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821B1 - 데이터 처리 방법, 단말 장치,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 방법, 단말 장치,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821B1
KR102407821B1 KR1020207018906A KR20207018906A KR102407821B1 KR 102407821 B1 KR102407821 B1 KR 102407821B1 KR 1020207018906 A KR1020207018906 A KR 1020207018906A KR 20207018906 A KR20207018906 A KR 20207018906A KR 102407821 B1 KR102407821 B1 KR 102407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payment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0671A (ko
Inventor
펜 쟈이
춘레이 구
게 첸
리주안 캉
Original Assignee
어드밴스드 뉴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밴스드 뉴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어드밴스드 뉴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100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 G07G1/14Systems including one or more distant stations co-operating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데이터 처리 방법, 단말 장치, 그리고 데이터 처리 시스템. 상기 방법은, 제1 단말기가 지불 코드를 생성하고(S20) - 상기 지불 코드는 연결 정보를 포함하고 이 연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함 -; 제2 단말기가 상기 지불 코드를 획득하고(S30),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여 상기 무선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며(S32)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됨 -;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무선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S22)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24).

Description

데이터 처리 방법, 단말 장치,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
본 개시(disclosure)의 실시예들은 컴퓨터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데이터 처리 방법, 단말 장치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전과 이동 단말 장치의 대중화에 따라, 버스요금 지불 시나리오와 같은 일상 생활에서 2차원 코드(two-dimensional code)가 점차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버스요금 지불 시나리오에 관여되는 주체들(entities)에는 이동 단말 장치, 버스 POS 장치, 상기 이동 단말 장치에 대응하는 서버(이하, 제1 서버로 칭함), 및 상기 버스 POS 장치에 대응하는 서버(이하, 제2 서버라 칭함)가 포함된다. 사용자는 승차 2차원 코드(지불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이동 단말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버스 POS 장치는 상기 지불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승차 2차원 코드를 스캔하고 상기 지불 정보를 상기 제2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지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서버로 차감(deduction)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차감 요청을 수신한 후 차감 작업을 수행하고 차감 표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 장치로 돌려보낼 수 있다.
사용자가 좋지 않은 네트워크 조건에서도 버스를 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버스 POS 장치는 상기 확인된 지불 정보를 상기 제2 서버로 업로드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보통 구성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코드를 스캔한 후 상기 이동 단말 장치가 상기 차감 표시 정보를 즉각적으로 획득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버스 POS 장치에 의해 방출되는 소리를 통해서만 상기 코드가 성공적으로 스캔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데, 이것은 좋지 못한 사용자 경험을 야기한다. 특히, 버스 POS 장치의 울림(sounding)이 실패할 경우, 사용자가 여러 번 코드 스캐닝을 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CN106886892는 바코드-기반의 통신 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제1 전송 정보를 제1 바코드로 렌더링하고 피어 장치(peer device)에 의해 스캔될 상기 제1 바코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피어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제2 바코드를 스캔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바코드에 의해 전달되는 제2 전송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전송 정보는 상기 제1 전송 정보의 처리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피어 장치에 의해 얻어진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두 통신 당사자들이 상기 바코드들을 사용하여 양방향 정보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단방향 통신으로 인한 정보 비대칭이 방지되며, 서비스 무결성 및 보안이 강화된다.
CN102081769는 지불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시스템, 지불 단말기 및 지불 서버를 개시한다.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수령자 단말기가 수령자 정보를 지불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지불자 단말기가 리턴하는 암호화된 지불 요청 데이터를 상기 수령자 단말기가 수신하고 상기 암호화된 지불 요청 데이터 및 지불 금액을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암호화된 지불 요청 데이터 및 지불 금액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결제를 수행한 후, 리턴되는 암호화된 지불 결과 데이터를 상기 수령자 단말기가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령자 단말기가 상기 암호화된 지불 결과 데이터를 상기 지불자 단말기에 리턴하는 단계. 이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전송 과정에서 지불 데이터의 신뢰성 및 보안이 향상되는 동시에 지불자의 개인 정보 보안도 역시 보장되며; 지불자인 사용자는 그 자신의 개인 장비 상에서 지불 금액을 확인하고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지불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코드가 성공적으로 스캔되었는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 처리 방법, 단말 장치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제1 단말기에 의해, 지불 코드(payment code)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지불 코드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connection identifier)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포함함 -; 제2 단말기에 의해, 상기 지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며,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및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제1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지불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지불 코드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및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지불 코드를 생성할 수 있게 구성된 생성부(generating unit) - 상기 지불 코드는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구성된 수신부(receiving unit)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및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구성된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된 통신 구성요소(communication component);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구성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display component); 및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지불 코드를 생성할 수 있게 구성되고 - 상기 지불 코드는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구성되며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그리고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제2 단말기에 적용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지불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지불 코드는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지불 코드를 획득할 수 있게 구성된 획득부(acquiring unit) - 상기 지불 코드는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구성된 전송부(sending unit)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된 통신 구성요소; 및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지불 코드를 획득할 수 있게 구성되고 - 상기 지불 코드는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구성된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지불 코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지불 코드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지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며,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수단들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지불 코드를 생성할 수 있는데, 상기 지불 코드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지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며,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코드가 성공적으로 스캔되었는지의 여부를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또는 선행기술에서의 기술적 해결수단들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면들 또는 상기 선행기술의 도면이 다음과 같이 간략히 소개된다. 분명히, 아래의 설명에서 도면들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단순히 예시할 뿐이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아무런 창의적 노력 없이도 다른 도면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의 개략적 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데이터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불 코드의 개략적 다이어그램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불 성공을 위한 표시 정보의 개략적 다이어그램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불 실패를 위한 표시 정보의 개략적 다이어그램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기능 구조(functional structure)의 개략적 다이어그램이고;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단말 장치의 기능 구조의 개략적 다이어그램이고;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단말 장치의 기능 구조의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며;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단말 장치의 기능 구조의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위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수단들을 명확히 그리고 완전히 설명한다. 명백히, 설명되는 것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전부가 아닌 일부일 뿐이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아무런 창의적 노력 없이 얻게 되는 임의의 다른 실시예들도 본 개시의 보호범위 내에 들어가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제1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지불 코드 생성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불 코드는 그래픽 코드, 음향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그래픽 코드는 바코드, 2차원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IrDA, WI-FI, 초광대역, 지그비, 근접장 통신, NFC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짧은 거리에서의 통신을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전자 장치, 휴대용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또는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등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제2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는 지불 코드 스캐닝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전자 장치, 휴대용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차상 장치(vehicle-onboard device), POS 장치[상선(merchant) POS 장치, 버스 POS 장치 등과 같은], 또는 지능형 웨어러블 장치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는 서버, 산업용 제어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PC), 일체형 장치, 또는 지능형 셀프-서비스 단말기[쇼핑 단말기(kiosk)](예를 들어, 지하철 티켓 자동 판매기, 기차 티켓 자동 판매기) 등과 같은 데스크톱 장치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스피커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제1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버는 하나의 서버이거나 다수의 서버들을 포함하는 서버 클러스터일 수 있다.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제1 단말기에 대응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기는 알리페이 앱(Alipay APP)이 설치된 스마트폰일 수 있고, 상기 제1 서버는 알리페이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세트 전송 시스템은 제2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버는 하나의 서버이거나 다수의 서버들을 포함하는 서버 클러스터일 수 있다.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제2 단말기에 대응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는 버스 POS 장치일 수 있고,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버스 POS 장치에 대응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1, 도 2,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는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주체들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ON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0: 제1 단말기가 지불 코드를 생성.
이 실시예에서, 상기 지불 코드는 그래픽 코드, 음향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그래픽 코드는 바코드, 2차원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불 코드는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식별자는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서로 다르게 수립된 무선 통신 연결들에 따라 상기 연결 식별자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블루투스 기술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경우, 상기 연결 식별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물리적 주소(매체 접근 제어(MAC))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와이파이 기술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경우, 상기 연결 식별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일 수 있다. 물론,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이 다른 기술에 기반하여 수립될 경우, 상기 연결 식별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다른 식별자일 수 있으며, 여기서 열거하지는 않는다.
상기 지불 코드는 지불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 상기 사용자 계정의 코드, 또는 상기 사용자 계정을 파악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계정은, 예를 들어, 알리페이 계정, 위챗(WeChat) 계정, 버스 카드의 카드 번호, 또는 캠퍼스 스마트 카드의 카드 번호 등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지불 정보는 1회 거래 한도와 만료 시기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다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회 거래 한도는, 예를 들어, 10 CNY, 20 CNY 등일 수 있다. 상기 만료 시기는, 예를 들어, 10:30 또는 11:15 등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지불 명령을 수신한 후 상기 지불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지불 키(payment key)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지불 명령은 상기 지불 키가 트리거(trigger)된 것이 검출될 때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불 키의 트리거'는 상기 작동 키가 가압되거나, 클릭되거나, 더블-클릭되거나, 문질러지거나, 소정 시간 이상 가압되는 등의 상황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는 제스처 조작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스처 조작은 디스플레이 구성요소(예를 들어,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터치 궤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미리 설정된 제스처 조작을 인식하면 상기 지불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는 센서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센서는 미리 설정된 모션(motion) 상태를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이로스코프(gyroscope) 및/또는 가속도 센서 등을 특히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미리 설정된 모션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지불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연결 정보 및 상기 지불 정보를 획득하고, 이 획득된 연결 식별자 및 지불 정보에 기초하여 지불 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해 지불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의 타입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는 대응하는 연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되는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의 타입이 블루투스인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는 그 자신의 물리적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미리 결정되는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의 타입이 와이파이인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는 그 자신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기는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계정 또는 로그인 이력이 있는 계정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제1 단말기는 버스 카드의 카드 번호 또는 캠퍼스 스마트 카드의 카드 번호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1회 거래 한도를 더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단말기는 1회 거래 한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1회 거래 한도를 획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는 1회 거래 한도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데이터 획득 요청을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데이터 획득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1회 거래 한도를 획득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1회 거래 한도를 수신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지불 코드의 유효 기간을 더 획득할 수 있고, 현재 시간과 상기 유효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지불 코드의 만료 시기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지불 코드의 유효 기간은 상기 제1 단말기 또는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올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지불 코드의 유효 기간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미리 설정된 유효 기간을 획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지불 코드의 유효 기간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데이터 획득 요청을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데이터 획득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유효 기간을 획득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유효 기간을 수신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어서, 상기 지불 코드 생성 알고리즘은 생성될 지불 코드에 따라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원 코드가 생성될 경우, 상기 지불 코드 생성 알고리즘은 신속 응답 코드(QR 코드) 알고리즘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여기서 상기 QR 코드 알고리즘는 일 예일 뿐이며 2차원 코드를 생성할 수 있는 사실상 어떠한 알고리즘도 여기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물론, 다른 지불 코드가 생성될 경우, 상기 지불 코드 생성 알고리즘은 다른 알고리즘들일 수 있으며, 여기서 열거하지는 않는다.
단계 S12: 상기 제2 단말기의 상기 지불 코드 획득.
이 실시예에서, 코드 스캐닝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상기 지불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지불 코드를 얻기 위해 스캔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상기 지불 코드를 다른 방식들을 통해서도 획득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이 실시예에서 상기 방식들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14: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제1 표시 정보를 송신.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연결 정보 및 상기 지불 정보를 얻기 위해 상기 지불 코드를 분석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무선 통신 연결의 수립을 요청하는 장치로 간주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말기도 역시 무선 통신 연결의 수립을 요청하는 장치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 성공을 위한 표시 정보 또는 지불 실패를 위한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지불 성공을 위한 상기 표시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불 성공을 위한 상기 표시 정보는 지불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지불 실패를 위한 상기 표시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지불 코드를 분석한 후에 지불 성공을 위한 표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바로 전송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지불 코드를 분석한 후에,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지불 정보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진위 여부 확인 결과가 "맞음(correct)"으로 나타날 경우에는 상기 제1 단말기로 지불 성공을 위한 표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진위 여부 확인 결과가 "틀림(wrong)"으로 나타날 경우에는 상기 제1 단말기로 지불 실패를 위한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불 정보는 만료 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불 코드를 분석한 후, 상기 제2 단말기는 현재 시간을 상기 만료 시기와 비교할 수 있고,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만료 시기보다 빠르거나 그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진위 여부 확인 결과를 "맞음"으로 간주하고 상기 현재 시간이 상기 만료 시기보다 느린 경우에는 상기 진위 여부 확인 결과를 "틀림"으로 간주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지불 정보는 1회 거래 한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지불 코드를 분석한 후 지불 금액을 결정하고 상기 지불 금액을 상기 1회 거래 한도와 비교하여 상기 지불 금액이 상기 1회 거래 한도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진위 여부 확인 결과를 "맞음"으로 간주하는 반면 상기 지불 금액이 상기 1회 거래 한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진위 여부 확인 결과를 "틀림"으로 간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불 금액은 미리 설정된 디폴트 금액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지불 금액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정보는, 예를 들어, 도착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지불 금액은 상기 제2 단말기가 그것의 현재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는 계산 규칙을 갖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는 그것의 현재의 지리적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지리적 위치와 상기 계산 규칙에 기초하여 지불 금액을 계산할 수 있다.
단계 S16: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 성공을 위한 표시 정보 또는 지불 실패를 위한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지불 성공을 위한 표시 정보 또는 지불 실패를 위한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서명 데이터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서명 데이터는 비대칭 암호화 기술(asymmetric encryption technology)의 개인 키(private key)에 기초하여 서명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암호화 기술은 RSA 알고리즘, 엘가말(Elgamal) 알고리즘, 배낭(knapsack) 알고리즘, 타원 곡선 암호화 기법(Elliptic Curve Cryptography)(ECC)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서버에 있는 디지털 서명 각각은 상기 디지털 서명 데이터의 검증을 위한 공개 키(public key) 및 상기 공개 키의 확인을 위한 키 시별자(key identifier)에 대응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디지털 서명 데이터와 그에 대응하는 키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연결 정보, 상기 지불 정보, 상기 디지털 서명 데이터, 및 상기 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지불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제1 단말기에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서명 데이터 및 그에 대응하는 키 식별자를 발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제1 단말기는 디지털 서명 데이터 세트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서명 데이터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서명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 각각은 키 식별자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 서명 데이터 세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서명 데이터 및 그에 대응하는 키 식별자를 얻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는 데이터 획득 요청을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데이터 획득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서명 데이터 및 그에 대응하는 키 식별자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 서명 데이터 및 그에 대응하는 상기 키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지불 코드를 획득하고, 연결 정보, 지불 정보, 디지털 서명 데이터 및 키 식별자를 얻기 위해 상기 지불 코드를 분석하고, 상기 키 식별자에 의해 확인되는 공개 키를 타겟 공개 키로서 획득하며, 상기 타겟 공개 키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서명 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검증 후에 제1 표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는 성공적으로 검증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로 지불 성공을 위한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는 검증이 실패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로 지불 실패를 위한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서명 데이터에 대응하는 공개 키를 상기 제2 단말기에 발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단말기는 공개 키 세트를 가질 수 있는데, 이것은 적어도 하나의 공개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공개 키 세트로부터 상기 키 식별자에 대응하는 공개 키를 타겟 공개 키로서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스피커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스피커를 이용하여 사운드 표시 정보가 소리 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불 코드 분석 후에, 상기 제2 단말기는 바로 상기 스피커를 이용하여 지불 성공을 위한 사운드 표시 정보가 소리 나도록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불 코드 분석 후에, 상기 제2 단말기는 지불 정보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진위 여부 확인 결과가 "맞음"일 경우에는 상기 스피커를 이용하여 지불 성공을 위한 사운드 표시 정보가 소리 나도록 하는 반면 상기 진위 여부 확인 결과가 "틀림"일 경우에는 상기 스피커를 이용하여 지불 실패를 위한 사운드 표시 정보가 소리 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서버는 차감 작업(deduction ope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는 지불 금액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서버로 상기 지불 정보 및 상기 지불 금액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지불 정보 및 상기 지불 금액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지불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지불 금액에 기초하여 차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서버가 차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불 정보 및 상기 지불 금액을 수신 한 후,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제1 서버로 차감 요청을 전송할 수 있는데, 상기 차감 요청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지불 금액을 싣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차감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지불 금액에 기초하여 차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감 작업 수행 후에, 상기 제1 서버는 제2 표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는데,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차감 성공의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지불 정보 및 상기 지불 금액을 상기 제2 서버로 바로 전송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는 전송 명령(sending instruction)을 감지한 후에 상기 지불 정보 및 상기 지불 금액을 상기 제2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데, 상기 전송 명령은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상기 전송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실제 필요에 따라 탄력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2:00 pm, 4:00 pm 등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제2 단말기는 자신의 네트워크 연결이 사용 가능하다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송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송 명령은 사용자에 의해서도 능동적으로 트리거(trigger)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기는 전송 키(sending key)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상기 전송 키의 트리거가 감지되면 상기 전송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키의 트리거'는 상기 전송 키가 가압되거나, 클릭되거나, 더블-클릭되거나, 문질러지거나, 소정 시간 이상 가압되는 등의 상황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송 키는 물리적 키 또는 가상의 키 등일 수 있으며, 상기 가상의 키는 버튼 위젯(widget), 그래픽 위젯, 텍스트 위젯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지불 코드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지불 코드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지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며,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정보가 디스플레이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코드가 성공적으로 스캔되었는지의 여부를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도 3을 참조하기 바란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다른 데이터 처리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주체는 제1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ON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 지불 코드 생성.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지불 명령을 수신하게 되면 지불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2: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 성공을 위한 표시 정보 또는 지불 실패를 위한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지불 코드를 획득하고, 연결 정보를 얻기 위해 상기 지불 코드를 분석하고, 상기 연결 정보에 있는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며,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4: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디지털 서명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키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연결 정보, 지불 정보, 디지털 서명 데이터, 및 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지불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차감 성공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지불 코드를 생성하고;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정보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코드가 성공적으로 스캔되었는지의 여부를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도 4를 참조하기 바란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또 다른 데이터 처리 방법을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주체는 제2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ON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0: 지불 코드 획득.
단계 S32: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제1 표시 정보 전송.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 성공을 위한 표시 정보 또는 지불 실패를 위한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연결 정보와 지불 정보를 얻기 위해 상기 지불 코드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무선 통신 연결의 수립을 요청하는 장치로 간주될 수 있고, 상기 제2 단말기도 역시 무선 통신 연결의 수립을 요청하는 장치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지불 코드 분석 후에, 상기 제2 단말기는 지불 성공을 위한 표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바로 전송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지불 코드 분석 후에,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지불 정보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진위 여부 확인 결과가 "맞음"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단말기로 지불 성공을 위한 표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진위 여부 확인 결과가 "틀림"인 경우에는 지불 실패를 위한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지불 코드를 획득하고, 연결 정보, 지불 정보, 디지털 서명 데이터 및 키 식별자를 얻기 위해 상기 지불 코드를 분석하고, 상기 키 식별자에 의해 확인되는 공개 키를 타겟 공개 키로서 획득하며, 상기 타겟 공개 키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서명 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검증 후에 제1 표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는 성공적으로 검증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로 지불 성공을 위한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는 검증이 실패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로 지불 실패를 위한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스피커를 추가적으로 갖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스피커를 이용하여 사운드 표시 정보가 소리 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지불 금액을 결정하고 제2 서버로 상기 지불 정보 및 상기 지불 금액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지불 정보 및 상기 지불 금액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지불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지불 금액에 기초하여 차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불 정보 및 상기 지불 금액을 수신한 후,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제1 서버로 차감 요청을 전송할 수 있는데, 상기 차감 요청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지불 금액을 싣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차감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지불 금액에 기초하여 차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지불 코드를 획득하고,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표시 정보가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코드가 성공적으로 스캔되었는지의 여부를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도 1, 도 2,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시나리오의 일 예가 설명된다.
이 시나리오를 위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제1 단말기, 제2 단말기, 제1 서버 및 제2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에는 알리페이 앱(Alipay APP)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갖고 있을 수 있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기능은 ON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서버는 버스 POS 장치일 수 있는데, 이것은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갖고 있을 수 있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기능은 ON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버스 POS 장치는 스피커를 추가로 갖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서버는 알리페이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버스 POS 장치에 대응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 시나리오를 위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알리페이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서명 데이터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서명 데이터는 비대칭 암호화 기술의 개인 키에 기초하여 서명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알리페이 서버에 있는 각각의 디지털 서명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서명 데이터의 검증을 위한 공개 키 및 상기 공개 키의 확인을 위한 키 식별자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알리페이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서명 데이터 및 그에 대응하는 키 식별자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발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스마트폰은 디지털 서명 데이터 세트를 갖고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은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서명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상기 디지털 서명 데이터는 키 식별자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리페이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서명 데이터에 대응하는 공개 키를 상기 버스 POS 장치로 발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스 POS 장치는 공개 키 세트를 갖고 있을 수 있고, 이것은 적어도 하나의 공개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나리오를 위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버스에 탑승할 때 스마트폰에 지불 명령을 보낼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지불 명령을 받음에 따라 연결 정보와 지불 정보를 획득하고, 디지털 서명 데이터 세트로부터 하나의 디지털 서명 데이터 및 그에 대응하는 키 식별자를 획득하며, 상기 연결 정보, 상기 지불 정보, 상기 획득된 디지털 서명 데이터, 및 상기 획득된 키 식별자에 기초하여 지불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시나리오를 위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지불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 POS 장치에 코드 스캐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버스 POS 장치는 상기 지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연결 정보, 상기 지불 정보, 상기 디지털 서명 데이터, 및 상기 키 식별자를 얻기 위해 상기 지불 코드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스마트폰의 물리적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버스 POS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과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립하기 위해 상기 연결 정보에 있는 상기 물리적 주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 POS 장치는 상기 공개 키 세트로부터 상기 키 식별자에 의해 확인된 공개 키를 타겟 공개 키로서 획득하고 상기 타겟 공개 키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서명 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다. 검증에 성공하면, 상기 버스 POS 장치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 지불 성공을 위한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대신에, 검증에 실패하면, 상기 버스 POS 장치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 지불 실패를 위한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지불 성공을 위한 표시 정보 또는 지불 실패를 위한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코드가 성공적으로 스캔되었는지의 여부를 자기 스마트폰으로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검증에 성공하면, 상기 버스 POS 장치는 지불 금액을 결정하고 상기 지불 정보 및 상기 지불 금액을 상기 제2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지불 정보 및 상기 지불 금액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지불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알리페이 서버에 차감 요청을 전송할 수 있는데, 상기 차감 요청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지불 금액을 싣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알리페이 서버는 상기 차감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지불 금액에 기초하여 차감 작업을 수행하며, 차감 성공의 표시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차감 성공의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기 바란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생성부(40), 수신부(42) 및 디스플레이부(44)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생성부(40)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지불 코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신부(42)는,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제1 표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44)는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9을 참조하기 바란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통신 구성요소, 디스플레이 구성요소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구성요소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카드,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송수신기 모듈, 초광대역 통신 모듈, 및 지그비 프로토콜 통신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신 구성요소는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는 LCD 디스플레이, CRT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는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마이크로)프로세서, 논리 게이트, 스위치, 주문형 집적회로(ASIC),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제어기, 내장형 마이크로 제어기 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지불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제1 표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개시된 상기 단말 장치의 통신 구성요소, 디스플레이 구성요소 및 프로세서의 구체적 기능들은 본 개시의 이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파악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기 바란다. 데이터 처리 장치는 획득부(50) 및 전송부(52)를 포함한다.
상기 획득부(50)는 지불 코드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지불 코드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부(52)는,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제1 표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1을 참조하기 바란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통신 구성요소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구성요소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카드,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송수신기 모듈, 초광대역 통신 모듈, 및 지그비 프로토콜 통신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신 구성요소는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마이크로)프로세서, 논리 게이트, 스위치, 주문형 집적회로(ASIC),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제어기, 내장형 마이크로 제어기 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지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제1 표시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스피커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개시된 단말 장치의 상기 통시 구성요소 및 상기 프로세서의 구체적 기능들은 본 개시의 이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파악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는 실시예들은 점진적 방식(progressive manner)으로 설명되었음을 명심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각 실시예의 설명들이 다른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에 중점을 두었으며 실시예들의 동일 또는 유사한 면들에 대한 설명은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단말 장치의 실시예들은 데이터 처리 방법의 실시예들과 유사하고, 따라서 그것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되고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의 실시예들이 참조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비추어 볼 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어떠한 창작적 노력 없이도 본 개시에 있는 실시예들 일부 또는 전부의 임의의 조합을 착상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조합들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 들어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990년대에는, 기술적 개선이 하드웨어 개선(예를 들어,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스위치 등과 같은 회로 구조에 대한 개선)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개선(방법적 흐름에 대한 개선)인지를 이야기하기 용이하였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에 따라, 방법적 프로세스들에 대한 개선들 중 많은 것들이 하드웨어 회로 구조에 대한 개선으로 간주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모든 개선된 방법적 프로세스들이 하드웨어 회로로 프로그래밍됨으로써 그에 대응하는 하드웨어 회로 구조들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방법적 프로세스에 대한 개선을 물리적 하드웨어 모듈로 구현하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PLD)[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는 논리 기능들이 사용자에 의한 장치의 프로그래밍에 의해 결정되는 집적 회로이다. 설계자는, 칩 제조업체를 통해 ASIC 칩을 설계하고 제조할 필요 없이, 그 자신이 하나의 PLD에 디지털 시스템을 '통합'시키는 프로그램을 짠다. 더욱이, 현재는, 집적 회로 칩을 수동으로 제조하는 대신에, 프로그램 개발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컴파일러와 유사한 소프트웨어 '로직 컴파일러'를 사용하여 그러한 프로그래밍을 대부분 실현하고, 컴파일될 오리지널 코드는 하드웨어 기술 언더(Hardware Description Language)(HDL)로 지칭되는 특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어야 한다. 아벨 프로그래밍 언어(Advanced Boolean Expression Language)(ABEL), 알테라 하드웨어 기술 언어(Altera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AHDL), 컨플루언스(Confluence), 코넬 대학 프로그래밍 언어(Cornell University Programming Language)(CUPL), HDCal, 자바 하드웨어 기술 언어(Java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JHDL), 라바(Lava), 롤라(Lola), MyHDL, PALASM, 루비 하드웨어 기술 언어(Ruby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RHDL) 등과 같은 많은 종류의 HDL들이 있으며, 현재는 초고속 집적회로 하드웨어 기술 언어(Very-High-Speed Integrated Circuit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VHDL) 및 베릴로그2(verilog2)가 가장 흔히 사용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하드웨어 기술 언어들을 이용하여 방법적 프로세스를 집적 회로로 적절히 프로그래밍함으로써 상기 방법적 프로세스를 실현하는 하드웨어 회로가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앞의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제시된 시스템들, 장치들, 모듈들 또는 유닛들은 컴퓨터 칩(chip) 또는 엔티티(entity)에 의해 구현되거나 일정 기능을 갖는 제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앞의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제시된 시스템들, 장치들, 모듈들 또는 유닛들은 컴퓨터 칩 또는 엔티티에 의해 구현되거나 일정 기능을 갖는 제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형적인 장치 구현은 컴퓨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 카메라폰, 스마트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미디어 플레이어, 내비게이션 장치, 이메일 장치, 게임 콘솔, 태블릿 컴퓨터, 웨어러블 장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대한 앞의 설명으로부터,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소프트웨어와 함께 사용하여 본 개시를 구현할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다. 이런 의미에서, 본 개시의 기술적 해결수단들은 본질적으로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고, 또는 선행기술 대비 개선을 나타내는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들의 일부가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는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ROM/RAM, 자기 디스크, 광학 디스크 등과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로 하여금 본 개시의 실시예들 또는 그 일부에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개인용 컴퓨터, 서버 컴퓨터, 소형 또는 휴대용 장치, 태블릿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시스템, 셋톱 박스, 프로그램 가능 소비자 전자 장치,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 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상기 시스템들 또는 장치들을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과 같은 많은 범용 또는 전용 컴퓨터 시스템 환경들 또는 구성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의 일반적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task)를 실행하는 또는 특정 추상 데이터 타입(abstract data type)을 실현하는 루틴(routine), 프로그램, 객체(object), 컴포넌트(component),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본 개시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도 구현될 수 있는데, 상기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처리 장치들에 의해 태스크들이 실행된다. 상기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는, 상기 프로그램 모듈이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로컬 원격 컴퓨터 저장 매체에 위치해 있을 수 있다.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개시가 설명되긴 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본 개시에 대한 많은 변형들 및 변경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며, 첨부의 청구항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이러한 변형들 및 변경들을 아우르기 위한 것이다.

Claims (24)

  1. 제1 단말기, 제2 단말기, 제1 서버 및 제2 서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용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지불 코드(payment code)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지불 코드는 연결 정보 및 지불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connection identifier)를 포함함 -;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상기 지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며,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2 서버에 의해, 상기 지불 정보에 기초하여 차감 요청을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버에 의해, 수신된 상기 차감 요청에 기초하여 차감을 실행하고 상기 제1 단말기로 제2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상기 차감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냄 -; 및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2. 제1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지불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지불 코드는 연결 정보 및 지불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1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차감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제2 서버에 의해 전송된 차감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버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차감 요청은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지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버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지불 정보는 상기 지불 코드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얻어짐 -; 및
    상기 제2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코드는 그래픽 코드(graphical code)와 음향 코드(acoustic co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정보는 1회 거래 한도(single transaction limit)와 만료 시기(expiration timing)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식별자는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와 서비스 세트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무선 통신 연결;
    적외선 기술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무선 통신 연결;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기술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무선 통신 연결;
    초광대역 통신(ultra-wideband communication) 기술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무선 통신 연결;
    지그비(Zigbee) 기술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무선 통신 연결; 및
    근접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무선 통신 연결.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정보 및 상기 지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디지털 서명 데이터(digital signature data)와 상기 디지털 서명 데이터에 대응하는 키 식별자(key identifier)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정보, 상기 지불 정보, 상기 디지털 서명 데이터, 및 상기 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지불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9. 삭제
  10. 지불 코드를 생성할 수 있게 구성된 생성부(generating unit) - 상기 지불 코드는 연결 정보 및 지불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정보는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구성된 제1 수신부(receiving unit)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구성된 제1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제1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구성된 제2 수신부 -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차감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제2 서버에 의해 전송된 차감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버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차감 요청은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지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버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지불 정보는 상기 지불 코드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얻어짐 -; 및
    상기 제2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구성된 제2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11.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된 통신 구성요소(communication component);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구성된 디스플레이 구성요소(display component); 및
    프로세서(processor)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지불 코드를 생성할 수 있게 구성되고 - 상기 지불 코드는 연결 정보 및 지불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정보는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구성되고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제1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구성되며 -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차감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제2 서버에 의해 전송된 차감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버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차감 요청은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지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버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지불 정보는 상기 지불 코드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얻어짐 -; 그리고
    상기 제1 표시 정보 및 상기 제2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
    단말 장치.
  12. 제2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지불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지불 코드는 연결 정보 및 지불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정보는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제1 표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및
    제2 서버가 상기 지불 정보에 기초한 차감 요청을 제1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서버로 상기 지불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차감 요청에 기초하여 차감을 실행하고 상기 제1 단말기로 제2 표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차감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냄 -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코드는 그래픽 코드와 음향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정보는 1회 거래 한도와 만료 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식별자는 물리적 주소와 서비스 세트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블루투스 기술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무선 통신 연결;
    적외선 기술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무선 통신 연결;
    와이파이 기술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무선 통신 연결;
    초광대역 통신 기술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무선 통신 연결;
    지그비 기술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무선 통신 연결; 및
    근접장 통신 기술에 기반하여 수립되는 무선 통신 연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코드는 디지털 서명 데이터와 키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지불 코드를 획득한 후 다음의 단계들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상기 키 식별자에 대응하는 공개 키(public key)를 타겟 공개 키(target public key)로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공개 키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서명 데이터를 검증하는 단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이 성공적일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지불 성공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검증이 실패한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지불 실패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20.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지불 정보를 인증(authenticating)하는 단계;
    상기 지불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인증된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지불 성공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송하고, 그렇지 않고 상기 지불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인증된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지불 실패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21. 삭제
  22. 지불 코드를 획득할 수 있게 구성된 획득부(acquiring unit) - 상기 지불 코드는 연결 정보 및 지불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정보는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제1 표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구성된 제1 전송부(sending unit)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및
    제2 서버가 상기 지불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서버로 차감 요청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불 정보를 상기 제2 서버로 전송할 수 있게 구성된 제2 전송부 -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차감 요청에 기초하여 차감을 실행하고 상기 제1 단말기로 제2 표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차감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냄 -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23. 무선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된 통신 구성요소; 및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지불 코드를 획득할 수 있게 구성되고 - 상기 지불 코드는 연결 정보 및 지불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정보는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제1 표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구성되며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그리고
    제2 서버가 상기 지불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서버로 차감 요청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불 정보를 상기 제2 서버로 전송할 수 있게 구성된 -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차감 요청에 기초하여 차감을 실행하고 상기 제1 단말기로 제2 표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차감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냄 -,
    단말 장치.
  24.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제1 데이터 처리 방법을 구현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제2 데이터 처리 방법을 구현할 수 있게 구성되되,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방법은,
    지불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지불 코드는 연결 정보 및 지불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연결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지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1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차감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제2 서버에 의해 전송된 차감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버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차감 요청은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지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버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지불 정보는 상기 지불 코드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해 얻어짐 -; 및
    상기 제2 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지불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연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수립된 상황에서,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서버가 상기 지불 정보에 기초한 상기 차감 요청을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서버로 상기 지불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차감 요청에 기초하여 차감을 실행하고 상기 제1 단말기로 상기 제2 표시 정보를 전송함 -
    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20207018906A 2018-01-24 2018-12-27 데이터 처리 방법, 단말 장치,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2407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067565.X 2018-01-24
CN201810067565.XA CN108305065B (zh) 2018-01-24 2018-01-24 数据处理方法、终端设备和数据处理系统
PCT/CN2018/124428 WO2019144760A1 (zh) 2018-01-24 2018-12-27 数据处理方法、终端设备和数据处理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671A KR20200100671A (ko) 2020-08-26
KR102407821B1 true KR102407821B1 (ko) 2022-06-10

Family

ID=6286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906A KR102407821B1 (ko) 2018-01-24 2018-12-27 데이터 처리 방법, 단말 장치,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2021510864A (ko)
KR (1) KR102407821B1 (ko)
CN (2) CN113743929A (ko)
PH (1) PH12020550974A1 (ko)
SG (1) SG11202005636WA (ko)
TW (1) TWI699717B (ko)
WO (1) WO20191447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3929A (zh) * 2018-01-24 2021-12-03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终端设备和数据处理系统
CN110852756A (zh) * 2019-11-20 2020-02-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设备
CN111131470B (zh) * 2019-12-27 2021-10-22 联想(北京)有限公司 终端设备及其数据处理方法以及数据处理系统
CN113947398A (zh) * 2021-10-19 2022-01-18 北京有竹居网络技术有限公司 支付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N114581084B (zh) * 2022-01-07 2023-04-07 代增瑜 基于区块链的安全支付方法、系统及第三方平台节点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81769A (zh) * 2009-11-27 2011-06-0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支付数据处理方法、系统、支付终端及支付服务器
JP2016507808A (ja) 2012-12-21 2016-03-10 エスクーヴィン エスアー オンライン取引システム
CN106886892A (zh) * 2016-11-18 2017-06-2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基于条码的通信方法和装置、支付的实现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0177B2 (en) * 2010-04-09 2013-02-19 Paydiant, Inc. Mobile phone payment processing methods and systems
US8740064B2 (en) * 2011-04-08 2014-06-03 Blackberry Limited Payment processing system including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to send a payment confirmation to a transaction terminal and associated methods
CN104636916A (zh) * 2013-11-15 2015-05-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支付方法及相关设备、系统
CN106779712B (zh) * 2015-11-25 2020-07-2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网络支付方法及装置
CN106934615B (zh) * 2015-12-29 2020-08-0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条码的支付以及业务处理方法及装置
TWM550433U (zh) * 2017-07-21 2017-10-11 Modern Times Financial Information Co Ltd 二維條碼多元支付繳費系統
TWM554202U (zh) * 2017-08-04 2018-01-11 Lee Han Hui 支援預先點單之服務設備
CN113743929A (zh) * 2018-01-24 2021-12-03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终端设备和数据处理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81769A (zh) * 2009-11-27 2011-06-0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支付数据处理方法、系统、支付终端及支付服务器
JP2013512503A (ja) 2009-11-27 2013-04-11 アリバ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リミテッド 安全なモバイル決済処理
JP2016507808A (ja) 2012-12-21 2016-03-10 エスクーヴィン エスアー オンライン取引システム
CN106886892A (zh) * 2016-11-18 2017-06-2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基于条码的通信方法和装置、支付的实现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05065A (zh) 2018-07-20
CN108305065B (zh) 2021-07-30
CN113743929A (zh) 2021-12-03
KR20200100671A (ko) 2020-08-26
TWI699717B (zh) 2020-07-21
PH12020550974A1 (en) 2021-03-22
TW201933208A (zh) 2019-08-16
SG11202005636WA (en) 2020-07-29
JP2021510864A (ja) 2021-04-30
WO2019144760A1 (zh)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821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단말 장치,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
US11451528B2 (en) Two factor authentication with authentication objects
JP6859513B2 (ja) 2次元コード生成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ならびに2次元コード認識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20160253664A1 (en) Attestation by proxy
US20160300224A1 (en) Method, Server, And Storage Medium For Verifying Transactions Using A Smart Card
US113798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exchange
US20220303250A1 (en) Device independent secure messaging
CN109039990B (zh) 基于验证码进行行为验证的方法及装置
US954932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hentica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CN105656850B (zh) 一种数据处理方法、相关装置及系统
US11070977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transmitter, data receiver, and system
US202301795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KR102616421B1 (ko) 생체 인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TWI697854B (zh) 支付乘車費的方法、裝置及設備
US10848309B2 (en) Fido authentication with behavior report to maintain secure data connection
US10270771B1 (en) Mid-session live user authentication
US9654905B2 (en) Enabl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using indicators
US11936649B2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US20220255759A1 (en) Verification push notifications through web-browser
KR20210131327A (ko) 에어 사인 심볼들을 사용하는 모션-가능 트랜잭션 시스템
US202102092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on using mobile device id based two factor authent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