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143B1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143B1
KR102399143B1 KR1020170107289A KR20170107289A KR102399143B1 KR 102399143 B1 KR102399143 B1 KR 102399143B1 KR 1020170107289 A KR1020170107289 A KR 1020170107289A KR 20170107289 A KR20170107289 A KR 20170107289A KR 102399143 B1 KR102399143 B1 KR 102399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erminal
signal
threshold value
semiconductor devic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3851A (ko
Inventor
도모키 히키치
미노루 아리야마
고조 이이지마
마사시 시가
Original Assignee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4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using dedicated test connectors, test elements or test circuits on the IC under te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3Electrical testing of internal connections or -isolation, e.g. latch-up or chip-to-lea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전류 구동 능력이 낮은 검사 장치라 하더라도 테스트가 가능한, 테스트 단자와 겸용한 출력 단자에 전류 구동 능력이 높은 출력 드라이버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이며, 반도체 장치의 출력 단자에 입력 단자가 접속된 각각 임계값이 상이한 복수의 전압 판정 회로와, 복수의 전압 판정 회로에 접속된 부호화 신호를 출력하는 부호화 회로와, 부호화 신호와 내부 회로의 신호에 따라 내부 회로에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전환 회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구동 능력이 높은 출력 드라이버를 구비한 출력 단자를 테스트 단자와 겸용하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자 수의 제한으로부터 전용의 테스트 단자를 형성할 수 없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양산 검사를 위한 테스트 모드에 투입하기 위한 테스트 단자를 출력 단자와 겸용하는 회로가 탑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출력 단자로부터 강제적으로 전압을 입력함으로써 발생하는, 통상 동작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상태를 검출하여, 테스트 모드로 이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31225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기술은, 전류 구동 능력이 낮은 검사 장치와, 출력 단자에 전류 구동 능력이 높은 출력 드라이버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의 조합은 상정하고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전류 구동 능력이 낮은 검사 장치라 하더라도 테스트가 가능한, 테스트 단자와 겸용한 출력 단자에 전류 구동 능력이 높은 출력 드라이버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는, 반도체 장치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각각 임계값이 상이한 복수의 전압 판정 회로와, 복수의 전압 판정 회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2 치의 부호화 신호를 출력하는 부호화 회로와, 입력되는 부호화 신호와 내부 회로의 신호에 따라 내부 회로에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전환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전압 판정 회로와 부호화 회로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전류 구동 능력이 낮은 검사 장치라 하더라도, 전류 구동 능력이 높은 출력 드라이버를 구비한 출력 단자를 외부로부터 구동시켜, 테스트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 는, 제 2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 은, 제 3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100) 의 블록도이다.
제 1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100) 는, 전압 판정 회로 (10a, 10b, 10c) 와, 출력 드라이버 (20) 와, 부호화 회로 (30) 와, 모드 전환 회로 (40), 내부 회로 (50) 로 구성된다.
출력 드라이버 (20) 는, 입력이 내부 회로 (50) 의 출력에 접속되고, 출력이 반도체 장치 (100) 의 출력 단자 (OUT) 에 접속된다. 출력 단자 (OUT) 는, 전압 판정 회로 (10a, 10b, 10c) 의 입력에 접속된다. 전압 판정 회로 (10a, 10b, 10c) 는, 출력이 각각 부호화 회로 (30) 의 입력에 접속된다. 부호화 회로 (30) 는, 출력이 모드 전환 회로 (40) 의 제 1 입력에 접속된다. 모드 전환 회로 (40) 는, 제 2 입력이 내부 회로 (50) 의 출력에 접속되고, 출력이 내부 회로 (50) 의 입력에 접속된다.
전압 판정 회로 (10a) 는, 임계값 (Vt1) 을 갖고, 출력 신호 (V10a) 를 출력한다. 전압 판정 회로 (10a) 의 출력 신호 (V10a) 는,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가 임계값 (Vt1) 이상일 때에 H 레벨이 되고,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가 임계값 (Vt1) 미만일 때에 L 레벨이 된다.
전압 판정 회로 (10b) 는, 임계값 (Vt2) 을 갖고, 출력 신호 (V10b) 를 출력한다. 전압 판정 회로 (10b) 의 출력 신호 (V10b) 는,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가 임계값 (Vt2) 이상일 때에 H 레벨이 되고,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가 임계값 (Vt2) 미만일 때에 L 레벨이 된다.
전압 판정 회로 (10c) 는, 임계값 (Vt3) 을 갖고, 출력 신호 (V10c) 를 출력한다. 전압 판정 회로 (10c) 의 출력 신호 (V10c) 는,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가 임계값 (Vt3) 이상일 때에 H 레벨이 되고,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가 임계값 (Vt3) 미만일 때에 L 레벨이 된다.
여기서, 임계값 (Vt1 ∼ Vt3) 은, Vt1 < Vt2 < Vt3 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다.
부호화 회로 (30) 는, 2 치 논리 회로이며, 전압 판정 회로 (10a ∼ 10c) 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그 출력 신호에 따라 2 치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전압 판정 회로 (10a) 의 출력 신호가 L 레벨, 10b 의 출력 신호가 L 레벨, 10c 의 출력 신호가 L 레벨일 때, LLL 로 기재한다. 부호화 회로 (30) 가 출력하는 2 치 신호는, 전압 판정 회로 (10a ∼ 10c) 의 출력 신호가, LLL 일 때에는 L 레벨, HLL 일 때에는 H 레벨, HHL 일 때에는 L 레벨, HHH 일 때에는 H 레벨이다.
모드 전환 회로 (40) 는, 내부 회로 (50) 의 출력 전위와 부호화 회로 (30) 의 2 치 신호를 입력하고, 이들 신호가 동일한 전위일 때, 테스트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신호를 내부 회로 (50) 에 출력한다.
내부 회로 (50) 는, 모드 전환 회로 (40) 로부터 입력되는 모드 신호에 따라, 통상 모드이면, 예를 들어, 물리량의 대소의 판정 결과를 출력하고, 테스트 모드이면 소정의 테스트 동작을 실행한다.
출력 드라이버 (20) 는, PMOS 트랜지스터와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CMOS 출력 드라이버이다. 여기서는, 출력 드라이버 (20) 는, 높은 전류 구동 능력을 갖는다.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100)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내부 회로 (50) 가 L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에,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를 강제적으로 L 레벨로 하여, 내부 회로 (50) 를 테스트 모드로 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내부 회로 (50) 가 L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에는, 출력 드라이버 (20) 는 PMOS 트랜지스터가 온이 되어,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는 H 레벨이 되어 있다.
여기서, 출력 단자 (OUT) 에 전류 구동 능력이 낮은 검사 장치에서 소스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출력 드라이버 (20) 의 PMOS 트랜지스터의 온 저항과 검사 장치의 전류 구동 능력의 관계에 의해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는 L 레벨로 할 수 없다. 그리고, 전위 (VOUT) 는, 임계값 (Vt2) 이상, 임계값 (Vt3) 미만이 된다.
전압 판정 회로 (10a) 는,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가 임계값 (Vt1) 이상이므로 H 레벨의 출력 신호 (V10a) 를 출력한다. 전압 판정 회로 (10b) 는,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가 임계값 (Vt2) 이상이므로 H 레벨의 출력 신호 (V10b) 를 출력한다. 전압 판정 회로 (10c) 는,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가 임계값 (Vt3) 미만이므로 L 레벨의 출력 신호 (V10c) 를 출력한다. 즉, 부호화 회로 (30) 는, 전압 판정 회로 (10a ∼ 10c) 로부터 HHL 의 신호가 입력된다.
부호화 회로 (30) 는, 전압 판정 회로 (10a ∼ 10c) 로부터 HHL 의 신호가 입력되면, L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즉, 부호화 회로 (30) 는, 전위 (VOUT) 가 임계값 (Vt1) 미만이 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L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모드 전환 회로 (40) 는, 내부 회로 (50) 가 L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에, 부호화 회로 (30) 로부터 L 레벨의 신호를 받으면,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가 강제적으로 L 레벨이 된 것으로 인식하여, 내부 회로 (50) 를 테스트 모드로 하는 모드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내부 회로 (50) 가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에,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를 강제적으로 H 레벨로 하여, 내부 회로 (50) 를 테스트 모드로 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내부 회로 (50) 가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에는, 출력 드라이버 (20) 는 NMOS 트랜지스터가 온이 되어,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는 L 레벨이 되어 있다.
여기서, 출력 단자 (OUT) 에 전류 구동 능력이 낮은 검사 장치에서 싱크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출력 드라이버 (20) 의 NMOS 트랜지스터의 온 저항과 검사 장치의 전류 구동 능력의 관계에 의해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는 H 레벨로 할 수 없다. 그리고, 전위 (VOUT) 는, 임계값 (Vt1) 이상, 임계값 (Vt2) 미만이 된다.
전압 판정 회로 (10a) 는,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가 임계값 (Vt1) 이상이므로 H 레벨의 출력 신호 (V10a) 를 출력한다. 전압 판정 회로 (10b) 는,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가 임계값 (Vt2) 미만이므로 L 레벨의 출력 신호 (V10b) 를 출력한다. 전압 판정 회로 (10c) 는,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가 임계값 (Vt3) 미만이므로 L 레벨의 출력 신호 (V10c) 를 출력한다. 즉, 부호화 회로 (30) 는, 전압 판정 회로 (10a ∼ 10c) 로부터 HLL 의 신호가 입력된다.
부호화 회로 (30) 는, 전압 판정 회로 (10a ∼ 10c) 로부터 HLL 의 신호가 입력되면,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즉, 부호화 회로 (30) 는, 전위 (VOUT) 가 임계값 (Vt3) 이상이 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모드 전환 회로 (40) 는, 내부 회로 (50) 가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에, 부호화 회로 (30) 로부터 H 레벨의 신호를 받으면,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가 강제적으로 H 레벨이 된 것으로 인식하여, 내부 회로 (50) 를 테스트 모드로 하는 모드 신호를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높은 전류 구동 능력의 출력 드라이버 (20) 를 구비한 제 1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100) 는, 전압 판정 회로 (10a ∼ 10c) 와 부호화 회로 (30) 를 구비하였으므로, 전류 구동 능력이 낮은 검사 장치라 하더라도, 내부 회로 (50) 를 테스트 모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실시형태>
도 2 는, 제 2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200) 의 블록도이다. 제 2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200) 는, 도 1 의 반도체 장치 (100) 에 추가하여 저역 통과 필터 (60) 를 구비한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의 반도체 장치 (100) 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저역 통과 필터 (60) 는, 출력 단자 (OUT) 와 전압 판정 회로 (10a ∼ 10c) 사이에 접속된다. 저역 통과 필터 (60) 는, 출력 단자 (OUT) 에 펄스상의 노이즈가 중첩된 경우에, 전압 판정 회로 (10a ∼ 10c) 에 입력되는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에 그 노이즈에 의한 전위의 변동을 받지 않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내부 회로 (50) 가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에는, 출력 드라이버 (20) 는 NMOS 트랜지스터가 온이 되어,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는 L 레벨이 되어 있다. 여기서, 출력 단자 (OUT) 에 펄스상의 H 레벨의 노이즈가 중첩된 경우, 출력 드라이버 (20) 의 NMOS 트랜지스터의 온 저항과의 관계에 의해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는 펄스상으로 임계값 (Vt1) 이상, 임계값 (Vt2) 미만이 된다.
저역 통과 필터 (60) 는, 입력되는 전위 (VOUT) 가 펄스상으로 변동되어도, 일정한 시정수에 따라 응답하기 때문에, 그 출력 전위는 임계값 (Vt1) 을 초과하는 경우가 없다.
제 1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100) 는, 전류 구동 능력이 낮은 검사 장치에 대응하기 위해서, 전압 판정 회로 (10a) 의 낮은 임계값 (Vt1) 에 의해 출력 단자 (OUT) 의 강제 H 레벨 입력을 검출하도록 하였으므로, 출력 단자 (OUT) 에 인가되는 노이즈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200) 는 출력 단자 (OUT) 와 전압 판정 회로 (10a ∼ 10c) 사이에 저역 통과 필터 (60) 를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출력 단자 (OUT) 에 인가되는 노이즈의 영향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200) 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100) 와 동일한 효과를 갖고, 또한, 출력 단자 (OUT) 에 인가되는 노이즈의 영향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다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3 은, 제 3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300) 의 블록도이다. 제 3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300) 는, 도 1 의 반도체 장치 (100) 에 추가하여 또한 전압 판정 회로 (10d, 10e) 와 부호화 회로 (31) 를 구비한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의 반도체 장치 (100) 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전압 판정 회로 (10d) 는, 임계값 (Vt4) 을 갖고, 출력 신호 (V10d) 를 출력한다. 전압 판정 회로 (10d) 의 출력 신호 (V10d) 는,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가 임계값 (Vt4) 이상일 때에 H 레벨이 되고,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가 임계값 (Vt4) 미만일 때에 L 레벨이 된다.
전압 판정 회로 (10e) 는, 임계값 (Vt5) 을 갖고, 출력 신호 (V10e) 를 출력한다. 전압 판정 회로 (10e) 의 출력 신호 (V10e) 는,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가 임계값 (Vt5) 이상일 때에 H 레벨이 되고,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가 임계값 (Vt5) 미만일 때에 L 레벨이 된다.
여기서, 임계값 (Vt1 ∼ Vt5) 은, Vt1 < Vt2 < Vt3 < Vt4 < Vt5 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다.
부호화 회로 (31) 는, 2 치 논리 회로이며, 전압 판정 회로 (10a ∼ 10e) 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그 출력 신호에 따라 2 치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2 치 신호는, 전압 판정 회로 (10a ∼ 10e) 의 출력 신호가, LLLLL 일 때에는 L 레벨, HLLLL 일 때에는 H 레벨, HHLLL 일 때에는 L 레벨, HHHLL 일 때에는 H 레벨, HHHHL 일 때에는 L 레벨, HHHHH 일 때에는 H 레벨이다.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300)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내부 회로 (50) 가 L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에,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를 강제적으로 L 레벨로 하여, 내부 회로 (50) 를 테스트 모드로 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내부 회로 (50) 가 L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에는, 출력 드라이버 (20) 는 PMOS 트랜지스터가 온이 되어,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는 H 레벨이 되어 있다.
출력 단자 (OUT) 에 전류 구동 능력이 낮은 검사 장치에서 소스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전위 (VOUT) 는 임계값 (Vt4) 이상, 임계값 (Vt5) 미만이 된다. 부호화 회로 (31) 는, 전압 판정 회로 (10a ∼ 10e) 로부터 HHHHL 의 신호가 입력되면, L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또,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가 임계값 (Vt3) 이상, 임계값 (Vt4) 미만이 되면, 부호화 회로 (31) 는, 전압 판정 회로 (10a ∼ 10e) 로부터 HHHLL 의 신호가 입력되므로,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임계값 (Vt4) 과 임계값 (Vt5) 을 가까운 값으로 설정하면, 내부 회로 (50) 를 테스트 모드로 하기 위해서는, 출력 단자 (OUT) 의 전위 (VOUT) 를 정확하게 임계값 (Vt4) 이상, 임계값 (Vt5) 미만으로 할 필요가 있다. 즉, 부호화 회로 (31) 는, 외부로부터 출력 단자 (OUT) 에 인가되는 노이즈의 영향을 잘 받지 않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호화 회로 (31) 는, 전압 판정 회로 (10a ∼ 10e) 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적절한 주기로 샘플링하여, 2 치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면, 보다 노이즈의 영향을 잘 받지 않게 된다.
제 1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100) 는, 전류 구동 능력이 낮은 검사 장치에 대응하기 위해서, 전압 판정 회로 (10a) 의 낮은 임계값 (Vt1) 에 의해 출력 단자 (OUT) 의 강제 H 레벨 입력을 검출하도록 하였으므로, 출력 단자 (OUT) 에 인가되는 노이즈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300) 는, 전압 판정 회로 (10d, 10e) 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출력 단자 (OUT) 에 인가되는 노이즈의 영향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300) 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100) 와 동일한 효과를 갖고, 또한, 출력 단자 (OUT) 에 인가되는 노이즈의 영향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다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나 조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3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에 저역 통과 필터를 형성해도 된다. 또, 출력 드라이버에는 CMOS 드라이버를 사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어떠한 회로의 출력 드라이버여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복수의 출력 단자에 적용하여, 복수 비트로 이루어지는 패러렐 형식의 테스트 모드 신호를 모드 전환 회로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0a ∼ 10e : 전압 판정 회로
20 : 출력 드라이버
30, 31 : 부호화 회로
40 : 모드 전환 회로
50 : 내부 회로
60 : 저역 통과 필터

Claims (6)

  1. 내부 회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반도체 장치의 출력 단자에 출력하는 출력 드라이버와,
    상기 반도체 장치의 출력 단자에 입력 단자가 접속되고, 제 1 임계값을 갖는 제 1 전압 판정 회로와,
    상기 반도체 장치의 출력 단자에 입력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높은 제 2 임계값을 갖는 제 2 전압 판정 회로와,
    상기 반도체 장치의 출력 단자에 입력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높은 제 3 임계값을 갖는 제 3 전압 판정 회로와,
    상기 제 1 ∼ 3 전압 판정 회로의 출력 단자가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 3 전압 판정 회로의 출력 신호에 따라 2 치의 부호화 신호를 출력하는 부호화 회로와,
    상기 부호화 회로의 출력 단자가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입력되는 상기 부호화 신호와 상기 내부 회로의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내부 회로에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전환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회로는,
    상기 출력 단자의 전위가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 제 1 논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 단자의 전위가 상기 제 1 임계값 이상이며, 또한,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 제 2 논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 단자의 전위가 상기 제 2 임계값 이상이며, 또한, 상기 제 3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제 1 논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 단자의 전위가 상기 제 3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 2 논리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제 1 ∼ 3 전압 판정 회로의 입력 단자 사이에 저역 통과 필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내부 회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반도체 장치의 출력 단자에 출력하는 출력 드라이버와,
    상기 반도체 장치의 출력 단자에 입력 단자가 접속되고, 제 1 임계값을 갖는 제 1 전압 판정 회로와,
    상기 반도체 장치의 출력 단자에 입력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높은 제 2 임계값을 갖는 제 2 전압 판정 회로와,
    상기 반도체 장치의 출력 단자에 입력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높은 제 3 임계값을 갖는 제 3 전압 판정 회로와,
    상기 반도체 장치의 출력 단자에 입력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 3 임계값보다 높은 제 4 임계값을 갖는 제 4 전압 판정 회로와,
    상기 반도체 장치의 출력 단자에 입력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제 4 임계값보다 높은 제 5 임계값을 갖는 제 5 전압 판정 회로와,
    상기 제 1 ∼ 5 전압 판정 회로의 출력 단자가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 5 전압 판정 회로의 출력 신호에 따라 2 치의 부호화 신호를 출력하는 부호화 회로와,
    상기 부호화 회로의 출력 단자가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입력되는 상기 부호화 신호와 상기 내부 회로의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내부 회로에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전환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회로는,
    상기 출력 단자의 전위가 상기 제 1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 제 1 논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 단자의 전위가 상기 제 1 임계값 이상이며, 또한, 상기 제 2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 제 2 논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 단자의 전위가 상기 제 2 임계값 이상이며, 또한, 상기 제 3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제 1 논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 단자의 전위가 상기 제 3 임계값 이상이며, 또한, 상기 제 4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제 2 논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 단자의 전위가 상기 제 4 임계값 이상이며, 또한, 상기 제 5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제 1 논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 단자의 전위가 상기 제 5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 2 논리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제 1 ∼ 5 전압 판정 회로의 입력 단자 사이에 저역 통과 필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170107289A 2016-08-26 2017-08-24 반도체 장치 KR102399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5828 2016-08-26
JPJP-P-2016-165828 2016-08-26
JP2017136328A JP6902947B2 (ja) 2016-08-26 2017-07-12 半導体装置
JPJP-P-2017-136328 2017-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851A KR20180023851A (ko) 2018-03-07
KR102399143B1 true KR102399143B1 (ko) 2022-05-17

Family

ID=6156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289A KR102399143B1 (ko) 2016-08-26 2017-08-24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02947B2 (ko)
KR (1) KR102399143B1 (ko)
TW (1) TWI712808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5526A (ja) * 2001-12-05 2004-03-18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57759A (ko) * 1972-10-02 1974-06-05
JPS5186957A (ja) * 1975-01-29 1976-07-30 Japan Broadcasting Corp Heiretsufugokakairo
JPS60148227A (ja) * 1984-01-12 1985-08-05 Fujitsu Ltd A/d変換器の試験方法
JPH0484782A (ja) * 1990-07-27 1992-03-18 Nec Corp テスト回路
JP2002026269A (ja) * 2000-07-10 2002-01-25 Mitsubishi Electric Corp モード制御回路
DE10038323A1 (de) * 2000-08-05 2002-02-14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Schaltungsanordnung
KR100375986B1 (ko) * 2000-11-27 200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그래머블 임피던스 제어회로
JP2006121377A (ja) * 2004-10-21 2006-05-11 Nec Electronics Corp 入力回路及び半導体装置
KR100804567B1 (ko) * 2005-08-24 2008-02-2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반도체 장치
CN101641931B (zh) * 2006-12-18 2012-03-21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脉冲宽度调制器
JP4786608B2 (ja) * 2007-07-30 2011-10-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磁界検出装置
JP2010216998A (ja) * 2009-03-17 2010-09-30 Panasonic Corp テストモード設定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た半導体集積回路
JP2013190256A (ja) * 2012-03-13 2013-09-26 Ricoh Co Ltd 半導体集積回路及びその半導体集積回路のテストモード設定方法
US9506979B2 (en) * 2014-04-02 2016-11-2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Test mode entry interlock
US11404866B2 (en) * 2016-04-08 2022-08-02 Infineon Technologies Ag Electronic switching and protection circuit with several operation modes
US9985571B2 (en) * 2016-04-29 2018-05-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tor driver circuit and process of matching received, determined voltag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5526A (ja) * 2001-12-05 2004-03-18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12808B (zh) 2020-12-11
KR20180023851A (ko) 2018-03-07
TW201825918A (zh) 2018-07-16
JP6902947B2 (ja) 2021-07-14
JP2018036253A (ja)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5309B2 (ja) コンパレータ
US9791493B2 (en) Sensor faul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20080283876A1 (en) Noise detection circuit
US9831876B2 (en) Receiver circuitry and method for converting an input signal from a source voltage domain into an output signal for a destination voltage domain
JP5133589B2 (ja) 半導体装置
US20160061905A1 (en) Semiconductor device, batter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semiconductor device
KR102399143B1 (ko) 반도체 장치
KR100999988B1 (ko) 버퍼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US9772365B2 (en) Detection circuit
US91656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witching between voltages
CN107786189B (zh) 半导体装置
US20090261885A1 (en) Power-on detecting circuit and level converting circuit
US20190235006A1 (en) Wiring line abnormality detecting device
KR102303877B1 (ko) 센서 회로
US20190323859A1 (en) Zero cross detection circuit and sensor device
CN107228967B (zh) 电流检测电路
US7619446B2 (en) Comparator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and method for the same
JP4844345B2 (ja) ヒステリシス付きコンパレータ回路
US20150236699A1 (en) Input buffer circuit,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10425067B2 (en)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emory device
US20070146017A1 (en) Semiconductor device
JP4671894B2 (ja) 3値検出回路
JP6202975B2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試験装置
US20150171851A1 (en) Signal amplitude detection circuit
US9547558B2 (en) Computer recovery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