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225B1 -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 - Google Patents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225B1
KR102410225B1 KR1020200082085A KR20200082085A KR102410225B1 KR 102410225 B1 KR102410225 B1 KR 102410225B1 KR 1020200082085 A KR1020200082085 A KR 1020200082085A KR 20200082085 A KR20200082085 A KR 20200082085A KR 102410225 B1 KR102410225 B1 KR 102410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ver
screen
coupled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4354A (ko
Inventor
김칠성
김정환
김재우
김형태
김영대
우주복
홍성민
Original Assignee
신우밸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밸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밸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2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225B1/ko
Publication of KR20220004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구의 중심축과 유출구의 중심축이 직교하되, 상기 유출구와 마주하는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몸체; 볼트 체결에 의해 상기 몸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통공의 개방을 차단하는 커버; 상기 몸체 내에 상기 유출구의 중심축을 따라 이어지도록 삽입 설치되는 스크린;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 상에서 상기 커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Suction diffuser for easy screen withdrawal and insertion }
본 발명은 석션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스크린의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크린 청소 및 교체 등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규격의 펌프에 적용 가능함으로써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냉각수, 냉수 및 난방수 등의 순환 배관 시스템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0011464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석션 디퓨져'가 적용되고 있다.
석션 디퓨져는, 순환 배관 시스템의 펌프 흡입구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체의 유동 방향 전환 등을 통해 유체의 유속을 낮춰 와류에 의한 진동이나 공동현상으로부터 펌프의 임펠러를 보호하고, 몸체 내에서의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 거름을 통해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펌프 손상을 방지한다.
한편, 석션 디퓨져 내에 이물질이 쌓이면 원통형의 스크린이 막히면서 펌프의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특히 흡입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공동형상이 유발되어 펌프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석션 디퓨져의 몸체로부터 커버를 분리하여 몸체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스크린을 정기적으로 분해하여 몸체 내부와 스크린을 청소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석션 디퓨져는, 커버가 다수 개의 볼트 체결에 의해 몸체에 결합된 것일 뿐 커버와 몸체 상호 연결된 것이 이난바, 스크린 인출 및 삽입 과정에서 커버를 들어 지지해야만 했으므로 상당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어 스크린 청소 및 교체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석션 디퓨져는 유출구의 직경이 펌프 흡입구에 대응하는 어느 한 치수로 제작되었던바, 펌프가 교체되거나 하여 펌프 흡입구의 직경이 변경되면 이전 석션 디퓨져의 적용이 이루어질 수 없었으므로 그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스크린의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크린 청소 및 교체 등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규격의 펌프에 적용 가능함으로써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석션 디퓨져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114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스크린의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크린 청소 및 교체 등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규격의 펌프에 적용 가능함으로써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석션 디퓨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입구의 중심축과 유출구의 중심축이 직교하되, 상기 유출구와 마주하는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몸체; 볼트 체결에 의해 상기 몸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통공의 개방을 차단하는 커버; 상기 몸체 내에 상기 유출구의 중심축을 따라 이어지도록 삽입 설치되는 스크린;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 상에서 상기 커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구의 중심축과 유출구의 중심축이 직교하되, 상기 유출구와 마주하는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몸체; 볼트 체결에 의해 상기 몸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통공의 개방을 차단하는 커버; 상기 몸체 내에 상기 유출구의 중심축을 따라 이어지도록 삽입 설치되는 스크린;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 상에서 상기 커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일측에 결합되어 파지 부위를 제공하되, 상기 커버 상에서 회전함에 따라 접히거나 펴지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구의 중심축과 유출구의 중심축이 직교하되, 상기 유출구와 마주하는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몸체; 볼트 체결에 의해 상기 몸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통공의 개방을 차단하는 커버; 상기 몸체 내에 상기 유출구의 중심축을 따라 이어지도록 삽입 설치되는 스크린;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 상에서 상기 커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내측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을 지지하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구의 중심축과 유출구의 중심축이 직교하되, 상기 유출구와 마주하는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몸체; 볼트 체결에 의해 상기 몸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통공의 개방을 차단하는 커버; 상기 몸체 내에 상기 유출구의 중심축을 따라 이어지도록 삽입 설치되는 스크린;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 상에서 상기 커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상기 유출구 선단에 결합되되, 직경에 차등을 두고 복수로 마련되어 펌프 흡입구 직경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가 상기 유출구 선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소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를 제안한다.
상기 힌지는, 상기 몸체 일측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되, 일 면에 상하로 마주하는 한 쌍의 돌출편이 형성된 제1지지대; 상기 커버 일측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되, 일 면에 상하로 마주하는 한 쌍의 돌출편이 형성된 제2지지대;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제1지지대의 상기 돌출편 사이에 삽입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이 상기 제2지지대의 상기 돌출편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바; 및 어느 하나가 상기 제1지지대의 상기 돌출편과 상기 연결바의 길이 방향 일단을 관통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제2지지대의 상기 돌출편과 상기 연결바의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을 관통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는 상기 고정핀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 결합하여 상기 돌출편으로부터 상기 고정핀의 이탈을 차단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연결바의 길이 방향 일단 및 다른 일단 각각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핀의 외주면을 감싸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커버 일측에 고정되되, 일 면에 상하로 마주하는 한 쌍의 돌출편이 형성된 지지대;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지지대의 상기 돌출편 사이에 삽입되는 봉부재; 상기 지지대의 상기 돌출편과 상기 봉부재의 길이 방향 일단을 관통하는 고정핀; 상기 봉부재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링부재; 및 상기 봉부재를 관통하여 결합되되, 상기 링부재 후방에 배치되어 길이 방향 일단의 접촉을 통해 상기 링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고정핀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 결합하여 상기 돌출편으로부터 상기 고정핀의 이탈을 차단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봉부재에 나선 물림하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커버와 인접하는 선단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는 상기 스크린의 전후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스크린의 전후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켓은 볼트 체결에 의해 상기 유출구 선단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는, 몸체와 커버 사이에 결합되는 힌지를 포함하는바, 힌지에 의해 몸체와 커버가 연결되므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요구될 때 볼트 체결을 해제한 후 커버를 회전시킴으써 커버를 들어올리는 수고없이 간단히 커버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스크린 청소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는, 커버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바,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요구될 때 볼트 체결을 해제한 후 손잡이를 파지하여 당김으로써 간단히 커버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스크린 청소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는, 몸체의 내측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바, 리브의 지지에 의해 스크린이 몸체 바닥면으로 상부로 이격될 수 있어 스크린을 들어올리는데 따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으므로 스크린 청소 및 교체 작업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는, 몸체의 유출구 선단에 결합되는 소켓을 더 포함하는바, 직경에 차등을 두고 형성되는 소켓을 유출구 선단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펌프 흡입구 직경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규격의 펌프의 적용될 수 있어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에서 힌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에서 손잡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에서 손잡이의 회전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에서 리브를 통한 스크린 지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에서 리브가 롤러부재를 더 포함할 때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에서 리브가 슬라이딩부재를 더 포함할 때의 예시도이다.
도 8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에서 몸체에 소켓이 결합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에서 소켓의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A)는, 몸체(10); 커버(20); 스크린(30); 및 힌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몸체(10)는 유입구(11)의 중심축과 유출구(12)의 중심축이 직교한다.
따라서 몸체(10)의 유입구(11)와 유출구(12) 사이에서 유체의 방향 전환, 예컨대 유입구(11)를 통해 종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유출구(12)를 통해 횡방향으로 유출되며 유속의 감소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몸체(10)는 유출구(12)와 마주하는 일측에 통공(13)이 형성된다.
따라서 통공(13)을 통해 몸체(10) 내측으로부터 스크린(30)의 인출 및 외부로부터 몸체(10) 내측으로 스크린(30)의 삽입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커버(20)는 볼트(도면부호 미표시) 체결에 의해 몸체(10) 일측에 결합되어 통공(13)의 개방을 차단한다.
따라서 커버(20)에 의한 통공(13)의 개방 차단에 의해 통공(13)을 통한 유체 유출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스크린(30)은 몸체(10) 내에 유출구(12)의 중심축을 따라 이어지도록 삽입 설치된다.
따라서 몸체(10) 내에서의 유체 유동 과정에서 스크린(30)에 의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의 거름이 이루어진다.
한편, 스크린(30)은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의 원통형 타공망(도면부호 미표시) 및 메쉬망(도면부호 미표시)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타공망 및 메쉬망에 의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의 거름이 원활하다.
본 발명의 힌지(40)는 몸체(10)와 커버(20) 사이에 결합되어 몸체(10) 상에서 커버(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힌지(40)에 의해 몸체(10)와 커버(20)가 연결됨으로써 커버(20)를 들어올리는데 따르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이때, 힌지(40)는, 몸체(10) 일측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되, 일 면에 상하로 마주하는 한 쌍의 돌출편(41a)이 형성된 제1지지대(41); 커버(20) 일측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되, 일 면에 상하로 마주하는 한 쌍의 돌출편(42a)이 형성된 제2지지대(42); 길이 방향 일단이 제1지지대(41)의 돌출편(41a) 사이에 삽입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이 제2지지대(42)의 돌출편(42a)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바(43); 및 어느 하나가 제1지지대(41)의 돌출편(41a)과 연결바(43)의 길이 방향 일단을 관통하고, 다른 하나가 제2지지대(42)의 돌출편(42a)과 연결바(43)의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을 관통하는 고정핀(44);을 포함함으로써 고정핀(44) 상에서의 연결바 회전에 의해 커버(2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힌지(40)는 고정핀(44)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 결합하여 돌출편(41a, 42a)으로부터 고정핀(44)의 이탈을 차단하는 고정링(45)을 더 포함함으로써 고정링(45)에 의해 고정핀(44)의 결합이 안정될 수 있다.
또한, 힌지(40)는 연결바(43)의 길이 방향 일단 및 다른 일단 각각에 배치되어 고정핀(44)의 외주면을 감싸는 베어링(46)을 더 포함함으로써 베어링(46)에 의해 연결바(43)의 회전이 원활할 수 있다.
한편, 힌지(40)에서 제1지지대(41) 및 제2지지대(42)는 볼트 체결에 의해 몸체(10) 및 커버(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A)는, 커버(20) 일측에 결합되어 파지 부위를 제공하되, 커버(20) 상에서 회전함에 따라 접히거나 펴지는 손잡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50)를 파지하고 당김으로써 커버(20) 개방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손잡이(50)는, 커버(20) 일측에 고정되되, 일 면에 상하로 마주하는 한 쌍의 돌출편(51a)이 형성된 지지대(51); 길이 방향 일단이 지지대(51)의 돌출편(51a) 사이에 삽입되는 봉부재(52); 지지대(51)의 돌출편(51a)과 봉부재(52)의 길이 방향 일단을 관통하는 고정핀(53); 봉부재(52)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링부재(56); 및 봉부재(52)를 관통하여 결합되되, 링부재(56) 후방에 배치되어 길이 방향 일단의 접촉을 통해 링부재(56)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55)를 포함함으로써 고정핀(53)에 의해 봉부재(52)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탄성부재(55)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링부재(56)가 지지대(51)에 접촉함에 따라 봉부재(52)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이 방지된다.
여기서, 손잡이(50)는 고정핀(53)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 결합하여 돌출편(51a)으로부터 고정핀(53)의 이탈을 차단하는 고정링(54)을 더 포함함으로써 고정링(54)에 의해 고정핀(53)의 결합이 안정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50)는 봉부재(52)에 나선 물림하는 너트(57)를 더 포함함으로써 너트(57)의 이동에 의해 탄성부재(55)에 의한 링부재(56)의 가압 정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손잡이(50)에서 지지대(51)는 볼트 체결에 의해 커버(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A)는, 몸체(10)의 내측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스크린(30)을 지지하는 리브(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리브(60)의 지지에 의해 스크린(30)이 몸체(10) 바닥면 상부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리브(60)는 커버(20)와 인접하는 선단이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스크린(30) 인출 및 삽입 과정에서 걸림이 방지된다.
또한, 리브(60)는 스크린(30)의 전후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재(61)를 포함함으로써 롤러부재(61)의 회전에 의해 리브(60) 상에서 스크린(30)의 전후 이동이 원활할 수 있다.
또한, 리브(60)는 스크린(3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부재(62)를 포함함으로써 슬라이딩부재(62)의 슬라이딩에 의해 리브(60) 상에서 스크린(30)의 전후 이동이 원활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부재(62)는 리브(60)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홈(도면상 미도시)에 물림으로써 홈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A)는, 몸체(10)의 유출구(12) 선단에 결합되되, 직경에 차등을 두고 복수로 마련되어 펌프(도면상 미도시) 흡입구 직경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가 유출구(12) 선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소켓(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소켓(70)을 펌프 흡입구에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A)가 다양한 규격의 펌프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소켓(70)은 볼트 체결에 의해 유출구(12) 선단 및 펌프 흡입구 선단에 결합됨으로써 그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뿐만 아니라 유출구(12) 선단 및 펌프 흡입구 선단으로부터 간단히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A)에서의 스크린(30) 인출 및 삽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유출구(12)와 마주하는 몸체(10) 일측에는 통공(13)이 형성되는바, 통공(13)을 통해 스크린(30)의 인출 및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통공(13)이 형성된 몸체(10) 일측에는 커버(20)가 결합되는바, 스크린(30) 인출 및 삽입에 앞서 커버(20)의 개방이 필요하므로 커버(20) 개방으로 인한 번거로움, 특히 볼트 체결 해제에 의해 몸체(10)와 분리되는 커버(20)를 들어올려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몸체(10)와 커버(20) 사이에 결합되는 힌지(40)를 포함하는바, 볼트 체결을 해제하더라도 힌지(40)에 의해 몸체(10)와 커버(20)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므로 커버(20)를 들어올리는데 따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힌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 일측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되, 일 면에 상하로 마주하는 한 쌍의 돌출편(41a)이 형성된 제1지지대(41); 커버(20) 일측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되, 일 면에 상하로 마주하는 한 쌍의 돌출편(42a)이 형성된 제2지지대(42); 길이 방향 일단이 제1지지대(41)의 돌출편(41a) 사이에 삽입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이 제2지지대(42)의 돌출편(42a)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바(43); 및 어느 하나가 제1지지대(41)의 돌출편(41a)과 연결바(43)의 길이 방향 일단을 관통하고, 다른 하나가 제2지지대(42)의 돌출편(42a)과 연결바(43)의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을 관통하는 고정핀(44);을 포함하는바, 고정핀(44) 상에서의 연결바(43) 회전에 의해 커버(20)의 회전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커버(20)는 그 크기 및 하중이 상당하므로 파지가 쉽지 않아 회전에 의한 개방이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커버(20)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50)를 더 포함하는바, 손잡이(50)를 파지하여 당김으로써 커버(20) 개방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손잡이(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 일측에 고정되되, 일 면에 상하로 마주하는 한 쌍의 돌출편(51a)이 형성된 지지대(51); 길이 방향 일단이 지지대(51)의 돌출편(51a) 사이에 삽입되는 봉부재(52); 지지대(51)의 돌출편(51a)과 봉부재(52)의 길이 방향 일단을 관통하는 고정핀(53); 봉부재(52)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링부재(56); 및 봉부재(52)를 관통하여 결합되되, 링부재(56) 후방에 배치되어 길이 방향 일단의 접촉을 통해 링부재(56)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55);를 포함하는바, 고정핀(53)에 의해 봉부재(52)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탄성부재(55)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링부재(56)가 지지대(51)에 접촉함에 따라 봉부재(52)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이 방지되어 접히거나 펴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 손잡이(50)를 회전시켜 접어둠으로써 손잡이(50) 돌출로 인한 보행 간섭 등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A)는 커버(20) 개폐에 따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30) 인출 및 삽입 과정에서 스크린(30)을 들어올리는데 따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몸체(10)의 내측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는 리브(60)를 더 포함하는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60)의 지지에 의해 스크린(30)이 몸체(10) 바닥면으로 상부로 이격될 수 있으므로 스크린(30)을 들어올리는데 따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어 이에 의해 스크린(30) 청소 및 교체 작업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이때, 리브(60)는, 커버(20)와 인접하는 선단이 곡면으로 형성되는바, 스크린(30) 인출 및 삽입 과정에서 리브(60) 선단에 스크린(30) 걸림이 방지되므로 스크린(30) 청소 및 교체 작업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리브(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30)의 전후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재(61)를 포함할 수 있는바, 롤러부재(61)의 회전에 의해 리브(60) 상에서 스크린(30)의 전후 이동이 원활할 수 있으므로 스크린(30) 청소 및 교체 작업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리브(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3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는바, 슬라이딩부재(62)의 슬라이딩에 의해 리브(60) 상에서 스크린(30)의 전후 이동이 원활할 수 있으므로 스크린(30) 청소 및 교체 작업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A)는 다양한 규격의 펌프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유출구(12) 선단에 결합되는 소켓(70)을 더 포함하는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에 차등을 두고 형성되는 소켓(70)을 유출구(12) 선단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펌프 흡입구 직경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규격의 펌프에 적용될 수 있어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몸체 11 : 유입구
12 : 유출구 13 : 통공
20 : 커버 30 : 스크린
40 : 힌지 41 : 제1지지대
41a : 돌출편 42 : 제2지지대
42a : 돌출편 43 : 연결바
44 : 고정핀 45 : 고정링
46 : 베어링 50 : 손잡이
51 : 지지대 51a : 돌출편
52 : 봉부재 53 : 고정핀
54 : 고정링 55 : 탄성부재
56 : 링부재 57 : 너트
60 : 리브 61 : 롤러부재
62 : 슬라이딩부재 70 : 소켓
A : 석션 디퓨져

Claims (6)

  1. 유입구의 중심축과 유출구의 중심축이 직교하되, 상기 유출구와 마주하는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몸체;
    볼트 체결에 의해 상기 몸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통공의 개방을 차단하는 커버;
    상기 몸체 내에 상기 유출구의 중심축을 따라 이어지도록 삽입 설치되는 스크린;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 상에서 상기 커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몸체 일측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되, 일 면에 상하로 마주하는 한 쌍의 돌출편이 형성된 제1지지대; 상기 커버 일측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되, 일 면에 상하로 마주하는 한 쌍의 돌출편이 형성된 제2지지대;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제1지지대의 상기 돌출편 사이에 삽입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이 상기 제2지지대의 상기 돌출편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바; 어느 하나가 상기 제1지지대의 상기 돌출편과 상기 연결바의 길이 방향 일단을 관통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제2지지대의 상기 돌출편과 상기 연결바의 길이 방향 다른 일단을 관통하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 결합하는 고정링; 및 상기 연결바의 길이 방향 일단 및 다른 일단 각각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핀의 외주면을 감싸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내측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을 지지하는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스크린의 전후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재 또는 상기 스크린의 전후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일측에 결합되어 파지 부위를 제공하되, 상기 커버 상에서 회전함에 따라 접히거나 펴지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커버 일측에 고정되되, 일 면에 상하로 마주하는 한 쌍의 돌출편이 형성된 지지대;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지지대의 상기 돌출편 사이에 삽입되는 봉부재; 상기 지지대의 상기 돌출편과 상기 봉부재의 길이 방향 일단을 관통하는 고정핀; 상기 봉부재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링부재; 및 상기 봉부재를 관통하여 결합되되, 상기 링부재 후방에 배치되어 길이 방향 일단의 접촉을 통해 상기 링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유출구 선단에 결합되되, 직경에 차등을 두고 복수로 마련되어 펌프 흡입구 직경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가 상기 유출구 선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소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
  5. 삭제
  6. 삭제
KR1020200082085A 2020-07-03 2020-07-03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 KR102410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085A KR102410225B1 (ko) 2020-07-03 2020-07-03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085A KR102410225B1 (ko) 2020-07-03 2020-07-03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354A KR20220004354A (ko) 2022-01-11
KR102410225B1 true KR102410225B1 (ko) 2022-06-20

Family

ID=79355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085A KR102410225B1 (ko) 2020-07-03 2020-07-03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2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5958A (ja) * 2003-03-18 2004-10-07 Ben:Kk ストレーナ
JP2004347014A (ja) * 2003-05-21 2004-12-09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JP5606605B2 (ja) * 2013-09-20 2014-10-15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配管部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407Y1 (ko) 1998-12-03 2001-12-20 이정수 석션디퓨져
WO2011099050A1 (ja) * 2010-02-09 2011-08-18 株式会社ベン ストレーナ
KR101893861B1 (ko) * 2016-12-19 2018-08-3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스트레이너의 원통형 필터 고정용 밀봉마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5958A (ja) * 2003-03-18 2004-10-07 Ben:Kk ストレーナ
JP2004347014A (ja) * 2003-05-21 2004-12-09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JP5606605B2 (ja) * 2013-09-20 2014-10-15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配管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354A (ko)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811B1 (ko) 수중펌프 보호필터
US20070240457A1 (en) Washing machine having a filtering drain pump
CA2345190C (en) Self-cleaning filter with bypass
US20070251032A1 (en) Immersed Surface Cleaning Device Provided with a Nonreturn Inlet Conduit
US9528217B2 (en) Drainage and filtering system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with the drainage and filtering system
CN107854085B (zh) 用于水槽洗碗机的过滤器和具有其的水槽洗碗机
DE10046349B4 (de) Haushaltgerät
EP2762632A1 (en) Washing method
KR20080099113A (ko)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CN213725025U (zh) 过滤装置
KR102410225B1 (ko) 스크린 인출 및 삽입이 용이한 석션 디퓨져
DE102005036818A1 (de) Pumpengehäuse, Pumpe und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US11517834B2 (en) Fiber disc filter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damage to fabric filter
CN105525493A (zh) 一种设有进水过滤器的洗衣机
EP3056129B1 (en) Dishwasher
CN100590252C (zh) 具有改进的过滤器装置的洗衣机
CN204199056U (zh) 一种设有进水过滤器的洗衣机
EP3414461B1 (de) Wäschepflegegerät mit einer laugenpumpe
US20140157834A1 (en) Vertical axis washing machine
KR100457596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CN112665370A (zh) 排水机构及冷干装置
DE60021728T2 (de) Filtereinheit fuer eine Waschmaschine
CN109423848A (zh) 一种排水装置及洗衣机
CN215721119U (zh) 一种具备过滤作用的v型球阀
CN209907052U (zh) 一种洗衣机喷流式线屑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