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860B1 - 인공암 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암 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860B1
KR101303860B1 KR1020120115509A KR20120115509A KR101303860B1 KR 101303860 B1 KR101303860 B1 KR 101303860B1 KR 1020120115509 A KR1020120115509 A KR 1020120115509A KR 20120115509 A KR20120115509 A KR 20120115509A KR 101303860 B1 KR101303860 B1 KR 101303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panel
artificial cancer
nozz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김우진
플러스파운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진, 플러스파운틴(주) filed Critical 김우진
Priority to KR1020120115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natural stone or artificial st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0Producing and filling perforations, e.g. tarsia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8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ston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2Glass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인공암패널 결합 및 연결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인공암패널 결합 및 연결 부위의 마감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공암 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부재;
배면에 후방으로 돌출되어 지지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마련되며, 가장자리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돌출되어 타 인공암패널과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마련된 인공암패널;
상기 인공암패널과 인접하는 인공암패널 사이에 연결된 연결부재 위에 도포되는 메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 조형물.

Description

인공암 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artificial rock sculp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인공암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다수의 인공암패널 결합 및 연결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인공암패널 결합 및 연결 부위의 마감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공암 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심에 설치되는 조경시설의 하나로 인공폭포가 있다.
인공폭포는 인공암 조형물의 전면을 타고 흐르는 물이 낙하함으로써 자연의 폭포에서 느낄 수 있는 시원함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2006년 특허등록 제584244호 "인공폭포 구조물 및 시공방법"에는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옹벽과 외형을 이루는 다수개의 GRC 인공암패널과, 다수 개로 구성되는 GRC 인공암패널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재와, 인공암의 내측부에 방수성 및 접착성을 위해 프라이머로 구성되고, GRC 인공암패널과 인접하는 GRC 인공암패널 사이에는 모르타르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GRC 인공암패널과 인접하는 GRC 인공암패널 사이가 장시간이 경과 되거나 온도변화가 발생 될 경우 이형 재질화 되어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라이머의 내측에 FRP를 전체적으로 도포한 후 GRC 인공암패널의 연결부에 재차 FRP를 도포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2006년 특허등록 제584244호 "인공폭포 구조물 및 시공방법"은 인공폭포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으나, 다수의 GRC 인공암패널이 결합됨에 따라 지지부재에 미치는 부하가 상당하므로 강도가 약한 지형에 설치되는 경우 자칫 지지부재 붕괴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다수로 된 GRC 인공암패널의 결합 및 연결에 상당한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고, GRC 인공암패널 결합 및 연결 부위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크랙 발생 및 유격 이탈되는 등 취약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인공암 조형물에서 인공암패널의 결합 및 연결에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와 인공암패널 결합 및 연결 부위가 취약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암 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부재;
배면에 후방으로 돌출되어 지지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마련되며, 가장자리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돌출되어 타 인공암패널과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마련된 인공암패널;
상기 인공암패널과 인접하는 인공암패널 사이에 연결된 연결부재 위에 도포되는 메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공암 조형물은 상기 인공암패널과 인접하는 인공암패널 사이에 연결된 연결부재 상에 결합하여 상기 메지의 점착을 도와주는 메시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지는 유리섬유 강화 시멘트이며, 인접하는 인공암패널의 가장자리 일부가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공암 조형물은 일정 높이의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물이 월류되는 상부수조; 상기 상부수조에서 월류되어 낙하하는 물이 집수되는 하부수조; 상기 하부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수조로 물을 펌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펌프; 상기 제1펌프에서 펌핑된 물을 상부수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배관; 상기 제1펌프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제1펌프를 제어하는 전기제어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공암 조형물은 상기 하부수조에 설치되어 노즐로 물을 펌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펌프; 상기 제2펌프에서 펌핑된 물을 상기 노즐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배관; 상기 제2펌프와 노즐 사이의 제2배관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상기 노즐이 설치되며, 노즐의 분사 방향을 다양한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노즐방향제어장치;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을 조명하는 조명등; 상기 전기제어반에서 상기 제1,2펌프, 노즐방향제어장치, 밸브, 조명등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상기 전기제어반과 노즐방향제어장치로 전원제어 및 통신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공암 조형물은 상기 수조 또는 하천의 주변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영상 신호를 스크린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빔 프로젝터와, 영상 신호를 레이저로 표시하는 레이저연출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빔 프로젝터와 레이저연출기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기제어반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통신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 시공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지지부재에 각 인공암패널 배면으로 돌출된 결합부재를 고정하는 인공암패널 결합단계;
상기 인공암패널 결합단계에 의해 지지부재에 결합된 인공암패널의 가장자리에 돌출된 연결부재를 인접하는 인공암패널의 연결부재에 연결하는 인공암패널 연결단계;
상기 인공암패널 연결단계에 의해 서로 연결된 인공암패널 연결부위의 연결부재 상에 메지를 결합하는 메지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공암 조형물 시공방법은 상기 인공암패널 연결단계에 의해 서로 연결된 인공암패널 연결부위의 연결부재 상에 메시망을 결합하는 메시망 결합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지 결합단계는 상기 메시망 결합단계에 의해 인공암패널 연결부위의 연결부재 상에 결합된 메시망에 메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지 결합단계에서 상기 메지는 유리섬유 강화 시멘트이고, 도포 또는 뿜칠에 의해 결합하며, 인접하는 인공암패널의 가장자리 일부가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은 인공암패널에 결합부재와 연결부재가 마련된 것이고, 결합부재는 용접 또는 와이어 결속 또는 볼트 체결에 의해 지지부재에 견고히 고정되며, 연결부재는 다른 인공암패널의 연결부재와 용접 또는 와이어 결속에 의해 견고히 연결되는 것인바, 결합부재와 연결부재에 의해 인공암패널의 결합 및 연결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결합부재와 연결부재의 결합부 및 연결부의 내구성 증대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은 인공암패널 연결 부위의 연결부재에 메시망이 결합되는 것이고, 메시망에 유리섬유 강화 시멘트인 메지가 결합되는 것인바, 메시망 및 메지에 의해 인공암패널 연결부위의 마감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 설치방법의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 설치방법에서 인공암패널 결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 설치방법에서 인공암패널 연결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 설치방법에서 메시망 결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 설치방법에서 메지 결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 설치방법에서 메지 결합단계가 완료된 인공암패널 연결부위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 설치방법의 메시망 결합단계에서 메시망의 다른 형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A)은 지지부재(10)와, 인공암패널(20)과, 메시망(30)과, 메지(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11)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프레임(11)은 앵글 및 각봉으로 마련될 수 있고, 철근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앵글과 각봉과 철근이 모두 포함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10)에서 프레임(11)은 직선형은 물론 곡선형으로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부재(10)가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11)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및 대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프레임(11)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및 대각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프레임(11) 결합 구조가 안정될 수 있게 되므로 지지부재(10)가 견고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인공암패널(20)은 지지부재(10)에 결합하는 것이고, 배면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부재(21)가 마련된 것이며, 가장자리(상하좌우면)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재(22)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인공암패널(20)에서 결합부재(21)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선단이 지지부재(10)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부재(10) 전방에 인공암패널(2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인공암패널(20)에서 연결부재(22)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타 인공암패널(20)의 연결부재(22)에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인공암패널(2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시망(30)은 인공암패널(20) 연결부위의 연결부재(22) 상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메시망(30)은 그물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므로, 그물눈을 갖는 메탈라스(도면상 미도시)로 되어도 무방한 것은 물론이다.
이때, 메시망(30)은 통상의 판상 메시망이 설치될 수 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르게는 인공암 형태 또는 예술 작품 형태 등으로 다양한 형상을 만들어 조형미를 갖도록 한 메시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메지(40)는 메시망(30)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메지(40)는 유리섬유 강화 시멘트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지(40)가 유리섬유 강화 시멘트로 됨으로써 인공암패널(20) 연결부위의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되고, 동일 재질에 따른 친화력으로 인공암패널(20)과의 일체화가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메지(40)는 인접하는 인공암패널(20)의 가장자리 일부가 덮여지도록 도포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A)은 상부수조(도면상 미도시)와, 하부수조(도면상 미도시)와, 제1펌프(도면상 미도시)와, 제1배관(도면상 미도시)과, 조명등기구(도면상 미도시)와, 전기제어반(도면상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수조는 상기 지지부재(10)에 설치되는 것이고, 물이 월류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수조는 상기 상부수조에서 낙하하는 물이 집수되는 것이다.
상기 제1펌프는 상기 하부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수조로 물을 펌핑하는 것이다. 이때 제1펌프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배관은 상기 제1펌프에서 펌핑된 물을 상부수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제1배관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조명등기구는 인공암패널(20) 또는 하부수조에 설치되어 인공암패널(20)을 조명하는 것이다. 이때 조명등기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전기제어반은 케이블로 연결되어 제1펌프 및 조명등기구를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A)은 제2펌프(도면상 미도시)와, 제2배관(도면상 미도시)과, 밸브(도면상 미도시)와, 노즐방향제어장치(도면상 미도시)와, 조명등(도면상 미도시)과, 케이블(도면상 미도시)과, 제어부(도면상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펌프는 하부수조에 설치되어 노즐로 물을 펌핑하는 것이다. 이때 제2펌프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배관은 제2펌프에서 펌핑된 물을 상기 노즐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제2배관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밸브는 상기 제2펌프와 노즐 사이의 제2배관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것이다. 이때 밸브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노즐방향제어장치는 노즐이 설치되는 것이고, 노즐의 분사 방향을 다양한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상기 조명등은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을 조명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전기제어반에서 제1,2펌프, 노즐방향제어장치, 밸브, 조명등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케이블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제어반과 노즐방향제어장치로 전원제어 및 통신신호를 인가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A)은 빔 프로젝터(도면상 미도시)와, 레이저연출기(도면상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 프로젝터는 노즐 또는 인공암패널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설치되어 영상 신호를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 또는 인공암패널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레이저연출기는 노즐 또는 인공암패널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설치되어 영상 신호를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 또는 인공암패널에 레이저로 표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빔 프로젝터와 레이저연출기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기제어반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통신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인가받는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의 시공방법은 인공암패널 결합단계(S1)와, 인공암패널 연결단계(S2)와, 메지 결합단계(S3)를 포함한다.
상기 인공암패널 결합단계(S1)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11)으로 구성된 지지부재(10)에 각 인공암패널(20) 배면으로 돌출된 결합부재(21)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인공암패널 결합단계(S1)에서 결합부재(21)는 용접 또는 와이어 결속 또는 볼트 체결에 의해 지지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인공암패널 연결단계(S2)는 인공암패널 결합단계(S1)에 의해 지지부재(10)에 결합된 인공암패널(20)의 가장자리(상하좌우면)로부터 돌출된 연결부재(22)를 인접하는 인공암패널(20)의 연결부재(22)와 연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인공암패널 연결단계(S2)에서 연결부재(22)는 용접 또는 와이어 결속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인공암패널(20)의 연결부재(22)는 인접하는 인공암패널(20)의 연결부재(22)에 직접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부재(22)들은 나란하게 연결될 수 있고, 대각선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지 결합단계(S3)는 인공암패널 연결단계(S2)에 의해 서로 연결된 인공암패널(20) 연결부위의 연결부재(22)에 메지(40)를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메지 결합단계(S3)에서 메지(40)는 유리섬유 강화 시멘트이고, 도포 또는 뿜칠에 의해 결합하며, 인접하는 인공암패널(20)의 가장자리 일부가 덮여지는 것이다.
이때, 메지(40)은 후술하는 메시망(30)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인공암패널(20) 연결부위의 연결부재(22)에 메시망(30)이 결합되는 경우 메지(40)는 연결부재(22) 상의 메시망(30)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의 시공방법은 메시망 결합단계(S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망 결합단계(S4)는 인공암패널 연결단계(S2)에 의해 서로 연결된 인공암패널(20) 연결부위의 연결부재(22) 상에 메시망(30)을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메시망 결합단계(S4)에서 메시망(30)은 용접 또는 와이어 결속에 의해 연결부재(22)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메시망(30)은 통상의 판상 메시망이 설치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인공암 형태 또는 예술 작품 형태 등으로 다양한 형상을 만들어 조형미를 갖도록 한 메시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A)을 시공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부재(10)에 인공암패널(20)이 결합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패널 결합단계(S1)가 실시된다.
본 발명에서 인공암패널(20)에는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결합부재(21)가 마련되어 있는바, 인공암패널(20)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결합부재(21) 선단을 후방에 위치하는 지지부재(10)에 밀접시킨 상태에서 용접하거나, 와이어로 결속하거나, 볼트를 체결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에 결합부재(21)가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결합부재(21) 고정에 의해 지지부재(10) 상에 인공암패널(2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인공암패널(20) 결합 과정에서 지지부재(10)는 지면 또는 옹벽 또는 사면경사부에 고정 설치된 것이다.
이때, 옹벽 또는 사면경사부는 지형에 따라 보강이 필요한 경우에 적용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여기서, 지지부재(10)의 고정 설치는 고정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고정방법을 따르더라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앵커볼트 체결이 될 수 있다.
한편, 인공암패널(20) 결합 과정에서 일 인공암패널(20)과 이와 인접하는 타 인공암패널(20) 사이의 간격은 최소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인공암패널(20)과 이와 인접하는 타 인공암패널(20) 사이의 간격이 최소로 됨으로써 인공암패널(20) 간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지지부재(10) 상에 결합된 인공암패널(20)들이 서로 연결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패널 연결단계(S2)가 실시된다.
본 발명에서 인공암패널(20)에는 가장자리(상하좌우면)로부터 돌출된 연결부재(22)가 마련되어 있는바, 일 인공암패널(20)의 가장자리(상하좌우면)로부터 돌출된 연결부재(22) 선단을 이와 인접하는 타 인공암패널(20)의 가장자리(상하좌우면)로부터 돌출된 연결부재(22) 선단에 인접되도록 한 후 용접하거나 와이어로 결속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암패널(2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부재(22)의 길이가 짧거나 인공암패널(20) 사이가 넓은 경우 연결부재(22)에 별도 와이어(23)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22)에 별도 와이어(23)가 연결됨으로써 연결부재(22)의 연장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연결부재(22)의 길이가 짧거나 인공암패널(20) 사이가 넓은 경우라도 연결부재(22)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연결부재(22)의 연결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및 대각방향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연결부재(22)의 연결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및 대각방향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연결부재(22)의 상호 연결이 조밀하게 되므로 연결부위가 견고해 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메시망(30) 및 메지(4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인공암패널(20) 연결부위의 연결부재(22)에 메지(40)가 결합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메지 결합단계(S3)가 실시된다.
본 발명에서 상호 연결되는 인공암패널(20) 사이로는 연결부재(22)가 노출되는바, 연결부재(22)에 메지(40)를 도포하거나 뿜칠하게 되면 연결부재(22)에 메지(40)가 점착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2)에 메지(40)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암패널(20) 연결부위가 메지(40)로 충전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메지(40)의 도포 또는 뿜칠은 통상 인공암패널(20) 외측에서 실시되나 인공암패널(20) 외측에서 메지(40) 도포 또는 뿜칠 작업이 곤란한 경우 인공암패널(20) 내측에서 메지(40)의 도포 또는 뿜칠이 실시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메지 결합단계(S3) 이전에 인공암패널(20) 연결부위의 연결부재(22) 상에 메시망(3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메시망 결합단계(S4)가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호 연결되는 인공암패널(20) 사이로는 연결부재(22)가 노출되는바, 인공암패널(20) 사이로 노출되는 연결부재(22)에 메시망(30)을 밀접시킨 상태에서 용접하거나 와이어로 결속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2)에 메시망(3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메시망 결합단계(S4)가 실시되는 경우 메지 결합단계(S3)의 메지는 인공암패널(20) 연결부위의 연결부재(22) 상에 결합하는 메시망(30)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메지는 도포 또는 품칠에 의해 메시망(30)에 결합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메지(40) 결합 완료 후 인공암패널(20) 도색이 실시될 수 있다.
인공암패널(20) 도색이 실시됨으로써 인공암 조형물(A)을 다양한 컬러로 착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은 인공암패널(20)에 결합부재(21)와 연결부재(22)가 마련된 것이고, 결합부재(21)는 용접 또는 와이어 결속 또는 볼트 체결에 의해 지지부재(10)에 견고히 고정되며, 연결부재(22)는 다른 인공암패널(20)의 연결부재(22)와 용접 또는 와이어 결속에 의해 견고히 연결되는 것인바, 결합부재(21)와 연결부재(22)에 의해 인공암패널(20)의 결합 및 연결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결합부재(21)와 연결부재(22)의 결합부 및 연결부의 내구성 증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공암 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은 인공암패널(20) 연결 부위의 연결부재(22)에 메시망(30)이 결합되는 것이고, 메시망(30)에 유리섬유 강화 시멘트인 메지(40)가 결합되는 것인바, 메시망(30) 및 메지(40)에 의해 인공암패널(20) 연결부위의 마감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지지부재 11 : 프레임
20 : 인공암패널 21 : 결합부재
22 : 연결부재 30 : 메시망
40 : 메지 A : 인공암 조형물
S1 : 인공암패널 결합단계 S2 : 인공암패널 연결단계
S3 : 메지 결합단계 S4 : 메시망 결합단계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마련된 인공암패널;
    상기 인공암패널들의 사이에 도포되는 메지;를 포함하되,
    상기 인공암패널은 가장자리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재가 마련되어 일 인공암패널의 연결부재와 이와 인접하는 타 인공암패널의 연결부재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및 대각방향으로 연결됨에 따라 인공암패널들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메지는 서로 연결된 인공암패널들 사이의 연결부재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 조형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연결된 인공암패널들 사이의 연결부재에 메시망이 결합되어 메지가 메시망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 조형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지는 유리섬유 강화 시멘트이며, 서로 연결된 인공암패널들의 가장자리를 일부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 조형물.
  4. 제1항에 있어서,
    일정 높이의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물이 월류되는 상부수조;
    상기 상부수조에서 월류되어 낙하하는 물이 집수되는 하부수조;
    상기 하부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수조로 물을 펌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펌프;
    상기 제1펌프에서 펌핑된 물을 상부수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배관;
    상기 인공암패널 또는 상기 하부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인공암패널을 조명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기구;
    상기 제1펌프 및 조명등기구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제1펌프를 제어하는 전기제어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 조형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조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상기 하부수조에 설치되어 노즐로 물을 펌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펌프;
    상기 제2펌프에서 펌핑된 물을 상기 노즐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배관;
    상기 제2펌프와 노즐 사이의 제2배관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을 조명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
    상기 전기제어반에서 상기 제1,2펌프, 밸브, 조명등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상기 전기제어반으로 전원제어 및 통신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 조형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조에는 노즐이 설치되며, 노즐의 분사 방향을 다양한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방향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방향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 조형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 또는 인공암패널에 영상을 연출할 수 있도록 노즐 또는 인공암패널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설치되는 빔 프로젝터와, 레이저연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빔 프로젝터와 레이저연출기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기제어반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통신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 조형물.
  8.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지지부재에 각 인공암패널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결합부재를 고정하는 인공암패널 결합단계;
    상기 인공암패널 결합단계에 의해 지지부재에 결합된 일 인공암패널 가장자리의 연결부재를 이와 인접하는 타 인공암패널 가장자리의 연결부재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및 대각방향으로 연결하는 인공암패널 연결단계;
    상기 인공암패널 연결단계에 의해 서로 연결된 인공암패널들 사이의 연결부재에 메지를 결합하는 메지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 조형물 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암패널 연결단계에 의해 서로 연결된 인공암패널들 사이의 연결부재에 메시망을 결합하는 메시망 결합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지 결합단계는 상기 메시망 결합단계에 의해 서로 연결된 인공암패널들 사이의 연결부재에 결합된 메시망에 메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 조형물 시공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지 결합단계에서 상기 메지는 유리섬유 강화 시멘트이고, 도포 또는 뿜칠에 의해 연결부재 또는 메시망에 결합하며, 서로 연결된 인공암패널들의 가장자리를 일부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암 조형물 시공방법.
KR1020120115509A 2012-10-17 2012-10-17 인공암 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03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509A KR101303860B1 (ko) 2012-10-17 2012-10-17 인공암 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509A KR101303860B1 (ko) 2012-10-17 2012-10-17 인공암 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860B1 true KR101303860B1 (ko) 2013-09-04

Family

ID=49455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509A KR101303860B1 (ko) 2012-10-17 2012-10-17 인공암 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8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207B1 (ko) * 2016-02-17 2016-09-26 류호준 건축용 조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778653B1 (ko) 2016-12-27 2017-09-14 윤복모 인공암 패널을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398527B1 (ko) 2021-11-17 2022-05-13 윤복모 자연석을 이용한 경관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98526B1 (ko) 2021-11-17 2022-05-13 윤복모 경관조형물 및 이를 구조적으로 조형하는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0510A (en) * 1993-12-14 1998-09-22 Urriola; Humberto Underground drainage system
KR100762310B1 (ko) * 2006-04-12 2007-10-09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유리섬유 강화시멘트를 이용한 인공암의 제조방법 및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KR101116333B1 (ko) * 2011-08-31 2012-03-05 김우진 분수용 곡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분수대
KR101172009B1 (ko) * 2011-10-07 2012-08-07 박정혁 인조석을 이용한 조경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0510A (en) * 1993-12-14 1998-09-22 Urriola; Humberto Underground drainage system
KR100762310B1 (ko) * 2006-04-12 2007-10-09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유리섬유 강화시멘트를 이용한 인공암의 제조방법 및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KR101116333B1 (ko) * 2011-08-31 2012-03-05 김우진 분수용 곡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분수대
KR101172009B1 (ko) * 2011-10-07 2012-08-07 박정혁 인조석을 이용한 조경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207B1 (ko) * 2016-02-17 2016-09-26 류호준 건축용 조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778653B1 (ko) 2016-12-27 2017-09-14 윤복모 인공암 패널을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398527B1 (ko) 2021-11-17 2022-05-13 윤복모 자연석을 이용한 경관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98526B1 (ko) 2021-11-17 2022-05-13 윤복모 경관조형물 및 이를 구조적으로 조형하는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860B1 (ko) 인공암 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05040944A (zh) 一种整装墙板
CN112343235A (zh) 一种暗藏灯带的跌级吊顶系统及其施工方法
CN104712091B (zh) 一种大跨度地下厂房的吊顶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926251B1 (ko) 인공폭포 구조물 및 시스템 그리고 시공방법
CN110130546A (zh) 一种装配式抗震内隔墙及其安装方法
CN209653187U (zh) 双层组合式幕墙系统
CN104328898A (zh) 一种建筑外墙粉刷养护装置
CN103541549B (zh) 一种体育场看台踏面装饰基层分步施工方法
CN102839803A (zh) 装饰造型混凝土板安装施工方法
CN203531193U (zh) 一种弧形石材幕墙
CN214461491U (zh) 一种弧形轻质隔墙
KR100898348B1 (ko) 조형물 시공 방법
CN209418789U (zh) 明挖电缆隧道环向接地网装置
CN204590380U (zh) 一种大跨度地下厂房的吊顶结构
CN207392518U (zh) 一种轻钢结构装配装饰一体化建筑外墙的墙面模块系统
CN210441165U (zh) 一种楼宇屋顶投光灯安装固定结构
CN214574923U (zh) 型钢组合clc隔墙板墙体体系
CN109695347A (zh) 基于圆钢握弯器的建筑施工方法
CN205637221U (zh) 用于挂板复合墙的勒脚处的泛水件及包含其的挂板复合墙
CN208830647U (zh) 一种干挂板连接机构
CN211622368U (zh) 一种清水混凝土板饰面结构
CN109629664A (zh) 基于装配式树脂混凝土排水沟的地下室施工方法
CN218508875U (zh) 调节式预制混凝土造型挂板系统
CN102888988B (zh) 一种墙面变形缝的隐式处理方法及钢盖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7