단된 상기 개구부 내측은 충전제로 충전되며, 상기 마감플레이트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하로 이어지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기둥의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 높이 가변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방법{seismic reinforcement device of building columns and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of building column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진보강장치 및 내진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지진에 취약한 기존 건물의 내진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기존 설치된 기둥의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 높이의 가변이 이루어짐으로써 활용도 및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기둥 내진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기존 건물 등의 경우 지진 발생시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피해가 상대적으로 더 커질 수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6040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각종의 내진보강장치 및 내진보강방법을 통해 기존 건물을 보강하여 지진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다.
예컨대, 건축물이 기초부분과 분리되어 지진충격이 건축물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면진장치 등을 구조물의 기초와 기둥이 접하는 부분에 설치하는 방법, 건축물의 채광을 위하여 개방되도록 설치된 창호부분의 슬래브와 기둥이 접하는 내측 모서리 부분에 강재를 이용한 보강재를 설치하는 방법, 건축물의 기둥에 강판으로 이루어진 전단보강재를 부착하는 방법, 보와 기둥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철근콘크리트의 보강벽을 신설하는 방법 및 기존의 벽이 설치된 경우에 기존 벽의 측면 또는 양면에 콘크리트를 증설하는 방법 중의 적어도 하나 방법을 적용하여 기존 건물의 지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콘크리트 타설이 요구되는 내진보강방법의 경우 거푸집설치, 철근배근, 콘크리트 타설 및 거푸집 해체 등 복잡한 시공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상당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어 이로 인해 인건비 상승, 공기 증가 및 정밀도 저하 등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최근 기존 구조물, 예컨대 기둥 등에 보강재를 부착 설치하는 내진보강방법의 이용이 늘고 있으나, 보강재를 이용하는 내진보강방법의 경우 보강재의 크기 및 하중이 상당하여 인력만으로 취급이 곤란하므로 각종 장비, 예컨대 크레인 등의 이용이 따를 수밖에 없어 이로 인해 비용 상의 부담이 늘게 될 뿐만 아니라 시공에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보강 대상 기존 구조물의 높이가 유난히 높거나 낮은 경우 적용이 곤란하여 적용처가 제한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 분야에서는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지진에 취약한 기존 건물의 내진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기존 설치된 기둥의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 높이의 가변이 이루어짐으로써 활용도 및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내진보강장치 및 내진보강방법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60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지진에 취약한 기존 건물의 내진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기존 설치된 기둥의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 높이의 가변이 이루어짐으로써 활용도 및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내진보강장치 및 내진보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방향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반대측 일 면의 양측으로 일정한 폭의 연장편이 형성된 'H'형 형강부재; 상기 형강부재 일 면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의 개방을 차단하는 마감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형강부재는 상기 일 면 및 상기 연장편 각각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체결에 의해 보강 대상 기존 구조물의 기둥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마감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결속부재 체결에 의해 양측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이어지는 일측 및 타측 절곡편이 상기 개구부 양쪽 측면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에 맞대어져 결합되고, 상기 마감플레이트에 의해 개방 차단된 상기 개구부 내측은 충전제로 충전되며, 상기 마감플레이트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하로 이어지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기둥의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 높이 가변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부재 체결을 통해 보강 대상 기둥 일 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H'형 형강부재를 고정하는 부재 고정단계; 결속부재 체결을 통해 마감플레이트의 양측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이어지는 일측 및 타측 절곡편을 상기 형강부재의 개구부 양쪽 측면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에 맞대어 결합하는 마감플레이트 결합단계; 및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결합에 의해 폐쇄된 상기 형강부재의 상기 개구부 내측으로 충전제를 충전하는 충전제 충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 고정단계의 상기 마감플레이트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하로 이어지게 연결됨에 따라 상기 기둥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 높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방법에 따르면 마감플레이트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하로 이어지게 연결되는바, 마감플레이트의 상하 연결에 의해 보강 대상 기둥의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 높이의 가변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높이의 기둥을 대상으로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어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레인 등의 장비 사용이 최소화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방법에 따르면 고정부재 체결에 의해 기둥에 고정되는 형강부재의 일 면과 기둥의 일 면 사이가 에폭시 그라우팅 처리되는바, 에폭시 그라우팅에 의해 형강부재와 기둥의 결합 상태가 더욱 견고해지므로 보강 대상 기둥의 지지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내진보강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가 보강 대상 기둥에 적용된 일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의 설치 높이 가변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에서 결속부재 체결 방식에 의한 마감플레이트의 상하 연결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에서 돌출부와 홈부 물림 방식에 의한 마감플레이트의 상하 연결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방법의 개략적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A)는, 형강부재(10); 및 마감플레이트(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형강부재(10)는 'H' 형태를 이룸으로써 일 방향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개구부(11) 반대 측 일 면의 양측으로 일정한 폭의 연장편(12)이 형성된다.
따라서 형강부재(10)의 일 면, 더욱 구체적으로 개구부(11) 후방에 위치하는 일 면 및 연장편(12)을 각각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50), 예컨대 앵커볼트 체결에 의해 보강 대상 기둥(C) 일 면에 형강부재(1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50) 체결에 의해 기둥(C)에 고정되는 형강부재(10)의 일 면과 기둥(C)의 일 면 사이는 에폭시 그라우팅 처리됨으로써 에폭시 그라우팅에 의해 형강부재(10)와 기둥(C)과의 결합이 견고해질 수 있다.
여기서, 형강부재(10)는 에폭시 그라우팅 이전 그 일 면이 치핑 가공됨으로써 기둥(C) 일 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형강부재(10)는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상하로 이어지게 연결됨으로써 기둥(C)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때, 형강부재(10)의 상하 연결은 용접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형강부재(10) 어느 하나의 하단과 형강부재(10) 다른 하나의 상단 사이를 용접함으로써 형강부재(10)의 상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마감플레이트(20)는 형강부재(10) 일 면에 배치되어 개구부(11) 개방을 차단한다.
이때, 마감플레이트(20)는 양측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이어지는 일측 및 타측 절곡편(21)이 개구부(11) 양쪽 측면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에 맞대진 상태로 결속부재(40) 체결이 이루어짐에 따라 형강부재(10)와 결합한다.
한편, 마감플레이트(20)는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상하로 이어지게 연결됨으로써 기둥(C)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때, 마감플레이트(20)의 상하 연결은 맞댐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마감플레이트(20) 어느 하나의 하단과 마감플레이트(20) 다른 하나의 상단을 맞닿도록 함으로써 마감플레이트(20)의 상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마감플레이트(20)의 상단 및 하단은 평탄 가공됨으로써 마감플레이트(20) 어느 하나의 하단과 마감플레이트(20) 다른 하나의 상단이 긴밀하게 맞닿을 수 있다.
또한, 마감플레이트(20)의 상하 연결은 용접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마감플레이트(20) 어느 하나의 하단과 마감플레이트(20) 다른 하나의 상단 사이를 맞대어 용접함으로써 마감플레이트(20)의 상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마감플레이트(20)의 상하 연결은 결속부재(40) 체결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마감플레이트(20) 상단 및 하단에 일정한 폭의 돌출편(24)의 형성하여 마감플레이트(20) 어느 하나의 하단 돌출편(24)과 마감플레이트(20) 다른 하나의 상단 돌출편(24)을 맞대어 결속부재(40)를 체결함으로써 마감플레이트(20)의 상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마감플레이트(20)의 상하 연결은 돌출부(22)와 홈부(23) 물림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마감플레이트(20) 상단 및 하단 각각에 돌출부(22)와 홈부(23)를 형성하여 마감플레이트(20) 어느 하나 하단의 돌출부(22)가 마감플레이트(20) 다른 하나 상단의 홈부(23)에 물리도록 함으로써 마감플레이트(20)의 상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마감플레이트(20) 상단의 돌출부(22)와 홈부(23)는 마감플레이트(20) 하단의 돌출부(22)와 홈부(23)와 어긋나게 형성, 다시 말해 마감플레이트(20) 상단에서 돌출부(22)는 외측, 홈부(23)는 내측에 형성되고, 마감플레이트(20) 하단에서 돌출부(22)는 내측, 홈부(23)는 외측에 형성됨으로써 마감플레이트(20) 어느 하나 하단의 돌출부(22)가 마감플레이트(20) 다른 하나 상단의 홈부(23)에 물릴 수 있다.
또한, 마감플레이트(20)는 전면 또는 배면 중 어느 일 면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 또는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는 보강편(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마감플레이트(20) 상하 연결시 보강편(25)의 안내에 의해 어느 하나 마감플레이트(20) 하단과 다른 하나 마감플레이트(20) 상단이 어긋남 없이 바르게 맞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편(25)의 지지에 의해 마감플레이트(20) 상하 연결 부위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마감플레이트(20)에 의해 개방 차단된 개구부(11) 내측으로는 충전제(30)가 충전된다.
따라서 충전제(30)에 의해 지지력이 부여되어 기둥(C)의 지지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충전제(30)는 고강도 콘크리트 또는 무수축 모르타르임으로써 충전제(30)의 경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기둥(C)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A)를 이용한 건물 기둥(C) 내진보강방법은, 부재 고정단계(S1); 마감플레이트 결합단계(S2); 및 충전제 충전단계(S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재 고정단계(S1)는 고정부재(50) 체결을 통해 기둥(C) 일 면에 개구부(11)가 형성된 'H'형 형강부재(10)를 고정한다.
이때, 고정부재(50)는 앵커볼트일 수 있다.
또한, 부재 고정단계(S1)에서 형강부재(10)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용접 방식에 의해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상하로 이어지게 연결됨으로써 기둥(C)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한편, 부재 고정단계(S1)는 그라우팅단계(S1-1)를 포함함으로써 그라우팅단계(S1-1)에 의해 형강부재(10)의 일 면과 기둥(C)의 일 면 사이에 에폭시 그라우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마감플레이트 결합단계(S2)는 결속부재(40) 체결을 통해 마감플레이트(20)의 양측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이어지는 일측 및 타측 절곡편(21)을 형강부재(10)의 개구부(11) 양쪽 측면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에 맞대어 결합한다.
이때, 결속부재(40)는 볼트 및 너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제 충전단계(S3)는 마감플레이트(20)의 결합에 의해 폐쇄된 형강부재(10)의 개구부(11) 내측으로 충전제(30)를 충전한다.
이때, 충전제(30)는 고강도 콘크리트 또는 무수축 모르타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A)를 통한 건물 기둥(C) 내진보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형강부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50), 예컨대 앵커볼트 체결에 의해 보강 대상 기존 구조물의 기둥(C) 일면에 고정된다.
즉, 형강부재(10)의 일 면, 더욱 구체적으로 개구부(11) 후방에 위치하는 일 면 및 연장편(12)을 각각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50), 예컨대 앵커볼트 체결에 의해 보강 대상 기둥(C) 일 면에 형강부재(1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50) 체결에 의해 보강 대상 기둥(C)에 고정되는 형강부재(10)의 일 면과 기둥(C)의 일 면 사이는 에폭시 그라우팅 처리되는바, 에폭시 그라우팅에 의해 형강부재(10)와 기둥(C)의 결합 상태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마감플레이트(20)는 형강부재(10)의 일 면에 배치되어 형강부재(10)의 개구부(11) 개방을 차단한다.
즉, 마감플레이트(20)는 양측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이어지는 일측 및 타측 절곡편(21)이 개구부(11) 양쪽 측면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에 맞대진 상태로 결속부재(40) 체결이 이루어짐에 따라 형강부재(10)와 결합하여 형강부재(10)의 개구부(11) 개방을 차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마감플레이트(20) 결합에 의해 개방이 차단되는 개구부(11) 내측에는 충전제(30), 더욱 구체적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또는 무수축 모르타르가 충전된다.
따라서 보강 대상 기둥(C)은 마감플레이트(20), 형강부재(10) 및 충전제(30)에 의해 지지되므로 이에 의해 내진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어 지진 발생시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마감플레이트(20)가 보강 대상 기둥(C)을 따라 일체로 이어지는 경우 마감플레이트(20) 자체의 높이가 상당함에 따라 하중이 증가하게 되므로 크레인 등의 별도 장비 없이는 취급이 곤란하게 되어 시공에 번거로움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마감플레이트(20)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맞댐 방식, 용접 방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속부재(40) 체결 방식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출부(22)와 홈부(23) 물림 방식 중 어느 하나 방식에 의해 상하로 이어지게 연결되는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대상 기둥(C)의 높이에 대응하여 마감플레이트(20) 설치 높이의 가변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높이의 기둥(C)을 대상으로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어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레인 등의 장비 사용이 최소화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설명을 통해서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A)의 마감플레이트(20)만 설치 높이가 가변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형강부재(10)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용접 방식에 의해 상하로 이어지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 대상 기둥(C)의 높이에 대응하여 형강부재(10)의 설치 높이 가변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높이의 기둥(C)을 대상으로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어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레인 등의 장비 사용이 최소화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형강부재 11 : 개구부
12 : 연장편 20 : 마감플레이트
21 : 절곡편 22 : 돌출부
23 : 홈부 24 : 돌출편
30 : 충전제 40 : 결속부재
50 : 고정부재 A :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C : 기둥 S1 : 부재 고정단계
S1-1 : 그라우팅단계 S2 : 마감플레이트 결합단계
S3 : 충전제 충전단계

Claims (7)

  1. 일 방향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반대측 일 면의 양측으로 일정한 폭의 연장편이 형성된 'H'형 형강부재; 및
    상기 형강부재 일 면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의 개방을 차단하는 마감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형강부재는 상기 일 면 및 상기 연장편 각각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체결에 의해 보강 대상 기존 구조물의 기둥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마감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결속부재 체결에 의해 양측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이어지는 일측 및 타측 절곡편이 상기 개구부 양쪽 측면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에 맞대어져 결합되고,
    상기 마감플레이트에 의해 개방 차단된 상기 개구부 내측은 충전제로 충전되며,
    상기 마감플레이트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하로 이어지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기둥의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 높이가 가변되되, 전면 또는 배면 중 어느 일 면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 또는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는 보강편을 포함하여 어느 하나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상기 보강편이 다른 하나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배면 또는 전면에 접촉함에 따라 어느 하나 상기 마감플레이트와 다른 하나 상기 마감플레이트가 어긋남 없이 바르게 맞대져 상하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강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용접 방식에 의해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상하로 이어지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플레이트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하로 이어지게 연결되되, 맞댐 방식, 용접 방식, 결속부재 체결 방식 및 돌출부와 홈부 물림 방식 중 어느 하나 방식에 의해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상하로 이어지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 체결 방식에 의해 상하로 이어지게 연결되는 상기 마감플레이트는 상단 및 하단에 일정한 폭의 돌출편이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하부 상기 돌출편과 다른 하나의 상부 상기 돌출편을 관통하여 결속부재 체결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하로 이어지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체결에 의해 상기 기둥에 고정되는 상기 형강부재의 상기 일 면과 상기 기둥의 일 면 사이는 에폭시 그라우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6. 제1항에 의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방법에 있어서,
    고정부재 체결을 통해 보강 대상 기둥 일 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H'형 형강부재를 고정하는 부재 고정단계;
    결속부재 체결을 통해 마감플레이트의 양측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각각 이어지는 일측 및 타측 절곡편을 상기 형강부재의 개구부 양쪽 측면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에 맞대어 결합하는 마감플레이트 결합단계; 및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결합에 의해 폐쇄된 상기 형강부재의 상기 개구부 내측으로 충전제를 충전하는 충전제 충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 고정단계의 상기 마감플레이트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하로 이어지게 연결됨에 따라 상기 기둥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 높이가 가변되되, 전면 또는 배면 중 어느 일 면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돌출 또는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는 보강편을 포함하여 어느 하나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상기 보강편이 다른 하나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배면 또는 전면에 접촉함에 따라 어느 하나 상기 마감플레이트와 다른 하나 상기 마감플레이트가 어긋남 없이 바르게 맞대져 상하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고정단계는 상기 형강부재 일 면과 상기 기둥의 일 면 사이에 에폭시 그라우팅하는 그라우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방법.
KR1020220014771A 2022-02-04 2022-02-04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방법 KR102411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771A KR102411636B1 (ko) 2022-02-04 2022-02-04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771A KR102411636B1 (ko) 2022-02-04 2022-02-04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636B1 true KR102411636B1 (ko) 2022-06-22

Family

ID=8221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771A KR102411636B1 (ko) 2022-02-04 2022-02-04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6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3430A (ko) * 2010-02-12 2011-08-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내력가변형 마찰댐퍼
KR101306040B1 (ko) 2011-12-27 2013-09-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철근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 장치
KR101791819B1 (ko) * 2017-04-10 2017-10-31 티앤에스엔지니어링 (주) 건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둥의 안정성을 높인 강판프레임 콘크리트 내진보강공법
KR101841488B1 (ko) * 2016-10-13 2018-03-2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기둥의 내진보강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3430A (ko) * 2010-02-12 2011-08-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내력가변형 마찰댐퍼
KR101306040B1 (ko) 2011-12-27 2013-09-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철근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 장치
KR101841488B1 (ko) * 2016-10-13 2018-03-2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기둥의 내진보강장치 및 그 방법
KR101791819B1 (ko) * 2017-04-10 2017-10-31 티앤에스엔지니어링 (주) 건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둥의 안정성을 높인 강판프레임 콘크리트 내진보강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519B1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을 이용한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 공법
KR20180010833A (ko) 헌치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내진 보강 접합부
JP5124146B2 (ja) 制震建物
KR102411636B1 (ko)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방법
JP3690437B2 (ja) 既存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KR102411635B1 (ko)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방법
CN106437261B (zh) 一种应用钢板网的混凝土框架抗震加固结构
KR101652621B1 (ko) 기존 건물의 내진 구조물
JP5424761B2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方法
KR102620931B1 (ko)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보강패널의 모서리부를 고정하기 위해 모서리 보강 알루미늄 앵글과 코너비드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물의 전단 보강 방법 및 그 구조
JP5509374B1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耐震補強方法
JP4825087B2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
KR102567304B1 (ko) 응력 보강브레이스가 부착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보강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 보강공법
JP6478832B2 (ja) 耐震補強構造
KR102307118B1 (ko) 보강용 구조물을 이용한 비내력벽의 내진 보강 방법
JP2004346568A (ja) 制震構造物
JPH0776953A (ja) 制振構造
JP7210414B2 (ja) 杭基礎構造
JP4853422B2 (ja) 複合梁と木製柱の接続による門型フレーム
JP3817402B2 (ja) Rc造耐震間柱
JP2012207389A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工法
JP6388738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耐震補強構造
JP6399623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制振及び耐震補強構造
JP7361561B2 (ja) ブレース取付構造、構造物およびブレース取付方法
KR101980662B1 (ko) 강도를 높이고 시공이 용이한 철골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