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0658A -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0658A
KR20150060658A KR1020150071104A KR20150071104A KR20150060658A KR 20150060658 A KR20150060658 A KR 20150060658A KR 1020150071104 A KR1020150071104 A KR 1020150071104A KR 20150071104 A KR20150071104 A KR 20150071104A KR 20150060658 A KR20150060658 A KR 20150060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information
supplier
custome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동국
Original Assignee
퍼펙트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퍼펙트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퍼펙트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1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0658A/ko
Publication of KR20150060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배달 제품에 대한 다수의 공급자의 배달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한 배달 제품에 대한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 및 다수의 배달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통합 배달 관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은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 각각으로부터 공급자별 고객 명단 및 고객에 대한 배달 규칙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고객 정보 수신 단계, 메모리에 저장한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별로 해당 구역의 각 공급자별 고객 정보를 통합한 배달 지시서를 생성하는 배달 지시서 생성 단계 및 생성한 배달 지시서를 매칭되는 특정 구역의 배달원 단말로 출력하는 배달 지시서 출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INTEGRATED DELIVERY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THEROF}
배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합적 배달 관리가 가능한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우유 등의 식품 제조사는 각 지역별로 자사 제품의 가정배달을 관할하는 방문 판매 대리점을 두고 있다. 도 1은 종래 배달 제품의 대리점 조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제조사는 각 지역별로 자사 제품을 가정에 판매, 배달하는 대리점을 두고 있으며, 각 대리점은 가정에 배달을 담당하는 배달원을 구역별로 두고 있다. 이는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제품을 배달해야 하기 위함이다.
각 대리점은 배달 규모에 따라 배달원을 30~120여명을 두고 있으며, 1명의 배달원이 여러개의 지역(구역)을 배달할 수도 있다. 각 식품제조사는 자사의 대리점들이 자사의 제품만을 판매하기를 원하며 따라서 각 업체별로 지역이 중첩되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에 따라 배달 과정에서의 비용을 줄이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으며 이의 일환으로 출원인이 앞서 출원한 것과 같이 판매사원의 거래처 방문을 최적화하는 기술 등 배달 과정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각 제조사 간의 경쟁에 따라 배달 과정에 있어서 불필요한 비용과 노력이 요구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11451 (2011.02.08)
배달 제품에 대한 다수의 공급자의 배달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급자 및 배달원, 고객의 단말을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 갱신함으로써 배달 제품의 배달 과정 전반에 걸쳐 효율적 관리가 가능한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배달 제품에 대한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 및 다수의 배달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통합 배달 관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은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 각각으로부터 공급자별 고객 명단 및 고객에 대한 배달 규칙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고객 정보 수신 단계, 메모리에 저장한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별로 해당 구역의 각 공급자별 고객 정보를 통합한 배달 지시서를 생성하는 배달 지시서 생성 단계 및 생성한 배달 지시서를 매칭되는 특정 구역의 배달원 단말로 출력하는 배달 지시서 출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은 배달 정보 입력부를 통하여 배달원 정보, 배달 제품 재고 정보, 공급자 정보, 차량 정보, 보관 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달 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배달 정보 입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은 메모리에 저장된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를 기초로 각 공급자에 대한 배달 제품의 주문 내역서를 생성하는 주문 내역서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의 주문 내역서 생성 단계는 메모리에 저장된 배달 제품 재고 정보에 따라 배달 제품의 주문 내역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은 생성한 주문 내역서에 기초하여 공급자로부터 배달 제품을 수령하는 방문 순서 및 배차 계획을 포함하는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를 생성하는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은 배달 제품의 유통 과정에서 배달 제품이 보관되는 장소의 온도 데이터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여 배달 제품의 신선도 유지 여부를 검증하는 신선도 유지여부 검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의 신선도 유지여부 검증 단계는 공급자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된 식별자를 배달 제품 또는 그 운반 용기에 부착하여 공급자별 신선도 유지여부를 검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공급자에 대해 소정의 보상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은 공급자로부터 수령한 배달 제품을 보관하는 보관 장소 내의 위치 및 보관 순서를 포함하는 배달 제품 보관 지시서를 생성하는 배달 제품 보관 지시서 생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은 배달원으로부터 수신한 배달 결과와 비교하여 고객 정보에 변경 사항이 발생한 경우 공급자에게 고객 정보 수정 요청을 하고 메모리에 포함된 고객 관리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를 갱신하는 데이터베이스 갱신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은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 각각으로부터 고객별 청구금액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수신하여 특정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별로 해당 구역의 각 공급자별 수금 지시서를 생성하는 수금 지시서 생성 단계 및 생성한 수금 지시서를 매칭되는 특정 구역의 배달원 단말로 출력하고, 배달원 단말로부터 수금 정보를 수신하여 각 공급자에게 송신하는 수금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양상에 따르면, 배달 제품에 대한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 및 다수의 배달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통합 배달 관리 장치는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 각각으로부터 공급자별 고객 명단 및 고객에 대한 배달 규칙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배달원 정보, 배달 제품 재고 정보, 공급자 정보, 차량 정보, 보관 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달 정보를 입력받는 배달 정보 입력부, 고객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배달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메모리, 수신한 고객 정보와 입력받은 배달 정보를 분류하여 고객 관리 데이터베이스 또는 배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갱신부 및 저장한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별로 해당 구역의 각 공급자별 고객 정보를 통합한 배달 지시서를 생성하여 매칭되는 특정 구역의 배달원 단말로 출력하는 배달 지시서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통합 배달 관리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고객 정보에 따라 각 공급자에 대한 배달 제품의 주문 내역서를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주문 내역서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통합 배달 관리 장치의 주문 내역서 생성부는 배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배달 제품 재고 정보에 따라 배달 제품의 주문 내역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통합 배달 관리 장치는 배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공급자 정보와 차량 정보 및 생성한 주문 내역서에 기초하여 배달 제품의 공급자로부터 배달 제품을 수령하는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를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통합 배달 관리 장치는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수신한 배달 제품의 유통 과정에서 배달 제품이 보관되는 장소의 온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배달 제품의 신선도 유지 여부를 검증하는 신선도 유지여부 검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통합 배달 관리 장치의 신선도 유지여부 검증부는 공급자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온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급자별 신선도 유지여부를 검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공급자에 대해 소정의 보상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통합 배달 관리 장치는 공급자로부터 수령한 배달 제품을 보관하는 보관 장소 내의 위치 및 보관 순서를 포함하는 배달 제품 보관 지시서를 생성하는 배달 제품 보관 지시서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정보 저장/갱신부는 배달원으로부터 수신한 배달 결과와 비교하여 고객 정보에 변경 사항이 발생한 경우 공급자에게 고객 정보 수정 요청을 하고 메모리에 포함된 고객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통합 배달 관리 장치는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 각각으로부터 고객별 청구금액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수신하여 특정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별로 해당 구역의 각 공급자별 수금 지시서를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수금 지시서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는 특정 지역에 대하여 배달 제품 공급자 전체의 고객에 대한 배달 지시서를 통합하여 생성, 출력함으로써 종래 배달 시스템에 비하여 현저한 효율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
개시된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는 각 공급자를 통합하여 지역 별로 배달 관리가 가능한 배달 지시서를 생성함으로써 공급자별 별도의 배달원을 두는 것에 비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는 각 공급자에 대하여 주문 내역서 생성, 출력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배달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는 배달 제품 재고 정보에 따라 주문 내역을 조절하여 재고를 최소화하고 신선도 높은 제품의 배달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는 공급자에 대한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를 생성, 출력함으로써, 공급자로부터의 운송 과정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는 배달 제품의 운송 과정에서의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배달 제품의 신선도 유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는 배달 제품 보관 지시서를 생성하여 배달 제품의 보관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는 배달원으로부터 수신한 배달 결과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고객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고객 맞춤형 배달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배달 제품의 대리점 조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의 고객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의 배달 지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의 주문 내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의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의 수금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공급자 컴퓨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배달 관리 장치와 연결된 특정 배달 제품에 대한 제조사들의 단말 또는 각 제조사에 속한 대리점들의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배달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합 배달 관리 장치와 연결된 각 지역에 있어서 특정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의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된 N, M, X, Y, Z는 각각 임의의 수를 의미한다. 여기에 있어서 컴퓨터 또는 단말에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배달 관리 장치와 연결되고 정보 처리가 가능한 기기라면 서버, 컴퓨터, 스마트폰, PDA 기타 어느 것이든 해당될 수 있다.
각 공급자들은 지역 별로 각각 자신들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 통합 배달 관리 장치에서는 각 공급자들로부터 고객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고 각 지역별 특정 구역에 있는 고객에 대하여 각 공급자들의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를 통합하여 배달지시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통합 배달 관리 장치는 해당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 단말에 배달 지시서를 송신할 수 있다. 각 공급자를 통합하여 지역 별로 배달 관리가 가능한 배달 지시서를 생성함으로써 공급자별 별도의 배달원을 두는 것에 비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배달원은 배달원 단말을 통하여 배달 지시서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배달 제품을 수령 및 고객에게 배달할 수 있다. 제품의 배달에 있어서 고객 정보 또는 배달 정보에 변경 사항이 발생한 경우, 배달원이 배달원 단말을 통해 이를 입력, 전송하면 통합 배달 관리 장치는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배달 관리 장치는 변경 사항에 해당되는 공급자 컴퓨터로 고객 정보 수정을 요청하고, 변경 사항이 맞는지 확인한 후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배달 내용에 변경이 있는 경우 바로 대응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배달 제품에 대한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300) 및 다수의 배달원 단말(40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통합 배달 관리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은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 각각으로부터 공급자별 고객 명단 및 고객에 대한 배달 규칙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고객 정보 수신 단계(110), 메모리에 저장한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별로 해당 구역의 각 공급자별 고객 정보를 통합한 배달 지시서를 생성하는 배달 지시서 생성 단계(130) 및 생성한 배달 지시서를 매칭되는 특정 구역의 배달원 단말로 출력하는 배달 지시서 출력 단계(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 정보 수신 단계(110)에서는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300) 각각으로부터 공급자별 고객 명단 및 고객에 대한 배달 규칙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공급자는 특정 배달 제품에 대한 제조사 또는 제조사에 속한 대리점을 의미할 수 있다. 고객은 공급자로부터 특정 배달 제품을 정기적으로 배달받고 대가를 지불하는 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유 기타 유제품과 같은 배달 제품에 대한 제조사 및 그 대리점이 공급자가 되고, 유제품을 정기적으로 배달시켜 먹는 자가 고객이 될 수 있다.
고객에 대한 배달 규칙이라 함은 특정 고객에 대하여 배달 제품을 배달하는 구체적인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의 고객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고객 정보는 각 공급자의 고객에 대하여 고객의 주소, 요일별 배달 여부, 배달 목적이 되는 제품의 종류, 수량, 기타 배달에 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자는 고객과 맺은 배달 제품의 구매 계약을 기초로 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객 정보를 공급자 컴퓨터에 입력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배달 관리 장치는 이를 수신하고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고객 정보는 각 공급자별로 수신되므로 메모리에는 이를 특정 고객에 대한 정보로 통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고객(김진수)이 3개의 공급자(남양, 서울, 매일)로부터 배달 제품을 배달시키는 경우, 각 제조사인 3개의 공급자들은 자신들의 고객에 대한 고객 정보를 각각 송신하게 된다. 이 경우 통합 배달 관리 장치는 특정 고객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고 동일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각 공급자로부터 수신한 고객 정보를 해당 고객의 고객 정보로서 통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배달 지시서 생성 단계(130)에서는 메모리에 저장한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별로 해당 구역의 각 공급자별 고객 정보를 통합한 배달 지시서를 생성할 수 있다. 배달 정보라 함은 제품의 배달에 필요한 정보를 말하며 배달원 정보, 배달 제품 재고 정보, 공급자 정보, 차량 정보, 보관 장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달 정보는 준비된 상황에 따라 메모리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배달 지시서는 특정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 각각에 대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의 배달 지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달 지시서는 특정 구역의 고객들에 대해서 공급자를 통합하여 배달될 제품을 표시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해당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이 이를 기초로 배달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인력의 중복 배치를 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배달 지시서는 배달원이 담당하는 해당 구역의 고객들에 대한 배달 정보가 공급자와 관계없이 배달하는 순서 기준으로 생성될 수 있다. 배달지시서는 배달의 소포장 단위인 팩에 따라 구분된 내용으로 생성되어 배달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 1개 통로에 대하여 소포장 단위로 표시한 배달 지시서를 생성하는 경우 배달원이 이를 참조하여 해당 아파트 통로의 제품만 소포장하여 배달 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배달 지시서에는 해당 배달원이 배달하는 전체 제품의 합계가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배달원은 제품 수령 시 물량 검수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배달 지시서에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여 이를 생성할 수 있다. 고객의 상태에 따라서 배달명단을 다르게 표시하여, 배달 착오가 없도록 한다. 예를 들어, 순서에 X자를 표시(고객명 김기숙)하여 이에 해당되는 고객은 오늘 배달이 중단된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고객명에 진한 테두리를 표시(고객명 홍미선)하여 신규 고객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계속해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배달 조건에 특이사항을 표시하여 고객 맞춤형의 배달이 가능할 수 있다.
배달 지시서 출력 단계(140)에서는 생성한 배달 지시서를 매칭되는 특정 구역의 배달원 단말로 출력할 수 있다. 통합 배달 관리 장치와 배달원의 단말은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되어 있어 생성된 배달 지시서를 해당 배달원에게 송신할 수 있다. 배달 지시서는 특정 구역별 배달원별로 생성되므로 배달 지시서와 매칭되는 해당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의 단말로 배달 지시서를 출력할 수 있다. 배달원은 배달원 단말을 통하여 배달 지시서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제품의 수령 및 배달을 수행하게 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고객 정보 수신 단계(110)에서는 공급자 컴퓨터(300)으로부터 고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도 3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배달 정보 입력단계(120)는 배달원 정보, 배달 제품 재고 정보, 공급자 정보, 차량 정보, 보관 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달 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통합 배달 관리 장치(200)는 통합 배달 관리 장치(200)의 관리자로부터 배달과 관련하여 준비된 상황에 따른 배달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배달 정보는 고객 정보 수신과 관계없이 미리 입력받을 수 있으며, 배달 정보에 변경 사항이 생기는 경우 언제든지 배달 정보의 갱신이 가능할 수 있다.
통합 배달 관리 장치(200)는 수신한 고객 정보와 입력받은 배달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고객 정보는 고객 관리 DB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고객별로 공급자가 송신한 고객 정보를 통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배달 정보는 배달 정보 DB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정보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배달 정보 DB는 각 배달 정보의 종류에 따른 DB들로 구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주문 내역서 생성 단계(150)는 메모리에 저장된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를 기초로 각 공급자에 대한 배달 제품의 주문 내역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의 주문 내역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주문 내역서는 공급자에 대하여 배달 제품을 주문하기 위해 생성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고객 정보를 기초로 하여 공급자에 대하여 배달을 위해 준비해야 할 물량을 알려주기 위함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 내역서에는 제조사 또는 제조사의 대리점에 대하여 해당 공급자가 준비해야 할 제품 및 그 수량을 표시할 수 있다. 통합 배달 관리 장치(200)는 주문 내역서를 생성한 후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급자 컴퓨터(300)에 송신할 수 있다. 공급자는 공급자 컴퓨터(300)를 통하여 주문 내역서를 확인하고 그에 해당하는 배달 제품을 준비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주문 내역서 생성 단계(150)는 메모리에 저장된 배달 제품 재고 정보에 따라 배달 제품의 주문 내역을 조절할 수 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배달 제품의 재고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읽어 공급자에게 주문하여야하는 배달 제품의 물량에서 재고물량을 제외하고 주문 내역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배달 물품을 낭비 없이 빠르게 배달함으로써 배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 생성 단계(160)에서는 생성한 주문 내역서에 기초하여 공급자로부터 배달 제품을 수령하는 방문 순서 및 배차 계획을 포함하는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장치의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는 공급자로부터 주문 내역서에 따른 배달 제품을 수령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는 배달 제품 수령을 위한 차량 정보, 운전 기사, 운행 시간, 공급자에 반납할 물품 및 최적의 방문 코스에 대한 정보 등 배달 제품의 수령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자에 반납할 물품은 배달 제품의 운반 용기 또는 반품된 배달 제품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최적의 방문 코스는 배달 제품을 수령하기 위해 들려야할 공급자의 위치를 운행 시간 및 운행 거리를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으로 구성한 운행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신선도 유지여부 검증 단계(170)에서는 배달 제품의 유통 과정에서 배달 제품이 보관되는 장소의 온도 데이터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여 배달 제품의 신선도 유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각 공급자로부터 통합 배달 관리 업체의 물류센터로 배송하는 싯점과 물류센터에 보관하고 있을 때, 물류센터에서 각 배달원에 제품을 분류할 때, 물류센터에서 제품을 각 배달원에 배송할 때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어, 10분 간격)으로 온도를 기록하여, 제품의 신선도 유지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합 배달 관리 장치(200)는 각 공급자에게 수신한 온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은 통합 배달 관리 장치(200) 또는 공급자 컴퓨터(300)에 접속하여 온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신선도 유지여부 검증 단계(170)는 공급자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된 식별자를 배달 제품 또는 그 운반 용기에 부착하여 공급자별 신선도 유지여부를 검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공급자에 대해 소정의 보상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공급자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된 식별자는 RFID, 바코드와 같이 공급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면 족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다.
배달 제품 또는 운반 용기에 식별자를 부착하여 공급자별 배달 제품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의 공급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조사 또는 동일 제조사의 대리점들을 의미할 수 있다. 각 공급자별 배달 제품에 대한 온도 데이터에 따라 공급자별로 신선도 유지 정도를 검증할 수 있다. 신선도 유지 정도가 미리 정해진 일정 기준을 만족하는 공급자에 대해서는 소정의 보상 이벤트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대리점에 대한 표창 및 광고, 비용적 측면에서의 우대를 부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배달 제품의 신선도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배달 제품 보관 지시서 생성단계(180)에서는 공급자로부터 수령한 배달 제품을 보관하는 보관 장소 내의 위치 및 보관 순서를 포함하는 배달 제품 보관 지시서를 생성할 수 있다. 배달 제품 보관 지시서는 공급자로부터 수령한 배달 제품을 배달원들이 수령하기 전까지 보관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공급자로부터 수령한 배달 제품을 각 공급자별로 섞이지 않게 하역 작업이 원활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통합 배달 관리 장치(200)는 보관 장소 내의 위치 및 보관 순서 등을 감안하여 하역 위치를 선정해주고, 이에 따라 배달 제품을 수령한 자는 선정된 위치로 수령한 배달 제품을 적재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 갱신 단계(190)는 배달원으로부터 수신한 배달 결과와 비교하여 고객 정보에 변경 사항이 발생한 경우 공급자에게 고객 정보 수정 요청을 하고 메모리에 포함된 고객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배달원 단말(400)로부터 배달 지시서와 다른 변경 사항을 포함하는 배달 결과를 수신한 경우 통합 배달 관리 장치(200)는 변경 사항이 발생한 공급자의 공급자 컴퓨터(300)로 고객 정보의 수정 요청을 할 수 있다. 통합 배달 관리 장치(200)는 해당 공급자 컴퓨터(300)에서 수정된 고객 정보를 수신하고, 변경 사항이 맞는지 확인한 후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의 수금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통합 배달 관리 방법은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 각각으로부터 고객별 청구금액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수신하여 특정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별로 해당 구역의 각 공급자별 수금 지시서를 생성하는 수금 지시서 생성단계(191) 및 생성한 수금 지시서를 매칭되는 특정 구역의 배달원 단말로 출력하고, 배달원 단말로부터 수금 정보를 수신하여 각 공급자에게 송신하는 수금 관리 단계(1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금 지시서 생성단계(191)에서는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300) 각각으로부터 고객별 청구금액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수신하여 특정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별로 해당 구역의 각 공급자별 수금 지시서를 생성할 수 있다. 고객별 청구금액은 현재까지의 미수금 및 당월 배달에 대한 대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각 배달원이 직접 수금하는 경우를 전제로 하는 경우, 자동이체 등 온라인 상에서 대금을 납부하는 고객은 제외하고 수금 지시서를 생성할 수 있다.
수금 관리 단계(193)에서는 생성한 수금 지시서를 매칭되는 특정 구역의 배달원 단말(400)로 출력하고, 배달원 단말(400)로부터 수금 정보를 수신하여 각 공급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수금 지시서가 송신되면 배달원은 단말을 통하여 이를 확인하고 해당 고객에게 대금을 받고 단말을 통해 영수증을 출력하여 줄 수 있다. 배달원이 수금을 한 후 수금 정보를 송신하면, 통합 배달 관리 장치(200)는 이를 수신하고 공급자별로 취합하여 해당 공급자 컴퓨터(300)에 수금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이를 기초로 공급자는 수금 관리에 대한 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도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배달 제품에 대한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 및 다수의 배달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통합 배달 관리 장치(200)는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 각각으로부터 공급자별 고객 명단 및 고객에 대한 배달 규칙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210), 배달원 정보, 배달 제품 재고 정보, 공급자 정보, 차량 정보, 보관 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달 정보를 입력받는 배달 정보 입력부(220), 고객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배달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메모리(240), 수신한 고객 정보와 입력받은 배달 정보를 분류하여 고객 관리 데이터베이스 또는 배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갱신부(230) 및 저장한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별로 해당 구역의 각 공급자별 고객 정보를 통합한 배달 지시서를 생성하여 매칭되는 특정 구역의 배달원 단말로 출력하는 배달 지시서 생성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300) 각각으로부터 공급자별 고객 명단 및 고객에 대한 배달 규칙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급자 컴퓨터(300) 및 배달원 단말(400)과 연결된다. 공급자 컴퓨터(300)로부터 공급자별 고객 명단 및 고객에 대한 배달 규칙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배달 정보 입력부(220)는 배달원 정보, 배달 제품 재고 정보, 공급자 정보, 차량 정보, 보관 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달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통합 배달 관리 장치(200)의 관리자로부터 배달 정보 입력부(220)를 통하여 배달과 관련하여 준비된 상황에 따른 배달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배달 정보는 고객 정보 수신과 관계없이 미리 입력받을 수 있으며, 배달 정보에 변경 사항이 생기는 경우 언제든지 배달 정보의 갱신을 위해 배달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정보 저장/갱신부(230)는 수신한 고객 정보와 입력받은 배달 정보를 분류하여 메모리(240)에 포함된 고객 관리 DB(241) 또는 배달 정보 DB(242)에 저장할 수 있다. 고객 정보는 고객 관리 DB(241)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고객별로 공급자가 송신한 고객 정보를 통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배달 정보는 배달 정보 DB(242)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정보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배달 정보 DB는 각 배달 정보의 종류에 따른 DB들로 구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변경 사항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거나 수신된 경우 정보 저장/갱신부(230)는 해당 DB내의 위치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배달 지시서 생성부(250)는 저장한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별로 해당 구역의 각 공급자별 고객 정보를 통합한 배달 지시서를 생성하여 매칭되는 특정 구역의 배달원 단말(400)로 출력할 수 있다. 배달 지시서는 특정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 각각에 대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배달 지시서는 특정 구역의 고객들에 대해서 공급자를 통합하여 배달될 제품을 표시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해당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이 이를 기초로 배달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인력의 중복 배치를 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배달 지시서는 배달원이 담당하는 해당 구역의 고객들에 대한 배달 정보가 공급자와 관계없이 배달하는 순서 기준으로 생성될 수 있다. 배달지시서는 배달의 소포장 단위인 팩에 따라 구분된 내용으로 생성되어 배달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 1개 통로에 대하여 소포장 단위로 표시한 배달 지시서를 생성하는 경우 배달원이 이를 참조하여 해당 아파트 통로의 제품만 소포장하여 배달 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배달 지시서에는 해당 배달원이 배달하는 전체 제품의 합계가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배달원은 제품 수령 시 물량 검수의 편의를 도보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배달 지시서에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여 이를 생성할 수 있다. 고객의 상태에 따라서 배달명단을 다르게 표시하여, 배달 착오가 없도록 한다.
배달 지시서 생성부(250)에서 생성한 배달 지시서는 통신부(210)를 통하여 매칭되는 특정 구역의 배달원 단말(400)로 출력될 수 있다. 통신부(210)와 배달원의 단말(400)은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되어 있어 생성된 배달 지시서를 해당 배달원에게 송신할 수 있다. 배달 지시서는 특정 구역별 배달원별로 생성되므로 배달 지시서와 매칭되는 해당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의 단말(400)로 배달 지시서를 출력할 수 있다. 배달원은 배달원 단말(400)을 통하여 배달 지시서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제품의 수령 및 배달을 수행하게 된다.
도 11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배달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앞서 도 10를 통해 설명하였던 통신부(210), 배달 정보 입력부(220), 정보 저장/갱신부(230), 메모리(240), 배달 지시서 생성부(250)는 이 경우에도 동일한 동작을 하는 바,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통합 배달 관리 장치(200)의 주문 내역서 생성부(26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고객 정보에 따라 각 공급자에 대한 배달 제품의 주문 내역서를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주문 내역서는 공급자에 대하여 배달 제품을 주문하기 위해 생성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고객 정보를 기초로 하여 공급자에 대하여 배달을 위해 준비해야 할 물량을 알려주기 위함이다.
주문 내역서에는 제조사 또는 제조사의 대리점에 대하여 해당 공급자가 준비해야 할 제품 및 그 수량을 표시할 수 있다. 주문 내역서 생성부(260)는 주문 내역서를 생성한 후 통신부(210)를 통하여 공급자 컴퓨터(300)에 송신할 수 있다. 공급자는 공급자 컴퓨터(300)를 통하여 주문 내역서를 확인하고 그에 해당하는 배달 제품을 준비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주문 내역서 생성부(26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배달 제품 재고 정보에 따라 배달 제품의 주문 내역을 조절할 수 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배달 제품의 재고 정보를 메모리(240)로부터 읽어 공급자에게 주문하여야하는 배달 제품의 물량에서 재고물량을 제외하고 주문 내역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배달 물품을 낭비 없이 빠르게 배달함으로써 배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 생성부(270)는 배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공급자 정보와 차량 정보 및 생성한 주문 내역서에 기초하여 배달 제품의 공급자로부터 배달 제품을 수령하는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를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는 공급자로부터 주문 내역서에 따른 배달 제품을 수령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는 배달 제품 수령을 위한 차량 정보, 운전 기사, 운행 시간, 공급자에 반납할 물품 및 최적의 방문 코스에 대한 정보 등 배달 제품의 수령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자에 반납할 물품은 배달 제품의 운반 용기 또는 반품된 배달 제품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최적의 방문 코스는 배달 제품을 수령하기 위해 들려야할 공급자의 위치를 운행 시간 및 운행 거리를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으로 구성한 운행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신선도 유지여부 검증부(280)는 통신부(210)를 통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수신한 배달 제품의 유통 과정에서 배달 제품이 보관되는 장소의 온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배달 제품의 신선도 유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각 공급자로부터 통합 배달 관리 업체의 물류센터로 배송하는 싯점과 물류센터에 보관하고 있을 때, 물류센터에서 각 배달원에 제품을 분류할 때, 물류센터에서 제품을 각 배달원에 배송할 때 온도를 기록(예, 10분 간격)하여, 제품의 신선도 유지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각 공급자에게 수신한 온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은 통합 배달 관리 장치(200) 또는 공급자 컴퓨터(300)에 접속하여 온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신선도 유지여부 검증부(280)는 공급자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온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급자별 신선도 유지여부를 검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공급자에 대해 소정의 보상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공급자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된 식별자는 RFID, 바코드와 같이 공급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면 족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다.
배달 제품 또는 운반 용기에 식별자를 부착하여 공급자별 배달 제품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의 공급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조사 또는 동일 제조사의 대리점들을 의미할 수 있다. 각 공급자별 배달 제품에 대한 온도 데이터에 따라 공급자별로 신선도 유지 정도를 검증할 수 있다. 신선도 유지 정도가 미리 정해진 일정 기준을 만족하는 공급자에 대해서는 소정의 보상 이벤트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대리점에 대한 표창 및 광고, 비용적 측면에서의 우대를 부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배달 제품의 신선도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배달 제품 보관 지시서 생성부(290)는 공급자로부터 수령한 배달 제품을 보관하는 보관 장소 내의 위치 및 보관 순서를 포함하는 배달 제품 보관 지시서를 생성할 수 있다. 배달 제품 보관 지시서는 공급자로부터 수령한 배달 제품을 배달원들이 수령하기 전까지 보관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공급자로부터 수령한 배달 제품을 각 공급자별로 섞이지 않게 하역 작업이 원활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배달 제품 보관 지시서 생성부(290)는 보관 장소 내의 위치 및 보관 순서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배달 제품의 수령인은 선정된 위치 및 순서에 따라 수령한 배달 제품을 적재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정보 저장/갱신부(230)는 배달원으로부터 수신한 배달 결과와 비교하여 고객 정보에 변경 사항이 발생한 경우 공급자에게 고객 정보 수정 요청을 하고 메모리에 포함된 고객 관리 DB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배달원 단말(400)로부터 배달 지시서와 다른 변경 사항을 포함하는 배달 결과를 수신한 경우 정보 저장/갱신부(230)는 변경 사항이 발생한 공급자의 공급자 컴퓨터(300)로 고객 정보의 수정 요청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공급자 컴퓨터(300)에서 수정된 고객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정보 저장/갱신부(230)는 변경 사항이 맞는지 확인한 후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수금 지시서 생성부(295)는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300) 각각으로부터 고객별 청구금액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수신하여 특정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별로 해당 구역의 각 공급자별 수금 지시서를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고객별 청구금액은 현재까지의 미수금 및 당월 배달에 대한 대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각 배달원이 직접 수금하는 경우를 전제로 하는 경우, 자동이체 등 온라인 상에서 대금을 납부하는 고객은 제외하고 수금 지시서를 생성할 수 있다.
수금 지시서 생성부(295)는 생성한 수금 지시서를 매칭되는 특정 구역의 배달원 단말(400)로 출력하고, 배달원 단말(400)로부터 수금 정보를 수신하여 각 공급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수금 지시서가 송신되면 배달원은 단말을 통하여 이를 확인하고 해당 고객에게 대금을 받고 단말을 통해 영수증을 출력하여 줄 수 있다. 배달원이 수금을 한 후 수금 정보를 송신하면, 통합 배달 관리 장치(200)는 이를 수신하고 공급자별로 취합하여 해당 공급자 컴퓨터(300)에 수금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이를 기초로 공급자는 수금 관리에 대한 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배달 관리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200: 통합 배달 관리 장치 210: 통신부
220: 배달 정보 입력부 230: 정보 저장/갱신부
240: 메모리 241: 고객 관리 DB
242: 배달 정보 DB 250: 배달 지시서 생성부
260: 주문 내역서 생성부 270: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 생성부
280: 신선도 유지 검증부 290: 배달 제품 보관 지시서 생성부
295: 수금 지시서 생성부 300: 공급자 컴퓨터
400: 배달원 단말

Claims (2)

  1. 배달 제품에 대한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 및 다수의 배달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통합 배달 관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통합 배달 관리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 각각으로부터 공급자별 고객 명단 및 고객에 대한 배달 규칙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고객 정보 수신 단계;
    메모리에 저장한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별로 해당 구역의 각 공급자별 고객 정보를 통합하되, 각 공급자 마다의 배달 순서와 상관없이 공급자들 전체에 대해 재배정된 배달 순서를 포함하고, 고객의 상태에 따라 배달 명단이 상이하게 표시된 배달 지시서를 생성하는 배달 지시서 생성 단계;
    생성한 배달 지시서를 매칭되는 특정 구역의 배달원 단말로 출력하는 배달 지시서 출력 단계; 및
    배달 제품을 수령하기 위해 들려야 할 공급자들의 위치를 운행 시간 및 운행 거리를 고려하여 구성한 방문 코스가 기록된 방문 순서를 포함하는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원 단말로 출력하는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배달 관리 방법.
  2. 배달 제품에 대한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 및 다수의 배달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통합 배달 관리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공급자 컴퓨터 각각으로부터 공급자별 고객 명단 및 고객에 대한 배달 규칙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배달원 정보, 배달 제품 재고 정보, 공급자 정보, 차량 정보, 보관 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달 정보를 입력받는 배달 정보 입력부;
    고객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배달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메모리;
    수신한 고객 정보와 입력받은 배달 정보를 분류하여 고객 관리 데이터베이스 또는 배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갱신부;
    저장한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구역을 담당하는 배달원별로 해당 구역의 각 공급자별 고객 정보를 통합하되, 각 공급자 마다의 배달 순서와 상관없이 공급자들 전체에 대해 재배정된 배달 순서를 포함하고, 고객의 상태에 따라 배달 명단이 상이하게 표시된 배달 지시서를 생성하여 매칭되는 특정 구역의 배달원 단말로 출력하는 배달 지시서 생성부; 및
    배달 제품을 수령하기 위해 들려야 할 공급자들의 위치를 운행 시간 및 운행 거리를 고려하여 구성한 방문 코스가 기록된 방문 순서를 포함하는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를 생성하여 상기 배달원 단말로 출력하는 배달 제품 수령 지시서 생성부;
    를 포함하는 통합 배달 관리 장치.
KR1020150071104A 2015-05-21 2015-05-21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60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104A KR20150060658A (ko) 2015-05-21 2015-05-21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104A KR20150060658A (ko) 2015-05-21 2015-05-21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2261A Division KR20150007789A (ko) 2013-07-12 2013-07-12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658A true KR20150060658A (ko) 2015-06-03

Family

ID=53505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104A KR20150060658A (ko) 2015-05-21 2015-05-21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065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9069A (zh) * 2018-11-19 2019-03-22 金华市剑通网络服务有限公司 基于o2o外卖平台的派单方法及服务器
KR102409980B1 (ko) 2021-12-08 2022-06-1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시스템
WO2022139129A1 (ko) *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크라우드소싱 라이더에 배송 오더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무선 단말
KR102417571B1 (ko) 2021-12-08 2022-07-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로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경로기반 공동주문 시스템
KR20240033484A (ko) 2022-09-05 2024-03-12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단건 배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9069A (zh) * 2018-11-19 2019-03-22 金华市剑通网络服务有限公司 基于o2o外卖平台的派单方法及服务器
CN109509069B (zh) * 2018-11-19 2020-10-02 金华市剑通网络服务有限公司 基于o2o外卖平台的派单方法及服务器
WO2022139129A1 (ko) *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크라우드소싱 라이더에 배송 오더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무선 단말
KR102409980B1 (ko) 2021-12-08 2022-06-1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리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거리기반 공동주문 시스템
KR102417571B1 (ko) 2021-12-08 2022-07-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로기반 공동주문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경로기반 공동주문 시스템
KR20240033484A (ko) 2022-09-05 2024-03-12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단건 배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23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turning one or more items via an attended delivery/pickup location
KR102472931B1 (ko) 자동 패키지 추적 및 우선순위 재주문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301354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delivery and return of goods
US200601495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ustomized processing of returned merchandise
KR20150060658A (ko)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US20160364681A1 (en) Inventory system and method
KR101045587B1 (ko) 상품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고 관리 방법
KR20090003488A (ko) 물류정보 시스템
KR102293867B1 (ko) 분할 배송들을 단일 고객에게 자동으로 병합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JP3978991B2 (ja) 受発注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KR102350925B1 (ko) 인바운드 제품의 지능적인 분배를 통해 제품 인벤토리를 최적화하는 컴퓨터-구현 시스템 및 방법
JP2004051374A (ja) シームレス商品物流情報システム
KR20170101709A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도시락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09590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服务器及信息处理系统
KR20150007789A (ko) 통합 배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US201002231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ale of product based on time cost
KR102524919B1 (ko) 보장된 배달 시간 선택의 표시 및 결정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 및 방법
JP2004196550A (ja) 物流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物流情報記録媒体
KR102365136B1 (ko) 사이클 및 안전 재고 결정 시스템
JP6942877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041869A (ja) 輸送業務取引代行サーバ及びそれを用いた輸送業務取引システム及び輸送業務取引方法並びに輸送業務取引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6726728B2 (ja) 移送経路設定装置、移送経路設定方法、及び移送経路設定プログラム
KR102173368B1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도시락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78077B1 (ko) 단말기 보관함 및 단말기 보관함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합 판매관리 방법
TW202314610A (zh) 物項訂購管理之電腦化系統以及電腦實施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