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621B1 - 기존 건물의 내진 구조물 - Google Patents
기존 건물의 내진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2621B1 KR101652621B1 KR1020147036302A KR20147036302A KR101652621B1 KR 101652621 B1 KR101652621 B1 KR 101652621B1 KR 1020147036302 A KR1020147036302 A KR 1020147036302A KR 20147036302 A KR20147036302 A KR 20147036302A KR 101652621 B1 KR101652621 B1 KR 1016526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isting
- reinforcing
- column
- girder
- reinforc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기존 기둥과 기존 대들보의 보강 기둥에 의해 기존 기둥에 균열을 초래하지 않고 기존 기둥의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내진 보강 구조를 제공한다. 기존 건물의 외벽측에 위치하는 기존 기둥(2)의 외측 부위에, 기존 기둥과의 사이에 공간(7)을 사이에 두고 보강 기둥(8)이 대면하도록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보강 기둥(8)의 하부는 바닥 슬라브(5L)와 일체화되어 있는 기존 대들보(1L)에 고정시킨 보강 대들보(9L)에 이어진다. 더구나, 보강 기둥(8)의 상부는 상층 바닥 슬라브(5U)와 일체화되어 있는 기존 대들보(1U)에 고정시킨 보강 대들보(9U)에 이어진다. 그리고, 동일한 기존 대들보에 고정된 보강 대들보(9)는, 좌우에서 서로 이웃하는 보강 대들보와 서로 불연속으로 된다. 외력이 작용했을 때 보강 기둥의 변형과 기존 기둥의 변형에 차이가 생겨도, 기존 기둥이 보강 기둥의 변형의 영향을 받는 일이 거의 없어, 기존 기둥에서의 균열의 발생은 가급적 억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존 건물의 내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 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RC) 구조 또는 철골 철근 콘크리트(steel reinforced concrete ; SRC) 구조로 이루어진 기존의 다층 건물의 외면에 설치되는 내진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하, RC 구조라고 한다)과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하 SRC 구조라고 한다)은,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층 건물에 적용된다. 외벽측에 위치하는 골조(33)는 기둥(31)과 대들보(32)를 필요로 하며, 필요에 따라, 요벽, 현수벽, 문, 및 창문(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기둥은 상층의 하중을 지지하고, 대들보는 각 층의 바닥 슬라브(34)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건물이 대형 지진에 의하여 횡력을 받으면, 골조에 있어서의 상부의 대들보는 하부의 대들보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좌우의 기둥은 같은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골조는 평행사변형으로 변형되며, 여진에 의해 역방향으로 경사진 평행사변형으로 변형된다.
그런데, RC 구조 등의 기존 건물의 외면에 내진 보강을 실행함에 있어서 「거주 중의 시공」 및 「시야의 협소화 회피」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일본국 특개 2004-169504에 기재된 것 같은 브레이스리스(brace-less) 공법이 적용된다. 즉, 기존 기둥(RC 기둥이라고도 한다)에는 보강 기둥을 고정하고, 기존 대들보(RC 대들보라고도 한다)에도 보강 대들보를 고정하여, 새로운 골조를 형성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일본국 특개 2007-138472 A1에는, RC 기둥에 보강 기둥을 고정하만, RC 대들보에는 보강 대들보를 고정시키지 않도록 한 내진 보강공법이 제안되어 있다. 보강 대들보가 RC-대들보와 일체화되지않은 이유는 밝혀져 있지 않지만, 보강 대들보를 기존 대들보에 일체화시키지 않아도 골조의 형상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강 기둥을 기존 기둥에 일체화시켜 보강된 기둥은 건물의 내진성을 충분히 향상시킨다.
보강 기둥을 철골제로 하고 있는 경우에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서로 앵커 볼트 등에 의한 면 접합에 의하여 기존 기둥에 보강 기둥을 일체화하면, 기존의 RC 기둥의 경우와 비교하여 큰 변형에 견딜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이와 동시에 철골 기둥의 변형은 RC 기둥에 큰 힘을 인가할 수 있다. 그 결과, 앵커 볼트는 기존 기둥의 콘크리트에 균열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종류의 문제는 보강 기둥의 휨 강성을 기존 기둥의 그것과 유사하게 하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방법에 의하면 해결된다.
그러나, 오래된 내진기준이 적용된 예전 건물의 내진 성능은 대들보가 슬라브에 고정되어 있는 기존 대들보 보다 우수하다. 이것은 기존 기둥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기존 대들보의 그것에 비해서 우수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RC 구조물 외면에 사용되는 골조의 보강에 있어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기존 기둥과 기존 대들보의 내진성에 원래 차이가 생기고 있는 것에 착안하여, 보강 기둥에 의해 기존 기둥에 균열을 초래하지 않고 기존 기둥의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존 건물을 위한 내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RC 구조나 SRC 구조로 이루어진 기존의 다층 건물의 외면 상의 내진 보강 구조에 적용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 건물에 있어서의 건물 외벽측에 위치하는 기존 기둥(2)의 외측 부위에는, 보강 기둥(8)이 기존 기둥에 대면하도록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 보강 기둥(8)의 하부는 바닥 슬라브(5L)와 일체화되어 있는 기존 대들보(1L)에 고정된 보강 대들보(9L)와 일체화된다. 보강 기둥(8)의 상부는 상층 바닥 슬라브(5U)와 일체화되어 있는 기존 대들보(1U)에 고정된 보강 대들보(9U)와 일체화된다. 동일한 기존 대들보 상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보강 대들보(9)는 좌우에서 서로 불연속으로 된다.
보강 기둥 또는 보강 대들보는, 예를 들면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것과 같이, 형강(shaped steel)으로 제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기둥(8)에는 저항복점 강제의 제진 강판의 변형에 의해 제진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진기구(23)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보강 기둥(8) 이나 보강 대들보(9) 내부의 공간은 콘크리트(13)로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기둥 및 보강 대들보는 형강제 대신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RC 구조 보강 기둥(28) 및 RC 구조 보강 대들보(29)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 기둥은 상하의 기존 대들보에 고정된 보강 대들보에 걸쳐 설치되지만, 기존 기둥과는 일체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력이 작용했을 때 보강 기둥의 변형과 기존 기둥의 변형에 차이가 생겨도, 기존 기둥이 보강 기둥의 변형의 영향을 받는 일은 거의 없어진다. 즉, 기존 기둥과 보강 기둥의 대면 부위에 약간이라고 할지라도 공간이 남겨져 있으면 기존 기둥은 보강 기둥으로부터 해방되므로, 기존 기둥에서의 균열의 발생은 가급적으로 억제된다. 그 보강 기둥은 높은 내진 성능으로 기존 대들보에 고정된 보강 대들보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보강 기둥이 탈락한다고 하는 것 등도 없어, 보강 기둥과 보강 대들보에 의한 I형 보강 골조 구조도 유지된다.
기존 대들보에 고정된 보강 대들보는 좌우에서 서로 이웃하는 보강 대들보와 서로 불연속으로 됨으로써, 보강 대들보의 수평 방향 길이를 보강 기둥을 지지하는데 충분한 길이만큼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보강 대들보를 기존 대들보에 고정시키는데 필요한 노동력 및 자재의 양도 감소시키고, 내진 구조를 공사 기간을 단축시킨다.
보강 기둥 및 보강 대들보를 형강제로 제조하면, 콘크리트 구조에 의한 보강에 비해, 공장가공품의 도입에 의한 조립 현장에서 대폭적인 노동력과 시간 절약이 도모된다. 기존 기둥과 보강 기둥 사이의 적정 간격은 저항복점 강제(low yield point steel)로 제조된 제진 강판(damping plate)을 채용한 제진기구(mechanism for damping seismic vibrations)를 설치하는 것에 이용 가능하고, 상기 제진기구는 지진 에니지를 흡수하는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보강 기둥 또는 보강 대들보 각각의 내부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면, 보강 기둥 이나 보강 대들보의 휨 강성을 증강시키기 쉬워지고, 그 용접 형강의 제원과 그 공간에 충전되는 콘크리트의 양에 따라서는 보강 기둥 및/또는 보강 대들보의 휨 강성의 선정 폭도 확대시킬 수 있다.
보강 대들보 및 보강 기둥을 RC 구조로 하면, 기존 기둥의 외면이 기존 대들보의 외면보다도 외측으로 되어 있거나 그 반대인, 외면이 불균일한 건물에 있어서는 보강 대들보의 형상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자유도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보강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용접 평홈형 강제(welded channel steel)의 보강 기둥 및 보강 대들보를 채용한 경우의 주요부의 단면도 및 선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2는 기존의 다층 RC 구조의 외면에 도 1의 구성에 근거한 I형 보강 골조 구조의 내진 보강이 실시된 사시도.
도 3은 보강 기둥과 보강 대들보의 형상 혹은 치수가 기존 기둥과 기존 대들보의 그것들과 다른 용접 평홈형 강제로 한 경우의 요부의 단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용접 H형 강제의 보강 기둥 및 보강 대들보를 채용한 경우의 주요부의 단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기존의 다층 RC 구조에 도 4의 구성에 근거한 내진 보강 구조를 적용한 외관도 및 그 보강 기둥에 제진기구를 도입한 경우의 외관도.
도 6은 보강 기둥에 실시된 저항복점 강제 제진 강판의 변형에 의해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진기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7은 기존 기둥의 일부가 기존 대들보보다도 외측으로 나와 있는 건물에 적용되는 용접 형강제의 보강 기둥 및 보강 대들보의 주요부의 단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
도 8은 보강 기둥과 보강 대들보를 RC 구조로 한 경우의 주요부의 단면도 및 정면도.
도 9는 RC 구조의 보강 기둥 및 보강 대들보를 기존 기둥의 일부가 기존 대들보보다도 외측으로 나와 있는 건물에 적용한 사시도.
도 10은 기존 기둥과 기존 대들보가 외면에서 같은 면으로 되어 있는 건물에 RC 구조 보강 기둥 및 보강 대들보를 적용한 경우의 사시도.
도 11은 건물 외벽측에 위치하는 기존 기둥과 기존 대들보, 그것의 골조와 바닥 슬라브를 설명하는 RC 구조 혹은 SRC 구조로 이루어진 기존의 다층 건물의 사시도.
도 2는 기존의 다층 RC 구조의 외면에 도 1의 구성에 근거한 I형 보강 골조 구조의 내진 보강이 실시된 사시도.
도 3은 보강 기둥과 보강 대들보의 형상 혹은 치수가 기존 기둥과 기존 대들보의 그것들과 다른 용접 평홈형 강제로 한 경우의 요부의 단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용접 H형 강제의 보강 기둥 및 보강 대들보를 채용한 경우의 주요부의 단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기존의 다층 RC 구조에 도 4의 구성에 근거한 내진 보강 구조를 적용한 외관도 및 그 보강 기둥에 제진기구를 도입한 경우의 외관도.
도 6은 보강 기둥에 실시된 저항복점 강제 제진 강판의 변형에 의해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진기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7은 기존 기둥의 일부가 기존 대들보보다도 외측으로 나와 있는 건물에 적용되는 용접 형강제의 보강 기둥 및 보강 대들보의 주요부의 단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
도 8은 보강 기둥과 보강 대들보를 RC 구조로 한 경우의 주요부의 단면도 및 정면도.
도 9는 RC 구조의 보강 기둥 및 보강 대들보를 기존 기둥의 일부가 기존 대들보보다도 외측으로 나와 있는 건물에 적용한 사시도.
도 10은 기존 기둥과 기존 대들보가 외면에서 같은 면으로 되어 있는 건물에 RC 구조 보강 기둥 및 보강 대들보를 적용한 경우의 사시도.
도 11은 건물 외벽측에 위치하는 기존 기둥과 기존 대들보, 그것의 골조와 바닥 슬라브를 설명하는 RC 구조 혹은 SRC 구조로 이루어진 기존의 다층 건물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존 건물용 내진 보강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RC 구조 또는 SRC 구조로 이루어진 기존의 다층 건물에 적용된다. 하기의 설명에서 그 건물의 외벽측에 위치하는 기존 기둥과 기존 대들보의 각각의 외면의 위치가 다른 몇몇 예를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도 11과 같이 기존 대들보(1)이 기존 기둥(2)보다도 외축으로 나와 있는 건물(3)의 사시도이다(건물의 좌측 가장자리의 상부를 참조). 당연하지만, 그 기존 대들보(1)의 상하에 대향하는 2개와 기존 기둥(2)의 좌우에 대향하는 2개로 골조(4)가 형성되고, 상기 골조는 한개의 집 혹은 1개의 방의 외면을 형성하고 있다.
기존 대들보(1A)는 바닥 슬라브(5)와 일체화되어 있고, 인접한 슬라브(5)의 연결부가 보이지 않고 있지만, 바닥 슬라브(5)는 건물 내부에 퍼져 있다. 기존 기둥(2)은 바닥 슬라브(5)와 일체의 기존 대들보(1)를 지지하고, 그것의 하중은 아래층의 기존 기둥(2)에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건물의 기초에 이른다. 이와 같은 건물의 내진 보강으로서 이하의 구성이 실시된다. 도 1은 내진 보강의 제1 실시예인 것으로, 기존 건물의 골조(4)의 우측, 좌측 혹은 양측에 용접 평홈형 강제의 I형 보강 골조(6)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의 주요부의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기존 건물에 있어서의 건물 외벽측에 위치하는 기존 기둥(2)의 외측 부위에는 이 기존 기둥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7)을 두고 보강 기둥(8)이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슬라브(5L)에 일체화되어 있는 기존 대들보(1L)에는 보강 대들보(9L)가 고정되고, 상층의 바닥 슬라브(5U)에 일체화되어 있는 기존 대들보(1U)에는 보강 대들보(9U)가 고정되어 있다. 보강 기둥(8)은 보강 대들보(9L)와 보강 대들보(9U)에 끼워지도록 해서 세워 설치한 상태에서 일체화하여 이어져, 보강 골조(6)가 형성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대들보(9)는 기존 대들보(1)보다는 훨씬 짧은 것으로 되고, 기존 대들보(1L)에 고정된 보강 대들보(9L)는 좌우에서 서로 이웃하는 보강 대들보와 서로 불연속으로 되고 있고, 기존 대들보(1U)에 고정된 보강 대들보(9U)도 좌우에서 서로 이웃하는 보강 대들보와 서로 불연속으로 되어 있다.
보강 기둥(8) 및 보강 대들보(9)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U형인 형강으로 제조된다. 이것은 기존에 만들어진 홈형 강 또는, 기성품에서는 보강에 어울리는 치수의 것이 없거나 고가의 것으로 되는 경우 등에서는, 소망 사이즈에 맞추기 위해 재단된 강판을 용접해서 만든 용접 형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 3에는 단면적이 작은 형강 10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홈 형상의 사이즈와 형상은 마음대로 선택된다. 전술한 어떤 경우에도, 공장 내에서의 절단작업과 제관(plate working)의 공정을 통해서 제조되므로, 형상 및 치수의 정밀도는 높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H형 강(11)으로 제조된 보강 골조가 사용되거나, 후술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평홈형 강과 용접 H형 강으로 구성된 보강 골조(12)가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도 있다.
보강 기둥 및 보강 대들보를 용접 평홈형 강이나 용접 H형 강 등의 용접 형강 혹은 시판의 형강으로 사용하면, 순수한 콘크리트 구조에 의한 보강에 비해, 건설 현장에서 시간 및 노동력이 대폭적으로 절약된다. 형강, 예를 들면, 용접품(규격외 물품) 및 시판의 규격품이 보강 기둥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웹(web)과 플랜지로 둘러싸인 공간 혹은 적당한 거푸집(도시 생략) 등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에 콘크리트(13)를 충전하는 것이 필요에 따라 행해진다(예를 들면 도 1b를 참조). 이것에 의해, 보강 기둥의 휨 강성을 증강시키기 쉬워져, 그 형강의 제원과 충전 콘크리트 양에 따라서는 달성해야 할 휨 강성의 선정 폭도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강 대들보(9)와 기존 대들보(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14)가 충전되고, 콘크리트와 대들보에 앵커를 매립하여, 보강 대들보의 기존 대들보에 대한 강고한 일체화가 도모된다. 형강제의 보강 대들보는 기존 대들보에 대해 앵커나 PC 바를 사용하는 것 등 공지의 수단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보강 기둥은 보강 대들보에 미리 공장에서 어셈블리해서 상기한 I자 형상 또는 T자 형상의 보강 골조화해 두고, 건설현에서 하층용 골조와 상층용 골조를 용접이나 볼트 체결하는 것 등을 하여, 소망하는 높이의 보강체를 형성해 갈 수 있다. 이것은 보강 대들보를 짧게 하는 것에 의해 골조의 핸들링성을 향상시켜 공사의 진척을 촉진한다.
도 1a를 참조로 해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기존 기둥(2)의 외측 부위에는 이 기존 기둥과의 사이에 간격(7)을 두고 보강 기둥(8)이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간격은 두개의 기둥이 결코 서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며, 기존 기둥으로부터 보강 기둥으로 또는 보강 기둥으로부터 기존 기둥으로의 하중 전달을 차단하고자 한다. 따라서, 가령 기존 기둥과 보강 기둥이 가급적 접근하여 겉으로 보기에는 간격을 인식할 수 없더라도, 두 기둥이 상호 고정되지 않는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발휘된다.
더구나, 필요에 따라 기존 기둥과 보강 기둥 사이의 간격을 너머 가교가 실시되었다고 하더라도, 기존 기둥에 작용하는 하중과 보강 기둥에 작용하는 하중의 실질적인 전달이 끊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취지에 반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기존의 기둥과 보강 기둥 사이에 간격이 없거나 약간 밖에 없는 경우, 본 발명에 있어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골조에 대해 횡력이 작용하면, 기존 기둥과 보강 기둥이 서로 기대는 것을 허용하여, 대지진 시의 진동 방향으로 건물이 급격한하게 붕괴하는 것을 억제한다.
도 4는 기존 대들보(1)의 외면과 기존 기둥(2)의 외면이 같은 면으로 되어 있는 건물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보강 기둥(8)이 보강 대들보(9)보다 폭이 좁은 것으로 되어, 기존 기둥과 보강 기둥 사이에 간격(7)의 확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7의 예에서, 간격(7)의 깊이를 확대하기 위하여 보강 기둥(8)을 가급적 외측으로 어긋나게 한 배치로 하고 있다. 전자의 실시예의 외관은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기둥(8)의 웹에 제진기구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진기구는 저항복점 강제의 제진 강판의 변형에 의해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말할 필요도 없이, 기존 기둥과 보강 기둥 사이의 간격이 제진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 그리고 제진판의 소성 변형 허용 공간을 제공하므로, 대지진시의 에너지 흡수 효과가 매우 높아진다.
제진기구(23)의 일례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확대 도시되어 있다). 전방 플랜지(21)를 부분 절단해서 표시한 도 6a에서, 웹(22)의 중간 부위가 제거되고, 그 위치에 저항복점 강제의 제진 강판(23a)이 삽입된다. 도 6b에서 웹의 전면과 배면에 고정된 수 매의 보강판(stiffening plate)(24)과 도 6c에 도시된 수직 보강판(25)이 제진 강판 23a를 지지하는 동시에 큰 변형을 억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7은 기존 기둥(2)의 외면이 기존 대들보(1)보다도 외측으로 뛰어 나와 있는 건물에 적용되는 용접 형강제의 보강 기둥 및 보강 대들보의 실시예의 주요부의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용접 H형 강제의 보강 대들보(9)에는 도 7c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기존 기둥(2)의 전방면부를 수용하는 오목부(dent)(26)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제 대들보와 강제 기둥 대신에, RC 구조 보강 기둥(28) 및 RC 구조 보강 대들보(29)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인성(ductility) 면에서 이러한 기둥과 대들보가 용접 형강제로 제조된 기둥과 대들보보다 뒤떨어지기는 하더라도, 기존 기둥(2)의 외면이 기존 대들보(1)의 외면보다도 외측으로 되어 있는 것 등 외면 요철이 실시된 디자인의 건물에 있어서는(도 7 및 도 9를 참조) 보강 대들보의 형성에 있어서 형상 자유도는 향상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했지만, 보강 기둥은 상하의 기존 대들보에 고정된 보강 대들보에 걸어 설치하는데 있어서 기존 기둥과는 일체화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보강 기둥의 변형과 기존 기둥의 변형에 차이가 생겨도, 기존 기둥이 보강 기둥의 영향을 받는 것이 극히 적어진다. 보강 기둥과 기존 기둥 사이의 간격은 기존 기둥에 있어서의 보강 기둥의 변형의 추종으로부터 해방되기 때문에, 기존 기둥에서의 균열의 발생은 가급적으로 억제된다. 그 보강 기둥은 보강 대들보를 개재하여 내진성이 높은 기존 대들보에 지지되므로, 보강 기둥이 탈락하지 않고, 보강 기둥과 보강 대들보로 구성된 골조 구조도 형상이 유지된다.
기존 대들보에 고정된 보강 대들보는 좌우에서 서로 이웃하는 보강 대들보와 서로 불연속하므로, 보강 대들보의 수평 방향 길이를 보강 기둥을 지지하기에 충분히 단축시킬 수 있다. 보강 대들보를 기존 대들보에 고정하는데 필요한 작업량도 투입 자재의 양도 길이가 동일한 기존 대들보에 보강 대들보를 고정하는 경우와 비하면 현저하게 억제되고, 공사 기간도 단축하게 된다. 기존 대들보와 길이가 동일한 보강 대들보는 기존의 대들보보다 짧은 보강 대들보와 비교하여 과도한 강도를 갖지만, 본 발명은 기둥의 대들보에 대한 상대적 강도의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각각에 있어서, 보강은 건물의 전체면을 대상으로 한 것과 같이 기재되어 있지만, 건물의 중간 층까지나 중간 층만, 또는 건물의 외면의 좌측 절반부만과 같이 원하는 개소에 실시할 수 있다. 즉, 각 층 단위의 반복에 의하여 보강이 부분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보강 대들보가 기존 대들보에 불연속으로 늘어선다고 하는 것은 부하를 인접한 보강 대들보 사이에 전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보강 대들보는 길이가 다르거나, 보강 기둥을 경계로 해서 좌우 길이가 다들 수도 있다. 그 보강 대들보 사이의 공간은 부가적인 물질이나 장식적인 장치를 실시하여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1, 1L, 1U: 기존 대들보
2, 2L, 2U: 기존 기둥
3: RC 구조 또는 SRC 구조로 이루어진 기존의 다층 건물(건물)
5, 5L, 5U: 바닥 슬라브
6: I형 보강 골조
7: 공간
8: 보강 기둥
9, 9L : 보강 대들보
13: 콘크리트
21: 플랜지
22: 웹
23: 제진기구
28: RC 구조 보강 기둥
29: RC 구조 보강 대들보
2, 2L, 2U: 기존 기둥
3: RC 구조 또는 SRC 구조로 이루어진 기존의 다층 건물(건물)
5, 5L, 5U: 바닥 슬라브
6: I형 보강 골조
7: 공간
8: 보강 기둥
9, 9L : 보강 대들보
13: 콘크리트
21: 플랜지
22: 웹
23: 제진기구
28: RC 구조 보강 기둥
29: RC 구조 보강 대들보
Claims (5)
- 철근 콘크리트 구조나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다층 건물의 외면에 대한 내진 보강 구조에 있어서,
기존 건물의 외벽측에 위치하는 기존 기둥의 외측 부위에는 기존 기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보강 기둥(8)이 대면하도록 세워 설치되고,
상기 보강 기둥(8)의 하부는 바닥 슬라브와 일체화되어 있는 기존 대들보에 고정된 보강 대들보(9)의 상부에 일체화되며,
보강 기둥(8)의 상부는 상층 바닥 슬라브와 일체화되어 있는 기존 대들보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층 보강 기둥의 하부에 이어지는 보강 대들보(9)의 하부에 일체화되고,
상기 보강 기둥 및 보강 대들보는 형강제(shaped steel)로 제작됨과 동시에 서로 용접되고,
상기 보강 기둥에는 상기 보강 기둥의 항복강도 보다 낮은 항복강도를 갖는 제진 강판의 변형에 의해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는 제진기구가 설치되며,
동일한 기존 대들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보강 대들보는 좌우에서 서로 이웃하는 보강 대들보와 서로 불연속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보강 구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기둥 또는 보강 대들보의 공간은 콘크리트가 각각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보강 구조.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148503 | 2012-07-02 | ||
JPJP-P-2012-148503 | 2012-07-02 | ||
PCT/JP2013/068109 WO2014007233A1 (ja) | 2012-07-02 | 2013-07-02 | 耐震補強構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2264A KR20150032264A (ko) | 2015-03-25 |
KR101652621B1 true KR101652621B1 (ko) | 2016-08-30 |
Family
ID=4988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36302A KR101652621B1 (ko) | 2012-07-02 | 2013-07-02 | 기존 건물의 내진 구조물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5993948B2 (ko) |
KR (1) | KR101652621B1 (ko) |
CN (1) | CN104508219B (ko) |
TW (1) | TWI527954B (ko) |
WO (1) | WO201400723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88091A (zh) * | 2014-11-27 | 2016-08-24 | 王振牛 | 一种永乐宫壁画体系防地震及背面维护技术方案 |
IN2015MU02042A (ko) * | 2015-05-26 | 2015-06-05 | Yashraj Mahesh | |
JP6674278B2 (ja) * | 2016-02-24 | 2020-04-01 | 株式会社竹中工務店 | 耐震補強構造 |
CN111828041B (zh) * | 2020-06-23 | 2022-06-24 | 中电建南方建设投资有限公司 | 地铁地下长纵结构混凝土温度应力锚定系统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89053A (ja) * | 2000-09-21 | 2002-03-27 |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 PCaコンクリート部材による既存建築物の補強構造 |
JP2004169504A (ja) * | 2002-11-22 | 2004-06-17 | Katsuhiko Imai | Rc造用ブレースレス耐震補強工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54602B2 (ja) * | 1996-11-22 | 2002-02-12 | 日本鋼管株式会社 | 耐震部材、その製造方法及び耐震部材の取付構造 |
JP2001040881A (ja) * | 1999-08-02 | 2001-02-13 | Maeda Corp | 柱梁接合部の補強構造 |
JP4721273B2 (ja) | 2005-11-16 | 2011-07-13 | 株式会社フジタ | 鉄筋コンクリート造ラーメン構造の既存建物の耐震補強工法 |
CN201809873U (zh) * | 2009-10-31 | 2011-04-27 | 白风山 | 房屋加固抗震梁 |
CN101906882B (zh) * | 2010-07-06 | 2011-12-07 | 华南理工大学 | 一种对既有砌体结构采用钢部件进行抗震加固的方法 |
-
2013
- 2013-07-02 TW TW102123654A patent/TWI527954B/zh active
- 2013-07-02 JP JP2014523746A patent/JP5993948B2/ja active Active
- 2013-07-02 KR KR1020147036302A patent/KR10165262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7-02 WO PCT/JP2013/068109 patent/WO201400723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7-02 CN CN201380029077.5A patent/CN104508219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89053A (ja) * | 2000-09-21 | 2002-03-27 |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 PCaコンクリート部材による既存建築物の補強構造 |
JP2004169504A (ja) * | 2002-11-22 | 2004-06-17 | Katsuhiko Imai | Rc造用ブレースレス耐震補強工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407021A (zh) | 2014-02-16 |
CN104508219A (zh) | 2015-04-08 |
TWI527954B (zh) | 2016-04-01 |
JP5993948B2 (ja) | 2016-09-21 |
KR20150032264A (ko) | 2015-03-25 |
CN104508219B (zh) | 2017-07-18 |
JPWO2014007233A1 (ja) | 2016-06-02 |
WO2014007233A1 (ja) | 2014-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0417B1 (ko) |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 |
KR20180010833A (ko) | 헌치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내진 보강 접합부 | |
KR101652621B1 (ko) | 기존 건물의 내진 구조물 | |
JP5124146B2 (ja) | 制震建物 | |
KR101139761B1 (ko) | 건축물용 보강 벽 | |
JP6053485B2 (ja) | 既存建物への間柱の設置構造 | |
JP5144182B2 (ja) |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並びに耐震補強方法 | |
JP4980782B2 (ja) | 建築物の中間階免震機構 | |
JP2006226054A (ja) | 鉄筋コンクリート造ラーメン構造の既存建物の耐震補強工法 | |
JP2012207389A (ja) | 既存建物の耐震補強工法 | |
JP5059687B2 (ja) | 建物の連結制震構造 | |
JP4151693B2 (ja) | 既存建物への間柱の設置構造 | |
JP2010047926A (ja) | 既存建物の補強構造 | |
JP6293207B2 (ja) | 既存建物への間柱の設置構造 | |
JP2017008630A (ja) | 耐震補強構造 | |
KR101940857B1 (ko) | 강관 및 이를 이용한 합성기둥 | |
JP2006037548A (ja) | 制震ブロック壁構造 | |
JP2012188870A (ja) | 鋼コンクリート合成柱 | |
JP2005179981A (ja) | 構造物の制震構造 | |
JP7361561B2 (ja) | ブレース取付構造、構造物およびブレース取付方法 | |
JP4092651B2 (ja) | 既存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 |
JP4030576B1 (ja) | 木製耐震壁 | |
JP7138513B2 (ja) | ガラス壁 | |
JP3211098U (ja) | 既設鉄骨建築物における耐震補強構造体 | |
JP6630520B2 (ja) | 耐震補強フレーム及び耐震補強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