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788B1 - Method for dual recognizing license plate - Google Patents

Method for dual recognizing license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788B1
KR102408788B1 KR1020210125311A KR20210125311A KR102408788B1 KR 102408788 B1 KR102408788 B1 KR 102408788B1 KR 1020210125311 A KR1020210125311 A KR 1020210125311A KR 20210125311 A KR20210125311 A KR 20210125311A KR 102408788 B1 KR102408788 B1 KR 102408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ehicle num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obile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3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지스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지스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지스웨이
Priority to KR102021012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7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7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이중 번호판 인식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중 번호판 인식 방법은 차량번호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차량번호와 연계된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진입차량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휴대단말과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가 기등록되고 인식된 차량번호와 연계되어 저장된 식별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가 기등록된 차량번호와 연계된 것인 경우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를 등록된 차량번호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double license plate recognition method is disclosed. Dual license plate reco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gistering a vehicle numbe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umber;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from the number plate of the entering vehicle; Receiving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ssociation with a previously registered and recognized vehicle number; and determining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as a registered vehicle number whe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ssociated with a previously registered vehicle number.

Description

이중 번호판 인식 방법{Method for dual recognizing license plate}Method for dual recognizing license plate

본 발명은 이중 번호판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license plate recognition method.

차량번호판인식(LPR, License Plate Recongnition) 장치는 입차 또는 출차 차량의 번호를 인식한 후 출입의 제한하거나 입차 및 출차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데 활용되는 장치이다.License Plate Recongnition (LPR) device is a device used to limit access after recognizing the number of entering or leaving vehicles, or to obtain,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on entering and exiting vehicles.

차량번호판인식 장치는 최근 아파트단지나 상업시설 같이 많은 수의 입주자 및 방문자를 대상으로 입차, 출차를 관리하기 위해서 적용되고 있다. 차량번호인식 장치는 차량의 입출구 게이트(gate)에 설치되며 차량번호판인식 장치가 인식한 차량번호가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와 일치하면 게이트를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The license plate recognition device has recently been applied to manage entry and exit of a large number of residents and visitors such as apartment complexes and commercial facilities. The vehicle number recognition device is installed at the entrance/exit gate of the vehicle and is used in a way that allows the vehicle to pass through the gate if the vehicle number recognized by the vehicle number plate recognition device matches the previously registered vehicle number.

그런데 최근 차량번호판인식 장치를 악이용하는 사례가 보도된 바 있다. 차량번호인식 기술은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번호판의 문자 및 숫자를 인식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차량번호판 앞에 종이에 인쇄된 차량번호를 테이프로 붙여놓는다면 인쇄된 차량번호가 그대로 진입 차량의 차량번호로 인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LPR 기술 자체로는 해결하기 어렵다. 이는 영상기술로서 실제 번호판과 종이에 인쇄된 번호까지 구분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However, recently, there have been reports of abuse of license plate recognition devices. License plate recognition technology is based on recognizing letters and numbers on license plates by analyzing images. Therefore, if the vehicle number printed on paper is pasted with tape in front of the license pl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inted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as the vehicle number of the entering vehicle as it is. This problem cannot be solved by LPR technology itself.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actual license plate from the number printed on paper as it is an image technology.

근래 상술한 차량번호인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본 발명도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89032호가 존재한다.Recentl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of vehicle number recogni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lso been developed to solve such a problem. 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21-0089032 exist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 차량번호 인식기술을 보완하여 입출차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획득할 수 있는 이중 번호판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 license plate recognition method capable of accurately acquiring information on entering/exiting vehicles by supplementing the prior art license plate recognition technology.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번호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차량번호와 연계된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진입차량의 번호판으로부터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휴대단말과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가 기등록되고 인식된 차량번호와 연계되어 저장된 식별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가 기등록된 차량번호와 연계된 것인 경우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를 등록된 차량번호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registering a vehicle numb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umber;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from the number plate of the entering vehicle; Receiving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ssociation with a previously registered and recognized vehicle number; and determining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as a registered vehicle number whe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ssociated with a previously registered vehicle numb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통신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ay be achieved by Bluetooth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차량번호와 연계된 휴대단말에 관한 식별정보는 적어도 2이상의 휴대단말에 관하여 저장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umber may be stored for at least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식별정보는 휴대단말의 전화번호, IMEI(International Mobile Euquipment Identify) 정보, 맥주소(Mac address), 블루투스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hone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International Mobile Euquipment Identify (IMEI) information, a Mac address, and a Bluetooth addres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진입차량의 운행자와 그 주변에 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되, 진입차량 주변에 사람이 포착되는 경우 의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obtaining image information about a driver of an approaching vehicle and its surroundings; and 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generating suspicious information when a person is captured around an approaching vehic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비밀번호의 입력요청을 출력하는 단계; 및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비밀번호가 기등록된 차량번호와 연계된 것인 경우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를 등록된 차량번호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ting a request for input of a password; and when a password is input, determining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as a registered vehicle number when the password is associated with a previously registered vehicle numb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진입로에 도달하는 경로에 인접한 위치에서 차량 운행자의 휴대단말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에 대하여 블루투스 모드의 실행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 mobile terminal of a vehicle operator at a location adjacent to a path reaching an access road; and transmitting a Bluetooth mode execution request to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진입로에 도달하는 경로에 인접한 위치에서 차량 운행자의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정보와 연계된 기등록된 차량번호가 존재하는 지 판단하고, 기설정 시간 내 상기 차량번호가 인식되는 경우 제9항의 수신된 식별정보를 처리하기 전이라도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를 등록된 차량번호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of a vehicle driver at a location adjacent to a path reaching an access roa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a previously registered vehicle number associat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ists, and if the vehicle number is recognized within a preset time,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is registered even before processing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claim 9 It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the vehicle number.

본 발명은 종래 차량번호 인식기술을 보완하여 입출차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판별하여 부정입차 차량에 관한 정보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nformation about the illegally entered vehicle can be managed by accurately determining the information on the entering/exiting vehicle by supplementing the conventional vehicle number recognition technolog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 번호판 인식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 번호판 인식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 번호판 인식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dual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state in which a dual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3 shows a double license plate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 번호판 인식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1 shows a dual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 번호판 인식시스템은 입출차 처리장치(100), 차단부(160), 관리서버(200) 및 진입감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dual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ntrance/exit processing device 100 , a blocking unit 160 , a management server 200 and an entry detection unit 400 .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출차 처리장치(100)와 차단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이나 아파트의 차량 진입 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진입구간에는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LPR(License Plate Recognition) 모듈이 장착된 장비와 차단바(165)를 작동하는 차단부(160)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entrance/exit processing device 100 and the blocking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vehicle entry section of a building or apartment as shown in FIG. 2 . In general, in the vehicle entry section, the equipment equipped with an LPR (License Plate Recognition) module capable of recognizing a vehicle number and the blocking unit 160 operating the blocking bar 165 may be installed separately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출차 처리장치(100)는 차량이 진입하는 경로 일측에 설치되며 차단부(160)도 이에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The entrance/exit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ath through which the vehicle enters, and the blocking unit 160 may be installed side by side therewith.

입출차 처리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근거리 통신부(130), 차량인식부(140), 이미지획득부(150) 및 차단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trance/exi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0 , a communication unit 120 ,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0 , a vehicle recognition unit 140 , an image acquisition unit 150 , and a blocking unit 160 .

제어부(110)는 통신부(120), 근거리 통신부(130), 차량인식부(140), 이미지획득부(150) 및 차단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들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20 ,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30 ,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140 , the image acquisition unit 150 , and the blocking unit 160 , and can control them.

제어부(110)는 근거리 통신부(130), 차량인식부(140) 및 이미지획득부(150)로부터 생성되고 제공되는 정보들을 통신부(120)를 통하여 관리서버(200) 송신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may transmit information generated and provided b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0 ,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140 , and the image acquisition unit 150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

통신부(120)는 관리서버(200)와 유/무선 네트워크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by a wired/wireless network and may transmit/receive information.

근거리 통신부(130)는 휴대단말(300)이 기설정된 범위 내 위치하는 경우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부(130)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 통신을 위한 다른 통신수단으로도 대체가 가능할 수 있다.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ans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300 is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For examp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a Bluetooth (bluetooth) or Wi-Fi (wi-fi) modu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ubstituted with other communication means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바람직하게는 근거리 통신부(130)는 지향성 안테나가 설치된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지향성 안테나는 게인(gain)과 빔폭(beam width)을 조절하여 통신 거리 및 각도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a Bluetooth module in which a directional antenna is installed. The directional antenna can set a communication distance and an angular range by adjusting a gain and a beam width.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부(130)는 진입 차량을 향하여 약 10m 거리 내에서 40도~ 60도 정도 각도 범위의 통신대상과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30 may be set to enable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communication target in an angle range of about 40 degrees to 60 degrees within a distance of about 10 m toward the approaching vehic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부(130)는 지향성 안테나가 설치된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근처에 블루투스 통신 입출차 처리장치(100)가 다수 존재하더라도 진입차량의 소유자 또는 동승자가 휴대하는 휴대단말(300)과 제한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즉, 근거리 통신부(130)는 소정 공간범위 내에 위치하는 휴대단말(300)과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통신부(130)가 감지한 휴대단말(300)은 복수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예를 들어, 가장 가까운 휴대단말(300)이 선택될 수 있다) 그 휴대단말(300)과 통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30 includes a Bluetooth module with a directional antenna installed therein, so even if there are a plurality of Bluetooth communication entry/exit processing devices 100 nearby, the mobile terminal 300 carried by the owner or passenger of the vehicle. ) with limited or selective communication. That i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0 may communicate with the portable terminal 300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spatial range. Specifically, there may be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300 sensed b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0, and by selecting one of them (for example, the nearest portable terminal 300 may be selected), the portable terminal ( 300) can be communicated with.

근거리 통신부(130)는 입차 차량의 운행자(또는 소유자, 동승자가 될 수도 있다)의 휴대단말(300)과 통신하여 휴대단말(3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휴대단말(300)에 대한 정보는 유심칩(USIM)에 기록된 고유의 휴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30 may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portable terminal 300 by communicat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300 of the operator (or the owner, or a passenger) of the vehicle entering the vehicle. The information on the mobile terminal 300 may include a unique mobile number recorded in a USIM.

차량인식부(140)는 입차 또는 출차 차량의 번호를 판독하여 차량번호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인식부(140)는 차량번호인식 (LPR, License Plate Recognition)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recognition unit 140 may read the number of the vehicle entering or leaving the vehicle to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number and provide it to the control unit.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140 may include a license plate recognition (LPR) module.

이미지획득부(150)는 입차 또는 출차 차량의 영상 또는 사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획득부(150)는 입차 또는 출차 차량, 그 주변, 차량 내부(운행자가 창문을 연 경우) 혹은 운행자의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고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획득부(150)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150 may acquire information about an image or photo of a vehicle entering or leaving the vehicle. The image acquisition unit 150 may capture and acquire an image or picture of the vehicle entering or leaving the vehicle, its surroundings, the inside of the vehicle (when the driver opens a window), or the driver. Accordingl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50 may include an image sensor.

이미지획득부(150)는 진입차량의 운행자와 그 주변에 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다고도 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150 may also be said to acquire image information about the driver of the approaching vehicle and its surroundings.

차단부(160)는 차단바(165)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cking unit 160 may include a blocking bar 165 .

차단부(160)는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차단바(165)를 열거나 닫도록 차단바(165)를 제어할 수 있다.The blocking unit 160 may control the blocking bar 165 to open or close the blocking bar 165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controller.

관리서버(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210 , a communication unit 220 , and a storage unit 230 .

제어부(210)는 통신부(220) 및 저장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1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220 and the storage unit 230 .

통신부(210)는 입출차 처리장치(100), 휴대단말(300) 및 진입감지부(400)와 각각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o and from the entrance/exit processing device 100 , the portable terminal 300 , and the entrance detection unit 400 , respectively.

저장부(230)는 정보처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30)는 휴대단말(300)에 설치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휴대단말(300)에 인터넷통신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30)는 등록된 차량번호, 회원으로 가입된 휴대단말(300)의 전화번호, 차량번호에 연계된 휴대단말(3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30 may store necessary information to provide convenience of information processing.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230 may store an application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portable terminal 300 so that it can be provided to the portable terminal 300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230 may store information including a registered vehicle number, a phone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300 registered as a member, and a phone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300 linked to the vehicle number.

이와 같이 구성된 관리서버(200)는 예를 들어, 서버(server) 또는 클라우드 서버(serv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관리서버(200)는 정보처리를 제공하기 위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개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러 장소에 분산되어 설치되거나 정보의 저장 및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 example, any one of a server or a cloud server, and the management server 200 is physically or logically separated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for providing information processing. It may include,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is distributed and installed in various places or using a cloud service for storage and processing of information.

휴대단말(30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notebook)과 같은 모바일 기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전화번호를 기초로 판단해야하는 경우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300 may include, for example,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PC, and a notebook computer,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smartphone, bu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example, if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based on a phone number, it may be preferable to be configured with a smartphone.

휴대단말(300)은 적어도 관리서버(200)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on)의 설치가 가능하고,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와 같은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bile terminal 300 can install at least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management server 200, and preferably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Bluetooth or Wi-Fi.

진입감지부(400)는 주차장, 건물진입로 등 차량이 입출차 게이트로 진입하기 전 이동하는 경로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The entrance detection unit 400 may be installed near a path through which a vehicle moves before entering the entrance/exit gate, such as a parking lot or a building entrance.

진입감지부(400)는 휴대단말(300) 및 관리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The entry detection unit 400 may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erminal 300 and the management server 200 .

진입감지부(400)는 근거리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입감지부(400)는 블루투스 통신모듈 등을 포함하여 비콘(beacon)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진입감지부(400)는 적어도 2이상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entry detection unit 400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the entry detection unit 400 may serve as a beacon includ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ike. The ingress detection unit 400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two or more positions.

진입감지부(400)는 근거리통신 모듈 이외에도 이동하는 차량 내부 소유자 또는 운행자의 휴대단말(300)을 인식하는 수단이라면 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the entry detection unit 4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y means for recognizing the mobile terminal 300 of an owner or operator of a moving vehicle.

진입감지부(400)는 입출차 게이트로 이동하려는 차량을 미리 감지하여 그 정보를 임시 저장할 수 있도록 관리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의 감지는 차량번호판을 직접적으로 인식하지 않더라도 차량의 운행자 내지 소유자의 휴대단말(300)과 통신함으로써 이를 갈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300)을 감지하는 경우 휴대단말(300)의 전화번호와 연계된 차량번호를 조회하여 이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The entrance detection unit 400 may detect a vehicle to move to the entrance/exit gate in advance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to temporarily store the information. Detection of the vehicle may be replaced by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300 of the operator or owner of the vehicle even if the license plate is not directly recognized.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300 is detected, the vehicle number associated with the phone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300 can be inquired and recognized.

관리서버(200)는 입출차 처리장치(100)를 통하여 진입감지부(400)가 감지한 차량에 대하여 이중 번호판 인식을 거치지 않고 단순 번호판 인식만으로 등록차량임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보다 빠른 게이트의 통과를 위한 것이다. 즉, 관리서버(200)는 입출차 처리장치(100)가 휴대단말(300)의 식별정보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기 전이라도 인식된 차량번호를 등록된 차량번호로 결정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determine that the vehicle is a registered vehicle only by simple license plate recognition without going through double license plate recognition with respect to the vehicle detected by the entrance detection unit 400 through the entrance/exit processing device 100 . This is for faster gate passage. That is,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determine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as the registered vehicle number even before the entry/exit processing device 100 process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

예를 들어, 관리서버(200)는 진입감지부(400)에 의하여 감지된 차량이 기설정시간(예를 들어, 5분) 내 입차 또는 출차하는 경우에 번호판 인식만으로 게이트를 통과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determine to pass through the gate only by recognizing the license plate when the vehicle detected by the entry detection unit 400 enters or leaves the vehicle within a preset time (eg, 5 minutes). .

이하에서는, 이중 번호판 인식 시스템을 주체로 하여 이중 번호판 인식방법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이중 번호판 인식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설명을 갈음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dual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is replaced by a description of the double license plate recognition method based on the dual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 번호판 인식방법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3 shows a double license plate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S301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차량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차량정보는 차량번호 및 소유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등록된 차량에 대하여 입출차 서비스를 미등록 차량에 대한 것과는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in step S301 ,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register vehicle information. The vehicl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vehicle number and an owner.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provide an entry/exit service for a registered vehicle differently from that for an unregistered vehicle.

관리서버(200)는 차량번호의 등록을 다양한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200)는 관리서버(200)에 접속가능한 단말(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을 통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차량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200)는 웹페이지를 통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차량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200)는 휴대단말(3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입력된 차량정보를 인터넷 통신을 통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차량정보를 입력하는 주체는 관리서버(200)를 관리하는 관리자, 집합건물의 관리자 또는 휴대단말(300)을 통하여 차량정보를 입력하는 차량의 소유자가 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achieve registration of the vehicle number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receive vehicle information to be registered through a terminal (eg, a desktop computer) accessible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receive vehicle information to be registered through a web page.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receive vehicle information input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300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A subject for inputting vehicle information may be a manager who manages the management server 200 , a manager of a collective building, or an owner of a vehicle for inputting vehicle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300 .

S303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차량정보와 연계된 휴대단말(300)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In step S303,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register the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associated with the vehicle information.

휴대단말(300) 정보는 휴대단말(300) 소유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정보와 휴대단말(300) 정보가 연계되었다는 것은 예를들어, 특정 차량번호의 소유자 또는 운행자가 등록된 전화번호의 보유자와 동일인임을 의미할 수 있다. 차량정보와 휴대단말(300) 정보의 연계는 1:1 관계일 수도 있으나, 1:N(예를들어, N=3으로 설정될 수 있다) 관계일 수도 있다. 이는 가족이나 회사 차량일 경우 운행자가 다수 존재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차량번호와 다수의 전화번호를 연계해두기 위한 것이다.The mobile terminal 300 information may include a phone number of the owner of the mobile terminal 300 . Linking th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300 information may mean, for example, that the owner or driver of a specific vehicle number is the same person as the holder of a registered phone numb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300 may be a 1:1 relationship or a 1:N relationship (eg, N=3 may be set). This is to link one vehicle number and multiple phone numbers because there may be multiple drivers in the case of a family or company vehicle.

휴대단말(300) 정보는 전화번호가 아니더라도 휴대단말(300) 고유의 식별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300) 정보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fy) 정보, 맥주소(Mac address), 블루투스 주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정보 또한 차량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되어 차량의 소유자 또는 운행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300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the mobile terminal 300 even if it is not a phone number.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n the mobile terminal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fy (IMEI) information, a Mac address, and a Bluetooth address, and this information is also stored in association with vehicl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owner or It can be used to identify the driver.

S305단계에서, 진입감지부(400)는 차량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다.In step S305 , the entrance detection unit 400 may detect the vehicle's entrance.

진입감지부(400)는 차량의 진입을 감지한 감지정보를 관리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감지정보는 상술한 휴대단말(30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trance detection unit 400 may provide detection information for detecting the vehicle's entrance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 The det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300 .

진입감지부(400)가 감지정보를 획득하는 시간과 차량이 입출차 처리장치(100)에 근접하는 시간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진입감지부(400)가 감지정보를 획득하는 시간과 차량이 차량에 근접하는 시간은 약 5분에서 10분 사이가 될 수 있다.There may be a difference between the time the entrance detecting unit 400 acquires the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the vehicle approaches the vehicle entering/exiting processing device 100 . For example, the time for the approach detection unit 400 to obtain the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for the vehicle to approach the vehicle may be between about 5 minutes and 10 minutes.

관리서버(200)는 감지정보를 제공받고 현재 차량을 운행하는 운행자의 휴대단말(300)을 특정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receive the sensing information and specify the portable terminal 300 of the driver currently operating the vehicle.

S307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감지정보에 대응하여 특정된 휴대단말(300)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것은 휴대단말(300)에서 직접 블루투스가 작동되도록 설정(블루투스 모드)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블루투스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휴대단말(300)은 자동으로 블루투스를 킴으로써 게이트를 통과할 때에 딜레이 없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In step S307,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request to execute an application for the specified portable terminal 300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can be preset to run in the background. Running in the background is to automatically activate Bluetooth without setting (Bluetooth mode) to directly operate Bluetooth in the mobile terminal 300 . That is, the mobile terminal 300 automatically turns on Bluetooth to enable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out delay when passing through the gate.

실시예에 따라 S307단계에서, 진입감지부(400)는 휴대단말(300)로 하여금 블루투스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요청 신호만을 보낼 수도 있다. 이 경우, 진입감지부(400)는 휴대단말(300)에 관한 정보를 반드시 획득하지 않아도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step S307 , the entry detecting unit 400 may send only a request signal to allow the portable terminal 300 to run an application executing Bluetooth in the background. In this case, the entry detecting unit 400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portable terminal 300 .

실시예에 따라 S307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S309단계에서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 실행요청 및 휴대단말(300) 정보의 인식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step S307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 background application execution request and the recogni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information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step S309.

S309단계에서, 근거리 통신부(130)는 휴대단말(300)과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휴대단말(300)에 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In step S309 ,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0 may recognize information about the portable terminal 300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300 .

인식된 휴대단말(300)에 관한 정보는 관리서버(200)로 제공되거나 자체적으로 처리되도록 제어부(110)에 제공될 수 있다. 휴대단말(300)에 관한 정보는 전화번호,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fy) 정보, 맥주소(Mac address), 블루투스 주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단말(300)에 관한 정보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기로 한다.Information on the recognized portable terminal 300 may be provided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or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10 to be processed by itself. The information about the mobile terminal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hone number,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fy (IMEI) information, a Mac address, and a Bluetooth address. It will be exemplified that the information includes a phone number.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부(130)는 지향성 안테나가 설치된 블루투스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주변에 존재하는 모든 휴대단말(300)과 통신하여 인식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고 목적하는 공간 범위에 존재하는 소수의 휴대단말(300)(바람직하게는 오직 운행자의 휴대단말)만을 인식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0 communicates with all the mobile terminals 300 existing in the vicinity by using the Bluetooth module in which the directional antenna is installed, thereby preventing the recognition from being delayed and a small number of mobile terminals existing in the desired spatial range. Only (300) (preferably only the operator's mobile terminal) is recognized.

S311단계에서, 차량인식부(140)는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관리서버(200)로 제공하거나 제어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311 ,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140 may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and provide it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or to the control unit 110 .

차량번호의 인식은 차량의 번호판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시각적으로 판독하는 영상인식 기술이 기반이 될 수 있다.The recognition of the license plate can be based on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that visually reads the license plate by analyzing the image of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S313단계에서, 이미지획득부(150)는 입차 또는 출차 차량의 영상 또는 사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획득부(150)는 입차 또는 출차 차량, 입출차 게이트(또는 입출차 처리장치(100)) 주변, 차량 내부(운행자가 창문을 연 경우) 혹은 운행자의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고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313 , the image acquisition unit 150 may acquire information about an image or photo of a vehicle entering or leaving the vehicle. The image acquisition unit 150 may capture and obtain an image or photo of the vehicle entering or leaving the vehicle, the entrance/exit gate (or the entrance/exit processing device 100), inside the vehicle (when the driver opens the window), or the driver. .

S309단계로부터 S313 단계는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순서를 바꾸어 진행될 수 있다.Steps S309 to S313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sequentially or in a reverse order.

S315단계에서, 관리서버(200) 또는 제어부(110)는 정보의 매칭여부를 판단한다. 정보매칭이 이루어지면 S317단계로 진행하고, 이루어지지 않으면 S319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In step S315, the management server 200 or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information is matched. If the information matching is made, the process may proceed to step S317, otherwise, the process may proceed to step S319.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매칭은 인식된 차량번호와 연계된 휴대단말(300)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전화번호가 모두 관리서버(200)에 등록되어 조회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입출차 처리장치(100)에 저장부를 두어 자체적으로 이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matching may mean a state in which all information on the mobile terminal 300 associated with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for example, a phone number is registered and inquired in the management server 200 .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storage unit in the vehicle entry/exit processing apparatus 100 to determine this by itself.

S317단계에서, 관리서버(200) 또는 제어부(110)는 현재 판단 중인 차량(게이트 통과 대기 차량)에 대하여 정상등록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상등록이란 상술한 정보매칭이 이루어진 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In step S317, the management server 200 or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the vehicle currently being determined (the vehicle waiting to pass through the gate) as a normally registered vehicle. Normal registration may mean a vehicl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matching is made.

정상등록 차량으로 판단되면, 입출차 처리장치(100)는 즉시 차단바(165)가 열리도록 차단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차량은 차량번호와 휴대단말(300)에 관한 정보를 매칭하는 판단을 받도록 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휴대단말(300)의 정보는 차량번호와 연계된 점에서 이중 번호판 인식으로 명명하였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ormally registered, the entrance/exit processing device 100 may control the blocking unit 160 to immediately open the blocking bar 165 . As described abov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undergoes a process of matching the vehicle numb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mobile terminal 300 to receive a matching decis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is named double license plate recognition in that it is linked to the vehicle number.

S319단계에서, 관리서버(200) 또는 제어부(110)는 현재 판단 중인 차량에 대하여 미등록 차량으로 추정할 수 있다. 미등록 차량으로 추정되는 경우 S321단계로 진행한다.In step S319, the management server 200 or the control unit 110 may estimate the vehicle currently being determined as an unregistered vehicle. If it is estimated that the vehicle is unregistered, it proceeds to step S321.

S321단계에서, 관리서버(200) 또는 입출차 처리장치(100)는 요청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출차 처리장치(100)는 요청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입력버튼,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관리서버(200) 또는 입출차 처리장치(100)는 요청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요청알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요청알림은 예를 들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방문하고자 하는 동호수를 누르세요”와 같은 비밀번호 입력요청, 방문호수 입력요청에 관한 것일 수 있다.In step S321, the management server 200 or the entrance/exit processing device 100 may receive request information. The input/exi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be provided with an input unit (not shown) such as an input button and a touch screen to receive request information. The management server 200 or the entrance/exit processing device 100 may output request notification information to receive the request information. The request notification may relate to, for example, a password input request such as “Enter your password”, “Please press the number of the group you want to visit” and a request for entering the number of visits.

요청알림은 별도로 구비된 스피커, 표시부 등의 출력부(미도시)에 의하여 으로 출력될 수 있다. 요청알림은 휴대단말(3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푸시알림 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요청알림에 대한 응답은 휴대단말(300)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request notification may be output by an output unit (not shown) such as a speaker and a display unit provided separately. The request notification may be provided as a push notification or the like by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300 . In this case, a response to the request notification may be mad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300 .

요청정보는 비밀번호, 방문호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요청정보는 비밀번호일 수 있다.The request information may be any one of a password and the number of visits, 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quest information may be a password.

비밀번호는 미리 관리서버(200)에 등록될 수 있다. 비밀번호는 차량정보와 연계되어 관리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비밀번호는 차량에 대하여 하나씩 부여되고 설정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300) 정보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이는 운행자가 휴대단말(300)을 소지하지 않거나 운행자의 휴대단말(300)의 배터리가 방전되어 충전 중이어서 휴대단말(300)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필요할 수 있다.The password may be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server 200 in advance. The password may be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200 in association with vehicle information. The password may be assigned and set one by one for each vehicle, and may replace the role of informa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300 . This may be necessary when the operator does not carry the mobile terminal 300 or the mobile terminal 300 does not operate because the battery of the operator's mobile terminal 300 is discharged and being charged.

S323단계에서, 관리서버(200) 또는 제어부(110)는 정보의 매칭여부를 판단한다. 정보매칭이 이루어지면 S317단계로 진행하고, 이루어지지 않으면 S325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In step S323, the management server 200 or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information is matched. If the information matching is made, the process may proceed to step S317, otherwise, the process may proceed to step S325.

S323단계에서의 정보매칭 판단은 차량번호와 연계된 비밀번호에 대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S315단계에서의 정보매칭 판단과 구분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matching determination in step S323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information matching determination in step S315 in that it is made with respect to the password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umber.

S325단계에서, 관리서버(200) 또는 제어부(110)는 현재 판단 중인 차량에 대하여 미등록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미등록차량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차량에 대하여는 주차요금 정산을 위한 방문증의 발급요구, 입차거부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In step S325 , the management server 200 or the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the vehicle currently being determined as an unregistered vehic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unregistered, it may be set to take necessary measures, such as requesting the issuance of a visit permit for the settlement of parking fees, and refusal to enter the vehicle.

예를 들어, S327단계에서, 입출차 처리장치(100)는 미등록차량임을 안내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미등록차량 안내정보에는 “방문증을 발급하세요”, “미등록차량이므로 주차요금이 부과됩니다”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미등록차량 안내정보는 입출차 처리장치(100)에 구비된 스피커, 표시부 등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물론, 입출차 처리장치(100)는 미등록차량 안내에 부대하여 차단바(165)를 열거나 닫는 제어를 수반할 수 있다. 차단바(165)를 어떤 조건에서 제어하는 가는 해당 건물의 주차정책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n step S327 , the entrance/exi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output information guiding that the vehicle is an unregistered vehicle. The unregistered vehicle guid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Issue a visitor pass” and “parking fee is charged because it is an unregistered vehicle”. can be output through Of course, the entrance/exit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accompany the control of opening or closing the blocking bar 165 in addition to guiding the unregistered vehicle. Under what conditions the blocking bar 165 is controlled may be set according to the parking policy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S329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이미지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In step S329,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analyze the image information.

이미지 정보의 분석은 설정조건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설정조건은 예를 들어, 차량인식부(140)의 감지범위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를 찾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차량 내부에 탑승한 것이 아니라 블루투스에 인식되기 위하여 차량주변에 머무는 경우이다.The analysis of the image information may be to extract an image corresponding to a set condition. The setting condition may be, for example, finding a case in which a person exists within the detection range of the vehicle recognition unit 140 . For example, it is a case in which a person stays around the vehicle in order to be recognized by Bluetooth rather than riding inside the vehicle.

S331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의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의심정보는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규정에서 벗어난 게이트 통과 차량을 색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의심정보는 상술한 설정조건에 부합하는 이미지 정보의 획득 시간 또는 설정조건에 부합하는 이미지 정보일 수 있다.In step S331,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generate suspicious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spicious information may be used to detect a vehicle passing through a gate that deviates from the rules from the acquired image. The suspicious information may be an acquisition time of image information that satisfies the above-described setting condition or image information that satisfies the set condition.

예를 들어, 이미지획득부(150)는 폐쇄회로 감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관리자는 이미지 정보의 획득 시간 부근의 CCTV 영상을 확인하여 부정사용 차량을 색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번호판에 등록차량번호가 인쇄된 종이를 부착한 후 게이트를 통과하는 시점에서 차량 소유주가 게이트 인근에 위치함으로써 미등록차량을 마치 등록차량처럼 통과시키는 행위는 부정사용 행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부정사용은 관리자가 CCTV를 확인하여 해당시점에 통과한 차량을 특정함으로써 색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age acquisition unit 150 may include a closed circuit monitoring device, and the manager may check the CCTV image near the acquisition time of the image information to detect the illegally used vehicle. For example, the act of passing an unregistered vehicle as if it were a registered vehicle because the owner of the vehicle is located near the gate at the time of passing the gate after attaching the paper with the registered vehicle number to the license plate may be an act of illegal use. Such illegal use can be detected by the administrator checking the CCTV and specifying the vehicle that passed at that time.

예를 들어, 관리서버(200)는 설정조건에 부합하는 이미지 정보(예를 들어, 진입차량 주변에 사람이 포착되는 경우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관리자는 의심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사진)들을 직접 확인하고 부정사용에 해당하는 차량에 대하여 좀 더 면밀히 조사하는 등 확인절차를 거침으로써 부정사용 차량을 색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store image information that meets a set condition (eg, an image when a person is captured around an approaching vehicle). The manager can search for illegally used vehicles by directly checking the images (photos) corresponding to the suspicious information and going through the verification process, such as conducting a more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 vehicles corresponding to the illegal use.

S333단계에서, 관리서버(200)는 부정사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부정사용자 정보는 관리자가 이를 확인한 후 직접 해당 차량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In step S333,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generate illegal user information. Illegal user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directly inputting the vehicle number after the administrator confirms i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100: 입출차 처리장치
110: 제어부
120: 통신부
130: 근거리 통신부
140: 차량인식부
150: 이미지획득부
160: 차단부
165: 차단바
200: 관리서버
210: 제어부
220: 통신부
230: 저장부
300: 휴대단말
400: 진입감지부
100: entry/exit processing device
110: control unit
120: communication department
130: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40: vehicle recognition unit
150: image acquisition unit
160: blocking unit
165: blocking bar
200: management server
210: control unit
220: communication department
230: storage
300: mobile terminal
400: entry detection unit

Claims (8)

차량번호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차량번호와 연계된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게이트에 진입하는 진입차량의 번호판으로부터 상기 진입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휴대단말과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가 기등록되고 인식된 차량번호와 연계되어 저장된 식별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가 기등록된 차량번호와 연계된 것인 경우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를 등록된 차량번호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진입차량의 운행자와 그 주변에 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되, 상기 진입차량이 상기 게이트를 통과하는 시점에 상기 게이트 인근에 사람이 포착되는 경우 의심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의심정보는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의 소유주가 차량 내부가 아닌 근거리 통신 범위 내인 게이트 인근에 위치함으로써 미등록차량을 마치 등록차량처럼 통과시키는 행위의 판별을 위하여 획득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번호판 인식 방법.
registering a vehicle numbe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umber;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of the entering vehicle from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entering the gate;
Receiving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ssociation with a previously registered and recognized vehicle number;
determining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as a registered vehicle number whe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ssociated with a previously registered vehicle number;
obtaining image information about a driver of the approaching vehicle and its surroundings; and
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generating suspicious information when a person is caught near the gate at the time when the entering vehicle passes the gate;
The suspicious information includes an image acquired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act of passing an unregistered vehicle as if a registered vehicle by the owner of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being located near the gate within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range rather than inside the vehicle. How to recognize license pl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번호판 인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is a double license plate recogni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Bluetooth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번호와 연계된 휴대단말에 관한 식별정보는 적어도 2이상의 휴대단말에 관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번호판 인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umber is a double license plate recogni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stored with respect to at least two or more mobile termi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휴대단말의 전화번호, IMEI(International Mobile Euquipment Identify) 정보, 맥주소(Mac address), 블루투스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번호판 인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 dual license plate recogni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phone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International Mobile Euquipment Identify (IMEI) information, a Mac address, and a Bluetooth addres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비밀번호의 입력요청을 출력하는 단계; 및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비밀번호가 기등록된 차량번호와 연계된 것인 경우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를 등록된 차량번호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번호판 인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outputting a password input request; and
When a password is input, if the password is associated with a previously registered vehicle number, determining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as a registered vehicle number; Dual license plate recogni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차량번호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차량번호와 연계된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게이트로 이동하는 경로에 인접한 위치에서 차량 운행자의 휴대단말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를 통과하려는 차량이 상기 게이트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블루투스 모드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휴대단말에 대하여 블루투스 모드의 실행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상기 게이트에 진입할 때 번호판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휴대단말과 블루투스에 의한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가 기등록되고 인식된 차량번호와 연계되어 저장된 식별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가 기등록된 차량번호와 연계된 것인 경우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를 등록된 차량번호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차량이 상기 게이트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블루투스 모드가 활성화 되는 것은, 상기 휴대단말을 감지하는 시간과 상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시간은 차이에 기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번호판 인식 방법.
registering a vehicle numbe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umber;
detecting the mobile terminal of the vehicle operator at a location adjacent to the path to the gate; and
transmitting a Bluetooth mode execution request to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Bluetooth mode is activated in advance before the vehicle that is going to pass through the gate enters the gate;
recognizing the license plate number of the vehicle from the license plate when the vehicle enters the gate;
receiving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Bluetooth;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ssociation with a previously registered and recognized vehicle number; and
Whe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ssociated with a previously registered vehicle number, determining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as a registered vehicle number; including,
The fact that the Bluetooth mode is activated in advance before the vehicle enters the gate is due to a difference between the time for detect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ime for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차량번호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차량번호와 연계된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게이트로 이동하는 경로에 인접한 위치에서 차량 운행자의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식별정보와 연계된 기등록된 차량번호가 존재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상기 게이트에 진입할 때 번호판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식별정보와 연계된 기등록된 차량번호가 존재하고, 상기 차량번호의 인식이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감지한 시간으로부터 기설정시간 내 이루어진 경우 하기 단계들을 진행하지 않고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를 등록된 차량번호로 결정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게이트를 통과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식별정보와 연계된 기등록된 차량번호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기설정시간이 초과되는 경우 휴대단말과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식별정보가 기등록되고 인식된 차량번호와 연계되어 저장된 식별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식별정보가 기등록된 차량번호와 연계된 것인 경우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를 등록된 차량번호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단말의 식별정보을 감지하는 시간과 상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시간은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번호판 인식 방법.
registering a vehicle numbe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umber;
dete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of a vehicle driver at a location adjacent to a path moving to a gate; and
determining whether a previously registered vehicle number associat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cted in the detection step exists;
recognizing the license plate number of the vehicle from the license plate when the vehicle enters the gate;
If there is a previously registered vehicle number associat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cted in the detection step,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vehicle number is mad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etected, the following steps are not performed determining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as a registered vehicle number to allow the vehicle to pass through the gate;
Receiving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 a portable terminal when a pre-registered vehicle number associat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cted in the detection step does not exist or the predetermined time is exceeded ;
determining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receiving step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ssociation with a previously registered and recognized vehicle number; and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receiving step is associated with a previously registered vehicle number, determining the recognized vehicle number as a registered vehicle number; including,
A double license plate recogni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ime for detec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ime for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KR1020210125311A 2021-09-17 2021-09-17 Method for dual recognizing license plate KR1024087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311A KR102408788B1 (en) 2021-09-17 2021-09-17 Method for dual recognizing license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311A KR102408788B1 (en) 2021-09-17 2021-09-17 Method for dual recognizing license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788B1 true KR102408788B1 (en) 2022-06-15

Family

ID=8198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311A KR102408788B1 (en) 2021-09-17 2021-09-17 Method for dual recognizing license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78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839B1 (en) * 2015-03-13 2016-09-23 (주)파크인서울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fisheye lens camera and method thereof
KR20170132072A (en) * 2016-12-08 2017-12-01 에이제이파크 주식회사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JP2020087246A (en) * 2018-11-30 2020-06-04 日本信号株式会社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KR102297169B1 (en) * 2021-04-09 2021-09-03 주식회사 아프로시스템즈 Vehicel management system using vehicle license plate, vehicle model recognition and rfid sens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839B1 (en) * 2015-03-13 2016-09-23 (주)파크인서울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fisheye lens camera and method thereof
KR20170132072A (en) * 2016-12-08 2017-12-01 에이제이파크 주식회사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JP2020087246A (en) * 2018-11-30 2020-06-04 日本信号株式会社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KR102297169B1 (en) * 2021-04-09 2021-09-03 주식회사 아프로시스템즈 Vehicel management system using vehicle license plate, vehicle model recognition and rfid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689B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visitors using cars
US10878249B2 (en) Border inspection with aerial cameras
JP6772187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access control systems
KR102511364B1 (en) Vehicle parking area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0922636B1 (en) Control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Visit Vehicles
KR101975962B1 (en) Management method for unmanned accommodation
KR101876239B1 (en) Parking system
WO2016067105A2 (en) Smart parking barrier
KR102353322B1 (en) System for controlling entrance based on beacon and Method thereof
KR101975961B1 (en) Management device for unmanned accommodation
KR101815472B1 (en)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 to vehicle access
JP2019061686A5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KR20170019573A (en) Smart parking system
KR20190040226A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onitoring system
JP2018180831A (en) Leaving support system
KR102408788B1 (en) Method for dual recognizing license plate
KR102408808B1 (en) System for dual recognizing license plate
KR100768465B1 (en) Control method for incoming and outgoing vehicles
KR102001146B1 (en) A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device and beacons and the method thereof
KR102006802B1 (en) Vehicle access control system of apartment house
KR102123728B1 (en) Smart car in-and-out management system
KR102284545B1 (en) DRIVING METHOD OF ACCESS CONTROL SYSTEM USING A CCTV AND IoT
KR101557156B1 (en) Management of gates using FRID system
TWI542491B (en) Prevent the vehicle from stolen car park management system
KR102612665B1 (en) Security-enhanced unmanned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MAC address of driver's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