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605B1 - 회화나무, 및 갈근 또는 콩발아배아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회화나무, 및 갈근 또는 콩발아배아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605B1
KR102408605B1 KR1020210085006A KR20210085006A KR102408605B1 KR 102408605 B1 KR102408605 B1 KR 102408605B1 KR 1020210085006 A KR1020210085006 A KR 1020210085006A KR 20210085006 A KR20210085006 A KR 20210085006A KR 102408605 B1 KR102408605 B1 KR 102408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soybean
complex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석형
정재철
김경미
조은지
Original Assignee
(주) 노바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노바렉스 filed Critical (주) 노바렉스
Priority to KR1020210085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9Sophora, e.g. necklacepod or maman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회화나무, 및 갈근 또는 콩발아배아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개선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회화나무, 및 갈근 또는 콩발아배아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은 회화나무 추출물; 및 갈근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을 병용 투여함으로써 각각의 물질 단독 투여에 비해 상승된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각 물질의 과량 투여 또는 장기 투여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임의의 부작용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화나무, 및 갈근 또는 콩발아배아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female menopausal disorder and bone diseases comprising complex extract of Sopora japonica L., Pueraria lobata (Wild.) Ohwi and germinated Glycine max (L.) Merr embryo}
본 발명은 회화나무, 및 갈근 또는 콩발아배아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개선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회화나무, 및 갈근 또는 콩발아배아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2005년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구성비가 9.1%에 달하며, 2019년에는 인구 전체의 14%가 넘는 고령 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여성의 평균수명은 2002년 80.4세로 폐경 후 30여년 동안 여성의 건강한 삶에 대한 특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세계보건기구는 갱년기를 난소의 기능이 상실되어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없어지고 더 이상 임신할 수 없는 시기이며, 성년기가 끝나고 노년기로 가는 과도기로 정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갱년기(climacteric)란 내분비 증후군의 일종으로 난소기능의 전반적이고 점진적인 감소가 일어나 생리적 기능 및 성기능이 감소 내지 소실되는 과도기를 말하며, 갱년기의 한 과정으로 난소기능의 정지 후에 일어나는 생리의 영구적인 정지인 폐경(menopause)이 오게 된다. 폐경기에는 에스트로겐 생성의 감소, 난포자극호르몬(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FSH) 및 황체호르몬(luteininzing hormone, LH)의 상승 등 호르몬의 변화에 따른 급만성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폐경기 이후 여성에서는 에스트로겐의 급속한 감소로 인하여, 심리학적 및 감성적 징후, 예컨대 피로, 흥분, 불면, 집중력 저하, 우울증, 기억 상실, 두통, 근심 및 신경과민이나 소심증 등이 발생할 우려가 현저히 높아지게 되며, 재발성 안면 홍조에 의한 수면 방해에 따른 피로와 흥분, 간헐성 현기증, 감각이상, 심계항진 및 빈맥, 메스꺼움, 변비, 설사, 관절통, 근육통, 수족 냉증 및 체중 증가, 자궁 퇴화 현상의 발생 우려 또한 현저히 높아지게 된다. 또한, 골다공증이 쉽게 유발될 뿐 아니라, 심장병, 고혈압, 뇌졸중 등의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도 증가한다(Kalin MF & Zumoff B. Steroids 55:330-352, 1990). 또한, 피부 및 비뇨생식계통의 변화를 초래하며, 자가면역성 질환, 백내장 및 대장암 등의 발병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갱년기에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생산이 급격히 줄어든다. 에스트로겐은 내장 지방의 축적을 막아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면서 혈관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므로, 갱년기 여성은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쉽게 쌓이는 체질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성의 갱년기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치료요법으로 호르몬 대체요법, 비스테로이드계 제제에 의한 치료법 등이 개발되어 있으며, 그 중 에스트로겐을 투여하는 호르몬 대체요법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Risks and Benefits of Estrogen Plus Progestin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JAMA, July 17, 2002-Wol 288, no3) 등의 논문에서 밝히고 있는 바와 같이 에스트로겐 등을 이용한 호르몬 치료 방법은 다양한 위험성을 가지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료요법에 따라 장기간 약물을 사용하면 자궁내막암, 유방암, 고혈압, 혈전증, 담뇨계 결석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또한 월경성 출혈이 나타날 수 있고, 난소 과잉자극 등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의사의 처방 없이는 복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약물의 치료요법에 의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천연 생약을 주성분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제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한편, 골 조직은 연골과 골격계를 구성하며 기계적 기능으로 지지와 근 부착의 역할을 하고, 생체기관 및 골수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칼슘과 인 이온의 항상성 유지를 위해 이들을 보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골 조직은 교원질, 당단백질과 같은 세포 기질과 조골세포, 파골세포 및 골세포 등 여러 종류의 세포들로 이루어진다.
이들 중 파골세포는 조혈모세포로부터 유래한 세포로서 노화된 골의 흡수를 담당하며, 조골세포는 골수 내 간질세포(bone marrow stromal cell)로부터 유래한 세포로서 골 형성에 주된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파골세포는 마우스의 RAW264.7 단핵구 세포가 RANKL(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κB (RANK)ligand)에 의해 다핵 파골세포(multinucleated osteoclasts)로 분화된다. 이러한 분화 과정은 세포 외부의 RANKL이 RANK에 결합하여 미토겐 활성 단백질 키나아제(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의 활성을 촉진하고, 이는 NF-κB라는 전사 인자가 핵 내로 들어가서 파골세포 분화와 관련된 TRAP(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MMP-9(matrix metalloproteinase-9), c-Src 티로신 키나아제(tyrosine kinase) 등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가능한데, 이러한 과정으로 형성된 다핵 파골세포는 무기질 골(mineralized bone)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RANKL이 RANK에 결합하면 TRAF6(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associated factor 6)의 활성을 촉진시켜 MAPK, 또는 NF-κB, AP-1, NFATc1과 같은 전사인자들의 활성을 촉진시킨다(Lee ZH, Kim HH. Signal transduction by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 B in osteoclast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3 May 30, 305, 211-4). 따라서 RANKL에 의해 활성화되는 신호전달 경로의 차단은 골다공증을 비롯한 골 질환의 치료를 위한 치료적 접근 방법 중의 하나로 인지되고 있다.
이처럼 골형성은 파골세포(osteoclast)에 의한 골 흡수(bone resoprtion)와 조골세포(osteoblast)에 의한 골형성(bone formation)의 대등한 작용에 의한 리모델링 과정(bone remodeling)이 지속적으로 조절됨으로써 유지된다. 그러나, 파골세포의 과도한 활성이나 조골세포의 활성 저하는 골형성의 리모델링 과정에서 불균형을 초래하여, 생체 내에서 파골세포와 조골세포와의 평형이 깨짐으로써 골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골 질환의 대표적인 예로서 골다공증은 골형성과 골흡수의 평형이 깨져 골흡수가 우월하게 일어남으로써 뼈의 밀도가 약화되어 일어나는 질환으로, 현재 미국에서만 약 천만명이 이미 골다공증에 걸려있으며 1천 8백만명이 낮은 골밀도를 갖고 있어서 골다공증의 위험에 놓여 있다. 또한, 일생 동안 여성 2명중 1명, 남성의 경우 8명중 1명이 골다공증과 관련된 골절을 경험하며, 이미 2백만명 이상의 미국 남성들이 골다공증 질환을 앓고 있다. 미국에서는 골다공증과 관련된 질병과 골절로 인한 직접적인 지출이 매년 140억 달러에 달하고 있다. 국내에서의 경우에도 약 400 백만명이 골다공증에 걸려있거나 그 위험에 있으며, 이는 노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더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어, 이로 인한 사회적 지출과 가족구성원의 정신적, 경제적 지출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천연물 유래의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추출물; 및 갈근(Radix puerariae)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이 각각의 단독 추출물과 비교해 현저히 향상된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추출물; 및 갈근(Radix puerariae)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추출물; 및 갈근(Radix puerariae)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추출물; 및 갈근(Radix puerariae)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추출물; 및 갈근(Radix puerariae)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추출물; 및 갈근(Radix puerariae)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추출물; 및 갈근(Radix puerariae)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추출물; 및 갈근(Radix puerariae)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추출물; 및 갈근(Radix puerariae)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추출물; 및 갈근(Radix puerariae)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화나무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한국, 일본 및 중국 등에 분포하며, 해열, 수렴, 지혈, 진정, 고혈압 예방, 고지혈증 예방 등의 다양한 약리 효과를 나타내 약재로 쓰이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화나무 추출물은 꽃, 잎, 뿌리, 열매, 줄기, 뿌리껍질, 줄기껍질 또는 이의 혼합물의 추출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회화나무의 열매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회화나무의 열매는 콩 꼬투리 모양의 씨방에 1~6개의 흑갈색이나 검은색의 씨앗이 들어있다. 항염, 지혈 등의 효과가 있어서, 민간 또는 한방에서 잘 익은 열매를 수확하여 건조한 것을 그대로 또는 불에 볶아 약으로 쓰며, 괴실(槐實), 괴자(槐子), 괴두(槐豆) 등으로도 불린다. 맛은 약간 쓰고 콩비린 맛이 난다. 성질이 차갑고 열기를 식히는 작용이 있어서, 소화기관이 약하거나 맥이 약한 사람은 과량 복용해서는 안 되고, 일부 사람에게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콩발아배아란, 콩에서 분리한 배아를 발아시킨 발아배아를 의미한다. 상기 콩발아배아는 콩으로부터 분리된 배아를 발아시켜 수득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한국공개특허 제2013-0057173호 등을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갈근(Radix Puerariae)은 두과(Leguminosae)에 속한 다년생 낙엽등본식물인 칡의 뿌리로써 해주독, 발한해기, 발표투진, 생진지갈, 해독배농, 승양지사 등의 효능이 있어 임상적으로는 감기, 구토, 홍역, 소갈, 설사, 협심증, 고혈압, 편두통, 망막동맥폐색증, 돌발성이롱, 알코올 중독증에 많이 활용되어 왔다. 갈근은 주요 성분으로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인 다이진(daidzin), 다이드제인(daidzein), 푸에라린(puerarin), 푸에라인 자일로시드(puerarin xyloside) 및 다량의 전분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화나무 추출물, 갈근 추출물 및 콩발아배아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회화나무, 갈근, 콩발아배아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회화나무, 갈근, 콩발아배아 또는 이의 혼합물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회화나무, 갈근, 콩발아배아 또는 이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알코올(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v/v) 내지 90%(v/v)의 에탄올(주정)을, 더 바람직하게는 50%(v/v) 내지 70%(v/v)의 에탄올(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20%, 30%, 40%, 50%, 60%, 70%, 80% 또는 90%의 에탄올(주정)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및/또는 오갈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추출물; 및 갈근(Radix puerariae)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은 상기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회화나무 추출물; 및 갈근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이 회화나무 추출물; 및 갈근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경우 회화나무 추출물과 갈근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후 혼합하여 상기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고, 또는 회화나무; 및 갈근 또는 콩발아배아를 혼합한 후 추출물을 제조하여 상기 조성물이 제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복합추출물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및 갈근(Radix puerariae) 또는 콩발아배아가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a) 물, 주정,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b) 초임계 추출법 또는 (c) 초음파 추출법을 통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화나무 추출물; 및 갈근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은 단일 조성물(single composition)의 형태이거나 또는 개별적인 조성물(separate composition)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화나무 추출물; 및 갈근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을 동시에(simutaneous), 별도로(separate) 또는 순차적(sequential)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및 갈근(Radix puerariae) 또는 콩발아배아가 1:0.1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거나 또는 각각의 단일추출물이 1:0.1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추출물이 회화나무 추출물 및 갈근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인 경우 상기 회화나무 추출물과 갈근 추출물은 1:0.5 내지 2의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 0.7 내지 1.5의 중량비로 각 추출물이 혼합되거나, 또는 상기 중량비로 각각을 혼합한 후 추출될 수 있다.
상기 복합추출물이 회화나무 추출물 및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인 경우 상기 회화나무 추출물과 콩발아배아 추출물은 1:0.1 내지 2의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 0.3 내지 1의 중량비로 각 추출물이 혼합되거나, 또는 상기 중량비로 각각을 혼합한 후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질환인 갱년기(climacterium)란, 폐경기라고도 하며, 여성의 생식기능이 소실하는 징후로 나타나는 월경폐지의 시기를 의미한다. 갱년기가 되면 난소 기능의 실조로 월경의 양이나 주기가 불규칙하게 되고, 수개월에서 3년에 걸친 여포호르몬(에스트로겐)의 분비저하로 월경이 폐지되며, 간뇌의 자율신경중추에 작용하여 자율신경계의 실조를 일으켜 갱년기장애의 원인이 된다. 또한 뇌하수체 전엽의 기능실조로 부신피질 기능을 항진시켜 남성화를 보이며, 갑상선호르몬의 영향으로 갑상선 기능에 이상을 가져와 비만을 초래하는 등 갱년기 특유의 기능실조가 나타난다. 예컨대, 일과성열감(一過性熱感), 동계(動悸:심장의 고동이 보통 때 보다 심하여 가슴이 울렁거리는 일), 현기, 이명(耳鳴), 고혈압, 소화기장애, 두통, 기억력감퇴, 우울증 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성 갱년기 질환은 비만, 체지방 증가, 질건조증, 안면홍조, 이상지질혈증, 발한, 피부건조, 질위축, 자궁위축, 하부 요도 위축, 질염, 방광염, 배뇨통, 급뇨, 집중장애, 단기 기억장애, 불안, 신경과민, 기억력 감퇴, 근육통, 관절통 및 골다공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화나무 추출물 및 갈근 추출물의 복합물, 또는 회화나무 추출물 및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물은 각각의 단독 추출물과 비교해 여성 갱년기 동물 모델에서 질건조증, 골다공증, 이상지질혈증 및 체지방증가를 개선하는 효능이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서 상기 회화나무 추출물은 제니스테인 디글루코시드, 소포라비오시드, 및 소포리코시드를 200mg/g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상기 회화나무 추출물은 제니스테인 디글루코시드, 소포라비오시드, 및 소포리코시드를 1 : 2.5~3.5 : 3.5~4.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또한 제니스테인 디글루코시드, 소포라비오시드, 및 소포리코시드를 200mg/g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추가의 실시 양태에서, 상기 본 발명의 괴각 추출물은 이소플라본 배당체를 300mg/g 이상 함유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0mg/g 내지 400mg/g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소플라본 배당체는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나는 제니스테인 디글루코시드, 소포라비오시드, 소포리코시드, 배당체 캠페롤-글루코시드, 및 소포라플라보놀로시드(sophoraflavonoloside)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제니스테인 디글루코시드(Genistein 4'-O,7-diglucoside)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75141948-pat00001
상기 소포라비오시드(sophorabioside)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1075141948-pat00002
상기 소포리코시드(sophoricoside)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21075141948-pat00003
상기 배당체 캠페롤 글루코시드는 바람직하게는 kaempferol-3-o-beta-d-glucopyranoside-(1→3)β-D-glucopyranosyl-7-O-α-rhamnopyranoside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추출물; 및 갈근(Radix puerariae)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갱년기 동물모델에서 골 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에 기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골 질환은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골 밀도의 감소로 인해 유발되는 질환을 포함하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시로 골다공증, 골형성 부전증, 골연화증, 골량 감소증, 골절 및 골 결손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추출물; 및 갈근(Radix puerariae)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오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1995)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전체 용량은 1일당 환자 체중 1㎏ 당 약 0.01㎍ 내지 1,000mg,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0mg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용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여성 갱년기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추출물; 및 갈근(Radix puerariae)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추출물; 및 갈근(Radix puerariae)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상기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 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상기 복합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기 복합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기 복합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은 회화나무 추출물; 및 갈근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을 병용 투여함으로써 각각의 물질 단독 투여에 비해 상승된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각 물질의 과량 투여 또는 장기 투여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임의의 부작용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험물질의 투여가 종료된 후 실험동물의 질벽으로부터 분리된 상피세포를 염색하여 육안으로 관찰한 후, 각화 상피세포의 비율을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대조군(A), 모조시험군(B), 난소절제군(C), Positive control(D, estrogen), 렉스플라본 100 mg/kg(E), 갈근 100 mg/kg(F), 콩발아배아 100 mg/kg(G), 렉스플라본 : 갈근 = 1:1 100 mg/kg(H), 렉스플라본 : 콩발아배아 = 2:1 100 mg/kg).
도 2는 실험물질의 투여가 종료된 후 각 실험군에서 수득한 장기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3은 실험물질의 투여가 종료된 후 각 실험군의 혈액에서 에스트라디올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시험물질의 투여가 종료된 후 각 실험군의 혈액에서 LDL/HDL의 비율을 산출한 결과이다.
도 5는 시험물질의 투여가 종료된 후 각 실험군의 대퇴골을 X-ray로 촬영한 결과이다.
도 6은 시험물질의 투여가 종료된 후 각 실험군의 대퇴골 밀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은 시험물질의 투여가 종료된 후 각 실험군의 자궁 조직 슬라이드를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8은 시험물질의 투여가 종료된 후 각 실험군의 대퇴골 슬라이드를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9는 시험물질의 투여가 종료된 후 각 실험군의 대퇴골에서 골수세포를 분리한 후 파골세포의 분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10은 MCF-7 세포주에 각 실험물질을 처리한 후 세포 표면 수용체로부터 받은 신호를 세포 핵 속 DNA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Akt와 ERK의 세포내 신호전달 수준을 분석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물질의 제조
(1) 괴각 추출물의 제조
회화나무열매(괴각) 원물 20g과 65% 주정을 용매로 하여 원물 중량의 9배수(180 g) 첨가하여 4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40℃로 냉각한 후 filter paper (75 μg cartridge)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여액을 감압농축(55~58℃)하여 잔류용매를 제거하고 60 brix까지 농축시켰다. 잔사를 95℃에서 30분간 살균한 후 분무건조(액온 75~80℃, 송풍온도 180℃, atomizer 18,000 rpm)하여 회화나무열매(괴각)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를 "렉스플라본"이라 명명하였다.
(2) 콩 발아배아 추출물의 제조
콩 배아(정선 콩눈)를 원물 100g과 상수를 이용하여 원물 중량의 6배수(500g)을 이용하여 5시간동안 15 rpm, 19시간동안 시간당 5분씩 15 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발아시킨 뒤, 발아된 콩배아를 체에 걸러 물기를 제거한다. 발아된 콩배아 100g과 50% 주정을 용매로 하여 원물 중량의 10 배수(900 g) 첨가하여 6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40℃로 냉각한 후 filter paper (75 μg cartridge)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여액을 자연순환 농축(100 mesh pass)하여, 잔류용매를 제거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95℃에서 30분간 살균한 후 분무건조(액온 75~80℃, 송풍온도 180℃, atomizer 18,000 rpm)하여 콩발아배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3) 갈근 추출물의 제조
갈근 원물 20g과 60% 주정을 용매로 하여 원물 중량의 9배수(180 g) 첨가하여 4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40℃로 냉각한 후 filter paper (75 μg cartridge)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여액을 감압농축(55~58℃)하여 잔류용매를 제거하고 60 brix까지 농축시켰다. 잔사를 95℃에서 30분간 살균한 후 분무건조(액온 75~80℃, 송풍온도 180℃, atomizer 18,000 rpm)하여 회화나무열매(괴각)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동물실험
(1) 실험물질의 투여
본 연구에 사용된 동물은 12 주령의 female, Sprague-Dawley(SD) rat(220-240 g)을 구입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사육조건은 온도 21±2℃, 습도 40~60%를 유지하며, 명암은 12L/12D로 조성하였고, 일주일간의 순화 기간을 둔 후 각 개체의 무작위 배정을 통해 군을 분리하였다.
실험에 사용되는 rat에 마취 유도 후 난소절제군, 모조군(Sham군)의 수술을 시행했다. 난소절제군은 등 부위를 제모한 후 등 가운데 부위 피부와 양쪽 근육을 절개하여 양쪽 난소를 제거한 후 절개부를 봉합하였고, Sham군은 난소절제술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되 난소 절제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한 스트레스에 노출시킨 후 다시 봉합하는 수술을 시행했다. 수술 후 수술부위 터짐 및 염증 반응 등을 관찰하며 특이 상황을 주시하면서, 성공적으로 수술이 완료된 개체들을 본 예비 실험에 적용하였다. 먹이는 폐경 실험 모델에 최적화된 AIN-76A 펠렛을 사용하여 각 군에 맞는 펠렛을 전문업체 위탁 제조 후 사용하였다. 각 군의 에스트라디올 혈중 농도 고갈을 확인한 후 군별 펠렛 식이를 시작하여 12주간 섭취하였다.
실험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대조군(A), 모조시험군(B), 난소절제군(C), Positive control(D, estrogen), 렉스플라본 100 mg/kg(E), 갈근 100 mg/kg(F), 콩발아배아 100 mg/kg(G), 렉스플라본 : 갈근 = 1:1 100 mg/kg(H), 렉스플라본 : 콩발아배아 = 2:1 100 mg/kg
(2) 질 각질화 평가
질 건조증(vaginal dryness)은 가장 대표적인 갱년기 증상 중 하나이다. 각 실험군의 비뇨기 상피세포의 변화를 관찰하여 실험 물질이 갱년기 증상완화에 도움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물질의 투여가 완료된 후 각 실험군의 질벽을 면봉으로 문질러 질 상피 세포를 수득하고, 이를 슬라이드 글라스에 도포하고 염색하여 유핵 세포, 각화 상피세포, 각질의 수를 측정하여 각화 상피세포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질 점막 세포 중의 각화 상피세포의 비율이 높다는 것은 질 각질화 수준이 감소하였고 질 점막이 유연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질 각화 상피세포를 비교한 결과 OVX 군 대비 렉스플라본, 콩발아배아, 렉스플라본:갈근 복합물, 렉스플라본:콩발아배아 복합물 모두 OVX군 및 각각의 물질 단독투여군과 비교해 상피세포의 비율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렉스플라본:콩발아배아 복합물군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각화상피세포가 관찰되어 질 점막의 유연성이 상당 수준 회복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장기 조직 무게 측정 및 혈액분석
안전성 평가지표의 변화를 직간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모든 투여가 종료된 후 동물을 희생시킨 후 혈청 및 장기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부검 전 12시간 절식 후 ether를 사용하여 마취한 실험동물로부터 채혈을 수행하였다. 즉, 동맥혈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혈청 전용 tube와 전혈 전용 tube에 각각 분리하여 옮기고, 혈청 tube는 3,000 rpm, 상온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한 뒤 -80℃냉동고에 분석 전까지 보관하였다. 전혈 tube는 즉시 inversion하여 혈액이 응고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부검 시 조직은 간, 비장, 신장(좌, 우 구분), 자궁, 신장 주변 지방, 장간막 지방, 대퇴골(좌, 우 구분)을 적출하여 필요에 따라 무게를 측정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였다. 간, 비장, 신장은 시험 물질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10% neutral formalin에 고정 후 조직 슬라이드를 전문업체에 의뢰(EasyLab, Gyeonggi-do, Republic of Korea)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각 실험군의 조직 별 무게의 변화는 모든 군에서 특별한 양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사 이상이나 급성 독성 등의 결과로 초래되는 울혈이나 조직 괴사 등의 특이점이 관찰되지 않아 각각의 실험물질이 100 mg/kg에서도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는 안전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한편, OVX군(C)은 무처리 대조군(A) 대비 지방 비율 2~3배 높아졌다. 렉스플라본:갈근 복합물군(H) 및 렉스플라본:콩발아배아 복합물(I)군 모두 무처리 대조군(A)과 비슷한 수준으로 지방 비율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한 지방세포 증가(체지방 증가)로 보이는 갱년기 증상에 대해 복합물 섭취군이 양성대조군인 에스트로겐만큼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 다음으로 혈액 분석 결과를 확인해 본 결과, 혈중 에스트라디올(estradiol) 농도가 무처리 대조군(A) 대비 OVX군(C)에서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렉스플라본:갈근 복합물군(H) 및 렉스플라본:콩발아배아 복합물군(I)에서 무처리 대조군(A) 수준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3). 렉스플라본, 갈근 또는 콩발아배아 각각의 단독 투여군에서는 에스트라디올 수치에 큰 변화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복합물 투여군에서는 현저한 증가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병용투여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혈중 LDL/HDL 수치와 관련하여, 무처리 대조군(A) 대비 OVX군에서 현저한 증가가 나타났으나 렉스플라본:콩발아배아 복합물군(I)에서 무처리 대조군(A) 수준으로 감소되는 결과가 확인되었다(도 4).
(4) 대퇴골 골밀도 X-ray 측정
골다공증은 골량의 감소와 미세골 구조의 약화로 인해 골의 강도가 감소하여 골절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질환으로 골 강도의 60~80%는 골 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12주간 실험 후 대퇴골을 X-ray로 분석해 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렉스플라본:갈근 복합물군(H) 및 렉스플라본:콩발아배아 복합물군(I)에서 X-ray가 통과하지 못하여 흰색 부분을 띠는 양상이 다른 군에 비해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X-ray는 x선이 통과하면 검정색으로, 통과하지 못하면 흰색으로 보이게 되는데 다른 군들에 비해 렉스플라본:갈근 복합물군(H) 및 렉스플라본:콩발아배아 복합물군(I)에서 대퇴골의 골 밀도가 높아 흰색으로 보이는 면적이 훨씬 넓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복합물질의 투여가 에스트로겐 고갈로 인한 골다공증 조절 활성이 있음을 제시하는 결과이다.
(5) 대퇴골 골밀도 함량 비교
대퇴골(femur)의 좌측은 골 밀도(Bone Mineral Density, BMD)와 골무기질함량(Bone Mineral content, BMC)을 측정하고, 우측은 고정 후 Hematoxylin and Eosin(H&E) stain을 통하여 골내 형성 정도를 비교 관찰하였다. 부검 직후, 좌측 대퇴골의 근육 등 잔여물을 제거한 후 멸균 거즈를 이용하여 식염수에 담군 상태로 전문기관에 BMD와 BMC를 의뢰하였으며, 우측 대퇴골은 10% neutral formalin에 고정 후 14% EDTA로 탈회를 진행하였고 조직 슬라이드를 의뢰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X-ray 측정 결과와 마찬가지로 렉스플라본:콩발아배아 복합물군(I)에서 대퇴골 밀도가 대조군(A)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자궁 및 대퇴골 조직염색
부검 전 12시간 절식 후 ether 마취를 사용하여 실험동물로부터 채혈 후 부검 시간, 비장, 신장(좌, 우 구분), 신장 주변 지방, 장간막 지방, 자궁, 대퇴골(좌, 우 구분)을 적출하여 필요에 따라 무게를 측정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였다. 시험 물질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간, 비장, 신장, 자궁, 지방조직은 적출 후 10% neutral formalin에 고정하였으며, 대퇴골 조직은 10% EDTA로 탈회과정을 하였다. 대퇴골 조직은 몸무게를 지탱하는데 매우 이상적인 구조를 지닌 단단하고 강한 고형조직이기 때문에 칼슘이 침착되어 있는 골 조직을 박절하기 위해서는 칼슘을 제거하고 조직을 박절하기에 적합한 정도로 연화시키는 탈회과정을 실시하였다. 탈회 후 10% neutral formalin에 고정하여 고정한 모든 조직을 슬라이드전문업체에 의뢰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OVX 군에서는 자궁의 크기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렉스플라본:콩발아배아 투여군(I)에서는 자궁의 크기가 회복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7). 또한, 대퇴골의 단면의 경우에도 OVX 군에서는 골밀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렉스플라본:콩발아배아 투여군에서는 골밀도가 회복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8).
(6) 대퇴골 유래 뼈세포의 유전자 발현 분석
12주간 시험물질을 투여한 Rat를 ether 흡입마취로 안락사 시킨 후 대퇴골을 적출하여 골수세포(rat bone marrow cells, rBMs)를 분리하다. 적출한 대퇴골은 즉시 멸균된 phosphate bufferd saline(PBS)으로 2회, 70% 에탄올에 1회, 다시 PBS로 2회 세척하였으며, 대퇴골의 정강이 부분을 bone cutter를 이용하여 절단한 후 microcentrifuge tube에 담아 원심분리(5000 Х g, 5분)하여 골수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골수 세포에 5 mL의 red blood cell lysis buffer(Invitrogen, CA, USA)을 가하여 적혈구를 제거하였으며, 기타 비 골수 유래 세포를 제거하기 위해 100 μm nylon mesh를 이용한 세포 여과를 하였다.
실험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골세포의 분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OVX 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렉스플라본:콩발아배아 투여군(I)에서 현저히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MCF-7 세포주에서 에스트로겐 관련 인자 생성 확인(in vitro)
신체내에는 크게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ERα)와 베타(ERβ)가 존재하는데 ERα는 주로 재생산에 관여하며 ER
Figure 112021075141948-pat00004
는 주로 중추신경계, 심혈관계, 뼈 및 혈과 등에 존재한다. 갱년기 여성 건강의 주요 증상은 체내 에스트로겐 농도의 저하로 인해 발생하며, 에스트로겐 신호전달은 ER을 매개로 유도된다. 이와 같은 ER은 척추동물의 핵 속에 존재하며 에스트로겐-ER의 상호작용을 통해 에스트로겐 유전자 전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시험물질이 에스트로겐을 대신하여 ER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갱년기 증상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MCF-7 세포주에 각 실험물질을 처리한 후, 세포 표면 수용체로부터 받은 신호를 세포 핵 속 DNA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Akt와 ERK의 세포내 신호전달 수준을 분석한 결과 양성대조군인 E2와 유사한 패턴의 증가가 관찰되었다(도 10).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은 회화나무 추출물; 및 갈근 추출물 또는 콩발아배아 추출물을 병용 투여함으로써 각각의 물질 단독 투여에 비해 상승된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각 물질의 과량 투여 또는 장기 투여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임의의 부작용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Claims (15)

  1.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추출물; 및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복합추출물은 회화나무; 및 콩발아배아가 1:0.3 내지 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거나 또는 각각의 단일추출물이 1:0.3 내지 1의 중량비로 혼합되며,
    여성 호르몬 감소증, 비만, 체지방 증가, 안면홍조, 이상지질혈증, 피부건조, 질건조증, 질위축, 자궁위축, 하부 요도 위축, 집중장애, 단기 기억장애, 기억력 감퇴, 불안, 신경과민, 및 골다공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화나무는 꽃, 잎, 뿌리, 열매, 줄기, 뿌리껍질, 줄기껍질 또는 이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회화나무; 및 콩발아배아가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a) 물, 주정,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b) 초임계 추출법 또는 (c) 초음파 추출법을 통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화나무 추출물; 및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은 단일 조성물(single composition)의 형태이거나 또는 개별적인 조성물(separate composition)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화나무 추출물; 및 콩발아배아 추출물을 동시에(simutaneous), 별도로(separate) 또는 순차적(sequential)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화나무 추출물은 제니스테인 디글루코시드, 소포라비오시드, 및 소포리코시드를 200mg/g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추출물; 및 콩발아배아 추출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복합추출물은 회화나무; 및 콩발아배아가 1:0.3 내지 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거나 또는 각각의 단일추출물이 1:0.3 내지 1의 중량비로 혼합되며,
    여성 호르몬 감소증, 비만, 체지방 증가, 안면홍조, 이상지질혈증, 피부건조, 질건조증, 질위축, 자궁위축, 하부 요도 위축, 집중장애, 단기 기억장애, 기억력 감퇴, 불안, 신경과민, 및 골다공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10085006A 2021-06-29 2021-06-29 회화나무, 및 갈근 또는 콩발아배아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08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006A KR102408605B1 (ko) 2021-06-29 2021-06-29 회화나무, 및 갈근 또는 콩발아배아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006A KR102408605B1 (ko) 2021-06-29 2021-06-29 회화나무, 및 갈근 또는 콩발아배아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605B1 true KR102408605B1 (ko) 2022-06-14

Family

ID=8198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006A KR102408605B1 (ko) 2021-06-29 2021-06-29 회화나무, 및 갈근 또는 콩발아배아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6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8814A (ko) * 2010-01-29 2011-08-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경기 여성건강 예방 및 치료용 칡 추출물 조성물
KR20180025661A (ko) * 2016-09-01 2018-03-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200043886A (ko) * 2018-10-18 2020-04-28 (주) 노바렉스 괴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8814A (ko) * 2010-01-29 2011-08-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경기 여성건강 예방 및 치료용 칡 추출물 조성물
KR20180025661A (ko) * 2016-09-01 2018-03-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200043886A (ko) * 2018-10-18 2020-04-28 (주) 노바렉스 괴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985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360231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038611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038613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05105125A1 (ja) 骨粗鬆症予防または治療剤
KR101360232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08605B1 (ko) 회화나무, 및 갈근 또는 콩발아배아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67028B1 (ko) 산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75836B1 (ko) 마키베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시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3141A (ko)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13828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0680628B1 (ko) 숙지황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22834B1 (ko)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KR100823354B1 (ko) 복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1360233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83140A (ko)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백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10097463A (ko)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33283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3143A (ko)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백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083142A (ko)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93573B1 (ko)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02048A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101618215B1 (ko)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58852B1 (ko) 베타인 함량이 증대된 구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0539457B1 (ko) 괴각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