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244B1 -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244B1
KR102404244B1 KR1020200061738A KR20200061738A KR102404244B1 KR 102404244 B1 KR102404244 B1 KR 102404244B1 KR 1020200061738 A KR1020200061738 A KR 1020200061738A KR 20200061738 A KR20200061738 A KR 20200061738A KR 102404244 B1 KR102404244 B1 KR 102404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filter unit
passage
unit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414A (ko
Inventor
정종훈
김현우
Original Assignee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1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244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4Ventil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8/19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by filtering using high 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의 내부에 배치되되,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기 유로를 포함하는 배기부, 상기 배기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 유로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배기 유로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부 및 상기 통로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통로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전기적으로 대전되어 상기 통로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복수 개의 집진판 및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이 결합되는 제1 필터부 바디를 포함하는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1 필터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통로부의 공기가 통과하는 내부 유로 및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이 상기 내부 유로 내에 위치하기 위해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는 제2 필터부 바디를 포함하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ELEVATOR PURIFICATION APPARATUS AND ELEV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불특정 다수의 인원이 탑승하게 되는 승강장치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내부에는 다양한 환경으로부터 유입되는 먼지 및 이물질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이렇게 유입되는 먼지 및 이물질 등은 엘리베이터 탑승객에게 불쾌함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탑승객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에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 정화를 위해 엘리베이터 내부에 팬을 설치하여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별도의 필터 장치를 포함하지 않아 정화의 성능이 떨어지게 되거나 별도의 필터 장치를 추가한다고 하더라도,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집진이 완료된 필터 장치를 엘리베이터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필터의 세척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만을 순환시키는 방식이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없어 정화의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집진이 완료된 필터 장치를 엘리베이터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외부의 공기를 엘리베이터 내부로 유입시켜 순환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의 내부에 배치되되,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기 유로를 포함하는 배기부, 상기 배기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 유로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배기 유로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부 및 상기 통로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통로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전기적으로 대전되어 상기 통로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복수 개의 집진판 및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이 결합되는 제1 필터부 바디를 포함하는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1 필터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통로부의 공기가 통과하는 내부 유로 및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이 상기 내부 유로 내에 위치하기 위해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는 제2 필터부 바디를 포함하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는, 상기 케이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기부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으로 정의되는 공간을 내부 공간이라 할 때, 상기 통로부와 상기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부 및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연통부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는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배기부와 상기 케이지 사이의 공간인 제1 통로부 및 상기 필터부가 배치되되, 상기 제1 통로부와 연통되는 제2 통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은, 음전하로 대전된 이물질을 끌어당길 수 있도록, 양전하로 대전되게 마련되는 양전하 대전판 및 상기 양전하 대전판에 의해 끌어당겨진 이물질이 흡착되는 흡착판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은, 상기 양전하 대전판에 의해 끌어당겨진 이물질을 여과하는 집진필터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내부 유로를 지나는 공기 속의 이물질을 음전하로 대전시키도록, 음전하로 대전되게 마련되는 음전하 대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구비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의 전력을 공급받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제1 필터부 바디로부터 상기 제2 필터부 측을 향해 돌출된 결합 후크 및 상기 결합 후크와 연결되되, 가압되어 상기 제1 필터부 바디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누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결합 후크가 걸리도록, 상기 결합 후크의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제2 필터부 바디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에 걸려있던 상기 결합 후크가 걸려있지 않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이물질 농도,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배기부,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가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기부 및 상기 필터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가 획득한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이물질 농도,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배기 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배기부를 제어하고, 상기 필터부가 작동하도록 상기 필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이물질 농도,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배기부, 상기 필터부, 상기 팬 및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가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기부, 상기 필터부 및 상기 팬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가 획득한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이물질 농도,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배기 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배기부를 제어하고, 상기 필터부가 작동하도록 상기 필터부를 제어하고, 상기 팬이 작동하도록 상기 팬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부를 연통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이물질 농도,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외부의 공기를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로 유입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커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슬라이딩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는 케이지 및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는, 상기 케이지의 내부에 배치되되,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기 유로 및 상기배기 유로가 배치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배기부, 상기 배기부와 상기 케이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부, 상기 통로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1 필터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통로부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내부 유로를 포함하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하는 필터부 및 상기 통로부로 유입되어 필터부를 거친 공기가 상기 격벽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통로부와 상기 격벽 사이의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이 완료된 제1 필터부를 제2 필터부로부터 분리할수 있으므로, 제1 필터부를 분리하여 세척한 후 제2 필터부에 다시 결합시킬 수 있어, 정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외부의 공기를 엘리베이터 내부로 유입 시킬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내부 공기만 순환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정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의 배기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의 배기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의 제1 필터부 및 제2 필터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의 제1 필터부 및 제2 필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의 필터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의 제1 필터부가 이물질의 집진을 끝내고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의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는 엘리베이터 내부의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는 배기부(10), 통로부(20) 및 필터부(3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는 케이지(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지(1)라 함은, 승객이 탑승할수 있는 공간을 정의하게 하는, 외부 구조를 말한다. 케이지(1)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도 있지만, 원기둥 형태, 일면이 곡면인 형태 등 엘리베이터에 사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배기부(10)는 케이지(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부(10)는 배기 유로(11)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유로(11)는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배기 유로(11)를 통해 통로부(20)의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 유로(11)의 단면적 크기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배기부(10)는 배기 유로(1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기 유로 커버(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의 배기 유로(11)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의 배기 유로(11)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기준으로 볼 때, 도 2 및 도 3은 배기부(10)가 90도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2 및 도 3을 예시로 들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배기 유로 커버(14)가 배기 유로(11)를 덮지 않게 이동된 상태일 때는 배기 유로(11)가 개방 되어 있으나,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배기 유로 커버(14)가 배기 유로(11)를 덮도록 이동된 상태일 때는 배기 유로(11)가 폐쇄된 상태일 수 있다. 배기 유로 커버(14)는 슬라이딩 도어일 수 있다. 배기 유로 커버(14)는 후술할 내부 공간(13)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 유로(11)는 약 10mm x 100mm의 크기를 갖고, IP2X 기준을 만족하는 루바형 구멍일 수 있다. 배기부(10)는 격벽(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유로(11)는 격벽(12)에 형성될 수 있다. 격벽(12)은 케이지(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도 있지만, 케이지(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제한 받지 않는다. 배기부(10)는 케이지(1)의 내부에 위치하고, 배기부(10) 사이에 위치한 공간인 내부 공간(13)을 정의할 수 있다. 배기 유로(11)를 통해 내부 공간(13)의 공기가 후술할 통로부(20)로 유입될 수 있다. 통로부(20)는 배기부(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통로부(20)는 케이지(1)와 배기부(10)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배기 유로(11)가 개방 되었을 때, 배기 유로(11)를 통해 내부 공간(13)의 공기가 통로부(20)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부(30)는 통로부(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30)는 통로부(20)로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IM, 도 6)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부(3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케이지(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케이지(1)의 측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터부(40) 및 제 2 필터부(50)>
필터부(3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필터부(40) 및 제2 필터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의 제1 필터부(40) 및 제2 필터부(50)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필터부(40)는 복수 개의 집진판(41) 및 제1 필터부 바디(4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집진판(41)은 통로부(20)로 유입된 공기중의 이물질(IM, 도 6)을 집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집진판(41)은 전기적으로 대전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IM, 도 6)을 집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집진판(41)은 제1 필터부 바디(4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되어 있듯이, 복수 개의 집진판(41)은 집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이격 간격을 갖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터부(50)는, 제1 필터부(4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의 제1 필터부(40) 및 제2 필터부(5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의 제1 필터부(40) 및 제2 필터부(5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필터부(50)는 제2 필터부 바디(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부 바디(53)는 내부 유로(51) 및 복수 개의 홀(52)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유로(51)를 통해, 통로부(20)의 공기가 통과 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52)에는 복수 개의 집진판(41)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즉, 홀(52)의 개수와 집진판(41)의 개수는 대응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복수 개의 홀(52)에 복수 개의 집진판(41)이 삽입됨에 따라, 복수 개의 집진판(41)은 내부 유로(51)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집진판(41)이 내부 유로(51)에 배치됨에 따라, 내부 유로(51)를 통해 통과되는 통로부(20)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IM, 도 6)이 복수 개의 집진판(41)에 의해 집진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별도의 필터 장치를 포함하지 않아 정화의 성능이 떨어지게 되거나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 정화를 위해 별도의 필터 장치를 배치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집진이 완료된 필터 장치를 엘리베이터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필터의 세척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필터부(30)가 포함되어 있을 뿐 아니라, 집진이 완료된 제1 필터부(40)를 제2 필터부(50)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제1 필터부(40)를 분리하여 세척한 후 제2 필터부(50)에 다시 결합시킬 수 있어, 필터 장치를 분리할 수 없는 경우에 비하여 정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연통부(60) 및 팬(7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는, 연통부(60) 및 팬(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통부(60)는 통로부(20)와 내부 공간(13)을 연통할 수 있다. 즉, 배기 유로(11)를 통해 내부 공간(13)의 공기가 통로부(20)로 유입될 수 있고, 연통부(60)를 통해 통로부(20)의 공기가 내부 공간(13)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연통부(6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케이지(1)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케이지(1)의 측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팬(70)은 필터부(30)를 통과한 공기를 연통부(60)를 통해 내부 공간(13)으로 배출시키는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7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블레이드를 갖는 선풍기와 같은 형상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에어 멀티플라이어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다.
<제1 통로부(21), 제2 통로부(22)>
통로부(20)는, 제1 통로부(21) 및 제2 통로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통로부(21)는 배기부(10)와 케이지(1)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제2 통로부(22)는 제1 통로부(21)와 서로 연통되되, 필터부(30)가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통로부(21)와 제2 통로부(22)는 직교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터부(30)의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집진판(41)>
복수 개의 집진판(41)은, 양전하 대전판(41a) 및 흡착판(41b)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양전하 대전판(41a)은, 음전하로 대전된 이물질(IM, 도 6)을 끌어당길 수 있도록, 양전하로 대전되게 마련될 수 있다. 흡착판(41b)은 양전하 대전판(41a)에 의해 끌어당겨진 이물질(IM, 도 6)이 흡착될 수 있다. 흡착판(41b)은 흡착용 오일 등 점성이 있는 점착물질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정전기력에 의하여 양전하 대전판(41a)으로 끌어 당겨진 음전하로 대전된 이물질(IM, 도 6)은 흡착판(41b)에 흡착될 수 있다. 흡착판(41b)으로 인해 양전하 대전판(41a)이 끌어 당긴 이물질(IM 도 6)을 전원이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계속하여 붙잡을 수 있다. 흡착판(41b)이 한계 이상의 이물질(IM)을 흡착하여, 이물질(IM)을 흡착시키는 능력이 부족해진 경우, 흡착판(41b)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흡착판(41b)은 탈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집진판(41)은 집진필터(41c)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집진필터(41c)는, 양전하 대전판(41a)에 의해 끌어당겨진 이물질(IM, 도 6)을 여과할 수 있다. 즉, 양전하 대전판(41a)에 의해 끌어당겨진 이물질(IM, 도 6) 중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물질들은 집진필터(41c)에 의해 여과되고, 집진필터(41c)를 통과하는 이물질(IM, 도 6)들은 흡착판(41b)에 의해 흡착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예를 들면, 왼쪽부터 양전하 대전판(41a), 흡착판(41b), 집진필터(41c)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집진판(41)은 절연판(41d)을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판(41d)은 제1 필터부(40)와 제2 필터부(50)가 결합되었을 때, 양전하 대전판(41a)과 후술할 음전하 대전판(54)이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해준다. 절연판(41d)은, 양전하 대전판(41a)의 적어도 일면을 커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L'자 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음전하 대전판(54)>
제2 필터부(50)는 내부 유로(51)를 지나는 공기 속의 이물질(IM, 도 6)을 음전하로 대전시키도록, 음전하로 대전되게 마련되는 음전하 대전판(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전하 대전판(54)을 통해 내부 유로(51)를 지나는 공기 속의 이물질(IM)이 음전하로 대전되게 되면, 양전하 대전판(41a)에 의해 끌어 당겨질 수 있게 된다.
<전원부(80)>
필터부(30)는 전원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80)는 제1 필터부(40) 및 제2 필터부(50)에 전력을 공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전원부(80)는 후술할 제1 커넥터(43)와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8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부(40)는, 제1 커넥터(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43)는, 전원부(80)와 연결되어 전원부(80)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43)가 전원 커넥터(81)와 연결되게 되면, 전원부(80)의 전력이 제1 커넥터(43)로 전해질 수 있게 되고, 제1 커넥터(43)가 전원 커넥터(81)와 연결되지 않으면, 전원부(80)의 전력이 제1 커넥터(43)로 전해질 수 없게 된다. 제1 커넥터(43)와 전원 커넥터(81)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커넥터(43)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도선(44)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도선(44)은 복수 개의 집진판(4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도선(44)을 통해 제1 커넥터(43)로 전해진 전원부(80)의 전력이 복수 개의 집진판(41)으로 전달 될 수 있고, 양전하 대전판(41a)이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필터부(30)가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동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의 필터부(30)로 이물질(IM)이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의 제1 필터부(40)가 이물질(IM)의 집진을 끝내고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원부(80)는 전원 커넥터(81)와 제1 커넥터(43)가 연결되는 경우, 제1 필터부(40) 및 제2 필터부(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전하 대전판(54)이 작동하여, 내부 유로(51)를 지나는 공기의 이물질(IM)을 음전하로 대전시킬 수 있으며, 양전하 대전판(41a)이 작동하여 음전하로 대전된 이물질(IM)을 끌어 당길 수 있다. 양전하 대전판(41a)에 의하여 끌어당겨진 이물질(IM)은 집진필터(41c) 및 흡착판(41b)에 의해 집진될 수 있다. 이후, 제1 필터부(40)는, 제2 필터부(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원부(80)는 전원 커넥터(81)와 제1 커넥터(43)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제1 필터부(40) 및 제2 필터부(5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필터부(4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양전하 대전판(41a)이 작동하지 않으므로, 흡착판(41b)에 흡착된 이물질(IM)을 제거하기 용이할 수 있다.
<결합 후크(45), 누름부(46) 및 결합부(55)>
제1 필터부(40)는 결합 후크(45) 및 누름부(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후크(45)는 제1 필터부 바디(42)로부터 제2 필터부(50) 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46)는 결합 후크(45)와 연결될 수 있다. 누름부(46)는 가압되어 이동 가능하게 제1 필터부 바디(4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누름부(46)가 가압되면 누름부(46)가 제1 필터부 바디(42) 내에서 이동되고, 이에 따라 누름부(46)에 연결된 결합 후크(45)가 이동할 수 있다.
제2 필터부(50)는 결합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55)는 결합 후크(45)가 걸리도록, 결합 후크(45)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 될 수 있다. 즉, 제1 필터부(40)와 제2 필터부(50)를 결합시키는 경우, 결합 후크(45)와 결합부(55)가 맞물리게 되어 제1 필터부(40)와 제2 필터부(50) 간의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다.
누름부(46)가 가압되는 경우, 결합부(55)에 걸려있던 결합 후크(45)가 걸려있지 않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제1 필터부(40)를 제2 필터부(5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누름부(46)를 가압하는 경우, 결합 후크(45)가 이동되게 되고, 이로 인해 결합부(55)에 걸려 있던 결합 후크(45)가 걸려 있지 않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센서부 및 프로세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는 센서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이물질 농도,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내부라 함은, 내부 공간(13)일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외부라 함은, 케이지(1)의 외부 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배기부(10), 필터부(30) 및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센서부가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배기부(10) 및 필터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와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는 배기부(10), 필터부(30) 및 센서부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명령 등을 프로세서에서 생성함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제어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휘발성 매체, 비휘발성 매체 등의 데이터 스토어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센서부가 획득한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이물질 농도,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되는 경우 배기 유로(11)가 개방되도록 배기부(10)를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난다고 함은,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내부의 이물질 농도가 기준 이물질 농도 범위를 벗어나거나, 엘리베이터 내부의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를 벗어나거나, 엘리베이터 내부의 습도가 기준 습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경우, 배기 유로(11)를 개방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가 통로부(20)로 유입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의 이물질 농도, 온도 및 습도를 각각의 기준 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물질 농도의 기준 범위는 PM2.5를 기준으로 35㎍/m2 이하 일 수 있다. 온도의 기준 범위는 섭씨 18도 ~ 섭씨 25도일 수 있다. 습도의 기준 범위는 40% 이상 60% 이하 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센서부가 획득한 엘리베이터 내부의 이물질 농도,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터부(30)가 작동하도록 필터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필터부(30)를 작동시키면, 배기 유로(11)를 개방함에 따라 통로부(20)로 유입된 엘리베이터 내부 공기의 이물질을 필터부(30)가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프로세서는, 팬(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센서부가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팬(7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센서부가 획득한 엘리베이터 내부의 이물질 농도,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되는 경우, 팬(70)이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팬(70)을 작동시키면, 필터부(30)에 의해 이물질(IM)이 제거된 상태의 공기가 엘리베이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개구부(90), 커버부(91) 및 그 제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는 개구부(90) 및 커버부(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90)는 엘리베이터의 외부 및 엘리베이터의 내부를 연통할 수 있다. 개구부(90)를 통해, 엘리베이터 외부의 공기가 엘리베이터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되고,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가 엘리베이터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커버부(91)는 개구부(9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커버부(91)가 개구부(90)를 폐쇄하게 되면 엘리베이터 외부의 공기가 엘리베이터 내부로 유입될 수 없게 될 수 있고, 커버부(91)가 개구부(90)를 폐쇄하지 않게 되면 엘리베이터 외부의 공기가 엘리베이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만을 순환시키는 방식이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없어 정화의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외부의 공기를 엘리베이터 내부로 유입 시킬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내부 공기만 순환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정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이물질 농도,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엘리베이터 외부의 공기를 엘리베이터 내부로 유입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개구부(90)를 개방시키도록 커버부(91)를 제어할 수 있다. 개구부(90)가 개방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외부의 공기가 엘리베이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내부의 이물질 농도가 엘리베이터 외부의 이물질 농도에 비해 높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외부의 공기가 엘리베이터 내부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이하에서는,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해 상술한다. 엘리베이터는 케이지(1) 및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지(1)의 형상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도 있지만, 원기둥 형태, 일면이 곡면인 형태 등 엘리베이터에 사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케이지(1)는 개구부(90), 커버부(91) 및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90)는, 케이지(1)의 외부 및 케이지(1)의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91)는 개구부(9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어는 케이지(1)에 결합되되,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우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한 개의 도어 일수도 있고,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한 한 쌍의 도어 등 엘리베이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어 형태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는, 배기부(10), 통로부(20), 필터부(30) 및 연통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부(10)는, 배기 유로(11) 및 격벽(12)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유로(11)는 케이지(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 유로(11)는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격벽(12)에는 배기 유로(11)가 배치될 수 있다. 격벽(12)은 케이지(1)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도 있지만, 케이지(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제한 받지 않는다.
통로부(20)는, 배기부(10)와 케이지(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배기 유로(11)를 통해 내부 공간(13)의 공기가 통로부(20)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부(30)는, 제1 필터부(40) 및 제2 필터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부(40)는, 통로부(20)로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IM)을 집진할 수 있다. 제2 필터부(50)는, 제1 필터부(4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필터부(50)는, 통로부(20)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내부 유로(51)를 포함할 수 있다.
연통부(60)는, 통로부(20)와 격벽(12) 사이의 공간을 연통할 수 있다. 연통부(60)를 통해 통로부(20)로 유입되어 필터부(30)를 거친 공기가 격벽(12) 사이의 공간(13)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케이지
10: 배기부
11: 배기 유로
12: 격벽
13: 내부 공간
14: 배기 유로 커버
20: 통로부
21: 제1 통로부
22: 제2 통로부
30: 필터부
40: 제1 필터부
41: 집진판
41a: 양전하 대전판
41b: 흡착판
41c: 집진필터
41d: 절연판
42: 제1 필터부 바디
43: 제1 커넥터
44: 제1 도선
45: 결합 후크
46: 누름부
50: 제2 필터부
51: 내부 유로
52: 홀
53: 제2 필터부 바디
54: 음전하 대전판
55: 결합부
60: 연통부
70: 팬
80: 전원부
81: 전원 커넥터
90: 개구부
91: 커버부
IM: 이물질

Claims (16)

  1.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의 내부에 배치되되,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기 유로를 포함하는 배기부;
    상기 배기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 유로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배기 유로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부; 및
    상기 통로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통로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전기적으로 대전되어 상기 통로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복수 개의 집진판 및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이 결합되는 제1 필터부 바디를 포함하는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1 필터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통로부의 공기가 통과하는 내부 유로 및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이 상기 내부 유로 내에 위치하기 위해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는 제2 필터부 바디를 포함하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기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배기부 내측 공간을 내부 공간이라 할 때,
    상기 통로부와 상기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부 및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연통부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는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팬을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배기부와 상기 케이지 사이의 공간인 제1 통로부 및
    상기 필터부가 배치되되, 상기 제1 통로부와 연통되는 제2 통로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은,
    음전하로 대전된 이물질을 끌어당길 수 있도록, 양전하로 대전되게 마련되는 양전하 대전판 및
    상기 양전하 대전판에 의해 끌어당겨진 이물질이 흡착되는 흡착판을 각각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은,
    상기 양전하 대전판에 의해 끌어당겨진 이물질을 여과하는 집진필터를 각각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내부 유로를 지나는 공기 속의 이물질을 음전하로 대전시키도록, 음전하로 대전되게 마련되는 음전하 대전판을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구비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의 전력을 공급받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제1 필터부 바디로부터 상기 제2 필터부 측을 향해 돌출된 결합 후크 및 상기 결합 후크와 연결되되, 가압되어 상기 제1 필터부 바디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누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결합 후크가 걸리도록, 상기 결합 후크의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제2 필터부 바디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에 걸려있던 상기 결합 후크가 걸려있지 않는 상태로 전환되는,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이물질 농도,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어느 하나를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배기부,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가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기부 및 상기 필터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가 획득한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이물질 농도,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배기 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배기부를 제어하고,
    상기 필터부가 작동하도록 상기 필터부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이물질 농도,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어느 하나를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배기부, 상기 필터부, 상기 팬 및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가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기부, 상기 필터부 및 상기 팬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가 획득한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이물질 농도,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배기 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배기부를 제어하고,
    상기 필터부가 작동하도록 상기 필터부를 제어하고,
    상기 팬이 작동하도록 상기 팬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부를 연통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이물질 농도,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외부의 공기를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로 유입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커버부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부를 연통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16. 슬라이딩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는 케이지 및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는,
    상기 케이지의 내부에 배치되되,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기 유로 및 상기배기 유로가 배치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배기부;
    상기 배기부와 상기 케이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부; 및
    상기 통로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통로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전기적으로 대전되어 상기 통로부로 유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복수 개의 집진판 및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이 결합되는 제1 필터부 바디를 포함하는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1 필터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통로부의 공기가 통과하는 내부 유로 및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이 상기 내부 유로 내에 위치하기 위해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는 제2 필터부 바디를 포함하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KR1020200061738A 2020-05-22 2020-05-22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KR102404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738A KR102404244B1 (ko) 2020-05-22 2020-05-22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738A KR102404244B1 (ko) 2020-05-22 2020-05-22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414A KR20210144414A (ko) 2021-11-30
KR102404244B1 true KR102404244B1 (ko) 2022-06-02

Family

ID=7872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738A KR102404244B1 (ko) 2020-05-22 2020-05-22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2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7123A (ja) * 2006-11-17 2008-06-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クリーンエレベータ用のかご装置
JP2017114625A (ja) * 2015-12-24 2017-06-29 フジテック株式会社 換気口を具えるエレベータ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7123A (ja) * 2006-11-17 2008-06-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クリーンエレベータ用のかご装置
JP2017114625A (ja) * 2015-12-24 2017-06-29 フジテック株式会社 換気口を具えるエレベ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414A (ko)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743B1 (ko) 공조용 필터장치
US10668422B2 (en) Air freshener
KR20220138363A (ko) 공기조화장치
KR101754712B1 (ko)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장치
KR102404244B1 (ko) 엘리베이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DE112019002395T5 (de) Wiederaufladbare reinigungsvorrichtung
ITUB20159323A1 (it) Cappa di aspirazione per ambienti domestici.
KR20170051893A (ko) 전기식 집진필터
KR101745207B1 (ko)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0359251C (zh) 空气净化器
KR101342101B1 (ko) 전기 집진기
KR102428401B1 (ko) 재생 가능한 정전 필터, 정전 필터 재생 시스템 및 정전 필터 재생 시스템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EP3409166B1 (de) Ausblaskanal für einen staubsauger und staubsauger aufweisend diesen ausblaskanal
JP2003320274A (ja) イオン除去装置及びイオン除去方法
CN203074566U (zh) 空气清净机单元
AU2010100700A4 (en) Air conditioning
KR20200131583A (ko) 청소기
CN211195790U (zh) 一种车载空气净化器
KR102089342B1 (ko) 유전영동 방식의 입자분리모듈이 구비된 집진장치
WO2023105998A1 (ja) 送風装置
KR102455068B1 (ko) 의류 처리 장치
JPH0368414A (ja) 空気清浄化装置
CN215352760U (zh) 一种纳米纤维材料过滤装置
KR102136351B1 (ko)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인버터
KR101661899B1 (ko) 무전원 방사성 폐기물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