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874B1 -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874B1
KR102405874B1 KR1020200181079A KR20200181079A KR102405874B1 KR 102405874 B1 KR102405874 B1 KR 102405874B1 KR 1020200181079 A KR1020200181079 A KR 1020200181079A KR 20200181079 A KR20200181079 A KR 20200181079A KR 102405874 B1 KR102405874 B1 KR 102405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ixed
photographing
fix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현
Original Assignee
김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현 filed Critical 김철현
Priority to KR1020200181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5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left-right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4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42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촬영용 카메라를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키면서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3단으로 분해 및 조립되게 구성함으로써, 촬영용 카메라를 들고 다니면서 촬영할 필요없이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를 지면에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스포츠 경기의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단 분해 및 조립으로 인해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Shooting device for sports events}
본 발명은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용 카메라를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키면서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3단으로 분해 및 조립되게 구성함으로써, 촬영용 카메라를 들고 다니면서 촬영할 필요없이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를 지면에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스포츠 경기의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단 분해 및 조립으로 인해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방송과 영상물에서는 많은 부분에서 특수촬영기법들이 도입되고 있는데, 피사체를 고정시켜 두고 카메라를 움직여가며 촬영을 한다든지, 움직이는 피사체를 움직이는 카메라로 촬영하여 더욱 다이나믹한 효과를 내는 영상을 얻는다든지 하는 것들도 그중의 하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수 촬영을 위해서는 지금까지는 사람이 카메라를 휴대하고 움직이면서 촬영을 하거나, 카메라를 상하 및 좌우 회전이 자유로운 거치대에 설치하여두고 카메라를 좌우 또는 상하로 움직여가며 촬영을 하였다.
그리고 좀 더 진보된 방법으로는, 움직임이 자유로운 크레인 또는 레일 위에 장착된 탈것에 사람이 카메라를 휴대하고 탑승하여 촬영을 하였다.
그리고 최근에는 카메라를 산업용 로봇과 유사하게 운동제어가 가능한 로봇촬영장치에 설치하여 원격으로 카메라의 위치와 자세를 조정하면서 촬영하는 기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최신의 로봇촬영장치도 1축 또는 2축의 운동제어밖에 되지 않고, 로봇장치가 아주 중량물이어서 동력이 많이 소비되고 운반, 설치 등의 취급이 아주 난해하며, 관성모멘트가 커서 위치와 자세의 조정이 원활하지 못하여, 박진감 넘치고 정교한 영상을 촬영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로봇촬영장치는 아주 고가로서 많이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07-0004213호에 영상촬영용 다축 운동제어 카메라 크레인이 제안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영상촬영용 다축 운동제어 카메라 크레인은, 장치 전체를 지지하는 삼각대와, 상기 삼각대 위에서 수평면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하기 붐이 설치되는 센터요크와, 상기 센터요크에 수직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일정 길이를 가진 빔 형태이고, 상기 센터요크에 결합되는 중간빔과, 중간빔의 일측에 고정되는 전방빔과, 중간빔의 타측에 고정되는 후방빔과, 상기 센터요크의 상단에 회전가능하도록 핀으로 결합되는 링크와, 상기 전방빔의 선단과 상기 링크의 선던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핀으로 결합되는 헤드플렌지 그리고 상기 후방빔에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웨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붐과, 상기 붐의 헤드플렌지에 부착되는 붐 고정부와, 상기 붐 고정부에 수평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중간부 그리고 상기 중간부에 수직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카메라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드와, 상기 삼각대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센터요크가 수평면에서 회전하는 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삼각대의 상면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감속기의 조립체, 상기 감속기의 축에 연결되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과 상기 센터요크를 연결하는 연결판 그리고 상기 센터요크의 축구멍에 설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패닝센터와, 상기 센터요크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붐이 수직면에서 회전하는 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센터요크의 측면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감속기의 조립체, 상기 감속기의 축에 연결되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과 상기 붐의 측면을 연결하는 연결판 그리고 상기 붐의 축구멍에 설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틸팅센터와, 상기 헤드의 붐고정부과 중간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중간부를 붐 고정부에 대하여 수평면에서 회전하는 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붐 고정부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감속기의 조립체, 상기 감속기의 축과 중간부의 회전축 사이에서 타이밍 벨트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중간부에 고정되는 중공회전축 그리고 상기 중공회전축과 상기 헤드의 붑 고정부의 축구멍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드패닝센터와, 상기 헤드의 중간부와 카메라고정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카메라고정부가 중간부에 대하여 수직면에서 회전하는 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과 구조는 상기 헤드패닝센터와 유사하고, 카메라 고정부의 하면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감속기의 조립체가 고정되는 헤드틸팅센터와, 그리고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고, 키보드 또는 조이스틱 등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카메라의 운동경로 또는 미리 입력되어 기억된 카메라의 운동경로를 따라 카메라가 임의의 운동경로를 따라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패닝센터와, 틸팅센터와, 헤드패닝센터 그리고 헤드틸팅센터의 구동모터들의 회전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영상촬영용 다축 운동제어 카메라 크레인은, 첫 번째로 패닝센터와 센터요크의 길이 만큼의 높이로만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어서, 축구 경기와 같이 원거리를 촬영할 경우, 피사체(운동선수)가 서로 겹치게 촬영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두 번째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영상촬영용 다축 운동제어 카메라 크레인은, 패닝센터를 단적으로만 살펴보아도, 그 구성이 너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어서, 사후관리가 어렵다라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세 번째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영상촬영용 다축 운동제어 카메라 크레인의 패닝센터의 회전 반경이 너무 커서 협소하 공간에서의 촬영이 어렵다라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07-0004213호, 출원일; 2007년01월15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촬영용 카메라를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키면서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3단으로 분해 및 조립되게 구성함으로써, 촬영용 카메라를 들고 다니면서 촬영할 필요없이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를 지면에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스포츠 경기의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단 분해 및 조립으로 인해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촬영용 카메라의 회전반경을 최소화되게 구성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는, 상면에 복 수개의 체결홀이 방사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이동용 바퀴가 갖추어져 구비되는 베이스부재(110)와,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복 수개의 체결홀과 고정볼트를 매개로 분해 및 고정가능하게 구비되고 중앙부에는 연결용 베어링(121)이 설치된 연결판(120)의 연결용 베어링(121)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 일측에는 회전시 안정되게 회동되도록 보조베어링(132)을 갖추어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회동부재(130)와, 상기 보조베어링(13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용 고정판(141)의 저면에 방사방향으로 각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길이를 신장시켜 지면을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부재(140)와, 상기 회동부재(130)의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된 후 폴대고정용 레버(134)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타단을 다단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폴대(150)와, 상기 폴대(150)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 및 분리되고, 타단에는 촬영용 카메라를 장,탈착시키면서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과, 상기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의 타단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된 후 리모트컨트롤에 의해 촬영가능하게 구비되는 촬영용 카메라(170)와, 상기 지지부재(140)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정보송출용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촬영용 카메라(170)와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80)와, 상기 회동부재(130)에 일단이 위치 조절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회동용 축을 통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하방향 각도조절용 와이어(W)를 통하여 상기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에 연결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 그리고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촬영용 카메라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조절 핸들(1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의 타단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야간에 빛을 조사시켜 운동할 수 있도록 조명등(2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에 따르면, 지면에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스포츠 경기의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단 분해 및 조립으로 인해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고, 나아가 촬영용 카메라의 회전반경을 최소화되게 구성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촬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의 베이스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의 베이스부재에 회동부재와 지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의 회동부재 타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의 지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의 각도조절 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의 폴대와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의 조명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의 각도조절 핸들에 회동각도제어용 바가 연결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100)는, 상면에 복 수개의 체결홀이 방사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이동용 바퀴가 갖추어져 구비되는 베이스부재(110)와,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복 수개의 체결홀과 고정볼트를 매개로 분해 및 고정가능하게 구비되고 중앙부에는 연결용 베어링(121)이 설치된 연결판(120)의 연결용 베어링(121)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 일측에는 회전시 안정되게 회동되도록 보조베어링(132)을 갖추어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회동부재(130)와, 상기 보조베어링(13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용 고정판(141)의 저면에 방사방향으로 각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길이를 신장시켜 지면을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부재(140)와,상기 회동부재(130)의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된 후 폴대고정용 레버(134)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타단을 다단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폴대(150)와, 상기 폴대(150)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 및 분리되고, 타단에는 촬영용 카메라를 장,탈착시키면서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과, 상기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의 타단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된 후 리모트컨트롤에 의해 촬영가능하게 구비되는 촬영용 카메라(170)와, 상기 지지부재(140)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정보송출용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촬영용 카메라(170)와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80)와, 상기 회동부재(130)에 일단이 위치 조절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회동용 축을 통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하방향 각도조절용 와이어(W)를 통하여 상기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에 연결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 그리고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촬영용 카메라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조절 핸들(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의 타단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야간에 빛을 조사시켜 운동할 수 있도록 조명등(200)이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의 베이스부재(110)는, 상기 회동부재(130)를 상면에 고정시키면서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됨과 설치장소로 이동됨에 따른 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부재(140)를 설치하기 전에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베이스부재(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안착되도록 원형을 포함한 다각 형상의 틀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베이스용 틀(111)과, 상기 베이스용 틀(111)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상기 연결판(120)을 분해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방사방향으로 복 수개의 체결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설치판(113)과, 상기 베이스용 틀(111) 전면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각 일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이동용 바퀴(119)를 각각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동용 바퀴 설치부재(11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이동용 바퀴 설치부재(115)는 상기 베이스용 틀(111) 상면 전방 좌,우측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바(115a)와, 상기 수직바(115a)의 내측면에 각 일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타단은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되,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지지부재(140)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 타단을 입출시킬 수 있도록 게이트부(117)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수평바(115b)와, 상기 수직바(115a)와 수평바(115b) 전면에 용접에 의해 각각 고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동용 바퀴(119)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브라켓(115c)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회동부재(130)는 도 1 및 도 3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상면에 형성된 복 수개의 체결홀과 고정볼트를 매개로 분해 및 고정가능하게 구비되고 중앙부에는 연결용 베어링(121)이 설치된 연결판(120)의 연결용 베어링(121)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 일측에는 회동시 안정되게 회동되도록 보조베어링(132)을 갖추어 구비된다.
즉, 상기한 회동부재(130)는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설치판(113)에 형성된 체결홀과 고정볼트를 매개로 분해 및 고정가능하게 구비되고 중앙부에는 연결용 베어링(121)이 설치된 연결판(120)의 상기 연결용 베어링(121)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 외주면에는 폴대용 고정홀(미도시함)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중공의 회동바(131)와, 상기 회동바(131)의 타단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동바(131)가 회동될 때, 안정되게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보조베어링(13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회동바(131)의 타측 내주면에는 상기 폴대(150)의 일단이 삽입될 때, 걸림되도록 걸림편(131a)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동바(131)의 타단 외주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폴대용 고정홀을 포함시켜 용접으로 고정되는 폴대고정용 너트(133)와 나사방식으로 결합 및 해제되어 상기 폴대(150)의 일단을 가압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일단에 볼트가 갖추어진 폴대고정용 레버(134)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폴대용 고정홀에 대향되는 상기 회동바(131)의 타단 외주면에는 상기 폴대(150)가 상기 회동바(131)로부터 인출될 때, 일단이 딸깍하고 상기 돌대(150)에 삽입 걸림되어 상기 폴대(150)의 위치를 결정시킬 수 있도록 인덱스 플런저(135)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지지부재(140)는 도 1 및 도 5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베어링(13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판(141)의 저면에 방사방향으로 각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길이를 신장시켜 지면을 지지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지지부재(140)는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상기 보조베어링(132)을 삽입시켜 용접에 의해 고정되도록 홀(도면부호 생략)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지지부재용 고정판(141)과, 상기 지지부재용 고정판(141)의 저면에 방사방향으로 각 일단이 회동축을 매개로 연결되어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복 수개의 지지부재용 회동부(142)와, 상기 지지부재용 회동부(142)의 각 타단에 길이가변용 연결바(143)를 매개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지면을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는 복 수개의 지지부재용 지면지지부(144)와, 상기 지지부재용 회동부(142)의 각 타단 외주면에 일단이 축을 매개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복 수개의 회동부 연결바(145)와, 상기 회동부 연결바(145)의 각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볼트를 갖는 제어용레버의 작동에 의해 고정 및 해제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판(120)의 상면에 회동용 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에 의해 지지부재용 지면지지부(144)의 회동각도를 제어가능하게 구비되는 복 수개의 지면지지부 제어부(14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지지부재용 고정판(141)의 일측에는 상기 각도조절 핸들(190)을 수용하여 운반 및 이동중에 상기 각도조절 핸들(190)의 움직임을 방지가능하도록 요자 형상으로 절취된 홈(141a)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폴대(150)는 상기 회동부재(130)의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된 후, 폴대고정용 레버(134)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타단을 다단으로 인출시켜 상기 촬영용 카메라(170)를 지면으로부터 높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폴대(15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130)의 타단 내측으로 입출가능하게 다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회동부재(130)로부터 인출시 인덱스 플런저(135)의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제1걸림홀(미도시함)이 형성되고, 타단 일면에는 천공된 제1가압용홀(미도시함)을 수용하여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걸림편(131a)에 걸림되도록 제1너트(도면부호 생략)가 구비되며, 상기 제1너트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일단에 나사부를 갖는 제1레버(151a)로 구성된 제1폴대(151)와, 상기 제1폴대의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 및 인출가능하도록 다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일단 외주면에는 제2걸림홀이 형성되고, 타단 일면에는 천공된 제2가압용홀(미도시함)을 수용하여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제1폴대(151)의 타단에 걸림되도록 제2너트(도면부호 생략)가 구비되며, 상기 제2너트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일단에 나사부를 갖는 제2레버(152a)로 구성된 제2폴대(152)와, 상기 제2폴대의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 및 인출가능하도록 다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일단 외주면에는 제3걸림홀이 형성되고, 타단 일면에는 천공된 제3가압용홀(미도시함)을 수용하여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제2폴대(152)의 타단에 걸림되도록 제3너트(도면부호 생략)가 구비되며, 상기 제3너트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일단에 나사부를 갖는 제3레버(153a)로 구성된 제3폴대(153)와, 상기 제3폴(153)의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 및 인출되고, 타단에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이 설치가능하도록 다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일단 외주면에는 제4걸림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4폴대(15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제1,2,3폴대(151,152,153)의 각 타단 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폴대(152)가 제1폴대(151)로부터 일출될 때, 제3폴대(153)가 제2폴대(152)로부터 인출될 때 그리고 제4폴대(154)가 제3폴대(163)로부터 인출될 때, 각 일단이 제2,3,4걸림홀에 딸깍하고 삽입 걸림되어 상기 제2,3,4폴대(152,153,154)의 위치를 결정시킬 수 있도록 제1,2,3인덱스 플런저(155,156,157)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인덱스 플런저(135)와 제1,2,3인덱스 플런저(155,156,157)는 공지의 것으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은 상기 폴대(150)의 제4폴대(154) 타단에 일단이 고정 및 분리되고, 타단에는 촬영용 카메라(170)를 장,탈착시키면서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은 상기 폴대의 타단을 일단 내측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다각 형상의 단면으로 구비되는 연결바(161)와, 상기 연결바(161)의 타단에 저면이 회동핀(도면부호 생략)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면에는 촬영용 카메라(170)를 장,탈착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설치판(162)과, 상기 회동핀 상에 설치되되, 일단은 연결바(161)에 지지되고 타단은 설치판(162) 저면을 지지하여 상기 설치판(162)에 항상 미는 힘이 작용가능하게 구비되는 코일스프링(163)과, 상기 설치판(162)의 저면 일측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상,하방향 각도조절용 와이어(W)의 일단을 연결시켜 상기 상,하방향 각도조절용 와이어(W)의 당김과 풀림에 의해 상기 설치판(162)을 회동핀을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하방향 각도조절용 연결바(164)로 구성된다.
상기한 촬영용 카메라(170)는 상기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의 설치판(162)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된 후 리모트컨트롤에 의해 스포츠 경기 예를 들면 축구 경기를 촬영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한 디스플레이부(180)는 상기 지지부재(140)의 회동부 연결바(145) 중 어느 하나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정보송출용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촬영용 카메라(170)와 연결되는 되는 것에 의해 상기 촬영용 카메라(170)가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을 보면서 상기 각도조절 핸들(190)을 조작하게 된다.
상기한 각도조절 핸들(190)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130)에 일단이 위치 조절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회동용 축을 통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하방향 각도조절용 와이어(W)를 통하여 상기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과 연결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 그리고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촬영용 카메라(170)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각도조절 핸들(190)은 상기 회동부재(130)의 보조베어링(132) 상부에 위치되어 장.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들용 클램프(191)와, 상기 핸들용 클램프(191)에 일단이 가압용 레버(192)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가압용 레버(192)의 조작에 대응되게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조절용 연결바(193)와, 상기 각도조절용 연결바(193)의 타단을 일단 내측으로 삽입시켜 외측면에 고정나사부가 형성된 고정레버(194a)의 작동에 대응되게 고정 및 해제되는 것에 의해 신장되어 상기 회동부재(130)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각도조절용 바(194)와, 상기 각도조절용 연결바(193) 상에 설치되도록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되, 일면에는 와이어고정판 나사부를 갖는 와이어고정판 레버(195a)를 통하여 위치 조절 후 상기 각도조절용 연결바(193) 상에 고정 및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면에는 와이어 고정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와이어 위치결정부재(195)와, 상기 와이어 위치결정부재(195)의 일측면에 와이어고정용 가압판(196)을 개재시켜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와이어고정용 가압판(196)이 상,하방향 각도조절용 와이어(W)를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단에는 와이어가압고정용 나사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와이어가압고정용 레버(197)로 구성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 핸들(190)의 각도조절용 바(194)의 타단에 너트와 상기 너트에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스크류가 일단에 형성된 회동각도제어용 레버(198a)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각도조절 핸들(190)을 절곡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각도조절 핸들(190)의 회동 각도를 용이하게 제어가능하게 회동각도제어용 바(198)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축구 경기를 촬영하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베이스부재(110)를 지면에 위치시킨 후, 설치판(113)의 상면에 회동부재(130)와 지지부재(140)가 연결 설치된 연결판(120)을 복 수개의 볼트를 매개로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회동부재(130)와 지지부재(140)가 연결 설치된 연결판(120)을 복 수개의 볼트를 매개로 설치판(113)의 상면에 고정설치 되면, 상기 베이스부재(110)에 설치된 게이트부(117)를 개방시킨 후, 지지부재(140)의 지지부재용 지면지지부(144)를 지면에 각각 지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140)의 지지부재용 지면지지부(144)가 지면에 지지되면, 폴대(150)를 상기 회동부재(130) 타단 내측으로 삽입시킨 후, 상기 폴대(150)의 제4폴대(154)에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의 연결바(161)를 고정시킨다.
상기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의 연결바(161)가 상기 폴대(150)의 제4폴대(154)에 고정되면, 상기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의 설치판(162)에 촬영용 카메라(170)를 장착시키면서, 정보송출용 케이블의 일단을 연결시킨 후 전원버튼을 누른다.
이후, 상기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의 상,하방향 각도조절용 연결바(164)에 상,하방향 각도조절용 와이어(W) 일단을 고정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하방향 각도조절용 연결바(164)에 상,하방향 각도조절용 와이어(W) 일단이 고정 연결되면, 상기 폴대(150)의 제4폴대(154)를 제3폴대(153)로부터 인출시킨 후, 제3레버(153a)로 제4폴대(154)를 고정시킨다.
상기 제4폴대(154)가 제3폴대(153)에 고정되면, 상기 제3폴대(153)를 제2폴대로부터 인출시켜 제2레버(152a)로 제3폴대(153)를 고정시킨 후, 상기 제2폴대(152)를 제1폴대(151)로부터 인출시켜 제1레버(151a)로 제2폴대(152)를 고정시킨다.
이후, 제1폴대(151)를 회동부재(130)로부터 인출시켜 폴대고정용 레버(134)로 상기 제1폴대(151)를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폴대(150)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폴대(150)의 설치가 완료되면, 지지부재(140)의 회동부 연결바(145)에 디스플레이부(180)를 고정 설치하고, 고정 설치된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 정보송출용 케이블의 타단을 연결시킨다.
이후, 상기 상,하방향 각도조절용 와이어(W)의 타단을 각도조절 핸들(10)의 와이어 위치결정부재(195)와, 와이어고정용 가압판(196) 사이에 개재시킨 후, 와이어가압고정용 레버(197)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압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하방향 각도조절용 와이어(W)가 가압 고정되는 것에 의해 각도조절 핸들(10)의 각도조절용 바(194)를 파지한 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회동부재(130)와 함께 촬영용 카메라(170)가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축구 경기를 촬영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용 바(194)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하방향 각도조절용 와이어(W)를 통하여 촬영용 카메라(17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축구 경기를 촬영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는 촬영용 카메라를 들고 다니면서 촬영할 필요없이 편하게 축구 경기를 촬영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 110 ; 베이스부재
120 ; 연결판 130 ; 회동부재
140 ; 지지부재 150 ; 폴대
160 ;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 170 ; 촬영용 카메라
180 ; 디스플레이부 190 ; 각도조절 핸들
200 ; 조명등

Claims (6)

  1.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는,
    상면에 복 수개의 체결홀이 방사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이동용 바퀴(119)가 갖추어져 구비되는 베이스부재(110)와;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복 수개의 체결홀과 고정볼트를 매개로 분해 및 고정가능하게 구비되고 중앙부에는 연결용 베어링(121)이 설치된 연결판(120)의 연결용 베어링(121)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 일측에는 회전시 안정되게 회동되도록 보조베어링(132)을 갖추어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회동부재(130)와;
    상기 보조베어링(13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용 고정판(141)의 저면에 방사방향으로 각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길이를 신장시켜 지면을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부재(140)와;
    상기 회동부재(130)의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된 후 폴대고정용 레버(134)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타단을 다단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폴대(150)와;
    상기 폴대(150)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 및 분리되고, 타단에는 촬영용 카메라를 장,탈착시키면서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과;
    상기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의 타단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된 후 리모트컨트롤에 의해 촬영가능하게 구비되는 촬영용 카메라(170)와;
    상기 지지부재(140)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정보송출용 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촬영용 카메라(170)와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80)와;
    상기 회동부재(130)에 일단이 위치 조절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회동용 축을 통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하방향 각도조절용 와이어(W)를 통하여 상기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에 연결되어 일방향 및 타방향 그리고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촬영용 카메라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조절 핸들(190);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110)는, 지면에 안착되도록 원형을 포함한 다각 형상의 틀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베이스용 틀(111)과, 상기 베이스용 틀(111)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판상으로 형성되고, 판상에는 상기 연결판(120)을 분해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방사방향으로 복 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설치판(113)과, 상기 베이스용 틀(111) 전면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각 일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이동용 바퀴(119)를 각각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동용 바퀴 설치부재(115)로 구성되되, 상기 이동용 바퀴 설치부재(115)는 상기 베이스용 틀(111) 상면 전방 좌,우측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바(115a)와, 상기 수직바(115a)의 내측면에 각 일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타단은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되,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지지부재(140)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 타단을 입출시킬 수 있도록 게이트부(117)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수평바(115b)와, 상기 수직바(115a)와 수평바(115b) 전면에 용접에 의해 각각 고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동용 바퀴(119)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브라켓(115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용 카메라 설치수단(160)의 타단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야간에 빛을 조사시켜 운동할 수 있도록 조명등(2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40)는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보조베어링(132)을 삽입시켜 용접에 의해 고정되도록 홀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지지부재용 고정판(141)과, 상기 지지부재용 고정판(141)의 저면에 방사방향으로 각 일단이 회동축을 매개로 연결되어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복 수개의 지지부재용 회동부(142)와, 상기 지지부재용 회동부(142)의 각 타단에 길이가변용 연결바(143)를 매개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지면을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는 복 수개의 지지부재용 지면지지부(144)와, 상기 지지부재용 회동부(142)의 각 타단 외주면에 일단이 축을 매개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복 수개의 회동부 연결바(145)와, 상기 회동부 연결바(145)의 각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스크류를 갖는 제어용레버의 작동에 의해 고정 및 해제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판(120)의 상면에 회동용 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에 의해 지지부재용 지면지지부(144)의 회동각도를 제어가능하게 구비되는 복 수개의 지면지지부 제어부(146)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재용 고정판(141)의 일측에는 각도조절 핸들(190)을 수용하여 운반 및 이동중에 상기 각도조절 핸들(190)의 움직임을 방지가능하도록 요자 형상으로 절취된 홈(141a)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 핸들(190)은, 상기 회동부재(130)의 보조베어링(132) 상부에 위치되어 장.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들용 클램프(191)와, 상기 핸들용 클램프(191)에 일단이 가압용 레버(192)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가압용 레버(192)의 조작에 대응되게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각도조절용 연결바(193)와, 상기 각도조절용 연결바(193)의 타단을 일단 내측으로 삽입시켜 외측면에 고정나사부가 형성된 고정레버(194a)의 작동에 대응되게 고정 및 해제되는 것에 의해 신장되어 상기 회동부재(130)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각도조절용 바(194)와, 상기 각도조절용 연결바(193) 상에 설치되도록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되, 일면에는 와이어고정판 나사부를 갖는 와이어고정판 레버(195a)를 통하여 위치 조절 후 상기 각도조절용 연결바(193) 상에 고정 및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면에는 와이어 고정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와이어 위치결정부재(195)와, 상기 와이어 위치결정부재(195)의 일측면에 와이어고정용 가압판(196)을 개재시켜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와이어고정용 가압판(196)이 상,하방향 각도조절용 와이어(W)를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단에는 와이어가압고정용 나사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와이어가압고정용 레버(19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 핸들(190)의 각도조절용 바(194)의 타단에 너트와 상기 너트에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스크류가 일단에 형성된 회동각도제어용 레버(198a)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각도조절 핸들(190)을 절곡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각도조절 핸들(190)의 회동 각도를 용이하게 제어가능하게 회동각도제어용 바(19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
KR1020200181079A 2020-12-22 2020-12-22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 KR102405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079A KR102405874B1 (ko) 2020-12-22 2020-12-22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079A KR102405874B1 (ko) 2020-12-22 2020-12-22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874B1 true KR102405874B1 (ko) 2022-06-03

Family

ID=8198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079A KR102405874B1 (ko) 2020-12-22 2020-12-22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8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6450A (en) * 1999-03-11 2000-05-02 Walling; Dannis R. Camera support device with telescoping pole and monitor
KR20070004213A (ko) 2005-07-04 2007-01-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조 홍채 식별 방법
KR20080005366U (ko) * 2007-05-10 2008-11-13 탐투스 주식회사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
CN106917938A (zh) * 2017-03-29 2017-07-04 国网山东省电力公司平阴县供电公司 安装支架、监控装置及系统
CN207034559U (zh) * 2017-08-11 2018-02-23 夏宇煊 一种新闻采访用移动三脚架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6450A (en) * 1999-03-11 2000-05-02 Walling; Dannis R. Camera support device with telescoping pole and monitor
KR20070004213A (ko) 2005-07-04 2007-01-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조 홍채 식별 방법
KR20080005366U (ko) * 2007-05-10 2008-11-13 탐투스 주식회사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
CN106917938A (zh) * 2017-03-29 2017-07-04 国网山东省电力公司平阴县供电公司 安装支架、监控装置及系统
CN207034559U (zh) * 2017-08-11 2018-02-23 夏宇煊 一种新闻采访用移动三脚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87973B (zh) 移动多媒体工作站
CA2702864C (en) Camera multi-mount
US5454042A (en) Audio-video source boom support assembly having improved articulation capability
JP5142459B2 (ja) 機器取付装置、調整冶具、及び調整機構付撮像装置
US20030161622A1 (en) Mobile telescoping camera mount
US9154673B2 (en) Cable camera systems and methods
US20080149795A1 (en) Mount system for a monitor having a motorized tilt
JPWO2004081652A1 (ja) パノラマ撮影支援装置
KR101903521B1 (ko) 포토존 사진 촬영 장치
KR102405874B1 (ko)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
KR20150112557A (ko) 촬영용 직선구동장치
DE69405097T2 (de) Bildaufnahmevorrichtung mit fernsteuerung
JP2020170092A (ja) 撮影装置の取付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KR200428025Y1 (ko) 카메라용 크레인
JP4443895B2 (ja) 橋梁下面の長尺付属物用点検装置
KR102123179B1 (ko) 회전식 영상 촬영 장치
JP2014228824A (ja) 撮影用携帯カメラクレーン
CN216112980U (zh) 支架、控制装置、云台系统、拍摄组件及系统
CN214331997U (zh) 全方位摄像机云台
KR200493035Y1 (ko) 전방향 회전 영상 촬영 장치
CN211176005U (zh) 集成相机机身的云台组件和拍摄设备
JP6239798B1 (ja) 撮影用クレーン装置
WO2017206424A1 (zh) 云台及包括该云台的拍摄装置
CN215010396U (zh) 一种机动全景实时监测仪
CN220600906U (zh) 一种安防监控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