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4213A - 모조 홍채 식별 방법 - Google Patents

모조 홍채 식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4213A
KR20070004213A KR1020050059625A KR20050059625A KR20070004213A KR 20070004213 A KR20070004213 A KR 20070004213A KR 1020050059625 A KR1020050059625 A KR 1020050059625A KR 20050059625 A KR20050059625 A KR 20050059625A KR 20070004213 A KR20070004213 A KR 20070004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is
short wavelength
difference
eye imag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1772B1 (ko
Inventor
이성주
김재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59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772B1/ko
Publication of KR20070004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1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 G01J1/16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18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comparison with a reference electric val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7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transform domai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파장 적외선 조명 하에 촬영된 눈 영상과 장파장 적외선 조명 하에 촬영된 눈 영상을 활용하여 모조 홍채 여부를 식별하는 모조 홍채 식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시광선 조명에 비해 상대적으로 눈부심이 적은 단파장 적외선 조명과 장파장 적외선 조명 하에 촬영된 2장의 눈 영상으로부터 각각 획득한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 간의 반사율 비(혹은 반사율 차이)의 차이(혹은 비)에 근거하여 모조 홍채 여부를 식별하므로, 홍채의 반지름에 대한 동공의 반지름 비가 변하는 특성을 이용하거나 2차원 푸리에 스펙트럼 분석 기술을 이용하는 종래의 모조 홍채 인식 방법의 제반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에게 눈부심으로 인한 거부감을 주지않으면서 처리 시간을 단축하여 모조 홍채 식별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홍채, 공막, 모조 홍채, 반사율, 공막, 홍채 식별 방법

Description

모조 홍채 식별 방법{Fake iris distinction method}
도 1은 실제 사람의 눈 영상.
도 2는 모조 홍채가 프린트되어 있는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사람의 눈 영상.
도 3은 도 1의 눈 영상에 대하여 2차원 푸리에 스펙트럼 분석을 하여 획득한 눈 영상.
도 4는 도 2의 눈 영상에 대하여 2차원 푸리에 스펙트럼 분석을 하여 획득한 눈 영상.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조 홍채 식별 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6은 단파장 반사율 비와 장파장 반사율 비 측정 과정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7은 단파장 반사율 차이와 장파장 반사율 차이 측정 과정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조 홍채 식별 방법 중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 추출 과정을 나타낸 사진.
본 발명은 모조 홍채 식별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단파장 적외선 조명 하에 촬영된 눈 영상과 장파장 적외선 조명 하에 촬영된 눈 영상을 활용하여 모조 홍채 여부를 식별하는 모조 홍채 식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사람의 눈은 일정한 조명 하 혹은 변화되는 조명 하에서 동공이 수축하거나 팽창함에 따라서 홍채의 반지름에 대한 동공의 반지름 비가 변하는 특성이 있는 반면에, 사진 등으로 만들어진 모조 홍채의 경우는 동공의 수축 및 팽창이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모조 홍채 식별 장치는 일정한 조명 하 혹은 변화되는 조명 하에서 카메라로 촬영한 다수개(최소 3장)의 눈 영상에서 홍채 영역과 동공 영역을 추출한 후, 홍채의 반지름에 대한 동공의 반지름 비가 변하는지를 식별하여 모조 홍채 여부를 식별하며, 이러한 식별 처리 과정은 모조 홍채 식별 장치 내부의 홍채 식별 칩(혹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참고로, 상기 홍채 식별 칩(혹은 프로세서)은 통상적으로 원형 경계 검출(Circular Edge Detection)과 같은 공지의 영상처리방법으로 눈 영상으로부터 홍채 영역과 동공 영역을 추출한다.
하지만, 이 경우 다수개의 눈 영상에서 홍채 영역과 동공 영역을 추출해야 하므로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일정한 조명 하에서 카메라로 촬영한 눈 영상에서는 동공의 수축 및 팽창 현상을 명확하게 관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일정한 조명 하에서 촬영된 눈 영상에서 동공의 수축 및 팽창 현상을 관찰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로 가시광선 조명을 변화시키면서 사용자의 눈에 비추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눈부심을 가하여 사용상 거부감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한편,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실제 사람의 눈 영상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모조 홍채가 프린트되어 있는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사람의 눈 영상에 대하여 2차원 푸리에 스펙트럼 분석을 하면, 실제 사람의 눈 영상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좌우로 4개의 규칙적인 고주파 특성을 나타내는 반면에,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사람의 눈 영상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방향성과 주기성을 가지는 다수개의 반점(dot) 성분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한 2차원 푸리에 스펙트럼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모조 홍채 여부를 식별하는 또 다른 모조 홍채 식별 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눈 영상에 대한 2차원 푸리에 스펙트럼 분석은 홍채의 반지름에 대한 동공의 반지름 비가 변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눈 영상에서 홍채 영역과 동공 영역을 추출하는 처리 시간 보다 더 많은 처리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실제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고성능 프린터를 이용하여 생성한 눈 영상이나 흐려지는 현상(blurring)이 나타나는 눈 영상에 대하여 상기한 2차원 푸리에 스펙트럼 분석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반점 성분을 관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파장 적외선 조명 하에 촬영된 눈 영상의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 간의 반사율 비(혹은 반사율 차이)와 장파장 적외선 조명 하에 촬영된 눈 영상의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 간 반사율 비(혹은 반사율 차이)의 차이(혹은 비)에 근거하여 모조 홍채 여부를 식별하는 모조 홍채 식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조 홍채 식별 방법은, 단파장 적외선 조명 하에서 단파장 눈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장파장 적외선 조명 하에서 장파장 눈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단파장 눈 영상의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 간의 단파장 반사율 비(혹은 단파장 반사율 차이)와 상기 장파장 눈 영상의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 간의 장파장 반사율 비(혹은 장파장 반사율 차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파장 반사율 비(혹은 단파장 반사율 차이)와 상기 장파장 반사율 비(혹은 장파장 반사율 차이)의 차이(혹은 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차이(혹은 비)를 미리 설정된 특정한 임계치와 대소 비교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차이(혹은 비)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면 실제 사람 눈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차이(혹은 비)가 상기 임계치 미만이면 모조한 사람 눈으로 인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조 홍채 식별 방법이 적용되는 모조 홍채 식별 장치는 적외선 필터를 통하여 700∼800nm 파장 정도의 단파장 적외선 조명 혹은 800∼900nm 파장 정도의 장파장 적외선 조명을 방출하는 할로겐 램프나 제논 램프를 카메라용 조명 장치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할로겐 램프나 제논 램프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눈보다 카메라에 더 근접하여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최초에 사용자가 카메라 전방의 특정 지점에 자신의 눈을 접근시키면 상기 카메라는 먼저 단파장 적외선 조명을 사용자 눈에 비추면서 단파장 눈 영상을 촬영하고(S10), 연이어서 장파장 적외선 조명을 사용자 눈에 비추면서 장파장 눈 영상을 촬영한다(S20). 반대로, 상기 장파장 눈 영상을 먼저 촬영한 후 연이어서 단파장 눈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단파장 적외선 조명과 장파장 적외선 조명은 번갈아 켜져 사용자 눈에 비춰 지며 해당 조명이 비춰 질 때마다 홍채 촬영 카메라는 해당 조명에 동기 된 단파장 눈 영상 혹은 장파장 눈 영상을 획득한다.
상기와 같이 2장의 눈 영상이 획득되고 나면, 상기 모조 홍채 식별 장치 내부의 홍채 식별 칩(혹은 프로세서)은 상기 단파장 눈 영상의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 간의 단파장 반사율 비(혹은 단파장 반사율 차이)와 상기 장파장 눈 영상의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 간의 장파장 반사율 비(혹은 장파장 반사율 차이)를 측정한다(S30,S50).
도 6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반사율 비 혹은 반사율 차이를 측정하는 과정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의 (가)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장의 눈 영상, 즉 750nm의 단파장 적외선 조명 하에서 촬영한 단파장 눈 영상과 850nm의 장파장 적외선 조명 하에서 촬영한 장파장 눈 영상이 획득되고 나면, 상기 홍채 식별 칩(혹은 프로세서)은 원형 경계 검출(Circular Edge Detection) 기능을 수행하여 먼저 상기 단파장 눈 영상과 장파장 눈 영상으로부터 도 8의 (나)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동공 경계와 홍채 경계를 추출한 후(S32,S52), 도 8의 (다)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홍채 경계에서 눈썹이나 눈꺼풀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부분을 관심 영역으로 추출한다(S34,S54).
이어서, 도 8의 (라)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관심 영역에서 홍채 바깥 경계와 근접한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을 추출한 후(S36,S56), 상기 단파장 눈 영상의 상기 홍채 영역과 공막 간의 단파장 반사율 비(혹은 단파장 반사율 차이)와 상기 장파장 눈 영상의 상기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 간의 단파장 반사율 비(혹은 장파장 반사율 차이)를 측정한다(S38,S58).
이때, 상기 단파장 반사율 비와 장파장 반사율 비는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각각 측정한다.
Figure 112005036053714-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I공막은 공막 영역의 밝기이고, I홍채는 홍채 영역의 밝기이다.
또한, 상기 단파장 반사율 차이와 장파장 반사율 차이는 하기의 수학식 2 혹은 수학식 3에 의해 각각 측정한다.
Figure 112005036053714-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 있어서, I공막은 공막 영역의 밝기이고, I홍채는 홍채 영역의 밝기이다.
Figure 112005036053714-PAT00003
상기 수학식 3에 있어서, I공막은 공막 영역의 밝기이고, I홍채는 홍채 영역의 밝기이며, I공막 - I홍채 값을 I공막 + I홍채 값으로 나누는 이유는 영상 밝기에 따른 반사율의 차이를 정규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파장 눈 영상의 상기 홍채 영역과 공막 간의 단파장 반사율 비(혹은 단파장 반사율 차이)와 상기 장파장 눈 영상의 상기 홍채 영역 과 공막 영역 간의 단파장 반사율 비(혹은 장파장 반사율 차이)를 상기 수학식 1과 수학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막 영역의 밝기와 홍채 영역의 밝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반사 모델에서는 두 점이 속해 있는 사물의 고유한 특징인 매질 반사율의 비(혹은 차이)가 두 점의 영상 밝기의 비(혹은 차이)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할로겐 램프나 제논 램프와 같은 조명 장치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눈보다 카메라에 더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모조 홍채 식별 장치에서 획득한 눈 영상에 대해서도 이러한 원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증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반사 모델에서 영상의 밝기는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5036053714-PAT00004
상기 수학식 4에 있어서, n은 사물의 법선 벡터이고, v와 s는 각각 카메라의 위치, 조명의 위치를 나타내는 벡터이며, λ는 조명의 파장이다. 또한, s(λ)와 e(λ)는 입력되는 빛의 파장에 따른 카메라의 응답 정도와 입력되는 빛의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함수이고, r(s,v,n,λ)는 반사 정도, 예컨대 입력되는 빛 에너지와 반사되는 빛 에너지의 비와 관련된 함수이다.
한편, 상기 수학식 4로 나타낸 영상의 밝기(I)를 입력된 다양한 조명 파장의 스펙트럼 응답(spectral response)에 선형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면, 상기 영상의 밝기(I)는 하기의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5036053714-PAT00005
상기 수학식 5에서 f(λ)는 다양한 조명 파장의 스펙트럼 응답을 위한 협대역 필터(narrow-band filter)로서 f(λ) = δ(λ' - λ)와 같이 모델링 할 수 있으며, 이 모델링 결과를 상기 수학식 5에 대입하면 영상의 밝기(I)는 하기의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5036053714-PAT00006
상기 수학식 6에 있어서, s'와 e'는 카메라의 응답 정도와 특정 파장 영역에서의 빛 에너지에 관련된 상수 값이며, r(s,v,n,λ')는 반사 정도와 관련된 함수로서 물질의 고유한 성질인 매질 반사율 ρ'와 사물과 조명, 카메라의 위치에 의존하는 함수인 R'(s,v,n)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상기 수학식 5에 대입하면 영상의 밝기(I)는 하기의 수학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5036053714-PAT00007
상기 수학식 7에서, 두 점이 인접해 있지만 속해 있는 사물이 다를 경우에는 s', e', R'(s,v,n)는 같고 매질 반사율 ρ'만 서로 다르게 되며, 이와 같은 두 점의 밝기의 비(혹은 차이)는 사물의 고유한 특징인 매질 반사율 ρ'의 비(혹은 차이)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파장 반사율 비와 장파장 반사율 비는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공막 영역의 밝기와 홍채 영역의 밝기의 비로 나타낼 수 있고, 상기 단파장 반사율 차이와 장파장 반사율 차이는 상기 수학식 2 혹은 수학식 3과 같이 공막 영역의 밝기와 홍채 영역의 밝기의 차이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파장 눈 영상의 상기 홍채 영역과 공막 간의 단파장 반사율 비(혹은 단파장 반사율 차이)와 상기 장파장 눈 영상의 상기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 간의 단파장 반사율 비(혹은 장파장 반사율 차이)가 측정되고 나면(S30,S50), 상기 홍채 식별 칩(혹은 프로세서)은 상기 단파장 반사율 비와 장파장 반사율 비의 차이(혹은 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한 임계치와 대소 비교하거나(S40), 혹은 상기 단파장 반사율 차이와 장파장 반사율 차이의 비(혹은 차이)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한 임계치와 대소 비교한다(S60).
이때, 만약 상기 측정된 차이(혹은 측정된 비)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면 실제 사람 눈으로 인식하고(S42,S64), 반대로 상기 측정된 차이(혹은 측정된 비)가 상기 임계치 미만이면 모조한 사람 눈으로 인식한다(S44,S64). 이와 같은 식별 기준은 실제 사람의 눈은 단파장 적외선 조명에 비해 장파장 적외선 조명에 대하여 홍채 영역의 밝기가 커지므로 측정된 차이(혹은 측정된 비)가 크게 나타내고, 모조한 사 람의 눈은 홍채 영역의 밝기 변화가 미세하므로 측정된 차이(혹은 측정된 비)가 작게 나타나는 현상에 근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모조 홍채 식별 결과는 별도의 안내 장치(예컨대, LCD, 스피커 등)를 통하여 문자 혹은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안내해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가시광선 조명에 비해 상대적으로 눈부심이 적은 단파장 적외선 조명과 장파장 적외선 조명 하에 촬영된 2장의 눈 영상으로부터 각각 획득한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 간의 반사율 비(혹은 반사율 차이)의 차이(혹은 비)에 근거하여 모조 홍채 여부를 식별하므로, 홍채의 반지름에 대한 동공의 반지름 비가 변하는 특성을 이용하거나 2차원 푸리에 스펙트럼 분석 기술을 이용하는 종래의 모조 홍채 인식 방법의 제반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에게 눈부심으로 인한 거부감을 주지않으면서 처리 시간을 단축하여 모조 홍채 식별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모조 홍채 식별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단파장 적외선 조명 하에서 단파장 눈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장파장 적외선 조명 하에서 장파장 눈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단파장 눈 영상의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 간의 단파장 반사율 비와 상기 장파장 눈 영상의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 간의 장파장 반사율 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파장 반사율 비와 상기 장파장 반사율 비의 차이(혹은 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차이(혹은 비)를 미리 설정된 특정한 임계치와 대소 비교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차이(혹은 비)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면 실제 사람 눈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차이(혹은 비)가 상기 임계치 미만이면 모조한 사람 눈으로 인식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 홍채 식별 방법.
  2. 단파장 적외선 조명 하에서 단파장 눈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장파장 적외선 조명 하에서 장파장 눈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단파장 눈 영상의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 간의 단파장 반사율 차이와 상기 장파장 눈 영상의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 간의 장파장 반사율 차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파장 반사율 차이와 상기 장파장 반사율 차이의 비(혹은 차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비(혹은 차이)를 미리 설정된 특정한 임계치와 대소 비교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비(혹은 차이)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면 실제 사람 눈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비(혹은 차이)가 상기 임계치 미만이면 모조한 사람 눈으로 인식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 홍채 식별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파장 눈 영상 촬영 단계에서는
    할로겐 램프에서 방출되는 700∼800nm 파장의 적외선 조명하에서 단파장 눈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 홍채 식별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파장 눈 영상 촬영 단계에서는
    제논 램프에서 방출되는 700∼800nm 파장의 적외선 조명하에서 단파장 눈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 홍채 식별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파장 눈 영상 촬영 단계에서는
    할로겐 램프에서 방출되는 800∼900nm 파장의 적외선 조명하에서 장파장 눈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 홍채 식별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파장 눈 영상 촬영 단계에서는
    제논 램프에서 방출되는 800∼900nm 파장의 적외선 조명하에서 장파장 눈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 홍채 식별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파장 및 장파장 눈 영상 촬영 단계에서 단파장 적외선 조명과 장파장 적외선 조명을 홍채 촬영 카메라의 연속적인 영상 입력과 동기화시키면서 번갈아 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 홍채 식별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파장 반사율 비와 장파장 반사율 비 측정 단계는
    상기 단파장 눈 영상과 장파장 눈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동공 경계와 홍채 경계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홍채 경계에서 눈썹이나 눈꺼풀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부분을 관심 영역으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관심 영역에서 홍채 바깥 경계와 근접한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파장 눈 영상의 상기 홍채 영역과 공막 간의 단파장 반사율 비와 상기 장파장 눈 영상의 상기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 간의 단파장 반사율 비를 측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 홍채 식별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파장 반사율 차이와 장파장 반사율 차이 측정 단계는
    상기 단파장 눈 영상과 장파장 눈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동공 경계와 홍채 경계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홍채 경계에서 눈썹이나 눈꺼풀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부분을 관심 영역으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관심 영역에서 홍채 바깥 경계와 근접한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파장 눈 영상의 상기 홍채 영역과 공막 간의 단파장 반사율 차이와 상기 장파장 눈 영상의 상기 홍채 영역과 공막 영역 간의 단파장 반사율 차이를 측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 홍채 식별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파장 반사율 비와 장파장 반사율 비 측정 단계에서는
    하기의 수학식
    Figure 112005036053714-PAT00008
    (여기서, I공막은 공막 영역의 밝기, I홍채는 홍채 영역의 밝기)
    에 의해 상기 단파장 반사율 비와 장파장 반사율 비를 각각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 홍채 식별 방법.
  11. 제 2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파장 반사율 차이와 장파장 반사율 차이 측정 단계에서는
    하기의 수학식
    Figure 112005036053714-PAT00009
    (여기서, I공막은 공막 영역의 밝기, I홍채는 홍채 영역의 밝기)
    에 의해 상기 단파장 반사율 차이와 장파장 반사율 차이를 각각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 홍채 식별 방법.
  12. 제 2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파장 반사율 차이와 장파장 반사율 차이 측정 단계에서는
    하기의 수학식
    Figure 112005036053714-PAT00010
    (여기서, I공막은 공막 영역의 밝기, I홍채는 홍채 영역의 밝기)
    에 의해 상기 단파장 반사율 차이와 장파장 반사율 차이를 각각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 홍채 식별 방법.
KR1020050059625A 2005-07-04 2005-07-04 모조 홍채 식별 방법 KR100691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625A KR100691772B1 (ko) 2005-07-04 2005-07-04 모조 홍채 식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625A KR100691772B1 (ko) 2005-07-04 2005-07-04 모조 홍채 식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213A true KR20070004213A (ko) 2007-01-09
KR100691772B1 KR100691772B1 (ko) 2007-03-12

Family

ID=37870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625A KR100691772B1 (ko) 2005-07-04 2005-07-04 모조 홍채 식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17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5173B2 (en) 2012-02-29 2016-01-26 Suprem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fake face
CN114582008A (zh) * 2022-03-03 2022-06-03 北方工业大学 一种基于双波段的活体虹膜检测方法
KR102405874B1 (ko) 2020-12-22 2022-06-03 김철현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
KR102541976B1 (ko) * 2022-08-12 2023-06-13 씨엠아이텍주식회사 두 가지 파장의 광을 이용한 모조 안구 판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772A (ja) * 2001-04-13 2002-10-25 Oki Electric Ind Co Ltd 個人識別装置及び眼偽造判定方法
KR20040006703A (ko) * 2002-07-13 200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홍채 인식 시스템
KR100565959B1 (ko) * 2003-12-15 2006-03-30 학교법인연세대학교 가시광선을 이용한 모조홍채 판별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5173B2 (en) 2012-02-29 2016-01-26 Suprem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fake face
KR102405874B1 (ko) 2020-12-22 2022-06-03 김철현 스포츠 경기용 촬영장치
CN114582008A (zh) * 2022-03-03 2022-06-03 北方工业大学 一种基于双波段的活体虹膜检测方法
KR102541976B1 (ko) * 2022-08-12 2023-06-13 씨엠아이텍주식회사 두 가지 파장의 광을 이용한 모조 안구 판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1772B1 (ko) 2007-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3138B2 (en) Systems and methods of biometric analysis to determine lack of three-dimensionality
US8644562B2 (en) Multimodal ocular biometric system and methods
CN107408298B (zh) 生命体检测设备、生命体检测方法和记录介质
KR101286454B1 (ko) 눈 영상의 특성을 이용한 모조얼굴 식별장치 및 방법
JP2002312772A (ja) 個人識別装置及び眼偽造判定方法
CN105320932B (zh) 虹膜识别终端及方法
KR100691772B1 (ko) 모조 홍채 식별 방법
EP3989182A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JP3465336B2 (ja) 顔画像撮影装置
KR101064621B1 (ko) 홍채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0565959B1 (ko) 가시광선을 이용한 모조홍채 판별방법
KR101044079B1 (ko) 광각 카메라를 사용한 타인 인증용 홍채 인식 장치 및 방법
He et al. Liveness iris detection method based on the eye's optical features
JP2006318374A (ja) 眼鏡判別装置および認証装置ならびに眼鏡判別方法
JP3848953B2 (ja) 生体眼判定方法および生体眼判定装置
KR101122513B1 (ko) 3차원 위치정보를 이용한 안구위치 추정시스템 및 안구위치추정방법
KR101794727B1 (ko) 홍채 검증 방법
JP4527088B2 (ja) 生体眼判定方法および生体眼判定装置
JPH09198508A (ja) 目状態検出装置
KR100551775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에서의 모조 홍채 판별방법
KR20180072528A (ko) 홍채 검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