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463B1 - 단부 측 조립 마킹을 갖는 유성 기어 장치 핀 및 유성 기어 장치 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단부 측 조립 마킹을 갖는 유성 기어 장치 핀 및 유성 기어 장치 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463B1
KR102400463B1 KR1020187035861A KR20187035861A KR102400463B1 KR 102400463 B1 KR102400463 B1 KR 102400463B1 KR 1020187035861 A KR1020187035861 A KR 1020187035861A KR 20187035861 A KR20187035861 A KR 20187035861A KR 102400463 B1 KR102400463 B1 KR 102400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tary gear
pin
opening
planetary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636A (ko
Inventor
벤자민 홀리데이
프랑크 벡
호스트 그레디
토마스 모츠
라인하르트 킥-로덴뷔혀
미햐엘 샤페르트
알프레드 토마스
베른드 아이혠휠러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18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57/082Planet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단부(7) 및 마주 놓여 있는 제2 단부(8)를 갖는, 유성 캐리어와 유성 기어 사이에 있는 유성 기어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유성 기어 장치 핀(1)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에는 개구(2)가 일 단부(7, 8)로부터 유성 기어 장치 핀(1)의 종축(3)을 따라 상기 유성 기어 장치 핀 내부로 연장되며, 리세스(17) 형태의 조립 마킹(16)이 존재하며, 압출 가공된 유성 기어 장치 핀(1)의 재료 내 개구(2)의 반경 방향 내부 면에서 단부 측에 조립 마킹(16)이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유성 기어 장치 핀(1)이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유성 기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유성 캐리어를 갖는 자동차 구동렬용 유성 기어 장치와도 관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유성 기어 장치 핀(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도 관련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조립 마킹(16)이 유성 기어 장치 핀(1)의 압출 가공 시에 유성 기어 장치 핀(1) 내부로 비-절단 방식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단부 측 조립 마킹을 갖는 유성 기어 장치 핀 및 유성 기어 장치 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제1 단부 및 마주 놓여 있는 제2 단부를 갖는, 유성 캐리어와 유성 기어 사이에 있는 유성 기어 장치, 예컨대 자동차 스퍼 기어 차동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유성 기어 장치 핀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에는 개구가 일 단부로부터 상기 핀의 종축을 따라 상기 핀 내부로 연장되며, 이 경우에는 리세스 형태의 조립 마킹이 존재한다.
선행 기술, 예컨대 DE 7000388 A1호에 유성 기어 장치 핀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 간행물에서는, 핀의 종축에 대해 가로로 정렬된 유입 튜브를 갖는 유성 기어 내에 있는 유성 기어 장치 핀이 개시된다. 이때, 핀은, 유성 기어가 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유성 기어 내에 배열되어 있다. 핀 자체는 유성 기어 장치 핀 내부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있다. 유성 기어 옆에 존재하는 벽으로부터, 오일과 같은 윤활제가 유입 튜브를 통해 핀의 세로 방향으로 정렬된 관통 개구 내부로 안내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유성 기어와 핀 사이에 도달하기 위해 그리고 그곳에서 윤활 작용을 하기 위해, 유입 튜브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된 지점에서는 윤활제가 또 다른 개구를 통해 핀을 새로이 관통할 수 있다.
유성 기어 장치의 개별 구성 요소들의 상호 작용은 WO 2009/100202 A1호에도 기술되어 있다.
또한, DE 10 2011 007 801 A1호는, 원통형의 기본 몸체를 갖는 유성 기어 장치용 베어링 핀을 개시하며, 이 경우에는 기본 몸체가 축 방향 일 단부에 반경 방향 보어를 구비한다. 상기 반경 방향 보어에는 기본 몸체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요소가 존재하며, 이 고정 요소는 반경 방향 돌출부에 의해서 반경 방향 보어 내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베어링 핀에 의해서는, 베어링 핀을 유성 기어 장치 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상대적으로 적은 제조 비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면서도 안전한 가능성이 구현된다. 상기 간행물에는, 또한 상기와 같은 베어링 핀을 갖는 유성 기어 장치용 캐리어 어셈블리도 개시되어 있다.
DE 10 2015 207 114 A1호에는, 또한 유성 기어 베어링을 윤활하기 위한 유성 핀도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성 핀은 상기 간행물에서 원통형의 몸체, 제1 단부,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축 방향 경로, 및 상기 축 방향 경로와 상기 몸체의 외부 면 사이의 벽 두께를 갖는다. 가로로 진행하는 원통형 경로는 벽 두께를 관통해서 그리고 제1 단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변위된 상태에서, 상기 축 방향 경로와 유체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부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슬롯이, 축 방향 경로를 가로지르도록 제1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행물에는, 유성 핀이 사용되는 유성 핀 유닛이 기술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윤활제를 흡수하기 위하여 그리고 축 방향 경로를 통과해서 가로로 진행하는 경로로 윤활제를 안내하기 위하여, 슬롯이 핀의 제1 단부에서 유성 캐리어와 상호 작용한다.
DE 10 2015 204 198 A1호에는, 또한 유성 기어 장치 내에 사용하기 위한 유성 핀 및 유성 핀을 구비하는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간행물에서 소개된 유성 핀은 복수의 반경 방향 경로를 구비하며, 이들 경로는 축 방향 통로와 유체 결합 상태에 있으며, 이로 인해 바람직하게는, 유성 기어 장치 내에서 유성 핀을 올바르게 정렬해야만 하는 필연성을 제거하거나 현저히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핀의 하나 이상의 단부에서 상기 핀의 전면 쪽으로 하강하는 챔퍼를 갖는 유성 구동부 내의 핀을 개시하는 DE 10 2006 004 720 B4호도 주목할 만하며, 이 경우에는 핀의 전면이 하나 이상의 파괴 지점을 갖는 것이 특이한 점으로서 드러났다.
내부에 횡단 개구, 다시 말해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개구가 존재하는, 가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관통 홀 또는 2개의 블라인드 홀을 갖는 유성 기어 장치 핀도 이미 공지되어 있다. 가로 방향 홀들,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 정렬된 개구들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정렬된 개구 내에서는 오일과 같은 윤활제가 수집되고, 그 다음에 횡단 방향으로 정렬된 홀들에 윤활제가 공급된다. 반경 방향으로/횡단 방향으로 정렬된 상기 홀들이 통상적으로는 또한 윤활제를 안내하거나 안전 핀을 삽입하기 위해서도 이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유성 기어 장치 핀은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횡단 홀, 다시 말해 유체 안내 관통 개구인 횡단 홀은 비-절단 방식으로 형성되는데, 말하자면 천공된다. 이와 같은 내용은 예를 들어 DE 10 2015 204 198 A1호 및 DE 10 2015 207 114 A1호에서 중심 주제로서 다루어졌다. 상기 유체 안내 관통 개구의 과제는 특별히 DE 7000388 A1호에서도 기술된다.
하지만, 횡단 홀을 통상적인 비-절단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비용 집약적이고 복잡하다. 특히, 이와 같은 방식에서는, 유체 안내 관통 개구의 내부 면에서 릿지가 반경 방향 내부로 돌출하는데,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세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개구 내부로 돌출한다. 이때, 상기 릿지는, 유성 기어 장치 핀을 사용할 수 있기 전에 비용을 소비해서 명확하게 제거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시간 집약적이고 비용 집약적이다.
더 나아가서는, 유성 기어 장치 핀을 장착 중에 정확하게 정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은 힘 도입을 위해서 바람직하며, 특히 구심력을 이용해서 그리고/또는 상이한 윤활제 안내 채널/유체 안내 관통 개구를 일직선으로 정렬시킴으로써 윤활제 흐름에 도달하기 위해서도 중요하다. 이와 같은 분야에서는 WO 2009/100202 A1호, DE 10 2011 007 801 A1호 및 DE 10 2015 207 114 A1호도 유효하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간단한 수단에 의해서 조립을 간소화하기 위한 조치들이 도입될 수 없었다. 통상적으로는, 조립의 경우에, 따라서 개별 부품들을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렬시킬 때에 유용한 조립 마킹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제조 단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마킹은 형성은 복잡하고도 비용 소비적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원에서 해결 방법을 강구하는 것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선행 기술에 공지된 단점들을 완화하거나 심지어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다. 특히, 비용이 절감되어야만 하고, 제조 방법은 더욱 신속하고도 더욱 간단하게 실행 가능해야만 한다.
상기 과제는, 일반적 유형의 방법에서, 압출 가공된 핀의 재료 내 개구의 반경 방향 내부 면에서 단부 측에 조립 마킹이 배열되어 있음으로써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청구되고,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따라서, 조립 마킹이 소성 변형 흔적 형태의 배향 특징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장점이 된다.
또한, 반경 방향으로 리세스 외부에 핀의 벽 섹션이 존재하는 경우도 바람직하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리세스도 벽 섹션의 내부 면에서 전면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유성 기어 장치 핀이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유성 기어 위로 돌출하는 유성 캐리어를 갖는, 자동차 구동렬용 유성 기어 장치와도 관련이 있다.
상기와 같은 관계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상을 구현하는 방법도 언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상은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유성 기어 장치 핀의 제조와도 관련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조립 마킹이 핀을 압출 가공할 때에 핀 내부에 비-절단 방식으로 제공된다/제공되어 있다. 이로써, 제조는 더욱 신속해지고 더욱 비용 효율적으로 된다.
종축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 하나 이상의 유체 안내 관통 개구가 성형 기술적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블랭크로부터 바람직하게 횡단면 상으로 볼 때 원형의 외부 윤곽을 갖는 핀이 제조되는 유성 기어 장치 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도 관련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핀의 일 단부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가 핀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방법은, 외부 윤곽에 의해서 규정된 외부 표면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정렬된 개구까지 안내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 안내 관통 개구가 공구 디핑(dipping) 방식으로/성형 방식으로 형성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는, 유성 기어 장치 핀이 신속하게 뿐만 아니라 비용 효율적으로도 매우 높은 품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성 기어 장치 핀은 수명도 극도로 길다. 이러한 실시예는, 독립 특허 청구항들의 특징부 없이도 예를 들어 분할 출원으로 속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또한 핀의 종축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정렬된 유체 안내 관통 개구가 내부로 천공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유성 캐리어와 유성 기어 사이에 있는 유성 기어 장치, 예컨대 자동차 스퍼 기어 차동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유성 기어 장치 핀과도 관련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개구가 2개 단부 중 하나 이상의 단부로부터 핀의 세로 방향으로 상기 핀 내부로 연장되며, 이 경우에는 외부 재킷 면으로부터 (가로 방향) 개구까지, 상기 (가로 방향) 개구의 측에 있는 입구로부터 외부 재킷 면 내에 있는 출구까지 진행하는 하나 이상의 (핀의 종축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비스듬하게 정렬된) 유체 안내 관통 개구가 연장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 유형의 유성 기어 장치 핀의 본 발명에 따른 개선은, 유체 안내 관통 개구가 입구와 출구 사이에 그리고 이들 입구 및 출구에 대해 최소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횡단면을 가짐으로써 성취된다. 다시 말해, 이 횡단면은 내부로부터 외부로 관찰했을 때에 큰 상태로부터 작은 상태로 그리고 큰 상태로 변한다.
본원에서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유체 안내 관통 개구가 출구 영역에 반경 방향 내부로 가면서 깔때기 형상으로 좁아지는 구성을 갖고 그리고/또는 최소 횡단면의 지점으로부터 입구의 방향으로 반경 방향 내부로 확대되는, 바람직하게는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경우가 장점이 된다.
비용 효율적이고 신속한 제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유체 안내 관통 개구가 비-절단 방식으로 제조된 가로 천공 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장점이 된다.
세로 방향으로 정렬된 개구가 블라인드 홀 또는 관통 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물론, 2개의 블라인드 홀도 가능하다.
유체 안내 관통 개구가 윤활제 안내 채널로서 또는 대안적으로 안전 핀 수용 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적합하다고 입증되었다. 두 번째의 경우에는, 개별 부품들 서로에 대한 최적의 정렬 상태를 보장하기 위하여, 예비 매칭된 안전 핀이 안전 핀 수용 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유체 안내 관통 개구가 반경 방향 외부의 에지 파괴 영역을 구비하는 경우, 다시 말해 탄성-소성 변형부를 갖는 영역으로서 구비하는 경우도 장점이 된다. 또한, 유체 안내 관통 개구는 에지 파괴 영역에 반경 방향 내부로 연결되는, 바람직하게는 (거의) 원통형인 원활 절단 영역 및 상기 원활 절단 영역에 반경 방향 내부로 연결되는, 대략 원뿔 형상으로 확대되는 잔류 파괴 영역/파열 영역을 구비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성 기어 장치 핀이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유성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성 캐리어를 갖는, 자동차 구동렬용 유성 기어 장치와도 관련이 있다.
따라서,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견고하고 비용 효율적이며 공정상 원숙한 대량 생산으로, 유성 기어(장치) 핀/유성 기어 장치 핀들에 대한 반경 방향 개구용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윤활유 홀 또는 안전 핀 홀로서의 기능을 갖춘 반경 방향 개구는 이제 가로 홀 천공에 의해서 성형 기술적으로 생성된다. 또한, 에지 파괴부 또는 에지 라운딩 처리부도 상기 유체 안내 관통 개구에서 성형 기술적으로 생성된다. 추가로, 유성 기어 핀은 조립의 경우에 윤활유 홀의 의도한 바대로의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예컨대 리벳 결합부, 챔퍼 형성부 등과 같은 배향 특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천공될 핀 블랭크는 성형 기술적으로 또는 절삭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유성 핀은 기어 장치 내에 적용된다. 유성 핀은 유성 기어 장치 내에서 톱니 휠을 위한 캐리어로서 이용된다. 톱니 휠은, 자신의 측에서 유성 핀의 실린더 면 상에서 롤링하는 롤링 바디 상에서 주행한다.
유성 기어 장치용 유성 기어 핀 블랭크는 통상적으로 예컨대 100Cr6 또는 16MnCr5와 같은 금속 재료로부터 지금까지 절단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유체 안내 관통 개구는 통상적으로 세로 방향으로 정렬된 개구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정렬된 개구들과 매우 유사하게 절단 방식으로 형성된다. 또한, 가능한 배향 특징부도 절단 방식으로 형성되고, 통상적으로는 유성 기어 장치 핀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된다. 특히 예컨대 100Cr6와 같은 완전 경화 가능한 강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벽 두께 대 보어 직경의 비율이 대략 1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이제, 유성 기어 핀 상에서 반경 방향 개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절단 제조 방식으로부터 성형 기술적인 제조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도 제안된다. 전환의 목적은, 홀을 형성할 때에 비용을 절감하는 것 그리고 이물질 제거 복잡성을 줄이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 경우에 윤활유 공급을 위한 보어의 기능성 또는 안전 핀을 수용하는 기능성은 그대로 보장된다.
이제, 유체 안내 관통 개구는 가로 홀 천공 및 에지 라운딩 유발에 의해서도 보급된다. 이전에는, 다시 말해 보어의 절단 제조 방식에서는 원통형의 홀이 생성된 한편, 이제는 다른 구조적인 형성이 가능해진다. 지금까지는, 핀의 외부 직경으로부터 넘어가는 천이부에서 대부분 챔퍼가 에지 파괴부로서 함께 생성되었다. 핀의 내부 직경으로 넘어가는 천이부에서는, 지금까지 유감스럽게도 복잡하게 제거되어야만 하는 전형적인 큰 천공 이물질이 생성되었다. 이와 같은 생성은 바람직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의해서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 진행 천공 방식에서는, 직경이 변하는 홀이 생성된다. 홀의 직경은 핀 외부 직경으로부터 핀 내부 직경으로 가면서 점차 증가한다. 홀은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원활 절단부 및 원뿔 형상을 갖는 잔류 파괴 구역으로 이루어진다. 핀 외부 직경으로 넘어가는 천이부에서는, 라운딩 처리부 또는 챔퍼 형상의 에지 파괴부가 함께 형성된다. 내부 직경으로의 천이는 거의 이물질 없이 이루어진다. 그에 상응하게, 이물질 제거 시 절감 효과가 나타난다.
벽 두께가 다만 종축의 측에서만 측정되는 경우에, 예컨대 100Cr6 또는 16MnCr5와 같은 냉간 경화된 재료에 대한 벽 두께와 홀 직경의 비율은 대부분 0.7 내지 1.5이다. 이는 이미 재료 100Cr6에서 지금까지 기술적으로 가능한 범위의 경계선에 있다.
오일 윤활 홀을 원뿔 형상으로 구현하는 것은 기능 충족을 위해 다만 하위의 역할만을 하는데, 그 이유는 오일 관류량이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해서 거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원뿔 형상으로 구현된 안전 핀 홀은 핀 연결부를 구조적으로 설계할 때에 고려되어야만 한다.
가로 방향 홀 천공에 의해서는, 이제 유성 기어 장치 핀에서 반경 방향 보어를 절단 방식으로 제조하기 위한 유리하고도 견고한 대안이 나타난다. 이물질 생성과 관련하여, 홀을 위해서는, 예를 들어 블랭크를 압출 가공하는 경우에 냉간 경화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과 같은 핀 재료의 더 높은 강도가 바람직하다.
반경 방향 개구, 다시 말해 유체 안내 관통 개구는, 축 방향 개구/내부 보어가 관통 보어/관통 홀로서 또는 블라인드 홀/블라인드 홀 보어로서 구현된 유성 기어 장치 핀에 설치될 수 있다.
윤활유 공급을 위한 유체 안내 관통 개구는 실린더/유성 기어 장치 핀의 다양한 평면에 임의의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대부분,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1개 내지 2개의 유체 관통 개구는, 실린더/유성 기어 장치 핀의 중간 평면에서 둘레에 분포된 상태로 존재한다.
안전 핀을 수용하기 위한 유체 안내 관통 개구는 전면 근처에서 외부 직경에 설치되어 있다. 유성 기어 장치 핀에는, 유성 기어 장치 핀을 조립할 때에 반경 방향 개구, 다시 말해 유체 안내 관통 개구의 의도한 바대로의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추가의 배향 특징부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성 기어 장치 핀의 경우에 천공에 의해서 유체 안내 관통 개구/가로 방향 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본 발명의 중심에는, 또한 천공에 의해서 설치된 상기와 같은 가로 방향 홀/유체 안내 관통 개구를 갖는 유성 기어 장치 핀도 존재한다. 본 발명의 틀 안에서는 또한 가로 방향 홀/유체 안내 관통 개구를 갖는 유성 기어 장치 핀도 발생될 수 있다는 사실이 중요한 것으로서 드러났으며, 이 경우 각각의 홀/각각의 유체 안내 관통 개구는 거친 표면 재료를 갖는 협착 구역을 구비한다. 유성 기어 장치 핀이 보울 압출 가공에 의해서, 세로 방향으로 정렬된 (블라인드/관통)홀/가로 방향 (블라인드/관통)홀을 구비하여 제조될 수 있다는 사실이 언급되며, 이 경우 핀은 압출 가공에 의해서 제조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바람직하게 압출 가공에 의해서 제조되고 내부 면 또는 에지에, 가로 방향/세로 방향으로 정렬된 관통 홀 또는 블라인드 홀의 내부 원통형 측에서 입구에 이미 언급된 개구 형태의 조립 마킹을 갖는 유성 기어 장치 핀과도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 부분에는, 분할 출원의 대상일 수도 있는 상이한 실시예들이 기술되어 있다.
도 1은 세로 방향으로 정렬된 블라인드 홀 형태의 하나의 개구 및 2개의 유체 안내 관통 개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성 기어 장치 핀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종단면을 도시하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역(Ⅱ)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윤활유를 관통시키기 위해 제공된 제1 유체 안내 관통 개구 및 안전 핀을 수용하기 위한 추가의 유체 안내 관통 개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성 기어 장치 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4는 도 1 및 도 3에 상응하지만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블라인드 홀 형태의 개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성 기어 장치 핀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종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5는 리세스 형태의 조립 마킹을 갖는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종단면도로 도시하며, 그리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영역(Ⅵ)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면들은 다만 개략적인 성격을 갖고, 본 발명을 이해시킬 목적으로만 이용된다. 동일한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제공되어 있다. 개별 실시예들의 특징부들은 서로 교환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성 기어 장치 핀(1)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유성 기어 장치 핀(1)은 블랭크로부터 제조되었고,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2)를 구비한다. 세로 방향은 회전 축/대칭 축/종축(3)에 의해서 확정되었다.
유성 기어 장치 핀(1)은, 횡단면 상으로 볼 때에 원형의 외부 윤곽을 갖는 외부 재킷 면/외부 표면(4)을 구비한다. 재킷 면(4)으로부터 벽(5)을 관통해서 유체 안내 관통 개구(6)가 연장된다. 특별히, 2개의 유체 안내 관통 개구(6)가 하나의 동일한 가로 평면에 존재한다. 유체 안내 관통 개구(6)는 유성 기어 장치 핀(1)의 회전 축/대칭 축/종축(3)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특히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다. 유성 기어 장치 핀(1)은 제1 단부(7) 및 제2 단부(8)를 구비한다. 제2 단부(8)에는 홈(9)이 존재한다. 개구(2)는 홈(9)에 인접하는 가로 리브(10)까지 연장된다.
유체 안내 관통 개구(6)는 비-절단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특히 성형 기술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별히 천공되어 있는데, 말하자면 가로 방향으로 천공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는 정확하게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지만, 5°까지의 편차는 수용 가능하다.
도 2에는, 유체 안내 관통 개구(6)의 영역에 있는 벽(5)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유체 안내 관통 개구(6)는 벽(5)의 반경 방향 내부 면에 있는 입구(11)로부터 외부 재킷 면(4)에 있는 출구(12)까지 연장된다. 유체 안내 관통 개구(6)의 가장 좁은 영역에서 직경(d)이 측정된다. 벽(5)은 두께(s)를 갖는다. sd의 비율은 0.7 내지 1.5이다. 입구(11)의 영역에는 잔류 파괴 영역(13)이 존재한다. 상기 잔류 파괴 영역(13)에는 원활 절단 영역(14)이 연결된다. 더욱 반경 방향 외부로, 상기 원활 절단 영역(14)에는 에지 파괴 영역(15)이 연결된다.
도 3 및 도 4에는 2개의 또 다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각각 단부에 더 가까운 유체 안내 관통 개구(6)는 안전 핀을 수용할 목적으로 제공되어 있다. 하지만, 도 3 및 도 4의 2개의 유성 기어 장치 핀(1) 각각에 있는 2개의 유체 안내 관통 개구(6)는 동일하게 구현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조립 마킹(16)을 갖는 특별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조립 마킹은 리세스(17)의 형태를 따라, 예컨대 소성 변형 흔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1: 유성 기어 장치 핀
2: 개구
3: 회전 축 / 대칭 축 / 종축
4: 외부의 재킷 면 / 외부 표면 / 외부 재킷 면
5: 벽
6: 유체 안내 관통 개구
7: 볼트의 제1 단부
8: 볼트의 제2 단부
9: 홈
10: 가로 리브
11: 유체 안내 관통 개구의 입구
12: 유체 안내 관통 개구의 출구
13: 잔류 파괴 영역
14: 원활 절단 영역
15: 에지 파괴 영역
16: 조립 마킹
17: 리세스

Claims (6)

  1. 제1 단부(7) 및 마주 놓여 있는 제2 단부(8)를 갖는, 유성 캐리어와 유성 기어 사이에 있는 유성 기어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유성 기어 장치 핀(1)이며, 일 단부(7, 8)로부터 유성 기어 장치 핀(1)의 종축(3)을 따라 개구(2)가 상기 유성 기어 장치 핀 내부로 연장되며, 리세스(17) 형태의 조립 마킹(16)이 존재하는, 유성 기어 장치 핀에 있어서,
    압출 가공된 유성 기어 장치 핀(1)의 재료 내 개구(2)의 반경 방향 내부 면에서 일 단부(7, 8)로부터 종축(3) 방향으로 내측에 조립 마킹(16)이 배열되어 있고, 조립 마킹(16)은 소성 변형 흔적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기어 장치 핀(1).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유성 기어 장치 핀(1)의 제1 단부(7) 또는 유성 기어 장치 핀(1)의 제2 단부(8)에 가장 가깝게 놓여 있는 핀 재료가 세로 방향에서 볼 때에는 리세스의 단부로부터 원위(distal)에 존재하여, 개구(2)의 반경이 리세스(17)로부터 일 단부(7, 8)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기어 장치 핀(1).
  4.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유성 기어 장치 핀(1)이 삽입되어 있고 유성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성 캐리어를 갖는, 자동차 구동렬용 유성 기어 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유성 기어 장치 핀(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유성 기어 장치 핀(1)을 압출 가공할 때에 조립 마킹(16)은 유성 기어 장치 핀(1) 내부에 비-절단 방식으로 형성되는, 유성 기어 장치 핀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종축(3)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정렬된 하나 이상의 유체 안내 관통 개구(6)가 성형 기술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기어 장치 핀의 제조 방법.
KR1020187035861A 2016-06-14 2017-04-25 단부 측 조립 마킹을 갖는 유성 기어 장치 핀 및 유성 기어 장치 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400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0526.4A DE102016210526B4 (de) 2016-06-14 2016-06-14 Planetenradgetriebebolzen mit endseitiger Montagemarkier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Planetenradgetriebebolzens
DE102016210526.4 2016-06-14
PCT/DE2017/100334 WO2017215695A1 (de) 2016-06-14 2017-04-25 Planetenradgetriebebolzen mit endseitiger montagemarkier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planetenradgetriebebolz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636A KR20190018636A (ko) 2019-02-25
KR102400463B1 true KR102400463B1 (ko) 2022-05-20

Family

ID=58873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861A KR102400463B1 (ko) 2016-06-14 2017-04-25 단부 측 조립 마킹을 갖는 유성 기어 장치 핀 및 유성 기어 장치 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400463B1 (ko)
CN (1) CN109312845B (ko)
DE (1) DE102016210526B4 (ko)
WO (1) WO201721569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17138A1 (de) * 2007-04-11 2008-10-16 Zf Friedrichshafen Ag Anordnung eines Planetenbolzens in einem Planetenträger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Planetenbolzen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000388U (de) 1970-01-08 1970-06-04 Carobronze Gmbh Schmiervorrichtung fuer leitlager.
DE3501400C1 (de) * 1985-01-17 1986-10-09 Ford-Werke AG, 5000 Köln Befestigungsanordnung fuer als Hohlbolzen ausgebildete Plantenradbolzen in Planetenradtraegern von Planetenradgetrieben
DE19945242A1 (de) 1999-09-21 2001-03-22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lanetenträgers
JP3826995B2 (ja) * 2000-02-16 2006-09-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キャリヤの製造方法
JP2003227550A (ja) * 2002-02-01 2003-08-15 Nsk Ltd 遊星歯車装置
DE102006004720B4 (de) 2006-02-02 2015-07-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Bolzen in einem Planetentrieb und Verfahren zu dessen endseitiger Bearbeitung
DE102006049988A1 (de) 2006-10-24 2008-04-30 Schaeffler Kg Schwingungstilger
DE102006049998A1 (de) 2006-10-24 2008-04-30 Zf Friedrichshafen Ag Anordnung eines Bolzens in einer Bohrung und Verfahren zur Positionierung und Sicherung des Bolzens in der Bohrung
WO2009100202A1 (en) 2008-02-07 2009-08-13 The Timken Company Planet shaft locating pin
DE102009028509A1 (de) 2009-08-13 2011-02-17 Zf Friedrichshafen Ag Befestigungsanordnung eines Planetenradbolzens
CN102003522A (zh) * 2010-11-08 2011-04-06 扬州保来得科技实业有限公司 电动工具齿轮箱行星支架的制备方法
DE102011007801A1 (de) 2011-04-20 2012-10-2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gerbolzen für ein Planetengetriebe, sowie Trägeranordnung für ein Planetengetriebe
DE102012210689A1 (de) * 2012-06-25 2014-04-17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Vorrichtung mit gegeneinander beweglichen Elementen, vorzugsweise Planetentrieb
DE102013216795A1 (de) 2013-08-23 2015-02-26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Planetentrieb mit einem Planetenträger, Planetenbolzen und mit auf den Planetenbolzen drehbar gelagerten Planetenrädern
US9279492B2 (en) 2014-03-18 2016-03-0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Orientation-free planetary pin for lubrication of planetary bearings
DE102015207114A1 (de) 2014-05-14 2015-11-1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Planetenbolzen zur Schmierung von Planetenradlager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17138A1 (de) * 2007-04-11 2008-10-16 Zf Friedrichshafen Ag Anordnung eines Planetenbolzens in einem Planetenträger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Planetenbolz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636A (ko) 2019-02-25
CN109312845B (zh) 2022-01-25
CN109312845A (zh) 2019-02-05
DE102016210526A1 (de) 2017-12-14
DE102016210526B4 (de) 2023-06-15
WO2017215695A1 (de)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2465B1 (de) Getriebe mit einem ersten und einem zweiten gehäuseteil
US20070010365A1 (en) Planet carrier for a planetary drive
WO2001007762A1 (de) Hohlwelle mit innenkanälen, insbesondere ölkanälen
US20140087908A1 (en) Oil trap ring disk for a planet wheel carrier
DE102015207114A1 (de) Planetenbolzen zur Schmierung von Planetenradlagern
JPWO2006126622A1 (ja) 孔開け加工方法及び孔開け加工装置
DE10331348A1 (de) Lagereinheit
US8303461B2 (en) Machine element
KR102400463B1 (ko) 단부 측 조립 마킹을 갖는 유성 기어 장치 핀 및 유성 기어 장치 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9990029184A (ko) 차량 전동조립체 클러치 하우징 형성 방법 및 장치
EP1761725B1 (de) Ölversorgungseinrichtung
DE102014217396B4 (de) Belastungsoptimiertes asymmetrisches Planetenträgerdesign
DE102013209579B3 (de) Getriebeeinheit
DE10359645B4 (de) Radlagermodul in einem Radträger
DE102006059563A1 (de) Distanzring und Baugruppe mit Distanzring
DE102015200463B4 (de) Planetenradlagerung mit axial und radial abgestützter Hülse
DE10005544A1 (de) Schwingungsdämpfungseinrichtung
CN210034351U (zh) 两挡电动变速器的输入轴结构
WO2017215694A2 (de) Querlochstanzen von planetenradgetriebebolzen und planetenradgetriebebolzen mit doppelkonischen fluidleitdurchgangsöffnungen
DE10359646A1 (de) Radlager in einem Radträger
DE102011076277A1 (de) Planetenradträger
DE102010011789A1 (de) Vorrichtung, aufweisend ein Gehäuse und Funktionstei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triebereihe
DE102015220723A1 (de) Schmiervorrichtung für ein Planetenradgetrieb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miervorrichtung
JP6783304B2 (ja) 内歯及び冠歯を備えた内歯車、その内歯車の製造方法、及びその内歯車を備えたシフト型変速機
DE102004038952B4 (de) Lagerträger und Lageranordnung mit dem Lagerträ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