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330B1 -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330B1
KR102399330B1 KR1020160017847A KR20160017847A KR102399330B1 KR 102399330 B1 KR102399330 B1 KR 102399330B1 KR 1020160017847 A KR1020160017847 A KR 1020160017847A KR 20160017847 A KR20160017847 A KR 20160017847A KR 102399330 B1 KR102399330 B1 KR 102399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etylated
alkyl cellulose
polymer
water
acetylated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652A (ko
Inventor
모치준
이정재
임성한
Original Assignee
효성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7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330B1/ko
Publication of KR20170096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3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from polymer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1Manufactu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6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chemical 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08Polysaccharides
    • B01D71/12Cellulose derivatives
    • B01D71/14Esters of organic acids
    • B01D71/16Cellulose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4Mechanical properties, e.g.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고분자와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 및 빈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유도 상분리법을 이용한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제조용 고분자 용액 및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분리막은 파단신도가 높아 내구성이 우수한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ACETYLATED ALKYL CELLULOSE SEPARATION MEMBRAN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를 지지층으로 하여 수투과도가 우수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분리막 소재로서 폴리설폰(PSF),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가 알려져 있지만, 이들 고분자 소재는 소수성의 성질을 띠고 있어 막 오염성이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막 오염 저항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친수성 고분자 소재의 분리막 가운데 하나로,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이 개발되었다. 일례로 국내특허 제1269574호는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및 빈용매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을 사용하여 열유도 상분리법을 통해 분리막을 제조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재질의 분리막은 다른 고분자 분리막 보다 친수성이 높기 때문에 내오염성에 유리한 측면이 있으나 무정형의 고분자 구조로 결정성을 갖기 어렵고 따라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와 같은 선형 구조의 결정성 고분자를 통해 만들어지는 분리막에 비해 취약하기 때문에 낮은 파단신도를 나타내게 된다. 다수의 분리막이 집속된 중공사막 모듈은 일반적으로 수처리 공정 중에 분리막 표면의 오염을 줄이기 위해 수행되는 공기 세정 과정에 의해 중공사막 길이의 단면 방향으로 유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분리막의 낮은 파단신도는 중공사막의 끊어짐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처리용 분리막에 요구되는 특성으로서 높은 수투과도,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막 오염 저항성을 가지는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제조용 고분자 용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우수한 수투과도 성능을 제공하고, 인장강도 및 파단신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수투과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고분자와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 및 빈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유도 상분리법을 이용한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제조용 고분자 용액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고분자,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 및 빈용매를 혼합하여 도프 용액을 제조한 후, 열유도 상분리법에 의해서 분리막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리막은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만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분리막에 비하여 높은 인장강도와 파단신도를 갖게 되어 분리막 모듈의 내구성을 증대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열유도 상분리법을 이용한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제조용 고분자 용액에 관한 것으로,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고분자와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 및 빈용매를 포함한다.
열유도 상분리법을 이용하여 분리막을 제조하는 경우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와 같은 비결정성 고분자는 액-액 상분리 거동을 하여 bi-continuous 구조를 만들고, 결정성 고분자는 고-액 상분리 거동을 통해 구정형 구조를 만든다. 비결정성 고분자에 의한 bi-continuous 구조는 결정성 고분자의 구정형 구조보다 상대적으로 균일한 단면구조를 갖기 때문에 높은 인장강도와 낮은 파단신도를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메틸롤화 요소수지, 메틸롤화 멜라닌수지,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성 전분 (water-soluble starch)을 예로 들 수 있다.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는 친수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와 혼합되어 도프 용액을 만들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온의 도프 용액이 저온의 물 단독 혹은 물과 비용매의 혼합으로 구성된 응고조 용액에 침지되어 열유도 상분리를 통한 기공구조를 형성하는 과정 중에 상분리의 속도를 지연시키고 이후 고온의 열수 세정 공정 물에 용해되어 배출된다. 이렇게 제조된 중공사막의 경우 느린 상분리 속도 및 용출된 수용성 고분자로 인한 단면 구조의 변화로 인해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단독의 중공사막보다 높은 수투과도와 파단 신도를 갖게 된다.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고분자와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를 혼합하여 도프 용액을 만들고 이를 열유도 상분리법에 의해 분리막을 제조할 경우, 인장강도 및 파단신도가 우수한 분리막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90,000의 범위내인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예로 폴리비닐피롤리돈의 경우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400,000 달톤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아크릴아마이드의 경우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33,000 달톤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정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의 분자량을 갖는 친수성 고분자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는 분자량 150,000 이상 650,000 이하를 사용함이 가능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00 내지 500,000의 범위 내인 것을 사용한다.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은 고압 조건에서 사용되는 경우 지지층의 강도가 제품의 내구성과 관련 있기 때문에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것이 요구되는데, 분자량 150,000 미만에서는 장기 운전 시 높은 운전 압력에 의해 지지층이 압밀화 되어 투수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분자량 650,000 초과에서는 고분자 용액을 형성하는 용매에 균일하게 용해되지 못해서 지지층의 디펙트를 만들어낼 우려가 있다. 상기 범위 내의 고분자량 이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지지층의 소재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는 기존에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의 소재로 주로 사용되는 폴리설폰, 폴리이서설폰,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에 비해 친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의 투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는 아세틸화 메틸 셀룰로오스, 아세틸화 에틸 셀룰로오스, 아세틸화 프로필 셀룰로오스, 아세틸화 히드록시에틸 메틸 셀룰로오스, 및 아세틸화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의 고분자 용액은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고분자를 15 내지 25 중량%를 포함될 수 있다. 고분자 물질이 15 중량% 미만일 경우 강도가 저하되거나, 기공이 커지게 되어 분리막을 균일하게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2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기 고분자 용액을 구성하는 용매에 균일하게 용해되기 어렵기 때문에 막에 디펙트를 형성할 우려가 있으며, 고분자 용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막 제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고분자와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 및 빈용매를 혼합하여 도프 용액을 제조한 후, 열유도 상분리법에 의해서 분리막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관계 한다. 본 발명의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의 제조방법은 상기 아세틸화된 알킬 셀룰로스와 수용성 고분자를 용융점 근처에서 빈용매에 녹인 후, 비용매에서 상전이시켜서 제조하는 열유도 상 분리법(TIPS)을 사용하고, 구체적으로는 액체-액체 상 분리법을 이용한다.
상기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의 예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메틸롤화 요소수지, 메틸롤화 멜라닌수지,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및 수용성 전분 (water-soluble starch)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예로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용액 제조를 위하여,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15 내지 25 중량%와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 2 내지 10 중량% 및 잔량의 빈용매의 비율로 혼합한다. 이때,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이면 분리막의 강도가 떨어지고, 25 중량%를 초과하면 고분자 용액의 점도가 너무 높아 방사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상기 농도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이면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의 첨가에 따른 중공사막의 성능 향상이 미미하고, 10 중량% 를 초과하면 완전 용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고분자 용액의 점도가 높아서 방사가 용이하지 않다.
상기 제조된 고분자 용액의 정제를 위하여, 고분자 용액을 가온한 후에 여과하여 불용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고분자 용액을 100 내지 200℃ 온도로 가열하여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를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용해 온도에서 여과하여 정제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한다.
이상의 방법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을 이용하여 제막하여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다.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의 용융점이 대략 170℃ 정도임을 감안하여, 고분자 용액을 아세틸화된 알킬 셀룰로오스의 용융점 주변 온도인 100℃ 내지 200℃ 범위 내로 가열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한다. 고분자 용액의 제조를 위한 가열온도가 100℃ 미만인 경우 완전한 용해가 일어나지 않아서 가공성이 떨어지며, 200℃를 초과하는 경우 고분자가 분해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제조된 상기 방사용액은 분리막 형태를 만드는 노즐에 방사되어 방사용액을 상분리시킴으로써 분리막을 제조한다. 방사 노즐에서 상기 방사용액이 방사될 때 분리막의 내부 구멍을 형성시켜 주기 위하여 내부 응고욕을 상기 방사용액을 방사시키는 노즐에 정량펌프를 사용하여 주입한다.
상기 내부 응고욕으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과 같은 에틸렌글리콜계 중에서 선택 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응고욕에는 비용매로서 물, 알콜류 및 키톤류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용매로서 고분자 용액의 용해 온도보다 끓는 점이 높은 글리세롤을 사용할 수 있다.
상분리가 일어나는 외부 응고욕으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과 같은 에틸렌글리콜계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된 용매, 또는 상기 에틸렌글리콜계와 물의 혼합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형성된 중공사를 마지막으로 응고시키기 위하여 비용매에 침지시킨다. 비용매로는 물,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알콜류 및 키톤류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용매에 양용매 또는 빈용매를 섞은 혼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양용매는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및 디메틸술폭시드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셀룰로오스계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은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를 사용하여 열유도 상분리법 (TIPS)으로 분리막을 제조함으로써, 고분자 소재 본연의 친수성으로 인하여 막 오염 저항성을 유지할 수 있고 수투과도가 우수하며, 더 나아가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 및 빈용매를 포함하여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어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은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뿐만 아니라 한외여과막, 나노 여과막 등의 유체 분리막으로서도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아세틸화 메틸 셀룰로오스 25 wt%, PVP K-30(폴리비닐피롤리돈) 2.5 wt%, 트리에틸렌글리콜 72.5 wt%를 160℃에서 용해하여 방사구금을 통해 토출하고, 25℃ 물로 구성된 응고욕에서 고화시키는 열유도 상분리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고 순수투과유량, 인장강도 및 파단신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아세틸화 메틸 셀룰로오스 22.5 wt%, PVP K-30 (폴리비닐피롤리돈) 2.5 wt%, 트리에틸렌글리콜 75 wt%를 160℃에서 용해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분리막을 제조하고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아세틸화 메틸 셀룰로오스 20 wt%, PVP K-30 (폴리비닐피롤리돈) 2 wt%, 트리에틸렌글리콜 78 wt%를 160℃에서 용해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분리막을 제조하고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아세틸화 메틸 셀룰로오스 18 wt%, PVP K-30 (폴리비닐피롤리돈) 2 wt%, 트리에틸렌글리콜 80 wt%를 160℃에서 용해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분리막을 제조하고,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아세틸화 메틸 셀룰로오스 25 wt%, 메틸롤화 멜라닌수지 2.5 wt%, 트리에틸렌글리콜 72.5 wt%를 160℃에서 용해하여 방사구금을 통해 토출하고, 25℃ 물로 구성된 응고욕에서 고화시키는 열유도 상분리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고 순수투과유량, 인장강도 및 파단신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아세틸화 메틸 셀룰로오스 22.5 wt%, 메틸롤화 요소수지 2.5 wt%, 트리에틸렌글리콜 75 wt%를 160℃에서 용해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분리막을 제조하고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아세틸화 메틸 셀룰로오스 20 wt%, 메틸롤화 요소수지 2 wt%, 트리에틸렌글리콜 78 wt%를 160℃에서 용해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분리막을 제조하고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아세틸화 메틸 셀룰로오스 22.5 wt%, 수용성 전분 2.5 wt%, 트리에틸렌글리콜 75 wt%를 160℃에서 용해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분리막을 제조하고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아세틸화 메틸 셀룰로오스 20 wt%, 수용성 전분 2 wt%, 트리에틸렌글리콜 78 wt%를 160℃에서 용해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분리막을 제조하고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아세틸화 메틸 셀룰로오스 25 wt%, 트리에틸렌글리콜 75 wt%를 160℃에서 용해하여 방사구금을 통해 토출하고 25℃ 물로 구성된 응고욕에서 고화시키는 열유도 상분리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고,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아세틸화 메틸 셀룰로오스 22.5 wt%, 트리에틸렌글리콜 77.5 wt% 를 160℃에서 용해하여 비교예 1과 동일하게 분리막을 제조하고,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아세틸화 메틸 셀룰로오스 20 wt%, 트리에틸렌글리콜 80 wt% 를 160℃에서 용해하여 비교예 1과 동일하게 분리막을 제조하고,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아세틸화 메틸 셀룰로오스 18 wt%, 트리에틸렌글리콜 82.5 wt% 를 160℃에서 용해하여 비교예 1과 동일하게 분리막을 제조하고,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 분리막의 물성 평가 방법>
본 실시예에서 제조된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의 물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수투과도 : 직경 10 mm 및 길이 170 mm인 아크릴 튜브와 분리막을 준비하였다. 상기 분리막을 160 mm의 길이로 절단한 후 개방된 그 일단을 접착제로 밀봉하였다. 이어서, 상기 분리막을 상기 아크릴 튜브에 넣은 후, 아크릴 튜브의 한쪽 말단과 상기 분리막의 개방된 타단부 사이를 밀봉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상기 아크릴 튜브의 다른 쪽 개방된 말단을 통해 아크릴 튜브의 내벽과 분리막 사이로 순수를 넣고 1.0 kg/cm2의 질소압을 가하였다. 그리고, 1.0 kg/cm2 압력 하에서의 측정된 수투과도(Lp1.0)를 아래의 식 1에 의해 구하였다.
[식 1]
수투과도 = V/(S*t*P)
여기서, V는 분리막을 투과한 투과수의 양(ml)이고, S는 분리막의 면적(cm2)이고, t는 투과 시간(min)이며, P는 질소압의 크기(kg/cm2)이다.
파단 신도: 파단신도는 만능재료시험기(Instrone 4303)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준비된 10N(1kgf) cell에 분리막을 120 mm로 절단 후 양 끝 10 mm씩을 그립(grip) 부분에 장착 후 50 mm/min 속도로 분리막을 잡아당겨서 막의 파단 직전의 신율(원래 길이에 대한 늘어난 길이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인장 강도: 인장강도는 만능재료시험기(Instrone 4303)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준비된 10N(1kgf) cell에 분리막을 120 mm로 절단 후 양 끝 10 mm씩을 그립 부분에 장착 후 50 mm/min 속도로 분리막을 잡아당겨서 막의 파단 강력(Kgf)을 측정하였다.
순수투과유량 인장강도 파단신도
실시예 1 40 LMH 17 MPa 28%
실시예 2 70 LMH 13 Mpa 23%
실시예 3 120 LMH 9 Mpa 15%
실시예 4 190 LMH 6 Mpa 13%
실시예 5 40 LMH 18 Mpa 23%
실시예 6 70 LMH 15 Mpa 17%
실시예 7 170 LMH 8 MPa 10%
실시예 8 90 LMH 15 MPa 16%
실시예 9 180 LMH 8 MPa 9%
비교예 1 50 LMH 16 MPa 18%
비교예 2 100 LMH 13 MPa 14%
비교예 3 150 LMH 7 MPa 8%
비교예 4 190 LMH 6 MPa 7%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 6의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이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분리막에 비해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고분자,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 및 빈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유도 상분리법을 이용한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제조용 고분자 용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메틸롤화 요소수지, 메틸롤화 멜라닌수지,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및 수용성 전분 (water-soluble starch)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유도 상분리법을 이용한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제조용 고분자 용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90,000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유도 상분리법을 이용한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제조용 고분자 용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빈용매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유도 상분리법을 이용한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제조용 고분자 용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용액은 15 내지 25 중량%의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고분자, 2 내지 10 중량%의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 및 잔량의 빈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유도 상분리법을 이용한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제조용 고분자 용액.
  6.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고분자와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를 빈용매와 혼합하여 도프 용액을 제조한 후, 열유도 상분리법에 의해서 분리막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메틸롤화 요소수지, 메틸롤화 멜라닌수지,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및 수용성 전분 (water-soluble starch)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고분자 15 내지 25 중량%와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 2 내지 10 중량% 및 잔량의 빈용매를 100 내지 200℃에서 혼합하여 도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도프 용액을 방사하여 방사용액을 상분리시켜 분리막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에서 고체인 수용성 고분자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90,000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는 아세틸화 메틸 셀룰로오스, 아세틸화 에틸 셀룰로오스, 아세틸화 프로필 셀룰로오스, 아세틸화 히드록시에틸 메틸 셀룰로오스, 및 아세틸화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의 제조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고분자의 분자량이 160,000 내지 650,000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의 제조방법.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KR1020160017847A 2016-02-16 2016-02-16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99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847A KR102399330B1 (ko) 2016-02-16 2016-02-16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847A KR102399330B1 (ko) 2016-02-16 2016-02-16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652A KR20170096652A (ko) 2017-08-25
KR102399330B1 true KR102399330B1 (ko) 2022-05-19

Family

ID=5976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847A KR102399330B1 (ko) 2016-02-16 2016-02-16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1659B2 (en) 2017-11-07 2022-02-08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gas separation membrane and gas separation membrane manufactured thereb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017B1 (ko) 2013-06-24 2014-10-08 한국화학연구원 정삼투막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03090A1 (de) * 2008-01-03 2009-07-16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Hohlfasermembran
KR101392943B1 (ko) * 2012-06-20 2014-05-09 한국화학연구원 정삼투용 복합 중공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4053B1 (ko) * 2012-10-09 2015-02-17 주식회사 효성 비대칭성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비대칭성 중공사막
KR101530432B1 (ko) * 2013-09-12 2015-06-19 주식회사 효성 아세틸화된 알킬 셀룰로스 분리막 제조용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아세틸화된 알킬 셀룰로스 분리막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017B1 (ko) 2013-06-24 2014-10-08 한국화학연구원 정삼투막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652A (ko) 2017-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943B1 (ko) 정삼투용 복합 중공사막, 및 이의 제조방법
EP1658889A1 (en) Longitudinal reinforced self-supporting capillary membran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101485961B (zh) 一种聚偏氟乙烯中空纤维合金膜制备方法
JP6577781B2 (ja) 中空糸膜、及び中空糸膜の製造方法
KR101269574B1 (ko) 열유도 상 분리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아세틸화된 알킬 셀룰로스 분리막과 이의 제조방법
KR101394416B1 (ko)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된 중공사막
KR101179161B1 (ko) 신규한 pvdf 중공사막 제조용 고분자 수지, 막오염 저항성이 우수한 pvdf 중공사막,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117535A (zh) 同质连续纤维增强型中空纤维膜的制备方法及其制备的中空纤维膜
KR101161709B1 (ko) 아세틸화된 알킬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다공성 중공사막 및 이의 제조 방법
JP4299468B2 (ja) セルロース誘導体中空糸膜
KR102399330B1 (ko) 아세틸화 알킬 셀룰로오스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15797A (ko) 폴리설폰계 중공사막 제조용 내부 응고액 및 이를 이용한 폴리설폰계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KR101675455B1 (ko) 내염소성이 우수한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내염소성 분리막
KR101435609B1 (ko) 고성능 보강 분리막의 제조방법
KR20190060553A (ko) 중공사막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831690B (zh) 造膜溶液和使用了该造膜溶液的分离膜的制造方法
KR101885255B1 (ko) 다공성 막 및 그 제조방법
JP2688564B2 (ja) 酢酸セルロース中空糸分離膜
KR102172621B1 (ko) 폴리케톤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JP6707880B2 (ja) 中空糸膜およ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
EP3590592A1 (en) Method for preparing polyphenylsulfon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KR101474728B1 (ko) 고강도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방법
KR100200041B1 (ko) 활성층을 포함한 스폰지 구조 폴리설폰 종공사막
KR20190060552A (ko) 중공사막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중공사막 제조방법 및 중공사막
JP2533787B2 (ja) 芳香族ポリスルホン中空糸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