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588B1 - 벌룬 인퓨저 - Google Patents

벌룬 인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588B1
KR101743588B1 KR1020150097208A KR20150097208A KR101743588B1 KR 101743588 B1 KR101743588 B1 KR 101743588B1 KR 1020150097208 A KR1020150097208 A KR 1020150097208A KR 20150097208 A KR20150097208 A KR 20150097208A KR 101743588 B1 KR101743588 B1 KR 101743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lder
coupled
upper connector
ascend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510A (ko
Inventor
윤석신
고성호
조병식
Original Assignee
(주)더블유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블유앤지 filed Critical (주)더블유앤지
Priority to KR1020150097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588B1/ko
Priority to US15/742,485 priority patent/US10864319B2/en
Priority to PCT/KR2016/005210 priority patent/WO2017007123A1/ko
Priority to JP2018521157A priority patent/JP6507428B2/ja
Priority to EP16821529.1A priority patent/EP3320930B1/en
Priority to CN201680039968.2A priority patent/CN107921198B/zh
Publication of KR20170006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 A61M5/1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pressurised by contraction of elastic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12Pumping with an aspiration and an expulsion 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벌룬 인퓨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세, 본 발명은 직선형 눈금으로 이루어진 눈금선(13)이 표시된 상부 커버(10); 상기 상부 커버(10)의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 커버(20); 상기 상부 커버(10) 내측에 위치하여 내용물이 수용되는 가요성의 팽창 부재(70); 및 상기 팽창 부재(70)의 팽창 정도에 따라 승하강 가능하며, 일면에 눈금 지침선(34)이 구비되고, 상기 눈금 지침선(34)이 상기 눈금선(13)을 지칭하는 승하강부(30)를 포함하는, 벌룬 인퓨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벌룬 인퓨저{Balloon infuser}
본 발명은 의료용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벌룬 인퓨저에 관한 것이다.
벌룬 인퓨전 펌프(balloon infusion pump) 또는 휴대용 주입용 펌프(PIP; portable infusion pump)로도 지칭되는 벌룬 인퓨저(balloon infuser)는, 특히 항암제와 같이 주입량과 주입 속도가 중요한 약물을 일정한 속도로 지속적으로 주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회용 약물 주입기구이다. 별도의 속도 조절기구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벌룬 인퓨저는 외부 요인으로부터 안전하고 위생적이며, 휴대가 간편하고,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지 않으며 일상 생활에 지정을 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어서, 지속적인 약물 주입이 필요한 환자가 입원하지 않고 통원 치료를 가능하게 하기에 그 연구와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벌룬 인퓨저의 경우 다음의 문제가 있다.
풍선의 팽창 정도가 내측에 포함된 내용물의 양을 지칭하는데, 정확한 지칭이 어렵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풍선의 팽창 정도를 어림 짐작하여 내용물이 얼마나 남아 있으며 얼마나 소진되었는지를 가늠하여야 한다. 외부 하우징에 호 형상의 눈금선이 인쇄되어, 풍선의 말단이 호 형상의 눈금선을 지칭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남은 내용량을 알려주는 벌룬 인퓨저가 존재하나, 풍선은 수축 정도에 따라 말단의 곡률이 다양하게 변형되기에 정확한 지침이 어려워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지 못한다.
내용물 배출 정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부품이 사용되면서도 밀봉이 중요하기에 접착제가 사용된다는 점 역시 문제이다. 접착제의 사용은 제조 공정을 어렵게 하고 제조 단가를 높이는 것은 물론, 위생 관점에서도 당연히 바람직하지 못하다.
풍선의 수축력으로 내용물을 배출하기에 풍선이 거의 다 수축된 상태에서는 내용물의 완전 배출이 어려워서, 풍선 내측 또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유로 상에 내용물이 일부 남아 있는 상태에서 사용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배출되지 못하고 내용물이 남아 있는 공간은 소위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로 지칭되는데, 이러한 데드 스페이스가 일반적인 벌룬 인퓨저에 상당 부분 존재한다. 데드 스페이스의 존재는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게 된다.
(종래기술)
미국특허 2014-0155829 (2014.6.5.)
중국특허 102935252 (2013.2.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벌룬 인퓨저 내측에 남아 있는 내용물의 양을 정확하게 지칭할 수 있으며, 접착제 없이도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며, 데드 스페이스의 양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벌룬 인퓨저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선형 눈금으로 이루어진 눈금선(13)이 표시된 상부 커버(10); 상기 상부 커버(10)의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 커버(20); 상기 상부 커버(10) 내측에 위치하여 내용물이 수용되는 가요성의 팽창 부재(70); 및 상기 팽창 부재(70)의 팽창 정도에 따라 승하강 가능하며, 일면에 눈금 지침선(34)이 구비되고, 상기 눈금 지침선(34)이 상기 눈금선(13)을 지칭하는 승하강부(30)를 포함하는, 벌룬 인퓨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벌룬 인퓨저는, 상기 승하강부(30)의 승하강부 상부 개구(31)에 결합되는 상부 커넥터 홀더(40); 상기 상부 커넥터 홀더(40)에 결합되는 상부 커넥터(50); 및 상기 상부 커넥터(50)에 결합되는 내측 샤프트(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팽창 부재(70)는 상기 내측 샤프트(60)를 밀봉되게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벌룬 인퓨저는, 상기 하부 커버(20)의 하부 개구(21)에 결합되는 하부 커넥터 홀더(100); 상기 하부 커넥터 홀더(100)에 결합되는 하부 커넥터(90); 및 상기 하부 커넥터(90)에 결합되는 외측 샤프트(80)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샤프트(80) 내에는 중공부(88)가 위치하고, 상기 내측 샤프트(60)가 상기 중공부(88) 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 샤프트(80)의 중앙에는 상기 하부 개구(21)와 연통하는 주입용 개구(81)가 위치하며, 상기 주입용 개구(81)는 주입구(82)를 통하여 상기 중공부(88)와 연통되고, 상기 중공부(88)에는 다수의 주입구(83, 84)가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주입구(83, 84)는 상기 팽창 부재(7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입용 개구(81)로 내용물이 주입되면, 주입된 내용물은 상기 주입구(82)를 통하여 상기 중공부(88)로 유입되고, 유입된 내용물은 상기 다수의 주입구(83, 84)를 통하여 유출되어 상기 팽창 부재(70)를 팽창시킴과 동시에 상기 내측 샤프트(60)를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 상부 개구(31)와 상기 하부 개구(21)는 동일한 형상이되 180도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이며, 상기 승하강부 상부 개구(31)에 결합되는 상기 상부 커넥터 홀더(40)와 상기 하부 개구(21)에 결합되는 상기 하부 커넥터 홀더(100)는 동일한 부품이며, 상기 상부 커넥터(50)와 상기 하부 커넥터(90)는 동일한 부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 상부 개구(31)에서 상기 상부 커넥터 홀더(40)는 스냅 결합에 의하여 접착제 없이 결합되고, 상기 상부 커넥터 홀더(40)와 상기 상부 커넥터(50)는 스냅 결합에 의하여 접착제 없이 결합되고, 상기 상부 커넥터(50)와 상기 내측 샤프트(60) 사이에 상기 팽창 부재(70)가 위치하여 접착제 없이 밀봉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 개구(21)에서 상기 하부 커넥터 홀더(100)는 스냅 결합에 의하여 접착제 없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 커넥터 홀더(100)와 상기 하부 커넥터(90)는 스냅 결합에 의하여 접착제 없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 커넥터(90)와 상기 외측 샤프트(80) 사이에 상기 팽창 부재(70)가 위치하여 접착제 없이 밀봉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커버(10); 상기 상부 커버(10)의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 커버(20); 상기 상부 커버(10)와 상기 하부 커버(20) 사이에 위치하며 승하강 가능한 승하강부(30); 상기 승하강부(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커넥터 홀더(40); 상기 상부 커넥터 홀더(40)에 결합되는 상부 커넥터(50); 상기 상부 커넥터(50)에 결합되는 내측 샤프트(60); 상기 내측 샤프트(60)를 밀봉하도록 덮되, 내용물이 수용되며 팽창 가능한 가요성의 팽창 부재(70); 상기 내측 샤프트(60)가 슬라이딩 운동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중공부(88)를 구비한 외측 샤프트(80); 상기 외측 샤프트(8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커넥터(90); 및 상기 하부 커넥터(90)와 상기 하부 커버(20) 사이에 결합되는 하부 커넥터 홀더(100)를 포함하는, 벌룬 인퓨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30), 상기 상부 커넥터 홀더(40), 상기 상부 커넥터(50) 및 상기 내측 샤프트(60)는, 상기 팽창 부재(70) 내측으로 내용물이 유입됨에 따라 승하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벌룬 인퓨저 내측에 남아 있는 내용물의 양을 정확하게 지칭할 수 있다. 승하강부라는 별도 부재를 채택하고, 승하강부 말단에 눈금 지침선을 구비시키고, 외부 하우징에 직선형의 눈금선을 인쇄하며, 풍선의 팽창 또는 수축과 동기화되어 승하강부가 승하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남은 내용물의 정확한 양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더욱이, 동일한 부품인 커넥터와 커넥터 홀더를 상부 및 하부에서 방향만 바꾸어 사용할 수 있어서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견고한 고정이 가능함과 동시에, 제조자 입장에서 사출 부품들의 간단한 스냅 체결만으로도 완성품의 제작이 가능한바, 공정이 용이하고 제작 시간이 감소하며 불량율이 현저히 낮다.
또한, 데드 스페이스를 저감시켜, 벌룬 인퓨저에 포함된 내용물의 사용량이 증진되고, 사용자에게 경제적 이득을 줄 수 있으며, 의사는 정확한 약물의 양을 예측하여 처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의 실시예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에 내용물이 주입되기 이전의 단면 사시도로서, 도 10을 기준으로 할 경우 A-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에 내용물이 주입되는 동안, 또는 내용물 주입후 사용 동안 중간 정도를 사용한 경우의 단면 사시도로서, 도 10을 기준으로 할 경우 A-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에 내용물이 완전히 주입된 상태의 단면 사시도로서, 도 10을 기준으로 할 경우 A-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a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서, 도 10을 기준으로 할 경우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b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와 마찬가지로 도 10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a의 "A" 부분에서 방사상 90도 이동한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서, 도 10을 기준으로 할 경우 C-C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의 상부 커버(1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의 하부 커버(20)의 사시도이다. 설명을 위하여,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와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함께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의 승하강부(30)의 사시도이다. 설명을 위하여,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와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함께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의 상부 커넥터 홀더(40)의 사시도이다. 설명을 위하여,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와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함께 도시한다. 하부 커넥터 홀더(100) 역시 이와 동일한 형상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의 상부 커넥터(50)의 사시도이다. 설명을 위하여,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와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함께 도시한다. 하부 커넥터(90) 역시 이와 동일한 형상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의 내측 샤프트(60)의 사시도이다. 설명을 위하여,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와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함께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의 팽창 부재(70)의 사시도이다. 설명을 위하여,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와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함께 도시한다. 후술할 바와 같이 팽창 부재(70)는 부풀어질 수 있는 가요성 소재이므로 그 형상은 달라질 수 있음에 주의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의 외측 샤프트(80)의 사시도이다. 설명을 위하여,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와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함께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룬 인퓨저를 도시하며, 설명을 위하여 승하강부(30) 및 상부 커버(10)는 생략된다.
본 발명은 의료용 기구인 벌룬 인퓨저에 관한 것이다. 인체를 직접적인 대상으로 하는 치료 방법이 아님을 밝혀둔다.
이하에서, "내용물"은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에 주입되는 약액 등의 의료용 유체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을 위하여 도 3a 내지 3c를 기준으로 도면의 위쪽을 상측으로 지칭하고 도면의 아래쪽을 하측으로 기술한다. 또한, 설명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중심을 향한 방향을 내측 방향으로 지칭하고 그 반대 방향을 외측 방향으로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1. 전체 구조의 설명
도 1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는 상부 커버(1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1의 (a) 및 (c)는 사각기둥에 가까운 형상이며, 도 1의 (b)와 (d)는 삼각기둥에 가까운 형상이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각 또는 삼각 외의 다각형 기둥에 가까운 형상이거나 또는 원형기둥 형상일 수도 있다.
도 1의 (c)와 (d)에는 파지홈(16)이 상하 방향으로 존재하여, 사용자가 파지하기에 용이하게 하며 구조적인 안정성을 더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의 분해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a)인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나, 다른 형태에서도 상부 커버(10)와 하부 커버(20)의 형태만 상이할 뿐 내측의 부품들은 동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는, 상부 커버(10), 승하강부(30), 상부 커넥터 홀더(40), 상부 커넥터(50), 내측 샤프트(60), 팽창 부재(70), 외측 샤프트(80), 하부 커넥터(90), 하부 커넥터 홀더(100)를 포함하며, 가장 하측에는 하부 커버(20)가 위치한다.
상부 커넥터(50)와 하부 커넥터(90)는 동일한 부재의 사용이 가능하며, 상부 커넥터 홀더(40)와 하부 커넥터 홀더(100) 역시 동일한 부재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상부 커버(10)와 하부 커버(20)는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부 커버(10)에는 눈금선(13)이 인쇄되어 있으며, 승하강부(30)의 승강에 따라 승하강부(30)의 눈금 지침선(34)이 승강하여 눈금선(13)을 지칭함으로써, 정확한 내용량의 안내가 가능하다.
승하강부(30)에는 상부 커넥터 홀더(40)와 상부 커넥터(50)가 결합된다. 접착제 등의 필요 없이 스냅 결합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하부 커버(20)의 하부 개구(21)에도 마찬가지로 접착제 없이 하부 커넥터 홀더(100)와 하부 커넥터(90)가 스냅 결합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부 커넥터(50)와 하부 커넥터(90) 사이에는 내측 샤프트(60), 외측 샤프트(80) 및 팽창 부재(70)가 위치한다.
내측 샤프트(60)는 상부 커넥터(50)에 의하여 승하강부(30)에 고정된다.
외측 샤프트(80)는 하부 커넥터(90)에 의하여 하부 커버(20)에 고정된다.
벌룬 인퓨저에 내용물이 주입됨에 따라, 팽창 부재(70)가 팽창하고 내측 샤프트(60) 및 여기에 결합된 승하강부(30)가 상승한다. 반대로, 내용물이 유출됨에 따라, 팽창 부재(70)가 수착하고, 내측 샤프트(60) 및 여기에 결합된 승하강부(30)가 하강한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2. 구성 요소의 세부 설명
상부 커버(10), 하부 커버(20), 승하강부(30), 상부 커넥터 홀더(40), 상부 커넥터(50), 내측 샤프트(60), 팽창 부재(70), 외측 샤프트(80)를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상부 커버(10)를 도시한다.
상부 커버(10)는 사용자가 승하강부(30)를 볼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부 커버(10) 내측에서 승하강하는 승하강부(30)가 눈금선(13)의 어느 눈금을 지칭하는지 알 수 있다.
상부 커버(10)의 상부면에는 거치부(11)가 위치하여, 벌룬 인퓨저를 별도의 거치대에 거치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부 커버(10)의 측부 일면에는 눈금선(13)이 인쇄된다. 눈금선(13)은 상하 방향으로 눈금이 상이하도록 표시된다. 눈금선(1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승하강부(30)의 눈금 지침선(34)에 의하여 지칭된다.
상부 커버(10)와 하부 커버(20)의 결합을 위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부(14)가 상부 커버(10)의 말단 외주를 따라 위치한다. 결합시, 상부 커버(10)의 단턱부(14)에 하부 커버(20)의 단턱부(24)가 위치한다.
단턱부(14) 중 일부 위치에 결합홈(15)이 위치한다. 결합홈(15)에는 하부 커버(10)의 결합 돌기(25)가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커버(10)가 사각기둥에 가까운 형상이기에 4개의 결합홈(15)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도 1의 (b)와 (d)와 같이 삼각기둥에 가까운 형상인 경우 3개가 구비될 것이며, 사각 또는 삼각 이외의 다각형 기둥인 경우 다른 개수의 결합홈이 구비될 것이다. 원형기둥 형상인 경우, 상부 커버의 외주를 따라 2개 이상의 위치에 결합홈이 위치하는 것이 결합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도 8은 하부 커버(20)를 도시한다.
하부 커버(20)의 중앙 내측에는 하부 개구(21)가 위치한다. 하부 개구(21)를 통해 사용자는 주입용 개구(81)에 접근 가능하여, 하부 개구(21)를 통해 내용물을 주입하여 두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내용물을 정량 공급할 수 있다.
하부 개구(21)의 경계를 따른 방사상으로 하부 커넥터 홀더 걸림턱(22) 및 하부 커넥터 홀더 지지부(23)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한다. 상부 커넥터 홀더 걸림턱(22) 및 하부 커넥터 홀더 지지부(23)는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한 쌍씩 위치하나, 그 위치 및 개수는 변경할 수 있다.
하부 커넥터 홀더 걸림턱(22) 상측 말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하부 커넥터 홀더 안착부(22a)가 위치한다.
하부 커넥터 홀더 안착부(22a)의 내측면에는 내측 하방으로의 경사면이 위치한다. 경사면의 하측 말단면에는 외측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하부 커넥터 홀더(100)를 삽입할 경우 하부 커넥터 홀더(100)의 걸림턱이 그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내측으로 스냅 결합된다. 이에 따라, 하부 커넥터 홀더(100)의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이와 같은 결합을 위하여 하부 커넥터 홀더 걸림턱(22) 및 하부 커넥터 홀더 안착부(22a)의 약간의 이동이 필요한바, 안착부 유격공간(22b)이 외측에 위치한다.
하부 커넥터 홀더 지지부(23)는 하부 커넥터 홀더 걸림턱(22)에 90도 이동한 부분에 위치한다. 하부 커넥터 홀더(100)를 하부 개구(21)를 삽입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넥터 홀더 지지부(23) 위쪽에 하부 커버 안착부(103a)가 위치한다. 이에 따라 하부 커넥터 홀더(100)의 하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은 스냅 결합에 의하여, 하부 커버(20)에 대한 하부 커넥터 홀더(100)의 상측으로의 이동 및 하측으로의 이동이 각각 하부 커넥터 홀더 걸림턱(22) 및 하부 커넥터 홀더 지지부(23)에 의하여 제한되기에, 접착제와 같은 추가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승하강부(30)를 도시한다.
벌룬 인퓨저 내용량에 따라 하부 커버(20)에 고정된 외측 샤프트(80)를 기준으로 내측 샤프트(60)가 승하강하는데, 상부 커넥터 홀더(40) 및 상부 커넥터(50)에 의하여 내측 샤프트(60)에 고정된 승하강부(30)가 승하강한다.
즉, 승하강부(30)는 내용량에 상응하여 승하강하게 되며, 따라서 눈금 지침선(34)이 눈금선(13) 상에서 내용량이 얼마인지를 지칭할 수 있다.
눈금 지침선(34)은 승하강부(30)의 말단 일측에 위치한다. 눈금 지침선(34)은 직선형이기에, 역시 직선형인 눈금선(13)에 인쇄된 내용량을 정확하게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위하여 승하강부(30)는 상부 샤프트(6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승하강부(30) 상부에 위치하는 승하강부 상부 개구(31)에는 그 경계를 따른 방사상으로 상부 커넥터 홀더 걸림턱(32) 및 상부 커넥터 홀더 지지부(33)가 위치하여, 승하강부(30), 상부 커넥터 홀더(40), 상부 커넥터(50) 및 상부 샤프트(60)를 접착제 등의 사용 없이 견고하게 고정한다.
승하강부 상부 개구(31), 상부 커넥터 홀더 걸림턱(32) 및 상부 커넥터 홀더 지지부(33)의 구조는 하부 커버(20)의 하부 개구(21), 상부 커넥터 홀더 걸림턱(22) 및 하부 커넥터 홀더 지지부(23)의 구조와 동일하되 설치 방향만 180도 반대 방향(즉, 상하 반대)이다.
이를 통하여 동일한 부품인 커넥터 홀더 및 커넥터를 상부 및 하부에 모두 이용할 수 있어서 제조 단가를 낮추고 제조의 편의성을 이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부 커넥터 홀더 걸림턱(32) 및 상부 커넥터 홀더 지지부(33)는 도 7에 도시된 하부 커넥터 홀더 걸림턱(22) 및 하부 커넥터 홀더 지지부(23)의 구조와 동일하다. 다만, 평평한 형상의 하부 커버(20)의 하부면과 비교하여 승하강부(30)의 상부면의 형상은 둥글기에, 승하강부(30)의 안착부 유격공간(32b)이 하부 커버(20)의 안착부 유격공간(22b)과 같이 움푹 파여 일측으로 돌출된 형상(도 8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일 필요 없으며 외측으로 파인 형상이면 족하다.
상부 커넥터 홀더 걸림턱(32)의 하측 말단에는 내측을 향하여 상부 커넥터 홀더 안착부(32a)가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부 커넥터 홀더(40)를 승하강부 상부 개구(31)에서 하방으로 결합시킬 경우, 상부 커넥터 홀더(40)의 상부 커넥터 걸림턱(42)이 상부 커넥터 홀더 안착부(32a)의 상측에 안착되어, 승하강부(30)에 대한 상부 커넥터(40)의 하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상부 커넥터 홀더(40)를 승하강부 상부 개구(31)에서 하방으로 결합시킬 경우, 상부 커넥터 홀더 지지부(33)의 하단에 승하강부 지지부(43)가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승하강부(30)에 대한 상부 커넥터(40)의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승하강부(30)에 대한 상부 커넥터 홀더(40)의 상측으로의 이동 및 하측으로의 이동이 모두 제한되기에, 접착제와 같은 추가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상부 커넥터 홀더(40)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커넥터 홀더(100)는 상부 커넥터 홀더(40)와 동일한 구조이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 제조시 그 설치 방향이 반대 방향이다.
상부 커넥터 홀더(40)는 승하강부(30)의 승하강부 상부 개구(31)에 삽입된다.
상부 커넥터 홀더(40)의 중앙에 상부 커넥터 홀더 개구(41)가 위치한다.
상부 커넥터 홀더(40)의 외면을 따른 방사상으로 상부 커넥터 걸림턱(42)과 승하강부 지지부(43)가 위치한다. 상부 커넥터 걸림턱(42)과 승하강부 지지부(43)는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한 쌍씩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커넥터 걸림턱(42)의 외면은 수직하며, 도 10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면에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반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위치한다. 경사면의 상측 말단면은 외측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넥터(50)의 상부 커넥터 홀더 체결부(52)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부 커넥터(50)를 상부 커넥터 홀더(40)를 향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할 경우 상부 커넥터 홀더 체결부(52)가 상부 커넥터 걸림턱(4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내측으로 스냅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부 커넥터 홀더(40)에 대한 상부 커넥터(50)의 하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이와 같은 결합을 위하여 상부 커넥터 걸림턱(42)은 상부 커넥터(50)의 결합 시점에 약간의 이동이 필요하므로 안착부 유격공간(42a)이 그 내측에 위치한다.
승하강부 지지부(43)의 하측 말단에는 외측을 향하여 승하강부 안착부(43a)이 위치한다.
승하강부 지지부(4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승하강부(30)에 대한 상부 커넥터 홀더(40)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상부 커넥터 홀더(40)에 대한 상부 커넥터(50)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다시 말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넥터 홀더(40)를 승하강부(30)에 삽입할 경우 승하강부 안착부(43a)가 상부 커넥터 홀더 지지부(33)의 하단에 맞닿아 승하강부(30)에 대한 상부 커넥터 홀더(40)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상부 커넥터(50)를 상부 커넥터 홀더(40)에 삽입할 경우 승하강부 안착부(43a)가 상부 커넥터(50)의 상부 커넥터 견부(53)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부 커넥터 홀더(40)에 대한 상부 커넥터(50)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도 11은 상부 커넥터(50)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커넥터(90)는 상부 커넥터(50)와 동일한 구조이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인퓨저 제조시 그 설치 방향이 반대 방향이다.
상부 커넥터(50)는 상부 커넥터 홀더(40)의 하측으로 삽입되며, 상부 중앙에 상부 커넥터 개구(51)가 위치하고, 여기에 내측 샤프트(60)가 삽입된다.
상부 커넥터 개구(51)를 형성하는 외주연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측 외벽체(55), 제 2 상측 외벽체(56) 및 제 3 상측 외벽체(57)로 구분될 수 있으며, 여기에 돌출부(58)가 위치한다. 각각의 구성은 아래에서 결합 구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 커넥터(50)의 상측 외주연에는 상부 커넥터 홀더 체결부(52)가 위치한다. 상부 커넥터 홀더 체결부(52)의 상측은 외측으로 경사진 형상이어서, 상부 커넥터 걸림턱(42)의 경사면이 이와 만나면서 보다 용이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넥터(50)를 상부 커넥터 홀더(40)를 향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할 경우 상부 커넥터 홀더 체결부(52)가 상부 커넥터 걸림턱(4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내측으로 스냅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부 커넥터 홀더(40)에 대한 상부 커넥터(50)의 하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상부 커넥터(50)의 하측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소정 간격 돌출된 상부 커넥터 견부(53)가 위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넥터 견부(53)는 승하강부 지지부(43a) 하측에 위치하여, 상부 커넥터 홀더(40)에 대한 상부 커넥터(50)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부 커넥터 홀더(40)에 대한 상부 커넥터(50)의 상측으로의 이동 및 하측으로의 이동이 모두 제한되기에, 접착제와 같은 추가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2는 내측 샤프트(60)를 도시한다.
내측 샤프트(60)의 하부는 상부 커넥터(50) 및 상부 커넥터 홀더(40)에 의하여 승하강부(3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벌룬 인퓨저 내에 내용량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승하강부(30)를 승하강시키는 부품이다.
내측 샤프트(60)의 상부와 상부 커넥터(50) 사이에는 가요성의 팽창 부재(7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내측 샤프트(60)의 중하부의 몸체(69)는 외측 샤프트(80) 내의 공간에서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승강되도록 가이드된다. 이를 위하여, 몸체(69)의 형상은 외측 샤프트(80)의 중공부(88)의 형상에 상응한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원활한 가이드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 및 도 14에서는 4개의 돌출부 및 이에 상응하는 중공부(88)가 도시되나, 그 개수 또는 형상은 무엇이든 무방하다.
내측 샤프트(60)의 상부에는 제 1 상측 내벽체(65), 제 2 상측 내벽체(66) 및 제 3 상측 내벽체(67)가 위치한다. 내벽체(65, 66, 67)의 형태 및 구성에 의하여, 승하강부(30)에 대한 내측 샤프트(60)의 상승 또는 하강이 제한되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성은 아래에서 결합 구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내측 샤프트(60)의 상부 중앙에는 원통형 중공체(61)가 위치하며, 이는 상부 커넥터 개구(51) 및 상부 커넥터 홀더 개구(41)를 통과하여 승하강부 상부 개구(31)에 이른다.
원통형 중공체(61)의 방사상 외측에서 제 1 상측 내벽체(65)와의 사이에 내벽체 유격공간(61a)이 위치한다.
벌룬 인퓨저 내측으로 내용물이 주입되면 후술하는 팽창 부재(70)가 팽창됨과 동시에 그 압력에 의하여 내측 샤프트(60)가 외측 샤프트(80)로부터 상승된다.
이에 따라, 내측 샤프트(60)에 상부 커넥터(50) 및 상부 커넥터 홀더(40)에 의하여 고정된 승하강부(30)가 함께 상승하며, 승하강부(30)의 상승에 의하여 눈금 지침선(34)이 상승하여 눈금선(13)을 지칭하게 된다.
도 13은 팽창 부재(70)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팽창 부재(70)의 형상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주입되지 않은 상태의 형상이며, 팽창 부재(70)의 가요성 속성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 가능함에 주의한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부재(7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내측 샤프트(60)와 외측 샤프트(8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중앙 부분이 팽창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팽창 부재(70)는 가요성이면 족하나, 일 실시예에서 실리콘을 사용함으로써 팽창 및 수축력을 양호하게 하고 위생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아래의 결합 구조 설명에서 상술하겠으나, 상부 커넥터(50)와 내측 샤프트(60) 사이에 팽창 부재(70)가 위치하여 접착제 없이 밀봉되게 결합되도록 하며, 마찬가지로 하부 커넥터(90)와 외측 샤프트(80) 사이에 팽창 부재(70)가 위치하여 접착제 없이 밀봉되게 결합되도록 한다.
도 14는 외측 샤프트(80)를 도시한다.
외측 샤프트(80)의 하부는 하부 커넥터(90) 및 하부 커넥터 홀더(100)에 의하여 하부 커버(20)에 고정되며, 특히 벌룬 인퓨저 내에 내용량과 무관하게 하부 커버(2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부품이다.
외측 샤프트(80)의 하부와 하부 커넥터(90) 사이에는 가요성의 팽창 부재(70)가 고정된다.
외측 샤프트(80)의 중공부(88)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샤프트(60)가 승강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를 위하여, 중공부(88)의 형상은 내측 샤프트(60)의 몸체(69)의 형상에 상응하다.
외측 샤프트(80)의 하부 중앙에는 주입용 개구(81)가 위치한다. 주입용 개구(81)를 통해 내용물이 주입되면 그 내측에 보다 좁은 지름의 주입구(82)를 통하여 중공부(88)로 삽입되도록, 주입용 개구(81)는 중공부(88)와 연통된다(도 3a 내지 도 3c 및 도 5 참조).
중공부(88)의 외면에는 각각 한 쌍의 상부 주입구(83)과 하부 주입구(84)가 위치한다. 상부 주입구(83) 및 하부 주입구(84)를 통하여, 중공부(88) 내측의 내용물이 팽창 부재(70)를 향하여 주입되어 팽창 부재(70)를 팽창시킨다.
상부 주입구(83)는 중공부(88)의 중앙에 위치하고 하부 주입구(84)는 중공부(88)의 하측 말단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데드 스페이스를 감소시키는데, 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한다.
외측 샤프트(80)의 하부에는 제 1 하측 내벽체(85), 제 2 하측 내벽체(86), 및 제 3 하측 내벽체(87)가 위치한다. 내벽체(85, 86, 87)의 형태 및 구성에 의하여, 하부 커버(20)에 대한 외측 샤프트(80)의 상승 또는 하강이 제한되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성은 아래에서 결합 구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주입용 개구(81)의 방사상 외측에는 제 1 하측 내벽체(85) 사이에 내벽체 유격공간(81a)이 위치한다.
3. 접착제 없는 견고한 결합 구조
의료용 기구의 특성상 접착제를 최대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배경 기술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벌룬 인퓨저와 같이 복잡한 구조를 갖는 의료용 기구에서 내용물의 밀봉을 유지하면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쉽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에서 설명할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이를 해결하였다.
제조자는 내측 샤프트(60)와 외측 샤프트(80)를 둘러싼 팽창 부재(70)의 상단 및 하단 일부를 상부 커넥터(50) 및 하부 커넥터(90)에 각각 밀어 넣은 후, 상부 커넥터 홀더(40) 및 하부 커넥터 홀더(100)를 상부 커넥터(50) 및 하부 커넥터(90)에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내부 부품들이 결합되어 제조된다.
한편, 여기에서는 제조의 편의성을 위하여 스냅 결합 방식을 설명하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예를 들어 나사산을 이용한 너트 방식 등도 가능함을 언급하여 둔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각각의 연결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a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서, 도 10을 기준으로 할 경우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b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와 마찬가지로 도 10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하부 커넥터(90)의 결합 구조는 상부 커넥터(50)의 결합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외측 커넥터(80) 고유의 구성요소들만이 추가로 도시된다.
도 6은 도 3a의 "A" 부분에서 방사상 90도 이동한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서, 도 10을 기준으로 할 경우 C-C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 역시 도 10을 기준으로 할 경우 C-C에서 바라본 단면 사시도이기에, 여기에 도시되지 않는 부분이다.
도 4의 상부 커넥터(5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한다.
중심에서 외측으로, 내측 샤프트(60), 팽창 부재(70), 상부 커넥터(50), 상부 커넥터 홀더(40), 승하강부(30)가 결합된다. 이들을 별도의 접착제 없이, 서로에 대하여, 상측 이동 및 하측 이동이 모두 제한된다.
내측 샤프트(60) 외측에는 가요성의 팽창 부재(70)가 실질적으로 상부의 동일한 높이까지 덮이며, 팽창 부재(70)의 외측에는 그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부 커넥터(50)가 위치한다.
내측 샤프트(60)의 내벽은 도 4에서 점선으로 구분한 바와 같이, 제 1 상부 내벽체(65), 제 2 상부 내벽체(66) 및 제 3 상부 내벽체(67)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 상부 내벽체(65)와 제 3 상부 내벽체(67)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제 2 상부 내벽체(66)는 안쪽으로 더욱 경사진 형상이다.
이러한 형상은 팽창 부재(70) 외측의 상부 커넥터(50)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제 1 상부 외벽체(55), 제 2 상부 외벽체(56) 및 제 3 상부 외벽체(57)의 경사도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이와 같이 내벽체(65, 66, 67)와 외벽체(55, 56, 57)의 경사도를 유사하게 한 후 그 사이에 가요성의 팽창 부재(70)가 삽입됨으로써, 팽창 부재(70)가 O-링과 같은 역할을 하여 내용물의 밀봉을 도우며 마찰력에 의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3 상부 외벽체(57)의 하측에는 돌출부(58)가 위치한다. 돌출부(58)의 돌출된 높이는 팽창 부재(70)의 두께보다 작다. 외벽체(55, 56, 57)에 상응하는 위치에 내벽체(65, 66, 67)가 상응하는 형태로서 위치하였으나, 돌출부(58)에 상응하는 내측 샤프트(60)의 위치에 이에 상응하는 형태가 없다.
즉, 돌출부(58)가 "70a"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요성의 팽창 부재(70)를 압박하면서 팽창 부재(70) 자체가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부 커넥터(50) 및 상부 커넥터 홀더(40) 역시 승하강부(30)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커넥터(50) 및 상부 커넥터 홀더(40)는 두 종류의 구조체가 한 쌍씩 구비되는데 이들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 10의 A-A 방향을 살펴보면, 상부 커넥터(50)는 상부 커넥터 견부(53)가 상부 커넥터 홀더(40)의 승하강부 안착부(43a)에 걸리기에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상부 커넥터 홀더(40)는 승하강부 안착부(43a)가 승하강부(30)의 상부 커넥터 홀더 지지부(33)에 걸리기에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 10의 C-C 방향을 살펴보면, 상부 커넥터(50)는 상부 커넥터 홀더 체결부(52)이 상부 커넥터 홀더(40)의 상부 커넥터 걸림턱(42)에 걸리기에 하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상부 커넥터 홀더(40)는 상부 커넥터 걸림턱(42)이 승하강부(30)의 상부 커넥터 홀더 안착부(32a)에 걸리기에 하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측과 하측의 이동이 모두 제한되어, 접착제 없이도 상부 커넥터(50), 상부 커넥터 홀더(40), 승하강부(3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이러한 견고한 고정에도 불구하고, 제조자에 의한 부품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추가의 장점이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커넥터(50)를 상부 커넥터 홀더(40)의 하측에서부터 상방으로 삽입하는 것은 용이하다. 또한, 상부 커넥터 홀더(40)를 승하강부(30)의 하측에서부터 상방으로 삽입하는 것 역시 용이하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커넥터(50)를 상부 커넥터 홀더(40)의 아래에서부터 삽입시킬 경우, 상부 커넥터 홀더 체결부(52)의 경사면이 상부 커넥터 걸림턱(42)의 경사면과 접하게 된다. 제조자가 힘을 더 가하면, 상부 커넥터 홀더 걸림턱(52)에 의해 밀린 상부 커넥터 걸림턱(42)은 걸림턱 유격공간(42a)을 이용하여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부 커넥터 홀더 걸림턱(52)이 상부 커넥터 걸림턱(42) 너머 스냅 결합된다.
또한, 상부 커넥터 홀더(40)를 승하강부(30)의 아래에서부터 삽입시킬 경우, 상부 커넥터 걸림턱(42)의 상부 커넥터 홀더 안착부(32a)의 경사면과 접하게 된다. 제조자가 힘을 더 가하면, 상부 커넥터 걸림턱(42)에 의해 밀린 상부 커넥터 홀더 안착부(32a)는 안착부 유격공간(32b)을 이용하여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부 커넥터 걸림턱(42)이 상부 커넥터 홀더 안착부(32a) 너머 스냅 결합된다.
한편, 이러한 결합 관계 및 이에 따른 장점들은 외측 샤프트(80), 팽창 부재(70), 하부 커넥터(90), 하부 커넥터 홀더(100), 하부 커버(20)에도 그래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이를 도시한다.
외측 샤프트(80)의 내벽은 제 1 하부 내벽체(85), 제 2 하부 내벽체(86) 및 제 3 하부 내벽체(87)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 2 하부 내벽체(66)는 안쪽으로 경사진 형상이다. 이러한 형상은 하부 커넥터(90)에서도 제 1 하부 외벽체(95), 제 2 하부 외벽체(96) 및 제 3 하부 외벽체(97)로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조합에 의하여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제 3 하부 외벽체(97)의 하측에는 돌출부(98)가 위치하여, "70b"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요성의 팽창 부재(70)를 압박한다.
또한, 하부 커넥터(90)는 하부 커넥터 견부(93)가 하부 커넥터 홀더(100)의 하부 커버 안착부(103a)에 걸리기에 하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상부 커넥터 홀더(100)는 하부 커버 안착부(103a)가 하부 커버(100)의 하부 커넥터 홀더 지지부(103)에 걸리기에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도 10의 C-C 방향에서 하부 커넥터(90) 및 하부 커넥터 홀더(100)의 하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 역시 동일한 원리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측과 하측의 이동이 모두 제한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이러한 견고한 고정에도 불구하고, 제조자에 의한 부품들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전술한 방법들에 의하여, 제조자 입장에서는 제조가 용이하며, 일단 제조가 완료되면 별도의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고 해체가 불가능하다.
4. 데드 스페이스 저감 효과
상부 주입구(83)는 중공부(88)의 중앙에 위치하고 하부 주입구(84)는 중공부(88)의 하측 말단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이와 같이 주입구(83, 84)를 구성한 것은 데드 스페이스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팽창 부재(70) 내측에 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며 공급됨에 따라 팽창 부재(70) 내측의 내용물량이 점차 줄어드는데, 벌룬 인퓨저의 특성상 팽창 부재(70) 내측에 내용물이 소량만 남으면 수축력이 줄어드어 외부로 잘 유출되지 않고 버려지게 되어 데드 스페이스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부 주입구(83)가 중앙에 위치함으로써 팽창 부재(70)의 가로 방향 중심선상에서 최대한의 수축력을 받아서 내용물 유출을 돕고, 하부 주입구(84)가 하측 말단에 위치함으로써 팽창 부재(70)의 가로 방향 수축력을 받지 못하고 아래로 가라 앉은 내용물의 유출을 돕게 된다.
5. 다른 실시예의 설명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부 커넥터 홀더(40)와 승하강부(30)의 결합 방식 및 하부 커넥터 홀더(100)와 하부 커버(20)의 결합 방식이 상이하다. 도면에서 상이한 부분을 별도의 도면부호로 표기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하부 커버(20)의 하부 커넥터 홀더 지지부(23)가 한 쌍이 존재하나,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부 커넥터 홀더 지지부(23) 대신 하부 커넥터 홀더 삽입부(23')가 위치하며, 하부 커넥터 홀더 삽입부(23') 중앙에는 하부 커넥터 홀더 삽입홈(23a')이 위치한다.
하부 커넥터(100)의 하부 커버 안착부(103a)의 중앙에는 하부 커버 삽입돌기(103a')가 구비되며, 이는 하부 커넥터 홀더 삽입홈(23a')에 삽입되어 단단히 결합된다.
상부 커넥터 홀더(40)와 승하강부(30) 역시 마찬가지로, 상부 커넥터 홀더(40)의 승하강부 안착부(43a) 상에 승하강부 삽입돌기(43a')가 위치하며, 이는 도시되지 않은 승하강부의 상부 커넥터 홀더 삽입홈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보다 단단한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상부 커버
11: 거치부
13: 눈금선
14: 단턱부
15: 결합홈
16: 파지홈
20: 하부 커버
21: 하부 개구
22: 하부 커넥터 홀더 걸림턱
22a: 하부 커넥터 홀더 안착부
22b: 안착부 유격공간
23: 하부 커넥터 홀더 지지부
23': 하부 커넥터 홀더 삽입부
23a': 하부 커넥터 홀더 삽입홈
24: 단턱부
25: 체결돌기
30: 승하강부
31: 승하강부 상부 개구
32: 상부 커넥터 홀더 걸림턱
32a: 상부 커넥터 홀더 안착부
32b: 안착부 유격공간
33: 상부 커넥터 홀더 지지부
34: 눈금 지침선
40: 상부 커넥터 홀더
41: 상부 커넥터 홀더 개구
42: 상부 커넥터 걸림턱
42a: 걸림턱 유격공간
43: 승하강부 지지부
43a: 승하강부 안착부
43a': 승하강부 삽입돌기
50: 상부 커넥터
51: 상부 커넥터 개구
52: 상부 커넥터 홀더 체결부
53: 상부 커넥터 견부
55: 제 1 상측 외벽체
56: 제 2 상측 외벽체
57: 제 3 상측 외벽체
58: 돌출부
60: 내측 샤프트
61: 원통형 중공체
61a: 내벽체 유격공간
65: 제 1 상측 내벽체
66: 제 2 상측 내벽체
67: 제 3 상측 내벽체
69: 몸체
70: 팽창 부재
80: 외측 샤프트
81: 주입용 개구
81a: 외벽체 유격공간
82: 주입구
83: 하부 주입구
84: 상부 주입구
85: 제 1 하측 외벽체
86: 제 2 하측 외벽체
87: 제 3 하측 외벽체
88: 중공부
90: 하부 커넥터
93: 하부 커넥터 견부
95: 제 1 하측 내벽체
96: 제 2 하측 내벽체
97: 제 3 하측 내벽체
100: 하부 커넥터 홀더
103: 하부 커버 지지부
103a: 하부 커버 안착부
103a': 하부 커버 삽입돌기

Claims (9)

  1. 직선형 눈금으로 이루어진 눈금선(13)이 표시된 상부 커버(10);
    상기 상부 커버(10)의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 커버(20);
    상기 상부 커버(10) 내측에 위치하여 내용물이 수용되는 가요성의 팽창 부재(70);
    상기 팽창 부재(70)의 팽창 정도에 따라 승하강 가능하며, 일면에 눈금 지침선(34)이 구비되고, 상기 눈금 지침선(34)이 상기 눈금선(13)을 지칭하는 승하강부(30);
    상기 승하강부(30)의 승하강부 상부 개구(31)에 결합되는 상부 커넥터 홀더(40);
    상기 상부 커넥터 홀더(40)에 결합되는 상부 커넥터(50);
    상기 하부 커버(20)의 하부 개구(21)에 결합되는 하부 커넥터 홀더(100); 및
    상기 하부 커넥터 홀더(100)에 결합되는 하부 커넥터(90);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부 상부 개구(31)와 상기 하부 개구(21)는 동일한 형상이되 180도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이며,
    상기 승하강부 상부 개구(31)에 결합되는 상기 상부 커넥터 홀더(40)와 상기 하부 개구(21)에 결합되는 상기 하부 커넥터 홀더(100)는 동일한 부품이며, 상기 상부 커넥터(50)와 상기 하부 커넥터(90)는 동일한 부품인,
    벌룬 인퓨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 인퓨저는,
    상기 상부 커넥터(50)에 결합되는 내측 샤프트(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팽창 부재(70)는 상기 내측 샤프트(60)를 밀봉되게 덮는,
    벌룬 인퓨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 인퓨저는,
    상기 하부 커넥터(90)에 결합되는 외측 샤프트(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측 샤프트(80) 내에는 중공부(88)가 위치하고, 상기 내측 샤프트(60)가 상기 중공부(88) 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벌룬 인퓨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샤프트(80)의 중앙에는 상기 하부 개구(21)와 연통하는 주입용 개구(81)가 위치하며,
    상기 주입용 개구(81)는 주입구(82)를 통하여 상기 중공부(88)와 연통되고,
    상기 중공부(88)에는 다수의 주입구(83, 84)가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주입구(83, 84)는 상기 팽창 부재(7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밀봉되는,
    벌룬 인퓨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용 개구(81)로 내용물이 주입되면,
    주입된 내용물은 상기 주입구(82)를 통하여 상기 중공부(88)로 유입되고,
    유입된 내용물은 상기 다수의 주입구(83, 84)를 통하여 유출되어 상기 팽창 부재(70)를 팽창시킴과 동시에 상기 내측 샤프트(60)를 상승시키는,
    벌룬 인퓨저.
  6. 삭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 상부 개구(31)에서 상기 상부 커넥터 홀더(40)는 스냅 결합에 의하여 접착제 없이 결합되고, 상기 상부 커넥터 홀더(40)와 상기 상부 커넥터(50)는 스냅 결합에 의하여 접착제 없이 결합되고, 상기 상부 커넥터(50)와 상기 내측 샤프트(60) 사이에 상기 팽창 부재(70)가 위치하여 접착제 없이 밀봉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 개구(21)에서 상기 하부 커넥터 홀더(100)는 스냅 결합에 의하여 접착제 없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 커넥터 홀더(100)와 상기 하부 커넥터(90)는 스냅 결합에 의하여 접착제 없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 커넥터(90)와 상기 외측 샤프트(80) 사이에 상기 팽창 부재(70)가 위치하여 접착제 없이 밀봉되게 결합되는,
    벌룬 인퓨저.
  8. 상부 커버(10);
    상기 상부 커버(10)의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 커버(20);
    상기 상부 커버(10)와 상기 하부 커버(20) 사이에 위치하며 승하강 가능한 승하강부(30);
    상기 승하강부(30)의 승하강부 상부 개구(31)에 결합되는 상부 커넥터 홀더(40);
    상기 상부 커넥터 홀더(40)에 결합되는 상부 커넥터(50);
    상기 상부 커넥터(50)에 결합되는 내측 샤프트(60);
    상기 내측 샤프트(60)를 밀봉하도록 덮되, 내용물이 수용되며 팽창 가능한 가요성의 팽창 부재(70);
    상기 내측 샤프트(60)가 슬라이딩 운동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중공부(88)를 구비한 외측 샤프트(80);
    상기 외측 샤프트(8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커넥터(90); 및
    상기 하부 커버(20)의 하부 개구(21)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커넥터(90)와 상기 하부 커버(20) 사이에 결합되는 하부 커넥터 홀더(100)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부 상부 개구(31)와 상기 하부 개구(21)는 동일한 형상이되 180도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이며,
    상기 승하강부 상부 개구(31)에 결합되는 상기 상부 커넥터 홀더(40)와 상기 하부 개구(21)에 결합되는 상기 하부 커넥터 홀더(100)는 동일한 부품이며, 상기 상부 커넥터(50)와 상기 하부 커넥터(90)는 동일한 부품인,
    벌룬 인퓨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30), 상기 상부 커넥터 홀더(40), 상기 상부 커넥터(50) 및 상기 내측 샤프트(60)는, 상기 팽창 부재(70) 내측으로 내용물이 유입됨에 따라 승하강 가능한,
    벌룬 인퓨저.
KR1020150097208A 2015-07-08 2015-07-08 벌룬 인퓨저 KR101743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208A KR101743588B1 (ko) 2015-07-08 2015-07-08 벌룬 인퓨저
US15/742,485 US10864319B2 (en) 2015-07-08 2016-05-17 Balloon infuser
PCT/KR2016/005210 WO2017007123A1 (ko) 2015-07-08 2016-05-17 벌룬 인퓨저
JP2018521157A JP6507428B2 (ja) 2015-07-08 2016-05-17 バルーンインフューザー
EP16821529.1A EP3320930B1 (en) 2015-07-08 2016-05-17 Balloon infuser
CN201680039968.2A CN107921198B (zh) 2015-07-08 2016-05-17 输注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208A KR101743588B1 (ko) 2015-07-08 2015-07-08 벌룬 인퓨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510A KR20170006510A (ko) 2017-01-18
KR101743588B1 true KR101743588B1 (ko) 2017-06-23

Family

ID=57991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208A KR101743588B1 (ko) 2015-07-08 2015-07-08 벌룬 인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5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425A (ko) 2020-08-27 2022-03-08 주식회사 세비카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883B1 (ko) * 2017-12-19 2018-05-24 주식회사 더블유앤지 복수의 벌룬 인퓨저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049701B1 (ko) * 2019-08-22 2020-01-08 이지희 발룬타입의 약액주입기
KR102194354B1 (ko) * 2020-02-07 2020-12-24 주식회사 엔게인 약액주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7710A (ja) 1999-12-02 2001-06-12 Sumitomo Bakelite Co Ltd 薬液持続注入器具
US8109907B2 (en) * 2006-07-11 2012-02-07 Tsukada Medical Research Co., Ltd. Continuous drug solution infus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7710A (ja) 1999-12-02 2001-06-12 Sumitomo Bakelite Co Ltd 薬液持続注入器具
US8109907B2 (en) * 2006-07-11 2012-02-07 Tsukada Medical Research Co., Ltd. Continuous drug solution infus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425A (ko) 2020-08-27 2022-03-08 주식회사 세비카 기계식 유체 자동 주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510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588B1 (ko) 벌룬 인퓨저
US11247033B2 (en) Transdermal drug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s
JP6507428B2 (ja) バルーンインフューザー
AU2015253260B2 (en) Cartridge portion of transdermal drug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s
KR101432190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AU2015253258B9 (en) Receptacle portion of transdermal drug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s
US9212772B2 (en) Needle free connector
PT2717827E (pt) Dispositivo de ligação entre um recipiente e um receptor, processo de montagem e utilização de um tal dispositivo
US10449304B2 (en) Fluid injection needle unit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needlestick injury and infection
KR101765755B1 (ko) 승하강 샤프트를 포함하는 벌룬 인퓨저
KR101695454B1 (ko) 스냅 결합 방식의 벌룬 인퓨저
KR100982612B1 (ko)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KR200473750Y1 (ko) 니들 프리 타입의 의료용 인젝션 커넥터
US20220257873A1 (en) Injection syringe
KR200472824Y1 (ko) 니들 프리 타입의 의료용 인젝션 커넥터
CN208726417U (zh) 一种集成型滴斗
CN206473621U (zh) 一种输液瓶固定机构
JP2020156864A (ja) 薬液注入用のリザーバー容器
JP5822520B2 (ja) 薬用瓶の蓋
KR20100129026A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CN201384746Y (zh) 输注泵储药囊芯棒导杆
CN206473622U (zh) 一种输液用插针推动机构
KR20220033887A (ko) 화장품 드로퍼
KR20230137108A (ko) 오토 드로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