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519B1 - 티그 백킹재 및 그 용접방법 - Google Patents

티그 백킹재 및 그 용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519B1
KR102408519B1 KR1020210119891A KR20210119891A KR102408519B1 KR 102408519 B1 KR102408519 B1 KR 102408519B1 KR 1020210119891 A KR1020210119891 A KR 1020210119891A KR 20210119891 A KR20210119891 A KR 20210119891A KR 102408519 B1 KR102408519 B1 KR 102408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wire
base material
back surface
t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성
Original Assignee
김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성 filed Critical 김학성
Priority to KR1020210119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35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with backing means disposed under the seam
    • B23K9/0356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with backing means disposed under the seam the backing means being a tape or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23K9/173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and of a consumable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29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 B23K9/291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the shielding means being a gas
    • B23K9/295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the shielding means being a gas using consumable electrode-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두 모재의 사이에 와이어를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고 알루미늄 테이프를 이용하여 모재의 이면부에서 와이어를 고정하도록 부착하여 용접하므로, 용접 품질과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며 용접 작업자가 티그 용접 기술의 습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티그 백킹재 및 그 용접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재의 맞대기 용접을 시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티그 백킹재로서, 서로 다른 두 개의 모재를 용접 결합하기 위해서 두 모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용접공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용접시 상기 모재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모재와 함께 용융되어 용접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도록 두 모재의 이면에서 와이어를 덮도록 부착 설치되되, 용접 후에는 제거할 수 있도록 모재의 이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 테이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티그 백킹재 및 그 용접방법{TIG backing material and its welding method}
본 발명은 티그(TIG; TUNGSTEN INERT GAS) 백킹재 및 그 용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모재를 용접 결합하기 위해서 두 모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용접공간부에 와이어를 설치한 후 모재의 이면에 알루미늄 테이프를 부착하여 용접공간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고정한 상태로 용접하고 용접 후에는 모재 이면에 부착된 알루미늄 테이프를 제거하도록 하여 용접 품질과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티그 백킹재 및 그 용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이라 하면 2개 혹은 그 이상의 물체나 재료를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로 하여 여기에 용가재(용접봉, 와이어)를 넣어 접합하는 것으로, 재료의 종류와 두께에 따라 다양한 용접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티그 용접은 아르곤이나 헬륨 등의 불활성가스를 보호가스로 사용하면서 비소모성 전극인 텅스텐 전극과 용접 부재 사이에서 발생시킨 아크열로 모재를 용융시켜 접합하는 용접법이다. 용가재를 송급하여 부재와 함께 용융시키기도 한다. 보호가스로는 부재와 텅스텐 전극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불활성가스인 아르곤이나 헬륨 등을 사용하므로 TIG(Tungsten Inert Gas) 용접으로 부르고 있다.
티그 용접법은 모든 용접자세에 적용할 수 있으며, 아크가 매우 안정되고 용접부 품질이 우수하므로 산화나 질화 등에 민감한 재질의 용접 및 피복아크 용접이 적용하기 곤란한 경우에 사용된다.
도 1은 티그 용접장치의 개념도로서, 티그 토치(10) 내부의 텅스텐 전극봉(11)과 모재(12)에 용접 전원(13)을 접속하고 텅스텐 전극봉(11)과 모재(12) 사이에 용접 아크(14)를 형성하여 용접용 티그 와이어(15)를 수동으로 아크부(14)에 송급한 후 아크 열로 녹여 용접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티그 용접장치를 이용한 티그 용접은 티그 와이어(15)의 송급을 수동으로 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용접 작업자의 검지와 중지 손가락 위에 티그 와이어(15)를 위치시키고 엄지 손가락으로 티그 와이어(15)를 용접 아크 내로 움직인다.
그런데, 티그 와이어(15)의 송급이 너무 느리면 용접 모재(12)가 아크 열에 과다하게 노출되게 되고, 티그 와이어(15)의 송급 속도가 너무 빠르면 아크 열이 티그 와이어(15)를 녹일 수 없어 용접 결함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티그 와이어(15)의 수동 송급 작업은 상당한 시간의 연습과 숙련이 필요하다.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14-0060904호, 티그 와이어 자동 송급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모재의 사이에 와이어를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고 알루미늄 테이프를 이용하여 모재의 이면부에서 와이어를 고정하도록 부착하여 용접하므로, 용접 품질과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며 용접 작업자가 티그 용접 기술의 습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티그 백킹재 및 그 용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재의 맞대기 용접을 시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티그 백킹재로서, 서로 다른 두 개의 모재를 용접 결합하기 위해서 두 모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용접공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용접시 상기 모재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모재와 함께 용융되어 용접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도록 두 모재의 이면에서 와이어를 덮도록 부착 설치되되, 용접 후에는 제거할 수 있도록 모재의 이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는: 삼각형상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지되, 삼각형상의 어느 일변이 모재의 이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도록 그 일변에 마주하는 삼각형상의 대각이 상기 용접공간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용접공간부에 삽입 설치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재의 이면에 설치되는 부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재의 맞대기 용접을 시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티그 백킹재로서, 서로 다른 두 개의 모재를 용접 결합하기 위해서 두 모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용접공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용접시 상기 모재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모재와 함께 용융되어 용접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는 삼각형상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재의 맞대기 용접을 시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티그 백킹재 용접방법으로, 서로 다른 두 개의 모재를 용접시 상기 모재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모재와 함께 용융되어 용접되는 와이어를 제공하는 제1단계; 상기 와이어를 서로 다른 두 모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용접공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제2단계; 상기 용접공간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고정시키도록 두 모재의 이면에서 와이어를 덮도록 알루미늄 테이프를 모재 이면에 부착하는 제3단계; 상기 용접공간부에 설치되는 와이어가 모재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모재와 함께 용융되도록 용접공간부에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용접 작업을 완료한 후에 상기 알루미늄 테이프를 제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는 삼각형상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지되, 삼각형상의 어느 일변이 모재의 이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도록 그 일변에 마주하는 삼각형상의 대각이 상기 용접공간부에 삽입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티그 백킹재 및 그 용접방법에 의하면, 두 모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용접공간부에 와이어를 길이 방향으로 설치한 후 모재의 이면에 알루미늄 테이프를 부착하여 와이어를 고정한 상태로 용접하므로, 용접 품질과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용접 작업자가 티그 용접 기술의 습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정량의 용융풀 형성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대형 배관의 퍼지를 해 줄 필요가 없어 인사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퍼지로 인한 가스 손실을 줄일 수 있어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가우징 등의 작업이 필요 없음으로, 작업 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알루미늄 테이프를 부착하고 떼는 작업만으로 와이어를 고정해 주면 됨으로 작업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티그 용접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그 백킹재를 이용한 용접방법에 적용되는 와이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그 백킹재를 이용한 용접방법에 적용되는 와이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그 백킹재 용접방법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들은 직접적인 접촉이나 연결뿐만 아니라 구성과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통해 접촉이나 연결된 것도 같은 범위로 해석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그 백킹재를 이용한 용접방법에 적용되는 와이어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그 백킹재를 이용한 용접방법에 적용되는 와이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재의 맞대기 용접을 시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티그 백킹재로서, 와이어(110) 및 알루미늄 테이프(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110)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모재(100)를 용접 결합하기 위해서 두 모재(1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용접공간부(102)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110)는 용접시 모재(100)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모재(100)와 함께 용융되어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와이어(110)는 도 2표시와 같이, 삼각형상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삼각형상의 어느 일변(112)이 모재(100)의 이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도록 그 일변(112)에 마주하는 삼각형상의 대각(114)이 상기 용접공간부(102)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삼각형상의 대각(114)은 두 모재(100) 사이에 형성되는 용접공간부(102)에 삽입 설치되는 삽입부이고, 삼각형상의 일변(112)은 알루미늄 테이프(120)에 부착되는 부착부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110)는 도 3표시와 같이, 상기 용접공간부(102)에 삽입 설치되는 삽입부(116)와 상기 삽입부(116)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재(100)의 이면에 설치되는 부착부(118)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와이어(110)는 알루미늄 테이프(120)에 의해 모재(100)의 용접공간부(102)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와이어(110)의 부착부(118)를 알루미늄 테이프(120)로 모재 이면에 고정되도록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테이프(120)는 와이어(110)를 고정시키도록 두 모재(100)의 이면에서 와이어(110)를 덮도록 부착 설치되는 은박으로, 용접 후에는 제거할 수 있도록 모재(100)의 이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재(100)의 이면에 알루미늄 테이프(120)로 고정되도록 와이어(110)를 용접공간부(102)에 고정되도록 한 상태로 용접하므로, 기존 방식인 손으로 공급하는 방식에 비해 용접이 편한 장점을 갖는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그 백킹재 용접방법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재의 맞대기 용접을 시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티그 백킹재 용접방법은, 서로 다른 두 개의 모재(100)를 용접시 상기 모재(100)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모재(100)와 함께 용융되어 용접되는 와이어(110)를 제공하는 제1단계(S10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110)를 서로 다른 두 모재(1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용접공간부(102)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제2단계(S102)와, 상기 용접공간부(102)에 설치되는 와이어(110)를 고정시키도록 두 모재(100)의 이면에서 와이어(110)를 덮도록 알루미늄 테이프(120)를 모재 이면에 부착하는 제3단계(S10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모재의 용접공간부(102)에 와이어(110)를 설치한 후 상기 용접공간부(102)에 설치되는 와이어(110)가 모재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모재와 함께 용융되도록 용접공간부에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제4단계(S104)와, 상기 용접 작업을 완료한 후에 상기 알루미늄 테이프(120)를 제거하는 제5단계(S10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와이어(110)는 삼각형상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삼각형상의 어느 일변(112)이 모재(100)의 이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도록 그 일변(112)에 마주하는 삼각형상의 대각(114)이 상기 용접공간부(102)에 삽입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점은, 모재의 용접공간부(102)이 와이어(110)가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모재(100)의 이면에 알루미늄 테이프(120)를 붙여 와이어를 고정한 상태로 용접하므로, 기존 방식인 손으로 와이어를 공급하는 방식에 비해 용접이 편하게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용접시 퍼지를 해 줄 필요가 없으며, 대형 배관 및 기계 제작의 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용접에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적정량의 용융풀 형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대형 배관의 퍼지를 해 줄 필요가 없음으로, 인사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퍼지로 인한 가스 손실을 줄일 수 있어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우징 등의 작업이 필요 없음으로 작업 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알루미늄 테이프를 부착하고 떼는 작업만 해 주면 되므로 매후 편리하게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모재 102 - 용접공간부
110 - 와이어 120 - 알루미늄 테이프

Claims (6)

  1. 모재의 맞대기 용접을 시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티그 백킹재에 있어서,
    용접공간부에 삽입 설치되는 삽입부(116)와, 상기 삽입부(116)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모재(100)의 이면에 설치되는 부착부(118)로 구성되면서 서로 다른 두 개의 모재(100)를 용접 결합하기 위해서 두 모재(1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용접공간부(102)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용접시 상기 모재(100)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모재(100)와 함께 용융되어 용접되고, 삼각형상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지되, 삼각형상의 어느 일변(112)이 모재(100)의 이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도록 그 일변(112)에 마주하는 삼각형상의 대각(114)이 상기 용접공간부(102)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110); 및
    상기 와이어(110)를 고정시키도록 두 모재(100)의 이면에서 와이어(110)를 덮도록 부착 설치되되, 용접 후에는 제거할 수 있도록 모재(100)의 이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 테이프(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그 백킹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모재의 맞대기 용접을 시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티그 백킹재 용접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두 개의 모재(100)를 용접시 상기 모재(100)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모재(100)와 함께 용융되어 용접되는 와이어(110)를 제공하되, 상기 와이어(110)는 삼각형상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삼각형상의 어느 일변(112)이 모재(100)의 이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도록 그 일변(112)에 마주하는 삼각형상의 대각(114)이 용접공간부(102)에 삽입 설치되는 제1단계(S101);
    상기 와이어(110)를 서로 다른 두 모재(1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용접공간부(102)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제2단계(S102);
    상기 용접공간부(102)에 설치되는 와이어(110)를 고정시키도록 두 모재(100)의 이면에서 와이어를 덮도록 알루미늄 테이프(120)를 모재 이면에 부착하는 제3단계(S103);
    상기 용접공간부(102)에 설치되는 와이어가 모재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모재(100)와 함께 용융되도록 용접공간부(102)에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제4단계(S104); 및
    상기 용접 작업을 완료한 후에 상기 알루미늄 테이프(120)를 제거하는 제5단계(S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그 백킹재 용접방법.

  6. 삭제
KR1020210119891A 2021-09-08 2021-09-08 티그 백킹재 및 그 용접방법 KR102408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891A KR102408519B1 (ko) 2021-09-08 2021-09-08 티그 백킹재 및 그 용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891A KR102408519B1 (ko) 2021-09-08 2021-09-08 티그 백킹재 및 그 용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519B1 true KR102408519B1 (ko) 2022-06-14

Family

ID=81980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891A KR102408519B1 (ko) 2021-09-08 2021-09-08 티그 백킹재 및 그 용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5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790A (ko) * 2010-12-23 2012-07-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입향 상진용접용 백킹재 및 이를 이용한 입향 상진용접 방법
KR20140060904A (ko) 2012-11-13 2014-05-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티그 와이어 자동 송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790A (ko) * 2010-12-23 2012-07-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입향 상진용접용 백킹재 및 이를 이용한 입향 상진용접 방법
KR20140060904A (ko) 2012-11-13 2014-05-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티그 와이어 자동 송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2602B2 (ja) Tig溶接方法
KR102408519B1 (ko) 티그 백킹재 및 그 용접방법
CN105364272A (zh) 碳素钢管焊接工艺
CZ286548B6 (cs) Způsob podélného svařování trubek s plochou ocelí a zařízení k jeho provádění
JP4327153B2 (ja) アーク狭窄シールドノズル
KR20120029650A (ko) 배관 부재의 용접 방법
CN105364273B (zh) 用于镍基板式拼接的实芯焊丝气保焊方法
JP2010051998A (ja) 半自動アーク溶接機トーチ用ノズル
JP2833279B2 (ja) 鋼管の溶接方法
CN103170711A (zh) Tig焊手工“摇把焊”方法
CN212169304U (zh) 一种用于铝合金焊接头的保护机构
JPH03275280A (ja) 消耗電極式アーク溶接法
JPH0553778U (ja) チタン溶接用補助シールドガスボックス
JPH09314334A (ja) 高速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装置および溶接方法
JP7258110B1 (ja) 溶接方法および開先構造
JP7198067B2 (ja) 水平隅肉アーク溶接方法
KR100879163B1 (ko) 플럭스를 이용한 가스텅스텐 아크 용접방법
CN106808069A (zh) 碳素钢管焊接工艺
JPH057115B2 (ko)
JPS6125464B2 (ko)
JP4305888B2 (ja) 円筒部材の溶接方法
JPH08155641A (ja) Tigアーク溶接用バックシールド装置
JP3947422B2 (ja) チタン又はチタン合金のmig溶接方法
JP2021181097A (ja) アーク溶接機及びアーク溶接方法
CN109986175A (zh) 碳素钢管焊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