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716B1 -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 Google Patents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716B1
KR102404716B1 KR1020200108280A KR20200108280A KR102404716B1 KR 102404716 B1 KR102404716 B1 KR 102404716B1 KR 1020200108280 A KR1020200108280 A KR 1020200108280A KR 20200108280 A KR20200108280 A KR 20200108280A KR 102404716 B1 KR102404716 B1 KR 102404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ody member
piston
coupling hole
mechanical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7425A (ko
Inventor
조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비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비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비카
Priority to KR1020200108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716B1/ko
Publication of KR20220027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2005/14506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mechanically driven, e.g. spring or clock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75Mechanic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선단에 배출구(11)가 형성되며, 후단이 개방된 바디 부재(10), 상기 바디 부재(10)의 내측면(13)의 둘레를 따라 접하도록 상기 바디 부재(10)에 결합되는 피스톤 부재(20), 상기 피스톤 부재(20)의 후단에 결합되고, 후면에 제1 결합공(31)과 상기 제1 결합공(31)보다 큰 제2 결합공(32)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33)이 형성된 결합 부재(30), 상기 제2 결합공(32)에 결합되는 중공의 탄성 부재(40), 상기 탄성 부재(40)의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 결합공(31)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51)가 형성되는 지지 부재(50) 및 상기 바디 부재(10)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상기 지지 부재(50)의 후단에 설치되는 밴드 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Mechanical Fluid Automatic Injector}
본 발명은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의료분야에 있어서 환자에게 투여 또는 주입되는 약제는, 당연히 그 용법에 따라 투여되어야 하며, 이러한 용법 중 주입량, 주입속도, 주입시간 등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것이다.
특히, 환자 수술 후에 수반되는 통증을 관리하는 데에 필요한 진통제의 투여는 매우 중요한데, 수술 후 통증조절은 수술 결과를 판단하는 하나의 척도가 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수술 후 통증이 가장 심한 시기는 수술 후 72시간 까지이다. 이러한 수술 후 통증 치료는 모든 수술에서 해결해야 할 숙제이다.
이에, 1995년 미국 통증 학회에서는 통증을 제5의 활력 징후로까지 규정한 바 있다.
진통제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근육 이완제, 진정제, 진통제 등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요 약물이다.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흔한 방식은 환자가 통증을 호소할 때마다 상기한 약제를 간헐적으로 주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간헐적인 투여방식은 균등한 통증조절이 불가능하며, 또한, 소량의 약제를 빈번하게 주입함에 따라 오히려 다량의 약제를 투여하게 되어 약제의 종류에 따른 부작용인 호흡억제, 과도한 진정작용, 오심, 구토 등의 위 장관 문제, 요폐, 소양증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고, 심한 경우 약물 중독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에, 진통제의 경우 최근에는 기존에 사용되던 방식인, 환자가 통증을 호소할 때마다 상기한 약제를 간헐적으로 주사하는 방법 대신에, 균등하게 통증을 조절할 수 있는 통증 자가 조절법(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법이 이용되고 있다.
PCA에 적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예로써,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10-1743588호와 같은 벌룬 인퓨저가 사용되어 왔다. 기기 내부에 유체 주입에 따라 팽창하고, 그 복원력에 따라 수축하여 지속적으로 약액을 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제조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자동 주입할 수 있는 장치의 예로써,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6816호에 제시된 주사기용 약물 주입 장치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주사기가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설치되고, 하우징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 내부에 탄성 부재가 설치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슬라이딩 부재의 걸림 후크가 피스톤에 형성된 걸림 돌기에 걸리고,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용수철인 탄성 부재가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면서 피스톤이 약액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피스톤이 움직임에 따라 실린더 내부에 저장된 유체가 자동으로 주입되나, 용수철의 경우 탄성력이 그 길이에 비례하는 바 일정한 속도로 유체가 지속적으로 주입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628349호는 시린지 교체형 자동투약기에 관한 것으로, 피스톤이 설치되는 하우징 내부에 탄성 부재를 설치하고, 약액 주입 직전 손잡이를 탄성 부재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상승시키면, 이후 용수철인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이 약액을 가압하여 약액이 자동으로 주입되는 내용을 제시한다. 이 역시 용수철을 이용하는 바, 탄성력이 그 길이에 비례함으로써 일정한 속도로 유체가 지속적으로 주입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743588호 (2017.05.30) 한국등록특허문헌 제20-0486816호 (2018.07.03)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628349호 (2016.06.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용수철과 같이 탄성력이 그 길이에 비례하여 균일한 속도로 약제 배출이 어려운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실리콘 재질의 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약제를 배출하는 바, 균일한 속도로 약제가 배출되는 약제 주입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 용수철과 같은 탄성 부재가 시린지의 일측에 치우쳐 배치되어 그 탄성력 역시 피스톤의 일측에 치우쳐서 인가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배출구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하고, 밴드 부재가 바디 부재의 중심을 통과할 수 있어서 피스톤 부재를 단단히 지지할 수 있고, 실리콘 링의 복원력 역시 균일하게 인가되는 약제 주입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소모품인 약제 주입기를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약제 주입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선단에 배출구(11)가 형성되며, 후단이 개방된 바디 부재(10), 상기 바디 부재(10)의 내측면(13)의 둘레를 따라 접하도록 상기 바디 부재(10)에 결합되는 피스톤 부재(20), 상기 피스톤 부재(20)의 후단에 결합되고, 후면에 제1 결합공(31)과 상기 제1 결합공(31)보다 큰 제2 결합공(32)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33)이 형성된 결합 부재(30), 상기 제2 결합공(32)에 결합되는 중공의 탄성 부재(40), 상기 탄성 부재(40)의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 결합공(31)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51)가 형성되는 지지 부재(50) 및 상기 바디 부재(10)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상기 지지 부재(50)의 후단에 설치되는 밴드 부재(60)를 포함하는,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 부재(10)의 측면(14)에는 상기 바디 부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밴드 부재(60)가 장착되는 장착 홈(12)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1)는 상기 바디 부재(10)의 반경 외측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부재(20)의 후단에는 상기 피스톤 부재(20)의 반경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제1 걸림 돌기(2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30)의 측면에는 상기 반경 외측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 걸림 돌기(34)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 돌기(34)가 형성된 상기 결합 부재(30)의 외경은, 상기 제1 걸림 돌기(21)가 형성된 상기 피스톤 부재(20)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30)는, 상기 피스톤 부재(20)의 내측 선단과 상기 결합 부재(30)의 외측 선단 사이에 소정 간격(d) 이격되도록 상기 피스톤 부재(20)에 결합하고, 상기 지지 부재(50)는, 상기 제1 결합공(31)의 바닥면(31a)과 상기 결합 돌기(51) 사이에 상기 소정 간격(d)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 부재(30)에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1)를 통해 상기 바디 부재(10) 내부 공간으로 유체가 주입되는 경우, 상기 피스톤 부재(20)가 상기 바디 부재(10) 내에서 후진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 부재(20)의 내측 선단과 상기 결합 부재(30)의 외측 선단이 접하게 되며, 상기 제1 결합공(31)의 바닥면(31a)과 상기 결합 돌기(51)가 접하게 되고, 상기 탄성 부재(40)가 상기 소정 간격(d)만큼 수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40)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부재(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 부재(20)가 상기 바디 부재(10) 내에서 전진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장착 홈(12)은 상기 바디 부재(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90도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4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밴드 부재(60)는 2개이고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밴드 부재(60)는 상기 바디 부재(10)의 외측을 둘러쌈과 동시에 상기 4개의 장착 홈 중 어느 하나의 장착 홈과, 상기 어느 하나의 장착 홈에 대향하는 다른 장착 홈에 동시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 부재(10) 외측을 둘러싸는 커버 부재(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70)의 길이는 상기 바디 부재(10)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용수철과 같이 탄성력이 그 길이에 비례하여 균일한 속도로 약제 배출이 어려운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실리콘 재질의 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약제를 배출하는 바, 균일한 속도로 약제가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서 용수철과 같은 탄성 부재가 시린지의 일측에 치우쳐 배치되어 그 탄성력 역시 피스톤의 일측에 치우쳐서 인가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배출구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하고, 밴드 부재가 바디 부재의 중심을 통과할 수 있어서 피스톤 부재를 단단히 지지할 수 있고, 실리콘 링의 복원력 역시 균일하게 인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소모품인 약제 주입기를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바, 비용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를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이다.
도 5 및 6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용어 "유체"는 흐르는 성질을 갖는 액체 및 기체를 통칭하는 것으로, 약물, 약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용어 "반경 방향"은 원의 중심에 대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경 외측 방향은 원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고, 반경 내측 방향은 원의 중심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는 바디 부재(10), 피스톤 부재(20), 결합 부재(30), 탄성 부재(40), 지지 부재(50), 밴드 부재(60) 및 커버 부재(70)를 포함한다.
바디 부재(10)는 선단에 배출구(11)가 형성되고, 후단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부재(10)는 원통형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배출구(11)는 바디 부재(10)의 전면(15)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일반적으로 주사기에서 배출구가 시린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과 비교하였을 때, 배출구(11)가 바디 부재(10)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됨으로써 기기 자체의 부피가 감소된다.
또한, 배출구(11)가 바디 부재(10)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됨으로써, 밴드 부재(60)가 바디 부재(10)의 전면 중심을 통과하면서 바디 부재(1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밴드 부재(60)가 지지 부재(50)를 지지하는 힘이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방향으로 균일할 수 있다.
바디 부재(10)의 측면(14)에는, 바디 부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착 홈(12)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도 2 및 3에서는 4개의 장착 홈(12)이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나, 장착 홈(12)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각각의 장착 홈(12)은 바디 부재(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90도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장착 홈(12)에는 밴드 부재(60)가 설치되는데, 하나의 밴드 부재(60)는 바디 부재(10)의 전면(15), 측면(14), 장착 홈(12) 및 상기 장착 홈(12)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장착 홈(12), 측면(14), 전면(15) 순으로 바디 부재(10)를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밴드 부재(6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일 예로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구(11)를 통해 유체가 주입되는 경우 바디 부재(10) 내부에 설치된 구성들이 후진 이동하게 되는데, 후진 이동하는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다. 밴드 부재(60)가 후진 이동하는 구성들(피스톤 부재, 결합 부재, 탄성 부재 및 지지 부재)을 후방에서 지지함에 따라, 탄성 부재(40)의 복원력은 피스톤 부재(20)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하는데 온전히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피스톤 부재(20)는 바디 부재(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데, 유체가 배출구(11)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경우 피스톤 부재(20)는 후진 이동하고, 배출구(11)로부터의 유체 유입이 종료되면 후술하는 탄성 부재(40)의 복원력에 의해 전진 이동한다.
피스톤 부재(20)는 바디 부재(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유체가 배출구(11)가 아닌 후단에 개방된 부분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디 부재(10)의 내측면(13)의 둘레를 따라 접하도록 바디 부재(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스톤 부재(20)의 외경이 바디 부재(10)의 내경보다 커서, 피스톤 부재(20)가 바디 부재(1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 부재(20) 역시 바디 부재(10)와 마찬가지로 후단이 개방되어 있는데, 개방되어 있는 후단에 결합 부재(30), 탄성 부재(40) 및 지지 부재(50)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결합 부재(30)는 피스톤 부재(20)의 후단에 결합되고, 후면에 결합공(33)이 형성된다.
결합공(33)은 피스톤 부재(20)의 후면은 관통하지만, 전면은 관통하지 않는 형태이며, 제1 결합공(31) 및 제2 결합공(32)을 포함한다.
제1 결합공(31)은 제2 결합공(32)보다 피스톤 부재(20)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제2 결합공(32)은 제1 결합공(31)보다 크다.
결합공(33)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는데, 도 2 및 3에서는 4개의 결합공(33)이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되며, 결합공(33)의 개수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결합 부재(30)가 피스톤 부재(20)에 결합되고 난 후, 피스톤 부재(20)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 부재(30)의 측면에는 반경 외측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2 걸림 돌기(34)가 형성된다.
또한, 결합 부재(30)가 결합되는 피스톤 부재(20)의 내측면에는 반경 내측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걸림 돌기(21)가 형성된다.
제2 걸림 돌기(34)가 형성된 결합 부재(30)의 외경은, 제1 걸림 돌기(21)가 형성된 피스톤 부재(20)의 내경보다 크다. 다시 말하면, 피스톤 부재(20)의 제1 걸림 돌기(21)가 스토퍼(단턱) 역할을 하여 결합 부재(30)가 피스톤 부재(20)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탄성 부재(40)는 결합 부재(30)의 제2 결합공(32)에 결합한다. 탄성 부재(4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부재(40)는 중공(41)의 링 형태로 구비되는데, 탄성 부재(40)의 외경은 제2 결합공(32)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고, 탄성 부재(40)의 내경은 제1 결합공(31)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40)가 제2 결합공(32)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지지 부재(50)의 결합 돌기(51)가 탄성 부재(40)의 중공(41)을 통과하여 제1 결합공(31)에 결합 가능하다.
지지 부재(50)는 결합 부재(30)의 후단에 결합하는 부분으로, 지지 부재(50)의 전면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51)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 돌기(51)가 탄성 부재(40)의 중공을 통과하여 제1 결합공(31)에 결합됨으로써, 지지 부재(50)와 결합 부재(30)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지지 부재(50)의 후면에는 전술한 밴드 부재(60)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52)가 돌출 형성된다.
장착부(52)는 일 예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돌출되는 "ㄱ"자 형상의 하나 이상의 제1 벽체(52a)(도 3에는 4개의 제1 벽체가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됨) 및 제1 벽체(52a)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벽체(52a)들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1 벽체(52a)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벽체(52b)를 포함한다.
밴드 부재(60)는 어느 하나의 제1 벽체(52a)와, 이에 인접한 제1 벽체(52a)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벽체(52b) 위에 놓여진다. 제2 벽체(52b)의 높이가 제1 벽체(52a)보다 낮게 구비됨에 따라, 밴드 부재(60)가 제1 벽체(52a)들 사이의 공간에 단단히 고정된다.
밴드 부재(60)는 폐루프(closed-loop)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디 부재(10)의 전면(15), 측면(14), 장착 홈(12), 장착부(52), 상기 장착 홈(12)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장착 홈(12), 측면(14), 전면(15) 순으로 바디 부재(10)를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를 통해 밴드 부재(60)는 바디 부재(10) 내측에 결합된 피스톤 부재(20), 결합 부재(30), 지지 부재(50)를 후방에서 지지하게 된다.
커버 부재(70)는 바디 부재(10) 외측을 둘러싸는 부분으로,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의 외관을 이룬다. 커버 부재(70)의 길이는 바디 부재(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27mm 내지 33mm, 더 구체적으로는 30mm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1)를 통해 바디 부재(10)에 유체가 주입되면, 피스톤 부재(20)와 피스톤 부재(20)에 결합된 구성 요소들(결합 부재, 탄성 부재, 지지 부재)이 후진 이동하게 되는데, 지지 부재(50)가 커버 부재(70)의 내측면에 맞닿게 되면 더 이상의 유체 주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커버 부재(70)는 바디 부재(10) 내로 주입되는 유체의 양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의 동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결합 부재(30)는, 피스톤 부재(20)의 내측 선단과 결합 부재(30)의 외측 선단 사이에 소정 간격(d) 이격되도록 피스톤 부재(20)에 결합하고, 지지 부재(50)는, 제1 결합공(31)의 바닥면(31a)과 결합 돌기(51) 사이에 상기 소정 간격(d) 이격되도록 결합 부재(30)에 결합한다.
배출구(11)를 통해 외부에서 유체가 주입되는 경우, 피스톤 부재(20)가 바디 부재(10) 내부 공간에서 후진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피스톤 부재(20)의 내측 선단과 결합 부재(30)의 외측 선단이 접하게 되며, 제1 결합공(31)의 바닥면(31a)과 결합 돌기(51)가 접하게 된다.
결합 부재(30)와 지지 부재(50)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탄성 부재(40)의 경우, 상기 소정 간격(d)만큼 수축되는데, 유체의 주입이 중단되는 경우 탄성 부재(40)가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려는 힘인 복원력이 발생된다. 복원력은 피스톤 부재(20)를 전방 또는 후방 모두로 이동시킬 수 있는데, 밴드 부재(60)가 피스톤 부재(20)의 후방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탄성 부재(40)의 복원력은 피스톤 부재(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 부재(20)가 바디 부재(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유체를 가압하게 되면서, 유체가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용수철과 같이 탄성력이 그 길이에 비례하여 균일한 속도로 약제 배출이 어려운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실리콘 재질의 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약제를 배출하는 바, 균일한 속도로 약제가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서 용수철과 같은 탄성 부재가 시린지의 일측에 치우쳐 배치되어 그 탄성력 역시 피스톤의 일측에 치우쳐서 인가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배출구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하고, 밴드 부재가 바디 부재의 중심을 통과할 수 있어서 피스톤 부재를 단단히 지지할 수 있고, 실리콘 링의 복원력 역시 균일하게 인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소모품인 약제 주입기를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바, 비용 경제적이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바디 부재
11: 배출구
12: 장착 홈
13: 내측면
14: 측면
15: 전면
20: 피스톤 부재
21: 제1 걸림 돌기
30: 결합 부재
31: 제1 결합공
31a: 바닥면
32: 제2 결합공
33: 결합공
34: 제2 걸림 돌기
40: 탄성 부재
41: 중공
50: 지지 부재
51: 결합 돌기
52: 장착부
52a: 제1 벽체
52b: 제2 벽체
60: 밴드 부재
70: 커버 부재
100: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Claims (11)

  1.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선단에 배출구(11)가 형성되며, 후단이 개방된 바디 부재(10);
    상기 바디 부재(10)의 내측면(13)의 둘레를 따라 접하도록 상기 바디 부재(10)에 결합되는 피스톤 부재(20);
    상기 피스톤 부재(20)의 후단에 결합되고, 후면에 제1 결합공(31)과 상기 제1 결합공(31)보다 큰 제2 결합공(32)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33)이 형성된 결합 부재(30);
    상기 제2 결합공(32)에 결합되는 중공의 탄성 부재(40);
    상기 탄성 부재(40)의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 결합공(31)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51)가 형성되는 지지 부재(50); 및
    상기 바디 부재(10)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상기 지지 부재(50)의 후단에 설치되는 밴드 부재(60);를 포함하는,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부재(10)의 측면(14)에는 상기 바디 부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밴드 부재(60)가 장착되는 장착 홈(12)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1)는 상기 바디 부재(10)의 반경 외측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부재(20)의 후단에는 상기 피스톤 부재(20)의 반경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제1 걸림 돌기(2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30)의 측면에는 상기 반경 외측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 걸림 돌기(34)가 형성되는,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 돌기(34)가 형성된 상기 결합 부재(30)의 외경은, 상기 제1 걸림 돌기(21)가 형성된 상기 피스톤 부재(20)의 내경보다 큰,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30)는, 상기 피스톤 부재(20)의 내측 선단과 상기 결합 부재(30)의 외측 선단 사이에 소정 간격(d) 이격되도록 상기 피스톤 부재(20)에 결합하고,
    상기 지지 부재(50)는, 상기 제1 결합공(31)의 바닥면(31a)과 상기 결합 돌기(51) 사이에 상기 소정 간격(d)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 부재(30)에 결합하는,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1)를 통해 상기 바디 부재(10) 내부 공간으로 유체가 주입되는 경우,
    상기 피스톤 부재(20)가 상기 바디 부재(10) 내에서 후진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 부재(20)의 내측 선단과 상기 결합 부재(30)의 외측 선단이 접하게 되며, 상기 제1 결합공(31)의 바닥면(31a)과 상기 결합 돌기(51)가 접하게 되고, 상기 탄성 부재(40)가 상기 소정 간격(d)만큼 수축하는,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40)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부재(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 부재(20)가 상기 바디 부재(10) 내에서 전진 이동하는,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장착 홈(12)은 상기 바디 부재(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90도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4개 형성되는,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부재(60)는 2개이고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밴드 부재(60)는 상기 바디 부재(10)의 외측을 둘러쌈과 동시에 상기 4개의 장착 홈 중 어느 하나의 장착 홈과, 상기 어느 하나의 장착 홈에 대향하는 다른 장착 홈에 동시에 장착되는,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부재(10) 외측을 둘러싸는 커버 부재(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70)의 길이는 상기 바디 부재(10)의 길이보다 긴,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KR1020200108280A 2020-08-27 2020-08-27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KR102404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280A KR102404716B1 (ko) 2020-08-27 2020-08-27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280A KR102404716B1 (ko) 2020-08-27 2020-08-27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425A KR20220027425A (ko) 2022-03-08
KR102404716B1 true KR102404716B1 (ko) 2022-06-07

Family

ID=8081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280A KR102404716B1 (ko) 2020-08-27 2020-08-27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7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5064B2 (en) * 2011-10-03 2014-12-09 Seik Oh Flow regulator for infusion pum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28349B1 (ko) 2014-12-03 2016-06-08 김준호 시린지 교체형 자동투약기
KR101743588B1 (ko) 2015-07-08 2017-06-23 (주)더블유앤지 벌룬 인퓨저
KR200486816Y1 (ko) 2017-05-29 2018-07-03 이대규 주사기용 약물 주입 장치
KR101999364B1 (ko) * 2017-07-21 2019-07-12 서울대학교병원 기계식 자동 약물 투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425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3671B2 (ja) 自動注射器および自動注射器の組み立て方法
JP6618928B2 (ja) カテーテル挿入装置及びカテーテルを挿入する方法
JP3083134B2 (ja) カニューレ密封シールドアセンブリ
US6447487B1 (en) Apparatus for administering drugs to a patient
CN101637627B (zh) 注射器用的自动报废装置
US9968736B2 (en) Liquid injector for continuously injecting fixed quantity of charged liquid
CN107530502B (zh) 注射器系统、活塞密封系统、塞子系统
JPH11244394A (ja) 薬液自己注入用具
KR101563723B1 (ko) 주사기용 필터 주사바늘 조립체
CN107980006A (zh) 药物包装
CN109843359B (zh) 能够在液体药物注入完成后注入额外流体的液体药物注入装置
KR20160045739A (ko) 주사기용 루어 연결 어댑터
KR20150048176A (ko) 주사바늘
KR20150114925A (ko)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주사기
EP2593157B1 (en) Infusion pump
KR100810158B1 (ko) 약품 분배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KR102404716B1 (ko)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KR200465726Y1 (ko) 약제 주입기
US10300203B2 (en) Priming mechanism for automatic injection device
KR200486816Y1 (ko) 주사기용 약물 주입 장치
JP5060709B2 (ja) 薬物送達デバイス
JP2018093906A (ja) 薬液注入装置およびその装置に使用される注射針
JP2003159330A (ja) 医療器具用ガスケ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医療器具並びに医療器具用ガスケットの製造方法
KR101822047B1 (ko) 약물 주입 방법
JP2012105791A (ja) 長時間注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