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307B1 - 좌우 이동에 의해 광범위한 도로의 청소 효율을 높이는 리어 석션장치를 갖는 노면 청소차량 - Google Patents

좌우 이동에 의해 광범위한 도로의 청소 효율을 높이는 리어 석션장치를 갖는 노면 청소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307B1
KR102409307B1 KR1020210123612A KR20210123612A KR102409307B1 KR 102409307 B1 KR102409307 B1 KR 102409307B1 KR 1020210123612 A KR1020210123612 A KR 1020210123612A KR 20210123612 A KR20210123612 A KR 20210123612A KR 102409307 B1 KR102409307 B1 KR 102409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road surface
foreign substances
loading box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두
Original Assignee
부커셰링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커셰링코리아(주) filed Critical 부커셰링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10123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01H1/0836Apparatus dislodging all of the dirt by suction ; Suction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01H1/0854Apparatus in which the mechanically dislodged dirt is partially sucked-off, e.g. dislodging- sweeping apparatus with dirt collector in brush housing or dirt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 이동에 의해 광범위한 도로의 청소 효율을 높이는 리어 석션장치를 갖는 노면 청소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부(10)와, 상기 석션부를 승하강 이동시키는 승하강 조절부(20) 및, 상기 석션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 조절부(30)로 구성된 리어 석션장치(100)를 청소 차량의 적재함(200) 후방 하부에 설치하여 노면의 차선 폭 넓이로 이물질을 흡입하면서 청소하되, 상기 석션부(10)를 도로나 경계석 위치 등에 따라 차선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 조절하면서 광범위한 노면의 이물질을 더 효과적으로 흡입하면서 청소 작업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좌우 이동에 의해 광범위한 도로의 청소 효율을 높이는 리어 석션장치를 갖는 노면 청소차량{The road cleaning vehicle having rear s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노면 청소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청소차량의 적재함 리어 위치에 좌우 이동 가능한 석션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석션장치의 좌우 이동에 의해 광범위한 도로의 노면에 떨어진 쓰레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도로의 청소 효율을 높이는 리어 석션장치를 갖는 노면 청소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노면에 떨어져 있는 쓰레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청소하므로 안전성과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로 청소 차량이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청소 챠량이 이동하면서 노면의 이물질을 자동으로 흡입 청소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청소 차량은 다양한 형태로 개시된 바 있는데, 본 출원인에 선 출원 및 등록된 특허 제10-2065695호에서는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의 흡입력을 제공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을 수용하는 적재 공간부를 갖는 적재함을 포함하되, 상기 흡입부와 적재 공간부를 배기 덕트로 연결 설치하고 상기 적재함은 후면에 도어를 개폐 하도록 설치하여 차량 이동과 함께 흡입부에서 송풍기의 흡입력에 의해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한 후 적재함의 적재 공간부로 수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도로 청소차량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흡입부 등이 청소 차량의 하부 중앙 위치에 설치되므로 청소 차량을 리프팅 시킨 상태로 설치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와 상기 흡입부에 의한 노면의 이물질 흡입 작동이 차량의 하부 중앙에서 이루어져 작업자가 육안으로 작동 상황을 확인 점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상기 흡입부가 청소 차량의 하부 중앙 위치로 설치되어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하기 때문에 도로 폭 넓이의 넓은 범위 청소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브러쉬 회전에 의해 차량의 사이드 위치에 있는 이물질을 흡입부 위치로 이동시켜 흡입하도록 하나 차선의 폭 넓이로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청소하기 못하는 문제와 이 때문에 청소 차량이 도로를 반복 이동하면서 청소하여야 하므로 청소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흡입구가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도로 상황이나 경계석 위치 등에 따라 흡입구에 의한 이물질 흡입 위치를 좌우로 조절할 수 없어 청소 작업의 효율성이 더욱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제10-2065695호(2020년01월07일) 등록특허 제10-0858685호(2008년09월09일) 등록실용신안 제20-0273893호(2002년04월18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적재함의 리어 위치에 석션장치를 설치하여 노면에 떨어진 쓰레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하되, 상기 석션장치가 노면의 차선 폭 넓이로 이물질을 흡입하면서 노면의 청소 효율을 우수하게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상기 석션장치를 좌우 이동 조절할 수 있어 청소차량의 이동 없이 광범위한 도로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입하므로 노면의 청소 효율을 더욱 우수하게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잇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설치하도록 장 방형 바 구조로 형성하고, 차량의 적재함 내부에 형성되는 적재 공간부로 설치된 배출 덕트와 플랙시블 연결관으로 연결하여 흡입 수단에 의한 흡입력으로 노면의 이물질을 차선 폭 넓이로 흡입 청소하는 석션부와, 상기 석션부를 승하강 이동시켜 높낮이 조절하는 승하강 조절부 및, 상기 석션부를 좌우로 이동시켜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 위치를 좌우로 이동 조절하는 좌우 이동 조절부로 리어 석션장치를 구성하여 청소차량의 적재함 후방 하부에 설치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석션부는 하부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흡입 공이 형성되는 장 방형 석션 몸체와, 상기 석션 몸체 상부에 상협하광 구조로 플랙시블 연결관에 연결되는 흡입 안내관으로 구성하되, 상기 석션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분할 구조를 서로 연결 설치하여 노면의 이물질을 분산 흡입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석션부는 장 방형 석션 몸체 전후에 노면과 이격되는 틈새를 형성하도록 흡입 안내관 전,후로 고무 스커트를 체결 볼트에 의해 조립 설치 구성하되, 상기 고무 스커트 상부에 체결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을 상하 장공으로 형성하여 고무 스커트의 설치 위치를 상하로 높낮이 조절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승하강 조절부는 적재함 하부로 수직 설치되는 승하강 실린더의 로드에 지지 프레임을 결합 설치하고, 상기 좌우 이동 조절부는 지지 프레임의 좌우 단부에 내측으로 대향 설치되는 좌우 이동 실린더의 로드에 석션부를 결합 설치하되, 상기 석션부와 지지 프레임에는 좌우로 안내 레일과 상기 안내 레일에 안내되는 안내구를 각각 결합 설치하여 석션부를 좌우로 이동 안내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석션부의 전방에는 석션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압 살수바을 결합 설치하되, 상기 고압 살수바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노즐을 형성하여 석션부에 의해 이물질이 흡입되는 폭 넓이로 노면에 살수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설치하는 장 방형 바 구조로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부와, 상기 석션부를 승하강 이동시키는 승하강 조절부 및, 상기 석션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 조절부로 구성한 석션장치를 적재함의 후방 하부에 설치하여 노면의 차선 폭 넓이로 이물질을 흡입하면서 청소하게 되므로 일반 도로는 물론 활주로, 고속 도로 및 대형화 도로와 같이 차선 폭이 넓은 도로를 청소 차량의 이동을 최소화하면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청소 작업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석션부를 도로나 경계석 위치 등에 따라 노면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 조절하면서 청소하도록 하므로 청소 효율성이 더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석션 장치는 차량의 리어에 설치하기 때문에 종래 차량 하부 주앙에 설치하는 것에 비해 설치 및 수리 점검 작업이 간편하고 노면의 이물질 흡입 청소 과정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석션부의 흡입력이나 흡입 위치 등을 조절하면서 더 효과적으로 청소 작업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청소 차량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청소차량의 적재함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청소차량의 적재함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청소차량의 적재함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리어 석션장치를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높낮이 조절 작동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5의 석션부를 보여주는 요부 측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5의 고압 살수바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5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좌우 이동 조절부를 중심으로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 리어 석션장치의 장치의 배출 덕트 셔터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리어 석션장치의 배출덕트에 충격판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충격판 작동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리어 석션장치(100)를 갖는 노면 청소차량은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션부(10), 승하강 조절부(20) 및 좌우 이동 조절부(30)로 구성된 리어 석션장치(100)를 청소차량의 적재함(200) 후방 하부에 설치하여 상기 석션부(10)를 좌우 이동 조절하면서 흡입 수단에 의한 흡입력으로 노면에 떨어진 쓰레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광범위하게 흡입하여 청소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석션부(10)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설치하도록 장 방형 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석션부의 좌우 길이는 도로의 차선 폭 넓이에 대응되는 길이(2400mm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무엇보다 일반 도로는 물론 활주로, 고속 도로, 대형화 도로 등과 같이 차선 폭 넓이가 넓은 도로에서 차선 폭 넓이로 이물질을 흡입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석션부(10)는 하부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흡입 공(12)이 관통 형성되는 장 방형 석션 몸체(11)와, 상기 석션 몸체 상부에 결합하되, 적재함(200)의 적재 공간부(210)에 설치되는 배출 덕트(220)와 플랙시블 연결관(50)으로 연결되는 흡입 안내관(13)으로 구성하고, 상기 흡입 안내관(13)은 상협하광 구조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석션부(10)는 좌우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 구조로 형성하여 이물질을 분산 흡입하도록 하므로 이물질 흡입력을 더 높이도록 구성한다. 즉, 석션부의 석션 몸체(11)와 흡입 안내관(13)에 플랙시블 연결관(50) 및 배출 덕트(220)가 조립된 조립체를 구성하고, 상기 조립체를 연결 바(19)에 의해 좌우로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석션부(10)는 장 방형 석션 몸체(11)의 전후에 노면과 이격되는 틈새(t)를 형성하도록 흡입 안내관(13) 전,후로 고무 스커트(14)를 체결 볼트에 의해 조립 설치 구성하되, 상기 고무 스커트 상부에 체결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을 상하 장공(14a)으로 형성하여 고무 스커트의 설치 위치를 상하로 높낮이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장 방형 석션 몸체(11) 전후로 설치 구성되는 고무 스커트(14)에 의해 노면에서 이격되는 틈새(t)를 형성하여 장 방형 석션 몸체 하부의 흡입 공(12)을 통한 진공 흡입 작동시 상기 틈새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면서 내부에 회오리 형태의 진공 흡입력을 발생시켜 이물질 흡입력을 더욱 높이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흡입 수단은 브로워(300)로 설치 구성한다. 상기 브로워(300)는 적재함(200)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부 유입구(310)는 스크린(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유입 경로부(330)에 의해 적재 공간부(210) 상부와 연결되고, 하부 유출구(320)는 적재함 하부에 위치하는 토출 경로부(340)에 의해 외부로 연결되어 브로워 구동에 의해 리어 석션장치의 이물질 흡입력을 발생시키되, 상기 브로워(300), 유입 경로부(330), 토출 경로부(340)가 적재함의 사이드가 아닌 정 중앙 위치에서 일 직선 배치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공기 흐름의 꺽임 경로가 없어 석션부에 의한 석션(흡입) 작동시 부하 방지 및 흡입 효율을 좀더 높이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랙시블 연결관(50) 상부에는 작동 실린더(85)의 로드(85a) 신축 작동에 의해 내부 통공에 수평 설치되는 셔터(80)를 전후 이동시켜 통공을 개폐 조절하므로 플랙시블 연결관(50)을 통해 배출 덕트(220)로 흡입 배출되는 공기의 흡입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조절부(20)는 석션부(10)를 차량 이동 또는 청소 작업에 따라 승하강 이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좌우 이동 조절부(30)는 도로 상황이나 경계석 위치, 그 밖에 도로의 폭 위치에 따라 석션부(10)를 좌우로 이동시켜 이물질 석션 위치를 이동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승하강 조절부(20)는 적재함(200) 하부로 수직 설치되는 승하강 실린더(21)의 로드(21a)에 지지 프레임(15)을 연결하고, 상기 좌우 이동 조절부(30)는 지지 프레임(15)의 좌우 단부에 내측으로 대향 설치되는 좌우 이동 실린더(31)(32)의 로드(31a)(32a)에 석션부(10)를 연결하여 상기 석션부를 승하강 및 좌우 이동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석션부(10)와 지지 프레임(15)에는 좌우로 안내 레일(16a)과 상기 안내 레일에 안내되는 안내구(16b)를 각각 결합 설치하여 석션부의 좌우 이동시 안내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좌우 이동 실린더(31)(32)는 로드(31a)(32a)를 연결 바(33)에 의해 석션부의 좌,우 위치에 연결하여 상기 좌,우 이동 실린더(31)(32)의 대향 신축 작동에 의해 석션부를 좌우 이동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승하강 실린더(21)와 좌,우 이동 실린더(31)(32)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석션부(10)의 장 방형 석션 몸체(11) 전방에는 석션 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압 살수바(18)을 단독 또는 좌우로 분리 구성하여 연결 설치하되, 상기 고압 살수바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노즐(18a)이 형성되어 적재함 하부에 마련되는 살수통에서 공급되는 물을 석션부(10)에 의한 이물질 흡입 넓이로 노면에 살수하여 이물질 흡입 청소과정에서 이물질이 석션부 주변으로 비산되지 않고 석션부로 원활하게 흡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석션부(10)의 지지 프레임(15)에는 좌우 양 측방 전,후로 이동 캐스터(17)를 각각 설치하여 청소 작업시 석션부를 노면에 지지 및 이동 안내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배출 덕트(220)는 도 15 및 도 16에서와 같이 적재함(200) 내부의 적재 공간부(210)에 위치하는 수평의 배출구(225) 전방에 상부가 힌지축(260)으로 축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배출구를 닫힘 작동하는 충격판(250)를 더 설치하되, 상기 충격판(250)은 "〈"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흡입 수단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배출 덕트로 흡입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 개방 작동 및 흡입 이물질이 부딪혀 비산되지 않고 적재 공간부 하부로 낙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 밖에 상기 적재함(200)의 후방에는 도어를 설치하여 적재 공간부로 배출되어 모이는 이물질 수거시 개폐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미 설명 부호로서, 14b는 고무 스커트(14) 외측에 체결 볼트(14a)로 함께 조립되어 고무 스커트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를 나타내는 것이고, 400은 차대 프레임(chassis frame)을 나타내는 것이며, 40은 리어 석션장치(100)를 차대 프레임(400)에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청소 차량은 적재함(200)의 후방 하부 위치에 리어 석션장치(100)를 설치하여 노면 청소를 하고자 하는 해당 도로로 청소차량을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청소 차량을 이동한 후 적재함(200) 후방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리어 석션장치의 석션부(10)를 적재함(200)에 수직 설치되는 승하강 실린더(21)의 로드(21a)를 신장시키는 것에 의해 하강 이동시켜 석션부(10)의 하부가 노면에 접하여 청소 작업을 준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석션부(10)의 양 측방 전,후로 설치되어 있는 이동 캐스터(17)가 노면에 접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준비된 상태에서 흡입 수단인 브로워(300)를 구동시키면 브로워의 상부 유입구(310)에 유입 경로부(330)로 연결되어 있는 적재 공간부(210)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부 유출구(320)에 연결되어 있는 토출 경로부(34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브로워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적재 공간부의 배출덕트(220)를 통해 리어 석션장치(100)의 석션부(10)에서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브로워(300)는 유입 경로부(330), 토출 경로부(340)가 적재함의 사이드가 아닌 정 중앙 위치에서 일 직선 배치 구조를 갖고 있어 공기 흐름의 꺽임 경로가 없기 때문에 석션부에 의한 석션(흡입) 작동시 부하 방지 및 흡입 효율을 좀더 높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리어 석션장치의 석션부(10)에 의한 흡입 작동과 함께 상기 석션부(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고압 살수바(18)에서 좌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노즐(18a)을 통해 노면에 살수하기 때문에 노면의 이물질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면서 석션부 하부의 흡입공(12)을 통해 노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청소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석션부(10)는 청소 차량의 폭 방향으로 설치하되, 도로의 차선 폭 넓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하기 때문에 일반 도로는 물론 활주로, 고속 도로 및 대형화 도로와 같이 도로의 폭이 넓은 경우에도 차량의 이동을 최소화하면서 노면의 차선 폭 넓이로 이물질을 흡입하여 노면의 이물질 청소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석션부(10)는 장 방형 석션 몸체(11)의 전후로 설치 구성되는 고무 스커트(14)를 상하 장공(14a)에 의해 흡입 안내관(13)에서 상하 높낮이 조절하여 조립하므로 상기 고무 스커트(14)와 노면 사이에 이격되는 틈새(t)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석션부(10) 하부의 흡입공(12)에 형성되는 진공 흡입력을 조절하게 됨은 물론 상기 틈새(t)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하여 내부에 회오리 형태의 진공 흡입력을 발생시켜 주므로 석션부의 이물질 흡입력을 더욱 높이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석션부(10)는 좌우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 형성하되, 석션 몸체(11)와 흡입 안내관(13)에 플랙시블 연결관(50) 및 배출 덕트(220) 각각 조립된 조립체를 좌우로 서로 연결 형성하여 각 조립체의 석션 몸체(11)를 통해 노면의 이물질을 분산 흡입하게 되면서 석션부의 이물질 흡입력을 더욱 높이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석션부(10) 하부의 흡입공(12)을 통해 진공 흡입되는 노면의 이물질은 장 방형 석션 몸체(11) 상부의 흡입 안내관(13)- 플랙시블 연결관(50)- 배출 덕트(220)를 통해 적재함의 적재 공간부(210)로 배출하여 수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 덕트(220)의 배출구(225) 전방에는 "〈" 형태로 절곡된 충격판(250)이 자중에 의해 배출구(225)를 닫고 있다가 흡입 수단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도 16에서와 같이 힌지축(260)을 중심으로 회동 개방 되어 배출 덕트를 통해 흡입되는 흡입 공기를 적재 공간부로 토출시키게 되는데, 상기 토출 공기에 포함되는 흡입 이물질은 충격판(250)의 내면에 부딪히게 되면서 적재 공간부(210) 내부에서 비산되어 분산되지 않고 충격판(250) 내면의 절곡 각도에 의해 적재 공간부(210) 하부로 낙하되어 수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적재 공간부(210)로 흡입되는 공기는 이물질이 스크린(필터) 여과 후 유입 경로부(330)- 브로워(300)- 토출 경로부(3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 장치의 석션부(10)는 도로 상황이나 경계석 위치에 따라 좌우 이동 조절부(30)에 의해 도로의 차선 폭 방향, 즉 좌우로 이동시켜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 위치를 조절하면서 청소 작업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지지 프레임(15)의 좌우 단부에 내측으로 대향 설치되는 좌우 이동 실린더(31)(32)의 로드(31a)(32a)를 서로 대향되게 좌우로 신축 작동하는 것에 의해 석션부(10)를 좌우로 이동시키되, 안내구(16b)와 안내 레일(16a)에 의한 안내 구조에 의해 석션부(10)의 석션 위치를 좌우로 이동 조절하므로 청소차량의 이동 없이도 노면의 이물질을 더 효과적으로 흡입 청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도로 청소가 완료되면, 상기 석션부(10)를 승하강 실린더(21)에 의해 다시 노면에서 이격되게 승강시킨 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소 차량의 적재함(200) 후방 하부에 리어 석션장치(100)를 차량 폭 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석션장치의 석션부(10)에 의해 노면의 차선 폭 넓이로 이물질을 흡입하면서 청소하되, 상기 석션부(10)를 도로 상황이나 경계석 위치 등에 따라 차선의 폭 방향으로 좌우 이동 조절하면서 청소차량의 이동없이 광범위한 도로의 노면에 떨어진 이물질을 진공 흡입하여 종래보다 청소작업을 더 효과적으로 행하게 되는 것이다.
10: 석션부 11: 장 방형 석션 몸체
12: 흡입공 13: 흡입 안내관
15: 지지 프레임 16a: 안내 레일
16b: 안내구 17: 이동 캐스터
18: 고압 살수바 18a: 노즐
20: 승하강 조절부 21: 승하강 실린더
21a,31a,32a: 로드 30: 좌우 이동 조절부
31,32: 좌우 이동 실린더 50: 플랙시블 연결관
100: 석션장치 200: 적재함
210: 적재 공간부 220: 배출 덕트

Claims (6)

  1. 차량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장 방형 바 구조로 형성되고, 차량의 적재함(200) 내부에 형성되는 적재 공간부(210)로 설치된 배출 덕트(220)와 플랙시블 연결관(50)으로 연결하여 흡입 수단에 의한 흡입력으로 노면의 이물질을 차선 폭 넓이로 흡입 청소하는 석션부(10)와,
    상기 석션부(10)를 승하강 이동시켜 높낮이 조절하는 승하강 조절부(20) 및,
    상기 석션부(10)를 좌우로 이동시켜 노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 위치를 좌우로 이동 조절하는 좌우 이동 조절부(30)로 리어 석션장치(100)가 구성되어 청소차량의 적재함(200) 후방 하부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 덕트(220)는 상기 적재함(200)의 하면을 상하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플랙시블 연결관(50)은 상기 배출 덕트(22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함(20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석션부(10)는 하부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흡입 공(12)이 형성되는 장 방형 석션 몸체(11)와, 상기 석션 몸체(11)의 상부에 상협하광 구조로 플랙시블 연결관(50)에 연결되는 흡입 안내관(13)으로 구성되되, 상기 석션부(10)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분할 구조를 서로 연결 설치하여 노면의 이물질을 분산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석션부(10)는 장 방형 석션 몸체(11) 전후에 노면과 이격되는 틈새(t)를 형성되도록 흡입 안내관(13)의 전,후로 고무 스커트(14)가 체결 볼트에 의해 조립 설치되되, 상기 고무 스커트(14)의 상부에 체결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상하 장공(14a)으로 형성되어 고무 스커트(14)의 설치 위치가 상하로 높낮이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무 스커트(14)의 외측에는 상기 체결 볼트에 의해 함께 조립되어 고무 스커트(14)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14b)가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조절부(20)는 적재함(200) 하부로 수직 설치되는 승하강 실린더(21)의 로드(21a)에 지지 프레임(15)을 결합 설치하고, 상기 좌우 이동 조절부(30)는 지지 프레임(15)의 좌우 단부에 내측으로 대향 설치되는 좌우 이동 실린더(31)(32)의 로드(31a)(32a)에 상기 석션부(10)를 결합 설치하되, 상기 석션부(10)와 지지 프레임(15)에는 좌우로 안내 레일(16a)과 상기 안내 레일(16a)에 안내되는 안내구(16b)를 각각 결합 설치하여 석션부(10)가 좌우로 이동 안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석션부(10)의 전방에는 장 방형 석션 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압 살수바(18)가 결합 설치되되, 상기 고압 살수바(18)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노즐(18a)이 형성되어 석션부(10)에 의해 이물질이 흡입되는 폭 넓이로 노면에 살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입 수단은 상기 적재함(20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브로워(300)로 구성되되, 상기 브로워(300)의 상부 유입구(310)는 스크린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유입 경로부(330)에 의해 적재 공간부(210)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브로워(300)의 하부 유출구(320)는 상기 적재함(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토출 경로부(340)에 의해 외부로 연결되며,
    상기 배출 덕트(220)에는 상기 적재함(200) 내부의 적재 공간부(210)에 위치하는 수평의 배출구(225) 전방에 상부가 힌지축(260)으로 축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배출구(225)를 닫힘 작동하는 충격판(250)이 설치되되, 상기 충격판(250)은 "〈"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흡입 수단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배출 덕트로 흡입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 개방 작동 및 흡입 이물질이 부딪혀 비산되지 않고 하부로 낙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이동에 의해 광범위한 도로의 청소 효율을 높이는 리어 석션장치를 갖는 노면 청소차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123612A 2021-09-16 2021-09-16 좌우 이동에 의해 광범위한 도로의 청소 효율을 높이는 리어 석션장치를 갖는 노면 청소차량 KR102409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612A KR102409307B1 (ko) 2021-09-16 2021-09-16 좌우 이동에 의해 광범위한 도로의 청소 효율을 높이는 리어 석션장치를 갖는 노면 청소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612A KR102409307B1 (ko) 2021-09-16 2021-09-16 좌우 이동에 의해 광범위한 도로의 청소 효율을 높이는 리어 석션장치를 갖는 노면 청소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307B1 true KR102409307B1 (ko) 2022-06-15

Family

ID=81987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612A KR102409307B1 (ko) 2021-09-16 2021-09-16 좌우 이동에 의해 광범위한 도로의 청소 효율을 높이는 리어 석션장치를 갖는 노면 청소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3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782B1 (ko) 2022-08-19 2022-10-27 부커셰링코리아(주) 노면 청소차량용 적재함 이지 크리닝장치
KR102628972B1 (ko) 2023-06-26 2024-01-24 리텍 주식회사 오수 정화가 가능한 고압 살수 노면 청소차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893Y1 (ko) 2002-01-14 2002-04-27 부커셰링코리아(주) 도로청소차의 쓰레기 유도장치
KR100858685B1 (ko) 2008-03-21 2008-09-16 부커셰링코리아(주) 저소음용 노면 청소차
KR102065695B1 (ko) 2019-08-05 2020-03-02 부커셰링코리아(주) 노면 청소차량
KR102212251B1 (ko) * 2020-06-03 2021-02-03 권이금 노면 청소차의 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893Y1 (ko) 2002-01-14 2002-04-27 부커셰링코리아(주) 도로청소차의 쓰레기 유도장치
KR100858685B1 (ko) 2008-03-21 2008-09-16 부커셰링코리아(주) 저소음용 노면 청소차
KR102065695B1 (ko) 2019-08-05 2020-03-02 부커셰링코리아(주) 노면 청소차량
KR102212251B1 (ko) * 2020-06-03 2021-02-03 권이금 노면 청소차의 청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782B1 (ko) 2022-08-19 2022-10-27 부커셰링코리아(주) 노면 청소차량용 적재함 이지 크리닝장치
KR102628972B1 (ko) 2023-06-26 2024-01-24 리텍 주식회사 오수 정화가 가능한 고압 살수 노면 청소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307B1 (ko) 좌우 이동에 의해 광범위한 도로의 청소 효율을 높이는 리어 석션장치를 갖는 노면 청소차량
US6966097B2 (en) Street sweeper with dust control
KR100699089B1 (ko) 높,낮이와 스윙 및 틸딩이 가능한 살수장치를 구비한청소차
KR100892400B1 (ko) 터널공사용 이동식 분진제거장치
CN109083070B (zh) 一种无刷盘高压气体扫地车
KR200414481Y1 (ko) 노면 청소 차량
KR100959401B1 (ko) 도로면의 비점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고압살수장치가 구비된 진공흡입 청소차량
CN111119103B (zh) 一种清扫车
KR102212251B1 (ko) 노면 청소차의 청소장치
KR102350508B1 (ko) 청소성능 향상을 위한 터보 부스터 기능 및 이물질 부양 시스템이 적용된 전기 노면청소차
CN101029477A (zh) 扫路车吸嘴吸筒喷水机构
CN110258399B (zh) 垃圾扫吸装置及具有其的扫路机
CN110258420B (zh) 清洁车的清扫装置及人行道清洁车
CN107916643B (zh) 扫路机
CN112012144A (zh) 干式纯吸扫路车
CN211773217U (zh) 吸尘车
US20120192377A1 (en) Pavement Sweeper with Improved Filter Screen System
KR200202820Y1 (ko) 노면청소차량의 청소장치
CN211646210U (zh) 吸尘机构及吸尘车
US2004017747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on of debris
KR20230032874A (ko) 노면청소차의 청소장치
CN214715364U (zh) 一种建设工程用降尘装置
CN213086680U (zh) 一种清扫车用可伸展吸尘底盘
US20030230904A1 (en) Front frame upper-wheel wings and rear catwalk, fan and engine guard for trash compactor machines
CN109045877B (zh) 除尘箱以及具有其的干扫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