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407B1 - 실물화상기 - Google Patents

실물화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407B1
KR101512407B1 KR1020140163315A KR20140163315A KR101512407B1 KR 101512407 B1 KR101512407 B1 KR 101512407B1 KR 1020140163315 A KR1020140163315 A KR 1020140163315A KR 20140163315 A KR20140163315 A KR 20140163315A KR 101512407 B1 KR101512407 B1 KR 101512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arm
backward
elastic member
rotary
image cap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철
박해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베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베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베스트
Priority to KR1020140163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4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6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ffording only episcopic proj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32Overhead projectors, i.e. capable of projecting hand-writing or drawing during a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물화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제2 회전암 사이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회전부를 구비함으로써, 제2 회전암이 전, 후방향 및 시계, 반시계방향으로도 회전가능하게 되어 촬영매체가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어느 평면에 있더라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촬영할 수 있고, 제2 회전암 내부에 제2 회전암이 전, 후방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시 필요한 사용자의 힘을 적게 사용하면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서 제2 회전암을 정지시켜 둘 수 있도록 하는 위치유지가이드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과도한 힘을 주지 않아도 제2 회전암을 유연하게 회전시키면서 소정의 위치에서 제2 회전암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 가능한 실물화상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물화상기{Visual presenter}
본 발명은 실물화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제2 회전암 사이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회전부를 구비함으로써, 제2 회전암이 전, 후방향 및 시계, 반시계방향으로도 회전가능하게 되어 촬영매체가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어느 평면에 있더라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촬영할 수 있고, 제2 회전암 내부에 제2 회전암이 전, 후방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시 필요한 사용자의 힘을 적게 사용하면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서 제2 회전암을 정지시켜 둘 수 있도록 하는 위치유지가이드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과도한 힘을 주지 않아도 제2 회전암을 유연하게 회전시키면서 소정의 위치에서 제2 회전암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 가능한 실물화상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물화상기는 피사체(서류 또는 3차원 물체)를 고체촬상소자(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상보성 금속산화막반도체(COMS:Complementary Metal Oxidide Semiconductor), 프로젝터(Projector), 텔레비전수상기(TV), 모니터 등과 같은 출력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회의나 전시회, 학술강연 및 산업용 등으로 프리젠테이션 또는 교육진행시 시청각 기기로 활용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실물화상기는 대상물체를 촬상하는 CCD 카메라 또는 CMOS 카메라 소자에 현미경 렌즈와 같은 접사, 망원 및 광각렌즈 등 즉, 실물을 확대시킬 수 있는 렌즈를 결합함으로써, 미세한 대상 물체를 확대시킨 화상을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구조, 카메라를 지지하는 연결구를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보관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가진 구조 등 다양하게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실물화상기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실물화상기(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4673호)”는 촬상 대상물이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양 측면을 따라서 일 단부가 직선 운동함과 동시에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제1 지지대와 한 쌍의 제1 지지대의 다른 단부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베이스의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제2 지지대 및 제2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촬상용 카메라 헤드, 카메라 헤드의 직선 운동을 위하여 제2 지지대와 카메라 헤드에 각각 설치된 리니어 모터의 고정자 및 가동자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촬상 대상에 대하여 촬상 카메라의 위치 및 각도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실물화상기”는 촬상 대상물이 배치되는 베이스, 카메라 헤드 등 구성요소가 전체적으로 대형화로 이루어져 있어 보관성 및 휴대성이 떨어지고, 촬상을 하지 않을 경우, 카메라 헤드가 베이스 측면에 위치되어 바닥에 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실물화상기를 바닥에 거치할 경우 실수로 인해 카메라 헤드가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기존의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 특허문헌 2의 “사용이 편리한 실물화상기(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2968호)”가 출원되었는데, 상기 특허문헌 2는 상면에는 링크수납홈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링크수납홈과 연장되게 헤드부수납홈이 형성되는 받침대와, 받침대 상면의 전면부에 하단이 힌지 결합되어 전, 후방으로 회동되는 제1링크와, 제1링크의 상단에 하단이 힌지결합되어 전, 후방으로 회동되며 피사체를 밝혀 줄 수 있도록 조명수단이 구비된 제2링크와, 제2링크의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전, 후방향으로 회동되며 피사체를 촬영하여 컴퓨터 등에 영상을 송출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보관시에는 제1링크와 제2링크 및 헤드부를 접어서 받침대에 형성된 링크수납홈과 헤드부수납홈에 수납시켜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제1링크와 제2링크 및 헤드부를 펼쳐서 받침대에 형성된 링크수납홈과 헤드부수납홈으로부터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받침대의 링크수납홈과 헤드부수납홈에 접혀져 수납되어진 제1링크와 제2링크 및 헤드부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제2링크 상면에 양단부를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인출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제1링크와 제2링크 및 헤드부가 접고 펼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제품의 보관성 및 휴대성이 증가되었고, 헤드부를 받침대 상부에 거치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바닥 등의 직접적인 충격으로 인해 헤드부의 카메라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의 “사용이 편리한 실물화상기”는 제1링크와 제2링크가 힌지결합되어 사용할 경우에나 비사용할 경우에나 간편하고 신속하게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으나, 받침대와 결합되는 제1링크가 전, 후방으로만 회동될 뿐 수평을 기준으로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아 받침대의 정면이 아닌 측면 또는 배면에 피사체가 있을 경우에는 실물화상기 전체를 회전시켜 촬영해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회전시 발생할 수 있는 케이블이 꼬임현상 등의 사용상 불편함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1 링크와 받침대의 체결구조는 회전가능하면서 제1 링크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한 후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힌지타입 또는 볼트타입으로 구성됨으로써, 연결부위에 일정 이상의 텐션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과도한 힘으로 제1 링크를 전, 후방으로 회전하는 상황이 발생되어 각도 조절을 부드럽게 이룰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4673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296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와 제2 회전암 사이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회전부를 구비함으로써, 제2 회전암이 전, 후방향 및 시계, 반시계방향으로도 회전가능하게 되어 촬영매체가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어느 평면에 있더라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촬영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한 실물화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2 회전암 내부에 제2 회전암이 전, 후방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시 필요한 사용자의 힘을 적게 사용하면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서 제2 회전암을 정지시켜 둘 수 있도록 하는 위치유지가이드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과도한 힘을 주지 않아도 제2 회전암을 유연하게 회전시키면서 소정의 위치에서 제2 회전암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 가능한 실물화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USB2.0를 이용한 Full HD(High Definition) 카메라에서 USB3.0을 이용한 UHD(Ultra High Definition) 카메라를 채택함으로써, 교육자에게 고화질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실물화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물화상기(1)은, 제1 회전암(2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되, 전면에 촬영매체(미도시)를 촬영하는 카메라(110)가 구비되는 영상촬영부(100);와, 상기 영상촬영부(100)가 전,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영상촬영부(100)에 힌지결합되는 제1 회전암(200);과, 일측은 상기 제1 회전암(200)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수평회전부(400)에 연결되는 제2 회전암(300);과, 상부는 상기 제2 회전암(300)에 전, 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는 본체(500)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반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회전부(400);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영상촬영부(100)의 상부가 안착되도록 전면에 함몰형성되는 제1 안착홈(510)과, 상기 제1 회전암(200)과 제2 회전암(300)이 안착되도록 후면에 함몰형성되는 제2 안착홈(520)으로 구성되는 본체(500);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회전암(300)의 내측에는 상기 제2 회전암(300)이 전, 후방으로 회전하는 경우,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서 상기 제2 회전암(300)을 정지시켜 둘 수 있도록 하는 위치유지가이드부(6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유지가이드부(600)는, 판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회전암(300)과 결합되되, 내측에는 탄성부재(620)가 삽입되어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삽입공(611)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재(6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620)의 일측은 상기 탄성부재삽입홈(611) 상부에 형성된 고정돌기(612)에 결속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부재(210) 하부측에 구비되는 캠부재(630)와 연결된 와이어(640)에 결속되어 상기 제2 회전암(300)이 전, 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620)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부재(630) 외측면의 둘레에는 상기 제2 회전암(300)이 전, 후방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캠부재(63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640)를 회전방향으로 안내하는 와이어안착홈(6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회전부(400) 내측에 구비되되, 상부에는 상기 캠부재(63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캠부재고정부(7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본체(500) 내측에 돌출형성되는 회전가이드돌기(530)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회전부(400)가 회전되도록 연결공(720)이 형성되는 연결가이드축(7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가이드축(700) 상부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부재(6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재(610) 및 상기 제2 회전암(300)이 전, 후방으로 회전되도록 회전가이드연결부재(730, 730`)가 각각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와 제1 회전암 사이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가이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제1 회전암이 전, 후방향 및 시계, 반시계방향으로도 회전가능하게 되어 촬영매체가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어느 평면에 있더라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 회전암 내부에 제2 회전암이 전, 후방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시 필요한 사용자의 힘을 적게 사용하면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서 제2 회전암을 정지시켜 둘 수 있도록 하는 위치유지가이드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과도한 힘을 주지 않아도 제2 회전암을 유연하게 회전시키면서 소정의 위치에서 제2 회전암을 정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USB2.0를 이용한 Full HD(High Definition) 카메라에서 USB3.0을 이용한 UHD(Ultra High Definition) 카메라를 채택함으로써, 교육자에게 고화질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물화상기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물화상기의 구성 중 제1 회전암, 제2 회전암, 카메라부가 접혀서 보관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물화상기의 구성 중 실물화상기의 배면 모습을 보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물화상기의 구성 중 실물화상기의 저면 모습을 보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물화상기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물화상기의 구성 중 회전가이드부의 결합된 모습을 보인 내부결합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물화상기의 구성 중 제2 회전암이 제2 안착홈에 인입된 경우 탄성부재의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물화상기의 구성 중 제2 회전암 이 직립상태가 된 경우 탄성부재의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물화상기의 구성 중 제2 회전암 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서의 탄성부재의 상태를 보인 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물화상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물화상기(1)는 영상촬영부(100), 제1 회전암(200), 제2 회전암(300), 수평회전부(400), 본체(500), 위치유지가이드부(60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영상촬영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영상촬영부(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후술할 제1 회전암(200)의 일측에 전, 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촬영매체(미도시)와 평면상 수평을 이루면서 상기 촬영매체(미도시)를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영상촬영부(100)의 전면에는 상기 촬영매체(미도시)를 촬영하여 컴퓨터(미도시)에 상기 촬영매체(미도시)의 이미지를 전송하는 카메라(1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110)는 USB3.0을 이용한 UHD(Ultra High Definition) 방식의 카메라로 채택함으로써, 교육자에게 고화질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영상촬영부(1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실물화상기(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영상촬영부(100)를 접어서 상기 영상촬영부(100)의 상부를 후술할 본체(500)의 제1 안착홈(510)에 수납함으로써, 상기 실물화상기(1)의 보관성과 휴대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제1 회전암(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회전암(200)은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측은 상기 영상촬영부(100)의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후술할 제2 회전암(3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회전암(200)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고 회전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촬영매체(미도시)를 촬영하는 상기 영상촬영부(100)가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제1 회전암(200)의 전면에는 상기 촬영매체(미도시)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촬영매체(미도시)의 밝기를 조절하는 조명수단(21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2 회전암(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회전암(300)은 도 1 또는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측은 상기 제1 회전암(200)의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후술할 수평회전부(400) 일측에 전, 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2 회전암(300)은 상기 제1 회전암(200)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고 회전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촬영매체(미도시)를 촬영하는 상기 영상촬영부(100)가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제1, 2 회전암(200, 300)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실물화상기(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2 회전암(200, 300)을 접어서 후술할 본체(500)의 제2 안착홈(520)에 수납함으로써, 상기 실물화상기(1)의 보관성과 휴대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수평회전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평회전부(400)는 도 1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후술할 본체(500)의 중앙 상부에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수평회전부(400)의 상부에는 상기 제2 회전암(300)의 일측과 전, 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연결부(410)가 형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제1 회전암(200)과 연결되는 상기 영상촬영부(100)가 전, 후방향 및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하여, 촬영매체(미도시)가 상기 본체(500)를 중심으로 어느 평면에 있더라도 상기 제2 회전암(300)을 회전시켜 상기 영상촬영부(100)를 통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상기 촬영매체(미도시)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체(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영상촬영부(100) 및 제1, 2 회전암(200, 300)이 기립상태 또는 일측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꺾여진 상태가 될 경우, 상기 실물화상기(1)가 일측방향으로 전도되지 않고 상기의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500)는 상기 실물화상기(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영상촬영부(100) 및 제1, 2 회전암(200, 300)를 접어서 수납되도록 일종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 안착홈(510), 제2 안착홈(520), 커넥터홈(530), 케이블안착홈(540), 미끄럼방지패드(550), 회전가이드돌기(56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안착홈(510)은 상기 본체(500)의 전면에 함몰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실물화상기(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접혀진 상기 영상촬영부(100)의 상부가 수납됨으로써, 상기 영상촬영부(100)가 안전하게 보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2 안착홈(520)은 상기 본체(500)의 후면에 함몰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2 안착홈(520)은 상기 제1 안착홈(510)과 같이 상기 실물화상기(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접혀진 상기 제1, 2 회전암(200, 300)가 수납됨으로써, 힌지결합구조의 상기 제1, 2 회전암(200, 300)이 안전하게 보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커넥터홈(530)은 상기 영상촬영부(100)에 연결된 커넥터(미도시)가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커넥터(미도시)의 폭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커넥터(미도시)를 탈착할 경우 탈착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케이블안착홈(540)은 상기 커넥터(미도시)에 연결되는 커넥터 케이블(미도시)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 케이블(미도시)이 인입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케이블안착홈(540)은 2개소 이상 소정의 각도로 꺾이는 형상을 이룸으로써, 상기 커넥터 케이블(미도시)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쉽게 상기 커넥터(미도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드(550)는 상기 본체(500)의 저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평면에 설치되는 상기 실물화상기(1)가 쉽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평면과 상기 실물화상기(1)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평면에 상기 실물화상기(1)를 안전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회전가이드돌기(560)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수평회전부(400)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수평회전부(400) 내측에 구비되는 후술할 연결가이드축(700)과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이탈방지링(561), 지지대(562)로 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링(561)는 후술할 연결가이드축(700)의 연결공(720)이 상기 회전가이드돌기(56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가이드축(700)이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가이드돌기(56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대(562)는 상기 연결가이드축(700)이 상기 회전가이드돌기(56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가이드축(700)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연결가이드축(700)이 원활하게 회전되는 것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위치유지가이드부(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위치유지가이드부(600)는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2 회전암(3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회전암(300)이 전, 후방으로 회전하는 경우 토크(Torque)를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베이스부재(610), 탄성부재(620), 캠부재(63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재(61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부재(620)의 가변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베이스부재(610) 내측에 상기 탄성부재(620)가 삽입되는 탄성부재삽입공(61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회전암(300)의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620)의 탄성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탄성부재(620)는 탄성력이 높은 코일 또는 판 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회전암(300)을 전,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2 회전암(300)을 적은 힘으로 유연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620)의 일측은 상기 탄성부재삽입홈(611)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돌기(612)에 결속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부재(210) 하부측에 구비되는 캠부재(630)와 연결된 와이어(640)에 결속됨으로써, 상기 제2 회전암(300)이 전, 후방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재(620)가 제2 회전암(300)의 회전축(K)으로부터 수직상태를 유지하며 가변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상기 캠부재(630)은 상기 베이스부재(210) 하부측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가이드축(700)에 고정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캠부재(630) 외측면의 둘레에 와이어안착홈(63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회전암(300)이 전, 후방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캠부재(63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640)를 회전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캠부재(630)는 상기 제2 회전암(300)의 회전축(K)보다 하향방향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 회전암(30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회전암(300)의 회전축(K) 부분에 정지마찰력이 발생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연결가이드축(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결가이드축(700)은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수평회전부(400)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회전암(300)을 전, 후방으로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가이드 하는 구성요소로서, 캠부재고정부(710), 연결공(720), 회전가이드연결부재(730, 730`)로 구성된다.
상기 캠부재고정부(710)는 상기 연결가이드축(700) 상부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캠부재(63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620)가 회전에 의해 원활하게 가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연결공(720)은 상기 연결가이드축(700) 하부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본체(100) 내측에 형성된 회전가이드돌기(560)의 이탈방지링(561)과 지지대(562)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가이드축(700)과 수평회전부(4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회전가이드연결부재(730, 730`)는 상기 베이스부재(610)와 연결가이드축(700)을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회전가이드연결부재(730, 730`)의 상부는 상기 베이스부재(610) 일측면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연결가이드축(700) 상부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회전암(300)과 상기 베이스부재(610)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물화상기(1)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도 7를 기준으로 좌측을 전방, 우측을 후방으로 설정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실물화상기(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영상촬영부(100)를 제1 안착홈(510)에 수납된 상태가 되고, 제1, 2 회전암(200, 300)은 제2 안착홈(520)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위치유지가이드부(600)의 탄성부재(620)는 대각선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탄성부재(620)가 인장된 상태가 되어 있더라도 상기 캠부재(630)가 상기 제2 회전암(300)의 회전축(K)보다 하향방향에 위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2 회전암(300)의 회전축(K) 부분에 정지 마찰력이 증가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2 회전암(300)이 전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기 전까지는 상기 제2 안착홈(520)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2 회전암(300)에 힘을 가하여 상기 제2 회전암(300)을 전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 회전암(300)이 직립상태가 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재(620)은 인장상태에서 압축상태로 전환이 진행되고,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인해 사용자는 적은 힘을 사용하여 상기 제2 회전암(30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회전암(300)의 회전축(K) 부분의 정지 마찰력은 감소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회전암(300)이 직립상태에서 전방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620)은 압축상태에서 인장상태로 전환이 진행된다.
이후, 상기 제2 회전암(300)을 전방으로 계속 회전되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2 회전암(300)의 회전축(K) 부분에 정지 마찰력이 증가되는데 이때 상기 제2 회전암(300)의 회전축(K) 부분의 정지 마찰력은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2 회전암(300)이 소정의 각도를 이룬 상태의 상기 탄성부재(620) 탄성력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2 회전암(300)이 후방으로 회전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실물화상기
100: 영상촬영부 110: 카메라
200: 제1 회전암
300: 제2 회전암
400: 수평회전부 410: 회전연결부
500: 본체 510: 제1 안착홈
520: 제2 안착홈 530: 커넥터홈
540: 케이블안착홈 550: 미끄럼방지패드
560: 회전가이드돌기 561: 이탈방지링
562: 지지대
600: 위치유지가이드부
610: 베이스부재 611: 탄성부재삽입공
612: 고정돌기 620: 탄성부재
630: 캠부재 631:와이어삽입홈
640: 와이어
700: 연결가이드축 710: 캠부재고정부
720: 연결공 730, 730`: 회전가이드연결부재
(K): 제2 회전암(300)의 회전축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전면에 촬영매체(미도시)를 촬영하는 카메라(110)가 구비되는 영상촬영부(100);
    상기 영상촬영부(100)가 전, 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영상촬영부(100)에 힌지결합되는 제1 회전암(200);
    일측은 상기 제1 회전암(200)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수평회전부(400)에 연결되는 제2 회전암(300);
    상부는 상기 제2 회전암(300)에 전, 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는 본체(500)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반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회전부(400);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영상촬영부(100)의 상부가 안착되도록 전면에 함몰형성되는 제1 안착홈(510)과, 상기 제1 회전암(200)과 제2 회전암(300)이 안착되도록 후면에 함몰형성되는 제2 안착홈(520)으로 구성되는 본체(500);
    상기 제2 회전암(300)의 내측에는 상기 제2 회전암(300)이 전, 후방으로 회전하는 경우,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서 상기 제2 회전암(300)을 정지시켜 둘 수 있도록 하는 위치유지가이드부(600)가 구비되되,
    상기 위치유지가이드부(600)는,
    판형상으로 구비되되, 내측에는 탄성부재(620)가 삽입되어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삽입공(611)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재(61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620)의 일측은 상기 탄성부재삽입공(611) 상부에 형성된 고정돌기(612)에 결속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부재(610) 하부측에 구비되는 캠부재(630)와 연결된 와이어(640)에 결속되어 상기 제2 회전암(300)이 전, 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620)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기(1).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630) 외측면의 둘레에는 상기 제2 회전암(300)이 전, 후방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캠부재(63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640)를 회전방향으로 안내하는 와이어안착홈(6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기(1).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전부(400) 내측에 구비되되, 상부에는 상기 캠부재(63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캠부재고정부(7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본체(500) 내측에 돌출형성되는 회전가이드돌기(530)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회전부(400)가 회전되도록 연결공(720)이 형성되는 연결가이드축(7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기(1).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가이드축(700) 상부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부재(6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재(610) 및 상기 제2 회전암(300)이 전, 후방으로 회전되도록 회전가이드연결부재(730. 730`)가 각각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기(1).
KR1020140163315A 2014-11-21 2014-11-21 실물화상기 KR101512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315A KR101512407B1 (ko) 2014-11-21 2014-11-21 실물화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315A KR101512407B1 (ko) 2014-11-21 2014-11-21 실물화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407B1 true KR101512407B1 (ko) 2015-04-16

Family

ID=5305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315A KR101512407B1 (ko) 2014-11-21 2014-11-21 실물화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012A (ko) 2021-05-14 2022-11-22 (주)오맥스 실물화상기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189Y1 (ko) * 2012-04-13 2012-08-29 주식회사 씨엔디솔루션스 듀얼 카메라가 설치된 실물 화상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189Y1 (ko) * 2012-04-13 2012-08-29 주식회사 씨엔디솔루션스 듀얼 카메라가 설치된 실물 화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5012A (ko) 2021-05-14 2022-11-22 (주)오맥스 실물화상기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1785B1 (en) Interchangeable media prompting assembly and method for prompting
WO2014156748A1 (ja) パノラマ撮影用雲台及び、それを用いた撮影システム
US11106117B2 (en) Foldable camera stand
US10129512B2 (en) Self-adjusting portable modular 360-degree projection and recording computer system
KR102399513B1 (ko) 광각 촬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KR200462189Y1 (ko) 듀얼 카메라가 설치된 실물 화상기
JP5353264B2 (ja) 書画カメラ
KR102477191B1 (ko) 연성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모바일 통신장치용 힌지구조
KR101512407B1 (ko) 실물화상기
CN111090179A (zh) 用于教育影像监视器的虚拟现实影像装置
KR102455241B1 (ko) 교육 영상모니터용 가상현실 영상 장치
JP6570180B2 (ja) 書画カメラ
US20200387053A1 (en) Foldable camera stand
KR101034570B1 (ko) 자체 조명 수단을 구비한 접이식 카메라 거치대
KR20110040255A (ko) 실물 화상기
TWI674471B (zh) 相機總成及用以掃描物件之裝置
CN210405535U (zh) 一种全景3d一体摄像机
JP6590685B2 (ja) 書画カメラ
JP2010178100A (ja) 資料提示装置
KR102295885B1 (ko) 온라인 수업용 실물 화상기 타입 웹캠
TW201411271A (zh) 桌上型立體影像掃描裝置
KR101588267B1 (ko) 실물화상기를 포함하는 학습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개방형 설문 학습방법
KR20080005366U (ko) 카메라의 촬영각도 변환이 용이한 실물화상기
KR101819452B1 (ko) 야간 촬영이 용이한 셀카봉
CN105527784B (zh) 成像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