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694B1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포장체 - Google Patents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포장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8694B1 KR102408694B1 KR1020177026993A KR20177026993A KR102408694B1 KR 102408694 B1 KR102408694 B1 KR 102408694B1 KR 1020177026993 A KR1020177026993 A KR 1020177026993A KR 20177026993 A KR20177026993 A KR 20177026993A KR 102408694 B1 KR102408694 B1 KR 1024086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heat
- width
- width direction
- l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f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4—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cooling dru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6—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e.g. plastic memo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65—Heat trea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 B65C3/26—Affixing labels to non-rigid containers, e.g. bottles made of polyethylene, boxes to be inflated by internal air pressure prior to labe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42—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 B65D23/0878—Shrunk on the bottl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4—Labels, badges, e.g. marker slee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19/00—Labels, badg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가 얇더라도 폭방향의 물성차를 작게 억제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서, 필름 폭방향을 주 수축방향으로 하고, 아래의 요건 (1)~(5)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공한다.
(1) 필름의 두께가 6 ㎛ 이상 27 ㎛ 이하, (2) 필름의 분자 배향각도를 구했을 때의 최대값이 5도 이하, (3) 90℃에서의 필름 폭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40% 이상 85% 이하, (4) 90℃에서의 필름 폭방향의 온탕 수축률을 구했을 때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2% 이하, (5) 90℃에서의 필름 폭방향의 최대 열수축 응력을 구했을 때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0.3 ㎫ 미만.
(1) 필름의 두께가 6 ㎛ 이상 27 ㎛ 이하, (2) 필름의 분자 배향각도를 구했을 때의 최대값이 5도 이하, (3) 90℃에서의 필름 폭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40% 이상 85% 이하, (4) 90℃에서의 필름 폭방향의 온탕 수축률을 구했을 때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2% 이하, (5) 90℃에서의 필름 폭방향의 최대 열수축 응력을 구했을 때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0.3 ㎫ 미만.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수축성 라벨 용도에 적합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라벨을 사용한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리병 또는 플라스틱병 등의 보호와 상품의 표시를 겸한 라벨 포장, 캡실, 집적포장 등의 용도로 내열성이 높고 소각이 용이하며 내용제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의 열수축성 필름이 수축 라벨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오고 있으며,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병 용기 등의 증대에 수반하여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지금까지는 PET병 피복용 라벨로서는 두께가 40~60 ㎛인 열수축성 필름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열수축성 필름은 내용물을 이용한 후에는 단지 쓰레기가 된다. 이에 가급적 쓰레기를 줄이고자 하는 환경의식이 높아지고 있어, 필름 제조사도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두께도 얇게 하는 것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두께를 얇게 하면, 가열에 대해 필름 내부까지 빠르게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열수축도 빠르게 시작된다. 이때 필름 폭방향으로 두께의 편차나 분자 배향의 편차가 있으면, 열수축 특성에 현저히 편차가 나타나게 된다. 그 결과, 수축 후의 외관 불량을 일으켜 불량품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종래부터 횡연신장치 내에서 폭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은 중앙부와 양단부에서 분자 배향상태가 상이한 것이 알려져 있다(보잉 현상). 특허문헌 1에는 열수축성 필름은 아니지만, 이축 연신 필름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연신할 때의 필름 온도를 필름 폭방향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보잉 현상을 억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도 폭방향으로 두께 편차가 없는 횡연신 필름을 얻기 위해, 폭방향의 온도 분포가 일정해지도록 가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모두 열수축성 필름에 관한 것은 아니다. 열수축성 필름의 경우 분자 배향상태의 편차가 현저히 열수축 거동의 편차로서 나타나기 때문에, 종래기술보다도 더욱 고도의 제어가 필요하다.
또한 최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두께를 얇게 한 열수축성 필름이 증가하고 있다. 두께가 얇은 필름은 두께가 두꺼운 필름에 비해 생산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필름 연신 시의 연신속도(변형속도)가 빨라진다. 이 때문에 연신 시에 분자 배향상태의 편차가 현저히 생기기 쉬워지는 점이 문제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두께가 얇더라도 폭방향의 물성차를 작게 억제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제공을 과제로서 들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필름 폭방향을 주 수축방향으로 하고, 아래의 요건 (1)~(5)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다.
(1) 필름의 두께가 6 ㎛ 이상 27 ㎛ 이하,
(2) 폭 800 ㎜ 이상의 필름에 있어서 폭 800 ㎜를 8분할하여 시료로 하고, 모든 시료에 대해서 필름의 분자 배향각도를 구했을 때의 최대값이 5도 이하,
(3) 폭 800 ㎜ 이상의 필름에 있어서 폭 800 ㎜를 8분할하여 시료로 하고, 모든 시료에 대해서 90℃에서의 필름 폭방향의 온탕 수축률의 모든 값이 40% 이상 85% 이하,
(4) 폭 800 ㎜ 이상의 필름에 있어서 폭 800 ㎜를 8분할하여 시료로 하고, 모든 시료에 대해서 90℃에서의 필름 폭방향의 온탕 수축률을 구했을 때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2% 이하,
(5) 폭 800 ㎜ 이상의 필름에 있어서 폭 800 ㎜를 4분할하여 시료로 하고, 모든 시료에 대해서 90℃에서의 필름 폭방향의 최대 열수축 응력을 구했을 때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0.3 ㎫ 미만.
또한, 폭 800 ㎜ 이상의 필름에 있어서 폭방향 800 ㎜에 대해서 50 ㎜ 피치로 흡광도비를 측정하여, 17개소에 대해서 편광 ATR법으로 구한 1,340 ㎝- 1와 1,410 ㎝-1의 흡광도비(1,340 ㎝-1/1,410 ㎝-1)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0.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 800 ㎜ 이상의 필름에 있어서 폭 800 ㎜에 걸쳐 두께를 측정하여, 두께의 평균값을 Tave, 최대값을 Tmax, 최소값을 Tmin으로 했을 때, 아래 식으로 구해지는 폭방향의 두께 편차가 1% 이상 13% 이하인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는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부터 얻어진 라벨로, 포장 대상물의 적어도 바깥둘레 일부를 피복하여 열수축시켜서 형성되는 포장체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얇은 필름이면서 폭방향의 물성차가 작게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열수축 거동의 폭방향의 편차도 작게 억제할 수 있었다.
도 1은 횡연신기를 위에서 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닛을 주된 구성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닛은 폴리에스테르의 구성 유닛 100 몰% 중 50 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60 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70 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다른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데칸디카르복실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식 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3가 이상의 다가 카르복실산(예를 들면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및 이들의 무수물 등)을 폴리에스테르에 함유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다가 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얻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경우, 필요한 고수축률을 달성하기 어려워진다.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올 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외에, 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n-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2,2-이소프로필-1,3-프로판디올, 2,2-디-n-부틸-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헥산디올 등의 지방족 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지환식 디올, 비스페놀 A 등의 방향족계 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환상 디올이나, 탄소수 3~6개를 갖는 디올(예를 들면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헥산디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1,4-부탄디올이나 네오펜틸글리콜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을 만족시키는 폴리에스테르가 얻기 쉬워진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는 전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 있어서의 다가 알코올 성분 100 몰% 중 및 다가 카르복실산 성분 100 몰% 중(즉, 합계 200 몰% 중)의 비정질 성분의 합계가 17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18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9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몰% 이상이다. 또한 비정질 성분의 합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30 몰%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정질 성분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유리 전이점(Tg)을 60~80℃로 조정한 폴리에스테르가 얻어진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에는 탄소수 8개 이상의 디올(예를 들면 옥탄디올 등) 또는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등)을 함유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디올 또는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얻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경우, 필요한 고수축률을 달성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에는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가급적 함유시키지 않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 중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왁스류,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결정핵제, 감점제, 열안정제, 착색용 안료, 착색방지제, 자외선흡수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 중에는 필름의 작업성(미끄러짐성)을 양호하게 하는 활제로서의 미립자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로서는 임의의 것을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무기계 미립자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카올린, 황산바륨 등, 유기계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입자, 멜라민 수지 입자, 실리콘 수지 입자,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0.05~3.0 ㎛의 범위 내(쿨터카운터로 측정한 경우)에서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 중에 상기 입자를 배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조하는 임의의 단계에 있어서 첨가할 수 있는데, 에스테르화의 단계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종료 후, 중축합반응 개시 전의 단계에서 에틸렌글리콜 등에 분산시킨 슬러리로서 첨가하여 중축합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벤트 부착 혼련 압출기를 사용하여 에틸렌글리콜 또는 물 등에 분산시킨 입자의 슬러리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원료를 블렌딩하는 방법, 또는 혼련 압출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킨 입자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원료를 블렌딩하는 방법 등으로 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는 필름 표면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코로나 처리, 코팅 처리나 화염 처리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적어도 1층 갖는 수지형 폴리에스테르 필름도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이 2층 이상 적층될 때는 그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은 같은 조성의 폴리에스테르여도 되고, 상이한 조성의 폴리에스테르여도 된다. 또한 다른 층으로서 적층 가능한 층은 열가소성 수지층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격이나 열수축 특성으로부터 폴리스티렌계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스티렌계 수지에는 열가소성 수지 및/또는 고무 성분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어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티렌, AS 수지, ABS 수지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2, 나일론 4, 폴리헥사메틸렌아지파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고무 성분으로서는 스티렌계 화합물을 그 구성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고무상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스티렌과 고무 성분으로부터 각각 1종 이상을 선택하여 공중합한 랜덤, 블록 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고무상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그들의 부타디엔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소화한 고무, 아크릴산 메틸-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고무, 아크릴로니트릴-알킬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고무, 메타크릴산 메틸-알킬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스티렌계 화합물을 그 구성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고무상 공중합체는 스티렌 단위를 갖기 때문에,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티렌계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양호하고, 폴리스티렌계 수지에 대한 가소성 개량효과가 크다. 또한, 상용성 조정제로서는, 상기한 스티렌계 화합물을 그 구성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고무상 공중합체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고무 성분으로서는 그 밖에 천연 고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네오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아크릴 고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고무, 폴리에스테르-에스테르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50,000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미만인 것은, 필름의 강신도 특성이나 내열성이 저하되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중량 평균 분자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000을 상회하면 연신장력의 증대에 수반되는 파단의 발생 등이 생기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폴리스티렌계 수지는 각종 제조사에 의해 여러 등급의 것이 시판되고 있어 시판의 것을 사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특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두께가 6 ㎛ 이상 27 ㎛ 이하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박육화에 있기 때문에, 이 범위여야만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6 ㎛ 이상 2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 이상 20 ㎛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폭방향의 두께 편차가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편차는 폭 800 ㎜ 이상의 필름을 좌우 균등하게 잉여분이 생기도록 폭 800 ㎜를 샘플링한 필름을 사용한다(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한다.). 그리고 폭 800 ㎜, 길이 40 ㎜의 샘플을 잘라내고, 안리츠 주식회사 제조 「필름 시넥스」를 사용하여 측정압 0.15 gf의 하중으로 속도 5 m/분으로 두께를 측정한다. 두께의 평균값을 Tave, 최대값을 Tmax, 최소값을 Tmin으로 했을 때, 두께 편차는 아래 식으로 표시된다.
두께 편차가 13%를 초과해 버리면 폭방향의 열수축 거동에도 편차가 생기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두께 편차는 작을수록 바람직한데, 1%보다 작게 하는 것은 제조상 곤란하기 때문에 1%가 하한이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폭 800 ㎜ 이상의 필름에 있어서 폭 800 ㎜를 폭방향으로 8분할하여 시료로 하고, 모든 시료에 대해서 필름의 분자 배향각도를 구했을 때의 최대값이 5도 이하이다. 시료의 크기는 길이방향×폭방향=100 ㎜×100 ㎜로 한다. 아래에서 분자 배향각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분자 배향축이란, 필름의 길이방향을 X축, 필름의 폭방향을 Y축, 필름의 두께방향을 Z축방향으로 한 경우에, 필름의 XY 평면 상에서 봤을 때 가장 분지 배향도가 큰 방향을 말한다. 그리고, 분자 배향각이란, 상기 분자 배향축을 측정한 경우의 분자 배향축이 필름 길이방향 또는 필름 폭방향에서 벗어나는 각도를 의미한다. 분자 배향각의 측정방법으로서는, 폭 800 ㎜ 이상의 필름에 있어서 좌우 균등하게 잉여분이 생기도록 채취한 폭 800 ㎜의 필름을 폭방향으로 8분할하여 길이방향×폭방향=100 ㎜×100 ㎜의 직사각형의 샘플을 채취한다. 잘라낸 필름 샘플에 대해 분자 배향각(분자 배향축 방향의 각도)을 오지 계측기기 주식회사 제조의 분자 배향각 측정장치(MOA-6004)로 측정한다. 분자 배향각은 필름 길이방향의 각도를 0도로 하고, 상기 분자 배향축의 방향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45도보다 작을 때는 0도로부터의 차, 45도보다 클 때는 90도로부터의 차를 구한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폭방향이 800 ㎜ 이상인 필름의 폭 800 ㎜를 폭방향으로 8분할하여, 폭방향을 따르는 한변이 10 ㎝이고, 폭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한변이 10 ㎝인 정사각형상의 시료를 잘라내, 90℃±0.5℃의 온탕 중에 무하중 상태로 10초간 침지하고, 필름을 바로 25℃±0.5℃의 수중에 10초간 침지시킨 후, 수축 전후의 길이로부터 아래 식 1로 산출한 필름의 폭방향(주 수축방향)의 열수축률(즉, 90℃의 온탕 수축률)의 모든 값이 40% 이상 85% 이하이다.
90℃에 있어서 폭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40% 미만이면, 용기 전체를 덮는(소위 풀라벨) 고수축 필름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지 못할 뿐 아니라 수축량이 작기 때문에, 라벨로서 사용한 경우에 열수축 후의 라벨에 변형, 수축 부족, 주름, 느슨해짐 등이 발생하게 된다. 90℃의 온탕 수축률은 45% 이상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90℃에 있어서 폭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85%를 초과하는 필름에 대한 요구도는 낮기 때문에 온탕 열수축률의 상한을 85%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측정된 필름 길이방향(주 수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90℃의 온탕 수축률이 -5% 이상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90℃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온탕 수축률이 -5%보다도 작으면, 가열에 의해 필름이 신장되는 양이 지나치게 많아, 병의 라벨로서 사용할 때 양호한 수축 외관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로 90℃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온탕 열수축률이 12%를 초과하면, 열수축 후의 라벨이 짧아져(라벨 높이가 감소) 라벨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풀라벨로서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또한 열수축 후의 라벨에 변형이 생기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90℃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온탕 수축률의 상한에 관해서는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6%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폭 800 ㎜를 폭방향으로 8분할한 시료 8개 중, 90℃에 있어서 폭방향의 온탕 수축률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는 2% 이하인 것도 중요하다. 이 차가 2%를 초과하면 폭방향의 온탕 수축률에 편차가 생기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폭 800 ㎜를 폭방향으로 4분할한 시료에 대해서, 90℃의 열풍 중에서 필름 폭방향의 최대 수축 응력을 측정했을 때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0.3 ㎫ 미만인 것도 중요하다. 이 차가 0.3 ㎫ 이상이 되면 폭방향의 열수축 거동에 편차가 생기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90℃의 열풍 중의 필름 폭방향의 최대 수축 응력은 2 ㎫ 이상 14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폭방향의 90℃에서의 최대 수축 응력이 2 ㎫를 하회하면, 병의 라벨로서 사용할 때 라벨이 느슨해져 병에 밀착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90℃의 최대 수축 응력은 4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5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대로 90℃의 최대 수축 응력이 14 ㎫를 상회하면, 열수축 후의 라벨에 변형이 생기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90℃의 최대 수축 응력은 13.5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3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최대 수축 응력의 측정시료의 길이는 100 ㎜로 한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필름 폭방향 800 ㎜에 대해서 50 ㎜ 피치로 흡광도비를 측정하여(17개소 측정), 편광 ATR법으로 구한 1,340 ㎝- 1와 1,410 ㎝-1의 흡광도비(1,340 ㎝-1/1,410 ㎝-1)의 17개소 측정에 있어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0.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광도비는 분자 배향의 트랜스 형태(trans conformation) 비율을 나타낸다. 트랜스 형태는 분자사슬의 뒤얽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며, 트랜스 형태 비율이 높으면 분자사슬의 뒤얽힘 상태도 심하다. 비결정 모노머를 사용한 폴리에스테르를 원료로 하는 경우는, 분자사슬의 구조(회전 이성체의 길이)의 차이로 수축의 용이함이 변화되는데, 수축이 용이한 분자사슬의 뒤얽힘이 심하면, 뒤얽힘을 풀 수 있는 데 충분한 열을 가함으로써 분자사슬의 뒤얽힘이 완화되어 작아지고(분자사슬의 변화가 커지고), 수축률도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흡광도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0.05를 초과하면 폭방향의 열수축 거동에 편차가 생긴 것을 의미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17개소 각각의 측정에 있어서 폭방향의 흡광도비 자체는 0.65~1.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폭방향의 흡광도비가 0.65 미만인 경우는 분자 배향이 높기 때문에 90℃의 수축률이 작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흡광도비는 0.67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0.69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필름 폭방향의 흡광도비가 1.0을 초과하면 분자 배향이 지나치게 높아지고 수축속도가 빨라져(완만하게 수축되지 않음), 수축 후의 라벨에 주름이나 변형이 발생하기 쉽다. 폭방향의 흡광도비는 0.9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96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편광 ATR법은 시료 표면(수 ㎛ 정도)의 분자 배향을 해석하는 수법이기 때문에, 적측형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는 최외층의 폴리에스테르층에 있어서 흡광도비가 상기 수치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광도비의 측정방법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상기한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압출기에 의해 용융 압출하여 미연신 필름을 형성하고, 그 미연신 필름을 아래에 나타내는 소정의 방법으로 가로 일축 연신하여 열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적층하는 경우는 복수의 압출기나 피드블록, 멀티매니폴드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는 상기한 적합한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올 성분을 공지의 방법으로 중축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통상은 칩의 폴리에스테르를 2종 이상 혼합하여 필름의 원료로서 사용한다. 적층하는 경우는 복수의 압출기를 사용하면 된다.
원료 수지를 용융 압출할 때는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호퍼 드라이어, 패들 드라이어 등의 건조기, 또는 진공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건조시킨 후에, 압출기를 이용하여 200~300℃의 온도에서 용융하고 필름 형상으로 압출한다. 압출 시에는 T 다이법, 튜블러법 등, 기존의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출 후의 시트 형상의 용융 수지를 급랭함으로써 미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용융 수지를 급랭하는 방법으로서는, 용융 수지를 구금으로부터 회전 드럼 상에 캐스팅하여 급랭 고화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미배향의 수지 시트를 얻는 방법을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얻어진 미연신 필름은 필요에 따라 80~120℃, 바람직하게는 90~110℃에서 예열한 후, 횡방향(압출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텐터 등으로 3.0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3.5배 이상 7배 이하로 연신한다. 연신온도는 65℃ 이상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95℃ 이하이다. 횡연신 전후에 종연신을 반드시 행할 필요는 없지만, 필요에 따라 종연신을 행해도 된다.
횡연신 시에는 필름의 양단부(필름 전체 폭의 각각 5%~20%)를 적외선 세라믹 히터로 가열하여, 필름 중앙부의 온도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름 중앙부보다도 1~4℃ 높은 온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텐터를 사용하여 횡연신할 때 필름 양단은 클립으로 파지되기 때문에, 단부의 두께가 중앙부보다 두꺼워진다. 그 결과, 연신 시에 필름 단부의 온도가 중앙부보다 낮아져 연신응력이 증대되기 때문에 소위 보잉 현상이 커져, 필름 폭방향의 물성차가 커진다. 이를 억제하기 위해, 횡연신할 때의 적외선 세라믹 히터의 출력을 조정하여 연신 후 단부의 필름 온도가 중앙부와 동등하거나, 또는 중앙부보다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 전체 두께가 얇아지면, 생산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생산속도를 빠르게 할 필요가 있다. 생산속도가 빨라지면 텐터 내에서의 체류시간이 짧아져, 폭방향의 온도차가 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생산속도가 빠르면 횡연신 시의 변형속도도 빨라져, 연신응력이 증가되어 보잉 현상이 커져, 필름 폭방향의 물성차가 커진다. 따라서 단부의 연신응력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횡연신 후에는 연신온도보다 1℃~30℃ 높은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는 연신 후의 필름의 긴장상태를 완화시키기 위해 행해지며, 열처리 시의 온도로 열수축률의 조정을 행하고, 또한 자연 수축률을 감소시키는 데도 효과가 있다. 그러나 열처리의 단점으로서 연신 후의 필름을 열처리 구역에서 가열하면 보잉 현상이 발생하여 폭방향의 물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참고문헌:성형가공, 4(5), 312(1992), 플라스틱 성형가공학회 발행).
이에 발명자들은 보잉 현상의 억제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1) 횡연신공정에서 필름 단부를 가열함으로써 열처리 구역에서의 보잉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폭방향 물성차가 작아지고, (2) 활 형상으로 발생하는 보잉 현상에 있어서, 열처리공정에서 단부를 가열함으로써 전체 폭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균일하게 수축되게 되기 때문에, 활 형상의 각도가 완만해지고, 보잉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폭방향 물성차가 작아진다는 두 가지 지견(知見)이 얻어졌다.
이 때문에 적외선 세라믹 히터는 상기 횡연신공정 외에도 열처리공정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믹 히터로 가열하는 것은 필름 단부로부터 전체 폭의 5~20%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열처리공정 후의 필름 폭방향의 온도로 단부가 중앙부보다 1~4℃ 높아지도록 적외선 세라믹 히터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라벨화할 수 있다. 일례로서는, 목적하는 폭으로 재단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적당한 인쇄를 행하고, 용제 접착 등에 의해 필름의 좌우 단부를 포개어 접합하여 튜브 필름을 제조한다. 이 튜브 필름을 적절한 길이로 재단하여 튜브 형상 라벨로 한다. 접착용 유기 용제로서는 1,3-디옥솔란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환상 에테르류가 바람직하다. 이 밖에, 벤젠, 톨루엔, 크실렌, 트리메틸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나 페놀 등의 페놀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라벨에 대해 공지의 방법으로 절취선을 형성한 후 PET병에 씌우고, 당해 PET병을 벨트 컨베이어 등에 올려 스팀을 내뿜는 타입의 수축 터널(스팀 터널), 또는 열풍을 내뿜는 타입의 수축 터널(열풍 터널)의 내부를 통과시킨다. 이들 터널 통과 시에 라벨이 열수축됨으로써 라벨이 PET병 등의 병 용기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포장체는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부터 얻어진 절취선 또는 노치를 갖는 라벨을 포장 대상물의 적어도 바깥 둘레의 일부에 피복하여 열수축시켜서 형성되는 것이다. 포장 대상물로서는 음료용 페트병을 비롯하여, 각종 병, 캔, 과자나 도시락 등의 플라스틱 용기, 종이상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통상 이들 포장 대상물에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부터 얻어지는 라벨을 열수축시켜서 피복시키는 경우에는, 해당 라벨을 약 5~70% 정도 열수축시켜서 포장체에 밀착시킨다. 또한 포장 대상물에 피복되는 라벨에는 인쇄되어 있어도 되고, 인쇄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본 출원은 2015년 3월 25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5-63114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이다. 2015년 3월 25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5-63114호의 명세서의 전체 내용이 본 출원에 참고를 위해 원용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의 태양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필름의 평가방법을 아래에 나타낸다.
[열수축률(온탕 열수축률)]
폭방향이 800 ㎜ 이상인 필름의 폭 800 ㎜를 폭방향으로 8분할하여, 폭방향을 따르는 한변이 10 ㎝이고, 폭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는 한변이 10 ㎝인 정사각형상의 시료를 잘라내, 90℃±0.5℃의 온탕 중에 무하중 상태로 10초간 침지하고, 필름을 바로 25℃±0.5℃의 수중에 10초간 침지시킨 후, 수축 전후의 길이로부터 아래 식 1에 의해 열수축률(즉, 90℃의 온탕 수축률)을 구하였다.
[수축 응력]
폭 800 ㎜ 이상인 필름의 폭 800 ㎜를 폭방향으로 4분할한 시료에 대해서, 도요 볼드윈사 제조(현재 회사명 오리엔텍사)의 가열로 부착 강신도 측정기(텐실론(오리엔텍사의 등록상표))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가열로는 사전에 90℃로 가열해 두고, 척간 거리는 100 ㎜로 하였다. 가열로의 송풍을 일단 멈추고 가열로의 문을 열어 시료를 척에 장착한 후, 신속하게 가열로의 문을 닫고 송풍을 재개하였다. 측정은 30초 이상 행하고, 측정 중의 최대값을 최대 수축 응력(㎫)으로 하였다.
[흡광도비]
폭 800 ㎜ 이상의 필름에 있어서 폭방향 800 ㎜를 50 ㎜ 피치로 흡광도비를 측정하여(17개소 측정), 모든 시료(상기 17개소 측정)에 대해서 1,340 ㎝- 1와 1,410 ㎝-1의 흡광도비(1,340 ㎝-1/1,410 ㎝-1)를 편광 ATR법으로 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FT-IR장치(「FTS 60A/896」, 바리안사 제조)를 사용해서, ATR법으로 측정 파장영역을 650~4,000 ㎝-1로 하고, 적산 횟수를 128회로 하여, 편광을 걸어 적외선 스펙트럼의 흡수밴드를 이용해서 행하였다.
[분자 배향각도]
폭 800 ㎜ 이상의 필름에 있어서 폭 800 ㎜를 폭방향으로 8분할하여 길이방향×폭방향=100 ㎜×100 ㎜의 샘플을 잘라내었다. 잘라낸 필름 샘플에 대해 분자 배향각(분자 배향축 방향의 각도)을 오지 계측기기 주식회사 제조의 분자 배향각 측정장치(MOA-6004)로 측정한다. 분자 배향각은 필름 길이방향의 각도를 0도로 하고, 상기 분자 배향축의 방향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45도보다 작을 때는 0도로부터의 차, 45도보다 클 때는 90도로부터의 차를 구하였다.
[필름 두께 및 두께 편차]
폭 800 ㎜ 이상의 필름을 폭 800 ㎜, 길이 40 ㎜로 잘라내고, 안리츠 주식회사 제조 「필름 시넥스」를 사용하여 측정압 0.15 gf의 하중으로 속도 5 m/분으로 두께를 측정하였다. 두께의 평균값을 Tave, 최대값을 Tmax, 최소값을 Tmin으로 하고, 하기 식으로 두께 편차의 값을 구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원료의 조제]
교반기, 온도계 및 부분 환류식 냉각기를 구비한 스테인리스스틸제 오토클레이브에 이염기산 성분으로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 100 몰%와,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EG) 70 몰%와 네오펜틸글리콜 30 몰%를, 글리콜 성분이 몰비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2.2배가 되도록 넣고, 에스테르 교환 촉매로서 초산아연을 0.05 몰%(산성분에 대해) 사용하여 생성되는 메탄올을 계(系)외로 증류 제거하면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행하였다. 그 후에 중축합 촉매로서 삼산화안티몬 0.025 몰%(산성분에 대해)를 첨가하고, 280℃에서 26.6 ㎩(0.2 토르)의 감압 조건하 중축합 반응을 행하여 고유점도 0.70 ㎗/g의 폴리에스테르(A)를 얻었다. 통상의 방법으로 칩화하여 칩 A를 얻었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 1에 나타내는 칩 B(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 C(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합성하였다. 또한 표 중 NPG는 네오펜틸글리콜이다. 칩 A, B, C의 고유점도는 각각 0.72 ㎗/g, 0.70 ㎗/g, 1.15 ㎗/g이었다.
실시예, 비교예에서 사용한 원료 칩의 내용,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 필름의 수지 조성과 제조조건을 각각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6 이외는 블렌드 폴리머에 의한 1층 타입의 필름이고, 실시예 6은 X/Y/Z/Y/X의 3종 5층 타입의 필름이다.
실시예 1
상기한 폴리에스테르 A, 폴리에스테르 B 및 폴리에스테르 C를 질량비 70:20:10으로 혼합하여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이 혼합 수지를 280℃에서 용융시켜서 T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표면 온도 30℃로 냉각된 회전하는 금속 롤에 감아 급랭함으로써 두께 72 ㎛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때의 미연신 필름의 인취속도(금속 롤의 회전속도)는 약 20 m/min였다. 또한 미연신 필름의 Tg는 67℃였다.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텐터(횡연신기)로 도입하였다. 도 1에 횡연신기를 위에서 본 설명도를 나타낸다. 검은 네모는 적외선 세라믹 히터이다. 예열공정은 설정온도를 95℃로 하였다. 도 1과 같이 적외선 세라믹 히터를 두고(또한 이 배치는 일례임), 출력을 60%로 조정함으로써, 필름의 양단부를 가열하면서 횡연신의 설정온도를 75℃로 하여 4배 연신하였다. 계속해서 열처리공정을 85℃에서 8초, 긴장상태에서 행하였다. 이때 열처리 구역의 적외선 히터는 사용하지 않았다.
그 후, 냉각하고, 양쪽 가장자리부를 재단 제거하여 폭 1,600 ㎜로 롤 형상으로 감음으로써 18 ㎛의 가로 일축 연신 필름을 소정 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제조하였다. 그 후, 얻어진 필름을 폭 800 ㎜로 2개 채취할 수 있도록 중앙부를 경계로 슬릿을 행하였다. 얻어진 슬릿 후의 800 ㎜ 폭의 필름의 특성을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
횡연신배율을 5배로 하고, 열처리공정의 설정온도를 80℃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14.4 ㎛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3
폴리에스테르 A와 폴리에스테르 B를 질량비 60:40으로 혼합하고, 예열공정의 설정온도를 100℃로 하며, 횡연신의 설정온도를 80℃로 하고, 적외선 세라믹 히터의 출력을 90%로 올린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18 ㎛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미연신 필름의 Tg는 75℃였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용융 압출 후의 냉각 롤의 속도를 45 m/min로 빠르게 하여 미연신 필름의 두께를 32 ㎛로 하고, 예열공정의 설정온도를 90℃, 횡연신의 설정온도를 72℃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8 ㎛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단 열처리공정의 통과시간은 8초에서 3.6초로 짧아졌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예열공정의 설정온도를 95℃, 횡연신의 설정온도를 75℃, 열처리공정의 설정온도를 95℃로 한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8 ㎛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6
공압출법을 이용하여 코어층 형성용 수지, 스킨층 형성용 수지, 접착제층 형성용 수지를 각각의 압출기(제1~제3 압출기)로부터 용융 압출하여 다이스(T 다이) 내에서 적층하고, 에어 나이프법으로 30℃로 냉각된 회전하는 금속 롤에 감아 급랭함으로써, 두께가 72 ㎛이고, 3종 5층 구성, 즉 코어층의 표리 양측에 중간층(접착제층)이 적층되고, 그들 중간층의 외측에 각각 스킨층 이 적층된 구성의 미연신 필름(폴리스티렌계 수지 적층 시트)을 얻었다. 미연신 필름의 각층의 형성방법(용융 압출까지의 공정)은 아래와 같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 있어서는 폴리스티렌계 혼합 수지 적층 시트의 표리로부터 순서대로 제1층, 제2층, 제3층, 제4층, 제5층이라 한다(즉, 제5층의 표면은 금속 롤 접촉면이다). 이때의 미연신 필름의 인취속도(금속 롤의 회전속도)는 약 20 m/min였다.
·제1층, 제5층(스킨층)의 형성
상기한 칩 A와 B를 각각 블렌더장치를 사용하여 예비 건조한 후, 그 예비 건조 후의 칩 A 95 질량부와 칩 B 5 질량부를 블렌더로 혼합시킨 후, 제1 압출기 바로 위의 호퍼에 정량 스크류 피더로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그리고, 공급된 칩 A 및 B의 혼합물을 단축식 제1 압출기의 T 다이로부터 280℃에서 용융 압출하였다(코어층의 표리 외측에 적층된 중간층의 외측에 적층되도록 용융 압출하였다). T 다이로부터의 압출을 안정시키기 위해 압출기와 T 다이 사이에 나선형 타입이며 병렬 타입인 기어펌프를 개재시켰다.
·제2층, 제4층(접착제층)의 형성
상기한 칩 D를 블렌더장치를 사용하여 예비 건조한 후, 그 예비 건조 후의 칩 D를 제2 압출기 바로 위의 호퍼에 정량 스크류 피더로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그리고, 공급된 칩 D를 단축식 제2 압출기의 T 다이로부터 용융 압출하였다(코어층의 표리 외측에 적층되도록 용융 압출하였다). 또한 제2 압출기의 온도는 200℃로 조정하였다. 또한 제1 압출기에 의한 압출과 마찬가지로, T 다이로부터의 압출을 안정시키기 위해 압출기와 T 다이 사이에 나선형 타입이며 병렬 타입인 기어펌프를 개재시켰다.
·제3층(코어층)의 형성
상기한 칩 E, F, G를 각각 블렌더장치를 사용하여 예비 건조한 후, 그들 칩 E, F, G를 혼합 믹서 내로 정량 스크류 피더로 연속적으로 따로 따로 공급하였다. 또한 칩 E의 공급량을 43 질량부로 하고, 칩 F의 공급량을 43 질량부로 하며, 칩 G의 공급량을 14 질량부로 하였다. 그 후, 혼합 믹서 내에서 혼합한 칩 E, F, G의 혼합 원료를 제3 압출기 바로 위의 호퍼에 정량 스크류 피더로 연속적으로 따로 따로 공급하였다. 그리고, 공급된 칩 E, F, G(혼합이 끝난 것)를 단축식 제3 압출기의 T 다이로부터 용융 압출하였다. 또한, 제3 압출기의 온도도 200℃로 조정하였다. 또한 제1 압출기에 의한 압출이나 제2 압출기에 의한 압출과 마찬가지로, T 다이로부터의 압출을 안정시키기 위해 압출기와 T 다이 사이에 나선형 타입이며 병렬 타입인 기어펌프를 개재시켰다.
또한, 상기 각 압출기에 의한 수지의 압출에 있어서 미연신 필름의 형성에서 제1~제3 압출기의 토출량은 제1층/제2층/제3층/제4층/제5층의 두께비가 20/3/26/3/20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예열공정의 설정온도를 100℃, 연신공정의 설정온도를 80℃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18 ㎛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7
횡연신공정에서의 적외선 히터의 출력을 0%로 하고, 열처리공정에서의 설정온도를 84℃로 하며, 열처리공정에서의 적외선 히터의 출력을 60%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18 ㎛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열처리공정에서의 적외선 히터의 출력을 90%로 한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두게 18 ㎛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열처리공정에서의 설정온도를 84℃로 하고, 열처리공정에서의 적외선 히터의 출력을 50%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18 ㎛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용융 압출 후의 냉각 롤의 속도를 9 m/min로 느리게 하고, 미연신 필름의 두께를 160 ㎛로 하며, 예열을 100℃에서 행하고, 횡연신을 78℃에서 행하며, 적외선 세라믹 히터의 출력을 0%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40 ㎛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단 열처리공정의 통과시간은 8초에서 17.8초로 길어졌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용융 압출 후의 냉각 롤의 속도를 45 m/min로 빠르게 하고, 미연신 필름의 두께를 32 ㎛로 하며, 예열을 90℃에서 행하고, 적외선 세라믹 히터의 출력을 0%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8 ㎛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단 열처리공정의 통과시간은 8초에서 3.6초로 짧아졌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3
횡연신을 70℃에서 행하고, 적외선 세라믹 히터의 출력을 0%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18 ㎛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4
횡연신공정에서의 적외선 세라믹 히터의 출력을 30%로 하고, 열처리공정에서의 설정온도를 95℃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두께 8 ㎛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박막이면서, 폭방향의 열수축 거동의 편차가 작다. 따라서, 공업적으로 연속으로 가공되는 병 등의 라벨 용도 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필름 위치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라벨이 깨끗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Claims (4)
- 필름 폭방향을 주 수축방향으로 하고, 아래의 요건 (1)~(5)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1) 필름의 두께가 6 ㎛ 이상 27 ㎛ 이하,
(2) 폭 800 ㎜ 이상의 필름에 있어서 폭 800 ㎜를 8분할하여 시료로 하고, 모든 시료에 대해서 필름의 분자 배향각도를 구했을 때의 최대값이 5도 이하,
(3) 폭 800 ㎜ 이상의 필름에 있어서 폭 800 ㎜를 8분할하여 시료로 하고, 모든 시료에 대해서 90℃에서의 필름 폭방향의 온탕 수축률의 모든 값이 40% 이상 85% 이하,
(4) 폭 800 ㎜ 이상의 필름에 있어서 폭 800 ㎜를 8분할하여 시료로 하고, 모든 시료에 대해서 90℃에서의 필름 폭방향의 온탕 수축률을 구했을 때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2% 이하,
(5) 폭 800 ㎜ 이상의 필름에 있어서 폭 800 ㎜를 4분할하여 시료로 하고, 모든 시료에 대해서 90℃에서의 필름 폭방향의 최대 열수축 응력을 구했을 때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0.3 ㎫ 미만. - 제1항에 있어서,
폭 800 ㎜ 이상의 필름에 있어서 폭방향 800 ㎜에 대해서 50 ㎜ 피치로 흡광도비를 측정하여, 17개소에 대해서 편광 ATR법으로 구한 1,340 ㎝- 1와 1,410 ㎝-1의 흡광도비(1,340 ㎝-1/1,410 ㎝-1)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0.05 이하인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부터 얻어진 라벨로, 포장 대상물의 적어도 바깥둘레 일부를 피복하여 열수축시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063114 | 2015-03-25 | ||
JP2015063114 | 2015-03-25 | ||
PCT/JP2016/059096 WO2016152885A1 (ja) | 2015-03-25 | 2016-03-23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9783A KR20170129783A (ko) | 2017-11-27 |
KR102408694B1 true KR102408694B1 (ko) | 2022-06-14 |
Family
ID=5697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6993A KR102408694B1 (ko) | 2015-03-25 | 2016-03-23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포장체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9944012B2 (ko) |
EP (1) | EP3275627B1 (ko) |
JP (1) | JP6696501B2 (ko) |
KR (1) | KR102408694B1 (ko) |
CN (1) | CN107405825B (ko) |
PL (1) | PL3275627T3 (ko) |
TW (1) | TWI692504B (ko) |
WO (1) | WO201615288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36832B2 (ja) * | 2013-06-11 | 2016-11-30 | 東洋紡株式会社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
KR102444943B1 (ko) * | 2016-05-31 | 2022-09-20 |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 전지용 포장 재료, 그의 제조 방법, 전지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
US11453209B2 (en) | 2018-07-25 | 2022-09-27 | Gunze Limited | Heat-shrinking multilayer film and heat-shrinking label |
CN112789156A (zh) | 2018-10-08 | 2021-05-11 | 伊士曼化工公司 | 由树脂共混物制成的可结晶可收缩膜和可热成形片材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18948A (ja) | 2000-07-13 | 2002-01-22 | Toray Ind Inc |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
JP2008274160A (ja) | 2007-05-01 | 2008-11-13 | Toyobo Co Ltd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9143043A (ja) | 2007-12-12 | 2009-07-02 | Toyobo Co Ltd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9163233A (ja) | 2007-12-13 | 2009-07-23 | Toyobo Co Ltd | 熱収縮性ラベ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34937A (en) | 1978-09-01 | 1980-03-11 | Unitika Ltd | Manufacturing method of thermally plastic resin stretched film |
JPS62183328A (ja) * | 1986-02-07 | 1987-08-11 | Teijin Ltd | 二軸配向フイルム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装置 |
JP2841755B2 (ja) | 1990-06-29 | 1998-12-24 | 東洋紡績株式会社 | ポリアミド系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JPH06262676A (ja) | 1993-03-11 | 1994-09-20 | Toray Ind Inc |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製造方法 |
JP3660063B2 (ja) * | 1996-07-31 | 2005-06-15 | ユニチカ株式会社 | 二軸延伸ポリアミ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 |
JPH10249933A (ja) | 1997-03-10 | 1998-09-22 | Fuji Photo Film Co Ltd | 横延伸熱可塑性ポリマーフィルムの製造方法 |
JP4753449B2 (ja) * | 1999-08-17 | 2011-08-24 |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ケン化物系二軸延伸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法 |
JP2002301762A (ja) | 2001-04-05 | 2002-10-15 | Toyobo Co Ltd |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
JP4232143B2 (ja) | 2002-07-02 | 2009-03-04 | 東洋紡績株式会社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 |
JP4634092B2 (ja) * | 2004-08-03 | 2011-02-16 | 三菱樹脂株式会社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成形品、容器 |
KR100952104B1 (ko) * | 2006-01-27 | 2010-04-13 | 주식회사 코오롱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
JP4882919B2 (ja) * | 2006-08-30 | 2012-02-22 | 東洋紡績株式会社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包装体 |
JP4809419B2 (ja) * | 2007-12-13 | 2011-11-09 | 東洋紡績株式会社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ES2443946T3 (es) * | 2008-02-27 | 2014-02-21 | Toyobo Co., Ltd | Película de poliéster termorretráctil blanca, procedimiento para producir película de poliéster termorretráctil blanca, etiquetas y embalaje |
TWI485058B (zh) * | 2009-02-18 | 2015-05-21 | Konica Minolta Opto Inc | 光學薄膜的製造方法 |
JP5240387B1 (ja) * | 2012-07-26 | 2013-07-17 | 東洋紡株式会社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
-
2016
- 2016-03-23 EP EP16768788.8A patent/EP3275627B1/en active Active
- 2016-03-23 PL PL16768788T patent/PL3275627T3/pl unknown
- 2016-03-23 US US15/559,738 patent/US9944012B2/en active Active
- 2016-03-23 CN CN201680017031.5A patent/CN107405825B/zh active Active
- 2016-03-23 KR KR1020177026993A patent/KR10240869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3-23 JP JP2017508373A patent/JP6696501B2/ja active Active
- 2016-03-23 WO PCT/JP2016/059096 patent/WO201615288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3-25 TW TW105109444A patent/TWI692504B/zh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18948A (ja) | 2000-07-13 | 2002-01-22 | Toray Ind Inc |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
JP2008274160A (ja) | 2007-05-01 | 2008-11-13 | Toyobo Co Ltd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9143043A (ja) | 2007-12-12 | 2009-07-02 | Toyobo Co Ltd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9163233A (ja) | 2007-12-13 | 2009-07-23 | Toyobo Co Ltd | 熱収縮性ラベ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275627B1 (en) | 2019-12-25 |
TWI692504B (zh) | 2020-05-01 |
EP3275627A1 (en) | 2018-01-31 |
US9944012B2 (en) | 2018-04-17 |
PL3275627T3 (pl) | 2020-06-29 |
WO2016152885A1 (ja) | 2016-09-29 |
JP6696501B2 (ja) | 2020-05-20 |
JPWO2016152885A1 (ja) | 2018-01-25 |
TW201700600A (zh) | 2017-01-01 |
CN107405825A (zh) | 2017-11-28 |
KR20170129783A (ko) | 2017-11-27 |
CN107405825B (zh) | 2019-10-08 |
EP3275627A4 (en) | 2018-10-24 |
US20180043607A1 (en) | 2018-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254730B2 (ja) | 非晶性のフィルム用共重合ポリエステル原料、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熱収縮性ラベル、及び包装体 | |
US10173818B2 (en) |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package thereof | |
TWI714641B (zh) | 聚酯系標籤及包裝容器 | |
US8722161B2 (en) | Heat shrinkable polyester film,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packaged body | |
KR102463003B1 (ko)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포장체 | |
KR102408694B1 (ko)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포장체 | |
JP6642001B2 (ja)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包装体 | |
JP7268712B2 (ja)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ラベル及び包装体 | |
CN107921698B (zh) | 热收缩性聚酯系薄膜和包装体 | |
JP2023178331A (ja)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熱収縮性ラベル、及び包装体 | |
KR20230009902A (ko) | 필름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원료,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열수축성 라벨, 및 포장체 | |
KR20230079116A (ko)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