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842B1 - 감응 및 작동이 동시에 가능한 햅틱 장치 - Google Patents

감응 및 작동이 동시에 가능한 햅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842B1
KR102399842B1 KR1020167023949A KR20167023949A KR102399842B1 KR 102399842 B1 KR102399842 B1 KR 102399842B1 KR 1020167023949 A KR1020167023949 A KR 1020167023949A KR 20167023949 A KR20167023949 A KR 20167023949A KR 102399842 B1 KR102399842 B1 KR 102399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s
touch
finge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2828A (ko
Inventor
마이클 에이. 페쉬킨
제임스 이. 콜게이트
마이클 에프.디 올리
Original Assignee
탄바스, 아이엔씨.
노오쓰웨스턴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탄바스, 아이엔씨., 노오쓰웨스턴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탄바스,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132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동시 감응 및 작동을 이용하여 멀티-포인트 햅틱스를 생성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및 장치가 개시된다. 하나의 구성으로, 기판의 전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전극이 패턴으로 배열되며, 전극에 하나 이상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햅틱효과를 생성하며 전극에 하나 이상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터치 포인트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전자 제어장치에 연결된다. 또 다른 구성으로, 전자 제어장치는 전극에 양 및/또는 음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햅틱 효과를 생성하며 전극에 양 및/또는 음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터치 포이트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기판에 햅틱 효과를 생성하며 동시에 기판에 대한 손가락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터치 인터페이스의 기판 상의 단일 세트의 전그글 이용하는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감응 및 작동이 동시에 가능한 햅틱 장치{HAPTIC DISPLAY WITH SIMULTANEOUS SENSING AND ACTUATION}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2월 21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제61/942,983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의 전체 내용이 참조로 의해 여기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기초
본 발명은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의 보조금 번호 IIS-0964075 및 IIP-1330966에 의한 정부지원으로 완성되었다. 정부는 본 발명에 대해 일정한 권리를 갖는다.
본 발명은 표면 햅틱 장치(SHD)용 터치 인터페이스, 특히 사용자의 개별 손가락에 대해 독립된 햅틱 효과(haptic effects)를 구현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포인트 햅틱스(multi-point haptics)를 제공할 수 있는, 감응 및 작동이 동시에 가능한 터치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터치 인터페이스는 랩톱 컴퓨터, 게임 장치, 자동차 계기판, 키오스크(kiosk), 수술실, 공장, 자동출납기(automatic teller), 및 카메라와 전화기 같은 다양한 휴대용 장치에서 발견될 수 있다. 터치 인터페이스는 별개의 기계적인 제어가 하지 않는 플렉서블 인터랙션(flexible interaction)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오늘날의 터치 인터페이는 인간 경험의 중요한 부분인 햅틱스(haptics)를 희생한다. "햅틱스(haptics)"는 터치와 연관된 인식 체계를 말한다. 햅틱스는 우리가 형(型)(type)을 터치하고, 어둠 속에서 전등 스위치를 발견하고, 나이프와 포크를 쓰고, 개를 쓰다듬어 주거나 배우자의 손을 붙잡도록 한다. 햅틱스는 단지 각자의 손을 움직이는 것에 관한 것이 아니라 사물을 느끼고, 객체(이들을 보지도 않고)를 인식하고, 그리고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을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진동 형태의 햅틱스는 무선호출기, 핸드폰 및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제품의 친숙한 특성이다. 진동이 경고신호(alarm)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나, 점차로 터치 화면과 같은 터치 표면을 사용할 때 인간의 손(특히 손가락들)에 대한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터치 패드및 다른 터치 제어용 햅틱 피드백"이라는 명칭의 미국특허 제6,429,846호와 같은 선행기술은 진동에 기초한 햅틱 피드백을 위한 수많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해결책을 기술하고 있다. 기술은 무선호출기에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던 것보다 상당히 진보되었다. 진동 프로파일의 고 대역폭(bandwidth)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압전 액츄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의 사용은 이용경험을 향상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동방식은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터치 표면이나 터치 화면을 터치하는 손가락 끝에서 뿐만 아니라 장치를 쥐고 있는 손에서 어떠한 효과가 느껴지도록 장치 전체가 진동한다. 더욱이, 장치 전체가 진동하기 때문에 화면을 터치하는 각 손가락 끝이 동일한 효과를 경험하므로, 멀티-포인트 햅틱스를 지원하지 않는다.
최근에, 손가락 끝에 국지화된 진동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써 정전기 작동이 시도되어왔다. 미국특허 제7,924,144호와 같은 선행기술은 터치 표면상의 다양한 질감(texture)을 감지하도록 하는 손가락 끝의 진동을 생성하기 위해 정전기력을 이용한다. 이 기술은 피부 표면 이외에서는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이 기술은 간단하게 화면의 동일 표면상에 복수의 전극을 사용함으로써 멀티-포인트 햅틱스를 지원할 가능성을 가지나, 실제로 수행하는 것은 어렵다. 한가지 이유는 투명 화면의 변부 근방에 있지 않은 전극들에 대한 저저항 전기접점을 만드는 것이 곤란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복수의 전극 중, 변부 근방에 있지 않은 전극들은 천천히 충전된다. 또 다른 이유는 햅틱스가 손가락 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일부 수단들과 공존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멀티-터치 감지를 위한 가장 흔한 기술은 역시 정전하를 이용하는, "투영식 정전용량(projected capacitive)" 감응이다. 정전기 햅틱스와 투영식 정전용량 감응 사이의 상호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행기술은 터치 화면 전체 크기의 햅틱스용 단일 전극을 이용한다.
멀티-포인트 햅틱스
본 발명자들의 일부에 의한 공동 계속중인 특허출원(정전기 멀티-터치 햅틱 디스플레이란 명칭의 미국특허출원 제13/468,818호)은 멀티-포인트 정전기 햅틱스를 달성하는 여러 방식을 기술하고 있다. 일부 기술은 배경기술로서 여기에 기술된다. 예를 들면, 정전기 햅틱스의 기초는 전기장을 통한 터치 인터페이스의 터치표면과 손가락 끝 사이의 통상적인 힘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의 결과로서의 마찰력의 변조(modulation)이다. 전기장은 손가락 끝과 터치 표면 사이의 접촉지점에 발생된다. 이는 기판(substrate)의 터치 표면 근방에 하나 이상의 전극을 위치시키고, 이들 전극을 유전체 층(dielectric layer)으로 손가락 끝과 절연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전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해 손가락 끝을 관통하는 회로가 폐쇄되어야 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두 주요 방식이 있다.
선행 기술은 미국특허 제7,924,144호의 도면인 도 1a에 도시된 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바, 손가락-유전체-전극 시스템의 전기 용량(capacitance)은 신체의 다른 지점의 제2 접점을 통과하여 폐쇄되는 회로의 일부로서, 이 회로는 신체의 상대적으로 큰 정전 용량을 이용하여 완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a는 두 지점이 손가락 끝인, 별도의 두 접속 사이에서 폐쇄되는 전기 회로를 갖는 용량성 전기감응 인터페이스(capacitive electrosensory interface)를 수행하는 장치를 보여준다.
본 발명자들은, "제어가능한 전단력을 인간 부속지에 적용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출원 제13/468,695호의 도면과 유사한, 도 1b에 도시된 대체방법을 창안하였는바, 두 별개의 전극(E 와 E')(햅틱 장치)이 절연층(L)에 의해 피복되며 단일 접점, 즉 터치 위치에서 기판(미도시)의 전면 즉 상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회로는 신체의 나머지를 포함하지 않은 채, 단일 터치, 즉 손가락 끝 자체를 관통하여 폐쇄된다. 이것은 신체의 다른 부분의 관여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며, 또한 여기에서 기술될 다른 장점을 갖는다.
2-전극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터치면에 적당한 전극쌍의 배열을 생성할 필요가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와 같은 장치(2)를 위한 이러한 배열을 얻기 위한 한가지 방법은 전극(8,10)을 포함하는 전극 쌍(6)이 구비된 상면, 즉 터치면을 타일화하는(tile) 것이다. 이 전극의 상부층은 전극(8,10)이 면(4)의 요구된 곳에 정확히 위치될 수 있으며 모든 전극들이 같은 전도층으로부터 패턴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와이어는 전극과 같은 전도성 재료로 패턴화되거나 더 높은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각각의 전도성의 얇은 트레이스(14,16)가, 변부 근방이 아닌 전극들과 같은, 전극의 다수와 접속되어야 할 필요성과 관련하여 선행 기술에 존재하는 단점을 갖는다. 충분히 낮은 저항을 갖는 이 트레이스(14,16)는, 특히 다른 디자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투명해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조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 방법의 또 다른 잠재적인 단점은 터치면이 커질수록 전극의 개수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만일, x축이 N개의 전극을 필요로하고 y축이 M개의 전극을 필요로 한다면, 쌍을 이루는 전극의 총 개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M*N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극 쌍을 구비한 표면을 타일화하는 이 방법과 같은 패턴화는 특정 환경, 예를 들면, 보다 작은 화면크기를 갖는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장치의 터치면을 위한 전극배열을 만드는 제2의 방법은 도 3a에 도시되어 있으며, "격자(lattice)"로 불린다. 도 3a의 다이아그램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전극 배열에 초점을 두고 있다. 다이아몬드 형상 전극의 라인들의 격자 네트워크 형태의 패턴이 도시되어 있으나, 전극의 이러한 형상 및 패턴이 사용될 필요는 없고 쌍으로 작용할 수 있는 N*M 전극으로 표면(여기서는 전체적으로 평면으로 도시된)을 피복하는 것이 강조된다. 이 도면에서, 전극(20)은 제1축(예를 들면, x-축)과 평행하며, 전극(22)은 제2축(예를 들면, y-축)에 평행하다. y-축 전극(22)이 x-축 전극(20)과 교차하는 영역은 (도 1b에서 도시된 것처럼) 2-전극 영역을 형성하여서 여기에서 정전기력이 손가락 끝과 같은, 사용자의 피부에 가해질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떠한 전극(20)(x-축) 및 전극(22)(y-축)도 쌍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극(20,22)에 다른 전압이 가해지면, 전극(20,22)의 각 라인의 교차점은 손가락이 증가된 정전기력을 경험하게 될 활성 영역, 즉 지역이 된다. 실제로, AC 전압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가해진 전압이 서로 180도 위상이 다른 경우 최대 정전기력이 발생된다.
정전기력의 크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조될 수 있다. 몇가지 예로, 한가지 방식은 전극에 가해지는 전압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것이다. 다른 방식은 전극에 가해지는 전압 파장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변경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방식은 전극(20,22)에 대한 전하의 측정에 기초한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 다른 방식은 전극(20,22)에 대한 전압 사이의 위상 관계를 변경시키는 것이다. 정전기력은 두 전극(20,22)에 대한 전압이 서로 위상이 완전히 다른 경우 최대로 되며, 같은 위상인 경우 최소로 되는바 이때 회로는 손가락 끝과 같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터치, 접촉 또는 맞물림을 통해 더 이상 국부적으로 폐쇄되지 않고 사용자의 나머지 신체의 전기 용량을 통해 폐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손가락으로부터 전극까지의 전기 용량을 Cf, 신체의 나머지로부터 장치 접지까지의 전기용량을 Cb라면, 감쇠율(attenuation factor)(다른 위상으로 전극을 터치할 때의 힘에 대한 같은 위상으로 전극을 터치할 때의 힘의 비)은 다음과 같다:
감쇠율 =
Figure 112016084518906-pct00001
통상적으로, Cf는 Cb보다 상당히 커서(적어도 5배) 감쇠율은 상당히 크다: 10 배수(an order of magnitude) 보다 크다.
격자 네트워크 형태의 패턴 또는 구성 역시 어느 정도까지는 멀티-포인트 햅틱을 지원한다. 이는 도3b에 도시되어 있는바, 제1축(예를 들면, x-축)에 평행한 전극(24)과 제2축(예를 들면, y-축)에 평행한 전극(26)을 더 포함하는 전극의 격자 네트워크를 갖는 패턴을 보여주며, 이때 전극(24,26)의 라인 사이의 트레이스 교차점 뿐만 아니라 전극(20,22)의 라인 사이의 교차점 각각은 제1 타원형으로 표시된 제1 손가락 끝(F)과 제2 타원형으로 표시된 제2 손가락 끝(FF)의 각 손가락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을 형성 또는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멀티-포인트 능력이 깨질 수 있는 손가락 위치들이 있다. 예를 들면, 두 손가락이 동일 전극에 놓이면, 두 손가락에 매우 다른 정전기력을 가하는 것이 어렵다. 그 이유는 사용자의 신체를 통과하는 손가락 대 손가락의 임피던스는 손가락 대 전극의 임피던스(1/(ωCf), 여기서 ω는 AC 여자(excitation)의 주기, 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활성 x-축 전극 상의 제2 손가락은 여전히 제1 손가락 끝 아래에 있는 활성 y-축 전극의 이점을 갖는다. 이 예에서 x 와 y는 바뀔수 있음을 유의하라. 각 손가락에 대한 정전기력이 다른 손가락에 대한 정전기력과 독립적임을 보장하기 위해, 손가락들은 다른 회로의 일부일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도2의 배열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나, 단점을 갖는다.
멀티-터치 감지
가장 최신식 멀티-터치 감응기는 "투영식 정전용량"(pCap)이다. 이 감응기들은 일반적으로 판상 배열로 놓이고 제1축(예를 들면, y-축)에 평행한 송신 전극(Tx)과 제2축(예를 들면, x-축)에 평행한 수신 전극(Rx) 사이의 상호 용량(mutual capacitance)에 기초하여 작동하며, 따라서 상호 수직하게 배열된다. 다양한 전극패턴이 사용되나, pCap 감응기에 대해 가장 흔한 것은 도4에 도시된 맞물린 다이아몬드 패턴(interlocked diamond pattern)이다. Tx 및 Rx 라인들은 상이한 층에 있거나 같은 층에 있으나, 라인들이 교차하는 곳에서는 브리지가 형성되어서 Tx 라인과 Rx 라인 사이의 접촉은 발생하지 않는다.
각 Tx 라인으로부터 각 Rx 라인까지 용량 결합(capacitive coupling)이 존재하며 상호 용량은 손가락이 전극의 두 라인의 교차점 근방에 위치하면 감소된다. 사실상 손가락은, Zimmerman 등,1995 에서 채용한 도5a에 나타낸 것처럼, Rx 라인에 도달할 전기장 라인의 일부를 "훔친다(steal)". 이러한 "인간 분로(human shunt)"는 pCap 감응을 위한 표준 모드이다. 각 Tx-Rx 쌍에 대한 상호용량을 측정하고(이를 위한 수많은 공지기술이 있음) 결과를 보간함으로써(interpolating) 각 손가락의 중심이 확인될 수 있다.
동일한 전극패턴이 상호 용량이 아닌 자기 용량(self-capacitance)을 사용하여 손가락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수직 라인들(Rx 및 Tx 라인들)은 동등하게 취급된다. 각 전극(Rx 또는 Tx 라인 내의)은 접지에 대한 전기용량을 가지며 이 용량은 손가락이 근방에 있게 되면 증가된다. 이는 손가락이 주어진 어떤 라인을 따라 어디에 있는가를 검출하는 것을 특히 용이하게 만든다. X 및 Y 좌표는 x-축 Tx 및 y-축 Rx 전극 라인 양자를 조회함으로써 개별적으로 발견된다. 이 방식은 멀티-터치 감응을 그렇게 잘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이 한계이다. 두 손가락이 터치면에 있을 때 발생하는 것을 고려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전극의 2개의 x-축 Tx 라인과 전극의 2개의 y-축 Rx 라인이 응답할 것이다. 그러나 이들 라인들은 2 지점이 아닌 4 지점, 예를 들면, (x1,y1)(x1,y2)(x2,y1)(x2,y2)에서 교차한다. 두 위치는 올바르나 다른 두 위치는 식별오류, 즉 "고스트(ghosts)"이다. 이러한 시스템의 경우, 고스트로부터 실제의 손가락을 명확하게 하는 간단한 방법은 없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이 청구된 주제의 실행에 의해 알게 될 뿐만 아니라 후술될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멀티-포인트 햅틱스를 용이하게 하도록 감응 및 작동을 동시에 제공하는 터치 인터페이스용 제어장치를 갖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가들이 "동시 감응 및 작동(simultaneous sensing and actuation)"(SSA)이라 부르는, 멀티-포인트 햅틱스를 생성하는 신규하고 비자명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는 전극의 두 층을 이용한다: 햅틱스(여기서는 햅틱 장치를 말함)용 상부 층(절연 기판 또는 쉬트의 터치면 근방) 및 신뢰할만한 감지(여기서는 감응 장치를 말함)용 하부, 또는 후방 층(절연 기판 또는 쉬트의 하부 또는 후방면에 부착된 및/또는 상부 층에 비해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내의 더 깊은 층에 위치한 하부, 후방 또는 더 깊은 층을 말함). 그러나, 상부 전극이 감응을 위해 사용되거나, 선택에 따라서는 더 깊은 층의 전극이 감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두 전극들은 실질적으로 상호 동일한 패턴을 갖는다. 이들은 여기서 "거울상 전극(mirrored electrodes)"이라 불린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개시는 표면 햅틱 장치 및 감응 장치의 양자 역할을 할 수 있는 터치 기판의 전면에 배치된 전극의 단일 배열을 이용한다.
제1 양상으로, 본 개시는 절연 기판; 기판의 전면에 연결되며 패턴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전극; 각 전극을 하나 이상의 전압 레벨에 연결하는 전자 제어장치로 구성되되; 전자 제어장치는 하나 이상의 전압을 전극에 인가함으로써 햅틱 효과를 생성하며; 전자 제어장치는 하나 이상의 전압을 전극에 인가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터치 포인트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감응 및 작동이 동시에 가능한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2 양상으로, 본 개시는 절연 기판; 기판의 전면에 연결되며 패턴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전극; 각 전극을 양 전압 또는 음 전압에 연결하는 전자 제어장치로 구성되되; 전자 제어장치는 양 전압 및/또는 음 전압을 전극에 인가함으로써 햅틱 효과를 생성하며; 전자 제어장치는 양 전압 및/또는 음 전압을 전극에 인가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터치 포인트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감응 및 작동이 동시에 가능한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3 양상으로, 기판에 햅틱 효과를 생성하며 동시에 기판에 대한 손가락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터치 인터페이스상의 단일 세트의 전극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햅틱 효과는 기판에 적용된 제1 서브 세트의 전극을 선택하고 전압 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제1 서브 세트의 전극을 양 또는 음의 전압으로 상승시키며, 다음으로 제1 서브 세트의 전극을 전압 공급장치와 분리시키며, 다음으로 제2 서브 세트의 전극을 선택하고 제2 세트의 전극을 양 또는 음의 전압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전류 또는 전하를 감시하면서 전압 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제2 세트의 전극을 양 또는 음의 전압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생성된다.
여기에 개시된 터치 인터페이스는 기판의 전면에 연결된 각 표면 햅틱 장치와, 이를 따라 정렬되며 기판의 후면에 연결된 각 감응 장치 사이에 강한 용량 결합을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이 강한 용량 결합은 표면 햅틱 장치와 연관된(예를 들면, 손가락에 의해 터치로 인한) 전기 용량의 변화가 감응 장치로부터 검출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여기에 개시된 터치 인터페이스의 경우, 햅틱 효과를 위해 정전기 작동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은 또한 전기 용량에 기초한 기판 전면상의 손가락 위치의 감응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후술될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이고 단지 설명을 위한 것으로, 청구될 발명의 주제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특징 및 목적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후술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로부터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술함에 있어,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도 1a는 용량성 전기감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선행 특허장치의 도면으로, 서로 다른 두 손가락에 이해 접촉되는 별개의 두 접촉 지점 사이에서 폐쇄되는 전기회로를 갖는다.
도 1b는 본 발명자들에 의한 동시 계속중인 출원으로부터의 도면으로, 하나의 손가락에 의해 동일 접촉지점에서 상이한 두 전극을 통과하는 전기회로의 폐쇄를 보여준다.
도 2는 모바일 장치와 같은 장치를 위한 전극 배열의 다이아그램이다.
도 3a는 격자 네트워크인 제1 예시의 전극패턴의 다이아그램이다.
도 3b는 격자 네트워크의 예시적인 전극패턴의 다이아그램으로 멀티-포인트 햅틱스를 보여준다.
도 4는 pCap 감응기에 사용될 수 있는 전극의 다이아몬드 패턴을 보여주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5a는 pCap 감응을 위한 표준모드로서 "인간 분로"를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5b는 pCap 감응을 위한 제2 효과로서 "인간 송신기"를 나타내나 전극이 시판의 전면에 있을 때 주된 효과일 수 있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6은 전면 또는 상부(햅틱) 층의 패턴과 전극과 후면 또는 하부(감응) 층의 전극의 패턴이 실질적으로 유사한 "거울상 전극"의 이용을 나타내는 터치 인터페이스의 간략화된 다이아그램으로, 도시의 편의상, 층들 사이의 수직 분리는 크게 과장되었으며 전극의 몇몇 라인만이 매우 간단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7a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이 하부면(감응) 전극을 나타내는 표준 또는 전형적인 pCap 전기배열의 다이아그램이다.
도 7b는 손가락이 송신기로서 작용하는 거울상 전극의 전기배열 다이아그램이다.
도 8a는 3회 대칭을 갖는 전극의 다이아그램이다.
도 8b는 3회 대칭을 갖는 도 8a의 전극을 위한 브리지 기술을 보여주는 다이아그램으로, 맞물린 다이아몬드 패턴의 전극에 대해 요구되는 것과 동일한 처리를 요구한다.
도 9a는 원은 손가락의 터치를 나타내며, 두 손가락 및 3회 대칭의 경우, 식별오류 또는 "고스트"는 하나의 위치에서 교차해야만 하는 3개의 "생"전극을 요구하기 때문에 고스트가 일어날 수 없는 것을 보여주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9b는 도 9a와 유사한 다이아그램으로, 세 손가락 및 3회 대칭의 경우 특정 구성에서만 고스트가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9c는 도 9b와 유사한 다이아그램으로, 3회 대칭의 경우 세 손가락 중 하나가 약간만 이동하여도 고스트가 사라지는 것을 보여준다.
도 10a는 원은 손가락의 터치를 나타내며 라인은 손가락 위치를 감응하는데 사용되는 자기 용량으로부터의 데이타를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10b는 도 10a의 라인 교차점이 계산되어 점들로 나타낸 다이아그램이다.
도 10c는 있을 것 같지 않은 손가락 터치는 배제하기 위해 도10b로부터 계산된 교차점에 대해 클러스터 분석이 사용되어서 고스트가 남아있으나 감소된 것을 보여주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11은 원은 동일 전극(이 예시에서, x-축 공통 전극은 점선으로 표시됨)상에 위치하는 두 손가락을 나타내며, 손가락의 터치는 접지에 대한 고임피던스 연결을 통해 그 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킴으로써 독립적으로 식별될 수 있으며, 힘은 각 손가락 아래를 통과하는 다른 두 전극을 이용하여 각 손가락에 가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12는 도 11과 어느 정도 유사한 다이아그램으로, 3-교차점은 세 손가락 터치에 대해 모든 힘을 할당하기에 부적당한 손가락 터치 배열을 보여준다.
도 13a는 하나의 전극에 대한 하나의 펄스 전압을 보여주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13b는 제1 전극에 대한 하나의 펄스 전압 및 제2 전극에 대한 하나의 그러나 역전된 펄스 전압을 보여주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14는 햅틱 출력의 전형적인 세그먼트 중의 하나의 전극에 인가된 전압을 보여주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15는 비대칭 3- 교차점 패턴의 전극을 보여주는 다이아그램이다.
도면들은 축척에 맞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특정한 배열의 평면도와 단면도, 및 상세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의 일부 기계적인 상세사항은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이러한 상세사항은 본 개시의 관점에서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개시는 예시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들은 간단한 형태로 도시되었는바, 이는 주요한 시스템 및 방법에 초점을 두며, 개시에 필요하지 않으며 도면을 지나치게 복잡하게 만드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피하기 위함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개시는 표면 햅틱 장치(surface haptic device)(SHD) 및 이를 위한 전자 제어장치에서 동시적인 감응 및 작동(simutaneous sensing and actuation)(SSA)을 이용하여 멀티-포인트 햅틱스를 제공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몇몇 실시예를 제공한다.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는 전극이 연결되는 기판과, 햅틱 효과를 발생시키며 손가락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전극과 연결되어 작동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제어장치는 여기에 기술된 방식의 어떤 것도 이용할 수 있으며 전극의 어떤 패턴과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동시적인 감응 및 작동을 갖는 멀티-포인트 햅틱스는 거울상 전극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개시된 SSA 및 고스트의 명확화의 방법들은 거울상 전극의 유리함을 취하나 그 이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실제로, 본 개시의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구성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여러 장치에 대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한 예의 하나는 표면 햅틱 장치 및 감응 장치 양자로 작용할 수 있는, 터치 기판의 전면 또는 상부면에 위치된 전극의 단일 배열을 이용한다. 개시된 주제의 목적 및 장점이 청구된 발명의 실시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후술될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손가락에 대한 힘이 다른 손가락에 대한 힘과 독립적임을 보장하기 위해, 손가락들은 상이한 회로의 일부일 것이 필요하다. 본 개시는 상부면상의 전극의 적어도 세 교차점을 이용하여 적어도 두 손가락에 대한 독립성을 보장하는 방법의 또 다른 장점을 교시한다. 또한, 본 개시는 거울상 전극을 이용하는, 고장 유형(failure mode)을 갖는 시스템을 개시하며, 이에 의해 햅틱 장치가 긁혀지면 햅틱스는 기능하지 않을 수 있으나 정전식 감응(capacitive sensing)은 계속 작동한다.
상호 용량을 이용하는 시스템과 관련하여, 손가락이 전극의 Tx-Rx 라인의 교차점 근방에 위치할 때 두가지 효과를 만든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들은 Zimmerman 등, 1955에 예시되어 있으며, 도 5a에 "인간 분로" 효과로 그리고 도 5b에 "인간 송신기" 효과로 언급된다. 첫번째 효과는 통상적인 pCap 모델인 바, 두번째 효과는 전극이 약 0,1mm 이상으로 손가락으로부터 분리되면 매우 작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전기 햅틱스는 유리 기판의 전방 또는 상부(터치)면에 전극을 위치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들 전극은 통상적으로 마이크론 단위의 얇은 유전체 층만에 의해 손가락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얇은 보호층의 이용은 적절하게 큰 전계강도(electric field strengths)가 합리적으로 낮은 전압(예를 들면, 100볼트 이하)에서 수립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황은 전극이 유리기판의 전면에 있을 때 지배적인 효과가 되도록 분로(shunting)에 대한 송신(transmission)의 중요성을 크게 증가시킨다. 사실상 손가락 끝은 Tx 라인 전극을 Rx 라인 전극과 (거의)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위치가 된다.
절연체가 얇을 때 이러한 영향크기의 역전을 암시하는 몇가지 예가 있다. 한편으로, 송신기 효과는 매우 커서, 전방 또는 상부면 전극이 감응기로 사용된다고 가정하면 이는 높은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SNR)를 달성하는데 유리하다. 반면에, 송신기 효과는 멀티-터치 감응에 적합하지 않은 바, 송신은 단지 하나의 손가락만을 통하여서는 발생하지 않고 신체를 통한 낮은 손가락대손가락(finger-to-finger) 임피던스로 인해 하나의 손가락으로부터 다음 손가락으로 발생한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감응을 위해 전방면 전극을 이용할 것을 선택할 것인가 이다.
전방 또는 상부면 전극과 관련한 잠재적인 어려움은 전극들이 후방 또는 하부 또는 더 깊은 층 전극만큼 잘 보호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전형적인 pCap 감응기에서, 전극(감응장치)은 쉬트 형태의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기판의 뒤에(즉, "후방-면" 또는 더 깊은 층상에) 위치된다. 유리 또는 플라스틱은 소위 "덮개 렌즈(cover lens)" 역할을 하며, 전극이 마모 또는 긁힘에 의해 손상받지 않도록 하는 보호요소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햅틱스를 책임지는 전극(햅틱 장치)은 통상의 전압을 사용하여 큰 질감효과(tactile effect)를 만들기 위해 전방면에 위치할 필요가 있다. 이들 전극을 보호하기 위해, 매우 내구성이 큰 유전체 덮개 또는 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가들은 햅틱장치 및 감응장치 양자로 단일 층의 전극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도 2, 3a, 3b, 4 및 8a-12에 보인 것과 같은 전극 패턴이 사용될 수 있으며 햅틱 장치 및 감응장치 양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보호물질은 많은 터치 인터페이스에 대해 적당한 보호를 제공하나, 상부면 전극에 대해 긁힘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절대적으로 보장할 수는 없다. 수정 및 경화 강(hardened steel)과 같은 일부 통상적인 물질은 이러한 보호물질과 접촉할 때 긁힘을 초래할 정도로 강할 수 있다. 긁힘이 발생하면, 받아들일 수 있다고 입증할 수 있는 하나의 고장모드는 햅틱스는 기능하지 않으나 용량성 감응은 계속 작동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멀티-포인트 햅틱스를 제공하는 향상된 방법과 관련하여 당업계에 또 다른 요구를 남기는 타협안을 제공한다.
감응장치의 보호를 향상시키기 위해, 감응기 전극을 덮개 유리 하부에 위치시키는 pCap 관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표면층상의 햅틱스를 위해 사용되는 전극에 의한 스크리닝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보호층상의 고품질의 멀티-포인트 감응을 달성하는데 문제점을 제공한다. 이것은 "거울상 전극"을 이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맥에서, 용어 "거울상"은 반사면의 마무리(finish)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거울상 전극은 두층의 전극의 이용이다; 햅틱스(여기서는 햅틱장치를 말함)를 위한 상부층(절연 기판 또는 쉬트의 터치 면 근방) 및 감응(여기서는 감응장치를 말함)을 위한 하부층(절연 기판 또는 쉬트의 하부면에 부착된). 두 세트의 전극은 실질적으로 상호 동일한 패턴을 가지며, 따라서 일반적인 의미에서 서로의 거울상(mirror image)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거울상 전극을 이용하는 터치 인터페이스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패턴을 갖는 상부와 하부층의 전극을 가지며, 이때 패턴은, 예를 들면, 도 2, 3a, 3b, 4 및 8a-12에 도시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동시적인 감응 및 작동
따라서, 도 6에 예시된 것처럼, 본 개시의 1 양상은 거울상 전극의 이용으로, 전극(30,32)(햅틱장치)은 전방 또는 상부(터치) 면(34)에 그리고 전극(30'32')(감응장치)은 절연 기판(38) 또는 쉬트의 후방 또는 하부 면(36)에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렬된 전극패턴을 포함한다.
거울상의 개념은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 3a, 3b, 4 및 8a-12의 패턴을 포함하는 임의의 전극패턴까지 확대될 수 있다. 또한 패턴은 불연속 또는 고립된 위치에서 표면 전체까지 표면의 어떠한 위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패턴의 경우, 거울상 배열은 각 전방 또는 상부(터치)면 전극(30,32)과 그 거울상의 또는 유사하게 배열된 후방 또는 하부면 전극(30',32') 사이에 강한 결합 용량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거울상은 유리 또는 다른 기판의 두께가 전형적인 전극 폭보다 상당히 작거나 기판이 비평면일 때와 같이 어느 경우에도 작동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전극은 1mm의 유리 기판을 사용할 때 5mm일 수 있다.
거울상의 결과로, 하부 전극(감응장치)으로 보내진 신호는, 상부면 전극이 하나 이상의 긁힘에 의해 절개된 경우에도, 그 위의 상부면 전극(햅틱 장치)에 신호를 유도할 것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상부면(햅틱) 전극의 저항에 크게 의존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하부면(감응) 전극은 상부면 전극이 긁힘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에도 계속 작동한다. 상부 및 하부면 전극이 일대일 관계로 서로 중첩되면(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인접한 전극 사이에 최소의 신호혼합이 있게 될 것이다. 특히, 상부면 전극이 둘 이상의 하부면 감응전극을 가로질러 위치하지 않으며, 따라서 하부전극의 바람직한 감응능의 혼합 또는 블러링(blurring) 없이, 상부면 전극이 햅틱작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거울상 배열은 몇가지 흥미로운 가능성을 제공한다.
한가지 가능성은 하부 라인의 전극(32')의 일부를 (송신)Tx 전극으로 그리고 다른 것들, 예를 들면 전극(30')을 pCap 감응에서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것처럼 (수신)Rx 전극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Tx-Tx 합류점의 특정 지역 위에 위치된 손가락은 상부면상에 긁힘의 존재와 관계없이 매우 큰 신호를 생성해야 한다. 이것은 도 7b에 예시되어 있는바, 손가락은 송신기로 작동하며 이는 손가락이 분로로 작동하는 도 7a에 도시된 전형적인 또는 표준적인 pCap 구성과 비교될 수 있다. 이 배열은 폭 넓은 파라미터 값들에 대해 전형적인 pCap보다 양호한 신호대잡음비(SNR)을 갖는 강력한 효과를 생성한다. 이 향상된 SNR은 (햅틱스를 위해 특히 유용한) 보다 신속한 감응, 보다 높은 해상도, 보다 낮은 전력소비와 같은 몇가지 잠재적인 잇점을 제공한다.
불행히도, 전술한 강력한 효과는 분로 현상이 아닌 송신 현상 때문이다. 송신은 또한 한 손가락에서 다른 손가락을 통해서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모델은 손가락 터치의 고스트화(ghosting) 또는 인식오류가 일어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두 손가락이 표면의 (x1,y1)(x2,y2)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x1을 따라 보내진 신호는 y1 및 y2에서 결과를 산출할 것이다. 따라서 (x1, y1)은 고스트 손가락 위치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고스트화 없이 고 해상도 멀티-터치 햅틱스를 얻기위해 또 다른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거울상 전극에 의한 멀티-터치 감응
위의 검토로부터, 거울상 전면 또는 상부(햅틱스) 및 후방 또는 하부(감응) 전극은 하부의 작동패턴을 상부로 "투영"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이, 상부 전극으로부터 손가락으로의 강한 용량 결합은 종래의 pCap 감응의 경우보다 상당히 높은 SNR을 허용해야 한다. 불행히도 손가락 터치의 고스트 또는 인식오류는 손가락으로부터 손가락으로의 상당한 신호 전도성과 조합된, 향상된 "인간 송신기"효과(후면 전극의 경우 지배적인 "인간 분로"효과와 대비된)때문에 나타날 수 있다. 상부 전극이 햅틱스 뿐만 아니라 감응을 위해 직접 이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어려움이 발생할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한, 멀티-터치 햅틱스에 대해 새로이 개발된 방식을 제공한다. 각각의 장점을 갖는 4가지 방식이 여기에 개시될 것이다.
방법 1 : 조직 저항률(tissue resistivity)
한 손가락에서 다른 손가락까지의 저항 때문에, 고스트 또는 인식오류는 실제 손가락보다 강도(intensity)가 낮다. 강도 차이의 크기는 상부면 전극으로부터 손가락 끝까지의 용량(~1 nF) 및 하나의 손가락에서 다른 손가락까지의 신체의 내부저항(약 100 내지 1000 오음)에 의해 결정되는 RC 시간상수로 특징지어진다. 이 시간상수는 전극의 저항(인듐-주석 산화물(ITO)을 가정하면, 약 1~10 ㏀) 및 접지에 대한 이 전극의 저항(약 100pF)에 의해 지배되는 전극에 대한 시간상수보다 길다. 만일 손가락대손가락 송신을 위한 시간상수가 전극을 위한 시간상수보다 훨씬 길다면, 손가락을 통해 효율좋게 송신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른 여자 신호(excitation signal)를 이용함으로써 각 손가락 터치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게 하는 것은 사실상 하나의 손가락을 나머지 손가락(들)과 고립시킬 것이다. 시간제한은 ITO 전극의 저항을 고려할 때 도전적이나, ITO가 보다 낮은 저항을 갖는 다른 물질로 대체되면 이 방법은 보다 희망적이게 된다. 은 나노와이어 및 그래핀을 포함한, 몇몇 이러한 물질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또 다른 방법은 보다 두꺼운 ITO 층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는 보다 낮은 저항을 갖는다. 도움이 되는 것은 손가락대손가락 송신을 위한 시간상수는 전극을 위한 시간상수보다 실제적으로 길어야 한다는 것이 필수적이지는 않다는 것이다. 시간상수는 고스트 신호를 실제의 손가락 터치 신호와 식별하기 위해 고스트 신호를 충분히 감소시키는 것이 적당할 수 있다.
방법 2 : 상호 용량
손가락 직하에 있는 전극에 대해 인간 송신기 효과가 인간 분로효과보다 크지만, 이는 다른 근처의 전극에 대해 필연적으로 참은 아니다. 손가락 근처에 있으나 직하가 아닌 상부면 전극의 다른 쌍의 경우, 상호 용량은 감소될 것이다. 따라서, 고스트 근방이 아닌 실제의 손가락 터치 근방에 감소된 상호 용량의 패턴이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후보의 손가락 터치는 자기 용량을 이용하여 식별될 수 있으며, 근방의 전극 교차점의 상호용량을 이용하여 고스트로부터 차별화될 수 있다.
방법 3 : 계산
상호적인 신호강도 전체 매트릭스를 집합함으로써, 관찰된 강도와 매치시키기 위해 선형 시스템이 사용자의 손과 신체를 상호 연결하는 교차-결합 효율(cross-coupling efficiencies) 및 모든 손가락의 위치에 대한 해를 만들도록 역전될 수 있다. 이 전체 해(holistic solution)는 훨씬 뛰어난 잡음 여유도(noise immunity)를 가지며 다수의 손가락에까지 확대할 수 있다. 이 방법의 또 다른 잇점은 손가락들의 위치뿐만 아니라 이들의 교차-결합 효율의 결정이다. 예를 들면, 같은 손의 손가락은 다른 손의 손가락보다 훨씬 강하게 교차-결합한다. 각 손의 손가락의 구별 가능성은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 가능성을 매혹적이게 만듦을 암시한다. 또한, 새로운 응용으로, 동일한 화면을 동시에 터치하는 제2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1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훨씬 약한 교차-결합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방법 4 : 3 -교차점(tri-intersection)
도 8a,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세트의 거울상 전극은 차별화를 위한 또 다른 루트를 제공한다. 이 방법은 터치 화면의 손가락 터치를 둘이 아닌 세 전극(40,42,44)이 교차하거나 즉각적으로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는 지점과 연관시킨다. 이를 여기서는 3-교차점으로 부르며 이 교차점은 전극 자신의 실제적인 교차를 피하기 위해 전극의 각 라인에 대한 브리징(bridging)을 포함할 것이다. 설명하겠지만, 고스트는 여전히 발생할 수 있으나 손가락이 실제로 움직일 때 지속하지는 않을 것이다.
제3 세트의 전극을 도입할 때, 다양한 기하학적 구조가 가능하다. 도 8a는 3회 대칭(three-fold symmetry)을 갖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또 다른 기하학적 구조는 표준의 맞물린 다이아몬드 패턴(도 4)에 기초하나, 역시 대각선 세트의 전극을 갖는 것이다. 임의의 세 전극 기하학적 구조의 경우, 브리지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를 고려해야 한다. 도 8b는 임의의 부가적인 처리단계 없이 필요한 브리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세 축의 장점은 도 9a-9c에서 더욱 예시된다. 손가락 터치가 존재할 경우(제1 원 F으로 표시), 모두 손가락 터치 지점에서 교차하는 세 전극(40,42,44)은 자기 용량의 변화를 보고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두 손가락 터치가 존재한다면(제1 원 F 및 제2 원 FF), 인식오류 또는 고스팅은 불가능하다.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세 손가락 터치가 존재한다면(제1 원 F, 제2 원 FF, 및 제3 원 FFF), 점선 원(G)으로 나타낸 것처럼 인식오류 또는 고스팅이 가능하나 특정한 손가락 터치 구성에 대해서만 가능하다(도 9b). 그러나, 터치 인터페이스의 표면을 터치할 때, 손가락들은 통상적으로 표면을 가로질러 이동 또는 운동 중이라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인식오류 또는 고스트(G)는, 손가락 하나(FFF)의 약간의 이동으로 고스트가 사라지게 되는 도 9c에서처럼, 나타났다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 다행히도, 고스트 손가락 터치를 식별하여 폐기하는 소프트웨어 해결책이 이 상황을 처리할 수 있으며, 여기에 적어도 두 방법이 기술될 것이다.
첫번째 방법은 상호 용량에 기초한다. 첫번째 방법에서, 전극의 한 축(예를 들면 도 8a-8b 및 9a-9c에서 x-축)은 송신(Tx)전극(햅틱 장치)으로 취급될 것이다. 각 Tx 라인을 따라, 서로 다른 각 축으로부터 하나씩, 전극 쌍의 교차점에 의해 형성되는 일련의 "후보" 지점들이 존재한다(실제로는 일부가 Tx 라인의 일측에 그리고 다른측에 일부가 존재하나, 이는 설명의 목적상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의 세세함이다). 따라서, 주어진 전극의 Tx 라인에 대해, 각 지점과 관련된 두 Rx 라인이 존재한다. 이들 신호들은 합산되어 각 지점에 대한 신호강도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보간에 의해 전체 맵(map)이 생성될 수 있다. 손가락 터치 인식오류 또는 고스트는 두가지 이유로 그 양이 감소될 것이다: 손가락 저항 및 불완전한 정렬(대부분의 시간). 간단한 시간적인 필터(temporal filter) - 몇몇 샘플에 대해 강도를 증가시키는 - 는 손가락이 인터페이스 장치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때마다 고스트의 양을 더욱 감소시킬 것이다.
두번째 방법은 자기 용량에 기초한다. 모든 전극의 자기 용량 측정은 그들 중 어는 것이 손가락 터치(제1 원 F, 제2 원 FF, 제3 원 FFF, 및 제4 원 FFFF로 나타냄)를 보고하는지를 지시하며 도 10a에 도시된 실선과 유사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들 라인은 자기 용량 측정에 대해 가장 큰 정확도를 보장하며 다른 손가락들과 관련된 라인을 차별화하기 위해 보간을 이용함으로써 발견될 것이다. 이들 라인의 교차점들의 지점은, 도 10b에 점으로 나타낸 것처럼, 계산될 것이며 클러스터 분석(예를 들면, 구속상자(bounding box)를 통해)은, 고스트가 남아 있으나 감소된 양인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력한 손가락 터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실제의 손가락 터치는 3-교차점 클러스터의 밀집성(tightness)에 기초하여 고스트와 분리될 것이다. 이전의 방법에서처럼, 시간적인 필터링이 인식오류 또는 고스트를 식별하여 폐기하는 것을 더욱 돕게 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 3-교차점 전극은 대칭이거나 크로스-오버(cross-over) 구조를 가질 필요는 없으며, 도 1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패턴에서의 처리로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5는 전극(50,52,54)의 세 라인을 보여준다. 전극(50)은 전극(52)을 크로스하는 브리지(50a)와 전극(54)을 크로스하는 브리지(50b)를 가지나, 전극(54)은 전극(52)을 크로스하는 브리지(54a)를 갖는다. 브리지들은 교호 패턴(alternative patterns)일 수 있으나 여전히 3-교차점을 달성한다. 또한, 도 15는 하나의 3-교차점을 보여주나 도시된 패턴 또는 교호 패턴은 표면 전체에 걸쳐 복수의 3-교차점을 생성하도록 반복될 수 있다.
차별화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3-교차점은 다른 세 방법의 어느 것과도 결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차하는 축의 부가적인 세트를 이용하는 것은 4-교차점, 5-교차점, 등 까지 더욱 확대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거울상 전극에 의한 멀티-포인트 햅틱스
멀티-포인트 햅틱스는 각 손가락 터치의 지점이 한 쌍의 전극 위에 위치할 것을 요구한다. 더욱이, 각 손가락 터치를 위한 전극 쌍은 햅틱 효과가 독립적으로 할당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다른 손가락을 위한 전극 쌍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한다. 도 3b는 두 손가락에 대한 예를 보여주나, 논의된 것처럼, 두 손가락이 동일한 작용 전극에 있을 때 전기적 절연은 불가능하다.
전극의 3-교차점 패턴(감응을 차별화하기 위해 위에서 사용된) 역시 햅틱스에서의 이러한 어려움에 대한 한가지 해결책을 제공한다. 3-교차점의 경우, 각 손가락 터치 아래에는 세 세트의 전극이 있으며, 셋 중 임의의 두개는 정전기장을 생성하기 위한 작용 쌍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터치(제1 원 F 및 제2 원 FF)는 이들이 공통 전극위에 위치하더라도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유지된다. 도 11에서, 공통 전극은 점선(CE)으로 도시되며, 공통 전극이 구동되기 보다는 고임피던스에 남아서 소스 또는 접지와 분리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것은 여전히 두 전극을 각 손가락 아래에 남기며, 이들이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작용 전극이 한번에 모두 처리될 수 있으나, 이들을 다음과 같이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최선이다: 전극(a,b)은 반대 극성의 전압소스에 연결되나 전극(c,d)은 절연된다. 전하가 Cf 및 전극의 전항에 의해 지배되는 시간상수로 손가락 끝 터치 아래에서 집적된다. 전술한 값들을 이용하면, 이 시간상수는 1-10μsec이 될 것이다. 전하가 하나의 손가락 터치 아래에서 집적된 후에,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거기에 머무르다 피부의 저항을 통해 천천히 누설될 것으로 예측될 수 있다. 정확한 값은 피부상태에 달려 있으나, 여러 실험상 예측값은 누설 시간상수가 100 μsec보다 크다는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전극(a,b)이 하전된 후, 이들은 전극(c,d)이 하전되는 동안 절연될 수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과도한 누설 없이 각각에 전하를 인가하여 대략 10개의 손가락 터치 지점을 순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응의 경우, 햅틱 효과의 독립된 제어가 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구성이 있다. 도 12는 이러한 구성을 보여준다. 여기서, 제1 손가락 터치(제1 원 f1) 외에, 손가락 터치(f1)와 전극을 공유하는 부가적인 두 손가락 터치(제2 원 f2 및 제3 원 f3)가 있다. 전극(A)이 손가락 터치(f1)에 대한 정전기력을 생성하기 위해 전극(B)과 쌍을 이루면, 힘은 역시 손가락 터치(f3)에 대해 작용할 것이다. 대신에 전극(A)이 전극(C)과 쌍을 이루면, 힘은 손가락 터치(f2)에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배열의 경우 완전히 독립적인 제어는 가능하지 않으나, 3-교차점은 여전히 일부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전극(A,B)이 쌍을 이루면, 손가락 터치(f2)는 영향을 받지 않으며 손가락 터치(f3)는 손가락 터치(f1)가 받는 힘의 반만을 받게 되는데, 이는 그 아래에 둘이 아닌 하나의 작용전극이 있기 때문이다(각 손가락 터치 f2, f3는 두 독립된 전극에 의해 처리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높은 힘을 얻는 것은 상대적으로 용이하므로, 손가락 터치 f2,f3가 손가락 터치 f1보다 낮은 힘을 받는 케이스의 강조임을 유의할 것).
도 12에 도시된 상황에 대한 다른 방식들: 전극 A 및 제2 전극으로서 A에 평행한 다른 전극의 이용; 또는 4-교차점 또는 그 이상의 교차점 구성을 이용.
또한, 정전기 햅틱 효과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손가락이 움직일 때만 경험되므로, 도 12에 도시된 상황은 유지되지 않을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끝으로, 사람이 하나의 손가락에 대한 햅틱 감응을 다른 손가락에 대한 햅틱 감응과 차별화하는능력은 자극의 종류에 따라 제한됨을 이해해야 한다. 이처럼, 완전히 독립적인 제어를 달성하는 것이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거울상 전극으로 동시 감응 및 작동
여기에 개시된 방법에서, 전면 또는 상부면 전극(햅틱 장치)는 감응 및 작동(햅틱스) 양자에 관여된다. 물론 햅틱 적용되는 것과 동시에 손가락 지점을 감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햅틱스는 감응의 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두 목적은 적당한 시간순서화에 의해 달성된다.
햅틱스가 비사용 중일 때, 전방 또는 상부면 전극은 통상적으로 구동되지 않는다(즉, 도 7b에 도시된 스위치가 개방됨). 이러한 경우, 수많은 공지기술의 어느 것을 이용하여 임의의 전극 쌍의 상호 용량 또는 하부면 전극의 자기 용량을 측정하는 것이 간단하다. 예를 들면, 자기 용량은 이완진동회로(relaxation oscillator)기술을 이용하여 진동회로 주기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적으로 1MHz 정도이다.
햅틱 효과를 생성할 필요가 있게 되면, 도 7b의 스위치는 손가락 용량(Cf)까지 하전하기에 충분하도록 길게 닫힌다. 전술한 바처럼, 이것은 통상적으로 1-10 μs를 요구할 것이다. 이 시간 동안, 전극의 거울상 하부면 라인을 감응하는 것은 연기되며 대신에 이들 라인은 접지될 것이다. 이 시간 말미에 감응은 개시될 것이다. 감응은 정전기학(electrostatics)에서 통상적인 10kHz의 햅틱 스위칭 회로를 여전히 유지하면서 또 다른 90μs 까지 계속될 수 있다. 물론, 모든 전극이 병렬로 탐색될 수 없다. 대신에 감응이 복합될 수 있다. 100Hz의 합리적인 멀티-터치 감응을 유지하면서 100 회의 순차적인 감응 탐색이 완성될 수 있다.
또는, 상부면 전극의 하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압원에 단속적으로 연결하기보다는 전하 또는 전류를 전극에 주입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차이는 임피던스의 하나이다; 또 다른 방법은 상부면 전극의 고 임피던스 상태(햅틱 작동에 따른)를 항상 높게 유지하는 것으로, 그 결과로서 하부면 전극에서 기원된 신호(감응을 위한)는 작동에 의해 흐트러짐이 없이 그 효과를 여전히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로부터, 터치 인터페이스가 거울상 전극을 이용할 때 몇몇 부가적인 양상이 이 개시로부터 확인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다른 양상으로, 터치 인터페이스는 기판의 전방 면에 연결된 각 표면 햅틱장치와 기판의 후방 면에 표면 햅틱장치와 정렬되도록 연결된 각 감응장치 사이에 강한 용량 결합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으로, 터치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감응장치의 패턴과 동일한 하나 이상의 표면 햅틱 장치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으로, 터치 인터페이스는 투명한 또는 전극 및 보호층을 더욱 포함하는 표면 햅틱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으로, 터치 인터페이스는 평면형 또는 만곡형 기판을 이용할 수 있으며, 기판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의 쉬트 형태로 투명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으로, 터치 인터페이스는 마찰 변화 및/또는 하나 이상의 터치 지점에서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햅틱 효과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으로, 터치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터치 지점의 위치측정을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으로, 터치 인터페이스는 햅틱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표면 햅틱장치의 적어도 하나로 보내진 전기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 신호는 터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감응장치의 적어도 하나로 보내질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으로, 터치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표면 햅틱장치가 손상되어도 기능을 유지하는 감응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으로, 터치 인터페이스는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정렬된 패턴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표면 햅틱장치와 하나 이상의 감응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패턴은 교차지점을 제공하는 상이한 전극의 둘 이상의 라인을 갖는 배열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으로, 터치 인터페이스는 3-교차점을 제공하는 상이한 전극의 셋 이상의 라인을 갖는 배열을 제공하도록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정렬된 패턴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표면 햅틱장치와 하나 이상의 감응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제1 양상으로, 3-교차점은 터치 인터페이스가 멀티-핑거(multi-finger) 감응에 사용될 때 실제의 손가락 터치 지점에 대한 터치 지점의 고스트 이미지의 차별화를 제공할 수 있다. 관련된 제2 양상으로, 3-교차점은 터치 인터페이스가 멀티-유저 감응에 사용될 때 두번째 개인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터치 지점에 대한 첫번째 개인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터치 지점의 차별화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세트의 전극만에 의한 동시 감응 및 작동
거울상 전극은 전방면 전극이 하나 이상의 긁힘에 의해 손상되더라도 감응이 달성될 수 있음을 보장하기 때문에 이 기술은 바람직하다. 긁힘이 발생할 것 같지 않다면, 감응 및 작동을 달성하기 위해 한 세트의 전극- 터치 면 상의 것들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된 기술을 이용하면, 그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고스트 지점과 실제 터치 지점의 차별화의 문제는 여기에 개시된 방법으로 역시 해결될 수 있으며, 동시 감응 및 작동 역시 햅틱 및 감응 신호의 적당한 타이밍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로부터, 터치 인터페이스가 하나 이상의 햅틱 및 감응장치로 이용되는 기판의 전방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전극을 이용할 때, 몇몇 부가적인 양상이 이 개시로부터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양상으로, 터치 인터페이스는 정전기력을 제공하는 전방면 상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정전기력은 변조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으로, 터치 인터페이스는, 교차지점을 제공하는 상이한 전극의 둘 이상의 라인을 갖는 배열을 제공하는, 기판의 전방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이 배열은 3-교차점 패턴을 제공하는 상이한 전극의 세 라인을 가질수 있되, 이 패턴은 3-교차점 내의 세 상이한 전극과 결합하는 손가락과 관련된 터치 지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으로, 터치 인터페이스는 기판의 전방에 연결된 전극이 멀티-포인트 햅틱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방면 전극만을 사용한 동시 감응 및 작동
거울상 전극은 전방면이 하나 이상의 긁힘에 의해 손상되더라도 감응이 달성될 수 있음을 보장하기 때문에 이 기술은 바람직하다. 긁힘이 발생할 것 같지 않거나 자기 치유 또는 손쉽게 수리된다면, 감응 및 작동을 달성하기 위해 한 세트의 전극- 터치 면 상의 것들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된 기술을 이용하면, 그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고스트 지점과 실제 터치 지점의 차별화의 문제는 여기에 개시된 방법으로 역시 해결될 수 있으며, 동시 감응 및 작동 역시 햅틱 및 감응 신호의 적당한 타이밍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전방면 동시 감지 및 작동에서의 도전점들
전방면 감지의 핵심적인 장점은 단일 평면의 전극만이 요구되어서 제조원가가 감소한다는 것이다. 더욱이, 강조되었던 바와 같이, 후방면 전극으로부터 손가락까지 보다 전방면 전극으로부터 손가락까지 훨씬 강한 용량 결합이 존재한다 따라서, 전방면 전극은 손가락에 의해 터치되었을 때 배우 큰 자기용량 신호를 제공하며, 이로 인해 종래의 후방면 방법에 비해 매우 높은 신호대잡음비(SNR)를 제공한다. 이 신호는, 전극을 특정 전압으로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전류 또는 전하(전류의 적분)를 측정하는 것과 같이, 당업계에 알려진 수많은 방법의 어느 것으로도 검출될 수 있다. 고SNR은, 후방면 감응의 경우에 통상적인, 평균화된 다수의 측정 대신에, 한번 또는 소수의 측정에 의해 신뢰할만한 신호가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에 따른 하나의 결과는 터치 인터페이스 또는 화면 기판의 상부면의 모든 전극을 측정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이 후방면 감응을 갖는 터치 인터페이스에 대해 통상적인 시간보다 훨씬 적다는 것이다(예를 들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00mm x 300mm 면적의 경우 약 1 미리초에 스캔될 수 있다.). 신속한 감응은 터치 입력에 대해 매우 신속히 응답하는 저지연 시스템의 디자인에 유용하다. 또한, 저지연은 디스플레이를 신속히 업데이트하거나, 오디어를 업데이트하거나 햅티 출력을 업데이트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터치 인터페이스의 전극 피치보다 상당히 큰 해상도로 손가락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의 기판은 흔히 센티미터당 2 전극의 피치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5밀리미터의 고유 해상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0,5밀리미터 또는 심지어 그 이하와 같은 훨씬 작은 해상도로 손가락 지점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은 손가락 근방의 전체 전극 세트와 관련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고, 고해상도 추정치를 산출하기 위해 이들 측정들을 결합함으로써 달성된다. 전형적인 하나의 결합방법은 이들 측정들의 중심을 계산하는 것이다. 양호한 중심측정이 고SNR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전방면 감응은 극복해야할 새로운 도전들을 도입한다. 하나는, 전술한 것처럼, 멀티-터치 시나리오에서 실제의 손가락 터치로부터 인식오류 또는 고스트를 차별화하는 것이다. 두번째는 감응 스캔이 감촉할 수 있는 또는 인위적인 가공물(artifact)을 생성하지 않음을 보장하는 것이다. 세번째는 감응 스캔 및 햅틱 출력의 산출 양자를 위해 적당한 시간이 할당됨을 보장하는 것이다.
멀치 -터치 감응
전술한 모든 방법(조직 저항, 근방의 비터치된 전극의 상호용량, 계산, 및 3-교차점)이 여전히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전방전극의 큰 손가락대전극 용량을 이용하는 또 다른 기술을 개시한다. 특히 표준적인 다이아몬드 전극배열(예를 들면, 도 3b)에서 생성되는 두 고스트로부터 두 터치를 차별화하는 문제에 초점을 둔다. 이문제가 해결되면, 더 큰 수의 터치까지 쉽게 확대될 수 있다.
전극의 두 x-축 라인과 전극의 두 y-축 라인이 자기 용량 측정을 통해 터치를 보고하는, 도 3b에 예시된 상황을 생각한다. 첫번째 질문은 실제로 단지 두개의 터치만이 있는지, 네개의 가능한 터치 지점과 같이 셋 또는 넷이 있는지 이다. 전방면 전극의 큰 자기용량 신호로 인해, 이들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어진 전극에서 하나보다 많은 손가락이 터치 인터페이스 의 표면을 터치하면, 그 자기용량은 증가할 것이며, 이는 검출될 수 있다. 이 방법은 고스트의 존재를 위한 테스트에 이용될 수 있으나, 실제의 손가락 터치 지점으로부터 고스트를 차별화하는데 이용될 수 없다.
차별화 측정은 두 터치를 분리시키는 작지만 한정된 신체를 관통하는 임피던스가 있다는 사실에 의존한다. 이 임피던스에 민감한 측정방법이 창안된다. 일 실시예로, 다음의 절차가 수행된다: 1) 전극의 관여된 두 y-축 라인이 기지의 전압(+Vo)에 세트되고, 다음에 플로트된다(floated)(즉, 고임피던스 스위치에 의해 전압원으로부터 절연된다); 2) 전극의 관여된 x-축 라인의 하나는 +Vo로 세트되고 다른 하나는 -Vo로 세트된다; 3) 전극의 플로트된 y-축 전극의 각각에 대한 전하가 측정된다. 보다 높은 전하를 갖는 전극의 y-축 라인은 +Vo로 세트된 전극의 x-축 라인과 연관되며 보다 낮은 전하를 갖는 전극의 y-축 라인은 -Vo로 세트된 전극의 x-축 라인과 연관되며, 따라서 실제의 손가락 터치를 인식오류 또는 고스트와 차별화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차별화는 동일한 신체를 관통하는 임피던스에 의존하나 측정값을 더욱 성분분해한다. 각 교차점이 측정되거나 하나의 횡렬 또는 종렬을 따라 적어도 두 교차점이 측정되며 차별화를 수행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두 종렬 전극의 첫번째는 기지의 전압(+Vo)에 세트되고, 다음에 플로트된다(즉, 고임피던스 스위치에 의해 전압원으로부터 절연된다); 2) 관여된 횡렬의 전극의 첫번째는 -Vo로 세트된다; 3) 종렬 전극 전하가 새로 측정된다; 4) 두 종렬 전극의 두번째는 기지의 전압(+Vo)에 세트되고, 다음에 플로트된다(즉, 고임피던스 스위치에 의해 전압원으로부터 절연된다); 5) 관여된 횡렬 전극의 첫번째는 -Vo로 세트된다; 6) 종렬 전극 전하가 새로 측정된다; 7) 두번째 횡렬에 대한 1-6의 반복이 요망된다(전체적인 결과의 확정을 제공한다); 8) 정상적인 자기 용량 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비교를 위한 데이터를 정상화한다; 9) 어느 교차가 손가락을 갖는지(보다 낮은 전하를 갖는 것)를 결정하기 위해 두 종렬 사이의 전하 차이를 비교한다.
이들 방법은, 전극의 x-축 라인이 손가락 터치가 실제로 일어나는 전극의 y-축 라인에서 더 큰 전하를 유도하는 것을 보장하는, 한정된 신체를 관통하는 임피던스때문에 성립한다.
다음에는 두개의 손가락이 기판과 접촉하고 있을 때 실제의 손가락 터치를 고스트와 차별화하는 또 다른 방법이 기술된다. 표면을 터치하는 두 손가락의 경우, 전극의 두 x-축 라인과 전극의 두 y-축 라인의 용량은 증가되며, 전극의 어느 x-축 라인이 각 전극의 두 y-축 라인과 쌍을 이루는지는 불명함을 회상하라. 전극의 두 x-축 라인을 생각하면, 하나의 손가락은 전극이 회로에 연결되는 변부에 더 가까운 거리에서 하나의 전극의 x-축 라인을 터치하며, 다른 손가락은 그 변부로부터 더 먼 다른 전극의 x-축 라인을 터치한다. 이러한 거리의 차이는 터치되는 두 전극의 y-축 라인 사이의 거리에서도 역시 나타난다. 전극의 x-축 라인을 따른 손가락의 상이한 거리의 결과는 전극의 x-축 라인상에서 더 먼 거리의 다이아몬드 형상 전극에 대해 회로로부터(변부 커넥터를 통해) 더 큰 직렬저항이 있다는 것이다. 다이아몬드 전극 패턴의 경우(도 3), 부가적인 직렬저항은 주로 다이아몬드 사이의 고저항 "브리지"로부터 기원한다. 따라서 전극이 하전되도록 세트되면, RC 하전회로가 수립되며, C는 주로 전극을 터치하는 손가락을 반영하고 R은 주로 브리지의 개수를 반영한다. RC 시간상수는 그것이 그 전극을 따라 더 멀거나 가까운 뚜렷한 손가락인지, 즉 진짜 손가락 터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이러한 전극은 충만한 상태의 하전(전전압(ful voltage))이 되지 않도록 짧게 하전된다. 이러한 시간은 1마이크로초일 수 있다. 다음으로, 말하자면 5마이크로초의 휴지후, 다른 하전 시간이 적용된다. 두번째 하전에서 이동하는 전류 또는 전하는 그 정도 첫번째 짧은 시간이 적당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보다 큰 직렬저항(R)은 전자기학 및 커넥터로부터 더 먼 실제의 손가락 터치를 반영한다.
감지할 수 없는 감응
손가락 위치 감응기가 청취가능한 소음 또는 질감성 느낌(tactile feeling)과 같은 검출할 수 있는 가공물을 생성하지 않고 손가락 지점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작동 및 감응 전자기학의 복잡성을 최소화 하기 위해, 작동에 대해서 처럼 감응에 대해서는 동일한 전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작동이 질감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나 감응은 그러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내재적인 모순을 형성한다.
이 모순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은 작동 및 감응 양자를 매우 짧은 펄스에 기초시키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주어진 전극(예를 들면, 상부에서 하부로 달리는, 도 3a의 전극의 y-축 라인)을 위한 전압 펄스는 하나의 전극에 대해 하나의 펄스를 보여주는 도 13a에 예시된 형태를 갖게 된다. 시간 t=to 전에 전극은 플로팅된다. t=t1에서 전압은 V=Vo로 셋트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더 높거나 낮은 전압이 사용될 수 있지만 Vo는 70볼트이다. t=(t1+t2)/2 또는 t1과 t2 사이의 어떤 시간에서 전압은 -Vo로 세트된다. t=t2에서 전압은 다시 플로트되도록 허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더 짧거나 긴 기간이 사용될 수 있으나, 기간(t2-t1)은 50마이크로초이다. 핵심적인 것은 이 시간이 짧기 때문에 하나의 펄스는 사용자가 감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펄스는 감응에는 적당하다. 감응은 전극으로 흐르는 전류 또는 전하의 절대값(펄스는 양 및 음의 세그먼트를 갖기 때문에)을 측정함으로써 달성된다. 초당 100회로(가장 상업적인 터치화면보다 더 빈번히) 손가락 지점을 측정하기 위해 매 10미리초(10,000 마이크로초)당 한번씩 주어진 전극에 대해 이 펄스를 반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펄스는 각 10,000 마이크로초의 기간 중에 단지 50마이크로초 또는 200분의 1 시간 동안만 작용할 것이다. 이같은 매우 작은 듀티 사이클(duty cycle)은 어떠한 햅틱 가공물도 극히 작다는 것을 보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100~300 Hz 범위의 진동에 매우 민감하다. 특정한 시스템에 대해서, 감응스캔이 사용자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면, 해결책은 500 Hz 이상으로 스캔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듀티 사이클이 다소 크지만, 인간은 이러한 높은 진동수는 쉽게 감지할 수 없다. 또 다른 해결책은 간단하게 펄스를 더 짧게 하는 것이다.
짧은 펄스와 작은 듀티 사이클을 이용하는 것 외에, 감응의 느낌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캔의 순서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짧은 펄스가 공간상으로 다양하다면, 손가락은 순차적으로 펄스되는 인접한 전극에 의해 영향받지 않으나(손가락은 누적적으로 느낄 수 있음), 펄스는 더욱 이격하며 감지할 수 없다.
보다 짧은 특정펄스는 덜 감지할 수 있는 햅틱효과로 이어지며 양 및 음전압 펄스 양자는 동일한 햅틱효과를 갖기 때문에, 펄스의 햅틱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햅틱효과가 요망되지 않을 때 전압을 0V로 구동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처럼, 어느 기간동안 전극을 플로팅시키는 것은 궁극적으로 0V로의 복귀를 초래하나, 0V로의 적극적인 구동에 의해 측정펄스의 효과는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이같은 0으로 구동하는 능력은 또한 햅틱 펄스에 대한 펄스 폭 변조(PWM) 제어의 가능성을 열어둔다. 상이한 레벨의 햅틱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펄스는 길이 및 수에서 더욱 변조될 수 있다.
강한 햅틱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한가지 방법은 다수의 펄스를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강한 100Hz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5000마이크로초의 무펄스가 뒤따르는 50마이크로초 펄스(이는 5000마이크로초가 소요될 것임)의 100 시퀀스를 반복할 수 있다. 이것은 100Hz 감응 스캔보다 100배 강하게 인식될 것이다. 그러나 햅틱효과는 다른 방법으로 강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시 도 3a를 참조하며, 손가락이 전극의 x-축 라인(왼쪽에서 오른쪽)과 전극의 y-축 라인(상부에서 하부)의 교차점 근방에 위치한다고 가정하면, 똑같으나 반대의 펄스가, 여러 곳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극의 x-축 및 y-축 라인에 인가될 수 있다. 이것은 장의 선(field line)이 손가락 또는 손가락 끝의 터치를 직접 관통하며 신체의 다른 부분을 관통하지 않게 폐쇄되는 것을 허용한다. 햅틱효과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또 다른 방법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아래에 있는 복수의 전극에 동시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3b의 상부 다이아그램에 따라, 전압은 바로 이웃의 하나뿐만 아니라 도 3a의 전극의 y축 라인에 인가될 수 있으며, 한편 도 13b의 하부 다이아그램에 따라, 전압은 바로 이웃의 하나와 전극의 x-축 라인에 인가될 수 있다. 이처럼, 도 13b는 전극의 제1 y-축 라인에는 단일의 전압 펄스를 보여주며(상부 다이아그램), 전극의 제2 x-축 라인에는 단일의 그러나 역전된 전압 펄스를 보여준다(하부 다이아그램). 햅틱 효과를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 더 많은 개수의 전극이 사용될 수 있다.
감지할 수 없는 감응을 위한 또 다른 방법은 햅틱스 보다는 감응에 더 낮은 전압을 이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바람직한 실시예로, Vo=5V가 감응에 사용되나 Vo=70V가 작동에 사용된다. 보다 낮은 전압은 감응이 완전히 감지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전술한 기술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두 다른 전압 사이에서 스위치할 부가적인 전자기학을 요구한다.
감응 및 작동의 결합
감응을 위해 필요한 전자부품의 개수는 단지 한 세트의 감응기 전자기학이 모든 전자기학을 감당한다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이 방법을 택하는 것의 결과는 감응 및 작동이 주의 깊게 조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조율의 도전사항을 예시하기 위해, 햅틱 출력이 두 전극의 x-축 라인과 두 전극의 y-축 라인에 의해 생성되는, 전술한 작동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또한, 주어진 전극으로 전달되는 전극을 측정하며 적분하는 것(즉, 전극을 전압 Vo로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전하를 측정하는 것; 이 전하의 양은 손가락의 존재에 매우 민감함)에 기초한 자기 용량 감응 방법을 고려한다. 이 시나리오에서의 작동은 동시에 네 전극으로 전류를 보내는 것을 요구하며, 감응은 각 개별 전극(작동에 관여된 것만이 아님)으로 보낸 전류를 적분하는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특히 모든 전극을 감당하는 하나의 전류 감응기만이 있다면, 동시에 작동 및 감응을 수행하는 것은 어렵다. 여기서 감응 및 작동을 조율하는 몇가지 방법을 기술한다.
스케쥴러 (Scheduler)
대부분의 햅틱 작동 신호는 도 13a에 도시된 종류의 펄스가 계속 반복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형적인 작동 신호는, 전압이 햅틱 출력의 전형적인 세그먼트 동안 단일의 전극에 인가되는, 도 14에 도시된다. 작동 펄스가전달되지 않는 수많은 기간이 있다. 따라서, 한가지 방법은 작동이 없는 이 기간 중에 감응펄스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분한 기간의 무작동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터치 인터페이스 또는 기판이 총 50개의 전극 라인(예를 들면, 25개의 전극의 x-축 라인 및 25개의 전극의 y-축 라인)을 제공하며, 각 전극라인을 감응하는데 50마이크로초가 요구되면, 전체 기판을 스캔하기 위해 2.5 밀리초가 요구될 것이다. 또한 100Hz로 감응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요구되면, 감응 스캔은 매 10밀리초마다 반복되어야 한다. 이것은 매 10밀리초 기간 중 7.5밀리초까지 작동을 위해 소요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75% 듀티 사이클 이하를 갖는 임의의 작동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제어장치는 먼저 원하는 효과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햅틱 출력을 시간관리하고, 다음으로 비작동의 임의의 기간동안 감응펄스를 시간관리할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극전압은 +Vo 또는 -Vo로 세트될 수 있거나 플로트될 수 있다(점선으로 표시). 펄스는 매우 짧기 때문에, 인식된 햅틱 출력은 펄스의 밀도와 관련된다. 펄스가 빈번하면(밀집되면), 감응의 강도는 증가된다. 스케쥴러는 전극전압이 플로팅하는 동안 (다른 전극 또는 동일 전극에) 감응펄스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펄스 개수의 변조보다는 전극을 0V로 구동하는 능력의 부가로, 모든 펄스가 존재하는 곳에서 그러나 햅틱효과를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변형가능한 길이에서 펄스폭변조(PWM)을 수행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것은 보다 양호한 효과로 이어지며 보다 폭 넓은 범위의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것은 햅틱효과의 강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차동측정 ( differentail measurement)
펄스가 감응 또는 작동을 위한 것이든, 임의의 펄스와 관련된 전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다른 전극이 작동을 위해 사용될 때 동시에 하나의 전극을 작동시키고 누적 충전전류(charging current)를 측정함으로써 각 전극에 대한 측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작동 전극에 따른 측정의 이 부분은 전체 값으로부터 차감되어서 감응된 전극에 따른 부분만을 남긴다.
제1 실시예로, 작동은 항상 펄스 쌍을 포함할 것이다(예를 들면, 도 13a에 도시된 펄스 대신에 임의의 펄스 시퀀스의 최소 요소로서, 이러한 펄스의 연속된 두개가 될 것이다). 부가적인 전극의 x-축 및 y-축 라인들이 역시 작동될 수 있으나, 이들 펄스는 통상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극의 x-축 라인 및 하나의 전극의 y-축 라인에 인가될 것임을 유의하라. 두 펄스 중 첫번째에서, 부가적인 전극이 작동되지 않으나 "기준치(baseline)" 전류측정이 수행될 것이다. 두번째 펄스에서, 하나의 부가적인 전극이 작동되며 다시 전류가 측정될 것이다. 이들 두 측정의 차이는 그 부가적인 전극을 위한 감응신호로서 작용할 것이다. 햅틱 출력을 위해 사용되는 전극들의 하나에 대한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 그 전극은 두번째 펄스에서 작동되지 않을 것이다. 다시, 차이는 감응신호로서 작용할 것이다. 이 방법에 의해, 각 펄스가 50마이크로초로 지속한다고 가정하면, 전극의 50라인을 포함하는 터치 인터페이스는 5밀리초로 스캔될 수 있으며, 이는 감응된 손가락 위치의 200Hz 업데이트를 위해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더욱 높은 스캔 속도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전술한 차동측정과 보다 짧은 감응펄스를 결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50마이크로초가 햅틱작동을 위한 적당한 펄스 지속시간이나, 통상적으로 감응은 보다 신속하게 달성될 수 있다. 감응 속도에 대한 전형적인 한계는 전극의 각 라인의 충전과 관련된 RC t시간상수이다. 이 시간상수는 통상적으로 손가락의 존재시에 1 내지 10 마이크로초이다(손가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더 짧다). 따라서, 각 개별적인 햅틱 작동 펄스의 지속 중에 복수의 감응 스캔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우리는 이를 "작동-플로트-감응(actuate-float-sense)"(AFS)이라 부르며, 동시적인 감응 및 작동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1) 관련 전극을 +Vo 전압원에 연결함으로써(이들 전극은 충전되기 시작한다) 햅틱 작동 펄스가 시작된다(t=0 마이크로로 표시된 시간에); 2) 대략 8 미리초 후에, 전극은 완전히 충전되며 전극으로 흐르는 전류는 아주 작을 것이고, 이때 전극이 선택적으로 +Vo 전압원으로부터 분리되어 플로트되도록 남겨진다; 3) t=8 미리초에서, 감응될 제1 전극이 +Vo 전압원에 연결되며, 부가적인 전류가 이 전극을 충전하기 위해 흐를 것이며, 이 전류는 측정되어 8 미리초간 적분된다; 4) t=16 마이크로초에서, 감응될 제2 전극이 +Vo 전압원에 연결되고 부가적인 전류가 이 전극을 충전하기 위해 흐를 것이며, 이 전류는 측정되어 8 미리초간 적분된다; 5) t=25 마이크로초에서, 충전된 전극은 +Vo 전압원으로부터 분리되고 햅틱작동에 관여된 이들 전극은 -Vo 전압원에 연결되며, 약 8 미리초 후에, 이들 전극은 완전히 충전되며, 이때 전극이 선택적으로 -Vo 전압원으로부터 분리되어 플로트되도록 남겨진다; 6) t=33 미리초에서, 감응될 제1 전극이 -Vo 전압원에 연결되며, 부가적인 전류가 이 전극을 충전하기 위해 흐를 것이며, 이 전류는 측정되어 8 미리초간 적분된다; 7) t=41 마이크로초에서, 감응될 제2 전극이 -Vo 전압원에 연결되고 부가적인 전류가 이 전극을 충전하기 위해 흐를 것이며, 이 전류는 측정되어 8 미리초간 적분된다; 8) t=50 미리초에서, 사이클이 완성되며, 또 다른 햅틱 작동 사이클이 시작되며, 이 사이클에서 제3 및 제4 전극이 감응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는 각 전극이 양 및 음의 전압 양자에서 감응되도록 하여 신체상에 이미 존재하는 하전에 따른 어떠한 바이어스(biases) 효과도 최소화하며, 두개의 전극이 각 햅틱 작동 사이클 중에 감응되도록 한다. 따라서, 50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패널은 1.25 미리초 또는 800 Hz로 스캔될 수 있다. 만일 처음 두 전극이 작동 펄스의 +Vo 부분에서만 측정되며 제3 및 제4 전극은 작동 펄스의 -Vo 부분에서만 측정되면. 이 속도는 다시 2배로 될 수 있다.
또한 감응될 전극의 하나가 햅틱 작동에 관여될 전극의 하나인 경우, 전술한 단계들은 약간 변형된다. 햅틱 작동 후에 전극의 +Vo에 도달하며 이들 전압은 플로트되며, 다음에는 감응될 전극은(t=8 미리초 또는 t=16미리초에서) -Vo 전압원에 연결되어 전류가 측정된다. 햅틱 작동 전극이 일단 -Vo에 도달하면 유사한 과정이 반복된다. 이것은 사용자에 의해 느껴지는 마찰변화는 전압의 제곱에 의존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햅틱 출력에 거의 내지 전연 변화를 주지 않는다; 더욱이 감응 및 비감응된 펄스 간의 시간 차이는 너무 빨라서 감지되지 않는다.
또한 AFS는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는바, 또 다른 실시예로, 감응이 작동 전에 먼저 수행되어서 보다 양호한 측정을 제공하고 실행의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통상적으로, 다른 제한들로 인해, 하나의 절반 사이클 동안 복수의 감응 패스들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AFS에 대한 또 다른 개선은 전극을 0V로 구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0V로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PWM과 함께 AFS는 흔히 작동, 제로, 감응(actuate, zero, sense)(AZS)될 수 있다. AFS/AZS와 PWM의 결합은 측정이 사이클로부터 시간이 걸린다는 사실로 인해 생성하기 어려운 세트의 PWM 길이로 된다. 측정시간 동안 출력의 어느 것도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측정이 작동에 상대적으로 언제 발생하는지를 변경시킴으로써 풀세트의 PWM 길이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측정이 작동이 긴 PWM 사이클에 대해 발생하는 동안 또는 작동이 짧은 PWM 사이클 중에는 발생하지 않는 동안 행해짐을 허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작동이 완전한 100% PWM 펄스가 발생할 때를 제외하고는 발생하지 않을 때, 측정이 행해진다.
결국, AZS와 PWM의 결합은 보다 양호한 햅틱효과를 허용하며, 따라서 실행은 이 트레이드오프(tradeoff)에 의존한다. 또한 AZS를 수행함은 감응이 0V 기준으로부터 행해질 수 있음을 의미하며, 또한 이는 측정들로부터 햅틱효과를 감소시키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0V 출력을 얻을 수 없다면, 주 작동 및 측정펄스가 완료되고 전극이 플로팅된 후에 짧은 시간 동안 반대전압을 구동함으로써 전극을 0V까지 방전하는 "최선의 노력(best effort)" 시도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PWM의 다수의 장점 및 인식할 수 없는 감지를 허용하나, 0V 기준으로부터의 측정을 제공할 수 없다. 이는 각 전극에 대해 0V 출력을 갖는 회로에서의 복잡한 수행을 요구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또한 펄스의 시간 및 스케줄링에 대한 제어 복잡성의 단점을 갖는다.
적응형 감응(adaptive sensing)
전력소비를 감소시키면서 감응속도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적응형 감응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적응형 감응 방법에서, 손가락이 위치될 때까지 더 적고 작은 주기의 펄스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손가락은 축당 하나 이상의 전극을 커버하기 때문에 전극의 각 제2 x-축 라인 및 전극의 각 제2 y-축 라인만이 스캔될 수 있다. 더욱이, 이들 측정은 50Hzd와 같이 감소된 속도로 행해질 수 있다. 그러나 일단 손가락이 위치되면, 손가락 위치 근처의 모든 전극이 고속으로 스캔될 수 있다. 이것은 손가락 위치의 고속, 저지연 측정을 가능케 할 것이다. 이하에 이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기술할 것이다.
작동과 연관된 감응과 관련된 세 방법이 있으며, 그 중 두 방법이 상세하게 전술되었다. 첫번째 방법은 터치되나 햅틱 작동에 관여하지 않는 전극에 적용된다. 이 상황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식할 수 없는 감응을 요구한다. 두번째 방법은 터치되며 햅틱 작동에 관여하는 전극에 적용된다. 이것 역시 언급되었다. 세번째 방법은 현재 터지되고 있지 않은 전극에 적용된다. 손가락이 전극의 하나를 터치하기 시작하는지를 즉시 발견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제로 미터치된 전극을 조사함(용량을 측정함)으로써 실제의 터치가 일어나기 전에 전극을 터치하려는 손가락의 접근을 결정할 수 있다. 전극이 터치되고 있지 않을 때, 그 용량을 감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극에 가해지는 어떠한 전압도 햅틱 인식에 대한 효과도 가청 잡음의 방출에 대한 효과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터치의 개시를 검출하기 위해 미터치된 모든 전극을 테스트하는 신속하고 전력효율적인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10 미리초당 한번 또는 1 미리초당 한번과 같이 주기적으로 미터치라고 생각되는 모든 전극이 함께 펄스될 수 있다. 미터치된 전극은 매우 낮은 용량을 가지나, 전방면 측정의 장점으로 인해, 하나만의 전극을 터치하는 손가락 끝의 일부만의 부가라도 전극 전체 세트의 용량을 크게 변화시킬 것이다. 따라서 임의의 이전의 미터치된 전극으로의 새로운 손가락의 도달은 한번의 측정으로 검출될 수 있다.
이는 전극 또는 전극들이 새로이 터치 되었는지를 신속히 결정하기 위해, 전극의 x-축 라인 및 전극의 y-축 라인의 2분 탐색(binary search)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전에 미터치된 32개의 전극의 x-축 라인이 있다면, 단지 5회의 테스트로 새로이 터치된 하나의 전극의 x-축 라인이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전극(x-축 또는 y-축)의 모든 라인이 새로이 터치될 후보자로서 독립적으로 테스트된다. 검사 시퀀스의 간결성으로 인해, 그리고 손가락이 아주 최근에 도달하여 터치면과 접촉한 때 또는 이러한 접촉 또는 터치가 발생하기도 전에 손가락이 검출되기 때문에, 조사중에 발생하는 하전 및 방전은 손가락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햅틱효과를 갖지 않는다.
햅틱 작동되고 있는 다른 전극들에 대한 햅틱 작동의 정규성에 간섭함이 없이 신속하게 이러한 조사 전부를 행하기 위해, 햅틱 작동되는 전극의 작동 사이클 중의 몇 밀리초를 차용 또는 이용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이것은 전술한 AFS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로부터, 본 개시에 따라 구성된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는 선행기술에 비해 수많은 장점을 제공하면서 멀티-포인트 햅틱스를 제공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장치는 선택된 특정 디자인 및 구성에 따라 전술한 잠재적인 장점의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멀티-포인트 햅틱스를 갖는 표면 햅틱장치의 터치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적당한 구성재료, 구조, 부품의 형상 및 크기 그리고 부품을 연결하는 방법의 어떠한 변형도 최종 사용자의 특정한 요구에 맞도록 이용될 수 있다. 청구된 주제의 범위 또는 정신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이러한 장치의 디자인 및 구성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며, 청구범위는 여기에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기술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예 또는 실시예(및/또는 그 양상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발명주제의 범위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발명주제의 가르침에 맞도록 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여기에 기술된 재료의 치수 및 타입은 발명주제의 파라메터를 정의하기 위한 것이나, 결코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예로서 취급된다. 전술한 기술을 검토하면 수많은 다른 실시예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여기에 기술된 주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범위는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전 범위를 함께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including)" 및 "갖는(having)"은 각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및 "wherein"과 영어적으로 등가이다. 더우기, 청구범위에서, "제1", "제2", 제3" 등과 같은 용어의 사용은 단지 표시를 위해 사용된 것으로, 청구항의 한정이 또 다른 구조가 없는 기능의 진술에 의해 뒤따르는 구절 "means by"를 명시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 35 U.S.C. 112에 기초하여 해석될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기술된 설명은 발명주제의 몇몇 실시예를 개시하기 위해 이용하며 또한 당업자가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를, 어떠한 장치나 시스템을 만들거나 이용하며 어떠한 통합된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이용한다. 주제의 특허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가능한 다른 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예는 청구범위의 문언과 다르지 않은 구조요소를 갖는다면 또는 청구범위의 문언과 실질적인 차이가 없는 등가의 구조요소를 포함하면,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게 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로 언급된 그리고 단어 "a" 또는 "an"이 선행된 요소 또는 단계는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이러한 요소 또는 단계의 복수를 제외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더욱이, 개시된 발명 주제의 실시예의 예는 언급된 특징을 또한 포함하는 부각적인 예 또는 실시예의 존재를 배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더욱이, 명시적으로 반대로 언급되지 않는한, 특정한 성질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요소를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는(including)" 또는 "갖는(having)"은 그러한 성질을 갖지 않는 부가적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6)

  1. 동시 감응 및 작동을 갖는 터치 인터페이스로서,
    절연성 기판;
    기판의 전면에 연결되며 패턴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전극;
    각 전극을 감응 전압 및 작동 전압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전자 제어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전자 제어장치는 상기 작동 전압을 상기 전극에 인가함으로써 햅틱 효과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작동 전압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펄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제어장치는 상기 작동 펄스의 지속시간, 작동 펄스의 주기 및 작동 펄스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변조함으로써 햅틱효과를 강화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자 제어장치는 상기 감응 전압을 상기 전극에 인가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터치 포인트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감응 및 작동이 가능한 터치 인터페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 전압 및 작동 전압은 상기 전극에 양 및 음의 전압을 인가하도록 된 터치 인터페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 및 작동 전압은 하나의 양전압 및 하나의 음전압을 포함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 및 작동 전압은 교호로 인가되는 하나의 양전압 및 하나의 음전압을 포함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장치가 하나의 단일전압원을 포함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보호층을 포함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이 투명한 터치 인터페이스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이 유전체로 만들어지는 터치 인터페이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전압은 상기 전자 제어장치에 의해 사전에 결정된 펄스의 개수에 대해서 상기 전극에 인가되는 터치 인터페이스.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기판이 유리 또는 플라스틱 쉬트를 더욱 포함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12. 제 1항에 있어서, 전극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햅틱 효과가 마찰의 증가인 터치 인터페이스.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효과가 하나 이상의 터치 위치에서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터치 인터페이스.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장치가 하나 이상의 터치 위치의 측정을 제공하는 터치 인터페이스.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극이, 교차지점을 제공하는 상이한 전극의 하나 이상의 라인을 갖는 배열을 제공하는, 정렬된 패턴으로 배치되는 터치 인터페이스.
  16. 터치 인터페이스의 절연기판의 전면에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햅틱효과를 생성하며 동시에 기판에 대한 손가락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하나의 단일 전압원을 포함하는 전자 제어장치에 각 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단일 전압원으로 각 전극에 하나의 감응전압을 인가하여 터치 포인트들의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단일 전압원으로 상기 감응전압과 동일한 작동전압을 상기 터치 포인트들에 인가하여 햅틱효과를 생성하는 것으로 구성된 방법.
KR1020167023949A 2014-02-21 2015-02-20 감응 및 작동이 동시에 가능한 햅틱 장치 KR102399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42983P 2014-02-21 2014-02-21
US61/942,983 2014-02-21
PCT/US2015/016906 WO2015127270A2 (en) 2014-02-21 2015-02-20 Haptic display with simultaneous sensing and actu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828A KR20160132828A (ko) 2016-11-21
KR102399842B1 true KR102399842B1 (ko) 2022-05-19

Family

ID=53879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949A KR102399842B1 (ko) 2014-02-21 2015-02-20 감응 및 작동이 동시에 가능한 햅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79616B2 (ko)
EP (1) EP3108343B1 (ko)
JP (1) JP6568094B2 (ko)
KR (1) KR102399842B1 (ko)
CN (2) CN111290669B (ko)
WO (1) WO201512727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5837B2 (en) * 2015-10-31 2019-01-08 Cirque Corporation Offset charge injection for increasing measurement security
CN105630238B (zh) * 2015-12-22 2018-03-0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带触感反馈功能的触控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220084186A (ko) 2016-05-27 2022-06-21 노오쓰웨스턴 유니버시티 햅틱 터치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CN109416582B (zh) * 2016-05-27 2022-05-27 西北大学 触觉触摸屏及其操作方法
JP7011141B2 (ja) * 2016-06-24 2022-02-10 天馬微電子有限公司 触覚提示用パネル、触覚提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802649B2 (en) 2016-07-19 2020-10-13 Elo Touch Solutions, Inc. Projected-capacitive (PCAP) touchscreen
US10969902B2 (en) 2016-07-19 2021-04-06 Elo Touch Solutions, Inc. Projected-capacitive (PCAP) touchscreen
US10606357B2 (en) * 2017-03-28 2020-03-31 Tanvas, Inc. Multi rate processing device for rendering haptic feedback
US10416772B2 (en) * 2017-09-06 2019-09-17 Apple Inc. Electrical haptic output array
US10775890B2 (en) 2017-09-27 2020-09-1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piezoelectric body for friction haptics
US10585482B2 (en) 2017-09-27 2020-03-1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hybrid conductive coating for electrostatic haptics
US10248211B1 (en) 2017-09-28 2019-04-02 Apple Inc. Ground-shifted touch input sensor for capacitively driving an electrostatic plate
JP7199194B2 (ja) * 2017-12-28 2023-01-05 Tianma Japan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装置
US20190279284A1 (en) * 2018-03-09 2019-09-12 Walmart Apollo, Llc Virtual reality haptic device
US11016568B2 (en) 2018-07-24 2021-05-25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haptic vibrations of touchscreens
US10901510B2 (en) 2018-10-09 2021-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aptic feedback system having two independent actuators
FI20195169A1 (en) 2019-03-07 2020-09-08 Aito Bv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ontact
JP6758547B1 (ja) * 2019-12-05 2020-09-23 三菱電機株式会社 触覚提示パネル、触覚提示タッチパネル、触覚提示タッチディスプレイ、および触覚提示つまみ
US11281295B2 (en) 2019-12-20 2022-03-22 Robert Bosch Gmbh Apparatus for sensing and three dimensional haptic
US11337034B1 (en) 2020-08-13 2022-05-17 Rockwell Collins, Inc. Staggered examination of non-trusted receiver information
US11455039B2 (en) 2020-09-17 2022-09-27 Rockwell Collins, Inc. Advanced haptics in touchscreen avionics lower level device simulators
US11442547B1 (en) 2021-05-10 2022-09-13 Rockwell Collins, Inc. Software defined hard keys leveraging flexible display hardware to achieve haptic display solution
WO2023210883A1 (ko) * 2022-04-28 2023-11-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찰 전기장 전파를 이용한 촉각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촉각 센싱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87068A1 (en) 2011-05-10 2012-11-15 Northwestern University Touch interface device having an electrostatic multitouch su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vice
US20130057509A1 (en) 2011-09-06 2013-03-07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output device and method of generating a haptic effect in a haptic output device
US20130307789A1 (en) 2012-05-17 2013-11-21 Sharp Kabushiki Kaisha Touch-screen device including tactile feedback actuator
WO2014002451A1 (ja) * 2012-06-29 2014-01-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触感的な感覚を呈示する方法およ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85475A0 (fi) * 2008-05-19 2008-05-19 Senseg Oy Kosketuslaiteliitäntä
JP2009296797A (ja) 2008-06-05 2009-12-17 Olympus Corp 慣性駆動アクチュエータ
US8593409B1 (en) * 2008-10-10 2013-11-26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utilizing multi-actuated waveform phasing
US8077021B2 (en) * 2009-03-03 2011-12-13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Dynamic tactile interface
US10401961B2 (en) * 2009-06-09 2019-09-03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aptic effects using actuators
KR101642149B1 (ko) * 2010-01-05 2016-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피드백 제어 방법 및 장치
US9381429B2 (en) * 2010-02-24 2016-07-05 Valve Corporation Compositing multiple scene shots into a video game clip
KR101710523B1 (ko) * 2010-03-22 201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US8542215B2 (en) * 2010-04-30 2013-09-24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Mutual capacitance measurement in a multi-touch input device
US8791800B2 (en) * 2010-05-12 2014-07-29 Nokia Corporation Detecting touch input and generating perceptible touch stimulus
TWI397845B (zh) 2010-06-04 2013-06-01 Au Optronics Corp 具有振動功能的觸控顯示裝置及振動式觸控板
US10013058B2 (en) * 2010-09-21 2018-07-03 Apple Inc. Touch-based user interface with haptic feedback
US8780060B2 (en) * 2010-11-02 2014-07-15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haptic control
US8536906B2 (en) 2011-06-10 2013-09-17 Rogers Corporation Direct drive waveform generator
US9733706B2 (en) * 2011-10-26 2017-08-15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touchscreen displays
TWI447631B (zh) * 2011-12-07 2014-08-01 Ind Tech Res Inst 投射式電容觸控裝置及其觸控面板的觸控方法
TW201327640A (zh) * 2011-12-20 2013-07-01 Ind Tech Res Inst 具有回饋功能的觸控板及其所應用的觸控裝置
CN102739260B (zh) * 2012-06-29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turbo译码器功耗的方法及装置
US9568999B2 (en) * 2012-09-12 2017-02-14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for representing a tactile image and touch scree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JP6027908B2 (ja) * 2013-02-08 2016-11-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
US9507468B2 (en) * 2013-08-30 2016-11-29 Novasentis, Inc. Electromechanical polymer-based sens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87068A1 (en) 2011-05-10 2012-11-15 Northwestern University Touch interface device having an electrostatic multitouch su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vice
US20130057509A1 (en) 2011-09-06 2013-03-07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output device and method of generating a haptic effect in a haptic output device
US20130307789A1 (en) 2012-05-17 2013-11-21 Sharp Kabushiki Kaisha Touch-screen device including tactile feedback actuator
WO2014002451A1 (ja) * 2012-06-29 2014-01-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触感的な感覚を呈示する方法およ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27270A2 (en) 2015-08-27
EP3108343A4 (en) 2017-10-25
EP3108343B1 (en) 2020-01-01
CN111290669A (zh) 2020-06-16
EP3108343A2 (en) 2016-12-28
JP2017506395A (ja) 2017-03-02
CN111290669B (zh) 2024-03-12
JP6568094B2 (ja) 2019-08-28
CN106030478A (zh) 2016-10-12
US10379616B2 (en) 2019-08-13
US20170168572A1 (en) 2017-06-15
WO2015127270A3 (en) 2015-11-05
CN106030478B (zh) 2020-02-28
KR20160132828A (ko) 201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9842B1 (ko) 감응 및 작동이 동시에 가능한 햅틱 장치
US10120447B2 (en) Haptic display with simultaneous sensing and actuation
US10768749B2 (en) Electronic controller haptic display with simultaneous sensing and actuation
KR102262597B1 (ko) 터치 입력 자극을 결정하기 위한 정전용량 센서 및 방법
EP3401768B1 (en) Touch panel
EP2960759B1 (en) Force and location detection for capacitve touch panels
CN103729073B (zh) 主动式电容笔
TW201044241A (en) Two-dimensional position sensor
US91828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djacent object and method of driving electronic device
CN107924257B (zh) 使用导电岛进行手指位置跟踪和触觉显示的方法和装置
CN105389042B (zh) 移动终端装置及其驱动方法
JP2016119083A (ja) ピエゾ効果を利用したタッチパッド
JP2013540311A (ja) タッチ認識方法と、タッチキー構造と、タッチ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