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374B1 - 웜소재 본딩 의류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의류 - Google Patents

웜소재 본딩 의류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374B1
KR102409374B1 KR1020220011416A KR20220011416A KR102409374B1 KR 102409374 B1 KR102409374 B1 KR 102409374B1 KR 1020220011416 A KR1020220011416 A KR 1020220011416A KR 20220011416 A KR20220011416 A KR 20220011416A KR 102409374 B1 KR102409374 B1 KR 102409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outer fabric
adhesive
raised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진우
Original Assignee
윤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진우 filed Critical 윤진우
Priority to KR1020220011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25Elongated tubular articles of small diameter, e.g. coverings or reinforcements for cables or h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웜소재 본딩 의류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의류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로 반복적인 루프를 형성하여 원통모양의 편성물을 편성한 후 상기 편성물을 절개하여 판형이 되도록 하여 외부원단을 준비하는 1공정; 상기 외부원단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2공정; 미세한 기모가 형성된 기모원단을 준비하는 3공정; 상기 2공정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외부원단을 판형 지지대에 펼쳐서 고정수단으로 고정한 후 상기 3공정에서 준비된 기모원단을 외부원단에 중첩되게 밀착시켜 접착되도록 하는 4공정; 상기 4공정에서 수득된 기모원단이 접착된 외부원단을 가열건조기에 넣고 가열 건조시켜 접착력이 안정화되도록 하는 5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웜소재 본딩 의류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의류{Method of manufacturing warm material bonding clothing and clothing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얇은 니트류의 옷에 기모원단을 결합하여 보온성을 높이도록 하는 웜소재 본딩 의류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의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복은 주기적인 계절변화에 따른 기후조건의 변화에 따라 기온의 차가 발생되거나 또는 여러 장소에서 개인의 연출을 위한 목적으로 많이 착용되어 왔다.
스웨터나 니트 등과 같이 몸통부위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의는 보온성을 갖도록 제작되어 착용되어 왔다.
그렇지만 겨울철 보온성을 위해 니트만 입기에는 부족하므로 그위에 방한성의 의류를 겹쳐 입어야 한다.
한편 겨울철 의류 원단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는 것으로 기모가 있다. 기모는 플리스라고도 불리며 원단에 털처럼 붙어 있으며 몸을 따뜻하게 보온해주는 원단이다.
기모는 섬유의 표면을 긁어서 보풀이 일게 하여 천의 보온력과 부드러움을 증가시켜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모 원단의 종류는 피치(PEACH) 기모, 핀(PIN) 기모, CBB(Carbon blister brush) 기모가 있다.
피치 기모는 사포 및 샌드페이퍼를 이용하여 원단 표면을 마찰시켜 마치 기모를 복숭아털처럼 일으킨다고 하여 PEACH(복숭아) 기모라고 불린다. 피치 기모는 기모가 미세하여 레깅스와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핀 기모는 침포(쇠로 된 빗)를 활용하여 원단간 LOOP(서로를 이어주는 고리)를 끊어 털을 세우는 방법으로 보통 플리스 같이 털이 길게 나오게 한 것이다.
CBB 기모는 핀 기모처럼 침포를 이용하되 탄소섬유(카본)이라고 불리는 더욱 세밀한 침포를 활용하여 곱게 기모를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니트는 얇은 두께로 인해 기모를 형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고, 이로인해 니트의 보온성을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5-0137525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니트와 같은 비교적 얇은 두께의 옷에 기모를 형성함으로써 보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추운 날씨에 옷을 겹쳐 있지 않아도 충분한 보온이 가능하도록 하여 아웃도어활동을 보다 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웜소재 본딩 의류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의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로 반복적인 루프를 형성하여 원통모양의 편성물을 편성한 후 상기 편성물을 절개하여 판형이 되도록 하여 외부원단을 준비하는 1공정; 상기 외부원단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2공정; 미세한 기모가 형성된 기모원단을 준비하는 3공정; 상기 2공정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외부원단을 판형 지지대에 펼쳐서 고정수단으로 고정한 후 상기 3공정에서 준비된 기모원단을 외부원단에 중첩되게 밀착시켜 접착되도록 하는 4공정; 상기 4공정에서 수득된 기모원단이 접착된 외부원단을 가열건조기에 넣고 가열 건조시켜 접착력이 안정화되도록 하는 5공정;을 포함하는 웜소재 본딩 의류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3공정의 기모원단을 준비하는 공정은, 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을 유기 용매에 용해하여 얻은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직경 1㎛ 미만의 단섬유가 포집된 섬유 웹을 형성하는 3-1공정; 상기 3-1공정에서 얻어진 섬유 웹의 표면을 기모 가공하여 표면에 1~2mm 길이로 섬유가 되도록 기모를 형성하는 3-2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공정은 외부원단의 일면에 접착제를 스프레이어로 분사하여 도포시키는 2-1공정; 상기 2-1공정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외부원단을 상,하부 롤러로 이루어진 가압기에 통과시켜 도포 두께를 일정하게 하고, 상부 롤러에 도포된 안정액이 접착제에 도포되도록 하는 2-2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1공정의 접착제는,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디메틸세바케이트, 1,4-부탄디올을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2-2공정의 안정액은, 산화티탄, 이산화티탄, 인산아파타이트, 질화아파타이트 중 택일되는 광촉매제와, 파라벤젠계 산화방지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공정의 판형 지지대는 내부에 열선이 배열되어 상면이 30~40℃로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판형 지지대의 상면에 밀착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를 협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고정수단을 인장기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시켜 외부원단이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공정의 외부원단에는 사용자의 손이 출입 가능한 제1 슬릿과, 제2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릿과 연통되도록 상기 외부원단의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원단이 절첩되어 수납되도록 구성되는 제1 포켓; 및 상기 제2 슬릿과 연통되도록 상기 외부원단의 내면에 결합되는 제2 포켓;을 포함한다.
상기 5공정의 기모원단은 절첩을 가이드하기 위한 격자 구조의 절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첩부는,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절첩선; 및 상기 제2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절첩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니트와 같은 비교적 얇은 두께의 옷에 기모를 형성함으로써 보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추운 날씨에 옷을 겹쳐 있지 않아도 충분한 보온이 가능하도록 하여 아웃도어활동을 보다 편하게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웜소재 본딩 의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웜소재 본딩 의류의 제조 공정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웜소재 본딩 의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포켓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포켓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포켓과 제2 포켓이 배치된 의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모원단이 외부원단에 결합된 의류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상기 도 7에 대한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웜소재 본딩 의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웜소재 본딩 의류의 제조 공정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웜소재 본딩 의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포켓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포켓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포켓과 제2 포켓이 배치된 의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모원단이 외부원단에 결합된 의류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상기 도 7에 대한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웜소재 본딩 의류의 제조방법은,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로 반복적인 루프를 형성하여 원통모양의 편성물을 편성한 후 상기 편성물을 절개하여 판형이 되도록 하여 외부원단(100)을 준비하는 1공정(S1);
상기 외부원단(100)의 일면에 접착제(120)를 도포하는 2공정(S2);
미세한 기모가 형성된 기모원단(200)을 준비하는 3공정(S3);
상기 2공정(S2)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외부원단(100)을 판형 지지대(300)에 펼쳐서 고정수단(340)으로 고정한 후 상기 3공정(S3)에서 준비된 기모원단(200)을 외부원단(100)에 중첩되게 밀착시켜 접착되도록 하는 4공정(S4);
상기 4공정(S4)에서 수득된 기모원단(200)이 접착된 외부원단(100)을 가열건조기에 넣고 가열 건조시켜 접착력이 안정화되도록 하는 5공정(S5);을 포함한다.
상기 2공정(S2)은 외부원단(100)의 일면에 접착제를 스프레이어로 분사하여 도포시키는 2-1공정(S2-1); 상기 2-1공정(S2-1)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외부원단(100)을 상,하부 롤러로 이루어진 가압기에 통과시켜 도포 두께를 일정하게 하고, 상부 롤러에 도포된 안정액이 접착제에 도포되도록 하는 2-2공정(S2-2);을 포함한다.
상기 2-1공정(S2-1)의 접착제는,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디메틸세바케이트, 1,4-부탄디올을 용기에 넣고 혼합한 후 2~3시간동안 150~220℃로 가열한 다음 2시간 가량 온도를 유지하여 중합시켜 제조된다.
이에 따른 접착제는 접착력이 좋고 내수성과 내유성이 좋아 일반세탁이나 드라이크리닝 후에도 접착력을 유지하면 유연성이 좋아 작업성이 좋다.
상기 2-2공정(S2-2)의 안정액은, 항바이러스 성능이 지속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산화티탄, 이산화티탄, 인산아파타이트, 질화아파타이트 중 택일되는 광촉매제와, 파라벤젠계 산화방지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파라벤젠계 산화방지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 및 파라옥시안식 향산에틸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3공정(S3)의 기모원단을 준비하는 공정은, 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을 유기 용매에 용해하여 얻은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직경 1㎛ 미만의 단섬유가 포집된 섬유 웹을 형성하는 3-1공정(S3-1); 상기 3-1공정(S3-1)에서 얻어진 섬유 웹의 표면을 기모 가공하여 표면에 1~2mm 길이로 섬유가 되도록 기모를 형성하는 3-2공정(S3-2);을 포함한다.
3-1공정(S3-1)은 제조된 방사용액을 정량펌프를 사용하여 방사노즐로 이송하고, 고전압 조절장치를 사용하여 방사노즐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방사를 실시한다.
사용 전압은 100kV 미만의 범위에서 방사가 가능한 전압으로 실시하며, 집전판은 접지를 하거나 (-)극으로 대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집전판은 전기전도성 금속이나 박리지 등의 트랜스퍼 시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전판의 경우 방사시 섬유의 집속을 원활하게 하도록 포집장치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시 토출량은 정량펌프를 사용하여 트랜스퍼 시트에 토출하여 섬유 웹을 형성하고, 트랜스퍼 시트로부터 섬유 웹을 분리하여 섬유 웹을 얻을 수 있다.
3-2공정(S3-2)은 상기 3-1공정(S3-1)에서 얻어진 섬유 웹을 기모기에 넣고 기모 가공한다.
기모기는 한쪽 방향으로 구부러진 침을 꽂은 침포, 해모침포 등의 침금 기모기, 종이나 사포를 이용한 에머리 기모기, 티젤 기모기 등이 선택된다.
상기 4공정(S4)은 접착제가 도포된 외부원단(100)을 판형 지지대(300)에 펼쳐 고정수단(340)으로 고정시킨 후 기모원단(200)을 외부원단(100)에 중첩되게 밀착시켜 접착되도록 한다.
판형 지지대(300)는 내부에 열선(320)이 배열되어 상면이 30~40℃로 유지되도록 하여 접착제의 경화가 촉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고정수단(340)은 판형 지지대(300)의 상면에 밀착되는 클램프(342)와, 상기 클램프(342)를 협지시키는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한다. 따라서 판형 지지대(300)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고정수단(340)이 구비됨으로써 외부원단(100)을 균등하게 고정시켜 펼쳐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고정수단(340)을 인장기(350)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시켜 외부원단(100)이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인장기(350)는 고정수단(340)을 수평 이동시키는 것으로, 판형 지지대(30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샤프트(352)와, 샤프트(352)에 끼움 결합되며 고정수단(340)이 장착된 바디(354)로 구성되고, 바디(354)에는 조임볼트(356)가 나사결합되고, 조임볼트(356)의 선단이 샤프트(352)와 접촉되도록 하여 고정력이 발휘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10)의 외부원단(100)에는 사용자의 손이 출입 가능한 제1 슬릿(11)과, 제2 슬릿(12)이 형성되고, 제1 슬릿(11)과 연통되도록 상기 외부원단(100)의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원단이 절첩되어 수납되도록 구성되는 제1 포켓(20); 제2 슬릿(12)과 연통되도록 상기 외부원단(100)의 내면에 결합되는 제2 포켓(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릿(11)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제1 플랩(13)과, 외부원단(100)의 다른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슬릿(12)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제2 플랩(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켓(20)은 제1 슬릿(11)과 연통되도록 외부원단(100)의 내면에 결합된다. 이에, 제1 슬릿(11)을 통과한 사용자의 손은 제1 포켓(2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포켓(30)은 제2 슬릿(12)과 연통되도록 외부원단(100)의 내면에 결합된다. 이에, 제2 슬릿(12)을 통과한 사용자의 손은 제2 포켓(3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포켓(20)은 제1 슬릿(11)에 연통되어 사용자의 손이 출입 가능한 제1-1 포켓부(21), 제1-1 포켓부(21)와 구획되어 배치되고, 외면과 내면이 뒤집히도록 반전되면서 절첩된 외부원단(100)를 내부에 수납하는 제1-2 포켓부(22) 및 제1-1 포켓부(21)와 제1-2 포켓부(22) 사이에 배치되고, 제1-1 포켓부(21)와 연통되는 제1-3 포켓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포켓(30)은 제2 슬릿(12)에 연통되어 사용자의 손이 출입 가능한 제2-1 포켓부(31), 제2-1 포켓부(31)와 구획되어 배치되는 제2-2 포켓부(32) 및 제2-1 포켓부(31)와 제2-2 포켓부(32) 사이에 배치되고, 제2-1 포켓부(31)와 연통되는 제2-3 포켓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포켓(20)은 제1-2 포켓부(22)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제1-1 지퍼 조립체(24)와, 제1-3 포켓부(23)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제1-2 지퍼 조립체(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포켓(30)은 제2-2 포켓부(32)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제2-1 지퍼 조립체(34)와, 제2-3 포켓부(33)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제2-2 지퍼 조립체(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켓(20)과 제2 포켓(30)은 제1 방향(D1) 및 제1 방향(D1)과 다른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포켓(20)과 제2 포켓(30)은 제1 방향(D1)의 길이가 제2 방향(D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1 지퍼 조립체(24)는 제1 방향(D1)을 따라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제1-2 지퍼 조립체(25), 제2-1 지퍼 조립체(34) 및 제2-2 지퍼 조립체(35)는 제2 방향(D2)을 따라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5공정(S5)의 기모원단(200)은 절첩을 가이드하기 위한 격자 구조의 절첩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첩부(43)는, 제1 방향(D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절첩선(431)과, 제2 방향(D2)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절첩선(432)을 포함한다.
외부원단(100)은 제1 절첩선(431) 및 제2 절첩선(432)을 따라 제1 내피(41)가 접착되고, 제1 내피(41)와 제2 내피(42)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수납공간(44)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공간(44)에 배치되는 구김 방지 필름(60)을 포함한다.
구김 방지 필름(60)의 일부분은 외부원단(100)과 접착된 제1 내피(41)에 접착되고, 구김 방지 필름(60)의 다른 일부분은 기모원단(200)에 접착되어 외부원단(100)의 절첩 시 기모원단(200)의 구김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외부원단 120 ; 접착제
200 : 기모원단 300 : 판형 지지대
320 ; 열선 340 : 고정수단
350 : 인장기

Claims (3)

  1.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로 반복적인 루프를 형성하여 원통모양의 편성물을 편성한 후 상기 편성물을 절개하여 판형이 되도록 하여 외부원단을 준비하는 1공정;
    상기 외부원단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2공정;
    미세한 기모가 형성된 기모원단을 준비하는 3공정;
    상기 2공정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외부원단을 판형 지지대에 펼쳐서 고정수단으로 고정한 후 상기 3공정에서 준비된 기모원단을 외부원단에 중첩되게 밀착시켜 접착되도록 하는 4공정;
    상기 4공정에서 수득된 기모원단이 접착된 외부원단을 가열건조기에 넣고 가열 건조시켜 접착력이 안정화되도록 하는 5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2공정은
    외부원단의 일면에 접착제를 스프레이어로 분사하여 도포시키는 2-1공정;
    상기 2-1공정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외부원단을 상,하부 롤러로 이루어진 가압기에 통과시켜 도포 두께를 일정하게 하고, 상부 롤러에 도포된 안정액이 접착제에 도포되도록 하는 2-2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4공정의 판형 지지대는 내부에 열선이 배열되어 상면이 30~40℃로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판형 지지대의 상면에 밀착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를 협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고정수단을 인장기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시켜 외부원단이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1공정의 외부원단에는 사용자의 손이 출입 가능한 제1 슬릿과, 제2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릿과 연통되도록 상기 외부원단의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원단이 절첩되어 수납되도록 구성되는 제1 포켓; 및
    상기 제2 슬릿과 연통되도록 상기 외부원단의 내면에 결합되는 제2 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5공정의 기모원단은 절첩을 가이드하기 위한 격자 구조의 절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소재 본딩 의류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공정의 기모원단을 준비하는 공정은,
    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을 유기 용매에 용해하여 얻은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직경 1㎛ 미만의 단섬유가 포집된 섬유 웹을 형성하는 3-1공정;
    상기 3-1공정에서 얻어진 섬유 웹의 표면을 기모 가공하여 표면에 1~2mm 길이로 섬유가 되도록 기모를 형성하는 3-2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웜소재 본딩 의류의 제조방법.
  3. 삭제
KR1020220011416A 2022-01-26 2022-01-26 웜소재 본딩 의류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의류 KR102409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416A KR102409374B1 (ko) 2022-01-26 2022-01-26 웜소재 본딩 의류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416A KR102409374B1 (ko) 2022-01-26 2022-01-26 웜소재 본딩 의류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374B1 true KR102409374B1 (ko) 2022-06-14

Family

ID=8198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416A KR102409374B1 (ko) 2022-01-26 2022-01-26 웜소재 본딩 의류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3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076Y1 (ko) * 2003-05-15 2003-10-23 주식회사 범삼공 승복용 방한원단
KR20070063366A (ko) * 2005-12-14 2007-06-19 (주)대우인터내셔널 인공 스웨이드 제조방법
KR101429681B1 (ko) * 2013-06-27 2014-08-13 주식회사 아모텍 마이크로 기모가공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137525A (ko) 2014-05-30 2015-12-09 서복영 옷끼임 방지용 지퍼
KR20170116072A (ko) * 2015-02-06 2017-10-18 로나티 에스.피.에이. 조립된 텍스타일 제품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076Y1 (ko) * 2003-05-15 2003-10-23 주식회사 범삼공 승복용 방한원단
KR20070063366A (ko) * 2005-12-14 2007-06-19 (주)대우인터내셔널 인공 스웨이드 제조방법
KR101429681B1 (ko) * 2013-06-27 2014-08-13 주식회사 아모텍 마이크로 기모가공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137525A (ko) 2014-05-30 2015-12-09 서복영 옷끼임 방지용 지퍼
KR20170116072A (ko) * 2015-02-06 2017-10-18 로나티 에스.피.에이. 조립된 텍스타일 제품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40076B (zh) 通过水润湿显现凹凸的含卷曲纤维织编物及其制造方法以及纤维制品
CN102392337B (zh) 一种保温面料的制作方法
CN103696110A (zh) 一种单向导湿吸湿速干的棉/锦复合针织面料
KR20070006899A (ko) 입모 포백 및 그 제조 방법
KR102409374B1 (ko) 웜소재 본딩 의류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의류
CN109640723A (zh) 具有区域化的保温性和可变透气性的服装
CN103156315A (zh) 一种粘胶水刺西服衬的生产工艺
CN108950807A (zh) 抗皱面料及其制备方法
CN205313770U (zh) 一种远红外面料
CN109736085A (zh) 一种防皱棉布及其加工工艺
JP2013096022A (ja) ニットドレスシャツ
CN110373803A (zh) 一种一面舒适一面防滑的内衣比位面料的生产工艺
CN106968053B (zh) 内凹六角蜂窝结构柔软和弹性拉胀面料的加工装置及方法
CN207855096U (zh) 一种保健功能纺织面料
CN209224657U (zh) 一种经编绒面料
CN209351039U (zh) 一种高抗皱羊绒面料
CN116261407A (zh) 布和纤维制品
KR101429681B1 (ko) 마이크로 기모가공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399113B (zh) 一种毛纺复合植绒面料及其制备方法
KR200385745Y1 (ko) 편직물과 편직물제품
KR20160127964A (ko) 흡습 발열섬유
CN220349261U (zh) 一种涤纶长丝超仿棉面料
CN111959068A (zh) 一种透气性化纤衣服的制造工艺
CN220031364U (zh) 一种防静电面料
CN101883889A (zh) 具有形状记忆功能的纺织品及其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