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980B1 -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시스템 - Google Patents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980B1
KR102409980B1 KR1020210175226A KR20210175226A KR102409980B1 KR 102409980 B1 KR102409980 B1 KR 102409980B1 KR 1020210175226 A KR1020210175226 A KR 1020210175226A KR 20210175226 A KR20210175226 A KR 20210175226A KR 102409980 B1 KR102409980 B1 KR 102409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order
joint
user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철민
공종훈
곽다현
강동섬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75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06Q10/08345Pr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주문자들이 주문한 배달 서비스에 대해 주문자들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공동의 수령지를 생성하고 공동으로 수령하도록 하여 배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는,
배달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주문방을 개설한 호스트 단말기와, 상기 호스트 단말기와 함께 공동으로 배달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상기 주문방에 참여할 게스트 단말기를 매칭하는 사용자 매칭부; 상기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주문정보와 상기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주문정보를 병합하여 공동 주문정보를 생성하는 주문정보 생성부; 및, 상기 호스트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상기 게스트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공동 수령지정보를 생성하는 수령지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시스템 {Distance-based joint ordering application device and distance-based joint ordering system comprising it}
본 발명은 복수의 주문자들이 주문한 배달 서비스에 대해 주문자들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공동의 수령지를 생성하고 공동으로 수령하도록 하여 배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득 수준이 향상되고, 주 5일 근무제로 시간적인 여유가 생기고, 여성의 사회 진출이 보편화됨에 따라 외식을 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국민 소비 가운데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식품비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외식 비용이 차지하는 등 국민 경제에 있어 외식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늘어나고 있고, 그 중요성 또한 크게 확대되고 있다.
외식을 위하여 집 밖에 나가서 음식을 사먹을 수도 있지만, 집에서 음식을 시켜먹는 배달 주문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 더욱더 배달 주문이 증가하고 있다.
통상적인 배달 주문 방식은 주문자 하나에 대해 배달자가 하나로 배정되는 방식이다. 이는 인접 지역에 거주하는 복수의 주문자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이에 따른 배달비가 증가하고, 유사 경로를 반복적으로 배달함에 따라 생기는 전체적인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5-0060658호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복수의 주문자들이 주문한 배달 서비스에 대해 주문자들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공동의 수령지를 생성하고 공동으로 수령하도록 하여 배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는,
배달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주문방을 개설한 호스트 단말기와, 상기 호스트 단말기와 함께 공동으로 배달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상기 주문방에 참여할 게스트 단말기를 매칭하는 사용자 매칭부; 상기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주문정보와 상기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주문정보를 병합하여 공동 주문정보를 생성하는 주문정보 생성부; 및, 상기 호스트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상기 게스트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공동 수령지정보를 생성하는 수령지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매칭부는 상기 호스트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상기 게스트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시간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호스트 단말기와 상기 게스트 단말기를 매칭하고, 상기 게스트 단말기 사용자가 시간을 설정하면, 상기 사용자 매칭부는 설정된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거리를 구획한 후, 상기 구획된 시간 거리의 끝점들을 이어서 폐곡선을 형성한 후, 이를 서비스 영역으로 출력하며, 상기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호스트 단말기를 출력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간 거리는 사용자 설정을 통해 입력된 개인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문정보 생성부는, 상기 주문방을 개설을 위한 주문방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처리유닛과, 상기 호스트 단말기에 의해 개설된 주문방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공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게스트 처리유닛과, 공동 주문이 성사된 경우, 공동 주문에 따른 배달비를 산출하여 상기 호스트 단말기 및 게스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공동주문 처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문방 설정 인터페이스는 주문 가게명, 최소 주문 금액, 배달비 항목이 표시되고, 상기 호스트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게스트 수 입력필드와 대기시간 입력필드를 제공하며, 상기 공동 주문 인터페이스에는 주문 가게명, 최소 주문 금액, 배달비 항목과, 상기 호스트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스트 수 및 대기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문 처리유닛은, 상기 호스트 단말기 사용자의 주문 금액과 상기 게스트 단말기 사용자의 주문 금액을 합산하여 상기 최소 주문 금액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처리하고, 상기 게스트 단말기 사용자 수가 상기 호스트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한 게스트 수에 부합하는 지를 판단하여 처리하며, 상기 호스트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한 대기시간 도래 여부를 판단하여, 대기시간이 도래한 경우, 상기 호스트 단말기 사용자에게 대기시간의 연장 여부를 질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문 처리유닛은, 상기 호스트 단말기 및 게스트 단말기의 수만큼 배달비를 균분하여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호스트 단말기 및 게스트 단말기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의해 배달비를 더 부담하는 경우, 부담율에 따라 배달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령지정보 생성부는, 상기 호스트 단말기 위치정보와 상기 게스트 단말기 위치정보의 기하학적 중심 좌표를 상기 공동 수령지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령지정보 생성부는, 상기 호스트 단말기 위치정보와 상기 게스트 단말기 위치정보의 기하학적 중심 좌표와 가장 가까운 공공장소를 상기 공동 수령지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단말기 및 게스트 단말기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의해 배달비를 더 부담하는 경우, 배달비를 더 부담하는 사용자에게 더 가깝도록 상기 공동 수령지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시스템은,
상기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탑재된 사용자 단말기; 상기 공동 주문정보에 따른 상품을 제공하는 가맹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공동 주문정보를 수령하고, 상기 공동 주문정보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배달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한다.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주문자들이 주문한 배달 서비스에 대해 주문자들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공동의 수령지를 생성하고 공동으로 수령하도록 하여 배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매칭부에서 게스트 단말기와 호스트 단말기를 매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시간거리를 기준으로 게스트 단말기와 호스트 단말기를 매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시간거리를 기준으로 게스트 단말기와 호스트 단말기가 매칭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제3 시간거리를 기준으로 게스트 단말기와 호스트 단말기가 매칭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게스트 단말기와 호스트 단말기와 매칭된 상태가 예시된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 단말기(호스트 단말기)에 표시되는 주문방 설정 인터페이스가 예시된 도면이다.
도 9는 사용자 단말기(게스트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공동 주문 인터페이스가 예시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수령지정보 생성부에서 공동 수령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 100_1, 100_2, ?? 100_n), 배달 서비스 플랫폼(200), 가맹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이하, '어플리케이션 장치'라 함)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구글 플레이 스토어, 애플 앱스토어 등)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의 이동 단말기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탑재된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의 이동 단말기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를 사용자 단말기(100 : 100_1, 100_2, ?? 100_n)라 한다.
사용자 단말기(100 : 100_1, 100_2, ?? 100_n)는 주문정보를 생성하여 배달 서비스 플랫폼(200)으로 전송한다. 이때, 특정 음식점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이 공동으로 주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배달 서비스 플랫폼(200)은 사용자 단말기(100) 및 가맹점 단말기(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면서, 각종 정보(주문정보, 배송정보 등)를 송수신한다. 배달 서비스 플랫폼(200)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주문정보를 수령하여 가맹점 단말기(300)로 전송하고, 가맹점 단말기(300)로부터 도착시간 등의 배송정보를 수령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가맹점 단말기(300)는 배달 서비스 플랫폼(200)으로부터 주문정보를 수령하고, 주문정보에 따른 상품(음식)이 배송될 때, 도착시간 등의 배송정보를 배달 서비스 플랫폼(200)으로 전송한다. 경우에 따라, 배송정보는 배달 서비스 플랫폼(200)을 거치지 않고, 직접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장치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제어부(150), 사용자 매칭부(160), 주문정보 생성부(170), 수령지정보 생성부(18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등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배달 서비스 플랫폼(200) 및/또는 가맹점 단말기(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입력부(120)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어플리케이션 장치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0)는 출력부(13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음성 입력을 수행하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장치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성된 경우, 출력부(130)는 입력부(12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어플리케이션 장치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어플리케이션 장치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5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사용자 매칭부(160), 주문정보 생성부(170), 수령지정보 생성부(180)의 동작을 각각 제어한다.
이러한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제어부(150)와 후술할 사용자 매칭부(160), 주문정보 생성부(170), 수령지정보 생성부(180)의 기능은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탑재된 단말기(이동 단말기, 데스트탑 PC 등)의 각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 매칭부(16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의 사용자 단말기(100 : 100_1, 100_2, ?? 100_n)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호스트 단말기가 될 수 있고, 나머지는 게스트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물론,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는 호스트 단말기와 게스트 단말기를 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호스트 단말기와 게스트 단말기를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호스트 단말기는 주문방을 개설한 사용자의 단말기이고, 게스트 단말기는 공동주문을 위해 호스트 단말기가 개설한 주문방에 참여한 사용자의 단말기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_1)를 호스트 단말기로, 나머지 단말기는 게스트 단말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매칭부(160)는 배달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주문방을 개설한 호스트 단말기(100_1)와, 호스트 단말기와 함께 공동으로 배달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주문방에 참여할 게스트 단말기(100_2, ?? 100_n)를 매칭한다.
사용자 매칭부(160)는 호스트 단말기의 위치와 게스트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시간 거리를 기반으로 호스트 단말기와 게스트 단말기를 매칭한다. 도 3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도 3은 사용자 매칭부에서 게스트 단말기와 호스트 단말기를 매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호스트 단말기의 사용자가 주문방을 개설한 상태에서, 게스트 단말기의 사용자가 일정 시간 거리 이내에 개설된 주문방을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사용자 단말기(100)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 장치는 지도 정보를 포함한다. 지도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장치를 운용하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게스트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도 3의 (a)와 같이, 사용자 매칭부(160)는 게스트 단말기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지도 정보로부터 게스트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한 보행로 데이터(파란색 실선으로 도시됨)를 추출한다.
그 다음, 게스트 단말기 사용자가 시간(예를 들어, 3분/5분/10분)을 설정하면, 사용자 매칭부(160)는 도 3의 (b)와 같이 해당 시간에 대응하는 거리 범위(이하, 시간 거리라 함)를 구획한다.
그 다음, 도 3의 (c)와 같이, 사용자 매칭부(160)는 구획된 시간 거리의 끝점들을 이어서 폐곡선을 형성한 후, 이를 서비스 영역으로 출력하며,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호스트 단말기를 출력하여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 매칭부(160)는 사용자 설정을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개인 정보에 따라 시간 거리가 각각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대인 남자인 경우, 도보로 1분에 100미터 이동하는 것을 상정하여 시간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50대 여자인 경우, 도보로 1분에 50미터를 이동하는 것을 상정하여 시간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개인 정보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본인의 시간 거리를 특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가 자전거나 오토바이 등의 이동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1분 시간 거리를 500미터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매칭부(160)는 통계적인 방법으로 산출된 연령대/성별 평균 시간 거리를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거리를 이용하여 서비스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간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주문방을 개설한 호스트 단말기가 표시된다. (도 3에서 "Host"로 표시) 호스트 단말기를 표시하는 아이콘과 함께 호스트 단말기가 개설한 주문방의 가게명이 함께 표시된다. 물론, 시간 거리 내에 주문방이 개설되지 않은 경우, 호스트 단말기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제1 시간 거리를 기준으로 게스트 단말기와 호스트 단말기를 매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시간 거리를 기준으로 게스트 단말기와 호스트 단말기가 매칭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6은 제3 시간 거리를 기준으로 게스트 단말기와 호스트 단말기가 매칭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의 (a)와 같이 게스트 단말기(Guest)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한 보행로 데이터(파란색 실선으로 도시됨)가 추출된 후, 도 4의 (b)와 같이 보행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간 거리 범위가 구획된 다음, 도 4의 (c)와 같이 구획된 시간 거리 범위 내에 있는 호스트 단말기(Host)와 개설한 가게명이 표시된다.
같은 방식으로, 도 5 및 도 6과 같이 시간이 증가시키면서 게스트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게스트 단말기와 호스트 단말기와 매칭된 상태가 예시된 도면이다. 도 7의 (a)는 제1 시간 거리, 도 7의 (b)는 제2 시간 거리, 도 7의 (c)는 제3 시간 거리인 경우이다. 시간 거리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해당 시간 거리 범위 내에 있는 호스트 단말기의 수가 증가하게 되면서, 게스트 단말기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지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 제3 시간 거리는, 예를 들어 3분/5분/10분일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통계적인 방법으로 산출된 1분당 연령대/성별 평균 시간 거리를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1분당 시간 거리를 이용할 수 있다.
주문정보 생성부(170)는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주문정보와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주문정보를 병합하여 공동 주문정보를 생성한다. 공동 주문정보는 호스트 단말기 사용자의 주문 음식 메뉴와 게스트 단말기 사용자의 주문 음식 메뉴와 배달비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으며, 그외 음식 주문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가정보(사이드 메뉴, 일회용 젓가락 포함 여부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한 시간 거리 내에서, 사용자 매칭부(160)에 의해 매칭되는 호스트 단말기가 없을 경우, 주문방을 개설할 수 있고, 매칭되는 호스트 단말기가 있는 경우, 해당 주문방에 참여할 수 있다.
주문정보 생성부(170)는 호스트 처리유닛(171), 게스트 처리유닛(172), 공동주문 처리유닛(173)을 포함한다.
호스트 처리유닛(171)은 호스트가 되기를 원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주문방을 개설할 수 있도록 한다. 호스트 처리유닛(171)은 주문방 개설을 위한 주문방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8은 사용자 단말기(호스트 단말기)에 표시되는 주문방 설정 인터페이스가 예시된 도면이다. 주문방 설정 인터페이스에는 주문 가게명, 최소 주문 금액, 배달비 항목이 표시되고, 호스트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게스트 수 입력필드와 대기시간 입력필드가 제공된다.
게스트 처리유닛(172)은 공동 주문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호스트가 개설한 주문방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게스트 처리유닛(172)은 공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9는 사용자 단말기(게스트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공동 주문 인터페이스가 예시된 도면이다. 공동 주문 인터페이스에는 주문 가게명, 최소 주문 금액, 배달비 항목과, 호스트에 의해 선택된 게스트 수 및 대기시간이 표시된다.
물론, 호스트 처리유닛(171)과 게스트 처리유닛(172)은, 호스트와 게스트 각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음식 메뉴 리스트가 제공된다.
공동주문 처리유닛(173)은 호스트의 주문 금액과 게스트의 주문 금액을 합산하여 최소 주문 금액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처리한다.
또한, 공동주문 처리유닛(173)은 게스트 수가 호스트가 설정한 게스트 수에 부합하는 지를 판단하여 처리한다.
또한, 공동주문 처리유닛(173)은 호스트가 설정한 대기시간 도래 여부를 판단하여, 대기시간이 도래한 경우, 호스트에게 대기시간의 연장 여부를 질의한다. 호스트가 일정 시간을 지정하여 연장을 선택한 경우, 해당 시간만큼 주문방이 유지되도록 하고, 연장하지 않은 경우, 해당 주문방을 소멸 처리한다.
또한, 공동주문 처리유닛(173)은 공동 주문이 성사된 경우, 공동 주문에 따른 배달비를 산출하여 호스트 단말기 및 게스트 단말기로 제공한다. 원칙적으로, 공동주문 처리유닛(173)은 호스트 및 게스트의 수만큼 배달비를 균분하여 처리한다. 또는, 공동주문 처리유닛(173)은 후술하는 공동 수령지의 위치에 근거하여 배달비를 자동으로 산정할 수 있다. 또는, 공동주문 처리유닛(173)은 호스트 또는 게스트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의해 배달비를 더 부담하는 경우, 부담율에 따라 배달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달비 3천원에 대해, 게스트가 더 부담하여 2천원을 부담하는 경우, 이에 따라 호스트 1천원, 게스트 2천원으로 배달비를 산출한다. 이와 같은 배달비 부담율 선택은 후술하는 공동 수령지정보 생성과 관련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주문정보 생성부(170)에 의해 공동 주문정보가 생성되면, 수령지정보 생성부(180)는 호스트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게스트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공동 수령지정보를 생성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령지정보 생성부(180)는 원칙적으로 호스트 단말기의 위치 좌표와 게스트 단말기의 위치 좌표의 기하학적 중심을 기반으로 공동 수령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기하학적 중심 좌표(A1)를 공동 수령지로 생성할 경우, 생성된 공동 수령지가 주택 내부 또는 강, 하천 등 보행이 불가능한 보행 불가능 지역일 수 있다. 또한, 생성된 공동 수령지가 보행 가능 지역인 경우라도, 특정 번지수로 결정되면, 번지수에 약한 사용자는 공동 수령지를 제시간에 찾아가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수령지정보 생성부(18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기하학적 중심 좌표와 가장 가까운 공공장소(A2)를 공동 수령지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공장소(A2)라 함은, 편의점, 공원 등 인근 지역의 불특정 다수에게 널리 알려진 장소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공동 수령지가 생성되면, 공동주문 처리유닛(173)은 공동 수령지와 호스트/게스트의 위치에 근거하여 배달비를 자동으로 산정할 수 있다. 즉, 공동주문 처리유닛(173)은 공동 수령지와의 거리를 산출하여 공동 수령지와 가까운 호스트 또는 게스트에게 배달비를 더 부담하도록 하고, 공동 수령지와 먼 호스트 또는 게스트에게 배달비를 덜 부담하도록 위치 기반으로 배달비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수령지정보 생성부(180)는 호스트 또는 게스트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설정되는 가중치가 있는 경우, 가중치에 따라 수령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또는 게스트 중 어느 하나가 배달비를 더 부담하는 경우, 더 부담하는 사용자에게 더 가깝도록 수령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주문자들이 주문한 배달 서비스에 대해 주문자들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공동의 수령지를 생성하고 공동으로 수령하도록 하여 배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사용자 단말기, 배달 서비스 플랫폼, 가맹점 단말기 등) 일 수 있다.
도 12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00_1 : 호스트 단말기 100_2 ~ 100_n : 게스트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출력부 140 : 저장부
150 : 제어부 160 : 사용자 매칭부
170 : 주문정보 생성부 171 : 호스트 처리유닛
172 : 게스트 처리유닛 173 : 공동주문 처리유닛
180 : 수령지정보 생성부
200 : 배달 서비스 플랫폼
300 : 가맹점 단말기

Claims (11)

  1. 배달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주문방을 개설한 호스트 단말기와, 상기 호스트 단말기와 함께 공동으로 배달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상기 주문방에 참여할 게스트 단말기를 매칭하는 사용자 매칭부;
    상기 호스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주문정보와 상기 게스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주문정보를 병합하여 공동 주문정보를 생성하는 주문정보 생성부; 및,
    상기 호스트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상기 게스트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공동 수령지정보를 생성하는 수령지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매칭부는 상기 호스트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상기 게스트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시간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호스트 단말기와 상기 게스트 단말기를 매칭하고,
    상기 시간 거리는 상기 게스트 단말기의 사용자 설정을 통해 입력된 개인 정보 또는 통계적인 방법으로 산출된 연령대/성별 평균 시간 거리이며,
    상기 게스트 단말기 사용자가 시간을 설정하면, 상기 사용자 매칭부는 설정된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거리를 구획한 후, 상기 구획된 시간 거리의 끝점들을 이어서 폐곡선을 형성한 후, 이를 서비스 영역으로 출력하며,
    상기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호스트 단말기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문정보 생성부는,
    상기 주문방을 개설을 위한 주문방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처리유닛과,
    상기 호스트 단말기에 의해 개설된 주문방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공동 주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게스트 처리유닛과,
    공동 주문이 성사된 경우, 공동 주문에 따른 배달비를 산출하여 상기 호스트 단말기 및 게스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공동주문 처리유닛
    을 포함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문방 설정 인터페이스는 주문 가게명, 최소 주문 금액, 배달비 항목이 표시되고, 상기 호스트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게스트 수 입력필드와 대기시간 입력필드를 제공하며,
    상기 공동 주문 인터페이스에는 주문 가게명, 최소 주문 금액, 배달비 항목과, 상기 호스트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스트 수 및 대기시간이 표시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문 처리유닛은,
    상기 호스트 단말기 사용자의 주문 금액과 상기 게스트 단말기 사용자의 주문 금액을 합산하여 상기 최소 주문 금액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처리하고,
    상기 게스트 단말기 사용자 수가 상기 호스트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한 게스트 수에 부합하는 지를 판단하여 처리하며,
    상기 호스트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한 대기시간 도래 여부를 판단하여, 대기시간이 도래한 경우, 상기 호스트 단말기 사용자에게 대기시간의 연장 여부를 질의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문 처리유닛은,
    상기 호스트 단말기 및 게스트 단말기의 수만큼 배달비를 균분하여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공동 수령지정보로부터 상기 호스트 단말기 및 게스트 단말기의 위치에 근거하여 배달비를 산출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령지정보 생성부는,
    상기 호스트 단말기 위치정보와 상기 게스트 단말기 위치정보의 기하학적 중심 좌표를 상기 공동 수령지정보로 생성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령지정보 생성부는,
    상기 호스트 단말기 위치정보와 상기 게스트 단말기 위치정보의 기하학적 중심 좌표와 가장 가까운 공공장소를 상기 공동 수령지정보로 생성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단말기 및 게스트 단말기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의해 배달비를 더 부담하는 경우, 배달비를 더 부담하는 사용자에게 더 가깝도록 상기 공동 수령지정보로 생성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11. 청구항 1,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탑재된 사용자 단말기;
    상기 공동 주문정보에 따른 상품을 제공하는 가맹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공동 주문정보를 수령하고, 상기 공동 주문정보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배달 서비스 플랫폼;
    을 포함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시스템.
KR1020210175226A 2021-12-08 2021-12-08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시스템 KR102409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226A KR102409980B1 (ko) 2021-12-08 2021-12-08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226A KR102409980B1 (ko) 2021-12-08 2021-12-08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980B1 true KR102409980B1 (ko) 2022-06-15

Family

ID=8198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226A KR102409980B1 (ko) 2021-12-08 2021-12-08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9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473A1 (ko) * 2022-09-28 2024-04-04 쿠팡 주식회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4071474A1 (ko) * 2022-09-28 2024-04-04 쿠팡 주식회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2352A (ja) * 2000-01-19 2001-07-27 Shimizu Corp 物流拠点立地計画支援システム
KR20150060658A (ko) 2015-05-21 2015-06-03 퍼펙트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35364A (ko) * 2015-09-18 2017-03-31 주식회사 디피에스윈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
KR20190048158A (ko) * 2017-10-30 2019-05-09 김태훈 주문 통합 방법 및 주문 통합 시스템
KR20200002523A (ko) * 2018-06-29 2020-01-0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약 묶음 배달 방법
KR20200084643A (ko) * 2019-01-03 2020-07-13 뉴21커뮤니티(주) 스마트 이동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상품 유통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2352A (ja) * 2000-01-19 2001-07-27 Shimizu Corp 物流拠点立地計画支援システム
KR20150060658A (ko) 2015-05-21 2015-06-03 퍼펙트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35364A (ko) * 2015-09-18 2017-03-31 주식회사 디피에스윈 음식 공동주문 시스템
KR20190048158A (ko) * 2017-10-30 2019-05-09 김태훈 주문 통합 방법 및 주문 통합 시스템
KR20200002523A (ko) * 2018-06-29 2020-01-0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약 묶음 배달 방법
KR20200084643A (ko) * 2019-01-03 2020-07-13 뉴21커뮤니티(주) 스마트 이동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상품 유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473A1 (ko) * 2022-09-28 2024-04-04 쿠팡 주식회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4071474A1 (ko) * 2022-09-28 2024-04-04 쿠팡 주식회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980B1 (ko)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시스템
US11893609B2 (en) Service experience score system
JP6411011B2 (ja) ユーザ端末装置、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70186112A1 (en) End to end user device platform
WO2020177573A1 (zh) 页面内容展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8032992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20150109859A (ko) 분할 결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10740806B2 (en) Merchant rating determination system
KR20120087287A (ko) 증강현실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
US201502353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global shopping and delivery
US20210406886A1 (en) Payment handoff system
US20180315037A1 (en) Sequential Selection Presentation
AU2023251464A1 (en) Bill splitting system
US10776836B2 (en) Merchant tip determination system
KR101786536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콘텐츠 기부 및 기부 콘텐츠 구매 방법
US8543509B1 (en) Payment system for transactions benefitting charities
US11593863B2 (en) Automatically adjusting order fulfillment due to offline ordering
KR102417571B1 (ko) 경로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경로기반 공동주문 시스템
JP6875351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21056A (ko)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그들의 제어 방법
KR20210112616A (ko) 매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JP202020190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0071817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417795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サーバ、システム、端末
JP2018169711A (ja) オーダー管理システム、オーダー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