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930B1 - Y자 입체 구조부를 가지는 음식물 용 집게 - Google Patents

Y자 입체 구조부를 가지는 음식물 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930B1
KR102402930B1 KR1020210089411A KR20210089411A KR102402930B1 KR 102402930 B1 KR102402930 B1 KR 102402930B1 KR 1020210089411 A KR1020210089411 A KR 1020210089411A KR 20210089411 A KR20210089411 A KR 20210089411A KR 102402930 B1 KR102402930 B1 KR 102402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handle
middle portion
rib structure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수
Original Assignee
김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수 filed Critical 김천수
Priority to KR1020210089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음식물을 파지하고 취식할 수 있는 집게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 끝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일 끝단에서 연장되는 Y자 입체 구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 중단부, 하단부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상기 상단부, 중단부,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가 평면이 아닌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Y자 입체 구조부를 가지는 음식물 용 집게 {A food tong having an Y-shaped structure}
본 발명은 음식물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게는 다양한 물체를 양쪽에서 가압함으로써 물체를 집어 고정시키거나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86950호(2019.07.24 공개, 이하 특허문헌 1)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집게부;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각 각의 일단을 탄성적으로 연결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부; 및 서로 이격된 상기 한 쌍의 집게부의 타단을 오므림으로써 음식물을 집을 수 있는 음식물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 가압부는 상기 집게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꺾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로 인해, 특허문헌 1은 음식물 가압부를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손목을 구부릴 필요없이 음식물을 편하게 집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목 통증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은 사용자가 다양한 사이즈의 음식물을 지지하고, 그 상태로 취식하기 위한 가압구조를 개시하고 있지는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 집게는 기존의 조리용 도구에서 벗어나, 다양한 음식점에서 지지기능 및 취식기능을 겸하도록 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으나 그러한 요구에 보답하는 제품, 기술이 없으므로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86950호(2019.07.24)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식물용 집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다양한 형상의 음식물을 파지하고 취식할 수 있는 집게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 끝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일 끝단에서 연장되는 Y자 입체 구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Y자 입체 구조부는 손잡이부의 일 끝단과 연결되는 중단부, 중단부를 기준으로 연직 방향으로 돌출되며 연직 방향으로 올라감에 따라 서로 마주보는 거리가 짧아지도록 마련되는 상단부, 중단부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단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꺾인 구조를 가지는 하단부를 가지고, 상기 상단부, 중단부, 하단부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상기 상단부, 중단부,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가 평면이 아닌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상기 Y자 입체 구조부는 연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리브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 구조는 상단부및 중단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1 리브 구조와 하단부에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리브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 구조와 상기 제2 리브 구조는 서로 단면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 구조는 단면이 사각형인 리브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 리브 구조는 단면이 삼각형인 리브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 리브 구조 및 상기 제2 리브 구조의 깊이가 다를 수 있다.
상기 상단부의 너비는 상기 하단부의 너비보다 두껍고,
상기 상단부의 돌출된 길이는 상기 하단부의 돌출된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에서 연직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뒤틀림 방지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뒤틀림 방지 리브는 손잡이부의 곡률에 따라 돌출되며, 뒤틀림 방지 리브의 끝단이 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돌출 될 수 있다.
상기 상단부는 상기 중단부에서부터 연직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더 각도가 커지는 곡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단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단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돌출되는 돌기 구조를 가지는 손잡이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용 집게는, 상/중/하에 따라 위치별 다른 구조와 구성을 가지는 Y자 입체구조부를 포함하여 음식물의 종류나 기능에 따른 복합적인 기능을 단일 집게로 구현할 수 있다.
돌출부는 사용자가 집게를 다양한 방식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검지나 중지에 손을 걸기 위해 적절한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Y자 입체구조부는 입체적인 구조를 가짐으로써 구형의 형상을 가지는 음식물을 파지함에 있어 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름 방향의 파지 기능은 중단부에서 수행하고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는 구의 중심에서 벗어난 종단면은 상단부에서 파지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파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사람이 적은 힘으로 가압하더라도 음식물이 안정적으로 파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Y자 입체구조부는 연직 방향으로 리브 구조(ribbed structure)를 가지고 리즈 구조를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상이하게 설정함으로써 음식물에 대한 파지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집게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집게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에 따른 집게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 속한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집게(100)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집게(100)는 연결부(101), 연결부의 양 끝단에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102), 손잡이부(102)의 일 끝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103), 손잡이부의 일 끝단에서 연장되는 Y자 입체 구조부(110)를 포함한다.
연결부(101)는 한 쌍의 손잡이부(102) 및 한 쌍의 돌출부(103)가 집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오므려지고 펴질 때에 요구되는 탄성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연결부(101)는 외부에서 압력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한 쌍의 손잡이부(102) 및 한 쌍의 돌출부(103)가 소정의 각도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며, 외부에서 압력을 통해 손잡이부(102)가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경우, 소정의 반대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부(101)의 형상,크기,길이는 집게(100)의 용도 및 필요에 따라 달리 구성될 수 있으며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연결부(101)의 형상은 원형, 선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원형 형상의 연결부(101)는 작은 음식물을 집기 위한 집게에 적합하며, 선형 형상의 연결부(101)는 상대적으로 큰 음식물을 집기 위한 집게에 적합할 수 있다.
손잡이부(102)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집게(100)를 제어하기 위한 파지를 위한 부재이다. 손잡이부(102)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적절한 두께와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하단에 요철 형상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손 파지가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부(103)는 손잡이부(102)의 일 끝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03)는 복합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03)는 사용자가 집게(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선단의 Y자 입체 구조부(110)가 지면에 맞닿지 않도록 일정 거리만큼 돌출되어 Y자 입체 구조부(11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03)는 사용자가 집게(100)를 다양한 방식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검지나 중지에 손을 걸기 위해 적절한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Y자 입체 구조부(110)는 단일 기구인 집게(100)로도 여러 형상 및 크기의 음식물을 집고 취식할 수 있도록 복합적 형상을 가지는 부재이다. Y자 입체 구조부(110)는 상단부(104), 중단부(106), 하단부(105)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단부(104)는 중단부(106)를 기준으로 연직 방향으로 돌출되며, 도 2를 참조하면 상단부(104)는 연직 방향으로 올라감에 따라 서로 마주보는 길이가 짧아지도록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단부(104)는 중단부(106)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해당 실시예들은 차후 후술한다.
상단부(104)는 중단부(106)보다 서로 좁은 거리를 가지도록 마련됨에 따라, 주로 구형의 형상을 가지는 음식물을 파지함에 있어 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름 방향의 파지 기능은 중단부(106)에서 수행하고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는 구의 중심에서 벗어난 종단면은 상단부(104)에서 파지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파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사람이 적은 힘으로 가압하더라도 음식물이 안정적으로 파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상단부(104)와 중단부(106)의 구성을 통해 대형 음식물을 손쉽게 파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상태에서 용이한 취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부(104)는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추가로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음식물의 보다 효과적인 파지가 가능할 수 있다.
중단부(106)는 Y자 입체 구조부(110)의 중앙에 위치하는 부재로 상단부(104)와 하단부(105)를 연결하는 구조이다. 중단부(106)는 전술한바와 같이 구형의 대형 음식물을 파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연직방향으로 수직인 형상 뿐 아니라, 오목한 형상을 가져 구형 음식물을 보다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단부(105)는 집게(100)의 가장 끝단에 위치하며 작은 음식물을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하단부(105)의 너비는 상단부(104)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하단부(105)는 중단부(106)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꺾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단부(105)는 중단부(106)를 기준으로 아래 방향으로 꺾이거나, 서로 마주보도록 수평 방향으로 꺾일 수 있다.
Y자 입체 구조부(110)는 중단부(105)를 기준으로 상단부(104) 및 하단부(105)의 위치가 Y자 형상을 구현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단부(104), 하단부(105), 중단부(106)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부재가 소정의 각도 또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마련됨으로써, 3차원 형상을 가지는 음식물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집게(200)는 연결부(201), 연결부의 양 끝단에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202), 손잡이부(202)의 일 끝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203), 손잡이부의 일 끝단에서 연장되는 Y자 입체 구조부(210)를 포함한다. 도 1 및 2에서 집게(200)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을 전술한바, 이하 차별되는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기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200)는 연직 방향으로 리브 구조(ribbed structure)를 가지는 Y자 입체 구조부(210)를 포함한다. Y자 입체 구조부(210)는 상단부(204) 및 중단부(206)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1 리브 구조와 하단부(205)에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리브 구조를 가진다.
제1 리브 구조와 제2 리브 구조는 서로 단면이 상이한 리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브 구조는 단면이 사각형인 리브 구조를 가지고, 제2 리브 구조는 단면이 삼각형인 리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리브 구조와 제2 리즈 구조를 서로 상이하게 설정함으로써 음식물에 대한 파지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리브 구조의 리브의 깊이가 제2 리브 구조의 리브의 깊이보다 깊음으로써 상단부(204) 및 중단부(206)의 대형 음식물을 파지하는 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되고, 치킨무 등 상대적으로 작은 음식물을 파지 하는 하단부(205)의 파지 기능 및 제어가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Y자 입체 구조부(210)에 있어서, 상단부(204)의 너비는 하단부(205)의 너비보다 두껍고, 상단부(204)의 돌출된 길이는 하단부(205)의 돌출된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집게(200)가 파지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으로, 치킨 등 원형의 음식물의 용이한 파지를 위해 설계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집게(300)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집게(300)는 연결부(301), 연결부의 양 끝단에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302), 손잡이부(302)의 일 끝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303), 손잡이부의 일 끝단에서 연장되는 Y자 입체 구조부(310) 및 손잡이부(302)에서 연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뒤틀림 방지 리브(307)를 포함한다. 도 3에서 집게(300)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을 전술한바, 이하 차별되는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기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집게(300)는 뒤틀림 방지 리브(307)를 더 포함한다. 뒤틀림 방지 리브(307)는 손잡이부(302)의 내측면에서 연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손잡이부(302)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뒤틀림 방지 리브(307)의 리브 구조의 길이는 손잡이부(302)의 곡률에 따라 돌출되도록 하되, 뒤틀림 방지 리브(307)의 끝단이 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돌출 길이를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뒤틀림 방지 리브(307)는 손잡이부(302)의 뒤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4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에 따른 집게(400)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집게(400)는 연결부(401), 연결부의 양 끝단에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402), 손잡이부(402)의 일 끝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403), 손잡이부의 일 끝단에서 연장되는 Y자 입체 구조부(41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집게(100)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을 전술한바, 이하 차별되는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기술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집게(400)는 김치 포기, 고구마, 채소 등 대형 음식물을 파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형 연결부(401) 및 일정 곡률을 가지는 상단부(404)를 가지는 Y자 입체 구조부(410)를 포함한다.
Y자 입체 구조부(410)는, 중단부(406)에서부터 연직방향으로 올라감에 따라 더 각도가 올라가는 곡률 형상을 가지는 상단부(404)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대형 음식물의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다.
Y자 입체 구조부(410)는, 음식물의 안정적 파지를 위해 중단부(406) 및 하단부(405)에 리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중단부(406)에는 제 3 리브구조가 마련되고, 하단부에는 제4 리브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4 리브 구조는 집게(400)의 끝단으로 감에 따라 리브의 크기는 점점 작아지고 리브의 간격은 점점 좁아지도록 배열됨으로써 큰 음식물의 크기를 보다 용이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리브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5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집게(500)는 연결부(501), 연결부의 양 끝단에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502), 손잡이부(502)의 일 끝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503), 손잡이부의 일 끝단에서 연장되는 Y자 입체 구조부(51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집게(100)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을 전술한바, 이하 차별되는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기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500)는 손잡이부(502)의 내측면 및 Y자 입체 구조부(510)의 내측면이 열려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보다 가벼운 무게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6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집게(600)는 연결부(601), 연결부의 양 끝단에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602), 손잡이부(602)의 일 끝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603), 손잡이부의 일 끝단에서 연장되는 Y자 입체 구조부(61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집게(100)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을 전술한바, 이하 차별되는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기술한다.
도 9를 참조하면, Y자 입체 구조부(610)는 상단부(604), 하단부(605), 중단부(606)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리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단부(604)는 중단부(606)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지 않고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7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집게(700)는 연결부(701), 연결부의 양 끝단에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702), 손잡이부(702)의 일 끝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703), 손잡이부의 일 끝단에서 연장되는 Y자 입체 구조부(710), 상단부(704)에서 돌출되는 상단 돌출부(707), 손잡이부(702)에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손잡이 돌출부(708)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집게(100)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을 전술한바, 이하 차별되는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기술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단부(704)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단 돌출부(707)가 마련됨으로써 음식물의 이탈을 방지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손잡이부(702)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돌출되는 돌기 구조를 가지는 손잡이 돌출부(708)가 마련됨으로써, 집게(700)의 파지 사용시 엄지 및 검지의 측면 접촉 영역에 추가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손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다양한 형상의 음식물을 파지하고 취식할 수 있는 집게에 있어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 끝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일 끝단에서 연장되는 Y자 입체 구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Y자 입체 구조부는 손잡이부의 일 끝단과 연결되는 중단부, 중단부를 기준으로 연직 방향으로 돌출되며 연직 방향으로 올라감에 따라 서로 마주보는 거리가 짧아지도록 마련되는 상단부, 중단부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단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꺾인 구조를 가지는 하단부를 가지고,
    상기 상단부, 중단부, 하단부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상기 상단부, 중단부,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가 평면이 아닌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Y자 입체 구조부는 연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리브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 구조는 상단부 및 중단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1 리브 구조와 하단부에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리브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 구조와 상기 제2 리브 구조는 서로 단면이 상이한 리브 구조를 가지는 집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 구조는 단면이 사각형인 리브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 리브 구조는 단면이 삼각형인 리브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 리브 구조 및 상기 제2 리브 구조의 깊이가 다른 것인 집게.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의 너비는 상기 하단부의 너비보다 두껍고,
    상기 상단부의 돌출된 길이는 상기 하단부의 돌출된 길이보다 짧은 것인 집게.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에서 연직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뒤틀림 방지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게가 닫히는 경우, 상기 한쌍의 손잡이부에 위치한 상기 뒤틀림 방지 리브가 맞물리면서 상기 손잡이부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뒤틀림 방지 리브는 손잡이부의 곡률에 따라 돌출되며, 뒤틀림 방지 리브의 끝단이 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돌출 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는 상기 중단부부터 연직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더 각도가 커지는 곡률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단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집게.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돌출되는 돌기 구조를 가지는 손잡이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 구조는 사용자가 파지시 상기 외측면 중 엄지와 검지에 대응되는 위치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12. 다양한 형상의 음식물을 파지하고 취식할 수 있는 집게에 있어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 끝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 끝단에서 연장되는 Y자 입체 구조부;및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에서 연직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뒤틀림 방지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Y자 입체 구조부는 손잡이부의 일 끝단과 연결되는 중단부, 중단부를 기준으로 연직 방향으로 돌출되며 연직 방향으로 올라감에 따라 서로 마주보는 거리가 짧아지도록 마련되는 상단부, 중단부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단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꺾인 구조를 가지는 하단부를 가지고,
    상기 상단부, 중단부, 하단부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상기 상단부, 중단부,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가 평면이 아닌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집게가 닫히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에 위치한 상기 뒤틀림 방지 리브가 맞물리면서 상기 손잡이부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KR1020210089411A 2021-07-08 2021-07-08 Y자 입체 구조부를 가지는 음식물 용 집게 KR102402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411A KR102402930B1 (ko) 2021-07-08 2021-07-08 Y자 입체 구조부를 가지는 음식물 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411A KR102402930B1 (ko) 2021-07-08 2021-07-08 Y자 입체 구조부를 가지는 음식물 용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930B1 true KR102402930B1 (ko) 2022-05-26

Family

ID=8180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411A KR102402930B1 (ko) 2021-07-08 2021-07-08 Y자 입체 구조부를 가지는 음식물 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9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679Y1 (ko) * 2005-09-23 2005-12-13 주식회사 유진유니크 포크 겸용 안전 집게
JP3199015U (ja) * 2015-05-22 2015-07-30 株式会社田辺金具 トング
KR20190086950A (ko) 2018-01-15 2019-07-24 윤석수 집게
KR102103751B1 (ko) * 2019-11-21 2020-04-23 박정주 고기구이용 집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679Y1 (ko) * 2005-09-23 2005-12-13 주식회사 유진유니크 포크 겸용 안전 집게
JP3199015U (ja) * 2015-05-22 2015-07-30 株式会社田辺金具 トング
KR20190086950A (ko) 2018-01-15 2019-07-24 윤석수 집게
KR102103751B1 (ko) * 2019-11-21 2020-04-23 박정주 고기구이용 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7112B2 (en) Utensil with grip feature
CN100586347C (zh) 用于夹取和夹持食物的工具
US5054835A (en) Food handling implement
US8919838B2 (en) Food handling device
US10905279B2 (en) Lid holder
US20070205619A1 (en) Multi-purpose eating utensil
FR2586549A3 (fr) Ustensile de table en forme de pince coudee a deux branches, notamment pour la prise de nourriture
US8235435B2 (en) Utensil handle
KR102402930B1 (ko) Y자 입체 구조부를 가지는 음식물 용 집게
KR20220053026A (ko) 집게 도구
KR940701228A (ko) 손 장애자가 사용하기 위한 식기
JP5026529B2 (ja)
US5653488A (en) Article for manipulating food
JP2014217429A (ja) 睫毛をカーリングするためのアイラッシュカーラー
JP2018050713A (ja) フィンガートング
JP3204677U (ja) 調理器具
JP6732314B1 (ja) トング
JP3110036U (ja) トング
KR200174546Y1 (ko) 주방용 집게.
JP3204694U (ja) 調理器具
JP3234108U (ja) 板付き蒲鉾用の調理器具
JP2019092628A (ja) 食品用トング
US20200069093A1 (en) Eating utensil
USD953839S1 (en) Hand grip
JP3146869U (ja) 包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