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851B1 - 닭 사료 첨가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닭 사료 - Google Patents

닭 사료 첨가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닭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851B1
KR102410851B1 KR1020200005406A KR20200005406A KR102410851B1 KR 102410851 B1 KR102410851 B1 KR 102410851B1 KR 1020200005406 A KR1020200005406 A KR 1020200005406A KR 20200005406 A KR20200005406 A KR 20200005406A KR 102410851 B1 KR102410851 B1 KR 102410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hicken feed
powder
parts
feed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1997A (ko
Inventor
이중신
Original Assignee
이중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신 filed Critical 이중신
Priority to KR1020200005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851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영양분의 공급으로 육질을 개선할 수 있고 면역성의 증대로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섭취가 용이하여 급여 효율이 높은 닭 사료 첨가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닭 사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다시마분말 20중량부, 현미분말 15중량부, 감초분말 20중량부, 영지버섯분말 1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과정; 혼합과정에서 얻은 혼합분말에 스팀을 가하고 두께 2㎜ 이하로 압착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사료에 닭 사료 첨가물이 0.1 ~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사료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닭 사료 첨가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닭 사료{Method for producing chicken feed additive and chicken feed}
본 발명은 닭 사료 첨가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닭 사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영양분의 공급으로 육질을 개선할 수 있고 면역성의 증대로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섭취가 용이하여 급여 효율이 높은 닭 사료 첨가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닭 사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 사료에 영양보급, 발육촉진, 질병예방, 품질유지 등을 목적으로 첨가하는 닭 사료 첨가물이 개발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4220호(2011. 12. 14. 공개)는 매생이를 이용한 닭 사료용 첨가물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는 매생이를 물에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매생이를 열풍건조기로 50℃~60℃에서 건조시키는 1차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거친 매생이를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2차세척단계; 상기 2차세척한 매생이를 열풍건조기로 50℃~60℃에서 건조시키는 2차 건조단계; 상기 2차 건조단계 후 대분하여 분쇄하는 파쇄단계; 상기 파쇄 한 매생이와 흑설탕을 중량대비 5:2의 비율로 혼합하여 20℃~25℃에서 2~3주간 발효한 다음 5~10℃에서 일주일간 저장하여 숙성단계; 상기 숙성단계를 거친 매생이 숙성물을 물에 세척하여 침전 시 상등액분리를 반복하는 침전단계; 상기 침전단계를 거친 매생이 침전물을 원심분리기로 수분을 분리한 후, 건조하여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미세분쇄단계; 상기 미세분쇄 단계 후 가압 살균기를 이용하여 80~100℃에서 30분간 처리하는 살균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생이를 이용한 철분강화 닭사료 첨가물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동 공개공보에는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높은 영양소를 가지는 기능성 매생이를 제조방법에 의하여 처리하여 일반 닭사료의 첨가물하여 제공함으로서 닭고기 및 계란의 품질과 닭의 산란율 및 계란의 품질을 높이고 특히 철분성분이 높은 계란을 생산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닭 사료용 첨가물이 미세분말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급여하였을 때 첨가물이 밑으로 가라앉게 되어 섭취가 어렵다는 점에서 급여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매생이에 의한 특정 영양분의 공급으로 육질 개선 및 면역성의 증대에 한계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기술을 감안하여, 다양한 영양분의 공급으로 육질을 개선할 수 있고 면역성의 증대로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섭취가 용이하여 급여 효율이 높은 닭 사료 첨가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닭 사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시마분말 20중량부, 현미분말 15중량부, 감초분말 20중량부, 영지버섯분말 1중량부의 비율로 하는 혼합하는 제1 과정과; 제1 과정에서 얻은 혼합분말에 스팀을 1~3초 가하여 살균하고 다시마의 알긴산 성분에 의해 점성을 갖도록 하는 제2 과정과, 제2 과정에서 얻은 혼합분말을 두께 2㎜ 이하로 압착하여 급여시 섭취가 용이하도록 조악한 크기로 성형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닭 사료 첨가물이 사료에 0.1 ~ 1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영양분의 공급으로 육질을 개선할 수 있고 면역성의 증대로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조악한 크기의 섭취가 용이하여 급여 효율이 높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닭 사료 첨가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닭 사료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닭 사료 첨가물 제조방법은 다시마분말 20중량부, 현미분말 15중량부, 감초분말 20중량부, 영지버섯분말 1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제1 과정; 제1 과정에서 얻은 혼합분말에 스팀을 가하는 제2 과정 및 두께 2㎜ 이하로 압착 성형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닭 사료는 상기의 닭 사료 첨가물이 사료에 0.1 ~ 1중량%로 포함된다(배합사료 1포가 25㎏인 경우 닭 사료 첨가물은 25g ~ 250g 포함).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갈조류의 하나인 다시마에는 라미나린(laminarine), 후코이단(fucoidan), 알긴산(alginic acid) 등 32~75%의 식이섬유가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다시마는 식이섬유에 의한 변비 개선효과는 물론 알긴산에 의한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중금속의 체외배출작용, 이온교환반응에 의한 혈압상승억제작용, 혈당강화작용, 장내 유해 미생물의 증식억제작용 및 항종양성 등과 같은 생리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저분자 질소화합물인 라미나린도 혈압강하 작용을 하며, 산성 다당류인 후코이단은 산화스트레스를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현미는 벼의 껍질만 벗긴 쌀로써 아직 백미로 도정하기 이전 단계를 말한다. 현미의 사료적 가치에서 육계의 대사에너지가는 3,240㎉/㎏으로 옥수수의 3,4733,240㎉/㎏과 비슷한 수준이고 겉보리의 2,591㎉/㎏보다는 높은 편이며, 특히 단백질함량이 7.68%으로 옥수수와는 비슷한 수준이고, 조성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용무질소물(NFE)에 대한 소화율은 옥수수가 88%인 반면에 현미는 94%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현미에 붙어 있는 쌀눈에는 비타민 B1 과 B2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현미의 사료적 가치를 높여주고 있다(한국표준사료성분표, 2002).
감초(Glycyrrhiza uralensis)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맛이 달면서 독이 없고 따뜻한 기운을 가지고 있으며, 심장, 폐, 위경맥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ang et al., 2001). 또한 감초는 여러 flavonoid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단맛을 내는 glycyrrhizin(Hanato et al., 2000)이 있으며, 이외에도 Hispaglabridin A, Hispaglabridin B, Glabridin 4-O-methylglabridin, isoprenylchalcone derivative, isoliquiritigenin, formononetin 등의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Vaya etal., 1997). 약리적 작용으로는 면역 증강, 만성간염, 해독 작용, 강심작용, 간 보호 작용, 콜레스테롤 배출 촉진 작용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Kakegawa et al., 1992; Kumagaiet al., 1967).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은 구멍장이버섯과 영지속에 속하는 1년생 버섯으로 주로 활엽수 뿌리에서 자란다. 영지버섯은 대표적인 약용버섯으로 항암, 항산화, 항돌연변이 및 면역 증진 등 다양한 약리효과를 가지며 고지혈증, 당뇨, 고혈압 및 혈액순환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의 소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항암, 면역증진 효능은 다당류와 같은 고분자 물질에 의해, 항산화활성은 protocatechuic acid, caffecic acid, coumaric acid, hispidin과 같은 폴리페놀 화합물 및 triterpene 등의 저분자물질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다당류의 일종인 β-glucan은 고분자의 포도당 중합체로서 β-(1,3)- glucan을 기본골격으로 하여 β(1→6) 결합의 곁가지를 갖는 구조로 분자량은 250,000 정도이다.
다음으로, 건조상태의 다시마, 현미, 감초, 영지버섯은 분쇄기를 통해 70㎛(200메쉬)~ 100㎛(150메쉬) 크기로 분쇄되어 분말을 얻을 수 있게 된다(전처리 과정).
다음으로, 다시마분말 20중량부, 현미분말 15중량부, 감초분말 20중량부, 영지버섯분말 1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얻는다.
다음으로, 혼합분말을 양 롤러 간격이 2㎜ 이하인 압착롤러를 통과시켜 압착 성형한다. 이때 혼합분말이 압착롤러를 통과하기 전 스팀이 1~3초 가해져 살균이 이루어지고 다시마에서 끈적거리는 물성을 가진 알긴산이 용해되어 분말들이 뭉쳐 조악한 크기로 성형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다시마분말 20중량부, 현미분말 15중량부, 감초분말 20중량부, 영지버섯분말 1중량부의 비율로 이루어진 혼합분말에 스팀을 가하고 두께 2㎜ 이하로 압착 성형함에 따라 조악한 크기로 성형되어 배합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였을 때 섭취가 용이하여 첨가물의 허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여기서 조악한 크기는 분말들이 뭉친상태에서 손으로 비볐을 때 쉽게 부서진다는 점에서 쌀알 크기로 비정형 상태이다).
또한 배합사료 급여시 0.1 ~ 1% 중량부의 닭 사료 첨가물을 섭취함에 따라 다시마, 현미, 감초, 영지버섯에 의한 다양한 영양분의 공급으로 육질이 개선되고, 다시마에 의한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중금속의 체외배출작용, 이온교환반응에 의한 혈압상승억제작용, 혈당강화작용, 장내 유해 미생물의 증식억제작용 및 항종양성 등과 같은 생리작용, 현미에 의한 비타민 B1 과 B2 보충, 감초에 의한 면역 증강, 만성간염, 해독 작용, 강심작용, 간 보호 작용, 콜레스테롤 배출 촉진 작용 등의 약리효과 및 영지버섯에 의한 항암, 항산화, 항돌연변이 및 면역 증진 등 다양한 약리효과로 인하여 면역성이 증대되어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다시마분말 20중량부, 현미분말 15중량부, 감초분말 20중량부, 영지버섯분말 1중량부의 비율로 하는 혼합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얻은 혼합분말에 스팀을 1~3초 가하여 살균하고 다시마의 알긴산 성분에 의해 점성을 갖도록 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에서 얻은 혼합분말을 두께 2㎜ 이하로 압착하여 급여시 섭취가 용이하도록 조악한 크기로 성형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 사료 첨가물 제조방법.
  2.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닭 사료 첨가물이 0.1 ~ 1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 사료.
KR1020200005406A 2020-01-15 2020-01-15 닭 사료 첨가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닭 사료 KR102410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406A KR102410851B1 (ko) 2020-01-15 2020-01-15 닭 사료 첨가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닭 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406A KR102410851B1 (ko) 2020-01-15 2020-01-15 닭 사료 첨가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닭 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997A KR20210091997A (ko) 2021-07-23
KR102410851B1 true KR102410851B1 (ko) 2022-06-20

Family

ID=7715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406A KR102410851B1 (ko) 2020-01-15 2020-01-15 닭 사료 첨가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닭 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8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539B1 (ko) * 2012-09-07 2014-12-01 김선영 삼채분말이 함유된 가금류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7397071A (zh) 2017-08-22 2017-11-28 合肥先智商贸有限责任公司 一种改善肉质的鸡饲料添加剂
KR101864840B1 (ko) 2017-01-11 2018-06-05 우리나무영농조합법인 미선나무를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그 사료첨가제를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US20180235257A1 (en) 2015-10-27 2018-08-23 Cytozyme Animal Nutrition, Inc. Animal nutrition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KR101956516B1 (ko) 2018-10-11 2019-03-08 고원국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5162A (en) * 1979-09-21 1981-04-24 Michiyoshi Fuchi Feed obtained by blending powdered unnecessary wood for preparing shiitake (mushroom) as main ingredient with fresh chlorella solution, seaweed, and specific enzyme
KR20010019159A (ko) * 1999-08-25 2001-03-15 이환진 영지란을 생산하기 위한 사료의 제조방법
KR20040078617A (ko) * 2004-08-17 2004-09-10 이성춘 참숯과 한약재를 이용한 닭 사료
KR20180098746A (ko) * 2017-02-27 2018-09-05 장병윤 게껍질 가공물, 지렁이 가공물, 지네 가공물, 현미 가공물 및 채소를 포함하는 닭 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539B1 (ko) * 2012-09-07 2014-12-01 김선영 삼채분말이 함유된 가금류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0180235257A1 (en) 2015-10-27 2018-08-23 Cytozyme Animal Nutrition, Inc. Animal nutrition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KR101864840B1 (ko) 2017-01-11 2018-06-05 우리나무영농조합법인 미선나무를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그 사료첨가제를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CN107397071A (zh) 2017-08-22 2017-11-28 合肥先智商贸有限责任公司 一种改善肉质的鸡饲料添加剂
KR101956516B1 (ko) 2018-10-11 2019-03-08 고원국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997A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thore et al. Mushroom nutraceuticals for improved nutrition and better human health: A review
De Silva et al. Medicinal mushrooms in prevention and control of diabetes mellitus
CN103749816B (zh) 一种荷叶苦瓜降脂保健茶及其制作方法
CN103876138B (zh) 一种适合糖尿病人的苦荞生活食品
AU2014258206B2 (en) Cereal containing hericium erinaceum and method for making same
CN103340340A (zh) 提高免疫力的保健食品
JP2006188486A (ja) 体脂肪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CN105054079A (zh) 一种甘薯加工利用方法
KR102042798B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KR102260026B1 (ko) 귀뚜라미 가압증숙 및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면역조절용 조성물
KR20160140417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410851B1 (ko) 닭 사료 첨가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닭 사료
KR20010079226A (ko) 콩류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CN107362080A (zh) 一种百香果果皮中的多酚的提取方法
KR100948281B1 (ko) 식물생약제를 이용한 추출물로된 다이어트용 식품의 제조방법
CN101248877A (zh) 抗衰老的功能食品及其制备方法
Oyedepo et al. Medicinal mushrooms
CN111296598B (zh) 一种复合黑菊芋运动茶饮料及其制备方法
Prabhakar Hypoglycemic potential of mushroom and their metabolites
KR20070061493A (ko) 홍삼 산성다당체 및 구기자추출물을 함유하며, 고지혈증개선 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N108783006A (zh) 一种肉鸡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肉鸡饲料
KR20200140166A (ko) 옻이 함유된 잡화꿀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485744A (zh) 一种泥鳅多糖提取方法及其应用
KR20200112527A (ko) 항균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08143365A1 (en) Composition containing chlorella and herbal extra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