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142A -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142A
KR20200083142A KR1020190074267A KR20190074267A KR20200083142A KR 20200083142 A KR20200083142 A KR 20200083142A KR 1020190074267 A KR1020190074267 A KR 1020190074267A KR 20190074267 A KR20190074267 A KR 20190074267A KR 20200083142 A KR20200083142 A KR 20200083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omija
estrogen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석형
이정래
김재승
조은아
Original Assignee
(주) 노바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노바렉스 filed Critical (주) 노바렉스
Publication of KR2020008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용 및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의 병용투여로 체내 에스트로겐 감소로 유발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을 예방 또는 개선, 나아가 치료 효과를 꾀하기 위한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회화나무열매와 오미자의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의 상승 작용으로 인해 효과는 뛰어나고 부작용은 줄어든 여성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을 개선 또는 완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ts of Sophorae fructus and Schisandra chinensis for preventing or improving menopausal symptoms}
본 출원은 2018년 12월 31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8-0174140 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상기 명세서 전체는 본 출원의 참고문헌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의 병용투여의 상승 작용을 이용하여 체내 에스트로겐 감소로 유발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식품용 조성물, 그리고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여성은 생리가 영구적으로 중단되는 폐경 전 후로 내분비적 전환기를 맞게 되며, 폐경기 이후에도 여성 호르몬의 결핍으로 인해 생기는 다양한 정신적, 신체적 증상과 불편함을 경험하게 된다. 생리가 완전히 끝나고 1년이 지나면 폐경으로 진단하는데, 폐경이 진행되는 전 후 시기를 폐경기라고 하며, 대체로 40대에 들어 생리가 불규칙해지는 것으로 폐경기가 시작된다. 폐경 이전에 생리가 불규칙해지는 시기부터 폐경에 이를 때까지의 시기를 폐경 이행기, 즉 여성이 가임기에서 폐경기로 이행되는 시기를 포괄적으로 갱년기라고 한다. 우리나라 여성들은 초경 연령이 낮아지는 경향에도 불구하고 폐경 연령은 평균 51~55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 국민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 및 중년기 여성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나아가 현재 중년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가와 기여의 비중도 크기 때문에, 모든 중년기 여성이 겪는 다양한 폐경기 증상을 완화하여 정신과 신체의 건강 뿐 아니라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매우 중요한 실정이다.
남성과 달리 여성이 폐경을 전후로 큰 내분비적 혼란과 관련 증상을 겪는 이유는 여성 호르몬의 주요 공급원인 난포의 수가 태어날 때부터 결정되어 있고, 이후 생리로 소실되는 난포를 보충해 줄 새로운 난포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약 40년의 가임기 동안 약 480여개의 난자가 성숙되어 배출되고, 나머지는 퇴화하여 사라지게 되므로, 폐경 이후의 여성은 심각한 여성호르몬 결핍 상태에 놓이게 된다. 대표적인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주로 난소의 여포와 황체에서 분비되고, 여성 생식기와 유방의 발달과 같은 성징 발현, 자궁내막 조절을 통한 생리 주기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혈관과 피부의 유지 보수, 뼈 흡수 억제 및 뼈의 생성, 혈소판 응고력 향상, 지방 분해, 체액 균형 유지 등 다양한 신체 기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에스트로겐의 결핍은 여러 기관에서 다양한 증상이나 장애로 발현된다. 갱년기에 경험하는 가장 초기 증상이며 가장 흔한 증상인 안면홍조는 혈관 운동 조절 이상으로 생기며, 목과 가슴 등에 갑자기 화끈거림과 피부 열감이 나타나는 것이다. 더불어 혈관계 이상으로 빈맥과 발한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또한 질과 요도의 상피세포 두께가 감소하고 점막이 위축되며 탄력성을 잃는 질 건조증, 질 위축증, 요실금, 요로 감염, 요급박증과 빈뇨 등의 비뇨생식기계 이상이 나타난다. 또한 에스트로겐의 결핍은 중추신경계에도 영향을 미쳐 인지기능에 장애가 생길 수 있으며, 불면증 (수면장애), 불안감, 초조, 근심, 우울, 기억력 감퇴, 성욕 감퇴, 무기력증 등의 비뇨생식계 이상도 동반될 수 있다. 폐경 이후 장기적으로는 골다공증, 관절통 등과 같은 만성 근골격계 이상이 우려된다. 여성 호르몬은 골밀도 유지에 중요한데, 갱년기에 여성 호르몬이 감소하면 뼈에서 칼슘이 빠져나가 골밀도가 감소하고 뼈 미세구조를 변형시켜서, 대표적으로 대퇴부 및 장골 등의 골질을 약화시키는 골다공증이 생기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혈중 콜레스테롤의 증가로 고혈압과 관상동맥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기초 대사량의 감소가 복부비만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폐경기 증상을 치료하기 위하여 대표적으로 호르몬 대체 요법이 이용된다. 폐경으로 인해 체내 생성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여성 호르몬을 보충시켜주는 방법이다. 호르몬 요법은 감소된 에스트로겐 수치를 정상으로 회복시킴으로써 특히 골다공증과 심장질환 등 호르몬 결핍으로 유발되는 다양한 증상을 호전시킨다. 그러나, 호르몬 대체 요법을 장기간 받게 되면, 유방암이나 자궁내막암 등 여성암의 발병할 위험이 높아지고, 모든 폐경기 여성이나 모든 폐경 증상을 완화시킬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질출혈, 오심, 구토, 유방 통증, 복부 팽만감 등의 부작용이 드물지 않게 동반된다. 이에 따라 독성과 부작용은 적으면서, 폐경기 여성에서 결핍된 에스트로겐의 기능을 회복시켜 줄 수 있는 대체 요법과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을 갖는 물질의 발굴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여성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완화 효과가 있는 천연물질들의 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는 조합을 찾기 위해 연구한 결과,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병용투여할 경우,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의 상승 작용이 일어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에 따라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이 체내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로 유발되는 여성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갱년기 증상’은 갱년기 전후, 폐경기 전후, 또는 폐경기에 걸쳐서 나타나는 호르몬 부족으로 유발되는 증상들을 의미하며, 특히 여성의 갱년기에 대한 것이다. 자연적인 노화 또는 질병으로 인한 난소의 기능 저하로 인하여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트로겐 등의 여성 호르몬의 생산과 분비가 감소하고, 배란과 생리가 멈추는 현상이 ‘폐경’이고, 폐경이 진행되는 전후 시기를 ‘폐경기’ 또는 ‘갱년기’라고 한다. 갱년기는 엄밀하게는 폐경기보다는 포괄적인 의미로서 가임기에서 폐경기로 이행하는 시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갱년기 증상’은 바람직하게는 체내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로 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갱년기 증상은 생리불순, 안면홍조, 빈맥, 발한, 인지장애, 기억력장애, 수면장애, 질 건조, 질 위축증, 피로감, 우울감, 골다공증, 관절통, 탈모증,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 및 고지혈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이 실험을 통해 확인한 바에 따르면,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은 각각 에스트로겐 의존성 세포주인 MCF-7 세포에서 세포 증식을 촉진하고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을 보인다. 나아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함께 병용투여하면, 각각의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할 때보다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이 더욱 향상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두 가지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은 에스트로겐 감소로 유발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회화나무열매(Sophorae fructus)는 콩과에 속하는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의 열매로, 콩 꼬투리 모양의 씨방에 1~6개의 흑갈색이나 검은색의 씨앗이 들어있다. 항염, 지혈 등의 효과가 있어서, 민간 또는 한방에서 잘 익은 열매를 수확하여 건조한 것을 그대로 또는 불에 볶아 약으로 쓰며, 괴실(槐實), 괴자(槐子), 괴두(槐豆) 등으로도 불린다. 맛은 약간 쓰고 콩비린 맛이 난다. 성질이 차갑고 열기를 식히는 작용이 있어서, 소화기관이 약하거나 맥이 약한 사람은 과량 복용해서는 안 되고, 일부 사람에게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오미자’(Schisandra frucus)는 오미자과의 낙엽성 동굴식물인 오미자나무(Schisandra chinensis)의 열매를 의미한다. 오미자는 단맛, 짠맛, 쓴맛, 신맛, 매운맛의 다섯가지 맛을 골고루 갖추고 있다고 한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약으로 쓰거나 술과 차의 재료로 쓴다. 강장작용, 혈압조절작용, 간 대사 촉진 등의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나무의 열매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회화나무열매의 추출물과 오미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1:1 내지 1:50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다. 배합비가 1:1 미만이면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활성의 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1:500 이상이면 효과에 비하여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주정,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클로로메탄, 아세폰, 클로로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추출물은 공지된 천연물 추출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회화나무열매 또는 오미자로부터 물, 에탄올, 주정, 메탄올,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시클로헥산,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디에틸에테르, 벤젠과 같은 유기용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에 의하여 추출된 추출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활성성분의 농도를 높이기 위해 공지의 방법으로 분리, 분획, 정제, 또는 여과할 수 있다. 분획을 위한 용매로는 물, 에탄올, 주정 및 메탄올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n-헥산 (n-Hexane), 디에틸에테르, 아세톤, 벤젠과 같은 유기용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분획물은 그대로 사용되거나 재분획할 수 있다. 최종 추출물은 공비 농축, 감압 농축 등 공지된 방법으로 농축할 수 있으며, 동결 건조, 분무 건조 등의 방법에 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고형화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화나무열매를 60%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여과 및 농축한 후 분무건조기로 건조 및 분말화하였다. 다른 천연물 추출물도 유사하게 열수추출 또는 주정추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고 분무 또는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여성 갱년기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홍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대두 추출물, 감마리놀렌산, 비타민A, 비타민B6, 비타민C, 비타민D3, 및 비타민E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화나무열매 또는 오미자 추출물을 이용한 식품용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체지방 감소, 콜레스테롤 개선, 혈압강하 등 여성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를 들어, 과일 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를 들어,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를 들어,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를 들어, 버터, 치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를 들어,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총 중량 중 0.01 내지 50중량% 이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을 식품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5개정판, p33-48, 1989).
본 발명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의 병용처리에 의한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의 상승작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경제적으로 여성 갱년기 증상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의약품으로 개발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에 포함되는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배합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의 복합 조성물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 등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펩티드 제제에 대한 경구투여용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전달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오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1995)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전체 용량은 1일당 환자 체중 1㎏ 당 약 0.01㎍ 내지 10,000mg,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0mg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용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회화나무열매와 오미자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의 상승 작용으로 인해 단독 추출물보다 적은 양으로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고, 단독 추출물을 과량 복용하는 데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피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안전하게 여성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농도에서의 천연물 추출물의 MCF-7 세포주 증식 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의 A는 회화나무열매 추출물, B는 오미자 추출물, C는 인진쑥 추출물, D는 백복령 추출물이다. 세로축은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 %), 가로축은 각 추출물의 농도(ug/ml)을 나타낸다.
도 2는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천연 추출물의 병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E-스크린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세로축은 에스트라디올을 기준으로 비교한 상대적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estrogenic activity, %), 가로축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병용 효과를 비교한 천연 추출물(오미자, 인진쑥, 감초, 백복령)을 나타낸다. 회색은 천연추출물 단독처리군(17㎍/㎖), 흰색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 단독처리군(17㎍/㎖), 검정색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천연추출물 병용 처리군(각각 8.5㎍/㎖, 중량비 1:1의 혼합물)을 나타낸다.
도 3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 병용의 배합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E-스크린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세로축은 에스트라디올을 기준으로 비교한 상대적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estrogenic activity, %), 가로축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의 중량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방법>
1. 추출물의 제조
회화나무열매(제성약업사, 경동시장 내)는 20kg을 세척 후, 건조하여 분쇄기를 이용하여 30 mesh의 크기로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물에 60% 주정을 첨가하여 주정 추출 후 50℃로 냉각시킨 다음 100 mesh의 여과포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다시 200 mesh 여과포로 여과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상등액을 농축기를 이용하여 1/5의 부피가 되도록 농축한 다음, 상기 농축액을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 및 분말화하였다.
오미자 추출물은 건조 오미자를 시료양 중량 대비 5~10배에 해당하는 정제수에 넣어 70℃ 이상으로 2시간 이상 가열하여 열탕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포로 여과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였다. 분리된 추출물은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시켰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다른 천연물 추출물도 유사한 방법으로 열수 또는 주정추출하였다.
2. MCF-7 세포주 배양 및 시험 물질의 처리
L-glutamine(300㎎/ℓ), 25mM NaHCO3, 10% heat 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FBS), insulin 등이 함유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humidified CO2 incubator에서 37℃,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이후, 96 well plate에 5x103 cells/㎖의 농도로 cell을 분주한 후 2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여기에 시험 물질을 처리하여 20시간 동안 배양하고, MTT solution을 첨가(final conc. 0.5㎎/㎖)하여 4시간을 더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DMSO를 이용하여 cell을 lysis시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생존률을 측정하였다.
3.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 측정(E-스크린)
24 well plate에 2x104 cells/㎖의 농도로 cell을 분주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17β-estradiol(E2, 10-13~10-8 M)을 양성대조군으로 하고, 시험물질을 단독 또는 병용으로 처리하여 3일간 더욱 배양하였다. MTT solution을 첨가(final conc. 0.5㎎/㎖)한 후 4시간을 더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DMSO를 이용하여 cell을 lysis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E2와 비교해 estrogenic activity를 산출하였다.
E-스크린용 배지는 일반 FBS 대신 charcoal stripped FBS를 첨가한 phenol red-free 배지로서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물질(estrogen-like substance)을 모두 배제시킨 배지이며, 에스트라디올(17β-estradiol)을 표준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각 농도별(10-13~10-8M)로 각각 처리한 후, 세포증식률이 포화상태가 되는 최소 증식농도를 산출하여 각 시험물질의 농도별 세포 증식률 결과에서 표준 대조군의 최소 증식률을 100%로 기준을 잡았을 때 증가 또는 감소함을 확인하여 에스트로겐 유사활성(estrogenic activity)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을 갖는 천연 추출물의 선별
<1-1> MCF-7 유방암 세포주 증식 촉진 효과
여성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최대화하고 부작용은 최소화하기 위한 병용 투여를 위한 물질의 조합을 찾기 위하여, 먼저 여성 갱년기 증상을 완화하거나, 대표적인 에스트로겐 결핍 현상인 골다공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에 대하여 실제로 세포 수준에서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이 있는지 유방암 세포주 증식 촉진 효과 여부를 확인하여 알아보았다.
여성 건강이나 여성 갱년기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후보 물질로서, 회화나무열매, 산수유, 은행잎, 홍삼, 당귀, 백작약, 감초, 석류, 대두, 오미자, 인진쑥, 백복령, 백수오 등 천연물질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후보 물질을 단독으로 MCF-7 세포주에 다양한 농도(0~20mg/ml 범위)로 처리하고,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일반에 공지된 바와는 달리, 모든 후보 물질이 MCF-7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지는 않았으며, 물질에 따라 차등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물질은 아무 물질도 처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MCF-7의 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효과가 관찰되어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다른 물질들은 음성대조군과 유사하거나, 인진쑥과 백복령 추출물과 같이 일정 농도에서는 별다른 효과가 없다가 농도가 높아질수록 오히려 MCF-7의 증식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난 경우도 있었다(도 1). 오미자 추출물의 경우에는 5mg/㎖에서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화나무열매 추출물의 경우에는 25㎍/㎖ 근처의 좁은 농도 범위에서 현저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기존에 갱년기 증상 완화 효과가 있다고 기존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MCF-7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지 않는 물질의 경우에는 에스트로겐 신호전달이 아닌 다른 메커니즘을 통하여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을 완화할 것으로 추정된다.
<1-2>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 확인 (E-스크린)
<실시예 1-1>에서 선별한 여성 건강이나 여성 갱년기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들에 대하여, MCF-7 세포에서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이 있는지 보다 직접적으로 확인하였다. 유방암 세포주 MCF-7을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이 없는 배지로 배양하고, 상기 후보 물질을 단독으로 MCF-7 세포주에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고,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여 이들 후보 물질에 알려진 것과 같은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이 존재하는지 알아보았다. MCF-7 세포는 에스트로겐 의존성 세포이므로, 에스트로겐이 결핍된 배지 배양 조건에서는 배지에 추가하는 후보 물질의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에 증식을 의존하게 된다.
실험 결과, 분석 대상인 물질들의 활성은 <실시예 1-1>에서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알려진 바와는 달리, 모든 후보 물질이 MCF-7 세포주에서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으며, MCF-7 세포 증식으로 나타나는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도는 후보 물질에 따라 차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물질은 양성대조군인 17β-estradiol과 유사한 정도로 MCF-7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여, 세포 수준에서 높은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다른 물질들은 양성대조군에 못미치는 효과가 있었으며, MCF-7 세포의 증식을 촉진 정도는 물질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실시예 2>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을 보이는 천연 추출물의 병용 투여 효과
다음으로, <실시예 1>에서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물질을 함께 처리하여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의 상승 작용 (synergy)을 나타낼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을 보인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다른 천연추출물 두 가지를 조합하여 함께 처리한 병용 처리의 효과를 <실시예 1-2>의 E-스크린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다른 천연 추출물을 조합한 복합 조성물의 병용 처리 효과는 조합한 물질에 따라 모두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정한 조합에서는 각각의 물질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높은 세포 증식 효과가 관찰되어,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의 상승 작용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다른 조합(인진쑥, 백복령, 감초 등)에서는 병용 처리의 효과가 미미하거나, 오히려 단독 물질을 처리한 경우보다 효과가 감소하는 경우도 관찰되었다(표 1, 도 2; 표 1과 도 2에서 ‘추출물 단독’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병용처리한 천연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을 의미함).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의 조합에서는 병용 처리시 각각의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것보다 효과가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즉, 두 가지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면 단독 추출물보다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을 통하여 MCF-7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효과가 더욱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3>
에스트로겐 유사활성 천연물질의 병용 투여를 위한 배합비 결정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의 병용 투여의 배합비를 결정하기 위하여 1:1 내지 1:256 등 다양한 중량비로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혼합하여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고, <실시예 1-2>의 E-스크린 방법으로 서로 다른 배합비 간 효과를 비교하였다.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 병용 처리의 배합비 및 실험 결과는 표 2의 기재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의 병용 효과는 배합비가 달라져도 유사한 수준이다가 1:256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pat00002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용 및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회화나무열매와 오미자의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의 상승 작용으로 인해 효과는 뛰어나고 부작용은 줄어든 여성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7)

  1.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1:1~1:50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주정,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클로로메탄, 아세폰, 클로로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홍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대두 추출물, 감마리놀렌산, 비타민A, 비타민B6, 비타민C, 비타민D3, 및 비타민E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증상은 체내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로 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증상은 생리 불순, 안면 홍조, 빈맥, 발한, 인지 장애, 기억력 장애, 수면 장애, 질건조, 질위축증, 피로감, 우울감, 골다공증, 관절통, 탈모증,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 및 고지혈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90074267A 2018-12-31 2019-06-21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0831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140 2018-12-31
KR20180174140 2018-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142A true KR20200083142A (ko) 2020-07-08

Family

ID=71600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267A KR20200083142A (ko) 2018-12-31 2019-06-21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31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3163A (en) * 2022-08-08 2024-04-10 Huntgreenliving Llc Dba Nnabi Oral composition for perimenopa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3163A (en) * 2022-08-08 2024-04-10 Huntgreenliving Llc Dba Nnabi Oral composition for perimenopa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05766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on or prevention of bone density reduction
US20130171276A1 (en) Composition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a and Coix Lachryma-Jobi for Suppressing Obesity or Lowering Blood Sugar, and Use Thereof
KR102045903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1870940B1 (ko)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KR20200083141A (ko)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60001877A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200083142A (ko)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083143A (ko)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백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80410B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083140A (ko)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백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874778B1 (ko) 발효청국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071044B1 (ko) 황기, 복령 및 적소두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75836B1 (ko) 마키베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시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3138A (ko)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083139A (ko)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083137A (ko) 회화나무열매 추출물과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7312907B2 (ja) チョウセンノギク抽出物を含む月経前症候群症状改善用組成物
KR101293835B1 (ko)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172664A (ko) 백수오 추출물을 이용한 여성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완화를 위한 조성물
KR102448274B1 (ko) 보골지 추출물의 조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71380A (ko) 목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2408605B1 (ko) 회화나무, 및 갈근 또는 콩발아배아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 및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8852B1 (ko) 베타인 함량이 증대된 구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348471B1 (ko) 라리아 큐네폴리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39457B1 (ko) 괴각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