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461B1 -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461B1
KR102406461B1 KR1020200085965A KR20200085965A KR102406461B1 KR 102406461 B1 KR102406461 B1 KR 102406461B1 KR 1020200085965 A KR1020200085965 A KR 1020200085965A KR 20200085965 A KR20200085965 A KR 20200085965A KR 102406461 B1 KR102406461 B1 KR 102406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olytic
tank
electrolysis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7979A (ko
Inventor
서순기
Original Assignee
서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순기 filed Critical 서순기
Priority to KR1020200085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46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7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6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 A47L15/4238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by using electrolytic ce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06Electrolysed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한 후 이를 통해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는 세척장치를 구성한 것이고, 이에 따라 세척 대상물의 표면에서 고형물인 각종 오염물질 제거는 물론, 눈으로 확인되지 않는 전염병을 유발하는 각종 세균류를 살균 처리하면서, 세척 대상물 사용시 세균성 전염병으로부터 사용자들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Cleaning equipment using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본 발명은 전해 살균 소독수를 통해 세척 대상물(예; 식기류, 패널류)을 세척하고자 하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기나 패널류 등의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기는 냉수 또는 온수의 세척수를 고압으로 식기류에 분사하여 세척 대상물에 묻어 있는 각종 오염물(예; 음식 찌꺼기, 먼지, 이물질 등)을 세척하는 것이며, 상기 세척수는 수도전을 통해 공급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도전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 대상물 표면을 세척시, 표면에 묻은 고형물인 각종 이물질 제거에는 효과가 있지만, 눈으로 확인되지 않는 각종 세균류에 대한 살균 처리 효과를 없다.
한편, 종래 식기를 세척하기 위해 제공되는 세척기에는 연수기를 적용하여,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예; 수돗물)에 녹아 있는 칼슘이나 철분 등을 제거한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기도 하지만, 이 또한 세척 대상물 표면에 대한 살균 처리 효과는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세척 대상물의 표면에 대한 살균 처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세척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9674호(공개일 2016.12, 28.) 등록특허공보 제10-2125724호(공고일 2020.06.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한 후 이를 통해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세척 대상물의 표면에서 고형물인 각종 오염물질 제거는 물론, 눈으로 확인되지 않는 전염병을 유발하는 각종 세균류를 살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는, 함체부; 상기 함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덮개의 개방 여부에 따라 세척 대상물이 투입되는 세척조; 상기 함체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산하는 소독수 생성부; 상기 소독수 생성부와 연결되며, 상기 소독수 생성부에 의해 생산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펌핑하는 펌핑부; 상기 펌핑부에 의해 펌핑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압축 분배하는 압축부;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다중 배열되면서 상기 압축부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압축부에 의해 압축 분배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상기 세척조내에 투입되는 상기 세척 대상물으로 고압 분사하는 노즐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독수 생성부는, 상기 함체부의 타단에 형성되면서 전해 반응수를 저장하는 전해 반응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전해 반응조의 내부로 배치되며, 전원부의 전원 공급시 상기 전해 반응조에 저장되는 전해 반응수를 전기 분해시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산하는 전기분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독수 생성부는, 상기 함체부의 타단에 형성되면서 전해 반응물인 전해질이 저장되는 것으로, 수도전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은 후 이를 상기 전해질과 혼합시켜 전해 반응수를 생성하는 전해 저장조; 상기 전해 저장조의 하단에 배치되어 수도전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것으로, 상기 수도전으로부터는 공급받는 용수와 상기 전해 저장조로부터는 공급받는 전해 반응수를 혼합시키는 전해 반응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전해 반응조의 내부로 배치되며, 전원부의 전원 공급시 상기 전해 반응조에서 혼합되는 전해 반응수를 전기 분해시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산하는 전기분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해 반응조내의 상,하단에는 각각 전해 반응수에 대한 상한의 레벨 감지기와 하한의 레벨 감지기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세척조가 형성되는 상기 함체부의 하측에는 상기 세척조에서 배수라인을 통해 전해 살균 소독수가 배수시 이를 수용한 후 드레인라인을 통해 드레인시키는 배수조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라인과 상기 드레인라인에는 각각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 제어되는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해 저장조와 상기 전해 반응조는 배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배관에는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 제어되는 제 3 솔레노이드 밸브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즐부는, 상기 세척조의 중앙에서 방사형으로 전해 살균 소독수를 고압 분사하는 중앙 노즐부; 및, 상기 세척조의 각 측부에서 중앙 방향으로 전해 살균 소독수를 고압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부 노즐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 노즐부와 상기 측부 노즐부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압축부에 분기되어 연결되는 다중의 분기관; 다중을 이루는 상기 분기관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분기되는 다중의 노즐관; 및, 다중을 이루는 상기 노즐관의 선단측에 형성되면서, 상기 분기관과 상기 노즐관을 통해 압축 분배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세척 대상물에 고압 분사하는 다중의 노즐; 이 포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성한 후 이를 통해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는 세척장치를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세척 대상물의 표면에서 고형물인 각종 오염물질 제거는 물론, 눈으로 확인되지 않는 전염병을 유발하는 각종 세균류를 살균 처리하면서, 세척 대상물 사용시 세균성 전염병으로부터 사용자들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의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수도전이 연결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의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의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는, 함체부(10), 세척조(20), 소독수 생성부(30), 펌핑부(40), 압축부(50), 노즐부(60, 60'), 전원부(70)를 포함하고, 이에 대하여 배수조(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함체부(10)의 외주면 일단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조작패널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패널의 조작에 따라 미도시된 컨트롤러가 상기 전원부(70)의 전원 공급, 그리고 상기 펌핑부(40)와 상기 압축부(50)의 구동을 온 또는 오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조작패널은 전해 살균 소독수 생성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과 부저 및 표시창을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생성장치의 현재 상태를 부저 또는 표시창 또는 이들을 통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세척조(20)는 상기 함체부(10)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부가 개구된 것이며, 개구된 상부는 덮개(21)의 밀폐 또는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덮개(21)를 개방시켜 상기 세척조(20)의 내부에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세척 대상물은 식기류이거나 또는 식당이나 사무실 등에 적용되는 패널류(일명 칸막이)일 수 있으며, 이에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는 기능적 요소를 동일하지만 세척 대상물에 따라 그 사이즈가 달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소독수 생성부(30)는 상기 함체부(10)의 타단에 형성되면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산하는 것으로, 이는 전해 반응조(31)와 전기분해모듈(32)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해 반응조(31)는 상기 함체부(10)의 타단에 형성되면서 전해질과 용수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일정량의 전해 반응수가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해 반응조(31)의 내부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한의 레벨 감지기(S1)와 하한의 레벨 감지기(S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 및 하단의 레벨 감지기(S1, S2)에 의해 전해 반응수의 수위가 하한 또는 상한을 초과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그 감지신호는 컨트롤러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면, 상기 컨트롤러는 하한의 레벨 감지기(S2)에 의해 전해 반응수의 수위가 하한 기준값보다 낮을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켜 전해 반응수의 보충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고, 상한의 레벨 감지기(S1)에 의해 전해 반응수의 수위가 상한 기준값보다 높을 경우에도 경보음을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을 초과분의 전해 반응수를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기분해모듈(3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32a)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전해 반응조(31)의 내부로 배치되며, 전원부(70)의 전원 공급시 상기 전해 반응조(31)에 저장되는 전해 반응수를 전기 분해시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해 반응수는 전해질(electrolyte)과 용수를 설명하는 것으로, 상기 전해질은 소금물, 염산, 탄산 나트륨, 탄산 수소나트륨, 탄산칼슘 중탄산나트륨, 가성소다, 탄산 칼륨, 구연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용수는 지하수 또는 수도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극(32a)의 단자에 상기 전원부(70)가 연결되므로, 상기 단자를 통해 상기 전극(32a)으로 구동전원 인가시, 상기 전극(32a)에서는 전해 반응수를 전해 반응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전해 반응조(31)내의 전해 반응수는 냄새(또는 악취)와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전해 살균 소독수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극(32a)은 통상적으로 음극과 양극이 복수개 교대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양극은 전해 중에 산화 현상에 의한 여러 가지 발생하는 문제 극복을 위해 내산화성을 갖는 원소, 즉 백금족 원소를 코팅하여 보호하고, 상기 음극은 비싼 백금족 원소를 코팅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압의 극성을 교대로 바꾸어 가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상기 음극도 백금족 코팅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펌핑부(40)는 펌핑모터로서, 이는 상기 소독수 생성부(30)에 포함되는 전해 반응조(31)와 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소독수 생성부(30)에 의해 생산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상기 압축부(50)로 펌핑하는 것이다.
상기 압축부(50)는 컴프레셔로서, 이는 상기 펌핑부(40)에 의해 펌핑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다중을 이루는 상기 노즐부(60, 60')로 압축 분해하는 것이다.
상기 노즐부(60, 60')는 상기 세척조(20)의 내부에 다중 배열되면서 상기 압축부(50)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압축부(50)에 의해 압축 분배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상기 세척조(10)내에 투입되는 상기 세척 대상물으로 고압 분사하는 것이며, 이는 상기 세척조(20)의 중앙에서 방사형으로 전해 살균 소독수를 고압 분사하는 중앙 노즐부(60), 그리고 상기 세척조(20)의 각 측부에서 중앙 방향으로 전해 살균 소독수를 고압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부 노즐부(60')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중앙 노즐부(60)와 상기 측부 노즐부(6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다중의 분기관(61)과 다중의 노즐관(62) 및 다중의 노즐(63)을 각각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분기관(61)은 상기 압축부(50)에 분기되어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노즐 관(62)은 다중을 이루는 상기 분기관(61)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분기되는 것이다.
상기 노즐(63)은 다중을 이루는 상기 노즐관(62)의 선단측에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분기관(61)과 상기 노즐관(62)을 통해 압축 분배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상기 세척조(20)에 투입되는 세척 대상물의 표면으로 고압 분사하는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세척 대상물의 표면에서 고형물인 각종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눈으로의 확인이 불가능한 각종 세균류에 대한 살균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수조(80)는 상기 세척조(20)가 형성되는 상기 함체부(10)의 하측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세척조(20)에서 배수라인을 통해 전해 살균 소독수가 배수시 이를 수용한 후 드레인라인을 통해 드레인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라인과 상기 드레인라인에는 각각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 제어되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V1)와 제 2 솔레노이드 밸브(V2)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V1, V2)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면서, 상기 세척조(20)에서 상기 배수조(80)로의 전해 살균 소독수 배수, 그리고 배수조(80)에서 외부로 전해 살균 소독수의 드레인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우선 전해 반응조(31)에 전해질과 용수를 혼합시켜 형성한 일정량의 전해 반응수를 채운 상태에서, 덮개(21)를 개방하여 세척조(20)의 내부에 다중 배열되는 중앙 노즐부(60)와 측부 노즐부(60') 사이에 세척 대상물을 투입한다.
다음으로, 상기 덮개(21)를 통해 상기 세척조(20)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함체부(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조작패널을 조작하면 컨트롤러가 전원부(70)를 통해 구동전원을 공급 제어하는 한편, 펌핑부(40)와 압축부(50)를 순차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세척조(20)의 하방에 위치하는 배수조(80)의 배수라인에 형성되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V1)와 상기 배수조(80)의 드레인 라인에 형성되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V2)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닫힘 제어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전원부(70)에서 구동전원이 공급시 상기 구동전원은 상기 전해 반응조(31)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전기분해모듈(32)의 전극(32a)에 인가되면서, 상기 전극(32a)과 접촉되는 전해 반응수는 전기 분해를 통해 전해 살균 소독수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전해 살균 소독수는 펌핑부(40)의 펌핑에 따라 압축부(50)로 공급되며, 상기 압축부(50)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중앙 노즐부(60)와 측부 노즐부(60')에 압축 분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전해 반응조(31)에 형성되는 전기분해모듈(32)의 전극(32a)는 양극과 음극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양극과 음극으로 이루어진 상기 전극(32a)에서는 전해질과 용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전해 반응수를 전해 반응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전해 반응은 양극 반응(CL2+2e)과 음극 반응(2Na+2H2O+2e 2NaOH+H2)이고, 전체 반응은 Cl2+2NaOH+NaOCl+NaCl+H2O가 되면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전해 살균 소독수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세척조(20)내에 다중 형성되는 상기 노즐부(60)에서 고압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세척 대상물에 분사하게 되면서, 상기 세척 대상물의 표면에 묻어 있는 고형물인 각종 오염물이 제거될 수 있음은 물론, 눈으로의 확인이 불가능한 각종 세균류에 대한 살균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해 살균 소독수를 통해 각종 이물질이 제거됨은 물론 살균 처리된 세척 대상물을 덮개(21)를 개방하여 상기 세척조(20)로부터 꺼내면, 상기 세척조(20)에는 전해 살균 소독수가 남게 되며, 이는 배수조(80)로 배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컨트롤러는 세척 작업이 종료된 이후에, 배수라인의 제 1 솔레노이드 밸브(V1)를 개방시킨다. 그러면, 상기 세척조(20)내의 전해 살균 소독수는 배수라인을 통해 상기 배수조(80)로 배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조(80)에 배수되어 저장되는 전해 살균 소독수는 상기 컨트롤러가 드레인라인의 제 2 솔레노이드 밸브(V2)를 개방시킬 때, 상기 함체부(10)의 외부로 드레인되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드레인라인에는 별도의 호스를 연결하여, 상기 호스를 통해 사용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제거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전해 반응조(31)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한의 레벨 감지기(S1)와 하한의 레벨 감지기(S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세척 대상물에 대한 오염물 제거 및 살균 처리로 인해 그 수위가 낮아지고, 이러한 수위가 상기 하한의 레벨 감지기(S2)에 의해 감지되어 경보음을 발생하면, 사용자는 상기 전해 반응조(31)에 전해 반응수를 보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2는 살균수 생성부(30')에 대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전해 저장조(311), 전해 반응조(312), 전기분해모듈(313)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전해 저장조(311)는 함체부(10)의 타단에 형성되면서 전해 반응물인 전해질이 저장되는 것으로, 수도전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은 후 이를 상기 전해질과 혼합시켜 전해 반응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해 반응조(312)는 상기 전해 저장조(311)의 하단에 배치되어 수도전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것으로, 상기 수도전으로부터는 공급받는 용수와 상기 전해 저장조(311)로부터는 공급받는 전해 반응수가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도전의 용수를 상기 전해 저장조(311)와 상기 전해 반응조(312)에 각각 공급시, 상기 전해 저장조(311)에는 최소한의 용수만을 공급하여, 상기 전해질과의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에따라 상기 전해 반응조(312)에서 최종적으로 전해 반응이 필요로 하는 농도를 가지는 전해 반응수가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해 저장조(311)와 상기 전해 반응조(312)는 배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배관에는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 제어되는 제 3 솔레노이드 밸브(V3)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 3 솔레노이드 밸브(V3)의 개방이 이루어질 때,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전해 저장조(311)에 저장된 전해 반응수가 상기 전해 반응조(312)에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기분해모듈(31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313a)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전해 반응조(312)의 내부로 배치되며, 전원부(70)의 전원 공급시 상기 전해 반응조(312)에서 혼합되는 전해 반응수를 전기 분해시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완성된 전해 반응수를 보충하는 것이 아니라, 수도전을 통해 용수를 공급받으면서 일정량의 전해 반응수를 만들고 이의 전해 반응을 통해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고 살균 처리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첨부된 도 1에서와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함체부 20; 세척조
21; 덮개 30, 30'; 소독수 생성부
31, 312; 전해 반응조 32, 313; 전기분해모듈
32a, 313a; 전극 311; 전해 저장조
40; 펌핑부 50; 압축부
60, 60'; 노즐부 61; 분기관
62; 노즐관 63; 노즐
70; 전원부 80; 배수조
S1; 상한의 레벨 감지기 S2; 하한의 레벨 감지기
V1, V2, V3; 제 3 솔레노이드 밸브

Claims (6)

  1. 식당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칸막이 패널을 세척하는 세척장치를 구성하는 것으로,
    함체부; 상기 함체부의 내부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덮개의 개방 여부에 따라 상기 칸막이 패널이 투입되는 세척조; 상기 함체부의 내부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해질과 용수가 혼합되는 전해 반응수를 이용하여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산하는 소독수 생성부; 상기 함체부의 내부 일단 하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소독수 생성부와 연결되며 상기 소독수 생성부에 의해 생산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펌핑하는 펌핑부; 상기 펌핑부에서 펌핑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압축 분배하는 압축부; 상기 세척조의 내부 중앙에 수직하게 배열되면서 상기 압축부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조에 투입되는 상기 칸막이 패널의 일면에 상기 세척조의 내부 중앙에서 방사형으로 전해 살균 소독수를 고압 분사하는 중앙 노즐부; 및, 상기 중앙 노즐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세척조의 내부 각 측부에 수직하여 배열되어 상기 압축부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조에 투입되는 상기 칸막이 패널의 타면에 상기 세척조의 각 측부에서 중앙 방향으로 전해 살균 소독수를 고압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측부 노즐부; 를 포함하고,
    동일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중앙 노즐부와 상기 측부 노즐부는, 상기 압축부에 분기되어 연결되는 다중의 분기관; 다중을 이루는 상기 분기관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분기되는 다중의 노즐관; 및, 다중을 이루는 상기 노즐관의 선단측에 형성되면서 상기 분기관과 상기 노즐관을 통해 압축 분배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상기 칸막이 패널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고압 분사하는 다중의 노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수 생성부는,
    상기 함체부의 내부 타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전해 반응수를 저장하는 전해 반응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전해 반응조의 내부로 배치되며, 전원부의 전원 공급시 상기 전해 반응조에 저장되는 상기 전해 반응수를 전기 분해시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산하는 전기분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수 생성부는,
    상기 함체부의 내부 타단에 형성되면서 전해 반응물인 상기 전해질이 저장되는 것으로, 수도전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아 상기 전해질과 혼합시켜 상기 전해 반응수를 생성하는 전해 저장조;
    상기 전해 저장조의 하단에 배치되어 수도전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것으로, 상기 수도전으로부터는 공급받는 용수와 상기 전해 저장조로부터는 공급받는 상기 전해 반응수를 혼합시키는 전해 반응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전해 반응조의 내부로 배치되며, 전원부의 전원 공급시 상기 전해 반응조에서 혼합되는 상기 전해 반응수를 전기 분해시켜 전해 살균 소독수를 생산하는 전기분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반응조내의 상,하단에는 각각 상기 전해 반응수에 대한 상한의 레벨 감지기와 하한의 레벨 감지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가 형성되는 상기 함체부의 하측에는 상기 세척조에서 배수라인을 통해 전해 살균 소독수가 배수시 이를 수용한 후 드레인라인을 통해 드레인시키는 배수조를 형성하고,
    상기 배수라인과 상기 드레인라인에는 각각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 제어되는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저장조와 상기 전해 반응조는 배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배관에는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 제어되는 제 3 솔레노이드 밸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
KR1020200085965A 2020-07-13 2020-07-13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 KR102406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965A KR102406461B1 (ko) 2020-07-13 2020-07-13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965A KR102406461B1 (ko) 2020-07-13 2020-07-13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979A KR20220007979A (ko) 2022-01-20
KR102406461B1 true KR102406461B1 (ko) 2022-06-07

Family

ID=80052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965A KR102406461B1 (ko) 2020-07-13 2020-07-13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4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6311A (ja) * 2009-08-07 2011-02-24 Hoshizaki Electric Co Ltd アルカリ性洗浄液の供給装置
US20150282690A1 (en) * 2014-04-02 2015-10-08 Schunk Kohlenstofftechnik Gmbh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303B1 (ko) * 2008-12-12 2015-10-16 코웨이 주식회사 전극살균모듈을 이용한 식기세척기
KR102125724B1 (ko) 2013-09-10 2020-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수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2367883B1 (ko) 2015-06-19 2022-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6311A (ja) * 2009-08-07 2011-02-24 Hoshizaki Electric Co Ltd アルカリ性洗浄液の供給装置
US20150282690A1 (en) * 2014-04-02 2015-10-08 Schunk Kohlenstofftechnik Gmbh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979A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1231B1 (ja) 殺菌方法および殺菌処理装置
US6357454B1 (en) Method for washing and sterilizing beer supply pipe
KR101579044B1 (ko) 전해수 생성 장치
WO2014114806A1 (en) An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method and a generator
US20170314179A1 (en) Washing machine, electrolyte for generating electrolyzed water, and electrolyzed water for rinse
KR101206227B1 (ko) 야채 및 과일 세척소독용 버블발생기
KR20080101623A (ko) 전기분해조의 자동 세척장치
KR20070098292A (ko) 전해 살균수와 초음파를 이용한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
KR102406461B1 (ko) 전해 살균 소독수를 이용한 세척장치
KR20170021523A (ko) 전기분해방법을 이용한 배관세정장치 및 배관세정방법
JP2006207328A (ja) 洗浄水生成装置
JPH07171101A (ja) 内視鏡の洗浄方法とその装置
JP2003079560A (ja) 食器洗浄機
KR101561303B1 (ko) 전극살균모듈을 이용한 식기세척기
JP3495632B2 (ja) 洗浄機
JP2000152914A (ja) 内視鏡用洗浄装置
KR200283206Y1 (ko) 식기구류 및 야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100737990B1 (ko) 손의 소독, 세척, 건조를 위한 손 소독기
KR200309987Y1 (ko) 전기분해장치
KR20070098293A (ko) 전해 살균수를 이용한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
KR100929118B1 (ko) 전해수 생성장치
JPH10201694A (ja) 食器類の洗浄・殺菌方法及び装置
KR200253647Y1 (ko) 살균수생성장치
JP4012002B2 (ja) 電解生成酸性水の処理装置
CN212001429U (zh) 一种多功能自动净化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