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165B1 - 스마트폴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폴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165B1
KR102405165B1 KR1020210143758A KR20210143758A KR102405165B1 KR 102405165 B1 KR102405165 B1 KR 102405165B1 KR 1020210143758 A KR1020210143758 A KR 1020210143758A KR 20210143758 A KR20210143758 A KR 20210143758A KR 102405165 B1 KR102405165 B1 KR 102405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smart pol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찬
Original Assignee
에스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3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165B1/ko
Priority to CN202211000805.7A priority patent/CN116030657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E01F13/065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specially adapted for individual parking spa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07C1/30Parking 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Fina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의 수집 기능과 정보의 표시 기능이 구비되는 스마트폴을 노상 주차장에 설치하고 실시간으로 주차 구역을 관리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주차 관리가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폴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은 노상 주차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정범위의 주차 구역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주차된 차량과 그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주차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주차된 차량의 요금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 및 정산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폴 및, 스마트폴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주차 구역에 대한 주차 현황 정보와 그 주차 구역에 주차한 차량에 대한 요금 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폴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pole}
본 발명은 노상 주차장에서의 차량의 주차 관리에 스마트폴을 이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정보의 수집 기능과 정보의 표시 기능이 구비되는 스마트폴을 노상 주차장에 설치하고 실시간으로 주차 구역을 관리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주차 관리가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 공간의 제공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주차장은 입주민이나 기업 등의 단체에 소속된 임직원들에게 제공되는 전용 주차장과 공용으로 제공되는 공용 주차장으로 구분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차량을 주차하는 시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주차 요금이 발생하는 유료 주차장과 무료로 제공되는 무료 주차장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대부분의 주차장은 일정 범위의 구역을 단독으로 점유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노상 주차장과 같이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의 노면을 따라 설치되는 형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노상 주차장은 각 도시의 시장이나 군수 또는 구청장이 설치하여 관리할 수 있는데, 관리에 있어서는 지역의 시설관리공단이나 민간에 위탁할 수 있으며, 관리의 권한과 함께 주차 요금의 징수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도로의 노면을 따라 설치되는 노상 주차장은 그 위치의 특성상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는 차단기의 설치가 어렵기 때문에 각 차량에 대한 입차와 출차의 관리 그리고 그에 따른 주차 요금의 징수를 관리인이 모두 전담하여야 하나, 관리인이 부재중이거나 다른 업무를 처리중인 상태에서는 출차하는 차량에 대한 주차 요금의 징수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주차된 차량들에 대한 관리인의 관리 책임이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관리인이 부재중이거나 다른 업무를 처리중인 상태에서는 관리에 공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징수된 주차 요금에 대한 관리인의 횡령이나 차주와의 분쟁 등의 문제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8780호의 “노상 주차장 관리 시스템”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77925호의 “차량정보 인식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상주차장 운영 시스템” 등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우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8780호의 “노상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는 차량의 주차 상태를 감지하는 관리기를 도로변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주차 요금의 계산과 징수 그리고 영수증의 발행을 포함하는 주차 요금의 정산 업무에 대한 관리인의 부담을 경감하여 주차된 차량에 대한 관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징수된 주차 요금에 대한 횡령 등 각종 문제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77925호의 “차량정보 인식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상주차장 운영 시스템”에는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에 대한 다중의 필터링을 실시하여 주차된 차량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의 수집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뢰성 있는 주차 요금의 정산 및 결제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즉, 상기한 발명들은 주차 관리와 주차 요금의 산정 등 다양한 기능의 제공을 위한 목적으로 주차장에 설치되는 다양한 구성의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효과가 분명하게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상기한 발명들은 주차 관리와 주차 요금의 산정 등 그 목적이 주차된 차량에 대한 관리의 영역에만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효과가 제한적으로만 발생할 뿐 범용성에 있어서는 한계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보행자에게도 편의를 제공하는 등 공익적으로도 이용될 수 있는 장치나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고 있다 하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8780호(2017. 09. 0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77925호(2021. 06. 28.)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폴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으로써,
노상 주차장에서는 주차된 차량의 관리와 주차 요금의 징수 업무가 관리인에게만 일임되어 있기 때문에 주차 요금에 관한 분쟁, 차량 운전자의 도주, 관리인에 의한 횡령 그리고 관리 인력의 부족 등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안된 발명들은 주차 관리와 주차 요금의 산정 등 그 목적이 주차된 차량에 대한 관리의 영역에만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효과가 제한적으로만 발생할 뿐 범용성에 있어서는 한계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노상 주차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정범위의 주차 구역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주차된 차량과 그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주차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주차된 차량의 요금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 및 정산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폴; 및,
상기 스마트폴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주차 구역에 대한 주차 현황 정보와 그 주차 구역에 주차한 차량에 대한 요금 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폴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폴은 주차 구역 내 차량의 주차 여부와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와 주변의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상기 주차 현황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주차 구역에 대한 주차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점등부; 야간에의 조명을 위한 조명부; 공익정보, 날씨정보, 상업광고를 표시하는 화면부; 외력에 의해 작동하여 비상 알림을 생성하는 비상벨; 태양광 충전을 위한 태양광 패널; 또는 주차 요금의 정산 처리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폴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한 발명들이 제안하고 있는 다양한 기능 등 장점은 수용하고 단점은 보완함으로써 노상 주차장에서의 주차 관리에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조명이나 방범 등 공익적으로도 이용되어 주변 환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개선된 방식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폴의 예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폴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폴에 구비되는 수전의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스마트폴에 단속용 드론과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b는 드론 스테이션에 개폐식 커버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단속용 드론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폴과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부정 주차의 단속을 위한 관리 서버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미납 요금의 징수를 위한 관리 서버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마트폴과 관리 서버 그리고 외부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은 노상 주차장에서의 차량의 주차 관리에 스마트폴을 이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노상 주차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정범위의 주차 구역을 카메라(110)로 촬영하여 주차된 차량과 그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주차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주차된 차량의 요금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 및 정산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폴(100); 및,
상기 스마트폴(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주차 구역에 대한 주차 현황 정보와 그 주차 구역에 주차한 차량에 대한 요금 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관리 서버(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폴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폴(100)은 노상 주차장의 관리를 주된 목적으로 하여 설치되는 가로등 형태의 장치이며, 노상 주차장이 설치된 장소의 도로변이나 인도를 따라 다수가 설치됨으로써 그 도로변을 따라 길게 설치된 모든 주차 구역이 자동으로 실시간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스마트폴(100)은 설치된 위치 주변의 주차 구역을 일정범위씩 담당하여 관리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노상 주차장을 구성하는 모든 주차 구역이 관리 대상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폴(100)을 이용하여 일정범위의 주차 구역을 관리하는 방식으로는 주차 구역을 촬영하여 주차된 차량과 그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가 실시간으로 생성되도록 하고, 생성된 영상 정보가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추가로 주차 구역 이외의 주변까지 촬영하여 영상 정보가 실시되도록 하고, 생성된 영상 정보가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폴(100)은 주차 구역을 촬영하여 주차된 차량과 그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는 메인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11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주차 구역 이외의 주변을 촬영하여 부가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110)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폴(100)은 상기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주차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주변에 설치된 주차 구역에 대한 차량의 주차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표시의 방식으로는 육안으로의 식별이 용이한 점등 방식이나 신호등과 같은 색구분의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폴(100)은 상기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주차 현황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주변에 설치된 주차 구역에 대한 주차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점등부(12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차량의 주차 관리나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여러 장치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폴(100)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110)와 점등부(120)에 더하여 야간에의 조명을 위한 조명부(13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공익정보, 날씨정보, 상업광고 등 각종 영상과 정보의 표시를 위한 화면부(14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가로등의 형태로 구성되는 스마트폴(100)은 몸체의 대부분이 수직하게 형성되나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일부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상부의 일측면에는 하방을 향해 조명하는 조명부(130)가 구비됨으로써 주변의 조도에 따라 그 주변을 밝게 조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부(140)는 수직하게 형성된 스마트폴(100) 하부의 일측면이나 양측면에 보행자 등의 눈높이를 고려하여 100 내지 150㎝ 정도의 높이에 전체가 포함되는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폴(100)의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수평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에는 태양광 충전을 위한 태양광 패널(150)이 상방을 향해 구비될 수 있고, 변환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확보할 수 있는 전기 에너지는 스마트폴(100) 내부의 2차 배터리에 충전됨으로써 상기 조명부(130) 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다수의 스마트폴(1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공유기가 구비되어 주변에 공공의 WiFi를 제공할 수 있으며, 몸체의 어느 한 부분에 부착되는 게시의 수단이나 화면부(140) 등을 통해 WiFi의 이용을 위한 비밀번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스마트폴(100)에는 운전자나 보행자 등 위급에 처한 사람이 가하는 외력에 의해 작동하여 비상 알림을 생성 및 출력하는 비상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연기나 유독가스를 감지하여 화재 경보를 생성하거나 적외선 열화상 센서를 통해 일정시간 이상 발생하는 불꽃을 감지하여 화재 경보를 생성 및 출력하는 화재 감지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폴(100)은 상기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요금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주차 요금에 대한 현장 결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출차전 주차 요금을 미리 정산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폴(100)에는 주차 요금의 정산 처리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키오스크 장치(1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차량의 운전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차량의 영상 이미지와 그 차량의 번호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차량을 특정한 후 공지의 카드 결제 방식이나 현금 이체 방식 그리고 NFC 기능을 이용한 결제 방식 등을 통해 주차 요금을 정산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운전자가 주차 요금의 정산 처리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160)의 사용법을 알지 못하는 경우에는 터치스크린의 화면 선택을 통해 제공되는 안내 멘트나 안내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법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폴(100)은 실외에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키오스크 장치(160)에 대한 보호의 목적으로 일측면에 내입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입홈에 키오스크 장치(1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후, 주차 요금이 정산 처리된 차량은 지정된 시간 내에 주차 구역으로부터 출차하여야 하며, 지정된 시간 내에 출차가 확인되는 상황에서는 주차 요금이 정산 처리된 시점부터 출차가 발생하는 시점까지의 새로운 요금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주차 요금이 정산 처리된 차량이 지정된 시간 내에 주차 구역으로부터 출차하지 않거나 주차 구역으로부터 이탈한 즉시 다시 기존 또는 새로운 주차 구역에 주차하게 되는 경우에는 주차 요금이 정산 처리된 시점부터의 새로운 주차 요금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200)에 의해 다시 생성되는 요금 정보에는 이전에 정산 처리된 주차 요금의 근거가 되는 차량의 주차 시간이 반영됨으로써 주차 요금의 중복된 청구로 인한 부당이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이용을 위한 목적으로 상기 스마트폴(100)이 설치된 노상 주차장의 주차 요금이 한시간을 단위로 하여 기본 요금에 일정 금액이 추가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 60+a분(min)을 주차한 차량에 대해서는 두 시간분의 주차 요금이 청구되게 되는데, 그 차량에 대한 주차 요금이 새롭게 발생할 때에는 60-a분(min)에 대한 주차 요금이 면제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주차 요금이 정산 처리된 차량이 지정된 시간 내에 주차 구역으로부터 출차하지 않거나 주차 구역으로부터 이탈한 즉시 다시 기존 또는 새로운 주차 구역에 주차하게 되는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이므로, 주차 구역으로부터 이탈한 시간이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한 구성에 따른 주차 요금의 면제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차량의 운전자는 차량을 주차한 직후에 상기 키오스크 장치(160)를 이용하여 주차 요금을 선결제할 수 있으며, 선결제된 주차 요금에 맞게 차량의 출차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차량의 출차가 지연되면 새로운 주차 요금이 발생하여야 한다.
이후, 차량이 주차 구역으로부터 출차할 때에는 주차 요금의 정산 처리 여부에 따라 점등부(120)에 점등이 발생하는 형태와 상기 비상벨을 통해 알람이 출력되는 형태 등으로 신호가 발생함으로써 현장에 상주하는 관리자가 주차 요금이 미납된 차량의 출차를 인지하고 직접 그 미납된 주차 요금을 징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폴(100)에는 수전(170)(faucet)이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주차 요금을 정산한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 등은 수전(170)을 이용하여 손을 씻어냄으로써 개인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고, 그 외의 다른 용도로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전(170)은 작동에 있어 사용자에 의한 외력을 필요로 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수전(170)임을 기본으로 하나, 음성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작동하는 스마트 기능이 더 구비된 수전(170)일 수 있으며, 수온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전(170)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므로 겨울철 동파의 위험이 발생하게 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토출구의 개방이 자동으로 발생하는 동파 방지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전(170)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그 유로의 말단에 토출구가 형성되며, 토출구의 개방을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는 본체부(171), 유로 내부의 수온을 측정하는 센서부(172) 및, 측정된 수온을 표시하는 표시부(173)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전(170)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 및 분석하여 기설정된 작동어를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174) 및, 인식된 작동어 또는 측정된 수온을 기반으로 상기 손잡이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 토출구가 개방되게 하는 제어부(175)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전(170)의 표시부(173)나 수전(170)에 가까운 위치에는 하나 이상의 작동어가 설명과 함께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작동어에 의한 수전(170)의 작동 방식을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전(170)은 일반적인 수전(170)의 이용 방식과 동일하게 사용자가 손잡이에 외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작동하여 물을 토출할 수 있고, 사용자가 말하는 기설정된 작동어에 의해 작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물을 토출할 수 있으며, 유로 내부의 수온이 기설정된 온도 이하로 측정되는 상황에서 자동으로 작동함으로써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가 측정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물을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폴(100)은 불법 주차를 감시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되는 단속용 드론(180)과 상기 단속용 드론(180)의 착륙이 발생하고, 착륙한 단속용 드론(180)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드론 스테이션(190)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속용 드론(180)은 상기 드론 스테이션(190)에 대기하는 상태에서 1차로 이륙하여 정해진 경로를 따라 비행하며 도로에 불법 주차한 차량과 그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복귀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2차로 이륙하여 다시 정해진 경로를 따라 비행하며 도로에 불법 주차한 차량과 그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속용 드론(180)은 경로 비행 중 촬영한 단속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거나 경로 비행의 완료 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불법 주차의 단속 등의 용도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단속용 드론(180)에는 무선 충전 기능이 구비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단속용 드론(180)이 드론 스테이션(190)에 착륙한 상태에서는 무선 충전이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속용 드론(180)의 1차와 2차의 연속적인 경로 비행은 불법 주차의 단속 기준에 부합하는 단속 영상 정보의 확보를 위한 것이므로, 1차 경로 비행의 종료와 2차 경로 비행의 시작에는 최소 5분 이상의 간격이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한 차례의 경로 비행에 소요되는 비행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간격은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폴(100) 각각의 위치에 따라 단속용 드론(180)의 비행 경로와 주기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기상의 상태와 촬영의 조건 등을 고려하여 우천시나 야간에는 비행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론 스테이션(190)에는 상기 단속용 드론(180)의 보호를 위한 개폐식 커버(191)가 구비됨으로써 단속용 드론(180)의 이착륙에 맞추어 드론 스테이션(190)의 상방이 개방되도록 하거나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개폐식 커버(191)의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단속용 드론(180)을 완전히 보호할 수 있는 형상과 개폐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식 커버(191)의 내부면에는 다수의 열선이 구비됨으로써 단속용 드론(180)에 묻은 수분이 신속하게 증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속용 드론(180)과 상기 개폐식 커버(191)는 모두 관리자가 소지한 관리자 단말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관리자는 필요에 따라 개폐식 커버(191)를 임의로 개방하고 단속용 드론(180)을 회수함으로써 유지보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200)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정보의 송수신과 수신된 정보의 처리가 발생하는 서버 장치이며, 상기 스마트폴(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주차 구역을 대상으로 하는 주차 현황 정보와 주차된 차량에 대한 요금 정보를 생성한다.
즉,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스마트폴(100)로부터 전송되는 메인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 구역을 대상으로 하는 주차 현황 정보를 생성하고, 주차된 차량의 번호를 확인하여 각 차량에 대한 요금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주차 현황 정보와 요금 정보를 스마트폴(100)로 전송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정보의 제공과 그 운전자에 의한 요금의 납부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스마트폴(100)로부터 전송되는 메인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 구역에서의 차량의 부정 주차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부정 주차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절차를 실시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스마트폴(100)로부터 전송되는 메인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이 주차 구역을 이탈한 상태로 주차한 것으로 확인되거나 주차 구역 내에서 다른 주차 라인을 침범한 상태로 주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주차 상태의 변경을 유도하기 위한 알림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스마트폴(10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폴(100)에서는 점등부(120) 등을 이용한 알림이 표시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부정 주차를 인지하고 다시 주차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현장에 상주하는 관리자에게도 알림이 표시됨으로써 그 관리자에 의한 현장에서의 조치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이 주차 구역 내에서 다른 주차 라인을 침범한 상태로 주차한 것으로 판단되는 상황에서 불법 주차의 상태가 해소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관리 서버(200)는 실시간의 주차 현황 정보를 반영하여 불법 주차에 따른 손해액을 계산함으로써 요금 정보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주차 현황 정보의 이용을 통해 노상 주차장에 충분한 주차 구역이 확보되어 있는 상태와 노상 주차장에 주차 구역이 불충분한 상태를 구분함으로써 불법 주차에 따른 손해액이 요금 정보에 포함되거나 미포함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손해액의 포함 여부는 주차 현황 정보가 변경됨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스마트폴(100)로부터 전송되는 메인 영상 정보를 통해 확인되는 차량 번호 각각에 대한 미납된 주차 요금의 확인을 실시할 수 있으며, 미납된 주차 요금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그 차량 번호와 미납된 주차 요금을 포함하는 미납 요금 정보를 생성한 후 차량의 위치 정보와 함께 관리자가 소지하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미납 요금 정보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 현장의 관리자는 주차 요금이 미납된 상태인 차량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그 차량의 운전자에게 미납된 주차 요금의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스마트폴(100)로부터 전송되는 메인 영상 정보를 통해 확인되는 차량 번호 각각에 대한 주차 기록을 신규로 생성할 수 있고, 누적하여 갱신할 수 있으며, 갱신된 주차 기록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게 되는 경우에는 해당 차량에 대한 주차 요금의 할인권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할인권은 상기 키오스크 장치(160)를 통해 주차 요금을 정산 처리 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할인권을 제공받은 차량의 운전자는 즉시 그 할인권을 사용하거나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할인권을 전송받아 지정된 기간 내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스마트폴(100)로부터 전송되는 부가 영상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영상 증거의 확보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며, 영상 분석을 위한 용도로도 이용함으로써 운전자나 보행자 간의 다툼이나 폭행 등의 상황을 현장의 관리자가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단속용 드론(180)으로부터 전송되는 단속 영상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불법 주차의 단속을 위한 영상 증거의 용도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노상 주차장의 진입로 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주차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외부 디스플레이(300)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300)는 노상 주차장의 진입로 측에 설치되는 표시용 장치이며, 신호등이나 전봇대 또는 임의로 설치된 지주 등 다양한 구조물에 식별이 용이한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노상 주차장에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미리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300)는 일방 통행 도로의 진입로와 노상 주차장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노상 주차장을 기준으로 하여 도로의 양측에 모두 설치되어야 하며, 차량의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미리 제공할 수 있도록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장치와 수신된 정보의 표시를 위한 표시 장치를 반드시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300)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인 주차 현황 정보를 확인한 차량의 운전자는 노상 주차장의 이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주차 가능한 위치를 미리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이 선택한 위치로 운전함으로써 차량을 신속하게 주차할 수 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스마트폴
→ 110 : 카메라
→ 120 : 점등부
→ 130 : 조명부
→ 140 : 화면부
→ 150 : 태양광 패널
→ 160 : 키오스크 장치
→ 170 : 수전 → 171 : 본체부
→ 172 : 센서부
→ 173 : 표시부
→ 174 : 음성 인식부
→ 175 : 제어부
→ 180 : 단속용 드론
→ 190 : 드론 스테이션
→ 191 : 개폐식 커버
200 : 관리 서버
300 : 외부 디스플레이

Claims (7)

  1. 노상 주차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정범위의 주차 구역을 카메라(110)로 촬영하여 주차된 차량과 그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주차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주차된 차량의 요금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 및 정산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폴(100); 및,
    상기 스마트폴(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주차 구역에 대한 주차 현황 정보와 그 주차 구역에 주차한 차량에 대한 요금 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관리 서버(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스마트폴(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이 주차 구역을 이탈한 상태로 주차한 것으로 확인되거나 주차 구역 내에서 다른 주차 라인을 침범한 상태로 주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주차 상태의 변경을 유도하기 위한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폴(100)에 전송하여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스마트폴(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이 주차 구역 내에서 다른 주차 라인을 침범한 상태로 주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실시간의 주차 현황 정보를 반영하여 손해액을 계산하고, 계산된 손해액을 반영하여 요금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스마트폴(100)로부터 전송되는 메인 영상 정보를 통해 확인되는 차량 번호 각각에 대한 주차 기록을 신규로 생성할 수 있고, 누적하여 갱신할 수 있으며, 갱신된 주차 기록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게 되는 경우에는 해당 차량에 대한 주차 요금의 할인권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스마트폴(100)로부터 전송되는 부가 영상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영상 증거의 확보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며, 영상 분석을 위한 용도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폴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폴(100)은,
    주차 구역을 촬영하여 주차된 차량과 그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하는 메인 영상 정보와 주차 구역 이외의 주변을 촬영하여 부가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110);
    상기 주차 현황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주차 구역에 대한 주차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점등부(120);
    야간에의 조명을 위한 조명부(130);
    공익정보, 날씨정보, 상업광고를 표시하는 화면부(140);
    외력에 의해 작동하여 비상 알림을 생성하는 비상벨(미도시);
    태양광 충전을 위한 태양광 패널(150); 또는,
    주차 요금의 정산 처리를 위한 키오스크 장치(16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폴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폴(100)은,
    1차로 이륙하여 정해진 경로를 따라 비행하며 도로에 불법 주차한 차량과 그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복귀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2차로 이륙하여 다시 정해진 경로를 따라 비행하며 도로에 불법 주차한 차량과 그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복귀하며, 1차와 2차의 비행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단속용 드론(180); 및,
    상기 단속용 드론(180)의 착륙이 발생하고, 착륙한 단속용 드론(180)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드론 스테이션(19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폴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영상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에 대한 미납된 주차 요금의 확인을 실시하고, 차량 번호와 미납된 주차 요금을 포함하는 미납 요금 정보를 생성하여 그 차량의 위치 정보와 함께 관리자가 소지하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폴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노상 주차장의 진입로 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주차 현황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외부 디스플레이(3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폴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KR1020210143758A 2021-10-26 2021-10-26 스마트폴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KR102405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758A KR102405165B1 (ko) 2021-10-26 2021-10-26 스마트폴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CN202211000805.7A CN116030657A (zh) 2021-10-26 2022-08-19 利用智能杆的停车管理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758A KR102405165B1 (ko) 2021-10-26 2021-10-26 스마트폴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165B1 true KR102405165B1 (ko) 2022-06-08

Family

ID=8198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758A KR102405165B1 (ko) 2021-10-26 2021-10-26 스마트폴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5165B1 (ko)
CN (1) CN1160306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124B1 (ko) * 2022-05-31 2022-11-09 ㈜중소기업기술경영개발원 노상 주차장에 이용되는 주차요금 정산 시스템
KR102583314B1 (ko) * 2022-05-31 2023-09-26 주식회사 에스티엠디 스마트폴을 이용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364B1 (ko) * 2014-12-12 2015-06-03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전방위 카메라를 사용하는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
KR101655839B1 (ko) * 2015-03-13 2016-09-23 (주)파크인서울 어안렌즈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778780B1 (ko) 2015-06-11 2017-09-15 (주)휴먼케어 노상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20210077925A (ko) 2019-12-18 2021-06-28 에스파킹 주식회사 차량정보 인식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상주차장 운영 시스템
KR102277977B1 (ko) * 2020-10-06 2021-07-15 이영길 주차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364B1 (ko) * 2014-12-12 2015-06-03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전방위 카메라를 사용하는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
KR101655839B1 (ko) * 2015-03-13 2016-09-23 (주)파크인서울 어안렌즈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778780B1 (ko) 2015-06-11 2017-09-15 (주)휴먼케어 노상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20210077925A (ko) 2019-12-18 2021-06-28 에스파킹 주식회사 차량정보 인식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상주차장 운영 시스템
KR102277977B1 (ko) * 2020-10-06 2021-07-15 이영길 주차 관리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가로등+신호등+CCTV 이젠 전기차, 드론까지 충전하는 스마트폴 (2021.10.26.), (출처 : https://blog.naver.com/smartnari/222543832476)*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124B1 (ko) * 2022-05-31 2022-11-09 ㈜중소기업기술경영개발원 노상 주차장에 이용되는 주차요금 정산 시스템
KR102583314B1 (ko) * 2022-05-31 2023-09-26 주식회사 에스티엠디 스마트폴을 이용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030657A (zh)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7302B2 (en) Parking meter system
KR102405165B1 (ko) 스마트폴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US10121172B2 (en) Parking lot monitoring system
US11200756B2 (en) Method for detecting parked vehicles and billing parking charges
CN103942977B (zh) 一种停车位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US7667619B2 (en) Parking violation surveillance system
US20140344026A1 (en) Unifi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optical data processing
KR102296004B1 (ko) 전기차 충전소 관리 시스템
CN207473682U (zh) 智能道闸
ES2908198T3 (es) Sistema de monitorización de aparcamiento
JP2018142834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CN109544762A (zh) 一种停车库智能管理门禁系统
KR102187313B1 (ko) 공유 주차관리시스템
CN109191899A (zh) 一种在停车库中实现t-box位置查询可视化的方法
CN109872561A (zh) 一种具有信息诱导与提示功能的道闸系统及方法
KR100919983B1 (ko) 유료도로의 통행료 미납 및 불법차량 적발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US20050111699A1 (en) Suite of parking regulation control systems
TWI626624B (zh) 路邊停車收費系統
KR102401502B1 (ko) 스마트폴을 이용하는 주차 관리 및 범죄 대응 시스템
KR102187314B1 (ko) 공유 주차관리시스템
KR20010088909A (ko)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무인 주차 관제 방법
KR102465124B1 (ko) 노상 주차장에 이용되는 주차요금 정산 시스템
KR102583314B1 (ko) 스마트폴을 이용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JP2003308574A (ja) 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