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526B1 - 경관조형물 및 이를 구조적으로 조형하는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경관조형물 및 이를 구조적으로 조형하는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526B1
KR102398526B1 KR1020210158303A KR20210158303A KR102398526B1 KR 102398526 B1 KR102398526 B1 KR 102398526B1 KR 1020210158303 A KR1020210158303 A KR 1020210158303A KR 20210158303 A KR20210158303 A KR 20210158303A KR 102398526 B1 KR102398526 B1 KR 102398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ype
panel
artificial roc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복모
Original Assignee
윤복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복모 filed Critical 윤복모
Priority to KR1020210158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Abstract

본 발명은 경관조형물 및 이를 구조적으로 조형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관조형물은 격자형 보강프레임과, 상기 격자형 보강프레임의 뒤쪽에 이격되게 설치된 메쉬망과, 상기 격자형 보강프레임과 메쉬망이 내부에 감춰지도록 뿜칠되는 숏크리트를 포함하는 직조형 인조암과; 상기 직조형 인조암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격자형 보강프레임을 따라 배치되고 배면에 다수의 연결고리가 구비된 다수의 인조암 패널과,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인조암 패널의 연결고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철물과, 상기 인조암 패널 사이에 뿜칠되는 마감재를 포함하는 패널형 인조암;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직조형 인조암이 제공하는 미감과 패널형 인조암이 제공하는 미감을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관조형물 및 이를 구조적으로 조형하는 시공방법{Landscape sculptures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structurally modeling them}
본 발명은 경관조형물 및 이를 구조적으로 조형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숏크리트 뿜칠에 의해 만들어지는 직조형 인조암과 인조암 패널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패널형 인조암을 조합한 경관조형물 및 이를 구조적으로 조형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와서 도시에서도 자연 환경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공 조성물을 조성함으로써 도시 환경의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인공 조성물이라 함은 자연적으로 조성된 것이 아닌 사람이 인공적으로 만든 폭포, 암벽, 인조암과 같은 경관조형물 등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현대인의 시각 만족을 꾀하고, 근래에 들어와서 각종 놀이동산이나 기타 현대적인 건축물 또는 거리 주변 등에 널리 조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인공 조성물 중 특히 인조암과 같은 경관조형물은 천연바위와 동일할 정도의 질감이 표현되고 색상, 체적, 강도 면에서도 일반인이 구별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천연바위와 유사하다.
이러한 인조암을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메쉬망과 철근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에 숏크리트를 뿜칠하여 현장에서 성형 직조하는 공법과, 사전 제작된 다수의 인조암 패널을 현장에서 설치한 후 패널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결하는 공법 등이 있다.
위와 같이 다양한 인조암 시공방법이 있지만 아직까지는 작업현장에서 어느 하나의 시공방법만을 채택하여 작업을 하기 때문에 인조암에 대해서 제한적인 효과만 제공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 10-1303860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조암 패널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패널형 인조암을 숏크리트 뿜칠에 의해 만들어진 직조형 인조암의 상측에 형성함으로써, 직조형 인조암과 패널형 인조암의 조합에 의한 다양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경관조형물 및 이를 구조적으로 조형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경관조형물은 격자형 보강프레임과, 상기 격자형 보강프레임의 뒤쪽에 이격되게 설치된 메쉬망과, 상기 격자형 보강프레임과 메쉬망이 내부에 감춰지도록 뿜칠되는 숏크리트를 포함하는 직조형 인조암과; 상기 직조형 인조암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격자형 보강프레임을 따라 배치되고 배면에 다수의 연결고리가 구비된 다수의 인조암 패널과,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인조암 패널의 연결고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철물과, 상기 인조암 패널 사이에 채워지는 마감재를 포함하는 패널형 인조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직조형 인조암의 숏크리트 내부에 위치하는 격자형 보강프레임에 하단부분이 연결되고 상기 인조암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격자형 보강프레임에 상단부분이 연결되는 다수의 L형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조암 패널은 가장자리를 따라 조형 프레임이 설치되고, 인접한 조형 프레임 사이에는 X형 보강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X형 보강프레임과 상기 L형 보강프레임은 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조형 프레임에는 그 끝단이 상기 연결고리에 결합되는 수직바와 수평바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패널형 인조암의 하측에는 하단이 지반에 연결되는 보강기둥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강기둥은 서로 인접되게 설치되는 인조암 패널 사이를 하측에서 지지하되, 상단에는 아래쪽 중앙으로 갈수록 점점 볼록해지는 보강 콘크리트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직조형 인조암, 상기 패널형 인조암 또는 상기 직조형 인조암과 패널형 인조암의 연결부위에는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포트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식재포트의 내측면에는 부직포가 설치되고, 그 부직포 내부에는 토사가 채워진다.
또한, 상기 식재포트 주위에는 수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식재포트에는 지반까지 연결되는 배수구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직조형 인조암의 숏크리트 상단부와 상기 패널형 인조암의 인조암 패널 하단부는 서로 중첩된다.
한편, 경관조형물을 구조적으로 조형하는 시공방법은 격자형 보강프레임을 일정 높이로 설치한 후 상기 격자형 보강프레임의 뒤쪽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메쉬망을 설치하는 단계와; 배면에 다수의 연결고리가 구비된 인조암 패널을 상기 격자형 보강프레임의 앞쪽에 설치하되 격자형 보강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위쪽에 설치하는 단계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인조암 패널의 연결고리를 연결철물로 연결하고, L형 보강프레임의 하단부분과 상단부분을 상기 격자형 보강프레임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인조암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조형 프레임을 설치하고, 인접한 상기 조형 프레임 사이에 X형 보강프레임을 설치하되 상기 X형 보강프레임과 상기 L형 보강프레임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격자형 보강프레임과 메쉬망을 향해 숏크리트를 뿜칠하여 하부에 직조형 인조암을 형성시키고 상부에 인조암 패널이 구비된 패널형 인조암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격자형 보강프레임과 메쉬망을 향해 뿜칠된 숏크리트는 격자형 보강프레임, 메쉬망, 조형 프레임, X형 보강프레임, L형 보강프레임과 함께 양생 경화되어 일체화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경관조형물은 직조형 인조암이 제공하는 미감과 패널형 인조암이 제공하는 미감을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L형 보강프레임으로 직조형 인조암과 패널형 인조함을 연결함으로써 서로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직조형 인조암과 패널형 인조암의 연결부위에 식재포트를 설치함으로써 직조형 인조암과 패널형 인조암의 연결부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이질감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경관조형물을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경관조형물에서 직조형 인조암과 패널형 인조암의 결합 모습을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경관조형물의 보강기둥을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경관조형물의 식재포트를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경관조형물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경관조형물을 보인 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경관조형물에서 직조형 인조암과 패널형 인조암의 결합 모습을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경관조형물의 보강기둥을 보인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경관조형물의 식재포트를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경관조형물은 직조형 인조암(100)과, 상기 직조형 인조암(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패널형 인조암(200)과, 상기 직조형 인조암(100)과 패널형 인조암(200)을 연결하는 다수의 L형 보강프레임(300)과, 상기 패널형 인조암(200)을 지지하는 보강기둥(400)과, 상기 직조형 인조암(100)과 패널형 인조암(200)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식재포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직조형 인조암(100)은 현장에서 숏크리트(Shot crete)와 같은 조형재료가 뿜칠되어 성형 직조되는 인조암으로서,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기 때문에 하중을 많이 받는 인조암의 하단부와 식재포트(500) 부분 및 후술할 수조(520) 부분 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직조형 인조암(100)은 격자형 보강프레임(110)과, 상기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의 뒤쪽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메쉬망(120)과, 상기 격자형 보강프레임(110)과 메쉬망(120)이 내부에 감춰지도록 뿜칠되는 숏크리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은 다수의 수직철근과 수평철근이 서로 교차되도록 연결되어 형성되고, 원하는 형상의 인조암 형태에 부응할 수 있도록 곳곳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은 하단이 지반(E)에 설치되고 상단부분은 경관조형물의 최상단까지 이어진다.
그리고,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은 사용목적이나 지반조건 등에 따라 철근을 한 줄로 배근한 단근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고, 철근을 두 줄로 배근한 복근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메쉬망(120)은 금속재질의 와이어를 격자 형태로 만든 것으로서, 격자형 보강프레임(110)보다 작은 눈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메쉬망(120)은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의 앞쪽과 뒤쪽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고, 결속선 등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에 고정된다.
상기 숏크리트(130)는 분무기로 뿜어서 사용되는 콘크리트를 말하는 것으로서,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의 앞쪽이나 뒤쪽 등에서 뿜칠을 하여 내부에 격자형 보강프레임(110)과 메쉬망(120)을 포함한 상태로 양생된다. 이러한 숏크리트(130)는 사용목적이나 지반조건 등에 따라 뿜칠의 두께를 결정한다.
상기 패널형 인조암(200)은 인조암 패널(210)을 이용하여 인조암을 만드는 것으로서 직조형 인조암(100)의 상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패널형 인조암(200)은 다수의 인조암 패널(210)과, 상기 인조암 패널(2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철물(220)과, 상기 인조암 패널(210) 사이에 뿜칠되는 마감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인조암 패널(210)은 직조형 인조암(100)의 상부에 배치되되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을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인조암 패널(210)은 수평방향과 상하방향으로 다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배면에는 다수의 연결고리(211)가 구비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인조암 패널(210)은 배면 좌우측에 U자 형태의 연결고리(211)가 각각 하나씩 구비되면서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연결고리(2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인조암 패널(210)은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에 설치된 이후에 원하는 도색을 하고 표면코팅을 하는 과정 등을 거치게 된다.
상기 연결철물(220)은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인조암 패널(210)의 연결고리(211)를 서로 연결한다. 즉 연결철물(220)의 양단은 인접한 인조암 패널(210)의 연결고리(211)에 각각 결합되어 다수의 인조암 패널(210)을 서로 연결시킨다.
한편, 다수의 인조암 패널(210)은 연결철물(220)에 의해서만 서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자세히 설명하면, 인조암 패널(210)의 가장자리에는 철근으로 만들어진 조형 프레임(212)이 일체화되고, 인접한 조형 프레임(212) 사이에는 X형 보강프레임(213)이 설치된다.
그리고, 조형 프레임(212)에는 수직바(212a)와 수평바(212b)가 구비된다.
상기 수직바(212a)와 수평바(212b)는 그 끝단이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연결고리(211)에 결합된다. 이러한 수직바(212a)는 상단이 조형 프레임(212)에 고정되고 하단이 연결고리(211)에 고정된다. 그리고 수평바(212b)는 조형 프레임(212)에서 안쪽으로 연장되어 연결고리(211)에 고정된다. 이로써 이웃하는 다수의 인조암 패널(210)은 견고한 힘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마감재(230)는 인조암 패널(210) 사이에 뿜칠되어 인조암 패널(210) 사이의 빈 공간을 메꿔주는 것으로서, 숏크리트(130)와 마찬가지로 유리섬유 강화시멘트와 같은 조형재료나 인조암 패널(210)과 동일한 재질의 조형재료를 채택한다.
이러한 마감재(230)는 조형 프레임(212), X형 보강프레임(213), L형 보강프레임(300), 그리고 인조암 패널(21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메쉬망 등과 함께 양생 경화되면서 인조암 패널(210)들의 일체화 효과를 더욱 높인다. 더불어 마감재(230)를 분사할 때 이 마감재(230)가 인조암 패널(210)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덮도록 분사하면 인조암 패널(210)과 마감재(230)의 일체화 효과도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L형 보강프레임(300)은 아래쪽에 있는 직조형 인조암(100)과 위쪽에 있는 패널형 인조암(200)을 견고하게 연결하여 일체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명칭 그대로 알파벳의 ' L'자와 같은 형태를 위한다.
이러한 L형 보강프레임(300)은 하단부분이 직조형 인조암(100)의 숏크리트(130) 내부에 위치하는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에 연결되고, 상단부분이 인조암 패널(21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에 연결된다.
부연하면, L형 보강프레임(300)은 수평한 하단부분이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의 수평철근에 용접이나 결속선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고, 그 윗부분은 위쪽에 있는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의 수평철근 부분과 X형 보강프레임(213)에 연결된다.
한편, 직조형 인조암(100)의 숏크리트(130) 상단부와 패널형 인조암(200)의 인조암 패널(210) 하단부는 서로 중첩된다. 즉 직조형 인조암(100)의 숏크리트(130) 상단에서 바로 인조암 패널(210)이 시작되는 것이 아니고, 직조형 인조암(100)의 숏크리트(130) 상단 일부분에 인조암 패널(210)의 하단 일부분이 적층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직조형 인조암(100)과 패널형 인조암(200) 간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보강기둥(400)은 패널형 인조암(20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단이 패널형 인조암(200)에 연결되고 하단이 지반(E)에 연결된다. 이러한 보강기둥(400)은 물리적인 하중이나 충격에 대비하여 인조암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수직이 되게 지반(E)에 설치된다.
부연하면, 보강기둥(400)은 격자형 보강프레임을 기둥 형태로 만든 다음 그 주위에 숏크리트를 뿜칠하여 만들거나 또는 패널 공법으로 만든 것이다.
그리고, 보강기둥(400)은 서로 인접되게 설치되는 인조암 패널(210) 사이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즉 보강기둥(400)의 상단면은 인조암 패널(210) 뿐만 아니라 인조암 패널(210) 사이에 채워진 마감재(230) 부분을 지지하는데, 아무래도 서로 마주보는 인조암 패널(210)의 끝부분은 하측으로 쳐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억제하기 위하여 아래쪽 중앙으로 갈수록 점점 볼록해지는 보강 콘크리트(410)를 보강기둥(400)의 상단면에 구비한다. 이러한 보강기둥(400)의 보강 콘크리트(410)에 의해 인조암 패널(210)과 보강기둥(400) 간에 구조적 안정성이 더 보완된다.
상기 식재포트(500)는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으로서, 직조형 인조암(100)과 패널형 인조암(200)의 이질감을 완화시키기 위해 직조형 인조암(100)과 패널형 인조암(200)의 연결부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직조형 인조암(100)과 패널형 인조암(200)의 연결부위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조형 인조암(100) 또는 패널형 인조암(200)에도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식재포트(500)는 중앙부분에 상하방향의 빈 공간이 형성된 파이프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측면에는 부직포(510)가 설치되며, 그 부직포(510) 내부에는 토사가 채워진다.
상기 부직포(510)는 지면급수 방법에 의해 식생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반(또는 지면)에 닿은 부직포(510)의 하단을 통해 지면의 물이 부직포(510)에 흡수되고 이 물은 토사에 천천히 공급됨으로써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식재포트(500)의 주위에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5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조(520)는 식재포트(500)와 마찬가지로 격자형 보강프레임을 원하는 형태로 만든 후 그 주위에 숏크리트를 뿜칠하여 만든 것이다.
또한, 식재포트(500)에는 지반(E)까지 연결되는 배수구(530)를 설치하여 식재포트(500) 내부의 물을 외부의 지반(E)으로 빼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경관조형물에 대해 설명하였고, 지금부터는 본 발명에 의한 경관조형물을 구조적으로 조형하는 시공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경관조형물을 구조적으로 조형하는 시공방법은 먼저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을 일정 높이로 설치한 후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의 뒤쪽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메쉬망(120)을 설치하는 단계로 시작한다.
이렇게 격자형 보강프레임(110)과 메쉬망(120)이 설치된 다음에는 배면에 다수의 연결고리(211)가 구비된 인조암 패널(210)을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의 앞쪽에 설치하되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의 하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위쪽에 설치하는 단계가 이어진다. 여기에서 인조암 패널(210)은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을 따라 상하좌우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그 다음으로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인조암 패널(210)의 연결고리(211)를 연결철물(220)로 연결하고 L형 보강프레임(300)의 하단부분과 상단부분을 상기 격자형 보강프레임에 연결하는 단계가 이어진다.
그 다음에는 인조암 패널(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조형 프레임(212)을 설치하고 인접한 조형 프레임(212) 사이에 X형 보강프레임(213)을 설치하되, 상기 X형 보강프레임(213)과 상기 L형 보강프레임(300)을 연결하는 단계가 이어진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골조가 만들어진 다음에는 격자형 보강프레임(110)과 메쉬망(120)을 향해 숏크리트(130)를 뿜칠하여 하부에 직조형 인조암(100)을 형성시키고 상부에 인조암 패널(210)이 구비된 패널형 인조암(200)을 형성시키는 단계가 이어진다.
이때, 상기 격자형 보강프레임(110)과 메쉬망(120)을 향해 뿜칠된 숏크리트(130)는 격자형 보강프레임(110), 메쉬망(120), 조형 프레임(212), X형 보강프레임(213), L형 보강프레임(300)과 함께 양생 경화되어 일체화된다.
한편, 본 발명은 패널형 인조암(200)의 하단에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을 기둥 형태로 만든 다음 숏크리트(130)를 뿜칠하여 보강기둥(400)을 만드는 단계와, 직조형 인조암(100)과 패널형 인조암(200)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포트(500)를 만들고 식재포트(500) 주위에 수조(520)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한다.
100: 직조형 인조암 110: 격자형 보강프레임
120: 메쉬망 130: 숏크리트
200: 패널형 인조암 210: 인조암 패널
211: 연결고리 212: 조형 프레임
212a: 수직바 212b: 수평바
213: X형 보강프레임 220: 연결철물
230: 마감재 300: L형 보강프레임
400: 보강기둥 410: 보강 콘크리트
500: 식재포트 510: 부직포
520: 수조 530: 배수구
E: 지반

Claims (13)

  1. 격자형 보강프레임(110)과, 상기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의 뒤쪽에 이격되게 설치된 메쉬망(120)과, 상기 격자형 보강프레임(110)과 메쉬망(120)이 내부에 감춰지도록 뿜칠되는 숏크리트(130)를 포함하는 직조형 인조암(100)과;
    상기 직조형 인조암(100)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을 따라 배치되고 배면에 다수의 연결고리(211)가 구비된 다수의 인조암 패널(210)과,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인조암 패널(210)의 연결고리(211)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철물(220)과, 상기 인조암 패널(210) 사이에 채워지는 마감재(230)를 포함하는 패널형 인조암(200)과;
    상기 직조형 인조암(100)의 숏크리트(130) 내부에 위치하는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에 하단부분이 연결되고 상기 인조암 패널(21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격자형 보강프레임(110)에 상단부분이 연결되는 다수의 L형 보강프레임(300);을 포함하며,
    상기 인조암 패널(210)은 가장자리를 따라 조형 프레임(212)이 일체화되고, 인접한 조형 프레임(212) 사이에는 X형 보강프레임(213)이 설치되며, 상기 X형 보강프레임(213)과 상기 L형 보강프레임(300)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조형 프레임(212)에는 그 끝단이 상기 연결고리(211)에 용접 결합되는 수직바(212a)와 수평바(212b)가 구비되며,
    상기 패널형 인조암(200)의 하측에는 상단이 패널형 인조암(200)에 연결되고 하단이 지반(E)에 연결되는 보강기둥(400)이 구비되되, 상기 보강기둥(400)은 서로 인접되게 설치되는 인조암 패널(210) 사이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단에는 아래쪽 중앙으로 갈수록 점점 볼록해지는 보강 콘크리트(4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조형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조형 인조암(100), 상기 패널형 인조암(200) 또는 상기 직조형 인조암(100)과 패널형 인조암(200)의 연결부위에는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포트(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조형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식재포트(500)의 내측면에는 부직포(510)가 설치되고, 그 부직포(510) 내부에는 토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조형물.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식재포트(500) 주위에는 수조(5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조형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식재포트(500)에는 지반(E)까지 연결되는 배수구(5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조형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조형 인조암(100)의 숏크리트(130) 상단부와 상기 패널형 인조암(200)의 인조암 패널(210) 하단부는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조형물.
  12. 삭제
  13. 삭제
KR1020210158303A 2021-11-17 2021-11-17 경관조형물 및 이를 구조적으로 조형하는 시공방법 KR102398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303A KR102398526B1 (ko) 2021-11-17 2021-11-17 경관조형물 및 이를 구조적으로 조형하는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303A KR102398526B1 (ko) 2021-11-17 2021-11-17 경관조형물 및 이를 구조적으로 조형하는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526B1 true KR102398526B1 (ko) 2022-05-13

Family

ID=8158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303A KR102398526B1 (ko) 2021-11-17 2021-11-17 경관조형물 및 이를 구조적으로 조형하는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5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019A (ko) * 2003-01-09 2003-03-04 윤복모 인공폭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55407B1 (ko) * 2006-05-10 2007-09-04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KR101303860B1 (ko) 2012-10-17 2013-09-04 김우진 인공암 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78653B1 (ko) * 2016-12-27 2017-09-14 윤복모 인공암 패널을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317257B1 (ko) * 2020-05-19 2021-10-25 주식회사 자연들판 동굴이 있는 인공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019A (ko) * 2003-01-09 2003-03-04 윤복모 인공폭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55407B1 (ko) * 2006-05-10 2007-09-04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KR101303860B1 (ko) 2012-10-17 2013-09-04 김우진 인공암 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78653B1 (ko) * 2016-12-27 2017-09-14 윤복모 인공암 패널을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317257B1 (ko) * 2020-05-19 2021-10-25 주식회사 자연들판 동굴이 있는 인공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416331U (zh) 一种用于护坡的格构组件
KR100919169B1 (ko) 자립형 개비온 구조물
KR101231040B1 (ko) 식생판넬과 이를 이용한 사면의 식생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그리고 성토부의 식생옹벽 시공방법
KR102398526B1 (ko) 경관조형물 및 이를 구조적으로 조형하는 시공방법
CN207047867U (zh) 外排后插型钢式双排桩基坑支护体系
CN203129157U (zh) 一种用于陡坡绿化的格栅型梁板组合构件
CN112726644A (zh) 装配式绿色生态挡墙及其施工方法
CN212200450U (zh) 适用于高陡岩质边坡的喷播修复结构
CN106894583A (zh) 一种用于古建筑廊桥的排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215406119U (zh) 一种高大边坡光面支护结构
KR102398527B1 (ko) 자연석을 이용한 경관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26251B1 (ko) 인공폭포 구조물 및 시스템 그리고 시공방법
JP4783132B2 (ja) 緑化ユニット
KR200413303Y1 (ko) 강재 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KR100796241B1 (ko) 인공암 시공방법
CN104533012B (zh) 一种可承重轻质板材及其制作方法、组合墙板和房屋
EP0285202A1 (en) Process for contouring garden and landscape
CN210636447U (zh) 一种绿色生态边坡治理结构
CN109989523A (zh) 一种清水造型绿化混凝土柱巢结构及做法
KR101341982B1 (ko) 인공폭포에 사용되는 인공암의 제조방법
CN209837087U (zh) 一种拼装式生态锚定板挡土墙
JP2005061144A (ja) 法面の緑化工法
KR100654629B1 (ko)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RU176405U1 (ru) Блок для подпорной стены
CN110714470A (zh) 一种土质边坡的边坡防护系统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