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338B1 -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 - Google Patents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338B1
KR102404338B1 KR1020210165874A KR20210165874A KR102404338B1 KR 102404338 B1 KR102404338 B1 KR 102404338B1 KR 1020210165874 A KR1020210165874 A KR 1020210165874A KR 20210165874 A KR20210165874 A KR 20210165874A KR 102404338 B1 KR102404338 B1 KR 102404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ainwater storage
analyzing
storage facilit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준
고택조
주재승
금호준
김예림
이훈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165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6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surveying; for geography, e.g. relief mod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저류시설을 모형으로 제작하여 실험함으로써 각각의 우수저류시설의 모형을 개별적으로 제작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유형의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우수저류시설을 설치 전 실험을 통해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장치에 있어서, 양측면에 관통홀(21)이 형성되고, 내부공간(22)을 가지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관통홀(21)과 연통되고, 상기 하우징(20)과 인접된 하우징(20)을 연결하기 위한 원통형의 연결관(31)을 갖는 연결부재(30)와; 상기 하우징(20)과 연결부재(30)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Experimental equipment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본 발명은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우수저류시설을 모형으로 제작하여 실험함으로써 각각의 우수저류시설의 모형을 개별적으로 제작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유형의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에 따른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의 불투수 지면(impervious land surface)의 면적 증가는, 토양 내 저수량을 감소시켜 가령 주위 하천의 범람이나 건천화를 유발하며, 이와 동시에 하천의 수질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즉, 상기 불투수지면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지역의 주변에 하천이 있는 경우, 강우시 빗물이 토양에 스며들지 못하고 하천으로 한 번에 모여들기 때문에 하천의 범람을 야기할 수 있으며 반대로 비가오지 않는 계절에는 평소 지하 토양이 함유하는 물의 양이 적거나 아예 없기 때문에 하천의 수량부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하천의 수량이 부족하면 하천의 자연정화능력이 현저히 약해져 약간의 오염물질로도 극심한 수질악화가 이어지게 된다.
한편, 근래 기후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물부족 현상에 따라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빗물 재활용방법으로서 대표적인 것이 우수저류시설이다. 상기 우수저류시설은 비가 올 때 빗물을 받아 놓았다가 필요시 사용하기 위한 대규모 저장탱크로서, 최근 조성되는 신도시나 택지개발구역 대부분에 건설되고 있다.
상기 우수저류시설은 강우시에 증가한 빗물을 받아들여 일시적으로 저장해 두었다가 서서히 방류함으로써 하천이 범람하는 것을 예방하거나, 또는 방류하지 않고 저장했다가 갈수기나 또는 기타 필요시 외부로 펌핑하여 공급한다.
이와 같이 정부에서는 내수침수 피해 예방을 위해 우수저류시설 설치사업을 추진 중에 있고, 매년 지속적인 예산을 투자하고 있으나, 설치 후 실질적 효과를 분석·평가하고 있어 한정된 재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관련 전문가들은 설치사업 이전에 수치해석 또는 상사모형 실험을 통해 저감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상사실험 모형의 경우 관수로의 경사, 직경 등이 결정되어 제작되면 모형을 수정하는 것이 어려워 다른 유형의 실험을 진행할 시 전체적으로 모형의 재구성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막대하게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다양항 유형의 우수저류시설에도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우수저류시설을 모형으로 제작하여 실험함으로써 각각의 우수저류시설의 모형을 개별적으로 제작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유형의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우수저류시설을 설치 전 실험을 통해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장치에 있어서, 양측면에 관통홀(21)이 형성되고, 내부공간(22)을 가지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관통홀(21)과 연통되고, 상기 하우징(20)과 인접된 하우징(20)을 연결하기 위한 원통형의 연결관(31)을 갖는 연결부재(30)와; 상기 하우징(20)과 연결부재(30)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에서 상기 연결부재(30)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20)의 관통홀(21)과 대응되는 관통홀(32)이 형성되는 내측결합판(33) 및 외측결합판(34)과; 상부가 개방되는 'U'자 형상의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결합판(33)과 외측결합판(34)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판(35)과; 상기 'U'자 형상의 중간판(35)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판(36)을 갖고, 상기 이동판(36)에 결합되고, 상기 외측결합판(34)의 관통홀(32)을 관통하는 연결관(31)을 가지는 연결부(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에서 상기 연결관(31)은 상기 이동판(36)에 고정되는 제1고정관(311)과; 인접된 상기 하우징(20)의 연결부재(30)의 연결관(31)과 연결되는 제2고정관(312)과; 상기 제1고정관(311)과 제2고정관(312) 사이에 형성되는 주름관(3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에서 상기 연결관(31)은 일측이 상기 제1고정관(311)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고정관(312)에 고정되며, 상기 제2고정관(312)이 상기 제1고정관(311)으로부터 소정 각도 변경 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3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에 의하면, 우수저류시설을 모형으로 제작하여 실험함으로써 각각의 우수저류시설의 모형을 개별적으로 제작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유형의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에서 연결부재의 연결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에서 연결부재의 각도변경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10)는 하우징(20), 연결부재(30), 클램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20)은 양측면에 관통홀(21)이 형성되고, 내부공간(22)을 가지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치되어 진다.
하우징(20)의 관통홀(21)의 외주면 상에는 연결부재(30)와의 밀착을 위한 밀착구(23)가 관통홀(2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밀착구(23) 상에는 요홈(231)이 형성되어 요홈(231)에는 방수 및 밀폐를 위한 패킹(24)이 위치되어 진다.
연결부재(30)는 하우징(20)의 관통홀(21)과 연통되고, 하우징(20)과 인접된 하우징(20)을 연결하기 위한 원통형의 연결관(31)을 갖는 것으로, 연결부재(30)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20)의 관통홀(21)과 대응되는 관통홀(32)이 형성되는 내측결합판(33) 및 외측결합판(34)과, 상부가 개방되는 'U'자 형상의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결합판(33)과 외측결합판(34)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판(35)과, 'U'자 형상의 중간판(35)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판(36)을 갖고, 이동판(36)에 결합되고, 외측결합판(34)의 관통홀(32)을 관통하는 연결관(31)을 가지는 연결부(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측결합판(33) 및 외측결합판(34)은 하우징(20)의 측면에 비해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판(331, 3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연결부(37)가 중간판(35)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시 이동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내측결합판(33)은 하우징(20)의 밀착구(23)와 밀착되는 밀착구(332)가 일측에 결합되어 진다.
연결관(31)은 이동판(36)에 고정되는 제1고정관(311)과, 인접된 하우징(20)의 연결부재(30)의 연결관(31)과 연결되는 제2고정관(312)과, 제1고정관(311)과 제2고정관(312) 사이에 형성되는 주름관(313)과, 일측이 제1고정관(311)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2고정관(312)에 고정되며, 제2고정관(312)이 제1고정관(311)으로부터 소정 각도 변경 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3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구(314)는 일측이 제1고정관(311)에 체결부재(200)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홀(3142)이 형성되고, 내부에 슬라이딩홈(3143)이 형성되며, 타측이 슬라이딩홈(3143)과 연통되는 체결홀(3144)이 형성되는 몸체(3141)와, 일측이 몸체(3141)의 슬라이딩홈(3143)을 통해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고, 타측이 제2고정관(312)에 체결부재(200)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홀(3146)이 형성된 슬라이딩바(3145)와, 몸체(3141)의 체결홀(3144)을 통해 체결되어 몸체(3141)의 슬라이딩홈(3143) 상에서 슬라이딩바(3145)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31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고정구(314)는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부재(30)와 하우징(20)의 타측에 형성되는 연결부재(30)가 수평으로 형성되거나,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부재(30)와 하우징(20)의 타측에 형성되는 연결부재(30)의 높이가 다를 경우 주름관(313)을 중심으로 제2고정관(312)의 각도를 변경하여 일치시킨 후 고정구(314)에 의해 고정되어 진다.
클램프(40)는 하우징(20)과 연결부재(3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30)의 외측결합판(34)의 외측에 고정쇠(41)를 형성하고, 하우징(20)의 외측에 걸림쇠(42)를 형성하여 하우징(20)에 연결부재(30)를 고정하도록 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에 의하면, 우수저류시설을 모형으로 제작하여 실험함으로써 각각의 우수저류시설의 모형을 개별적으로 제작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유형의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
20 : 하우징 21 : 관통홀
22 : 내부공간 30 : 연결부재
31 : 연결관 311 : 제1고정관
312 : 제2고정관 313 : 주름관
314 : 고정구 32 : 관통홀
33 : 내측결합판 34 : 외측결합판
35 : 중간판 36 : 이동판
37 : 연결부 40 : 클램프

Claims (4)

  1. 우수저류시설을 설치 전 실험을 통해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장치에 있어서,
    양측면에 관통홀(21)이 형성되고, 내부공간(22)을 가지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우징(20)과;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20)의 관통홀(21)과 대응되는 관통홀(32)이 형성되는 내측결합판(33) 및 외측결합판(34)을 갖고, 상부가 개방되는 'U'자 형상의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결합판(33)과 외측결합판(34)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판(35)을 가지며, 상기 'U'자 형상의 중간판(35)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판(36)을 갖고, 상기 이동판(36)에 결합되고, 상기 외측결합판(34)의 관통홀(32)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20)과 인접된 하우징(20)을 연결하기 위한 원통형의 연결관(31)을 가지는 연결부(37)를 갖는 연결부재(30)와;
    상기 하우징(20)과 연결부재(30)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31)은 상기 이동판(36)에 고정되는 제1고정관(311)과;
    인접된 상기 하우징(20)의 연결부재(30)의 연결관(31)과 연결되는 제2고정관(312)과;
    상기 제1고정관(311)과 제2고정관(312) 사이에 형성되는 주름관(3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31)은 일측이 상기 제1고정관(311)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고정관(312)에 고정되며, 상기 제2고정관(312)이 상기 제1고정관(311)으로부터 소정 각도 변경 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3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
KR1020210165874A 2021-11-26 2021-11-26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 KR102404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874A KR102404338B1 (ko) 2021-11-26 2021-11-26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874A KR102404338B1 (ko) 2021-11-26 2021-11-26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338B1 true KR102404338B1 (ko) 2022-06-07

Family

ID=81987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874A KR102404338B1 (ko) 2021-11-26 2021-11-26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3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599Y1 (ko) * 2001-10-05 2002-03-16 (주)경동기술공사 맨홀 연결 우·오수관 높이조정구조
KR20090015775A (ko) * 2007-08-08 2009-02-12 최승선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연결방법
KR101383579B1 (ko) * 2013-04-25 2014-04-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저류지 실험 장치
KR20170019269A (ko) * 2015-08-11 2017-02-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관형 저류조를 구비한 초기 우수시의 하천 수질 개선을 위한 수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599Y1 (ko) * 2001-10-05 2002-03-16 (주)경동기술공사 맨홀 연결 우·오수관 높이조정구조
KR20090015775A (ko) * 2007-08-08 2009-02-12 최승선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연결방법
KR101383579B1 (ko) * 2013-04-25 2014-04-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저류지 실험 장치
KR20170019269A (ko) * 2015-08-11 2017-02-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관형 저류조를 구비한 초기 우수시의 하천 수질 개선을 위한 수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153099U (zh) 一种雨水弃流装置
KR102404338B1 (ko) 우수저류시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장치
CN113404143A (zh) 一种具有保护能力的窨井盖
KR101359138B1 (ko) 하수관거용 해양 오염방지 장치
KR100779707B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KR20190076949A (ko) 프랑스식 배수구를 포함하는 하수 설비 시스템을 위한 장치
KR101901154B1 (ko) 콘크리트 케이스 관 연결장치
KR101373110B1 (ko) 조립식 빗물 재이용시설 및 그 설치방법
KR101215875B1 (ko)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저류조와 그의 제조 방법
KR200334267Y1 (ko) 이물질 유입 차단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JP7385250B2 (ja) 排水桝
KR101653722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7385506B2 (ja) ますの補修方法
CN215105432U (zh) 一种无人值守的电缆井排水装置
CN111827364B (zh) 地下室结构底板渗漏分区点式防排结合的施工方法
CN216474491U (zh) 一种集水装置
KR100637478B1 (ko)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구
KR102060765B1 (ko) 복합형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9990039424A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KR100954800B1 (ko) 배수로가 형성된 경계부재
KR200335654Y1 (ko) 유공관
KR200389129Y1 (ko) 오수배출구
JP2545198B2 (ja) 遊水池装置
JP3067406U (ja) コンクリ―ト構造物の漏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