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366U -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366U
KR20080005366U KR2020070007710U KR20070007710U KR20080005366U KR 20080005366 U KR20080005366 U KR 20080005366U KR 2020070007710 U KR2020070007710 U KR 2020070007710U KR 20070007710 U KR20070007710 U KR 20070007710U KR 20080005366 U KR20080005366 U KR 200800053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ignal cable
imager
angle
shoot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수
정승태
이훈
Original Assignee
탐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탐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탐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7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366U/ko
Publication of KR200800053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36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6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ffording only episcopic pro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28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one single telescoping pilla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04N9/3176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incorporated in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테이블 등의 소정위치에 하단부가 고정되어 카메라를 지지하는 자바라타입의 스탠드가 사용자에 의한 가압방향으로 자유롭게 절곡되어 각도 변경되므로, 실물 또는 교육용 책자 등에 인쇄된 그래프,그림 등을 영상 촬영하는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는, 카메라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실물화상기에 있어서,
피고정물체 소정위치에 브라킷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시그널케이블과,
시그널케이블의 접속커넥터에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접속되고 상단에 카메라가 고정되며, 사용자에 의한 가압방향으로 절곡되어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소정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는 자바라형 스탠드를 포함한다.
카메라, 실물 화상기, 자바라, 촬영각도 변환

Description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digital visual presenter of easy photographing angle of camera}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실물화상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의 분리사시도,
도 4(a,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에서 카메라를 지지하는 자바라형 스탠드의 각도 변환됨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피고정물체
102; 디스플레이 장치
103; 시그널케이블
104; 접속커넥터
105; 카메라
106; 자바라형 스탠드
107; USB
108; 결합홈
109; 접속커넥터
110; 돌출부
111; 조절스위치
112; 브라킷
본 고안은 실물 또는 교육용 책자 등에 인쇄된 그래프, 그림 등을 영상 촬영하는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 등의 소정위치에 하단부가 고정되어 카메라를 지지하는 자바라타입의 스탠드가 사용자에 의한 가압방향으로 자유롭게 절곡되어 각도 변경되므로,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물화상기는 대상 물체(피사체)를 씨씨디 카메라(charge coupled camera)로 영상 촬영한 후 모니터 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여러 사람이 출력되는 정보를 공유하면서 회의 또는 발표 등에 사용되는 정보 전달매체로서, 시청각 교육, 화상 회의, 전시회, 산업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실물화상기에서 대상 물체를 영상 촬영하는 씨씨디 카메라에 현미경 렌즈와 같이 실물을 확대시킬 수 있는 렌즈를 결함함에 따라 미세한 대상 물체를 확대시킨 화상을 모니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물화상기에는 다양한 주변장치가 사용된다. 일예로서 모니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물을 조명하는 조명장치가 별도로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다관절형 실물화상기는, 원형의 베이스(1)와,
베이스(1) 상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캡(2)과,
회전캡(2)에 고정된 구형부(9)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지지봉(3)과,
제1지지봉(3) 상단에 고정핀(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지지봉(4)과,
제2지지봉(4) 상단에 고정핀(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촬상기(7)를 포함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8은 촬상기(7)와 접속되어 영상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전원케이블이다.
종래 기술의 다관절형 실물화상기는, 전술한 베이스(1) 상에 장착된 회전캡(2)의 회전으로 인해 촬상기(7)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회전캡(2)에 고정된 구형부(9)에 의해 제1지지봉(3)이 회동되고, 제1지지봉(3)에 대해 제2지지봉(4)이 상대운동하며, 제2지지봉(4)에 대해 촬상기(7)가 상대운동할 수 있다. 즉 다관절형 실물화상기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고 상하방향으로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회동되므로 실물의 형상에 제한을 받지않고 손쉽게 촬영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반면에, 종래의 다관절형 실물화상기는, 실물화상기를 구성하는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이들을 조립하는 작업시간 증대로 인해 원가비용 및 조립비용이 증가되므로 실물화상기의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실물화상기가 다관절의 부품으로 형성됨에 따라 이들을 조립된 상태로 보관, 휴대 및 관리시 불편함을 감수해야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회전캡(2)에 대해 제1지지봉(3)을 소정각도로 회동시키고, 제1지지봉(3)에 대해 제2지지봉(4)을 회동시키며, 촬상기(7)를 제2지지봉(4)에 대해 반복적으로 회동시킬 경우, 이들 관절부위에 장착되는 고정핀(5,6)의 가공 오차에 따라 회동각도를 유지하기가 힘들다. 이로 인해 소정각도로 회동되어 실물을 촬영하는 활상기(7)가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쉽게 유동되므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실물 또는 그림 등을 영상 촬영하는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수 있도록 한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실물화상기의 구조 간단화로 인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단품으로 형성됨에 따라 테이블 등에 대한 설치, 해체 및 보관이 간편한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테이블 등의 소정위치에 하단부가 고정되어 카메라를 지지하는 자바라타입의 스탠드가 사용자에 의한 가압방향으로 자유롭게 각도 변경되므로,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 사용이 불필요하여 해당 부품수를 줄여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는, 카메라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실물화상기에 있어서,
피고정물체 소정위치에 브라킷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시그널케이블과,
시그널케이블의 접속커넥터에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접속되고, 상단에 카메라가 고정되며 사용자에 의한 가압방향으로 절곡되어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소정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는 자바라형 스탠드를 포함한다.
전술한 시그널케이블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USB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속시킴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도록 카메라에 설치되는 조명등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시그널케이블의 접속커넥터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결합홈에 대응되게 스탠드의 접속커넥터 외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용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시그널케이블에 접속되고, 조명등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버튼과, 카메라의 렌즈를 상방향으로 포커싱하여 촛점을 조절하는 버튼과, 카메라의 렌즈를 하방향으로 포커싱하여 촛점을 조절하는 버튼이 설치되는 조절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는, 카메라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실물화상기에 있어서,
피고정물체(100)(일예로서 테이블, 교탁 등을 말함) 소정위치에 브라킷(112)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카메라(105)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2)(컴퓨터용 모니터, 노트북 등)에 출력하는 시그널케이블(103)(signal cable)과,
브라킷(112)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시그널케이블(103)의 접속커넥터(104)에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접속되고 상단에 카메라(105)가 고정되며, 사용자에 의한 가압방향(전,후,좌,우 방향)으로 절곡되어 카메라(105)의 촬영각도를 소정방향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자바라형 스탠드(106)를 포함한다.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2)(예를들어 노트북 등)에 시그널케이블(103)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USB(107)를 접속시킴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될 수 있도록 카메라(105)에 설치되는 조명등(105a)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시그널케이블(103)의 접속커넥터(104)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108)과, 결합홈(108)에 대응되게 스탠드(106)의 접속커넥터(109) 외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용 돌출부(110)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시그널케이블(103)에 접속되고, 조명등(105a)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버튼(111a)과, 카메라(105)의 렌즈를 상방향으로 포커싱하여 촛점을 조절하는 버튼(111 b)과, 카메라(105)의 렌즈를 하방향으로 포커싱하여 촛점을 조절하는 버 튼(111c)이 설치되는 조절스위치(111)를 더 포함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01은 브라킷(112)이 장착될 수 있도록 피고정물체(100)에 고정되는 고정편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탁, 테이블 등과 같은 피고정물체(100)의 소정위치에 시그널케이블(103)의 브라킷(112)을 체결부재(스크류)에 의해 고정한다. 브라킷(112)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시그널케이블(103)의 접속커넥터(104)에 자바라형 스탠드(106)의 접속커넥터(109)를 연결하여 접속한다.
이때 시그널케이블(103)의 접속커넥터(104)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08)과 이와 대응되게 자바라형 스탠드(106)의 접속커넥터(109)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용 돌출부(110)의 상호 결합에 의해 시그널케이블(103)에 대해 스탠드(106)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피사체를 영상 촬영시 피사체를 조명하는 조명등(105a)의 전원을 버튼(111a)에 의해 온/오프시키고 카메라(105)의 촛점을 버튼(111b,111c)에 의해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스위치(111)를 시그널케이블(103)에 접속한다. 시그널케이블(103)의 USB(107)를 컴퓨터(미도시됨)에 접속시킴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고, 카메라(105)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시그널케이블(10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2)(도면에는 컴 퓨터용 모니터가 도시됨)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05)에 의해 피사체(일예로서 꽃이 도시됨)를 영상 촬영한 후, 영상신호를 시그널케이블(10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2)에 출력하는 기술내용은,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에 속하는 것이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를 영상 촬영하는 카메라(105)를 지지하는 자바라형 스탠드(106)에 의해 카메라(105)의 촬영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즉 자바라형 스탠드(106)를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90도 각도로 꺽거나, 또는 우측방향으로 90도 각도로 꺽어 카메라(105)를 피사체의 형상에 제한을 받지않고 근접시킴에 따라 피사체를 정확하게 영상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시그널케이블(103)의 브라킷(112)에 자바라형 스탠드(106)의 하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바라형 스탠드(106)를 소정방향(도면에서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절곡됨)으로 가압하여 절곡시킴에 따라 카메라(105)의 촬영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즉 카메라(105)의 촬영각도를 변경하기 위하여 별도의 구조물 사용이 불필요하므로 구조 간단화로 인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해당 부품수를 줄여 원가비용을 줄이며, 카메라(105)의 각도 변경이 용이하게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실물 또는 그림 등을 영상 촬영하는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 및 실용성을 제공한다.
또한, 테이블 등의 소정위치에 하단부가 고정되어 카메라를 지지하는 자바라타입의 스탠드가 사용자에 의한 가압방향으로 자유롭게 절곡되어 각도 변경되므로,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 사용이 불필요하여 원가비용을 절감할수 있다.
또한, 실물화상기의 구조 간단화로 인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단품으로 형성됨에 따라 테이블 등에 대한 설치, 해체 및 보관이 간편하다.

Claims (4)

  1. 카메라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실물화상기에 있어서:
    피고정물체 소정위치에 브라킷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시그널케이블; 및
    상기 시그널케이블의 접속커넥터에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접속되고 상단에 카메라가 고정되며, 사용자에 의한 가압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소정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는 자바라형 스탠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케이블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USB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속시킴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도록 상기 카메라에 설치되는 조명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케이블의 접속커넥터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게 상기 스탠드의 접속커넥터 외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용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케이블에 접속되고, 조명등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버튼과, 카메라의 렌즈를 상방향으로 포커싱하여 촛점을 조절하는 버튼과, 카메라의 렌즈를 하방향으로 포커싱하여 촛점을 조절하는 버튼이 설치되는 조절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
KR2020070007710U 2007-05-10 2007-05-10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 KR200800053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710U KR20080005366U (ko) 2007-05-10 2007-05-10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710U KR20080005366U (ko) 2007-05-10 2007-05-10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366U true KR20080005366U (ko) 2008-11-13

Family

ID=41326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710U KR20080005366U (ko) 2007-05-10 2007-05-10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36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826B1 (ko) * 2010-12-28 2013-02-21 임성근 전자교탁
CN108061230A (zh) * 2018-01-22 2018-05-22 湖北省银丰鼎诚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显微镜拍照支架
KR102405874B1 (ko) * 2020-12-22 2022-06-03 김철현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826B1 (ko) * 2010-12-28 2013-02-21 임성근 전자교탁
CN108061230A (zh) * 2018-01-22 2018-05-22 湖北省银丰鼎诚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显微镜拍照支架
KR102405874B1 (ko) * 2020-12-22 2022-06-03 김철현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8028A (en)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having a support for vertical and horizontal image reproduction
KR101867928B1 (ko) 셀프 촬영용 스틱 및 셀프 촬영용 스틱의 제어 방법
JP5353264B2 (ja) 書画カメラ
CN207867199U (zh) 云台相机
KR20080005366U (ko)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
US9041845B2 (en) Imaging device having multiple optics
JP2009229509A (ja) 光学装置及び光学システム
JPH09247506A (ja) 映像撮影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装置
KR102295885B1 (ko) 온라인 수업용 실물 화상기 타입 웹캠
JP5427114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KR20110025395A (ko) 자체 조명 수단을 구비한 접이식 카메라 거치대
CN213754764U (zh) 一种多功能带按键视频展台
JP2004126997A (ja) マンマシンインターフェイスシステムおよび画像出力装置
JP2001133728A5 (ko)
KR101512407B1 (ko) 실물화상기
JP6797813B2 (ja) 関節を有する机上用拡大機
CN101005570A (zh) 资料提示装置
JP2003315891A (ja) カメラ
JP2014116881A (ja) 書画カメラ、書画カメラの制御方法
JP5533998B2 (ja) 書画カメラ
JP2840594B2 (ja) 撮像装置
KR100449096B1 (ko) 실물화상 출력장치
WO2024047884A1 (ja) 電子拡大鏡
KR101279566B1 (ko) 실물 화상기
JP5880763B2 (ja) 画像投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