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472B1 -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 to vehicle access - Google Patents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 to vehicle acc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472B1
KR101815472B1 KR1020160120614A KR20160120614A KR101815472B1 KR 101815472 B1 KR101815472 B1 KR 101815472B1 KR 1020160120614 A KR1020160120614 A KR 1020160120614A KR 20160120614 A KR20160120614 A KR 20160120614A KR 101815472 B1 KR101815472 B1 KR 101815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related information
cont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6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업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업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업컴퍼니
Priority to KR1020160120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4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4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06K2209/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 to the entry and exit of a vehicle. The server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erver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 to the entry and exit of a vehicl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a storage unit storing a license plate number and vehicle-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allow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by recognizing the license plate number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enters and exits, and transmitting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to a contents outpu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if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are allow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urchasing power of a vehicle user by providing the customized contents.

Description

차량 출입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 TO VEHICLE ACCES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and a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 to a vehicle access,

본 발명은 차량 출입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출입을 제어하고 차량과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and a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according to vehicle entry and exit, and a technique for controlling vehicle access and providing contents related to a vehicle.

통상적으로 백화점, 빌딩, 연구소 등과 같은 건물의 주차장에서는 방문 차량의 출입 또는 주차 통제를 위해, 주차권을 지급하거나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출차 시 정산토록 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Typically, a parking lot for a building such as a department store, a building, or a research center is provided with a parking ticket or a system for recognizing a car number and making a payment at the time of departure, in order to control access or parking of a visiting vehicle.

그러나, 종래의 차량출입 시스템에서는 단순히 차량번호 등을 인식하는 것만으로 출입 허가를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번호를 위조하는 등의 부정한 목적을 가지는 차량에 대해서는 보안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vehicle access system, access permission is determined only by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or the lik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security is poor for a vehicle having an illegal purpose such as forging a vehicle number.

또한, 종래의 차량출입 시스템에서는 백화점, 상가 등과 같은 건물에 차량이 출입하는 경우, 단순히 차단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특정 컨텐츠에 대한 유인 내지 광고와 같은 맞춤형 광고 서비스가 부족하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vehicle access system, when a vehicle enters or exits a building such as a department store or a mall, only a ser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blocking door is provided. Thus, a customized advertisement service There was a limit to the shortage.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6290(공개일: 2009.10.08)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106290 (published on October 10, 200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출입뿐 아니라 해당 차량과 관련된 맞춤형 컨텐츠를 차량이 주차되거나 이동되는 이동경로에 노출시킴으로써 해당 차량의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provid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차량 번호뿐 아니라 차량의 이미지를 수집하여 미리 등록된 차량 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준의 차량출입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er level vehicle access security system by collecting images of vehicles as well as vehicle numbers and comparing them with pre-registered vehicle imag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는 차량 출입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통신부; 차량번호 및 상기 차량번호와 연계된 차량관련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차량 출입시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차량번호와 연계된 차량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 출입의 허가 여부를 결정하고, 차량 출입 허가 시 컨텐츠 출력 장치로 상기 차량관련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ersonalized contents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 to entrance and exit of a vehicle,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A storage unit storing the vehicle number and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umber; And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at the time of entering and exiting the vehicle,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allow the vehicle access based on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umber,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출입시 촬상된 상기 차량의 촬상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집하고, 상기 차량번호와 연계된 차량관련 정보를 상기 저장부 상에서 확인하며, 상기 촬상 이미지와 상기 차량관련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차량 출입의 허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collects, via the communication unit, an image of the vehicle captured at the time of entering and exiting the vehicle, confirms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umber on the storage uni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access to the vehicle is permitted by comparing the related information.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주차되는 위치 또는 상기 차량이 통과하는 경로에서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컨텐츠 출력 장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컨텐츠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관련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confirms a content output devic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vehicle is parked or at a position recognizable by a path through which the vehicle passes, based on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관련 정보는 상기 차량의 종류 정보, 장애인 등록 차량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종류 정보, 장애인 등록 차량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주차되는 위치 또는 상기 차량이 통과하는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typ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registered vehicle information of the disabled, or the driv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type inform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riv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position where the vehicle is parked or the route through which the vehicle passes.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관련 정보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출입한 위치와 연계된 물품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물품 정보 중에서 상기 운전자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확인하여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includes driv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from the external server via the communication unit, the articl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entry / exit position of the vehicl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river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and output through the content output device.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차량의 출입 횟수를 카운팅하여 제1 변수를 산정하고, 상기 운전자 정보에 따른 제2 변수를 산정하며, 상기 제1 변수 및 상기 제2 변수를 기반으로 상기 물품 정보 중에서 컨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first variable by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vehicle is entered and exi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calculates a second variable according to the driver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first variable and the second variable, Extracts the content from the article information, and outputs the extracted content through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고객관리 정보를 더 수집하고, 수집된 고객관리 정보에 따른 제3 변수를 산정하며, 산정된 제3 변수에 더 기반하여 상기 물품 정보 중에서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further collects the customer management information for the vehicle from the external server, calculates a third variable according to the collected customer management information, and further based on the calculated third parameter, The content can be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차량 출입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차량 출입에 따라 차단수단을 개폐하며, 출입되는 차량을 촬상하여 차량의 촬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게이트부; 및 상기 게이트부로부터 촬상 이미지를 수집하고, 상기 촬상 이미지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차량번호와 연계된 차량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 출입의 허가 여부를 결정하며, 차량 출입 허가 시 컨텐츠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관련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A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customized content according to vehicle entry and exit.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ystem opens and closes a blocking means in accordance with vehicle entry and exit, captures an incoming and outgoing vehicle, ; And a control unit for collecting a captured image from the gate unit,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from the captured image, determining whether to permit the vehicle access based on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umber, And a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outputt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related information through an output device.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차량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주차되는 위치 또는 상기 차량이 통과하는 경로에서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컨텐츠 출력 장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컨텐츠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차량관련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confirms a content output devic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vehicle is parked or at a position recognizable on a route through which the vehicle passes based on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can be outputted through the output device.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관련 정보는 상기 차량의 종류 정보, 장애인 등록 차량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차량의 종류 정보, 장애인 등록 차량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주차되는 위치 또는 상기 차량이 통과하는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typ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registered vehicle information of the disabled, or the driv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typ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formation, or the driv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차량이 주차되거나 이동되는 위치 또는 경로에서 차량과 관련된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사용자의 물품에 대한 구매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re is an effect that the purchasing power of the vehicle user's goods can be further improved by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related to the vehicle in the position or route where the vehicle is parked or moved in the customized contents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차량 번호뿐 아니라 차량의 이미지를 비교분석하여 차량의 출입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준의 차량출입 보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ustomized contents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access security system with a higher level by comparing and analyzing not only the vehicle number but also the image of the vehicle, thereby controlling the access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의 운용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차량관련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내용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flowchart of contents provid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vehicle-related information in the customized contents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technicia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elements mentioned. Although "first ","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And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rrelation between an element and other elem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including the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at the time of use or operation. For example, when inverting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The compon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은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 게이트부(200) 및 하나 이상의 컨텐츠 출력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 게이트부(200) 및 컨텐츠 출력 장치(300) 모두가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에 포함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한정되지 않는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은 도 1에 개시된 구성 중 적어도 일부 구성(예: 게이트부(200) 또는 컨텐츠 출력 장치(300))이 생략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the customized content provisioning system 10 may include a customized content provisioning server 100, a gate unit 200, and one or more content outputting apparatuses 300. Although it is described in FIG. 1 that both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the gate unit 200 and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300 are included in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ystem 10, The system 1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at least some of the configurations disclosed in Fig. 1 (e.g., the gate unit 200 or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300) are omitted.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차량 출입에 대한 제어기능 및 차량과 관련된 컨텐츠를 컨텐츠 출력 장치(300)에 출력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외부 서버(예: 차량이 주차되는 백화점 또는 상가 등에서 물품과 관련된 컨텐츠를 구비한 서버)로부터 물품 정보를 수집하여 가공한 뒤 컨텐츠 출력 장치(300)를 통해 차량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access to the vehicle and outputting contents related to the vehicle to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300. [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collects and processes article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erver (e.g., a server having content related to the article at a department store or a shopping mall where the vehicle is parked) .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게이트부(200)는 차량이 근접함에 따라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차량의 출입을 위해 차단도어를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게이트부(200)는 센서부(예: 근접 센서, RFID 센서, NFC 센서, 적외선 센서 등), 통신부(예: RF,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 인터넷 네트워크, 모바일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통신 모듈), 저장부(예: 메모리), 제어부(예: 프로세서, MCU 등) 및 구동부(예: 모터 및 차단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부(200)는 차량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 또는 스캐너(예: RFID 스캐너, 적외선 스캐너 등)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수집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스캐너 또는 게이트부(200)는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gate unit 200 recognizes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as the vehicle approaches, and can perform a function of opening / closing the blocking door to / from the vehicle. For this, the gate unit 2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sensor unit (e.g., a proximity sensor, an RFID sensor, an NFC sensor, an infrared sensor, etc.), a communication unit (e.g., RF, Bluetooth, NFC, WiFi, ), A storage unit (e.g., memory), a control unit (e.g., a processor, an MCU, etc.), and a driving unit (e.g., a motor and a blocking doo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gate portion 200 may include a camera or scanner (e.g., an RFID scanner, an infrared scanner, etc.) for recognizing the car number and may be used to recognize / collect the car number of the car have. According to a non-limiting embodiment, the camera, scanner, or gate unit 200 may be implemented as being included in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컨텐츠 출력 장치(300)는 차량의 이동 경로 또는 차량이 주차되는 위치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다양한 컨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300 i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moving path of the vehicle or the position where the vehicle is parked so as to visually or auditorily provide various contents (e.g., text, images, video, icons, Function can be performed.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출력 장치(300)는 이동 또는 고정 설치될 수 있는 키오스크 형태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출력 장치(3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 장치(30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300 may be implemented in a kiosk type that can be moved or fixedly installed, or a display or a touch display system. For example, the content output device 30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emitting diode (LED)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Or a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display, or an electronic paper display. The content output device 300 may include a touch screen and may receive a touch, gesture, proximity, or hovering input using,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user's body.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의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차량출입 제어부(121), 컨텐츠 제공부(125) 및 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 vehicle access control unit 121, a content providing unit 125, and a storage unit 130.

통신부(110)는 게이트부(200), 컨텐츠 출력 장치(300) 또는 외부 서버를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와 통신연결 시킬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예를 들면, 유선통신 모듈 및 무선통신 모듈(예: RF 송/수신기, 지그비, 블루투스, GPS, WIFI 모듈, 인터넷 네트워크 또는 모바일 네트워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connect the gate unit 200,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300, or an external server to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in a communicative manner.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n RF transceiver, a ZigBee, a Bluetooth, a GPS, a WIFI module, an Internet network or a mobile network.

제어부(120)는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의 전원공급 제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동작 및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의 내부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may perform a data processing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signal flow between the overall operation such as power supply control of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and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and for processing the data. The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차량출입 제어부(121)는 게이트부(200)에서 수집된 차량 번호를 기반으로 차량의 출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출입 제어부(121)는 차량 번호와 연계되어 차량관련 정보 DB(135)에 저장된 차량관련 정보를 참조할 수 있고, 차량관련 정보 DB(135)에 저장된 차량 이미지와 게이트부(200)에서 수집된 차량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The vehicle access control unit 121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hicle enters or exits based on the vehicle number collected at the gate unit 200. The vehicle access control unit 121 can refer to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DB 135 in association with the vehicle number. The vehicle-access control unit 121 can refer to the vehicle image stored in the vehicle- Can compare the images of the vehicles collected from the vehicle.

컨텐츠 제공부(125)는 게이트부(200)를 통과한 차량의 사용자에게 물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컨텐츠 출력 장치(30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부(125)는 저장부(130), 게이트부(200) 및 외부 서버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차량에 대한 맞춤형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맞춤 컨텐츠를 컨텐츠 출력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unit 125 may control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300 to provide content related to an article or service to a user of the vehicl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gate unit 200.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ontent providing unit 125 may generate customized content for a specific vehicle by referring to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torage unit 130, the gate unit 200, and the external server, To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300.

저장부(130)는 제어부(120),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 또는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예를 들어,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data received or generated from the control unit 120,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or other components of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ystem 10. The storage unit 130 may include, for example, a memory, a cache, a buffer, and the like, and may be configured by software, firm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of them.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30)는 컨텐츠 출력 장치 DB(131) 및 차량관련 정보 DB(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출력 장치 DB(131) 및 차량관련 정보 DB(135)는 저장부(130)상에서 구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하나의 모듈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torage unit 130 may include a content output device DB 131 and a vehicle-related information DB 135.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DB 131 and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DB 135 are shown as being separated on the storage unit 13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as one module.

컨텐츠 출력 장치 DB(131)는 컨텐츠 출력 장치(300)와 관련된 하드웨어 정보, 소프트웨어 정보 및 각 컨텐츠 출력 장치(3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정보, 소프트웨어 정보 및 식별 정보는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의 구현 시 저장되거나 임의의 시점에서 변경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DB 131 may include hardwa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300, software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content output apparatus 300. Such hardware information, software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ystem 10 or may be changed or updated at any time.

차량관련 정보 DB(135)는 차량과 관련된 정보인 차량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관련 정보는 차대 번호, 차량 이미지, 차량 제원 정보(예: 차종, 배기량, 연비, 최대속도, 규격 등), 차량의 운전자 정보 및 기타 정보(예: 장애인 등록 차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관련 정보는 차량 번호와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관련 정보 DB(135)는 다양한 소스로부터 차량번호 및 차량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를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에 등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예: 컴퓨팅 장치, 단말 등), 웹 사이트 또는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차량 사용자의 성별, 나이, 관심 분야 등에 대한 정보를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에 등록할 수 있다.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DB 135 may store vehicle-related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For example,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a vehicle image, vehicle specification information (e.g., vehicle type, displacement, fuel consumption, maximum speed, specification), vehicle driver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 can do.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car number. To this end,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DB 135 can collect vehicle numbers and vehicle-related information from various sources. In addition, the user can register his / her own information in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For example, the user of the vehicle uses the application of the user's terminal (e.g., a computing device, a terminal, etc.), the website, or the terminal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x, age, .

전술한 차량출입 제어부(121) 및 컨텐츠 제공부(125)는 제어부(120)의 각 기능을 논리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분류한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차량출입 제어부(121), 컨텐츠 제공부(125)와 제어부(120)는 하나의 모듈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The vehicle access control unit 121 and the content providing unit 125 may be configured to logically or functionally classify each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120. [ Therefore, the vehicle access control unit 121, the content providing unit 125, and the control unit 120 may be configured as one module.

또한, 차량출입 제어부(121), 컨텐츠 제공부(125) 및 제어부(120)의 기능은 저장부(130, 예: 메모리)에 저장된 루틴, 명령어(instruction) 또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unction of the vehicle access control unit 121, the content providing unit 125 and the control unit 12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outine, an instruction, or a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e.g., memory).

나아가, 이러한 루틴,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도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플래쉬 메모리 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저장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Further, such routines, instructions or programs may be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 storag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storage media in which programs and data are stored so that they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include ROMs (Read Only Memory), Random Access Memory, CD (Compact Disk), DVD (Digital Video Disk) -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 Such storage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의 운용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 of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 또는 게이트부(200)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차량이 게이트부(200)의 차단 도어에 접근시, 게이트부(200)는 센서부 또는 통신부를 이용하여 차량의 차량 번호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차량 번호를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First,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or the gate unit 200 can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S310).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approaches the blocking door of the gate unit 200, the gate unit 200 may collect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using the sensor unit or the communication unit, (100).

이어서,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수집된 차량 번호와 연계된 차량관련 정보를 저장부(130) 상에서 확인할 수 있고(S330), 확인된 차량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출입의 허가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350). Then,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can confirm the vehicle 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collected vehicle number on the storage unit 130 (S330), and determine whether to permit vehicle access based on the confirmed vehicle related information (S350).

1차적인 보안 수단으로,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게이트부(200)를 통해 수집된 차량번호가 차량관련 정보에 등록된 차량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일치하는 경우 차단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As a primary security measure,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can check whether the vehicle number collected through the gate unit 200 coincides with the vehicle number registered in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and if it is the same, .

2차적인 보안 수단으로, 1차 보안에 따른 확인 동작이 완료한 경우,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게이트부(200)를 통해 수집된 차량 이미지가 차량관련 정보에 등록된 차량 이미지와 매칭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되는 경우 차단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게이트부(200)에 접근함에 따라 게이트부(200)는 차량을 촬영할 수 있고, 촬영에 따라 생성된 차량 이미지를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를 조회하여 차량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차량관련 정보에 포함된 차량 이미지와 게이트부(200)로부터 전송된 차량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알고리즘은 특징점 추출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verifi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imary security is completed as the secondary security means,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mage collected through the gate unit 200 matches the vehicle image registered in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And if it is confirmed, the blocking door can be opened. For example, as the vehicle approaches the gate unit 200, the gate unit 200 can shoot the vehicle and can transmit the generated vehicle image to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according to the shooting.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can inquire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to check the vehicle related information and compare the vehicle image included in the vehicle related information with the vehicle image transmitted from the gate unit 200. [ The comparison algorithm may use various image analysis algorithms such as feature point extra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차량 번호만을 등록된 번호와 비교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실제 촬영된 차량 이미지를 미리 등록된 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번호판 조작 등에 의한 외부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compare only the car number with the registered number but also to compare the actually photographed vehicle image with the previously registered image, thereby preventing external intrusion by manipulation of the license plate.

다음으로,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차량관련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차량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370). 예를 들어,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차량관련 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영상, 음성, 텍스트, 심볼, UI 아이템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로 가공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제공과 관련된 구체적인 동작을 도 4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에서 차량관련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내용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다.Next,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may provid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to the vehicle user (S370). For example,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may collect data corresponding to vehicle-related information and process the content into various types of content such as video, audio, text, symbols, and UI items. A specific operation related to providing such cont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4 is a specific flowchart of contents provid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vehicle-related information in the customized contents providing server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위치에 설치된 컨텐츠 출력 장치(300)들 중 적어도 일부의 컨텐츠 출력 장치(300)를 결정할 수 있다(S410). 출입된 차량이 이동하거나 주차할 때 사용자가 컨텐츠를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may determine at least some of the content output apparatuses 300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output apparatuses 300 install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S41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contents when the vehicle is parked or moved.

구체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차량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이 주차될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이 허가된 차량이 경차인 경우인 경우를 전제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와 연계된 차량관련 정보에서 해당 차량이 경차인지를 확인할 수 있고, 차량이 속해있는 건물에서 미리 지정된 경차전용 구역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경차전용 구역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출력 장치(300)를 해당 차량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컨텐츠 출력 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can predict the position where the vehicle is parked based on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vehicle permitted to enter and exit is a light vehicle.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can check whether the vehicle is a light vehicle based on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and can confirm the pre-designated light vehicle exclusive zone in the building to which the vehicle belongs. Then,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may determine at least one content output apparatus 300 allocated to the light rail dedicated area as a content output apparatus to provide the contents to the corresponding vehicle.

이와 유사하게,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차량관련 정보를 조회하여 해당 차량의 차종, 해당 차량이 장애인 차 인지 여부 또는 등록된 차량 사용자가 여성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해당 건물에 지정된 SUV/RV 전용 주차 구역, 해당 건물에 등록된 장애인 주차 구역 또는 여성 주차 전용 구역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구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출력 장치(300)를 해당 차량에 컨텐츠를 제공할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결정할 수 있다. Similarly,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can inquire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to confirm whether the vehicle type of the vehicle, whether the vehicle is a disabled person's car, or whether the registered vehicle user is a woman. Then,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can confirm the SUV / RV exclusive parking area designated in the building, the disabled parking area registered in the building, or the exclusive parking space for women, and can display at least one content output device 300) to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300 to provide the contents to the corresponding vehicle.

또한,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차량이 통과하는 경로를 인식하여 컨텐츠 출력 장치(300)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차량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차량의 주차할 위치를 예측하고, 예측된 주차 위치로 해당 차량이 이동시 통과되어야 하는 구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역에는 복수의 컨텐츠 출력 장치(300)들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해당 구역의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출력 장치(300)를 통해 이동하는 차량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구비된 컨텐츠 출력 장치(300)를 결정할 수 있다. Also,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may determine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300 by recognizing the route through which the vehicle passes. For example,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may predict the parking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based on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and may identify the area where the corresponding vehicle must pass when the vehicle is moved to the predicted parking position. Such a zone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ent output apparatuses 300, and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content output apparatus 300,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300 can be determined.

한편,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특정 주차 구역 또는 차량 이동 경로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응답하여 해당 특정 주차구역에 설치된 컨텐츠 출력 장치(300) 또는 특정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된 컨텐츠 출력 장치(300)를 결정할 수도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may receive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from the camera installed in the specific parking zone or the vehicle movement path, and in response thereto, (300) or a content output apparatus (300) installed on a specific movement route.

다음으로,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특정 차량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S430).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출입된 차량의 차량 번호와 연계된 차량관련 정보를 통해 상기 차량 운전자의 운전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 정보는 해당 운전자에 의해 미리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에 등록된 정보일 수 있으며, 예컨대, 운전자의 관심 분야 또는 관심 물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차량이 주차하려고 하는 건물(예: 백화점)의 서버(즉, 외부 서버)로부터 물품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물품 정보들 중 건물에 진입한 차량의 차량관련 정보(예: 사용자의 관심 물품 정보)에 매칭되거나 일치하는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된 정보들을 컨텐츠로 가공시켜 컨텐츠 출력 장치(300)를 통해 차량 운전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 Next,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may determine the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of the specific vehicle (S43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can confirm the driv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driver through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umber of the entering and exiting vehicle. As described above, the driver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customized contents providing server 100 by the driver,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driver's interest field or interest information. The customized contents providing server 100 may collect article information from a server (e.g., an external server) of a building (e.g., a department store) where the vehicle is to be parked, It is possible to identify information matched or matched with information (e.g., user's interest information), and to process the confirmed information into contents and expose the information to the vehicle driver through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300. [

컨텐츠를 결정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얼마나 자주 출입하는 차량인지를 파악하여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을 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소정 기간 동안 차량의 출입 횟수를 카운팅하여 제1 변수를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게이트부(200)가 설치된 백화점에서 주/월/분기/년 단위로 출입하는 차량의 출입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고, 소정 정책에 따라서 차량에 대한 제1 변수를 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or determining content,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can operate a method of providing incentives by grasping how often a vehicle enters and exits. To this end,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may calculate the first variable by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accessing the vehicle for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may count the number of times of entering / exiting a vehicle entering / exiting the department / department / department / department / year at the department store where the gate unit 200 is installed, One variable can be calculated.

그리고,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상기 운전자 정보에 따른 제2 변수를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운전자 정보에 포함된 운전자의 성별이 남자인 경우와 여자인 경우를 구별하여 서로 다른 변수 내지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변수 내지 식별자는 컨텐츠의 종류를 선택하는 이용될 수 있다. 그러면,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제1 변수와 제2 변수를 고려하여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Then,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can calculate the second variable according to the driv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can assign different variables or identifiers to the driv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iver information, by discriminating the male and female drivers. These variables or identifiers can be used to select the type of content. Then,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can determine the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the first variable and the second variabl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영업과 관련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외부 서버로부터 차량에 대한 고객관리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이러한 고객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제3 변수를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백화점에서 관리되는 고객들의 정보(예: VIP 정보)를 백화점의 관리 서버(즉,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고, 이러한 고객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에 대한 제3 변수를 산정할 수 있다. 그러면,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제1 변수와 제2 변수외에 상기 제3 변수를 더 고려하여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can determine the content considering furt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business. Specifically,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may collect the customer management information on the vehicle from the external server, and may calculate the third parameter based on the customer managemen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can receive information (for example, VIP information) of customers managed in a department store from a management server (that is, an external server) of a department store. Based on the customer management information, Can be estimated. Then,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may determine the content by further considering the third variable in addition to the first variable and the second variable.

다음으로,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차량에 인접한 컨텐츠 출력 장치(300)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S410 단계에서 결정된 컨텐츠 출력 장치(300)를 통해 S430 단계에서 결정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Next,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can output the content through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300 adjacent to the vehicle. That is,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may output the content determined in step S430 through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300 determined in step S410.

상기와 같이, 차량의 출입 횟수를 기반으로 제1 변수를 산정하고, 차량의 운전자 정보를 기반으로 제2 변수를 산정하며, 외부 서버로부터 관리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제3 변수를 산정함으로써, 해당 차량에게 가장 적합한 컨텐츠를 결정함으로써 더욱 정교한 맞춤형 컨텐츠 정보를 차량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variable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times of entering and leaving the vehicle, the second variable is calculated based on the driv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third parameter is calcul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managed from the external server. So that more sophisticated customized content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vehicle user.

도 4에서는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가 컨텐츠 출력 장치를 먼저 결정한 뒤 이어서 컨텐츠를 결정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100) 컨텐츠를 먼저 결정한 뒤 컨텐츠 출력 장치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동작이 병행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In FIG. 4,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first determines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and then determines the cont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contents output apparatuses after first determining contents of the customized contents providing server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r these operations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directly in hardware, in software modules executed in hardware, or in a combination of both. The software module may b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n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a flash memory, a hard disk, a removable disk, a CD- May reside in any form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0: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
200: 게이트부 300: 컨텐츠 출력 장치
10: Personalized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Personal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200: gate unit 300: content output device

Claims (10)

차량 출입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통신부;
차량번호 및 상기 차량번호와 연계된 차량관련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차량 출입시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차량번호와 연계된 차량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 출입의 허가 여부를 결정하고, 차량 출입 허가 시 컨텐츠 출력 장치로 상기 차량관련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차량 출입 시 촬상된 상기 차량의 촬상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집하고, 상기 차량번호와 연계된 차량관련 정보를 상기 저장부 상에서 확인하며, 차량번호를 위조한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상기 촬상 이미지와 상기 차량관련 정보에 포함된 차량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차량 출입의 허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를 예측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위치로 이동하면서 통과하여야 하는 경로를 확인하고, 복수의 컨텐츠 출력 장치 중 상기 경로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출력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출력 장치로 상기 차량관련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
A server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according to a vehicle access,
A communication unit;
A storage unit storing the vehicle number and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umber; And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when entering or exiting the vehicle,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allowed to be accessed based on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umber, and transmit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
The control unit collect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 image captured by the vehicle captured at the time of entering and exiting the vehicle, confirms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umber on the storage unit,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allow the vehicle access by comparing the captured image with a vehicle image included in the vehicle related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predicts a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identifies a route through which the vehicle should travel while moving to the parking position, and displays at least one content output device And transmit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to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ontent output apparatus .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관련 정보는 상기 차량의 종류 정보, 장애인 등록 차량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종류 정보, 장애인 등록 차량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주차되는 위치 또는 상기 차량이 통과하는 경로를 결정하는,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typ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registered vehicle information of the disabled, or the driv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 position where the vehicle is parked or a route through which the vehicle passe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ype of the vehicle, the registered vehicle information of the disabled, or the driv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관련 정보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출입한 위치와 연계된 물품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물품 정보 중에서 상기 운전자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확인하여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includes driv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Wherein,
Receives from the externa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articl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location in which the vehicle enters and exits, and confirm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river information from the article information and outputs it through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차량의 출입 횟수를 카운팅하여 제1 변수를 산정하고, 상기 운전자 정보에 따른 제2 변수를 산정하며, 상기 제1 변수 및 상기 제2 변수를 기반으로 상기 물품 정보 중에서 컨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Calculating a first variable by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accessing the vehicl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calculating a second variable according to the driver information, extracting contents from the article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variable and the second variable, And outputs the extracted content through the content output apparatu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고객관리 정보를 더 수집하고, 수집된 고객관리 정보에 따른 제3 변수를 산정하며, 산정된 제3 변수에 더 기반하여 상기 물품 정보 중에서 컨텐츠를 추출하는,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llecting further customer management information on the vehicle from the external server, calculating a third variable according to the collected customer management information, and extracting content from the article inform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third variable, Provided server.
차량 출입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차량 출입에 따라 차단수단을 개폐하며, 출입되는 차량을 촬상하여 차량의 촬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게이트부; 및
상기 게이트부로부터 차량 출입시 촬상된 상기 차량의 촬상 이미지를 수집하고, 차량번호와 연계된 차량관련 정보를 확인하며, 차량번호를 위조한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상기 촬상 이미지와 상기 차량관련 정보에 포함된 차량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차량 출입의 허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를 예측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위치로 이동하면서 통과하여야 하는 경로를 확인하고, 복수의 컨텐츠 출력 장치 중 상기 경로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출력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출력 장치로 상기 차량관련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
A personalized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according to a vehicle access,
A gate unit that opens and closes the block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vehicle, images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vehicle, and generates an image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for collecting an image picked up by the vehicle captured at the time of entering and exiting the vehicle from the gate unit , confirming vehicle-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number, controlling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vehicle forged with the vehicle numbe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be accessed by comparing the vehicle imag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predicting the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 and determining a route through which the vehicle should travel while moving to the parking position And a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content output apparatus installed in the path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 output apparatuses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related information to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ontent output apparatus , A customized content delivery system.
삭제delet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관련 정보는 상기 차량의 종류 정보, 장애인 등록 차량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맞춤형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차량의 종류 정보, 장애인 등록 차량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주차되는 위치 또는 상기 차량이 통과하는 경로를 결정하는,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typ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registered vehicle information of the disabled, or the driv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Wherein the customized content providing server comprises:
And determines a position where the vehicle is parked or a route through which the vehicle passe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yp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registered vehicle information of the disabled, or the driv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KR1020160120614A 2016-09-21 2016-09-21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 to vehicle access KR1018154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614A KR101815472B1 (en) 2016-09-21 2016-09-21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 to vehicle ac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614A KR101815472B1 (en) 2016-09-21 2016-09-21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 to vehicle acce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472B1 true KR101815472B1 (en) 2018-01-05

Family

ID=6100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614A KR101815472B1 (en) 2016-09-21 2016-09-21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 to vehicle acc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472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2531A (en) * 2018-08-03 2019-01-18 西安万像电子科技有限公司 Advertisement demonstration method and device
KR102297169B1 (en) * 2021-04-09 2021-09-03 주식회사 아프로시스템즈 Vehicel management system using vehicle license plate, vehicle model recognition and rfid sensor
KR102318946B1 (en) * 2021-05-12 2021-11-02 (주)아이씨엠비전 Vehicle number forgery prevention system
KR20220145561A (en) *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플랜비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30009597A (en) * 2021-07-09 2023-01-1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arking lot access control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003B1 (en) * 2014-03-13 2014-09-03 (주)대경시스텍 Apparatus for guiding of smart park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003B1 (en) * 2014-03-13 2014-09-03 (주)대경시스텍 Apparatus for guiding of smart parking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2531A (en) * 2018-08-03 2019-01-18 西安万像电子科技有限公司 Advertisement demonstration method and device
KR102297169B1 (en) * 2021-04-09 2021-09-03 주식회사 아프로시스템즈 Vehicel management system using vehicle license plate, vehicle model recognition and rfid sensor
KR20220145561A (en) *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플랜비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528989B1 (en) 2021-04-22 2023-05-03 주식회사 플랜비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318946B1 (en) * 2021-05-12 2021-11-02 (주)아이씨엠비전 Vehicle number forgery prevention system
KR20230009597A (en) * 2021-07-09 2023-01-1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arking lot access control method
KR102606039B1 (en) * 2021-07-09 2023-11-2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arking lot access control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472B1 (en)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 to vehicle access
US9483944B2 (en) Prediction of free parking spaces in a parking area
US8502698B2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JP5318584B2 (en) Video assisted system for elevator control
KR100794513B1 (en) System for Parking Management
US20230127521A1 (en) System for monitoring arrival of a vehicle at a given location and associated methods
KR101343102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intelligent parking lot
KR101626494B1 (en) Car shar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US20190088119A1 (en) Parking sensors capable of determining direction and speed of vehicle entering or leaving a parking lot
US10325497B2 (en) Parking sensors capable of determining direction and speed of vehicle entering or leaving a parking lot using magnetic signature recognition
JP685911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program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KR102449307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parking guidance integrated service system using vehicle wireless detection sensor and parking reservation method using this
KR20180122095A (en) Smart park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based on parking location
JP6401849B1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9061686A5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CN111080820A (en) ETC-based vehicle payment method, device,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00117318A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and method thereof
KR20060116875A (en) Park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y automatically recognizing number plate and record media recorded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KR20210030760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transportation services
US11455838B2 (en) System for monitoring arrival of a vehicle at a given location and associated methods
EP3699880B1 (en) Person display control device, person display control system and person display control method
KR102339494B1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nign entering or leaving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US201802258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n electronic money transfer in order to pay a parking fee
US202203715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WO2014199173A1 (en) Car park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